KR100920899B1 -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899B1
KR100920899B1 KR1020070110407A KR20070110407A KR100920899B1 KR 100920899 B1 KR100920899 B1 KR 100920899B1 KR 1020070110407 A KR1020070110407 A KR 1020070110407A KR 20070110407 A KR20070110407 A KR 20070110407A KR 100920899 B1 KR100920899 B1 KR 100920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blue lotus
present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4338A (ko
Inventor
이승지
이강태
이상길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70110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0899B1/ko
Publication of KR20090044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8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2Nymphaeaceae (Water-lily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4Susp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블루로터스 추출물은 자외선 등에 의해 손상 받을 수 있는 피부를 보호해주며, 세포 사멸 및 피부 세포 DNA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자외선 등에 의한 피부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블루로터스, 자외선, 피부보호, 광노화,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rotecting Comprising Blue Lotus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여 자외선에 의해 손상되는 DNA 및 피부를 보호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성장기에는 일광에 대하여 피부가 쉽게 대응을 하지만, 연령이 높아지면서 피부 조직이 점차 변화함에 따라 일광으로 인한 거칠어짐, 주름, 착색 반점, 혈색이 나쁨, 설사, 모세혈관확장, 흑점, 자반 및 쉬운 타박상, 위축, 섬유증 탈색 부위 및 극심하게는 전암성 종양 및 악성 종양을 등의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자외선은 UVA, UVB, UVC 영역으로 나누어지며 지구상에는 UVA와 UVB만 도달 하여 이 작용을 한다. UVC영역은 오존층에 의해 차단되지만 최근에는 환경 오염등으로 인해 지구상에 까지 도달하여 피부암을 유발시킨다고 알려지고 있다.
자외선은 피부 노화의 가장 중요한 인자이며 최근에는 자외선에 의한 노화 즉 광노화(Photoaging)와 관련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화장품 업계에 도입되고 있다. 광노화는 광에 대한 대응력이 약해진 피부에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및 이로 인한 피부의 다양한 노화현상(주름 생성, 탄력 감소, 색소 침착, 피부건조)등의 현상등을 말한다. 따라서, 피부노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을 최소화 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피부세포 중 케라티노사이트 (keratinocyte)는 자외선이 조사되면 염증성 사이토카인 (cytokine)들을 분비하고 또한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되어 세포내에서 여러 종류의 단백질 키나제 및 포스포리파제가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이들 효소는 세포막 지질을 가수분해시켜 아라키돈산을 분비되게 한다. 상기의 분비된 아라키돈산은 시클로옥시게나제의 작용으로 프로스타글란딘 E2 (PGE2)로 변화된다. 이렇게 형성된 아라키돈산 및 PGE2는 사이토카인들과 협동하여 피부에서 발적을 비롯한 여러 가지의 염증 반응을 일으키며, 궁극적으로는 피부의 노화를 촉진한다. 또한, 피부세포 중 섬유아세포도 자외선의 조사에 의하여, 상기에 기재된 케라티노사이트의 활성화와 유사한 과정으로 활성화가 이루어지며, 자외선 양이 증가됨에 따라 사멸되기도 하며 DNA가 손상되어 궁극적으로는 피부암을 발생시키고 노화를 촉진한다. 즉, 자외선은 피부의 발적, 면역억제, 주름 생성 및 궁극적으로는 피부노화와 피부 암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자외선 조사의 차단 및 방지는 피부암의 예방 및 노화의 지연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최근 들어 대기오염 등 환경오염으로 인한 오존층의 파괴로 지상에 도달되는 자외선 양이 증가되고, 자외선의 영역 또한 변화되어 피부노화 및 피부암이 증가되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이 화장품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많은 화장품 제조회사에서 관련 상품을 출시하기 위해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 현재 이용되고 있는 방법으로서는 단순한 자외선 차단제 혹은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하여 자외선으로부터의 피해를 방지하고 있는 실정이며 최근에는 이들 자외선 차단제 자체가 돌연변이를 유발하여 피부암 발생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
이러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은 궁극적으로 피부 노화와 연관이 있으므로, 이들을 방어할 수 있는 방법은 화장품 업계의 관심사항 중 하나이다.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을 막기 위해서는 활성 산소를 억제하거나, 생성을 저해하는 방법이 있으며, 다른 하나는 직접적으로 자외선을 차단하는 것이 있다. 대부분의 자외선 관련 제품들은 자외선을 차단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천연물을 이용하여 자외선에 의해 발생하는 활성 산소를 억제하는 방법들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자외선 차단제와 같은 단순한 차단 작용만을 나 타내는 것이 아니라, 피부 자극이 적고 자외선 차단효과가 우수하여, 장기적으로 피부 노화 및 피부암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식물생리활성 물질을 찾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블루로터스 추출물이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방지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블루로터스 추출물은 자외선 등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 손상을 억제하며, 세포 사멸 및 피부 세포 DNA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적용한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자외선 등에 의한 피부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따르면, 본 발명은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블루로터스 추출물은 수련과(Nymphaeaceae)에 속하는 블루로터스의 추출물을 말한다. 블루로터스(blue lotus, Nymphaea caerulea)는 남아프리카가 원산지인 여러해살이풀로서, 태국산 수련(Nymphaea coerulea), 인도산 수련(Nymphaea, stellata)등도 이에 속한다. 수련과 식물은 지름 30cm 정도의 잎을 가진 매우 크게 자라는 야생수초로서 남부아시아와 동아시아 인근의 섬들에서 자란다. 보통 수련이라고 불리는 이 식물은 푸른색 꽃이 피는 데서 블루로터스(blue lotus)라고 불린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따르면, 블루로터스 추출물은 건조시킨 블루로터스 꽃과 잎에 함수 에탄올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수일 동안 침출한 다음, 이를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농축하여 건조 추출물을 얻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블루로터스 추출물은 이 식물의 잎, 줄기, 뿌리, 꽃, 종자 등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잎 또는 꽃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블루로터스는 이를 건조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건조하여 사용한다. 이때 건조법으로는 자연 건조법 또는 열풍 건조법 등의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루로터스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블루로터스 추출물은, 다양한 용매, 예를 들어,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예로서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로 하여 얻어진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물과 에탄올의 적절한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얻어진 것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과 에탄올이 3:7로 혼합된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얻어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 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 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블루로터스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블루로터스 추출물은 감압 증류,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루로터스 추출물은 자외선 등의 외적요인에 의한 피부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활성을 갖는다.
상기의 외적요인에는 자외선, 스트레스 및 외부 유해 화학물질 등이 있으며, 상기 요인은 자유라디칼 (예컨대, 히드록실 라디칼,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활성산소 및 과산화수소)을 발생시켜 피부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높여 염증, 피부 세포 사멸 및 피부 세포 DNA 손상 등이 일어나고 결과적으로 피부암 발생 또는 피부의 노화를 촉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제형의 안정성, 단가 또는 피부 결점의 커버 및 사용성의 조정을 위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청에 고시된 모든 유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추가로 소량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디갈로일트리올리에이트, 디소듐페닐디벤지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3- (4-메칠벤질리덴)캄파,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벤조페논-3, 벤조페논-4, 벤조페논-8,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조릴테트라메칠부틸 페놀, 시녹세이트, 옥토크릴렌, 옥틸디메칠파바, 옥틸살리실레이트, 옥틸트리아존,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파라아미노안식향산, 2-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및 호모살레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징크옥사이드 또는 티타늄옥사이드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블루로터스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자외선 등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 세포 손상, 특히 DNA손상을 억제하기 위해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화장료에 적용시켜 이를 제품화함으로써 피부 보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피부 손상"은 피부가 그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하며, 피부의 구성물질, 예로서 콜라겐및 엘라스틴의 손상, 피부 세포의 기능 손상 및 피부 세포의 사멸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피부 세포는 피부에 존재하는 모든 세포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는 케라티노사이트 및 섬유아세포이다.
본 발명의 용어 "피부 보호"는 피부의 손상을 방지하고 손상된 피부를 개선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블루로터스 추출물은 자외선에 의해 피부가 받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제거함으로써 피부 세포의 사멸을 억제하고 DNA 손상을 방지하여 피부를 보호하게 되며, 장기적으로는 피부암 발생 및 피부 노화 등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블루로터스 추출물은 피부에 국소적으로 바르는 거나 뿌리는 것에 의해 그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크림, 로션 및 유연수 등의 화장료 조성물 또는 스프레이 및 연고 등의 약제학적 조성물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블루로터스 추출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20.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001-10.0 중량%이다. 상기 함량 미만일 경우에는 기대효과가 나타나기 어렵고, 상기 함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효과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으며, 제형의 안정화가 어렵고, 제조 단가가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품으로 제형되는 경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블루로터스 추출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추가로 점증제, 피부보호제, 보습제, 중화제, pH 조절제, 가용화제, 방부제,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 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 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및 산화적 스트레스를 방지하여 피부보호용 화장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먼저 블루로터스 잎과 꽃을 말린 후 잘게 파쇄하여 100g 되게 무게를 잰다. 여기에 물과 에탄올이 3:7(v:v)로 섞인 용매 600g을 넣고 5일간 침지 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다. 5일간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다시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한 후, 회전 감압증발기로 건조하여, 건조 중량 7.5g을 얻었다. 이 건조된 파우더를 30% 1,3-뷰틸렌 글리콜에 용해하여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제조예 2-11.
먼저 블루로터스 잎과 꽃을 말린 후 잘게 파쇄하여 100g 되게 무게를 잰다. 여기에 물과 에탄올의 농도를 변화시켜주면서 두 용매가 섞인 것을 600g 넣고 5일간 침지 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다. 5일간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다시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한 후, 회전 감압증발기로 건조하여, 건조중량을 다음 표와 같이 얻었다.
에탄올 함량(%) 건조 중량(g)
제조예 2 0 5.23
제조예 3 10 5.68
제조예 4 20 6.13
제조예 5 30 6.12
제조예 6 40 6.23
제조예 7 50 6.45
제조예 8 60 6.13
제조예 9 80 7.65
제조예 10 90 7.56
제조예 11 100 7.35
제조예 12.
먼저 블루로터스 잎과 꽃을 말린 후 잘게 파쇄하여 100g 되게 무게를 잰다. 여기에 물과 1,3 뷰틸렌 글리콜을 5:5(v:v)로 섞은 용매 600g을 넣고 5일간 침지 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다. 5일간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다시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한 후, 블루로터스 추출물 580g을 얻는다. 이때의 건조 감량은 12.5g/100ml이다. 또한 위와 같은 방법으로 물과 뷰틸렌글리콜 용액의 비율을 달리하여 여러 가지의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실험예 1: 자외선에 의한 인체 케라티노사이트의 세포 사멸 억제 효과
케라티노사이트에 자외선이 조사되면 세포 내에서 활성 산소가 분비된다. 상기 현상을 인위적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인체 정상 각질 세포 (한국 세포주은행)를 48-웰 마이크로 플레이트(48-well microplate)의 각 웰에 1 x 104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 (시그마사, 미합중국)에서 24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여기에 자외선(UVB)를 조사한 후, 각각의 웰에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농도별[0.1,0.5, 1.0, 2.0%(v/v)]로 조정하여 배양액에 첨가한 후 24시간 경과 후 세포 활성을 MTT 분석법를 통해 확인하였다.
제조예 1의 블루로터스 추출물 (%) 세포 생존율(%)
자외선 조사 안한 세포 자외선 조사 세포
0.0 100.0 2.5
0.1 101.2 24.6
0.5 102.2 35.8
1.0 105.5 63.5
2.0 108.5 93.3
상기 표 2의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블루로터스 추출물은 자외선에 의한 케라티노사이트의 사멸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그 효과가 탁월하였다.
실험예 2: 자외선에 의한 인체 섬유아 세포 사멸 억제 효과
섬유아세포에 자외선이 조사되면 세포 내에서 활성 산소가 분비되며 세포는 손상을 입게 된다. 상기 현상을 인위적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인체 섬유아 세포(한국 세포주은행)를 48-웰 마이크로 플레이트(48-well microplate)의 각 웰에 1 x 104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 (시그마사, 미합중국)에서 24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여기에 자외선(UVA)를 조사한 후, 각각의 웰에 제조예 1의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농도별[0.1, 0.5, 1.0, 2.0%(v/v)]로 조정하여 배양액에 첨가한 후 24시간 경과후 세포 활성을 MTT 분석법를 통해 확인하였다.
제조예 1의 블루로터스 추출물 (%) 세포 생존율(%)
자외선 조사 안한 세포 자외선 조사 세포
0.0 100.0 2.5
0.1 105.3 28.8
0.5 103.5 39.5
1.0 100.7 76.3
2.0 100.5 90.2
상기 표 3의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블루로터스 추출물은 자외선에 의한 섬유아세포의 사멸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그 효과가 매우 탁월하였다.
실험예 3: 자외선에 의한 섬유아세포 DNA의 손상 억제 효과
섬유아세포는 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DNA 손상이 유발되는데 이의 방지는 피부암의 예방 및 노화의 지연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블루로터스 추출물이 상기 DNA 손상 유발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24-웰 세포배양 플레이트에 5×104 세포/웰로 섬유아세포 (한국세포주 은행)를 접종하였다. 여기에 자외선(UVA)을 조사한 후 각각의 웰에 제조예 1의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농도별[1.0, 2.0%(v/v)]로 조정하여 배양액에 첨가한 후 24시간 경과후에 단세포 전기영동 (Comet 분석)을 실시하였다. 영상분석기 (image analyzer: Komet, 3.1, Kinetic imaging, 잉글랜드)를 사용하여 꼬리 길이 (tail length: ㎛)를 측정하고 이를 척도로 하여 DNA 손상정도를 분석하였다.
제조예 1의 블루로터스 추출물(%) 평균 꼬리 길이 (㎛)
대조군 50.5
0(자외선조사) 162.3
1.0 60.3
2.0 51.5
상기 표 4의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블루로터스 추출물은 자외선에 의한 섬유아세포의 DNA 손상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그 효과가 탁월하였다.
제형예 1. 유연 화장수
제조예 1의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유연 화장수 (스킨)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블루로터스 추출물 0.5
1,3-부틸렌글리콜 5.2
올레일알코올 1.5
에탄올 3.2
폴리솔베이트 20 3.2
벤조페논-9 2.0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글리세린 3.5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2. 영양 화장수
제조예 1의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영양 화장수(밀크로션)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블루로터스 추출물 0.6
글리세린 5.1
프로필렌글리콜 4.2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
유동파라핀 4.6
트리에탄올아민 1.0
스쿠알란 3.1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5
폴리솔베이트60 1.6
솔비탄세스퀴롤레이트 1.6
프로필파라벤 0.6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5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3. 영양크림
제조예 1의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함량:중량%) 실시예 1 비교실시예 1
블루로터스 추출물 2.0 -
글리세린 4.0 4.0
바셀린 3.5 3.5
트리에탄올아민 2.1 2.1
유동파라핀 5.3 5.3
스쿠알란 3.0 3.0
밀납 2.6 2.6
토코페릴아세테이트 5.4 5.4
폴리솔베이트 60 3.2 3.2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1.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3.1 3.1
미량 미량
방부제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100 100
제형예 4. 맛사지 크림
제조예 1의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맛사지 크림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블루로터스 추출물 0.5
글리세린 4.0
바셀린 3.5
트리에탄올아민 0.5
유동파라핀 24.0
스쿠알란 3.0
밀납 2.1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폴리솔베이트 60 2.4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3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5. 팩
제조예 1의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팩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 분 함량(중량%)
블루로터스 추출물 1.0
에틸알코올 3.0
EDTA-2Na 0.02
프로필렌 글리콜 5.1
글리셀린 4.5
카보폴 1.0
폴리옥사이드 0.1
방부제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실험예 4.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
본 발명의 블루로터스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료의 자외선에 의한 피부 보호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인위적으로 사람의 피부에 자외선을 조사한 후(1.5MED) 제형예 3의 방법으로 제조한 실시예 1 및 제형예 3에서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정제수로 대체한 비교실시예 1의 화장료를 6시간 간격으로 도포하였다. 자외선 조사 후 48시간 경과 후 홍반 생성 정도를 육안으로 평가하였으며, 객관적인 평가를 위하여 기기 평가도 함께 실시하였다. 기기 평가는 Skin colorimeter(Minolta, 일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상기 결과는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홍반 생성 정도
평가 (a value***)
비교 실시예 1 실시예 1
사용전* 사용후** 사용전* 사용후**
0명 27명 0명 4명
5.4 17.8 5.4 7.4
*사용전 : 자외선 조사 전
**사용후 : 자외선 조사후 48시간 경과 후
***a value : 피부의 홍반 정도를 나타내며 이 값은 평균(20명)값을 나타냄
상기 표 10의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블루로터스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료 제형(실시예 1)의 홍반 생성 정도는, 블루로터스 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제형(비교실시예 1)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것은 블루로터스 추출물이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매우 탁월하다는 것을 예측하게 하는 결과이다.

Claims (6)

  1. 블루로터스의 잎 및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세포 손상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2. 블루로터스의 잎 및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로터스의 잎 및 꽃 추출물의 함량은 총 조성물에 대하여 0.0001- 2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 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여 자외선 차단 및 자외선에 의한 피부세포 손상을 방지하는 것인 화장 방법.
KR1020070110407A 2007-10-31 2007-10-31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화장료 조성물 KR100920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407A KR100920899B1 (ko) 2007-10-31 2007-10-31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407A KR100920899B1 (ko) 2007-10-31 2007-10-31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338A KR20090044338A (ko) 2009-05-07
KR100920899B1 true KR100920899B1 (ko) 2009-10-12

Family

ID=40854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407A KR100920899B1 (ko) 2007-10-31 2007-10-31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08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20922B2 (ja) * 2015-05-14 2019-12-18 医療環境テクノ株式会社 皮膚を修復し活性化するための医薬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5844795B (zh) * 2022-12-20 2024-05-10 杭州孔凤春化妆品股份有限公司 一种油橄榄修护舒缓面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8564B1 (en) 1997-02-21 2002-10-22 Clientele Beauty, Inc.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lotus for skin treatment
WO2006000708A1 (fr) 2004-06-09 2006-01-05 Laboratoire Nuxe Composition comprenant un extrait de lotus bleu a effet decontractant de la peau.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8564B1 (en) 1997-02-21 2002-10-22 Clientele Beauty, Inc.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lotus for skin treatment
WO2006000708A1 (fr) 2004-06-09 2006-01-05 Laboratoire Nuxe Composition comprenant un extrait de lotus bleu a effet decontractant de la peau.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orgils Fossen 외 3명, Phytochemistry 51, pp.1133-1137 (199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338A (ko)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507B1 (ko) 천녀목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광노화 방지용 및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93007B1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25497A (ko) 타히보 추출물을 함유하며 항염증 및 피부자극완화 효능을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20899B1 (ko)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화장료 조성물
KR20160036202A (ko) 옥수수 속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135528A (ko)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 및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20896B1 (ko) 블루로터스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30669B1 (ko) 락테이트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20070111636A (ko) 발아 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58630B1 (ko) 녹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및 광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100538078B1 (ko) 산삼 추출물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100909768B1 (ko) 감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JP2009007261A (ja) 美白剤および化粧料組成物
KR20210074699A (ko)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96279A (ko) 소루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10018668A (ko) 육계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49345B1 (ko)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2555418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j2k-351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된 천심련 및 바위손의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010018657A (ko) 괴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16251B1 (ko) 녹용을 포함하는 한방 생약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조성물
KR102048713B1 (ko) 보스웰릭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29802A (ko) 스파티필룸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및 미백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37914B1 (ko) 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8027B1 (ko)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방지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20134274A (ko) 털머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