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감초 (Glycyrrhiza glabra), 녹용(Cervus elaphus), 구기자 (Lycium chinensis) 및 당귀 (Angelica acutiloba kitag)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아세포 및 각질세포의 증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감초, 녹용, 구기자 및 당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아세포내 콜라겐 생합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감초, 녹용, 구기자 및 당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감초, 녹용, 구기자 및 당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노화 방지 효능을 개선하고자 한방 생약재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 감초, 녹용 구기자 및 당귀로부터 수득한 혼합 추출물이 피부에 탄력을 부여하는 성분인 콜라겐 합성을 촉진시키고, 콜라겐 합성이 주로 이루어지는 섬유아세포뿐만 아니라 각질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며, 더불어 피부의 보습력을 증강시키면서도 피부의 항염 효과를 나타냄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작용의 총합은 피부 노화를 억제 및 치료하는 데 매우 효과적임을 발견하였다. 또한 상기 한방 생약 혼합 추출물이 피부 자극 등의 부작용이 거의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에서의 한방 생약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얻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아세톤, (d) 에틸 아세테이트, (e) 클로로포름 또는 (f) 1,3-부틸렌글리콜을 추출 용매로 하여 상기 한방 생약재부터 얻은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용매 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한방 생약 혼합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감압 증류,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생약 추출물의 함량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0001 내지 20.0 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5 내지 10.0 중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5.0 중량%이다. 생약 추출물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뚜렷한 피부 노화 방지 효과, 특히 주름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생약 추출물의 함량이 1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섬유아세포 및 각질세포 증식 능력, 섬유아세포내 콜라겐 생합성 촉진 능력 그리고 피부보습 능력을 나타내며, 이러한 능력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피부 노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생약 추출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 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노화 방지의 용도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피부 노화 방지"는 피부 노화 예방 및 치료를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섬유아세포의 증식 촉진과 콜라겐 합성의 촉진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과 피부 탄력 개선, 및 보습력 향상을 통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하며, 이와 같은 사실은 하기의 실시예에 명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용도인 피부 노화 방지는 주름 개선, 보습력 개선 및 피부 탄력 개선 용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생약 추출물의 제조
감초 25 g, 녹용 10 g, 구기자 25 g 및 당귀 10 g을 파쇄기를 이용하여 곱게 파쇄한 후 여기에 물을 첨가해서 0.7 L로 만든 다음, 70℃에서 4시간 가량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다시 여과한 후 상온에서 식힌 다음 4℃에서 7일간 저온 숙성시킨 다음 여과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섬유아세포 및 각질세포의 증식 효과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 및 각질 세포 (한국 세포주은행)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각 웰에 1 x 104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 (Sigma사)에서 24시 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이어, 상기 생약 추출물을 최종 농도 0.005%, 0.01%, 0.05%, 0.1% 및 1%로 포함된 혈청이 없는 DMEM 배지로 교체한 실험군과 생약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혈청이 없는 DMEM 배지로 교체한 대조군을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MTT 용액 (3-(4,5-디메틸티아졸-2-일) 2,5-디페닐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 5 mg/㎖)을 각각에 10 ㎕씩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각 웰 당 100 ㎕의 디메틸 설폭시드 용액을 가하여 20분 동안 진탕시키고,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미합중국)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상층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값을 하기의 수학식 1에 대입하여 세포 증식 효과를 산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세포증식효과 (%) = [{(추출물처리시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x 100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세포 증식 효과
추출물(%) |
세포증식효과(%) |
대조군 |
- |
0.005 |
5.6 |
0.01 |
15.8 |
0.05 |
25.6 |
0.1 |
36.8 |
1.0 |
56.8 |
피부 각질 세포에서의 세포 증식 효과
추출물(%) |
세포증식효과(%) |
대조군 |
- |
0.005 |
6.8 |
0.01 |
18.7 |
0.05 |
30.5 |
0.1 |
45.8 |
1.0 |
68.5 |
상기 표 1, 2에서 알 수 있듯이, 생약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생약 추출물이 섬유아세포 및 각질 세포의 증식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 (한국 세포주은행)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각 웰에 2 x 104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에서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 상기 제조한 생약 추출물이 최종 농도 0.005, 0.01, 0.05 및 0.1%로 포함된 혈청이 없는 DMEM 배지로 교체한 실험군과 생약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혈청이 없는 DMEM 배지로 교체한 대조군을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한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는 TGF-beta(10 ng/㎖)을 적용하였다. 배양 후,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프로콜라겐 (procollagen) 타입 I C-펩타이드 (PICP) 양을 키트 (Takara, 일본국)를 이용하여 새로 합성된 콜라겐 양을 측정하였다.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는 대조군에 대비하여 생성 증가된 콜라겐의 양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생약 추출물의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
농도 % |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
TGF-β |
189.8 |
0.005 |
115.8 |
0.01 |
123.5 |
0.05 |
135.6 |
0.10 |
168.9 |
상기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생약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콜라겐의 합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고, 이에 생약 추출물이 뛰어난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피부면역증강효능 시험
8-10 주령의 C57BL/6 생쥐를 대상으로 복부를 면도한 다음 FS-20 sun lamp를 이용하여 자외선 B파장을 (UVB) 2.4 kJ/m2로 조사하면 접촉성 과민반응 (contact hypersensitivity)이 대조군에 비해 44.3% 억제되는 면역억제현상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을 UV 조사 후 도포하고 3일이 경과한 다음 UV조사 영역에 3% 삼질소염화벤젠(trinitrochlorobenzene)으로 감작시켰다. 6일 후 1%의 삼질소염화벤젠을 생쥐의 귀에 도포하고 부종 상태를 측정하였다. 피부면역증강효과는 다음과 같은 수식에 의해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도포 및 UVB 조사군의 귀 부종 두께-UVB 조사군의 귀 부종 두께)/(대조군의 귀 부종 두께-UVB 조사군의 귀 부종 두께)} x 100
생약 추출물의 피부 면역 증감효과
농도 % |
피부면역 증감효과 (%) |
대조군 |
- |
0.5 |
(+)6.5 |
1.0 |
(+)14.8 |
5.0 |
(+)33.5 |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
하기 표 3의 조성비를 가지는 유연 화장수 화장료 조성물에 제조한 생약 추출물 3%가 포함된 실시예 및 생약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비교 실시예를 제조하고, 하기 실험예 5에 이용하였다:
생약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료
성분 |
실시예 (함량-중량%) |
비교실시예(함량-중량%) |
생약 추출물 |
3.0 |
- |
글리세린 |
5.1 |
5.1 |
프로필렌글리콜 |
4.2 |
4.2 |
토코페릴아세테이트 |
3.0 |
3.0 |
유동파라핀 |
4.6 |
4.6 |
트리에탄올아민 |
1.0 |
1.0 |
스쿠알란 |
3.1 |
3.1 |
마카다미아너트오일 |
2.5 |
2.5 |
폴리솔베이트60 |
1.6 |
1.6 |
솔비탄세스퀴롤레이트 |
1.6 |
1.6 |
프로필파라벤 |
0.6 |
0.6 |
카르복실비닐폴리머 |
1.5 |
1.5 |
향 |
미량 |
미량 |
방부제 |
미량 |
미량 |
정제수 |
잔량 |
잔량 |
계 |
100 |
100 |
실험예 4: 보습 효과
상기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에서 제조된 각 화장료의 보습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 화장료가 도포된 피부를 대상으로 하여 수분 보유능 및 수분 증발량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실험예 5-1: 수분 보유능의 측정
22℃ 및 상대습도 45%의 항온 항습실에서 상기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에서 제조된 각 화장료를 30명의 피시험자 하박 안쪽에 일정량 (0.03 g/16 ㎠)을 도포하고, 도포전, 도포 1시간 후 및 도포 2시간 후의 피부의 수분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정상 피부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측정 기기는 피부의 수분 함량에 따른 피부의 전기 용량을 측정하여 보습력을 측정하는 수분 함량측정기 (corneometer CM820, Conrage + Khazaka사, 독일)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나 있다.
구 분 |
실시예 |
비교 실시예 |
대조군 |
도포전 피부 전기전도도 |
50 |
50 |
50 |
도포 1시간후 피부 전기전도도 |
77 |
75 |
50 |
도포 2시간후 피부 전기전도도 |
73 |
48 |
50 |
실험예 5-2: 수분 증발량의 측정
팔의 상박 부위에 테입 스트리핑 (tape stripping)을 실시하여 피부의 방어막을 약화시킨 후, 실험예 5-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실험자에게 각 화장료를 도포 한 후, 수분증발량기 (TEWA meter, koln, 독일연방국)를 이용하여 12시간 마다 1분 간격으로 5회씩 수분 증발량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7과 같다.
구 분 |
실시예 |
비교 실시예 |
대조군 |
0시간 후 수분증발량 |
5.0% |
5.0% |
0.0% |
12시간 후 수분증발량 |
-10.1% |
-4.5% |
-0.1% |
24시간 후 수분증발량 |
-8.2% |
-2.0% |
0.1% |
36시간 후 수분증발량 |
-4.0% |
3.5% |
0.1% |
48시간 후 수분증발량 |
-2.1% |
4.0% |
0.0% |
상기 실험예 5-1 및 5-2의 결과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화장료가 비교 실시예의 화장료에 비하여 피부의 전기 전도도가 높고, 적은 수분 증발량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가 우수한 보습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피부 안전성 비교
20-30대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피부 자극 물질을 알파히드록시산 (AHA)를 사용하였다. 피검자들에게 각각 실시예 1과 같은 처방에서 생약추출물 3% 외에 AHA 5%를 함유한 제품과 AHA만 함유한 제품을 피부 첩포제를 이용하여 피검자의 상박에 첩포하고 24시간 경과후 피부 자극 유무를 확인하였다.
생약 추출물의 피부 자극 완화 효과
피부 반응 정도 |
피검자 수 |
대조군*
|
AHA+생약추출물 함유 제품 |
홍반 없음 |
- |
19 |
아주 경미한 홍반 |
9 |
11 |
명료한 홍반 |
17 |
- |
중증 홍반 |
4 |
- |
* 대조군: AHA 5% 함유 제품
이상에서와 같이 생약 추출물은 AHA의 자극을 완화시켜주는데 매우 높은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하 처방예를 들어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조성물이 이들 제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상기에서 수득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중 유연 화장수 (스킨)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
함량(중량%) |
생약 추출물 |
0.5 |
1,3-부틸렌글리콜 |
5.2 |
올레일알코올 |
1.5 |
에탄올 |
3.2 |
폴리솔베이트 20 |
3.2 |
벤조페논-9 |
2.0 |
카르복실비닐폴리머 |
1.0 |
글리세린 |
3.5 |
향 |
미량 |
방부제 |
미량 |
정제수 |
잔량 |
계 |
100 |
제형예 2
상기에서 수득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중 밀크로션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
함량(중량%) |
생약 추출물 |
0.6 |
글리세린 |
5.1 |
프로필렌글리콜 |
4.2 |
토코페릴아세테이트 |
3.0 |
유동파라핀 |
4.6 |
트리에탄올아민 |
1.0 |
스쿠알란 |
3.1 |
마카다미아너트오일 |
2.5 |
폴리솔베이트60 |
1.6 |
솔비탄세스퀴롤레이트 |
1.6 |
프로필파라벤 |
0.6 |
카르복실비닐폴리머 |
1.5 |
향 |
미량 |
방부제 |
미량 |
정제수 |
잔량 |
계 |
100 |
제형예 3
상기에서 수득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
함량(중량%) |
생약 추출물 |
1.0 |
글리세린 |
4.0 |
바셀린 |
3.5 |
트리에탄올아민 |
2.1 |
유동파라핀 |
5.3 |
스쿠알란 |
3.0 |
밀납 |
2.6 |
토코페릴아세테이트 |
5.4 |
폴리솔베이트 60 |
3.2 |
카르복실비닐폴리머 |
1.0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
3.1 |
향 |
미량 |
방부제 |
미량 |
정제수 |
잔량 |
계 |
100 |
제형예 4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맛사지 크림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
함량(중량%) |
생약 추출물 |
0.5 |
글리세린 |
4.0 |
바셀린 |
3.5 |
트리에탄올아민 |
0.5 |
유동파라핀 |
24.0 |
스쿠알란 |
3.0 |
밀납 |
2.1 |
토코페릴아세테이트 |
0.1 |
폴리솔베이트 60 |
2.4 |
카르복실비닐폴리머 |
1.0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
2.3 |
향 |
미량 |
방부제 |
미량 |
정제수 |
잔량 |
계 |
100 |
제형예 5
상기에서 수득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중 팩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 분 |
함량(중량%) |
생약 추출물 |
1.0 |
에틸알코올 |
3.0 |
EDTA-2Na |
0.02 |
프로필렌 글리콜 |
5.1 |
글리셀린 |
4.5 |
카보폴 |
1.0 |
폴리옥사이드 |
0.1 |
방부제 |
미량 |
향 |
미량 |
정제수 |
잔량 |
계 |
1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