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항산화 효과, 피부노화 방지 효과, 콜라겐 생합성 효과, 피부주름 개선 효과, 미백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미선나무(Abelliophyllum distichum , Nakai)는 물푸레나무과의 식물로 열매의 모양이 둥근 부채를 닮아 미선나무라고 부 르는데,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한국 특산식물이며 경기, 충북, 전북, 황해도에서 자란다. 잎은 대생하며 2줄로 달리고 길이 3-8cm , 폭 0.5-3.0cm의 난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다. 개화기는 3-4월로 전년에 형성되었던 꽃이 잎보다 먼저 피는데 백색 또는 도홍색 꽃이 총상화서로 달린다. 열매는 시과이며, 원상 타원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 25mm로서 끝이 오목하며, 둘레에 날개가 있고, 2개의 종자가 들어있으며 9월에 익는다. 뿌리는 개나리 뿌리와 비슷하며 영문명으로 White forsythia라고도 한다. 미선나무의 종류는 흰색 꽃이 피는 것이 기본종이다. 분홍색 꽃이 피는 것을 분홍미선(for.lilacinum), 상아색 꽃이 피는 것을 상아미선(for. eburneum), 꽃받침이 연한 녹색인 것을 푸른미선(for. viridicalycinum), 열매 끝이 패지 않고 둥글게 피는 것을 둥근미선(var. rotundicarpum)이라고 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미선나무 추출물’은 미선나무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 (예: 잎, 꽃, 뿌리, 줄기, 가지, 껍질 및 종자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꽃, 잎, 줄기, 가지, 껍질 또는 뿌리, 보다 바람직하게는 꽃, 잎, 가지 또는 뿌리, 가장 바람직하게는 가지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에테르, 부틸렌글라이콜 및 헥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 70% 에탄올 또는 물을 사용하여 추출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70%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고온에 의한 초임계추출법에 의한 추출, 초음파를 이용한 추출법에 의한 추출,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이 상온에서 냉침, 가열 여과하여 얻어진 액상물, 추가로 용매를 감압농축 또는 동결 건조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0.0001 ~ 30.0중량% 함유하며, 바람직하게는 0.001~ 15.0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물의 함량이 0.0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항산화, 노화방지, 미백, 보습 및 피부주름 개선 등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30.0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며, 제형상의 안전 및 안정성에 문제 가 있으며 경제적이지도 못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선나무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실험예 1 및 2), MMP-1 생성 억제효과(실험예 3), 자외선 유도에 의한 MMP-1 생성 억제효과(실험예 4), 콜라겐 합성 증진효과(실험예 5),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실험예 6), 피부탄력 개선효과(실험예 7), 보습효과(실험예 8)가 뛰어나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 피부노화 방지 효과, 피부주름 개선 효과, 미백 효과(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 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여 항산화, 노화방지, 피부 주름개선, 미백 및 보습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 방법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모든 화장 방법을 일컫는다. 즉,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방법이 본 발명의 화장 방법에 속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호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 제형은 클렌징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화장방법을 수행하면, 피부의 노화 방지, 주름개선 효과, 미백 효과 및 보습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미선나무 추출물의 제조
세절하여 음건한 미선나무의 가지를 7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5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5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였다. 감압 농축물 및 동결건조물이 1%가 되게 30% 부틸렌글리콜용액에 분산/용해하여 미선나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NBT
법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 측정 실험
본 실험예는 제조예 1에서 수득한 미선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실 조건에서 다른 항산화제 즉, BHT(Butylated Hydroxytoluene)0.01% 를 비교 샘플로 하였으며, NBT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크산틴과 크산틴옥시다제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를 NBT법에 의해 측정하고 피검물질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효과, 즉 활성산소 소거효과를 평가한다. 크산틴과 크산틴옥시다제에 의해 활성산소를 생성시킨다. 이 활성산소가 니트로블루테트라졸리움(Nitro Blue Tetrazolium;NBT)과 반응하 여 이것에 의해 생성되는 청색을 파장 560nm에서 측정하는 것으로 활성산소 소거율을 측정한다.
측정방법으로서,
1. 0.05M Na2CO3 ------------------------------------ 2.4ml
2. 3mM 크산틴 용액---------------------------------- 0.1ml
3. 3mM EDTA 용액------------------------------------ 0.1ml
4. BSA 용액----------------------------------------- 0.1ml
5. 0.72mM NBT 용액---------------------------------- 0.1ml
6. 크산틴 옥시다제 용액----------------------------- 0.1ml
7. 6mM CuCl2 용액----------------------------------- 0.1ml
① 바이엘병에 1,2,3,4,5를 가하고 여기에 시료용액(제조예 1의 미선나무 추출물 또는 BHT) 0.1ml(농도: 0.01, 0.1, 1.0%)을 첨가하고 25℃에서 10분간 방치한다.
② 6을 가하여 빨리 교반하고 25℃에서 20분간의 배양을 개시한다.
③ 그 후 7을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560nm에서의 흡광도 St를 측정한다.
④ 공시험은 시료용액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한 것을 상기와 똑같이 조작해 흡광도 Bt를 측정한다.
⑤ 역시, 시료용액의 블랭크(Blank)는 6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해 똑같이 조작하여 흡광도 Bo를 측정한다.
활성산소 소거율은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활성산소 소거율(%) =〔1-(St-So)/(Bt-Bo)〕X 100
St : 시료용액의 효소 반응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t : 공시험용액의 효소 반응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So : 시료용액의 효소 무첨가시 반응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o : 공시험용액의 효소 무첨가시 반응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시료명 |
처리 농도(%) |
항산화효과(%) |
미선나무 추출물 |
0.01 |
26.3 |
미선나무 추출물 |
0.1 |
55.6 |
미선나무 추출물 |
1.0 |
82.3 |
BHT |
0.01 |
89.2 |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0.01-1.0% 농도에서 시험한 시료 모두에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미선나무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항산화 효과가 더욱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선나무 추출물(1.0%)은 BHT와 유사한 우수한 항산화력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2:
DPPH
법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 측정 실험
본 실험예는 제조예 1에서 수득한 미선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실 조건에서 비타민 C와 같은 항산화제를 비교샘플로 하여 DPPH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법은 DPPH(2,2-Di(4-tert-octylphenyl)-1-picrylhydrazyl) 프리라디칼이라는 유리기를 사용하여 환원력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다. 피검물질에 의해 DPPH가 환원되어 흡광도가 감소하는 정도를 공시험액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파장 560nm에서 자유라디칼 소거율을 측정한다.
사용한 시약으로서는 2,2-Di(4-tert-octylphenyl)-1-picrylhydrazyl 프리라디칼(Aldrich Chem. Co., MW=618.76)0.1mM 용액으로서 61.88mg을 메탄올에 용해하여 100ml로 한다.
측정방법으로서,
① 96-웰 플레이트에 0.1mM DPPH 용액 0.15ml과 시료용액 0.15ml를 가하여 빨리 교반하고 25℃에서 10분간의 배양을 개시한다.
② 그 후 560nm에서의 흡광도 St를 측정한다.
③ 공시험은 시료용액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한 것을 상기와 똑같이 조작해 흡광도 Bt를 측정한다.
④ 역시, 시료용액의 블랭크(Blank)는 0.1mM DPPH 용액 대신에 메탄올을 사용해 똑같이 조작하여 흡광도 Bo를 측정한다.
효과의 결과는 수학식 2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군으로써 비타민 C(0.01%)를 사용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율(%) = 〔1-(St-So)/(Bt-Bo)〕X 100
St : 시료용액의 자유라디칼 소거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t : 공시험용액의 자유라디칼 소거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So : 시료용액의 자유라디칼 무첨가시 반응 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o : 공시험용액의 자유라디칼 무첨가시 반응 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시료명 |
처리 농도(%) |
항산화효과(%) |
미선나무 추출물 |
0.10 |
45.8 |
미선나무 추출물 |
0.50 |
86.5 |
비타민 C |
0.01 |
86.1 |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은 0.50% 농도에서 비타민 C와 유사한 우수한 자유라디칼 소거율(항산화 효과)을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3.
MMP
-1 생성 억제 효과
인간 정상 피부세포인 섬유아세포(한국 세포주 은행, 대한민국)를 48-웰 마이크로 플레이트(Nunc, 덴마크)에 각 웰당 1× 106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Sigma, 미합중국) 및 37℃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기 제조예 1의 미선나무 추출물을 첨가한 무혈청 DMEM 배지 및 대조군으로 미선나무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무혈청 DMEM 배지에서 48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MMP-1 분석 킷트(Amersham, 미합중국)를 이용하여 새로 합성된 MMP-1의 양(ng/㎖)을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MMP-1 생성 억제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MMP-1 생성 억제율의 양성 대조군으로 TGF-β(10ng/ml, Roche, 미합중국)을 사용하였다.
MMP-1 생성 억제율(%)=1-(실험군의 MMP-1의 양/대조군의 MMP-1의 양)?100
미선나무 추출물의 MMP-1 생성억제율(%)
시험 물질 |
MMP-1 생성 억제율(%) |
TGF-β |
68.5 |
미선나무 추출물(0.5%) |
43.5 |
미선나무 추출물(1.0%) |
65.8 |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은 MMP-1 생성 억제율을 나타내며, 1.0% 농도에서는 TGF-β와 거의 유사한 정도의 MMP-1 생성 억제율을 보여주었다.
실험예
4. 미선나무 추출물의 자외선 유도에 의한
MMP
-1 생성억제 효과
일반적으로 MMP-1은 자외선에 의해 그 양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이 자외선에 의해 생성이 증가되는 MMP-1의 양을 억제하는지를 알아보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시료 처리에 앞서 UVA를 일정량 처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미선나무 추출물은 제조예 1의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나, 본 실험의 결과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험의 양성대조군으로는 TGF-β(10ng/mL)를 사용하였다. MMP-1 생성 억제율은 상기 수학식 3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자외선 유도 후의 미선나무 추출물의 MMP-1 생성 억제율(%)
시험 물질 |
MMP-1 생성 억제율(%) |
TGF-β |
78.5 |
미선나무 추출물(0.5%) |
56.5 |
미선나무 추출물(1.0%) |
85.8 |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은 자외선 유도에 의한 MMP-1 생성을 억제하고, 1.0% 농도에서는 자외선 유도 후의 MMP-1 생성 억제율이 TGF-β보다 더 우수하였다.
실험예
5. 미선나무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인간 정상 상피세포인 섬유아세포를 48-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각 웰당 1 x 106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제조예 1의 미선나무 추출물을 첨가한 무혈청 DMEM 배지(실험군) 및 미선나무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무혈청 DMEM 배지(대조군)를 48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콜라겐 키트(Takara, 일본)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 (procollagen) 타입 I C-펩타이드 (PICP) 양을 측정하여 ng/㎖ 환산하였으며, 이로 합성된 콜라겐 양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의 양성대조군으로는 TGF-β(10 ng / mL )를 사용하였다. 콜라겐 생합성 증가율은 하기 수학식 4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콜라겐 생성 증가율(%)=실험군의 콜라겐양/대조군의 콜라겐양× 100
미선나무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시험 물질 |
콜라겐 생합성율(%) |
TGF-β |
165.6 |
미선나무 추출물(0.5%) |
132.5 |
미선나무 추출물(1.0%) |
183.8 |
상기 표 5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는 TGF-β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실험예
6: B16F1 멜라닌형성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측정
제조예 1에서 수득한 미선나무 추출물의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16F1 멜라닌형성세포에 대한 멜라닌 생성 억제 정도를 보고 미백효과를 판단하였다. 본 실험예에 사용된 B16F1 멜라닌형성세포는 마우스에서 유래한 세포균주이며, 멜라닌이라는 흑색색소를 분비하는 세포이다. 이 세포의 인공배양 중에 시료를 처리하여 멜라닌 흑색색소가 감소하는 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본 실험예에 사용된 B16F1 멜라닌형성세포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B16F1 멜라닌형성세포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 측정은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B16F1 멜라닌형성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1 X 105 농도로 분주하고 세포를 부착시킨 후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농도로 시료를 처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세포를 트립신-EDTA로 떼어 낸 후 세포수를 측정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세포내 멜라닌의 정량은 로탄(Lotan: Cancer Res., 40: 3345-3350, 1980)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셀 펠릿을 PBS로 1회 세척한 후 균질화 버퍼액(50 mM 소듐 포스페이트, pH 6.8, 1% Triton X-100, 2 mM PMSF) 1ml를 첨가하여 5분간 와류하여 세포를 파쇄하였다. 원심분리 (3,000 rpm, 10분)하여 얻은 세포 여액에 1N NaOH(10% DMSO)를 첨가하여 추출된 멜라닌을 용해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로 405nm에서 멜라닌의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멜라닌을 정량하여 시료의 멜라닌 생성저해율(%)을 측정하였다. B16F1 멜라닌형성세포의 멜라닌 생성저해율(%)은 수학식 5에 의하여 계산하였으며, 그 값을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IC50 값은 멜라닌 생성을 50% 저해하는 물질의 농도이다. 미선나무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저해율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양성 대조군으로서 및 알부틴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실험하였다.
멜라닌 생성저해율 (%) = [(A-B)/A]X100
A :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웰의 멜라닌 양
B : 시료를 첨가한 웰의 멜라닌 양
미선나무 추출물의 미백 효과
시료명(%) |
멜라닌 합성저해효과(%) |
미선나무 추출물 0.5% |
35.9 |
미선나무 추출물 1.0% |
75.8 |
알부틴 (0.1%) |
58.9 |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 저해효과는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기존의 미백제인 알부틴 등에 비해 유사하거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7.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피부탄력 개선효과
본 실험예는 제조예 1에서 수득한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실시예 1)를 제조하여 사람을 대상으로 피부탄력 개선효과를 보았으며,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화장료(비교예 1)를 제조해 비교실험을 행하여 평가하였다.
비교실험에 사용된 화장료는 크림형태이고, 그 조성은 하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험자(20세-35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얼굴 오른쪽 부위에는 실시예 1의 크림을 얼굴 왼쪽 부위에는 비교예 1의 크림을 각각 1일 2회씩 연속 3개월간 도포하였다.
실험완료 후 피부탄력 개선효과는 제품 사용 전과 2개월간 사용 후에 피부탄력측정기(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하기 표 8에 Cutometer SEM 575의 △R8값으로 기재하였는데 R8값은 피부의 점탄성(viscoelasticity)의 성질을 나타낸다.
성 분 |
실시예 1 |
비교예1 |
미선나무 추출물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세테아릴알콜 스테아린산 밀납 폴리솔베이트 60 솔비탄스테아레이트 경화식물유 스쿠알란 광물유 트리옥타노인 디메치콘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글리세린 베타인 트리에타올아민 소듐히아루로네이트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
3.0 2.0 2.2 1.5 1.0 1.5 0.6 1.0 3.0 5.0 5.0 1.0 0.1 5.0 3.0 1.0 4.0 미량 잔량 |
- 2.0 2.2 1.5 1.0 1.5 0.6 1.0 3.0 5.0 5.0 1.0 0.1 5.0 3.0 1.0 4.0 미량 잔량 |
합계 |
100 |
100 |
상기 표에서 함량 단위는 중량%이다.
미선나무 추출물 함유 제품의 피부 탄력 증진효과
실험제품 |
피부탄력효과(△R8) |
실시예 1 |
0.28 |
비교예 1 |
0.12 |
상기 표 8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크림을 도포한 비교예 1에 비해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실시예 1)을 도포한 실험자의 피부 탄력개선 효과가 약 2.5배 정도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8.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보습효과
상기 실험예 7에서 제조한 화장료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보습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 화장료가 도포된 피부를 대상으로 하여 수분 보유능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22℃ 및 상대습도 45%의 항온 항습실에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화장료를 24명의 피시험자 얼굴을 반으로 나누어 한쪽에는 실시예의 제품을 다른 한쪽에는 비교예의 제품을 도포하면서(2회/1일) 4주후의 수분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측정 기기는 피부의 수분 함량에 따른 피부의 전기 용량을 측정하여 보습력을 측정하는 수분 함량 측정기 (Corneometer CM825, Courage + Khazaka사, 독일연방국)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나 있다.
미선나무 추출물 함유 제형의 수분함량 비교
사용 주수 |
실시예 1 |
비교예 1 |
0 주 |
25.6 |
24.4 |
4 주 |
38.7 |
26.2 |
4 주-0 주 |
13.1 |
1.8 |
상기 표 9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1)은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1)에 비해 피부 보습효과가 월등히 뛰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