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881B1 - 미선나무 효모 발효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선나무 효모 발효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881B1
KR101848881B1 KR1020160080724A KR20160080724A KR101848881B1 KR 101848881 B1 KR101848881 B1 KR 101848881B1 KR 1020160080724 A KR1020160080724 A KR 1020160080724A KR 20160080724 A KR20160080724 A KR 20160080724A KR 101848881 B1 KR101848881 B1 KR 101848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east
fermented
cosmetic composition
present
fermented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815A (ko
Inventor
조익현
박을용
신명걸
Original Assignee
이스트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스트힐(주) filed Critical 이스트힐(주)
Priority to KR1020160080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881B1/ko
Publication of KR20180001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선나무 효모 발효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미선나무를 효모 발효시킨 발효물을 화장료 조성물 내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발효 전보다 피부자극이 감소하며, 증가된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미선나무 효모 발효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ANTI-WRINKLE EFFECT HAVING FERMENTED ABELIOPHYLLUM DISTICHUM}
본 발명은 미선나무의 효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미선나무의 효소 발효물로 인해 우수한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은 나이가 들면서 피부노화가 일어나게 되는데 그 대표적인 증상이 주름(Wrinkle)이다. 주름은 나이를 나타내는 하나의 현상으로서, 주름이 생기는 대표적인 원인은 피부의 진피에서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콜라겐의 분해에 기인한다.
상기 콜라겐은 피부 주름과 관련된 주요 피부조직 성분이며, 지방을 제외한 피부 전체 건조 중량의 77%, 진피섬유 성분의 90%를 차지하고 있는 단백질로서, 피부의 강도, 탄력성,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부여한다.
즉, 피부의 콜라겐은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생성이 저하되며, 자외선 등의 외부 자극에 의해 콜라겐 분해 효소(Matrix Metallo Proteinase, MMP-1)의 활성도가 높아지면서 콜라겐이 쉽게 분해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MMP-1의 생성의 저해 및 활성을 억제하여 근본적으로 생성되는 콜라겐의 분해를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들이 개발되고 있다. 콜라겐 분해 효소(MMP)는 세포의 기질을 분해하는 금속단백질 분해효소들을 총칭하는 것이며, 주로 피부에서는 MMP-1, MMP-2, MMP-9 이외에 여러 가지 효소들이 작용을 하는데 콜라겐 분해와 관련되어 가장 근본적으로 작용하는 효소는 MMP-1이다.
현재,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는 레티놀, 아데노신, 클로렐라 추출물, 빈랑자 추출물 등이 알려져 있으나, 레티놀은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물질이지만 불안정하고 피부 적용 시에 자극, 발작 등의 안전성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으며, 아데노신은 수용성 물성으로 피부 침투력이 낮으며, 천연물 추출물 등은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는 제한이 있다.
한편,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는 용담목 물푸레나무과의 낙엽 관목으로 천연기념물 제364호로 지정된 한국의 자생식물이며, 충북 괴산, 전북 부안 등에서 자생한다. 미선나무는 볕이 잘 드는 산기슭에서 자라며 수고는 1m에 달하고, 가지는 끝이 처지며 자줏빛이 돌고, 어린 가지는 네모로 각이 진 것이 특징이다. 잎은 마주나고 2줄로 배열하며 달걀 모양 또는 타원 모양의 달걀형이고 길이가 3~8cm, 폭이 5~30mm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둥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길이가 2~5mm이다.
상기 미선나무의 종류는 흰색 꽃이 피는 것이 기본종이며, 분홍색 꽃이 피는 것을 분홍미선(for.lilacinum), 상아색 꽃이 피는 것을 상아미선(for. eburneum), 꽃받침이 연한 녹색인 것을 푸른미선(for. viridicalycinum), 열매 끝이 패지 않고 둥글게 피는 것을 둥근미선(var.rotundicarpum)이라고 하며, 미선나무는 대개 군집을 형성하여 자생한다.
상기한 미선나무를 이용한 화장료 연구와 관련하여, 최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4695호에서는 미선나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미선나무의 추출물만으로는 그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는 제한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0672호에서는 미선나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인 악취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안되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1225호에서는 미선나무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아토피에 효과적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소량 포함할 경우는 그 효과가 미미하고, 다량 포함할 경우는 피부자극으로 인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미선나무의 효모 발효물이 피부 세포독성 억제 효과 및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가 발효 전보다 우수하게 증가함으로써,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10-0954695 B1 KR 10-1560672 B1 KR 10-1191225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선나무의 효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피부 주름개선의 효과가 있는 효모 발효물을 효과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미선나무 효모 발효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미선나무의 효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선나무의 효모 발효물은 6.25ppm~10,000ppm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선나무의 효모 발효물은, 미선나무를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한 미선나무를 효모 발효하여 발효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쇄한 미선나무를 효모 발효하여 발효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상기 분쇄한 미선나무, 효모 및 당을 정제수에 투입하고, 이를 20~40℃에서 6~24시간 동안 발효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효모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 사카로미세스 칼스버젠시스(Saccharomyces carlsbergensis), 스키조카로마이세스 폼베(Schizosaccharomyces pombe) 및 사카로마이세스 엘립소이더스(Saccharomyces ellipsoideu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당은 아가베(agave) 시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제수 1L를 기준으로 분쇄한 미선나무 10~50g, 효모 1~10g, 당 10~50g을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미선나무의 효모 발효물은 우수한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 및 피부 세포독성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미선나무의 효모 발효물을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자연친화적이면서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 유래의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른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따른 콜라겐 생성 촉진 효능을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 3에 따른 세포독성을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미선나무의 효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미선나무의 효모 발효물을 통해 콜라겐 생성 촉진의 기능을 나타냄으로써, 주름개선, 노화방지 등의 피부개선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미선나무의 효모 발효물은 피부에 자극이 없으며, 제형화 이후 제품의 안정성 또한 우수하여 천연물 유래의 화장료 조성물로서 적합하다.
상기 미선나무 효모 발효물은 화장료 조성물 내 6.25ppm~10,000ppm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는데, 그 농도가 너무 적을 경우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가 미미하고, 그 농도가 더 높을 경우 추가적인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면서도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등의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미선나무 효모 발효액은 액체 상태일 수도 있으나, 발효 후 감압 농축,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을 통해 분말 상태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미선나무 효모 발효액의 제조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미선나무의 효모 발효물은, 미선나무를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한 미선나무를 효모 발효하여 발효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이때, 상기 미선나무의 분쇄입도는 100~500mesh일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미선나무의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바, 희색 꽃의 기본미선, 분송미선, 상아미선, 푸른미선 등을 모두 적용 가능하며, 줄기, 껍질, 뿌리, 가지, 씨앗 및 꽃 등 미선나무의 사용부위 역시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분쇄한 미선나무를 효모 발효하여 발효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정제수에 상기 분쇄된 미선나무, 효모 및 당을 투입하고, 이를 20~40℃에서 6~24시간 동안 발효하여서 된다. 이때, 상기 분쇄된 미선나무, 효모 및 당은, 정제수 1L를 기준으로 분쇄한 미선나무 10~50g, 효모 1~10g, 당 10~50g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효모로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 사카로미세스 칼스버젠시스(Saccharomyces carlsbergensis), 스키조카로마이세스 폼베(Schizosaccharomyces pombe) 및 사카로마이세스 엘립소이더스(Saccharomyces ellipsoideu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를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당으로는 단당류, 이당류, 올리고당 또는 다당류 중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아가베(agave) 시럽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발효 후 단계로서, 감압 농축,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압 농축,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는 발효물의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을 따르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통상적으로 허용되는 성분들을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는바, 예컨데 희석제, 부형제, 완충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착색제, 향료 또는 감미제 등의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미용 기능성을 부여하는 기능성 화장 성분, 보습제, 기타 첨가제를 더 첨가할 수도 있으며,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담체 성분으로는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실리콘, 락토스, 실리카, 탈크, 물, 에탄올, 벤질 알콜,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는바,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미선나무 효모 발효물의 제조)
미선나무의 줄기와 뿌리를 증류수를 이용하여 깨끗이 세척한 뒤, 분쇄기를 이용하여 100~300mesh로 분쇄하였다. 이후, 분쇄된 미선나무 3.0g을 취하고, 이에 정제수 100ml, 아가베 시럽(agave syrup) 5.0ml 및 효모 0.5g을 넣고 30℃에서 8시간 발효하여 미선나무 효모 발효물을 얻었다. 여기서, 상기 효모로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를 사용하였다.
(비교제조예 1: 미선나무 열수 추출물의 제조)
미선나무를 증류수를 이용하여 깨끗이 세척한 뒤, 분쇄기를 이용하여 100~300mesh로 분쇄하였다. 이후, 분쇄된 더위지기 15g을 취한 뒤, 이에 정제수 150ml를 넣고, 80~90℃에서 4시간 교반하여 미선나무의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1: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이용한 미선나무 효모 발효물의 성분 분석)
상기 제조예 1 및 비교제조예 1에서 얻어진 발효물 및 열수 추출물의 성분 상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특정 조건의 HPLC를 수행하고, 그 분석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HPLC 조건: 컬럼: Agilent Edipse XDB-Phenyl Column (3.5㎛), 4.6×150 ㎜, Waters; 이동상: Solvent: A(0.1% TFA), B(MeOH) : 0분 B 10%, 15분 B 50%, 30분 B 100%, 40분 B 10%; 검출기 : 자외부흡광광도계 (UV 254㎚); 유 속 : 0.7㎖/min; 시료 농도 : 1mg/ml; 컬럼 온도 : 30℃)
그 결과,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화살표로 표시된 보존 시간(retention time)에서 제조예 1의 HPLC 피크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미선나무의 발효 전, 후 성분에 뚜렷한 차이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콜라겐 생성촉진 효과)
본 발명에 따른 미선나무 효모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콜라겐 생성촉진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DMEM(in 10% FBS, 1% Penicillin/ streptomysin)을 배지로 사용하여, NIH3T3 세포를 96 well plate에 각 well 당 5.0x104 이 되도록 접종(seeding)하였다. 접종 후 24시간이 경과하면 무혈청 DMEM 배지로 바꿔주고, 상기 제조예 1 및 비교제조예 1에서 얻어진 발효물과 열수 추출물을 농도별로 배지에 처리하였다. 그리고 24시간 후, 콜라겐 생성량을 ELISA를 이용하여 555nm에서 흡광도(Optical Density)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콜라겐 생성량은 Sircol soluble collagen assay kit(Biocolor, 영국)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 배양액의 흡광도를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제조예 1의 발효물을 처리한 결과, 6.25ppm의 농도에서도 콜라겐 생성 촉진 효능이 약 30% 정도 증가하였으며, 12.5ppm과 25ppm에서는 콜라겐 생성 촉진 효능이 40% 이상 증가하였다. 반면, 비교제조예 1의 열수 추출물은 6.25ppm의 농도에서는 콜라겐의 생성이 촉진되지 않았으며, 12.5ppm, 25ppm에서도 약 10% 정도만이 촉진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1의 발효물은 비교제조예 1의 열수 추출물과 대비하였을 때, 매우 우수한 콜라겐 생성 촉진 활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세포독성)
본 발명에 따른 미선나무 효모 발효물이 세포 사멸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DMEM(in 10% FBS, 1% Penicillin/ streptomysin)을 배지로 사용하여, NIH3T3 세포를 96 well plate에 각 well 당 1.0x104 이 되도록 접종하고, 이 후 24시간이 지나면 상기 제조예 1 및 비교제조예 1에서 얻어진 발효물과 열수 추출물을 농도별로 배지에 처리하였다. 그리고 72시간 후에 MTT 시약을 각 well당 100ul씩 처리하고 37℃ CO2 incubator에서 4시간 배양한 후에 570nm에서 흡광도(Optical Density)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음성대조군으로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 배양액의 흡광도를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제조예 1의 발효물을 처리한 결과, 비교제조예 1의 열수 추출물과 대비하였을 때, 우수한 세포 생존률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미선나무의 효모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열수 추출물에 비해 세포독성이 약 28% 정도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실험예들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미선나무의 효모 발효물이 종래 미선나무의 열수 추출물과 대비하였을 때, 현저한 콜라겐 생성 촉진 활성이 있으며, 피부자극 역시 현저히 적어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더욱 안정한 사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상기한 실험예들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본 발명의 미선나무의 효모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를 조성하였다. 하기 처방예에 사용한 미선나무의 효모 발효물은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의 처방예들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다양한 처방예에 본 발명의 미선나무 효모 발효물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처방예 1: 로션)
하기 표 1과 같은 처방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처방예 1의 조성.
성분 함량(중량%)
제조예 1의 발효액 5.0
스테아린산 1.0
세틸알코올 1.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0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유동파라핀 4.0
스쿠알란 3.0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부틸렌글리콜 5.0
트리에탄올아민 0.2
정제수 잔량
100.0
(처방예 2: 크림)
하기 표 2와 같은 처방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처방예 2의 조성.
성분 함량(중량%)
제조예 1의 발효액 5.0
스테아린산 2.0
세틸알코올 2.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1.0
왁스 1.0
유동파라핀 4.0
스쿠알란 4.0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부틸렌글리콜 5.0
글리세린 3.0
트리에탄올아민 0.5
정제수 잔량
100.0
(실험예 4: 안정성 시험)
상기 처방예 1 및 2와 같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0℃, 25℃, 40℃ 각각 온도에서 제형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처방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은 60일 동안 모든 온도 조건에서 상층부의 크리밍, 응집, 침전, 변색, 빙결 여부, 응고, 곰팡이 등의 변화없이 안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화장품의 저온 및 고온의 보관조건에 따른 물성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온도 사이클(0℃→25℃→40℃, 각 8시간씩)에 따른 안정성 시험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처방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은 60일 동안 모두 상층부의 크리밍, 응집, 침점, 변색, 변취, 빙결 여부, 응고, 곰팡이 등의 변화 없이 안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후 안정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 일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미선나무의 효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미선나무의 효모 발효물은,
    미선나무를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한 미선나무, 효모 및 당을 정제수에 투입하고, 이를 20~40℃에서 6~24시간 동안 발효하여 발효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고,
    상기 효모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이며, 상기 당은 아가베(agave) 시럽이고,
    상기 정제수 1L를 기준으로 분쇄한 미선나무 10~50g, 효모 1~10g, 당 10~50g을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선나무의 효모 발효물은 6.25ppm~10,000ppm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080724A 2016-06-28 2016-06-28 미선나무 효모 발효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48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724A KR101848881B1 (ko) 2016-06-28 2016-06-28 미선나무 효모 발효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724A KR101848881B1 (ko) 2016-06-28 2016-06-28 미선나무 효모 발효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815A KR20180001815A (ko) 2018-01-05
KR101848881B1 true KR101848881B1 (ko) 2018-04-13

Family

ID=61001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724A KR101848881B1 (ko) 2016-06-28 2016-06-28 미선나무 효모 발효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8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037A (ko) 2019-08-29 2021-03-10 (주)화니핀코리아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26036A (ko) 2019-08-29 2021-03-10 (주)화니핀코리아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59073B1 (ko) * 2022-12-14 2024-04-22 코스맥스 주식회사 인간 제6형 콜라겐 유전자를 포함하는 발현 컨스트럭트로 형질전환된 균주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622B1 (ko) 2018-04-10 2020-06-05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수수새싹 추출액의 발효액 또는 이의 발효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68919B1 (ko) 2019-10-25 2020-10-22 주식회사 원드롭 정량 채취가 가능한 시료 수집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695B1 (ko) * 2008-01-24 2010-04-2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695B1 (ko) * 2008-01-24 2010-04-2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037A (ko) 2019-08-29 2021-03-10 (주)화니핀코리아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26036A (ko) 2019-08-29 2021-03-10 (주)화니핀코리아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59073B1 (ko) * 2022-12-14 2024-04-22 코스맥스 주식회사 인간 제6형 콜라겐 유전자를 포함하는 발현 컨스트럭트로 형질전환된 균주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815A (ko) 2018-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881B1 (ko) 미선나무 효모 발효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53054B1 (ko) 고로쇠 나무와 황칠 나무를 이용한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101723526B1 (ko)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54412B1 (ko) 혼합 꽃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61043B1 (ko) 낙지다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664025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6911B1 (ko) 흑목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84427B1 (ko) 곰보배추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36304A (ko) 화산송이를 이용한 식물 추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36071B1 (ko) 용암해수를 활용하여 재배한 병풀 또는 작약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KR20220154918A (ko)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7509133A (ja) アカメガシワ抽出物を含有する皺改善用化粧料組成物{CosmeticCompositionsComprisingExtractfromMallotusjaponicusforImprovingSkinWrinkle}
KR20120000134A (ko)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00345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00105B1 (ko) 낭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190102364A (ko) 항노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2331214B1 (ko)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 및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2167319B1 (ko) 용암해수로 활용하여 재배한 작물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KR101936175B1 (ko)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KR101894254B1 (ko) 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30050173A (ko) 맹그로브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01133B1 (ko) 어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5178B1 (ko) 주름제거 및 미백효과가 강화된 황칠나무 추출물 및 d-아스파라긴산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2637563B1 (ko) 북극이끼장구채 캘러스 배양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34945B1 (ko) 상동나무캘러스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