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214B1 -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 및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 및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214B1
KR102331214B1 KR1020190143481A KR20190143481A KR102331214B1 KR 102331214 B1 KR102331214 B1 KR 102331214B1 KR 1020190143481 A KR1020190143481 A KR 1020190143481A KR 20190143481 A KR20190143481 A KR 20190143481A KR 102331214 B1 KR102331214 B1 KR 102331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ging
oyster mushroom
present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6714A (ko
Inventor
최재훈
장귀영
오민지
이승은
신유수
박찬흠
최수지
김형돈
서경혜
지윤정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143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214B1/ko
Publication of KR20210056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과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활성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과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은 세포 독성을 갖지 않으며 세포노화 저해 효과가 뛰어나 화장료, 의약품 등에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 및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Pleurotus citrinopileatus and Broussonetia kazinoki branch for anti-aging}
본 발명은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과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활성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노화(aging)는 누구라도 피할 수 없는 생리현상으로, 인간의 신체구조와 기능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피할 수 없는 변화가 나타나게 되는데 이를 노화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자연 피부노화 현상은 햇빛에 노출되지 않은 피부에서 관찰되는 피부노화 현상으로 내인성 피부노화(intrinsic skin aging, chronological skin aging)라고도 부른다. 내인성 노화는 피부에 존재하는 세포 내 에서 세포의 대사과정 중에 생성되는 reactive oxygen species(ROS)등에 의해서 발생하고, 외인성 노화(extrinsic aging)는 ultraviolet(UV), 공해와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피부는 크게 표피, 진피, 피하지방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진피는 표피와 피하지방층 사이에 있는 결합 조직으로 피부에 유연성, 탄력성 및 장력을 제공하며 표피를 구조적으로 지지한다. 진피층의 섬유아세포(fibroblast)는 진피층의 섬유상 단백질인 콜라겐(collagen)과 엘라스틴(elastin)의 발현을 담당하고 있는데,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진피층에 존재하는 섬유아세포의 작용과 그 수가 감소하여 콜라겐과 엘라스틴 등의 구조 단백질의 합성이 감소하고, 피부 세포 내 수분이 손실되며, 각질층의 구조가 변화된다.
자연적으로 진행되는 내인성 노화에 따른 세포 활성의 감소 및 미세염증에 의해 기질물질의 생합성이 감소되고, 여러 가지 유해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가 및 태양 광선에 의한 활성 산소 종의 증가와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분해 및 변성이 가속화되어 피부 기질이 파괴되고 얇아지면서 피부 노화의 제반 증상들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노화의 현상들을 방지하고, 개선시킬 수 있는 활성성분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한편, 노랑느타리버섯의 북한명은 노란버섯이며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활엽수의 쓰러진 나무 또는 그루터기 등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자실체는 한 그루에서 집단으로 발생하며 전체가 지름 15㎝, 높이 10㎝에 이른다. 버섯갓은 지름 2~9㎝로 처음에 호빵 모양이다가 나중에 깔때기 모양으로 변한다. 갓 표면은 축축하고 밋밋하며 노란색 또는 연한 노란색으로 가운데 또는 가장자리에 흰색 섬유처럼 생긴 솜털 모양의 비늘조각이 붙어 있다. 살은 흰색이며 밀가루 냄새가 난다. 주름살은 내린주름살로 처음에 흰색이다가 노란색으로 변한다.
닥나무는 저상(楮桑)이라고도 하며 아시아가 원산지이고 산기슭의 양지쪽이나 밭둑에서 자란다. 높이는 3m에 달하고 작은 가지에 짧은 털이 있으나 곧 없어진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가 5∼20cm이며 달걀 모양 또는 긴 달걀 모양이고 끝 부분이 길고 뾰족하며 밑 부분은 둥글다. 잎 가장자리는 톱니가 있고 2∼3개로 깊게 패어 들어갔다. 앞면은 거칠고 뒷면에는 짧은 털이 있으나 곧 없어진다. 잎자루는 1∼2cm이고 꼬부라진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꽃은 암수한그루이고 봄에 잎과 같이 핀다. 수꽃이삭은 길이 1.5cm의 타원 모양이고 어린 가지 밑 부분에 달린다. 수꽃의 화피 조각과 수술은 각각 4개이다. 암꽃이삭은 둥글고 가지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암꽃의 화피는 통 모양이고 끝이 2∼4개로 갈라진다. 씨방에 실 같은 암술대가 있다. 열매는 핵과이고 둥글며 6~7월에 붉은빛으로 익는다. 한방에서 열매를 양기 부족·수종의 치료제로 쓴다. 어린잎은 식용한다.
본 발명자들은 독성이 없으면서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 소재의 항노화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연구한 결과 상기 노랑느타리버섯, 닥나무가지 혼합 추출물이 항노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여 본원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랑느타리버섯(Pleurotus citrinopileatus) 추출물 및 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노랑느타리버섯(Pleurotus citrinopileatus) 추출물 및 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가지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노랑느타리버섯(Pleurotus citrinopileatus) 추출물 및 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과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은 항노화 효과가 우수하므로 화장료, 의약품 등에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과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의 피부섬유세포(HDF)에서의 세포 독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과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의 혼합 비율별 피부섬유세포(HDF)에서의 세포 독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과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의 피부섬유세포(HDF)에 대한 세포노화 저해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과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의 혼합 비율별 피부섬유세포(HDF)에 대한 세포노화 저해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구현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노랑느타리버섯(Pleurotus citrinopileatus) 추출물 및 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 및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은 피부섬유세포에 대한 세포노화 저해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조성물(composition)”은 본 발명의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과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에 희석제 또는 담체와 같은 다른 화학 성분들을 혼합한 혼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담체(vehicle)”는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디메틸술폭사이드(DMSO)는 생물체의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많은 유기 화합물들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는 통상 사용되는 담체이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희석제(diluent)”는 대상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형태를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화합물을 용해시키게 되는 물에서 희석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버퍼 용액에 용해되어 있는 염은 당해 분야에서 희석제로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버퍼 용액은 포스페이트 버퍼 식염수이며, 이는 인간 용액의 염상태를 모방하고 있기 때문이다. 버퍼 염은 낮은 농도에서 용액의 pH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버퍼 희석제가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을 변형하는 일은 드물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extract)"은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과 닥나무 가지 추출물 및 이의 혼합 추출물을 적절한 추출용매로 추출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상기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과 닥나무 가지 추출물 및 이의 혼합 추출물은 통상의 기술분야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 분리 및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노랑느타리버섯 및 닥나무 가지를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추출하거나 노랑느타리버섯 및 닥나무 가지를 각각 추출한 후 이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노랑느타리버섯 및 닥나무 가지를 각각 추출한 후 이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 추출물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 및 닥나무 가지 추출물은 물, 메탄올, 알코올,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되고, 바람직하게는 물이나, 노랑느타리버섯 및 닥나무 가지를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서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각각의 생약 또는 생약 추출물은 1~7 : 7~1의 중량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과 닥나무 가지 추출물을 3 : 5의 중량비로 사용하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피부외용제의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피부 외용제 제형의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에센스,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클렌저, 젤 또는 피부 점착타입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들 수 있고, 다른 바람직한 형태로는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치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 투여형의 제형을 들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 성분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 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또는 바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적용 또는 전신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은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체, 방향제, 방향제 담체, 단백질, 용해화제, 당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랑느타리버섯(Pleurotus citrinopileatus) 추출물 및 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 및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노랑느타리버섯, 닥나무 가지 혼합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 및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 및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 중의 상기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유지를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과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 및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라이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 및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및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실험예 1: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 및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 제조
노랑느타리버섯(Pleurotus citrinopileatus, 품종 장다리)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에서 제공 받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노랑느타리버섯을 동결건조 한 후 분쇄하여 상온에서 10배의 증류수로 24시간 침지하여 추출 하였다. 추출 후 여과하고 동결건조 하였다. 상기 건조된 노랑느타리버섯 20g을 추출하여 추출물 12.77g을 수득하였다.
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가지의 추출물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추출물 은행에서 제공 받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닥나무 가지 물 추출물은 하기와 같은 제조과정을 거쳐 수득하였다. 지리산 쌍곡에서 닥나무의 가지를 채취하여 58℃에서 3일간 건조하였다. 상기 건조된 닥나무 가지 66.19g을 잘게 분쇄한 후 상온에서 10배의 증류수에 24시간 침지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 후 동결건조하여 추출물 5.51 g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 및 닥나무 가지 추출물은 50 mg/ml 농도로 증류수에 녹여 저장용액을 제조 하였으며, 각각의 추출물 저장용액을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2: 피부섬유세포 HDF 세포주 배양
피부섬유세포(Human dermal fibroblast, HDF) 세포는 항생제(페니실라민 100 unit/ml, 스트렙토마이신 100 g/ml)가 포함된 섬유 모세포 성장배지(fibroblast growth medium)에서 온도 37℃, 5% CO2 가습공기 조건으로 배양 하였다. 이후 세포의 밀도가 80 ~ 90 %에 도달했을 때 트립신 처리 하여 계대배양 하였다.
실험예 3: 독소루비신(doxorubicin) 처리에 의한 세포 노화 유도
피부섬유세포를 직경 100mm 세포배양접시에 1.5 x 105 세포수로 계대 하였다. 37℃, 5 % CO2가 유지되는 배양기에서 3일 동안 배양 하였다. 세포 배지를 제거하고 세척 한 다음 0.5 μM 독소루비신을 4시간 동안 처리 하여 세포 노화를 유도하였다. 독소루비신으로 세포노화가 유도된 피부섬유세포는 실험예 1의 추출물과 함께 4 일 동안 배양 한 후 세포 노화를 측정 하였다.
실시예 1: 세포 독성 평가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과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의 세포 독성은 MTT 분석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2 및 3에 의해 배양 및 세포 노화를 유도한 피부섬유세포를 상기 실험예 1의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과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3일간 처리하였다. 이후 상기 피부섬유세포에 0.1 % MTT 용액을 2 시간 동안 처리 하고, 배지 제거 후 MTT에 의해 세포 내에 생성 된 포마잔 결정(formazan crystal)을 DMSO(Dimethyl sulfoxide) 100 μL로 용해하였다. 이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550 nm에서의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 하였다.
그 결과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랑느타리버섯 단독 처리군, 닥나무 가지 단독 처리군 및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과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 처리군에서 모두 독소루비신 처리군(Doxo) 보다 세포 생존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노랑느타리 단독 추출물, 닥나무 가지 단독 추출물 및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과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은 세포 독성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과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의 세포노화 저해 효과 측정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과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의 세포노화 저해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과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상기 실험예 3과 같이 세포노화를 유도한 피부섬유세포에 3일간 처리하여 SA-β-Gal법으로 세포노화를 측정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독소루비신을 4시간 처리한 피부섬유세포에 추출물을 농도별, 비율별로 처리하고, 양성 대조군으로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e) 20 μM을 처리 한 후 3일 동안 37℃, 5%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배양 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3.7% 파라포름알데하이드(paraformaldehyde)로 세포를 1분간 고정한 후, 고정액을 제거 하였다. SA-β-gal 염색 용액(40 mM citric acid/phosphate [pH 5.8], 5 mM potassium ferrocyanide, 5 mM potassium ferricyanide, 150 mM NaCl, 2 mM MgCl2 , X-gal 1 mg/ml)을 처리 한 후 알루미늄 호일로 차광 하고 37℃에서 1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인산완충용액 (PBS)로 2번 세척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파란색으로 염색된 세포를 관찰 하였다.
SA-β-gal 염색으로 측정한 세포노화 지수는 사람 섬유아 세포 중에서 세포질에 파란색으로 염색된 세포 수를 측정하여 백분율 (%)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과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의 혼합비가 1:1인 경우 세포노화 저해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 200 μg/mL 단독 처리(Y200), 닥나무 가지 추출물 200 μg/mL 단독 처리(P200)군에 비하여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 200 μg/mL와 닥나무 가지 추출물 200 μg/mL의 혼합물(Y200 P200)을 처리 하였을 때 세포노화 저해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노랑느타리버섯, 닥나무 가지 혼합 추출물의 혼합 비율별 피부세포에 대한 세포노화 저해 효과 측정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과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의 혼합비율별 세포노화 저해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과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상기 실험예 3과 같이 세포노화를 유도한 피부섬유세포에 3일간 처리하여 SA-β-Gal법으로 세포노화를 측정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독소루비신을 4시간 처리한 피부섬유세포에 추출물을 농도별, 비율별로 처리하고, 양성 대조군으로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e) 20 μM을 처리 하였다. 이후 3일 동안 37℃, 5%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배양 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3.7% 파라포름알데하이드(paraformaldehyde)로 세포를 1분간 고정한 후, 고정액을 제거 하였다. SA-β-gal 염색 용액(40 mM citric acid/phosphate [pH 5.8], 5 mM potassium ferrocyanide, 5 mM potassium ferricyanide, 150 mM NaCl, 2 mM MgCl2 , X-gal 1 mg/ml)을 처리 한 후 알루미늄 호일로 차광 하고 37℃에서 1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인산완충용액 (PBS)로 2번 세척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파란색으로 염색된 세포를 관찰 하였다.
SA-β-gal 염색으로 측정한 세포노화 지수는 사람 섬유아 세포 중에서 세포질에 파란색으로 염색된 세포 수를 측정하여 백분율 (%)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 75 μg/mL와 닥나무 가지 추출물 125 μg/mL의 혼합 추출물(Y75 P125)을 처리한 경우 세포 노화 저해효과가 우수하여 노랑느타리버섯과 닥나무 가지 혼합 추출물의 혼합비가 3 : 5인 경우 세포 노화 저해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기 혼합비 외에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과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비가 1:3, 3:5, 5:3, 3:1 및 7:1 인 처리군에서도 우수한 세포 노화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본 발명의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과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은 각각의 단독 추출물보다 뛰어난 세포 노화 저해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5)

  1. 노랑느타리버섯(Pleurotus citrinopileatus) 추출물 및 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혼합 추출물의 중량에 따른 혼합비는 3:5, 5:3, 3:1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세포 노화 저해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노랑느타리버섯(Pleurotus citrinopileatus) 추출물 및 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로서, 상기 혼합 추출물의 중량에 따른 혼합비는 3:5, 5:3, 3:1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20190143481A 2019-11-11 2019-11-11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 및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2331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481A KR102331214B1 (ko) 2019-11-11 2019-11-11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 및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481A KR102331214B1 (ko) 2019-11-11 2019-11-11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 및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714A KR20210056714A (ko) 2021-05-20
KR102331214B1 true KR102331214B1 (ko) 2021-12-07

Family

ID=76143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481A KR102331214B1 (ko) 2019-11-11 2019-11-11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 및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2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69526B (zh) * 2023-06-06 2023-09-01 北京衡美金叶营养健康科技有限公司 延缓机体衰老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6863A (ja) * 2007-11-27 2009-06-11 Koei Kogyo Kk キノコから抽出したエルゴチオネインを高含有する組成物
JP2013530219A (ja) 2010-07-02 2013-07-25 株式會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コウゾ抽出物を含有する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860B1 (ko) * 2010-07-13 2018-02-21 (주)아모레퍼시픽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9560A (ko) * 2014-04-15 2015-10-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성 식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6863A (ja) * 2007-11-27 2009-06-11 Koei Kogyo Kk キノコから抽出したエルゴチオネインを高含有する組成物
JP2013530219A (ja) 2010-07-02 2013-07-25 株式會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コウゾ抽出物を含有する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714A (ko)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054B1 (ko) 고로쇠 나무와 황칠 나무를 이용한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101828584B1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1861043B1 (ko) 낙지다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200004134A (ko) 포도 캘러스 배양액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US20140377201A1 (en) Skin-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from trees including paper mulberry
KR102331214B1 (ko)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 및 닥나무 가지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1420211B1 (ko)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62093B1 (ko) 뽕잎피나무, 소태나무, 신갈나무, 및 이질풀의 추출물을 함유하여 항산화 및 미백 복합기능성을 갖는 조성물
KR101203504B1 (ko) 비단나무 추출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077708B1 (ko)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백복령 발효 추출물, 율무 발효 추출물 및 초석잠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512811B1 (ko) 붉은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526287B1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CN113631227B (zh) 抗老化剂、抗氧化剂、抗炎剂、及美白剂、以及化妆品
KR102471009B1 (ko) 왕자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62805B1 (ko) 비타민 강화 미강 추출물과 이를 이용한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36969A (ko) 당류를 이용한 천연 추출물 제조 방법
KR20210134589A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20141191A (ko) 닥나무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보습, 피부 장벽 강화, 피부 재생 촉진 및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256180B1 (ko) 수세미오이 종자의 박막 외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95781B1 (ko) 층꽃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406981B1 (ko) 항산화 및 항염 활성을 가지는 개구리발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462080B1 (ko) 하스카프를 포함하는 천연물 혼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93811B1 (ko) 미생물 발효액을 포함하고 피부 미백활성이 개선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434300B1 (ko) 새머루 또는 낙지다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326086B1 (ko) 닥나무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개선, 보습, 및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