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319B1 - 용암해수로 활용하여 재배한 작물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용암해수로 활용하여 재배한 작물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319B1
KR102167319B1 KR1020190106737A KR20190106737A KR102167319B1 KR 102167319 B1 KR102167319 B1 KR 102167319B1 KR 1020190106737 A KR1020190106737 A KR 1020190106737A KR 20190106737 A KR20190106737 A KR 20190106737A KR 102167319 B1 KR102167319 B1 KR 102167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lava seawater
composition
desalted lava
gr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현
최호민
이종택
조아름
조미래
김지영
김홍석
전민철
이경록
김경민
김정환
김수영
신소영
장원국
나오수
고광효
김미나
구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래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래,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래
Priority to KR1020190106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질형성세포 HaCaT 세포에서의 히아루론산 생성 촉진 활성을 가지는, 탈염 용암해수로 재배한 작약 추출물 등을 이용한 피부 보습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용암해수로 활용하여 재배한 작물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Trouble Using an Extract of Coprs Cultured with Magma Seawater, etc.}
본 발명은 용암해수로 활용하여 재배한 작물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탈염 용암해수로 재배한 작약(Paeonia lactiflora) 등의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용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약 16%를 차지하고 있으며, 외부환경과 직접적으로 접해 있어 온도, 습도, 자외선 등과 같은 외부 유해인자들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피부는 각질 아래 표피, 진피, 피하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피는 주로 케라틴으로 되어 있는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s), 멜라닌을 생성하고 분비하는 멜라닌 세포(melanocytes), 랑게르한스 세포(langerhans cells) 등의 면역세포 그리고 지각관련세포 (Merkel's copuscles)로 구성되는 얇은 보호층으로 외부자극과 병원균의 침입을 방지하고 체온조절, 수분과 지질 성분 유지 작용을 한다.
진피는 표피 아래에 있는 결합조직으로 대부분 세포외 간질(extracellular matrix)이라 불리는 거대 분자의 망상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세포외 간질은 섬유아세포에서 만들어지며,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섬유상 단백질과 히알루론산 등의 다당체로 이루어져 있다.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는 주로 각질형성세포와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히알루론산 합성효소(hyaluronic acid synthase)에 의해 합성되어 세포외기질에 축적되는 분자량이 20-40만에 이르는 다당체로 수분 보유능이 매우 강하여 표피의 수분 증발을 막는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 알려진 HAS 유전자는 HAS-1, HAS-2, HAS-3의 세 가지 형태가 보고되었으며, 이들의 발현저하로 인한 보습장벽의 결함은 표피의 위축, 주름형성, 피부 수분량 감소, 탄력성 저하 등 피부노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J Eur Acad Dermatol Venereol. 19, 308-318, 2005; Int J Dermatol. 33, 119-122, 1994; Kor J Herbology. 22,213-218, 2007; Skin Pharmacol Appl Skin Physiol. 12, 276-283; 1999).
본 발명은 탈염 용암해수로 재배한 작약 추출물 등의 수분 보유능이 강한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 활성 등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탈염 용암해수로 재배한 작약 추출물 등을 이용한 피부 보습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탈염 용암해수를 사용하여 재배한 작약, 삼백초(Saururus chinensis) 및 배초향(Agastache rugosa) 추출물이 각질형성세포 HaCaT 세포에 처리될 경우 뚜렷하게 히아루론산 생성을 촉진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탈염 용암해수로 재배한 작약 추출물 등이 각질 세포외막 형성을 촉진하며, 또한 여드름균인 P.acne 또는 LPS(lipopolysaccharide)에 의해 유발된 염증 반응을 억제함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여드름균인 P.acne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각질 세포외막은 각질세포(corneocyte) 등과 더불어 각질층을 구성하여 피부 장벽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구체적으로 피부를 통한 수분과 전해질의 손실을 억제함으로써 피부가 정상적인 생물학적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유해한 인자가 피부를 통해 침범하는 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Kor. J. Aesthet. Cosmetol., Vol. 13 No. 6, 713-720, December 2015).
본 발명은 전술한 바의 실험 결과를 고려할 때, 일 측면에 있어서, 탈염 용암해수를 사용하여 재배한 작약 추출물, 탈염 용암해수를 사용하여 재배한 삼백초 추출물, 탈염 용암해수를 사용하여 재배한 배초향 추출물, 또는 탈염 용암해수로 재배한 병풀(Centella asiatica)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고, 다른 측면에 있어서, 탈염 용암해수를 사용하여 재배한 작약 추출물 등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장벽 기능 강화용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탈염 용암해수를 사용하여 재배한 작약 추출물 등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염증 반응 억제용 또는 염증성 피부 자극 억제용)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탈염 용암해수를 사용하여 재배한 작약"은 재배시 탈염 용암해수를 공급하고 노지재배에 의하여 얻어진 작약을 말한다. 탈염 용암해수의 공급 주기는 1일 내지 5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일 내지 3일일 수 있으며, 또 재배 기간은 파종 시기 기준 또는 파종 후 1~2일 성장한 모종의 이식 시기 기준 15일 내지 30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일 내지 30일일 수 있다. 탈염 용암해수의 공급 방식은 살수 방식 또는 분무 방식으로 공급될 수 있다. 재배시 적정한 비료를 탈염 용암해수와 함께 공급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탈염 용암해수를 사용하여 재배한 삼백초"는 재배시 탈염 용암해수를 공급하고 수경 재배에 의하여 얻어진 삼백초를 말한다. 탈염 용암해수는 재배기간 중 주기적으로 식물체에 살수 또는 분무 방식으로 공급되고, 교체된다. 탈염 용암해수의 공급·교체 주기 2시간 내지 8시간 범위일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탈염 용암해수를 사용하여 재배한 배초향"이나 "탈염 용암해수를 사용하여 재배한 병풀"은 상기 탈염 용암해수를 사용하여 재배한 작약와 마찬가지로 재배시 탈염 용암해수를 공급하고 노지재배에 의하여 얻어진 것을 말한다. 탈염 용암해수의 공급 주기, 재배 기간, 탈염 용암해수의 공급 방식은 상기 탈염 용암해수를 사용하여 재배한 작약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또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이란 추출 대상을 물(열수 포함),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침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열수(특히 50~90℃) 추출물, 물과 에탄올의 혼합용매 추출물 특히 70% 에탄올 추출물을 말한다. 추출물은 추출 원액,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의 방식으로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물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용암해수"는 발명의 명칭이 "미네랄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미네랄 조성물"인 한국 특허 제0853244호(출원번호: 제10-2008-0027861호)에서 정의되고 설명된 바의 "제주도 동부지역에 부존하고 있는 염지하수"와 같은 의미이다. 구체적으로 "제주도 동부지역"은 행정구역상 제주도 구좌읍, 성산읍 및 표선면을 의미하며, "염지하수"는 일정량 이상 염분이 함유된 지하수를 의미하는데, 구체적으로는 고기원 등의 논문(고기원 등, 제주도 동부지역의 수문지질에 관한 연구(Ⅱ), 2003, 경원대학교;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간주된다)에서 사용한 염분 농도에 의거 제주도 지하수를 분류한 기준에 따라 저염지하수(전기전도도가 1,700㎲/cm ~17,350㎲/cm)와 염수지하수(전기전도도가 17,350㎲/cm 이상)를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전기전도도가 17,350 ㎲/cm 이상 또는 염의 농도가 30‰(permilliage) 이상(통상 해수의 염분 농도가 32 내지 35‰임)인 염수지하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탈염 용암해수"는 용암해수를 탈염시켜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탈염 용암해수는 염분이 제거된 미네랄수로 이해될 수 있다. 용암해수의 탈염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기술을 적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그러한 기술로서는 역삼투압법, 이온교환수지법, 전기투석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을 보습 활성, 피부 장벽 기능 강화 활성 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15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그 적용 대상인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사람에게 의료 또는 피부 전문가 등의 제언에 의한 투여 기간 동안 본 발명의 조성물이 투여될 때, 보습 효과, 피부 장벽 기능 강화 활성 등 의도한 피부학적·약리학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피부 주름 개선 활성, 피부 과민 반응 억제 활성, 피부 보호 활성(피부 미백,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 피부 보습 등) 등 유사활성의 부가를 통한 복용이나 섭취, 사용의 편리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당업계에서 이미 안전성이 검증되고 해당 활성을 갖는 것으로 공지된 임의의 화합물이나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 또는 추출물에는 각국 약전(한국에서는 "대한민국약전"), 각국 건강기능식품공전(한국에서는 식약처 고시인 "건강기능식품 기준 및 규격"임), 각국 기능성화장품공전(한국에서는 식약처 고시인 "기능성화장품 기준 및 시험방법") 등의 공정서에 실려 있는 화합물 또는 추출물, 의약품의 제조·판매를 규율하는 각국의 법률(한국에서는 "약사법"임)에 따라 품목 허가를 받은 화합물 또는 추출물, 건강기능식품의 제조·판매를 규율하는 각국 법률(한국에서는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임)에 따라 기능성이 인정된 화합물 또는 추출물,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판매를 규율하는 각국 법률(한국에서는 「화장품법」임)에 따라 기능성이 인정된 화합물 또는 추출물이 포함된다. 예컨대 피부 미백 성분으로서는 알부틴, 나이아신아마이드,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알파-비사보롤, 유용성 감초 추출물(Oil Soluble Licorice(Glycyrrhiza) Extract)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피부 주름 개선 성분으로서는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아데노신, 폴리에톡실레이티드아마이드 등을 들 수 있고, 자외선 보호 성분으로서는 드로메트리졸,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디갈로일트리올리에이트, 디메치코디에칠벤잘말로네이트,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소나무 껍질 추출물 등의 복합물, 포스파티딜세린, 핑거루트 추출 분말, 홍삼과 산수유 등의 복합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보습 성분으로서는 AP 콜라겐 효소 분해 펩타이드, Collactive 콜라겐 펩타이드, N-아세틸글루코사민, 곤약 감자 추출물, 민들레 등의 복합 추출물, 쌀겨 추출물, 옥수수 배아 추출물,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 지초 추출 분말, 포스파티딜세린, 히알루론산 등을 들 수 있으며, '과민피부상태 개선' 기능성 성분으로서는 L. sakei Probio 65, 감마리놀렌산 함유 유지, 과채 유래 유산균인 L.plantarum CJLP133, 프로바이오틱스 ATP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 또는 천연 추출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그 유효성분과 함께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어떠한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차, 쥬스, 탄산음료, 이온음료 등의 음료류, 우유, 요구르트 등의 가공 유류, 껌류, 떡, 한과, 빵, 과자, 면 등의 식품류, 정제, 캡슐, 환, 과립, 액상, 분말,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바 등의 건강기능식품 제제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법률상·기능상의 구분에 있어서 제조·유통 시점의 시행 법규에 부합하는 한 임의의 제품 구분을 띨 수 있다. 예컨대 한국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이거나, 한국 「식품위생법」의 식품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의 기준 및 규격」)상 각 식품유형에 따른 과자류, 두류, 다류, 음료류, 특수용도식품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첨가물이 포함될 수 있다. 식품첨가물은 일반적으로 식품을 제조, 가공 또는 보존함에 있어 식품에 첨가되어 혼합되거나 침윤되는 물질로서 이해될 수 있는데, 식품과 함께 매일 그리고 장기간 섭취되므로 그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식품의 제조·유통을 규율하는 각국 법률(한국에서는 「식품위생법」임)에 따른 식품첨가물공전에는 안전성이 보장된 식품첨가물이 성분 면에서 또는 기능 면에서 한정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한국 식품첨가물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첨가물 기준 및 규격」)에서는 식품첨가물이 성분 면에서 화학적 합성품, 천연 첨가물 및 혼합 제제류로 구분되어 규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식품첨가물은 기능 면에 있어서는 감미제, 풍미제,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으로 구분된다.
감미제는 식품에 적당한 단맛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 모두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또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으며,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전술한 바의 식품첨가물 이외에, 기능성과 영양성을 보충, 보강할 목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되고 식품첨가물로서 안정성이 보장된 생리활성 물질이나 미네랄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생리활성 물질로서는 녹차 등에 포함된 카테킨류, 비타민 B1, 비타민 C, 비타민 E, 비타민 B12 등의 비타민류, 토코페롤, 디벤조일티아민 등을 들 수 있으며, 미네랄류로서는 구연산 칼슘 등의 칼슘 제제,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등의 마그네슘 제제, 구연산철 등의 철 제제, 염화 크롬, 요오드칼륨, 셀레늄, 게르마늄, 바나듐, 아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전술한 바의 식품첨가물이 제품 유형에 따라 그 첨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적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기타의 식품첨가물과 관련하여서는 각국 식품공전이나 식품첨가물 공전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으로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용 제형 또는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투여 경로는 국소 경로, 경구 경로, 정맥 내 경로, 근육 내 경로, 및 점막 조직을 통한 직접 흡수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경로일 수 있으며, 두 가지 이상의 경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두 가지 이상 경로의 조합의 예는 투여 경로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제형의 약물이 조합된 경우로서 예컨대 1차로 어느 한 약물은 정맥 내 경로로 투여하고 2차로 다른 약물은 국소 경로로 투여하는 경우이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투여 경로나 제형에 따라 당업계에 주지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대한민국약전"을 포함한 각국의 약전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현탁액, 웨이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적합한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덱스트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등의 당류,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등의 전분류,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맥아, 젤라틴, 탈크, 폴리올, 식물성유, 에탄올, 그리세롤 등을 들 수 있다. 제제화활 경우 필요에 따라적절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착색제, 희석제 등을 포함시킬 수 있다. 적절한 결합제로서는 전분,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페리스트, 젤라틴, 메틸셀룰로스,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글루코스, 옥수수 감미제, 소듐 알지네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왁스 등을 들 수 있고, 윤활제로서는 올레산나트륨, 스테아르산나트륨,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벤조산나트륨, 초산나트륨, 염화나트륨, 실리카, 탈쿰, 스테아르산, 그것의 마그네슘염과 칼슘염, 폴리데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으며, 붕해제로서는 전분, 메틸 셀룰로스, 아가(agar), 벤토나이트, 잔탄 검, 전분, 알긴산 또는 그것의 소듐 염 등을 들 수 있다. 또 희석제로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소비톨, 셀룰로스, 글라이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주사제, 경피 투여제, 비강 흡입제 및 좌제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주사제로 제제화할 경우 적합한 담체로서는 수성 등장 용액 또는 현탁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나 주사용 멸균수, 5% 덱스트로스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로 제제화할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비강 흡입제의 경우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등의 적합한 추진제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좌제로 제제화할 경우 그 담체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폴리에틸렌글리콜류, 카카오지, 라우린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제화와 관련하여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 1995)]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문헌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간주 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성별, 연령, 환자의 중증도, 투여 경로에 따라 1일 0.001mg/kg ~ 10g/kg 범위, 바람직하게는 0.001mg/kg ~ 1g/kg 범위일 수 있다. 투여는 1일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파악될 경우에도 그 화장료 조성물은 그 용도상, 법률상 임의의 제품 구분을 띨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피부 트러블 개선, 아토피 피부염 개선 등의 용도를 가진 기능성 화장품, 비기능성 일반 화장품 등일 수 있다. 제품 형태에 있어서도 임의의 제품 형태를 띨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등의 제품 형태를 띨 수 있다. 구체적인 제품 형태에 있어서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계면활성제, 비타민, 색소 및 항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는데, 구체적으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활성을 나타내는 그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행하여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탈염 용암해수로 재배한 작약 추출물 등을 이용한 피부 보습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또는 화장품 등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6은 Raw264.7 세포 및 HaCaT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평가 결과이다.
도 17 및 도 18은 NO 생성 평가 결과이다.
도 19 내지 도 22는 IL-8 생성 평가 결과이다.
도 23 내지 도 26은 TNF-α의 생성 평가 결과이다.
도 27은 각질 세포외막 형성능 평가 결과이다.
도 28 내지 도 31은 히아루론산 생성 평가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담수 또는 용암해수로 재배한 병풀, 삼백초, 작약 및 배초향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 담수 또는 탈염 용암해수로 재배한 병풀 추출물의 제조
병풀 모종(조이플랜트, 모종 길이 100~120 mm)을 배합상토(농업회사법인(주)농우바이오)가 위치한 재배대에 이식한 후, 빠른 성장을 위해 비닐 멀칭하고 차양막을 설치한 후 노지에서 2일 당 1회, 담수(수돗물)가 함유된 액상비료 또는 탈염 용암해수(경도 100)가 함유된 액상 비료를 살포하며 25일 동안 재배하였다. 여기서 액상 비료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양액 비료 A제와 B제((주)코씰, 종합한방비료) 혼합액의 희석액(50L 기준 A제 50g과 B제 50g 함유)과 탈염 용암해수(경도 100) 또는 담수를 동량으로 혼합하여 얻었다. 아래 표 1의 성분은 (주)코씰의 종합한방비료 제품상의 성분 표시이다.
양액비료 A제 및 B제 성분 조성
양액비료 A제 질소
전량
인산 가리 붕소 망간 아연 칼슘
13% 0% 21% 0.2% 0.07% 0.007% 14%
B제 질소
전량
인산 가리 고토
8.5% 9.5% 22% 5.5% 0.35%
재배한 병풀(전초)의 건조 분말에 20배 중량의 70% 에탄올을 가하고 24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지로 여과한 후 여과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으로 담수 재배(경도 0으로 실험 결과에 표시됨) 70% 에탄올 추출물과 탈염 용암해수 재배(경도 100으로 실험 결과에 표시됨) 70%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또 재배한 병풀(전초)의 건조 분말에 20배 중량의 물을 가하고 4시간 동안 60℃ 추출하고 여과지로 여과한 후 여과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으로 담수 재배 열수 추출물과 탈염 용암해수 재배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담수 또는 탈염 용암해수로 재배한 삼백초 추출물의 제조
삼백초 모종(자연햇살농원, 모종 길이 220~250 mm)을 분무식 수경재배대에 이식한 후, 적정 조도와 습도(70%), 온도(20℃)를 유지하며 4시간 당 1회 탈염 용암해수가 함유된 액상 비료 또는 담수(수돗물)가 함유된 액상비료를 분무하여 20일 동안 수경재배하였다. 여기서 사용한 액상 비료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액상 비료이다.
재배 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담수 재배 70% 에탄올 추출물과 탈염 용암해수 재배 70% 에탄올 추출물 그리고 담수 재배 열수 추출물과 탈염 용암해수 재배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담수 또는 탈염 용암해수로 재배한 작약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담수 또는 용암해수를 이용하여 작약을 재배하고 담수 재배 70% 에탄올 추출물과 탈염 용암해수 재배 70% 에탄올 추출물 그리고 담수 재배 열수 추출물과 탈염 용암해수 재배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작약 모종은 금산묘목농원으로부터 구입하였고 길이 70~90 mm인 모종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4> 담수 또는 탈염 용암해수로 재배한 배초향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담수 또는 용암해수를 이용하여 배초향을 재배하고 담수 재배 70% 에탄올 추출물과 탈염 용암해수 재배 70% 에탄올 추출물 그리고 담수 재배 열수 추출물과 탈염 용암해수 재배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작약 모종은 금산묘목농원으로부터 구입하였고 길이 60~80 mm인 모종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세포독성, 항염 활성, 피부 장벽 강화 및 피부 보습 활성 실험
1. 세포독성 실험
96 well plate에 HaCaT을 1.5×104cells/well, Raw264.7 세포를 6×104cells/well씩 분주한 후 각 세포의 배양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버리고 PBS로 세척한 다음 FBS를 포함하지 않은 DMEM배지를 사용하여 세포를 기아상태로 만들어 주었다. 다음 날 일정 농도의 시료를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지에 10배 희석시킨 WST-1 시약을 각 well에 100ul를 넣고 2시간동안 배양하였다. ELISA reader로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세포 생존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Cell viability (%)= (시료처리군/대조군)×100
각 추출물을 DMSO(Dimethyl sulfoxide)에 용해시킨 후, 70% 에탄올 추출물은 최고 농도를 1600ug/ml로, 열수 추출물은 800ug/ml로 하여 Raw264.7 세포, HaCaT 세포에서의 세포독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70% 에탄올 추출물의 Raw264.7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결과를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었고, 열수 추출물의 세포독성 결과를 도 5 내지 8에 나타내었으며, 70% 에탄올 추출물의 HaCaT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결과를 도 9 내지 도 12, 열수 추출물의 HaCaT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결과를 도 13 내지 도 16에 나타내었다.
70% 에탄올 추출물은 Raw264.7 세포에서 병풀은 50ug/ml, 삼백초는 6.25ug/ml, 작약은 3.125ug/ml, 배초향은 50ug/ml에서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HaCaT 세포에서는 병풀은 100ug/ml, 삼백초는 12.5ug/ml, 작약은 12.5ug/ml, 배초향은 12.5ug/ml에서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열수 추출물은 Raw264.7 세포에서 병풀은 400ug/ml, 삼백초는 100ug/ml, 작약은 6.25ug/ml, 배초향은 50ug/ml에서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HaCaT 세포에서는 병풀은 200ug/ml, 삼백초는 100ug/ml, 작약은 100ug/ml, 배초향은 100ug/ml에서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결과를 고려하여 결정된 처리 농도로 아래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2. 항염 활성 실험
2.1 NO 생성 억제 활성 실험
96 well plate에 Raw264.7 세포를 6×104cells/well씩 분주한 후, 세포 배양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다음 날 LPS(lipopolysaccharide)(1㎍/㎖)와 함께 시료를 세포에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액과 Griess reagent를 1:1로 혼합하여 10분간 반응시켜준 후, ELISA reader로 540nm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O의 농도는 Sodium nitrite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결정하였으며, 최종 NO의 양은 일정 단백질 당 NO의 양으로 환산하여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결과를 도 17 및 도 18에에 나타내었다. 도 17 및 도 18에서 INDO와 SA 각각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것이며, 각각 Indomethacin, Salicylic acid를 의미한다.
배초향 70% 에탄올 추출물 등은 탈염 용암해수로 재배한 경우 담수 재배한 경우에 비하여 NO 생성 억제 활성이 증가하였다.
2.2 사이토카인 IL-8 및 TNF-α 억제 활성 실험
96 well plate에 HaCaT을 1.5×104cells/well씩 분주한 후, 세포 배양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지를 버리고 PBS로 세척한 다음 FBS를 포함하지 않은 DMEM배지(serum free 배지)를 사용하여 세포를 기아상태로 만들어 주었다. 다음 날 P.acne(P.acne의 경우 OD(600nm)값이 2-2.5인 P.acne 파쇄액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사용) 또는 LPS(1㎍/㎖ ) 와와 함께 시료를 세포에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각각 IL-8, TNF-a ELISA kit을 이용하여 실험 후, ELISA reader로 450nm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최종 IL-8과 TNF-α의 양은 일정 단백질 당 IL-8과 TNF-a 양으로 환산하여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였다.
P.acne자극에 의한 IL-8 생성 억제 결과를 도 19 내지 도 22에 나타내었고, LPS 자극에 의한 TNF-α의 생성 억제 결과를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내었으며, P.acne자극에 의한 TNF-α의 생성 억제 결과를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었다.
작약 70% 에탄올 추출물 등은 탈염 용암해수로 재배한 경우 담수 재배한 경우에 비해 IL-8, TNF-α의 생성 억제 활성이 증가하였다.
3. 피부 장벽 강화 실험 - 각질 세포외막(Cornified envelope, CE) 형성능 실험
6 well plate에 HaCaT 세포를 2.5×105cells/well씩 분주한 후, 세포 배양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지를 버리고 PBS로 세척한 다음 칼슘을 포함하지 않은 DMEM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배양 후, 일정 농도의 시료를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세포를 PBS로 세척 후 2% sodium dodecyl sulphate (SDS), 20 mM dithiothreitol (DTT)가 함유된 0.1M Tris buffer를 사용하여 용해시켜 주었다. 100℃에서 5분간 끓여준 후, ELISA reader로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27에 나타내었다.
병풀 열수 추출물, 작약 70% 에탄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 배초향의 70% 에탄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 삼백초의 70% 에탄올 추출물은 탈염 용암해수로 재배한 경우 담수로 재배한 경우에 비하여 각질 세포막 형성이 증가하였다.
4. 피부 보습 활성 실험
96 well plate에 HaCaT 세포를 1.5×104cells/well씩 분주한 후, 세포 배양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지를 버리고 PBS로 세척한 다음 FBS를 포함하지 않은 DMEM 배지를 사용하여 세포를 기아상태로 만들어주었다. 다음 날 일정농도의 시료를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Hyaluronic acid ELISA kit를 이용하여 실험 후, ELISA reader로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함 최종 hyaluronic acid의 양은 일정 단백질 당 hyaluronic acid 양으로 환산하여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결과를 도 28 내지 도 31에 나타내었다.
삼백초, 작약 및 배초향의 70% 에탄올 추출물은 탈염 용암해수로 재배한 경우 담수로 재배한 경우에 비하여 HA 생성이 증가하였다.
5.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활성
여드름균인 프로비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에 항균 활성 실험은 원판 확산법(Disc diffusion assay)을 사용하였다(Food Chem Toxicol 40(4): 535-543). 구체적으로 프로비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 ATCC6919), 를 RCM 액체배지에서 48시간 배양한 다음 멸균된 생리식염수(0.9% Nacl)에 1.0 X 106 CFU/ml 수준으로 희석 하였다. 희석한 균배양액을 RCM 고체배지(Agar1.8%)에 100㎕ 도말한 후(최종1.0 X 105 CFU/ml 수준) 소독한 집게로 Paper disc의볼록한 부분이 위로 향하게 만든 후 작약(경도0, 경도100) 에탄올추출물, 배초향(경도0, 경도100) 에탄올추출물 및 양성대조군인 에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 0.01mg/ml을 40 ㎕을 injection하고 Paper disc가 떨어지지 않게 잠시 두었다가 뒤집어 혐기조건에서 48시간 배양하여 저해환 생성여부 확인을 통하여 항균력을 확인하였다.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작약 추출물과 배초향 추출물은 담수로 재배한 경우나 탈염 용암해수로 재배한 경우 모두 항균 활성을 보였고 나머지 병풀 추출물과 삼백초 추출물은 담수로 재배한 경우나 탈염 용암해수로 재배한 경우 모두 항균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항균 활성 실험 결과(저해환 및 MIC)
시료 저해환(mm) MIC(㎍/ml)
작약(경도 0) 에탄올 추출물 18 156.3
작약(경도 100) 에탄올 추출물 22 156.3
배조향(경도 0) 에탄올 추출물 19 156.3
배초향(경도 100) 에탄올 추출물 19 156.3
DW - -
- : 항균 활성 없음

Claims (7)

  1. 탈염 용암해수를 사용하여 재배한 작약의 70% 에탄올 추출물, 또는 탈염 용암해수를 사용하여 재배한 배초향의 70%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식품 조성물.
  2. 삭제
  3. 탈염 용암해수를 사용하여 재배한 작약의 70% 에탄올 추출물, 또는 탈염 용암해수를 사용하여 재배한 배초향의 70%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탈염 용암해수를 사용하여 재배한 작약의 열수 추출물, 또는 탈염 용암해수를 사용하여 재배한 삼백초의 70%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장벽 기능 강화용 화장품 조성물로서,
    상기 피부 장벽 강화는 각질 세포 외막 형성 증가인 조성물.
  6. 삭제
  7. 담수나 탈염 용암해수를 사용하여 재배한 배초향의 물과 에탄올 혼합 용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균인 프로비오니박테리움 아크네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KR1020190106737A 2019-08-29 2019-08-29 용암해수로 활용하여 재배한 작물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KR102167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737A KR102167319B1 (ko) 2019-08-29 2019-08-29 용암해수로 활용하여 재배한 작물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737A KR102167319B1 (ko) 2019-08-29 2019-08-29 용암해수로 활용하여 재배한 작물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319B1 true KR102167319B1 (ko) 2020-10-21

Family

ID=73034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737A KR102167319B1 (ko) 2019-08-29 2019-08-29 용암해수로 활용하여 재배한 작물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3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553B1 (ko) * 2021-01-28 2021-10-05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용암해수를 활용하여 재배한 병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및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4953A (ko) * 2006-05-30 2007-12-05 김수산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문제성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00037906A (ko) * 2008-10-02 2010-04-12 (주)아모레퍼시픽 작약을 우려낸 물을 함유하는 두피 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5539A (ko) * 2011-09-02 2013-03-12 김주원 피부자극 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46021A (ko) * 2015-06-11 2016-12-21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병풀추출물, 목련수피 추출물, 나한백가지 추출물, 유칼립투스잎오일, 보리지씨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진정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74416A (ko) * 2015-12-22 2017-06-30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생약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24362B1 (ko) * 2017-06-27 2019-02-22 주식회사 두래 발아 보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90037036A (ko) * 2017-09-28 2019-04-05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배초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4953A (ko) * 2006-05-30 2007-12-05 김수산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문제성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00037906A (ko) * 2008-10-02 2010-04-12 (주)아모레퍼시픽 작약을 우려낸 물을 함유하는 두피 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5539A (ko) * 2011-09-02 2013-03-12 김주원 피부자극 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46021A (ko) * 2015-06-11 2016-12-21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병풀추출물, 목련수피 추출물, 나한백가지 추출물, 유칼립투스잎오일, 보리지씨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진정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74416A (ko) * 2015-12-22 2017-06-30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생약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24362B1 (ko) * 2017-06-27 2019-02-22 주식회사 두래 발아 보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90037036A (ko) * 2017-09-28 2019-04-05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배초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553B1 (ko) * 2021-01-28 2021-10-05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용암해수를 활용하여 재배한 병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및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CN114796036A (zh) * 2021-01-28 2022-07-29 芽美化妆品有限公司 作为有效成分包含利用熔岩海水栽培的积雪草的皮肤微生物组平衡以及痤疮改善用组合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75384A1 (en) Composition containing plant extracts
KR102356423B1 (ko) 항균, 피부 보습, 항아토피, 피부 장벽 강화, 및 주름 개선 활성을 갖는 복합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20090083082A (ko) 난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기능 개선 조성물
KR101861043B1 (ko) 낙지다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117218B1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2065185B1 (ko) 항균, 항염,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236071B1 (ko) 용암해수를 활용하여 재배한 병풀 또는 작약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KR101800961B1 (ko) 갈대 추출물 또는 그 발효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24362B1 (ko) 발아 보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167319B1 (ko) 용암해수로 활용하여 재배한 작물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KR101800962B1 (ko) 갈대 추출물 또는 그 유산균 발효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200074361A (ko) 황기를 발효시킨 황기 발효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594733B1 (ko)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 주근깨,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33208B1 (ko) 율무 미강 추출물 또는 그 발효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20154270A (ko) 검정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995384B1 (ko) 명월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102154140B1 (ko) 튤립 잎 추출물, 구약감자 가수분해 추출물 및 앵무새나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90066264A (ko) 용암해수 숙성 백년초 분말의 제조 방법과 그 분말의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557706B1 (ko) 사포나린 및 영지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36525A (ko) 용암해수로 활용하여 재배한 금전초 추출물 등을 이용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KR102453568B1 (ko) 바실러스 사펜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청각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보습 및 항염용 조성물
KR102556146B1 (ko) 아그배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628844B1 (ko) 등나무 꽃, 두릅나무 꽃, 동백나무 잎 및 동백나무 꽃 혼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26086B1 (ko) 닥나무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개선, 보습, 및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