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036A - 배초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배초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036A
KR20190037036A KR1020170126633A KR20170126633A KR20190037036A KR 20190037036 A KR20190037036 A KR 20190037036A KR 1020170126633 A KR1020170126633 A KR 1020170126633A KR 20170126633 A KR20170126633 A KR 20170126633A KR 20190037036 A KR20190037036 A KR 20190037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present
leaf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9453B1 (ko
Inventor
이윤진
임혜원
신대현
황옥화
장경희
임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주식회사 코스모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주식회사 코스모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70126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453B1/ko
Publication of KR20190037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초향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배초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초향 잎 추출물은 피부에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안정한 특징이 있고, 피부세포에서 필라그린(Filaggrin) 발현 증가, 카스파제-14 활성 증가, 활성산소종 생성억제, 산화질소 및 iNOS의 생성억제, 엘라스타제(elastase) 억제 및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 억제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초향 잎 추출물은 피부장벽 기능 강화 또는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초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enhancing function of skin barrier and anti wrinkle comprising agastache rugosa leaf extract}
본 발명은 배초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신체의 외부를 덮고 있는 기관인 피부계는 바깥쪽에서부터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층의 세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부는 외부의 유해한 자극에 대한 장벽 역할을 수행하는 것 이외에, 체내 수분과 전해질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며, 체온조절, 촉각, 압각, 통각, 및 온도 자극 등에 대한 감각기능 수행, 면역기능 수행, 비타민 D 합성, 및 내부 장기의 이상을 표현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기관이다.
피부층 중 가장 바깥층을 이루는 표피세포(Epithemal cell)는 외부환경의 다양한 자극으로부터 체내를 보호하는 방벽 역할을 수행하고, 동시에 피부에서 과량의 수분 손실 및 건조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표지세포 중에서도 가장 바깥에 존재하는 각질층(Stratum cormeum)은 각질형성세포가 분화되어 형성된 것으로, 분화가 완료된 각질 세포와 이를 둘러싼 지질층으로 구성된다. 이렇듯 각질층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각질형성세포는 표피의 제일 아래층인 기저층(Basal layer)에서 증식되다가 일정 시점이 되면 증식을 멈추고 표피층으로 이동하면서 분화가 된다. 이러한 과정을 각화(Keratinization)라고 부른다. 각화 과정에서 각질형성세포는 피부장벽을 형성하게 되는데, 피부장벽은 표피세포의 보호 역할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다.
또한, 표피의 상부층으로 각질형성세포로 이루어진 각질층 즉, 피부장벽은 벽돌을 쌓아놓은 형태이며, 포스포리피드, 세라마이드, 및 콜레스테롤 등으로 구성된 이중막의 지질이 피부장벽 구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피부장벽은 독성물질이나 미생물, 기계적 자극, 자외선에 대해 가장 중요한 일차방어선이며, 피부를 통한 전해질이나 수분손실을 억제하여 피부가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피부장벽이 손상되면 피부가 건조하고 거칠어지며 유해환경에 쉽게 노출되므로 공격적인 화학물질과 미생물들이 피부 속으로 쉽게 침투하여 문제성 피부 예컨대, 아토피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건선, 노인성 건조피부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피부장벽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피부장벽 강화는 화장제, 스킨케어의 새로운 컨셉으로 주목받아 왔으며, 피부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피부장벽 기능 개선용 치료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최근 들어 피부 생성을 저해하는 요인들이 증가되어 각질층의 생성 및 탈락 속도가 늦어짐으로써 각질 형성세포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피부장벽의 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인구가 증가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피부장벽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것들이 보습제가 대부분이며 근본적인 치료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배초향의 잎 추출물에 대한 피부장벽 보호 및 기능 강화와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검증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피부장벽 기능 강화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0111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초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초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배초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초향 추출물은 배초향 잎의 열수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필라그린(Filaggrin) 발현 증가; 카스파제-14 활성 증가; 활성산소종 생성억제 또는 산화질소 및 iNOS의 생성억제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초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초향 잎 추출물은 배초향 잎의 열수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엘라스타제(elastase) 억제 또는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 억제 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립스틱,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프레스파우더 및 루스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으로 제형화 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배초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초향 잎 추출물은 피부에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안정한 특징이 있고, 피부세포에서 필라그린(Filaggrin) 발현 증가, 카스파제-14 활성 증가, 활성산소종 생성억제, 산화질소 및 iNOS의 생성억제, 엘라스타제(elastase) 억제 및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 억제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초향 잎 추출물은 피부장벽 기능 강화 또는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초향 잎의 열수추출물 처리 농도별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ARE: 본 발명의 배초향 잎 열수추출물, AA:양성대조군으로 아스코르빅산을 처리한 군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초향 잎의 열수추출물 처리 농도에 따른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능(A) 및 아질산염(B) 소거능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HaCaT keratinocytes 세포주를 대상으로 본 발명의 배초향 잎 열수추출물의 세포 독성 여부를 MTT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LPS에 의한 산화질소(NO) 및 활성산소종(ROS) 발생에 미치는 본 발명의 배초향 잎 열수추출물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TNF-α로 발생되는 산화질소(NO) 및 활성산소종(ROS)에 미치는 본 발명의 배초향 잎 열수추출물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HaCaT keratinocytes 세포주를 대상으로 LPS로 자극되어 유도된 iNOS의 생성에 본 발명의 배초향 잎 열수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자외선 조사로 감소된 filaggrin 단백질 수준(A) 및 mRNA 수준(B)에 대해 본 발명의 배초향 잎 열수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HaCaT keratinocytes 세포주에서 자외선에 의해 감소된 카스파제-14활성에 대해 본 발명의 배초향 잎 열수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엘라스타제(A) 및 히알루니다아제(B)에 대한 배초향 잎 열수추출물의 억제 활성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배초향 잎 추출물이피부세포에 독성을 유발시키지 않으면서 피부 장벽 보호 인자인 필라그린 및 카스파제-14의 발현과 활성을 증진시키며 동시에 활성산소종 억제 및 항염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배초향 잎 추출물을 피부장벽 강화를 위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초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피부장벽”이란 피부 가장 바깥층인 표피의 상부층으로 각질형성세포로 이루어진 각질층을 의미한다. 독성물질이나 미생물, 기계적 자극, 자외선에 대해 가장 중요한 일차방어선이며, 피부를 통한 전해질이나 수분손실을 억제하여 피부가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피부장벽 기능 강화”란 피부의 가장 외각에 위치하는 각질층의 장벽 기능을 강화하는 것으로,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 증가 또는 카스파제-14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피부의 손실 감소와 피부염증 유발을 방지하여 피부 장벽의 기능을 강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피부 각질세포주를 대상으로 자외선 조사시 발현 수준이 감소되는 필라그린에 대해 본 발명의 추출물이 필라그린의 발현감소를 억제시킬 수 있는지 확인한 결과, 피부 각질세포주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자외선 조사에 의한 필라그린의 발현 감소가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필라그린의 발현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필라그린(Filament aggregating protein; filaggrin)이란 케라틴, 인볼루크린(involucrin), 로시크린(locicrin) 등의 단백질과 함께 각질층(stratum corneum)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다. 주로 케라틴과의 결합으로 필라멘트의 형성에 관여하고, 각질층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프로 필라그린(profilaggrin)에서, 필라그린(filaggrin),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 등의 형태로 가공된다. 최종적으로는 천연보습인자를 이루게 되는데 이는 각질층의 20-30%(건조중량기준)를 이루게 되고,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뛰어나 각질층의 수분을 조절하는 습윤제(humectant)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런 각질층에서의 수분 함유량은 각질층 형성에 중요한 여러 가지 효소들의 정상적으로 활동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필라그린의 발현 양의 감소는 피부장벽의 기능과 보습에 변화를 가져오게 되고 여러 가지 병변으로 이어지게 된다. 특히 정상적인 피부장벽의 형성은 외부의 자극에 대한 방어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배초향 잎 추출물이 카스파제-14의 활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카스파제-14(caspase-14)는 표피의 성숙을 조절하는 독특한 프로테아제이다. 이러한 조절은 피부 세포 분화의 마지막 단계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단백질인 필라그린의 단백질 분해 프로세싱의 결과로 이루어진다. 카스파제-14의 필라그린에 대한 작용을 통해 생성된 생성물이 UVB에 의한 피부 광 손상 뿐만 아니라, 수분 손실도 막아준다. 또한, 정상적인 인간 표피에서는 9개의 프로카스파제가 발현되지만, 오직 카스파제-14만이 그의 활성 형태로 완전하게 프로세싱된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필라그린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카스파제-14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장벽을 강화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배초향 잎의 열수 추출물은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염증성 인자들의 발현도 억제하는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배초향 잎의 열수추출물을 피부 장벽을 효과적으로 개선 및 강화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배초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피부 각질세포에서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처리한 군이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엘라스타제(elastase) 억제 활성 및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 억제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엘라스타제(elastase)는 피부의 노화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효소 중에 엘라스타제가 있는데 이 효소는 조직 내의 용수철 작용을 하는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효소이다. 엘라스타제는 연령이 증가하거나 자외선 등의 외부 자극에 의해 과잉 생성된다. 엘라스타제의 과잉생성은 엘라스틴을 과도하게 분해시켜 콜라겐간의 결합이 약하게 되어 피부주름이 생성되며 피부탄력을 감소시킨다. 특히, 40대 이후 엘라스타제의 작용에 의해 피부의 탄력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엘라스타제의 작용이 나이를 먹음에 따라 매우 활발해져 엘라스틴 섬유가 일부 소멸되거나 응집현상이 나타나고, 콜라겐 섬유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엘라스타제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주름생성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을 가수분해하는 효소로서 히알루론산은 피부의 보습 기능에 있어서 중요한 작용을 하는 물질로 다량의 수분을 함유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피부에서 히알루론산이 감소되면 피부가 건조해지는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주름을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초향 잎의 열수추출물은 엘라스타제(elastase) 억제 활성 및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 억제 활성이 우수하여 피부 보습 유지 및 피부 주름 생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초향 잎의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배초향의 잎으로부터 추출한 것이며, 예를 들어, 배초향 잎의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배초향 잎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 (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수추출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상기 배초향 잎 추출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300ug/ml의 농도로 함유되어 있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배초향 잎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준비예 >
시약 및 시료준비
Ascorbic acid (AA), bovine serum albumin (BSA), Folin-Ciocalteu reagent,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sodium nitrite, Bradford reagen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DCFH-DA), lipopolysaccharide (LPS),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gallic acid, NADH, nitroblue tetrazolium, phenazine methosulfate, CHAPS, dithiothreitol, N-succinyl-(L-Ala)3-p-nitroanilide, elastase, hyaluronidase, hyaluronic acid (HA),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apigenin 및 Griess reagent는 Sigma-Aldrich Chemical(St Louis, MO, USA) 회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Ac-WEHD-methyl-coumarin amide (Ac-WEHD-MCA)는 Peptide Institute Inc. (Osaka, Japan)로부터 입수하여 사용하였고, 세포 용해버퍼(Cell lysis buffer; 25 mM Tris-phosphate (pH 7.8), 2 mM 1,2-diaminocyclohexane-N,N,Nv,Nv-tetraactic acid, 2 mM dithiothreitol, 10% glycerol, 1% Triton X-100)는 프로메가(한국) 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배초향 식물은 강원도 춘천 지역 마트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식물 동정은 춘천 강원대학교 생물과학부 유기억 교수로부터 확인받았다. 본 발명의 배초향 식물의 증거표본(voucher specimen)은 강원대학교 생명과학부 식물표본실에 보관하였고 승인번호 KWNU90446을 부여받았다.
<실험방법>
① 추출물의 제조
배초향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배초향의 건조된 잎에 대해 잎 중량의 10배에 해당하는 증류수를 첨가하고 혼합한 후, 90℃의 온도로 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여과시키고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배초향 잎의 열수 추출물울 분말형태로 제조하였고 이를 “ARE”로 명명하였다. 배초향 잎의 열수추출물 수율은 10.4%였고, 하기 실험에서는 DMSO에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② 총 페놀 화합물의 분석
상기 실험에서 수득한 배초향 잎의 열수 추출물에 함유된 총 페놀 화합물은 Folin-Ciocalteu 의 방법을 조금 변형하여 수행하였는데, 먼저 10μL의 ARE, 90μL 증류수 및 10μL 1 N Folin-Ciocalteu 시약을 혼합한 후, 5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이후 100μL의 7% Na2CO3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0분간 더 반응시킨 다음, 7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검정곡선은 갈릭산을 이용하여 0~1mg/mL 까지의 범위로 세팅하여 사용하였고, 총 페놀 화합물의 인덱스는 추출물 1g당 갈릭산 mg으로 표기하였다.
③ 항산화 활성분석
배초향 잎의 열수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 소거능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즉, 농도별 0.5, 1, 2 및 4 mg/mL의 배초향 잎 열수추출물 30μL에 270μL의 0.1mM DPPH를 각각 함유한 반응액을 암 조건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고, 이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AA는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고, 30μL의 ARE에 DPPH를 50% 소거할 수 있는 배초향 잎 열수추출물의 농도는 SC50로 하였다.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능 분석
배초향 잎의 열수추출물에 대한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능 분석을 위해, 배초향 잎의 열수추출물을 농도별(0.5, 1, 2 및 4 mg/mL)로 20μL가 되도록 하고, 여기에 312 μM NADH, 200 μM nitroblue tetrazolium 및 40 μM phenazine methosulfate가 함유된 180 μL의 1 mM 트리스 버퍼(pH 8.0)를 첨가하여 반응시켰다. 이후 5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 AA를 사용하였다.
⑤ 아질산염(Nitrite) 소거능 분석
배초향 잎 열수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 배초향 잎의 열수추출물을 농도별(0.5, 1, 2 및 4 mg/mL)로 60μL씩 준비하고 여기에 0.1M 의 citrate 버퍼(pH 3.0) 30 μL 및 6.0 μL의 50 μg/mL NaNO2를 첨가하였다. 이후 증류수를 150 μL가 될 때까지 첨가하고 37℃에서 6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150 μL의 Griess 시약(35% acetic acid에 함유된 1% sulfanilic acid 및 동일부피의 증류수에 용해된 0.1% N-1-naphthyl-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10분 경과한 후,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 AA를 사용하였다.
⑥ 세포성장 측정
불멸화 HaCaT keratinocyte 세포주 (ATCC, Manassas, VA, USA)를 10%의 열-비활성화된 FBS, 100 U/mL 페니실린 및 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을 함유한 DMEM 배지에서 37℃의 온도와 5%의 이산화탄소가 유지되는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⑦ UV-B 조사
UV-B원으로 ultraviolet lamp (peak, 312 nm; model VL-6M, Vilber Lourmat, Marine, France)를 이용하였고 센서(bandwidth, 280 to 320 nm; model CX-312, Vilber Lourmat, Marine, France)가 장착된 라디오미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aCaT 세포주에 70 mJ/cm2으로 UV-B를 조사하였는데, 상기 조사량은 세포 생존 능력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하는 강도이다.
세포용해물 제조
접착된 세포들을 PBS로 2회 세척 후, 얼음상태에서 5분 동안 유지시켰다. 이후 스크렙퍼를 이용하여 세포들을 긁어 모으고 5,000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세포 펠렛을 세포 용해 버퍼로 현탁시키고 얼음 상태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후, 5,000g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세포용해물을 수득하였다. 또한 세포 용해물에 함유된 단백질의 함량은 브래드포드 시약분석을 통해 정량하였다.
⑨ 세포생존율 측정
HaCaT keratinocyte 세포주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배초향 잎 열수추출물의 세포 독성여부를 MTT 분석을 통해 대사체 활성을 측정하였다.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대해 MTT 환원에 따른 포르마잔의 양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분석하였다.
⑩ 컨디션 배지에서의 아질산염의 정량분석
컨디션 배지(conditioned medium)에서 세포가 방출하는 NO의 지표인 축적된 아질산염 (NO2-)은 Griess 반응을 기반으로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정량 측정하였고, 이는 'Nitrite 소거 활성 분석'에 설명된 실험방법과 유사하다. 동량 부피의 Griess 시약을 컨디션 배지와 함께 상온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키고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검정곡선은 알려진 농도인 sodium nitrite(0 160 μM) 범위에서 측정하여 사용하였다.
⑪ 세포 내 ROS의 정량분석
세포 내에서 발생되는 활성산소의 측정은 활성산소종(ROS) 반응 형광시료인 DCFH-DA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는데, DCFH-DA는 ROS와 반응하여 DCF(fluorescent 2’,7’-dichlorofluorescein; λexcitation=485nm,λemission=530nm)를 형성하고 연속적인 산화 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다양한 농도의 배초향 잎의 열수추출물을 1시간 동안 세포에 처리하여 미리 반응시킨 후, 이후 1 μg/mL LPS를 24시간 동안 처리하고 반응시켰다. 이후 세포주에 5 μM DCFH-DA를 37℃에서 30분간 처리한 후 세포를 수집하였고, 1 mL의 FBS가 배제된 DMEM 배지로 2회 세척한 다음, 1 mL의 FBS가 배제된 배지로 세포를 용해하였다. 이후 세포내 발생되는 활성산소종의 생성량을 Multi-Mode Microplate Reader (SynergyTMMx,BioTekInstruments,Winooki,VT,USA)를 이용하여 형광 모니터링 하였다.
웨스턴 블럿 분석
세포 용해물에 함유된 iNOS와 filaggrin을 검출하기 위해 웨스턴 블럿을 수행하였다. 웨스턴 블럿은 anti-iNOS (610332, BD Transduction Laboratories, KY, USA) 및 anti-filaggrin (SC-30229, Santa Cruz Biotechnology, Dallas, TX, USA) 항체를 이용하여 수행하였고, 대조군으로는 anti-GAPDH 항체 (LF-PA0212, AbFrontier, Seoul, Korea)를 사용하였다. 세포 용해물을 10% (w/v) SDS-PAGE 로 전기영동한 다음, PVDF로 단백질들을 이동시키고 상기 PVDF 멤브레인을 상기 1차 항체들을 이용하여 4℃에서 밤새도록 각각 반응시켰다. 이후 2차 항체(goat anti-rabbit IgG-pAb-HRP-conjugate; ADI-SAB-300, Enzo Life Sciences, Farmingdale, NY, USA) 로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enhanced West-save up TM(AbFrontier,Seoul,Korea)으로 필름 형광시켜 목적 단백질의 수준을 분석하였다.
카스파제 -14 활성도 측정
세포 용해물에 대한 카스파제-14 활성도를 fluorogenic 기질인 Ac-WEHD-MC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0.1 M HEPES buffer (pH 7.5), 0.06 M NaCl, 0.01% CHAPS, 5 mM dithiothreitol, 1.3 M sodium citrate 및 10 μM Ac-WEHD-MCA의 반응혼합물(95 uL)에 5 uL의 세포 용해물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형광강도를 multi-mode microplate reader (λexcitation=355nm,λemission=460nm)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⑭ RNA 분리 및 실시간 RT- PCR 분석
총 RNA는 FavorPerpTM Tri-RNA 시약(FATRR 001, Gentaur, San Jose, CA, USA)을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cDNA는 Maxime RT PreMix Kit (25081, iNtRON Biotechnology, Seongnam-si, Korea)를 이용하여 역전사 반응을 통해 합성하였고, 정량적 RT-PCR은 TOPrealTMqPCR 2X PreMix(SYBRGreenwithhighROX,RT501S,Enzynomics,Daejeon,Korea)을 이용하여 real-time PCR cycler (Rotor-Gene Q, Qiagen, Hilden Germany)로 분석하였다. PCR 조건은 95℃에서 20초 동안 투입하였고, 55℃에서 20초 동안 어닐링 시켰으며, 72℃에서 30초 동안 연장반응을 시키는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또한 인간 filaggrin mRNA 및 18S rRNA에 대한 프라이머는 하기 프라이머들을 사용하였다.
filaggrin: forward, 5’-AAGGAACTTCTGGAAAAGGAATTTC-3’
filaggrin: reverse, 5’-TGTGGTCTATATCCAAGTGATCCAT-3’
18S rRNA: forward, 5’-GCCGCTAGAGGTGAAATTCTTG-3’
18S rRNA: reverse, 5’-CATTCTTGGCAAATGCTTTCG-3’
엘라스타제 억제 활성 분석
본 발명의 배초향 잎의 열수추출물에 대한 엘라스타제 억제 활성을 상기 추출물 존재 시 엘라스타제 활성의 감소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분석하였다. 엘라스타제 활성은 기질로서 N-succinyl-(L-Ala)3-p-nitroanilide를 사용하여 생성된 p-nitroaniline을 측정하여 확인하였으며, 이를 위한 반응액으로는 100 μL의 0.2 M Tris buffer (pH 8.0), 100 μL 의 0.8 mM N-succinyl-(L-Ala)3-p-nitroanilide, 0.1 U/mL elastase 50 μL 및 50 μL ARE(배초향 잎 추출물은 각 농도별로 1, 2, 4 and 8 mg/mL로 처리함)를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미리 엘라스타제와 37℃에서 20분 동안 반응시켰고, 이후 효소 반응은 100 uL의 기질을 첨가함으로써 시작되도록 하였다. 이후 4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히알루로니다아제( Hyaluronidase ) 억제 활성 분석
히알루로니다아제의 억제 활성은 본 발명의 추출물에 따른 히알루로니다아제 활성의 감소 정도를 분석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는데, 이를 위한 반응액으로는 각 농도별(1, 2, 4 and 8 mg/mL) 배초향 잎 열수 추출물 10 μL에 20 μL의 585 U/mL hyaluronidase 용액을 첨가하고 37℃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고, 이후 동량 부피의 0.2 mg/mL HA 용액을 첨가한 후, 45분 후에 240 μL 의 acidic albumin 용액 (24 mM sodium acetate, 79 mM acetic acid with 0.1% (w/v) BSA, pH 3.8 at 25 ℃)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0분 동안 추가 반응시켰다. 이후 6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통계처리
실험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표기하였고, 그 결과들의 통계 분석하기 위하여 unpaired Student's t-test를 수행하였다. p 값이 0.05 미만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 실시예 1>
배초향 잎 열수 추출물에 함유된 총 페놀 화합물의 분석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본 발명의 배초향 잎의 열수 추출물에 함유된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 분석 결과, 추출물 1g당 38.9 ± 1.7 mg의 갈릭산 당량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페놀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1차적인 항산화제 또는 자유 라디칼 제거제로서의 역할을 통해 식물의 주요 활성 성분으로 작용한다. 식물 유래 총 페놀 화합물의 수준은 약리학적 효능의 추정 지표로 간주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볼 때, 본 발명의 배초향 잎의 열수 추출물에는 다량의 페놀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 체내 유용한 작용을 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었다.
< 실시예 2>
배초향 잎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분석
본 발명에 따른 배초향 잎의 열수 추출물에 대한 DPPH 라디칼 소거능 분석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출물의 DPPH 라디칼을 50% 감소시킬 수 있는 농도인 SC50은 2.9 mg/mL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슈퍼옥사이드 라디칼에 대한 소거능 분석 결과, 슈퍼옥사이드 라디칼(Superoxide radical)은 미토콘드리아의 호흡연쇄와 식세포의 NADPH 옥시다제와 같은 2가지 주요 인자에서 발생된다. 슈퍼옥사이드 라디칼은 다른 ROS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산화 환원 신호 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과도한 발생은 단백질의 변성과 지질 과산화와 같은 여러 가지 유해한 생물학적 과정에 관여한다. 또한, 슈퍼 옥사이드 라디칼 자체는 그다지 반응성이 없으며 과산화수소를 비롯한 다른 ROS 종으로 빠르게 전환되기 때문에 세포 내에서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의 추출물이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생성에 대한 소거능 분석을 수행한 결과, 추출물 농도별(0.5, 1, 2 및 4 mg/mL)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각 19.8, 44.7, 77.8 및 94.3%의 소거능), SC50 값은 1.4 mg/mL인 것으로 나타났다(도 2a 참조).
또한, 아질산염에 대한 소거능 활성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출물 처리 농도별(0.5, 1, 2 및 4 mg/mL) 아질산염의 소거능은 각각 18.5, 36.9, 56.3 및 70.7%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SC50 값은 1.7 mg/mL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배초향의 잎 열수 추출물이 피부 세포에 대한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DPPH 라디칼 및 아질산염 소거 활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따라서 배초향 잎의 열수 추출물을 항산화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3>
배초향 잎 열수 추출물의 세포독성 분석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본 발명의 배초향 잎의 열수 추출물이 피부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여부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HaCaT keratinocytes 세포주에 상기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세포 사멸 정도를 MTT 분석을 통해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처리 농도에서 HaCaT keratinocytes 세포주의 세포 사멸이 거의 유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배초향 잎 열수 추출물은 피부 세포에 대해 세포 독성을 유발시키지 않는 안정한 추출물임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4>
LPS에 의한 NO 및 ROS 생성 억제 활성
산화질소(NO)는 세포 내 전염증성 매개체로서 슈퍼옥사이드 라디칼과 반응하여 과산화질산염(peroxynitrite) 이온을 생성하여 다양한 염증을 유발한다. 따라서 산화질소 생성의 억제는 살아있는 세포에서 다양한 염증 상태와 관련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배초향 추출물이 항염 활성을 갖는지 확인하기 위해 HaCaT keratinocytes 세포주를 LPS로 자극시킨 후, 산화질소의 지표인 질산염의 양을 측정한 결과, LPS 자극시 8.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본 발명의 배초향 잎 열수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는 처리 농도별(10, 50 및 200 ug/mL) 질산염의 양이 53.2, 27.9 및 19.8%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4a 참조). 또한 질산염의 생성을 50%로 감소시키는 추출물의 농도인 IC50값은 10.8 ug/mL인 것으로 나타났다.
ROS는 염증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요한 신호 분자로서 cyclooxygenase-2, 염증성 사이토 카인 (TNF-α, 인터루킨 -1, 인터루킨 -6), 케모카인 (인터루킨 8, CXC) 등의 유도를 통해 만성 염증을 촉진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추출물이 피부 세포주에서 LPS로 유도되는 ROS을 억제하는 활성이 있는지 분석한 결과, LPS만 처리한 군에서는 처리하지 않는 군에 비해 약 11.6배의 ROS가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고(도 4b 참고), 10, 50 및 200 μg/mL의 농도로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는 각각 62.9, 14.7 및 2.6%로 ROS가 생성되어,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이 처리 농도별 ROS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IC50값은 14.8 ug/mL인 것으로 나타났다.
< 실시예 5>
TNF -α로 유도되는 NO 및 ROS 생성 억제 활성
TNF-α는 LPS와 유사하게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배초향 잎 열수 추출물이 TNF-α로 유도되는 NO 및 ROS 생성도 억제하는 활성이 있는지 분석한 결과, TNF-α만 단독 처리한 군의 경우, NO가 3.2배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도 5a 참고), 본 발명의 추출물을 각각 10, 50 및 2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한 군은 TNF-α에 의해 생성되는 NO의 양이 각각 50.4, 47.8 및 42.6%이며 IC50값이 9.5 ug/mL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ROS 수준은 TNF-α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증가된 ROS 수준은 본 발명의 추출물에 의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군(10, 50 및 200 μg/mL)에서 ROS의 생성이 각각 31.7, 22.8 및 14.9%이며, IC50값이 0.4ug/ml인 것으로 나타났다.
< 실시예 6>
TNF -α로 유도되는 iNOS의 생성 억제
본 발명에 따른 배초향 잎의 열수추출물이 LPS로 자극된 HaCaT keratinocytes 세포주에서 발생하는 iNOS의 생성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해 웨스턴블럿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 단독 처리한 군에서는 iNOS의 생성이 LPS를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약 2.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본원발명의 배초향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는 처리 농도별(10, 50 및 200 μg/mL) iNOS의 생성이 각각 80.2, 43.0 및 24.4%으로 추출물 처리에 의해 iNOS의 생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IC50값은 44.5 ug/mL인 것으로 나타났다.
< 실시예 7>
자외선 조사로 감소된 필라그린(filaggrin)의 상향조절
본 발명의 배초향 잎 추출물이 필라그린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추출물이 처리된 피부 세포주에서 자외선 조사 후, 세포내 필라그린의 발현 수준을 RT-PCR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초향 잎 열수추출물을 농도별(10, 50 및 200 μg/mL)로 처리한 결과, UV-B 조사로 감소된 필라그린의 단백질 수준이 각각 3.3배, 4.3배 및 6.0배로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고, mRNA 수준을 측정한 결과,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UV-B 조사에 의해 HaCaT keratinocytes 세포주에서 현저하게 감소된 필라그린의 mRNA가 본 발명의 추출물 처리에 의해 2.0배, 6.0배 및 8.8배로 월등히 증가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추출물이 자외선 조사에 의해 피부 보호 작용 및 피부 장벽 개선 기능을 갖는 필라그린의 발현을 증진시키는 활성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의 추출물이 피부 장벽을 개선하고 강화시키기 위한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8>
자외선 조사로 감소된 카스파제 -14의 상향조절
자외선 조사 시, HaCaT keratinocytes 세포주에서는 약 80%로 카스파제-14의 활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추출물이 자외선에 의해 감소된 카스파제-14의 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초향 잎 열수추출물을 농도별(10, 50 및 200 μg/mL)로 처리한 결과, 자외선(UV-B)에 의해 감소된 카스파제-14의 활성을 1.4배, 1.6배 및 1.8배로 각각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배초향 잎 열수 추출물이 피부 세포에서 자외선 조사에 의해 감소된 카스파제-14의 활성을 회복 및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장벽을 형성하고 피부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는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9>
엘라스타제 억제 활성
본 발명의 추출물에 대한 엘라스타제 억제 활성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2, 4 및 8 mg/mL의 농도별 본 발명의 추출물 처리 군에서 porcine pancreas elastase 활성 억제 정도가 각각 8.6%, 16.3% 및 31.5%인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추출물이 엘라스타제 억제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10>
히알루로니다아제 억제 활성
본 발명의 배초향 잎 열수추출물을 농도별로 상기 실험에서 사용한 피부세포주에 각각 처리한 후, 히알루로니다아제의 억제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0.5, 1, 2 및 4 mg/mL의 추출물 처리군에서 히알루로니다아제의 억제활성이 각각 15.4%, 33.6%, 67.2% 및 108.3%로 나타났으며, 이때 IC50값은 3.5 mg/mL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배초향 잎의 열수추출물이 엘라스타제 및 히알루로니다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피부 보습을 유지하고 피부 주름을 억제하는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배초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초향 추출물은 배초향 잎의 열수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필라그린(Filaggrin) 발현 증가; 카스파제-14 활성 증가; 활성산소종 생성억제 또는 산화질소 및 iNOS의 생성억제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4. 배초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초향 잎 추출물은 배초향 잎의 열수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엘라스타제(elastase) 억제 또는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 억제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립스틱,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프레스파우더 및 루스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으로 제형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26633A 2017-09-28 2017-09-28 배초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9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633A KR102059453B1 (ko) 2017-09-28 2017-09-28 배초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633A KR102059453B1 (ko) 2017-09-28 2017-09-28 배초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036A true KR20190037036A (ko) 2019-04-05
KR102059453B1 KR102059453B1 (ko) 2019-12-26

Family

ID=66103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633A KR102059453B1 (ko) 2017-09-28 2017-09-28 배초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45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319B1 (ko) * 2019-08-29 2020-10-21 주식회사 두래 용암해수로 활용하여 재배한 작물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KR20210051241A (ko) 2019-10-30 2021-05-10 (주)앗코스텍 틸리아닌 또는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환경오염인자로 인한 피부자극 완화용 조성물
KR20210067483A (ko) * 2019-11-29 2021-06-08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바질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63454B1 (ko) 2019-12-27 2021-06-10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피부장벽강화 및 항주름 활성을 갖는 피부 유래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KR102300732B1 (ko) * 2020-11-11 2021-09-14 주식회사 제이에스무역 난황유 및 배초향 줄기세포를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항주름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389753B1 (ko) 2021-05-14 2022-04-22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피부장벽강화 및 항주름 활성을 갖는 피부 유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아종 세바­202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389749B1 (ko) 2021-05-14 2022-04-22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피부장벽강화 및 항주름 활성을 갖는 피부 유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아종 세바­101 균주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1209A (ko) 2022-03-31 2023-10-10 이호규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111B1 (ko) 2015-08-18 2017-09-19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회향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111B1 (ko) 2015-08-18 2017-09-19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회향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기능 강화용 조성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319B1 (ko) * 2019-08-29 2020-10-21 주식회사 두래 용암해수로 활용하여 재배한 작물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KR20210051241A (ko) 2019-10-30 2021-05-10 (주)앗코스텍 틸리아닌 또는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환경오염인자로 인한 피부자극 완화용 조성물
KR20210067483A (ko) * 2019-11-29 2021-06-08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바질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63454B1 (ko) 2019-12-27 2021-06-10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피부장벽강화 및 항주름 활성을 갖는 피부 유래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KR102300732B1 (ko) * 2020-11-11 2021-09-14 주식회사 제이에스무역 난황유 및 배초향 줄기세포를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항주름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WO2022102869A1 (ko) * 2020-11-11 2022-05-19 주식회사 제이에스무역 난황유 및 배초향 줄기세포를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항주름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389753B1 (ko) 2021-05-14 2022-04-22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피부장벽강화 및 항주름 활성을 갖는 피부 유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아종 세바­202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389749B1 (ko) 2021-05-14 2022-04-22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피부장벽강화 및 항주름 활성을 갖는 피부 유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아종 세바­101 균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453B1 (ko)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7036A (ko) 배초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64723B1 (ko) 야생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99783B1 (ko) 행운목과 토끼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2302400B1 (ko) 야생 딸기잎 추출물, 플로레틴 및 에델바이스 캘러스 배양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3743B1 (ko) 음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10078672A (ko)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5342916B (zh) 一种植物提取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20140141A (ko)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84163B1 (ko) 차요테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79220A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146246A (ko)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445642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67426B1 (ko)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6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75898B1 (ko) 그라비올라 항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72237B1 (ko) 천연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558186B1 (ko) 여우구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0757A (ko) 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7196B1 (ko) 연복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33787B1 (ko) 물고사리의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성분에 대한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72913B1 (ko) 연복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33280A (ko) 항산화, 항염 및 미백 효능이 뛰어난 Ge-7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3015B1 (ko) 오미자 발효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방지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5091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US20240091294A1 (en) Extract of Top Growth of Holy Basil, and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