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40141A -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40141A
KR20120140141A KR1020110059842A KR20110059842A KR20120140141A KR 20120140141 A KR20120140141 A KR 20120140141A KR 1020110059842 A KR1020110059842 A KR 1020110059842A KR 20110059842 A KR20110059842 A KR 20110059842A KR 20120140141 A KR20120140141 A KR 20120140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mixture
fer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문식
이상록
김새봄
김동원
Original Assignee
장문식
이상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문식, 이상록 filed Critical 장문식
Priority to KR1020110059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40141A/ko
Publication of KR20120140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40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4Susp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 효과, 항주름 효과 및 항염 효과에 의한 피부의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여 피부 노화, 주름 예방을 통해 피부를 부드럽고 윤기있게 가꾸어 주는 항노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fermented extracts and the extracts of the rice }
본 발명은 쌀 추출물과 쌀의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쌀을 정제수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과 쌀을 발효하여 정제수로 추출, 혼합하여 유효 성분을 활성화하여 피부를 부드럽고 윤기있게 가꾸어 줄 수 있도록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피부노화의 대표적인 증상은 주름살이지만 발생 기전은 규명되어 있지 않으며 피부의 교원질, 탄력섬유 등 기질 단백질의 손상이 주원인으로 알려져 있어 주름살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따라서 주름개선 기능성 소재의 효력을 평가하기 위해서 세포내 콜라겐 생성 시험 및 콜라게나제 활성 억제 능력을 측정함으로써 주름 관련 효능 테스트가 가능하다.
최근에는 노화 관련 질병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데 이는 근육 및 골격의 노화와 더불어 피부의 노화도 개인의 일상 생활과 심리 및 사회적 웰빙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하나의 과정이기 때문이며, 피부는 주요 감각기관이기도 하여 감염성 생물이나 물리적인 위해에 대한 신체의 일차 방어선이며 이 외에도 신체의 체온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한 식물의 하나의 예로 벼(Oryza sativa)는 벼과 벼속에 속하는 1년생초로 전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쌀의 성분은 탄수화물 70~85%, 단백질 6.5~8.0%, 지방 1.0~2.0% 정도이고 전세계 인구의 절반 정도가 주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벼는 인간이 섭취하는 열량의 약 21%를 차지하며 120여 개국에서 재배되는 매우 중요한 농작물이다. 현미의 경우 겨층과 호분층에 단백질, 지질, 섬유질 및 회분 등이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무기질이나 비타민 함량이 2~3배로 높아서 영양적으로 매우 좋다고 알려져 있다.
백미로 도정되는 과정에서 배아 부분은 대개 떨어져 나가게 되는데 이를 상당히 남도록 배아미 도정기로 도정하게 되면 백미의 밥맛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배아에 들어 있는 단백질 및 지질을 비롯하여 무기질과 비타민 등 주요 영양성분을 더 많이 섭취할 수 있다.
당질은 인체 내에서 1g당 약 4kcal의 열량을 내어 백미 100g당 약 356kcal의 열량을 내는 에너지 공급원으로서 매우 중요하며 체내에 소화 흡수되면 혈당을 높여주어 뇌의 활동을 원활하게 하며 점막세포나 신경세포의 구성성분으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쌀 당질의 대부분(78%)은 전분으로 이는 크게 아밀로펙틴과 아밀로스의 두 가지 다당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물을 붓고 가열하여 호화시키면 체내에서 소화효소에 의해 쉽게 포도당으로 분해 이용될 수 있다.
쌀은 다른 곡류에 비해 소화흡수율이 월등히 높으며 밥으로 지어 먹었을 때 서서히 소화되기 때문에 찐 감자나 빵에 비해서 섭취 후에 일시적인 인슐린 분비량의 증가가 현저히 낮아서 비만과 당뇨를 막아주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효과는 현미밥인 경우 더욱 크다.
최근 쌀의 건강기능성에 관한 연구들이 추진되면서 쌀의 소중함에 대하여 다시 한번 생각해 보는 좋은 기회를 가질 수 있었고 육종적으로 이를 증진시키려는 노력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동안 쌀의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항산화 및 암예방효과, 혈압조절 및 당뇨병 예방효과 등이 기대되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앞에서 살펴본 단백질, 지질, 섬유질 및 비타민류 등에 함유된 성분을 비롯하여 쌀의 기능성물질로 식이섬유, 피틴산, 토콜류와 페룰산(ferulic acid), 아이소비텍신, 페놀화합물, 감마-아미노낙산 등을 들 수 있는데 쌀이나 쌀겨의 이러한 효과들은 여러 가지 성분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쌀 원료의 경우 생물 이외에 고체 발효를 통하여 유익한 생리활성물질을 최대한 이용하고 잘 보존시키기 위하여 정제수로 추출하여 쌀 발효 추출물을 얻게 되었다.
상기한 쌀 추출물과 쌀의 고체 배양하여 얻은 추출물을 혼합 첨가한 화장료 조성물이 공지되거나 개시된 바는 없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쌀 추출물과 쌀의 발효 추출물의 유효 성분을 혼합 함유함으로서 피부 자극이 없고, 화장료용의 각종 기제 및 첨가제, 유기용제 등에 대한 용해성, 친화성 및 안정성이 좋았고, 특히 항산화 효과, 항주름 효과가 우수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의 항주름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의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서는 쌀을 정제수로 추출하는 단계; 쌀을 발효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발효된 쌀을 정제수로 추출하는 단계;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을 혼합 농축하는 단계, 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는 단계; 및 항주름 효과를 측정하는 단계; 항염증 효과를 측정하는 단계;를 거쳐 피부의 노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쌀 추출물과 쌀의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의 제조 방법은 쌀을 건조 과정을 거치어 수분 5 중량% 이하로 조정하는 단계, 쌀을 건조 과정을 거치어 수분 5 중량% 이하로 조정 혼합하여 80 내지 100℃ 에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습식 열처리를 하여 제균 효과와 동시에 원료의 영양 성분이 용출되어 발효가 잘 되도록 화학적 조건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친 후 섭씨 30℃ 내지 60℃ 와 pH 5.5 내지 8.5 및 혐기적인 발효 조건에서 쌀를 건식 배양 조건하에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와 같은 바실러스속 미생물을 이용하여 고체 발효하여 유용 성분을 생산한 후 살균 단계를 거치어 정제수로 추출하여 추출액을 회수하고 이를 농축하여 정제한다. 더욱 정제하고자 할 때는 섭씨 4℃ 에서 한외 여과하여 정제할 수 있다. 이때 분리된 추출물을 건조하여 건조중량을 측정하여 생산성을 계산한다.
본 발명의 고체 발효에 사용된 바실러스속 균주의 특성은 그람 양성균으로서 내생 포자 형성능이 있으며, 장간균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한 호기성 또는 통성 혐기성 조건에서 생장이 가능하지만 혐기적인 조건에서는 생장이 불가능하며 카탈라아제(catalase) 생산 및 카제인과 젤라틴, 전분 분해능의 특징을 가진다. 생장 조건으로서는 7% 식염수 조건에서 생장이 가능하며 발효 조건인 약 45℃ 에서 생장이 가능하며 약 pH 5.0 내지 7.5에서 생장이 활발하다. 또한 글루코오스, 아라비노오스, 크실로오스, 만니톨을 이용하여 산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제조된 쌀 추출물과 쌀의 발효추출물의 혼합물을 0.001 내지 20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2 중량%가 되게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에 사용된 쌀 원료는 현미, 백미 등의 형태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쌀의 고체 발효 추출물과 혼합하여 한외 여과 과정을 거치어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분획물을 포함하는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쌀 추출물과 쌀의 발효 추출물의 혼합 형태는 0.001 중량% 이하는 첨가시에 본 발명의 항산화 효과와 보습 탄력 기능이 미흡하게 나타나며, 20 중량% 이상 사용하는 경우 최종 제품에서 고유 풍미에 따른 고유취와 색상이 강하게 나타나 최종 제품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의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페이셜에센스(마스크), 영양로션, 영양크림, 선블록크림, 바디로션, 바디에센스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이하에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대표적인 페이셜 에센스와 영양 크림 조성물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의 항노화 효과가 우수한 쌀 추출물과 쌀의 발효 추출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 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항산화 효과, 항염 효과, 항알레르기 효과가 우수한 쌀 추출물과 쌀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의 제조
건조시킨 쌀 2kg을 80℃에서 30분 동안 습식 열처리를 하였다. 그 다음 단계로서 쌀 원료에 대하여 밀링을 통해 곱게 파쇄하며 정제수 5kg으로 추출하였고, 쌀 원료 1kg에 대하여 50℃, pH 6에서 바실러스균을 접종하여 48시간 고체 발효하여 혼합하여 정제수 5kg을 가하여 발효 추출물을 얻었다. 각각의 추출물은 농축하여 농축액 기준으로 상기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을 1:1 비율로 혼합 사용하였다.
대조군으로는 건조시킨 쌀 2kg을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 본 발명에 따른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한 피부 보호 및 탄력 효과가 있는 페이셜 에센스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조성비율로 페이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으로는 60℃ 정제수에 정제수 부분을 첨가 용해하는 단계와 40℃에서 용해한 보습탄력 성분을 첨가 용해하는 단계와 30℃로 냉각해 기능성 미용 성분을 첨가 용해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이를 최종적으로 여과 및 숙성 제조한 다음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혼합하여 페이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분류 원료명 무게(중량%)
정제수부분 정제수 83.53
글리세린 7.0
디포타시움글리시리네이트 0.1
디소디움이디티에이 0.05
히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0.05
디프로필렌글리콜 3.0
보습탄력부분 메칠파라벤 0.1
에칠파라벤 0.1
초산토코페롤 0.02
스쿠알란 0.05
폴리옥시에칠렌 히드록시카스터오일 1.1
소디움피이에이 1.0
기능성소재부분 윗치하젤 엑기스 1.0
소디움 히아루로네이트 0.5
콜라겐 0.2
알로에 엑기스 0.2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 2.0
합계 100.00
실시예 3 : 본 발명에 따른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한 피부 보호 효과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영양 크림의 제조
정제수 부분을 80℃로 가온하여 용해하는 단계와 80℃로 가온 용해한 유상부분을 첨가하여 유화를 실시하는 단계와 60℃에서 가온 용해한 증점제를 첨가 혼합하는 단계와 냉각하여 미용성분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와 30℃까지 냉각하여 탈포, 여과하는 단계와 50℃에서 숙성 제조하는 단계를 실시하여 표 2에서와 같이 영양 크림을 제조하였다.
분류 원료명 무게(중량%)
정제수부분 정제수 60.36
프로필렌글리콜 5.0
글리세린 6.0
산탄검 0.1
트리에탄올아민 0.7
메칠파라벤 0.2
페녹시에탄올 0.1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 2.0
유상 성분 스쿠알란 8.0
세틸알콜 2.2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
스테아린산 1.5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0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0.6
피이지-100 0.3
초산토코페롤 1.0
쉬이버터 1.0
프로필파라벤 0.1
오리자놀 0.1
비사보롤 0.2
디메치콘 0.5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탄 0.8
증점제 카보머 0.24
정제수 2.4
미용 성분 아스코르빈산나트륨 0.1
인지질 1.0
프라센타엑기스 0.5
알로에엑기스 0.5
토코페롤아세테이트 0.5
알로에 추출물 1.0
합계 100.00
실험예 1 : 본 발명에 따른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한 페이셜 에센스의 피부 자극성 및 피부 보호 및 탄력 효과 확인
건강한 성인 남녀 30명(남자 15명, 여자 15명)의 전박부에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페이셜 에센스를 일정량(10m/5cm2)씩 도포하고, 그외의 부위를 알루미늄 호일로 차폐하여 30분 후에, 자외선 조사기를 이용하여 장파장 자외선을 10.2J/cm2의 용량으로 조사하고 24시간 후에 피부 상태(홍반, 부종, 구진 등)를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피부에 홍반 등의 부작용이 발생되지 않아 광독성이 없으며 피부 보호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건강한 성인 남녀 60명(남자 30명, 여자 30명)을 2개 그룹으로 나누어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페이셜 에센스를 일정량(10m/5cm2)씩 도포한 실험군과 본 발명에 따른 쌀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고 실시예 2를 제조하여 대조군으로 하여 1시간, 3시간, 6시간 후 피부 탄력성을 지름 10mm 테두리로 구성된 속이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약 5N의 힘을 주어 자국이 사라지는 시간을 재어 비교해 본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각 시간별로 약 20% 수준으로 실험군에서 사라지는 것으로 보아 본 발명의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한 페이셜 에센스의 사용에 의해 피부 탄력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본 발명에 따른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한 영양 크림의 피부 자극성 및 보호 효과 확인
건강한 성인 남녀 30명(남자 15명, 여자 15명)의 전박부에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영양 크림을 일정량(10m/5cm2)씩 도포하고, 그외의 부위를 알루미늄 호일로 차폐하여 30분 후에, 자외선 조사기를 이용하여 장파장 자외선을 10.2J/cm2의 용량으로 조사하고 24시간 후에 피부 상태(홍반, 부종, 구진 등)를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피부에 홍반 등의 부작용이 발생되지 않아 상기 영양 크림은 광독성이 없으며 피부 보호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건강한 성인 남녀 60명(남자 30명, 여자 30명)을 2개 그룹으로 나누어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영양 크림을 일정량(10m/5cm2)씩 도포한 실험군과 본 발명에 따른 쌀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고 실시예 3를 제조하여 대조군으로 하여 1시간, 3시간, 6시간 후 피부 탄력성을 지름 10mm 테두리로 구성된 속이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약 5N의 힘을 주어 자국이 사라지는 시간을 재어 비교해 본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각 시간별로 약 17% 수준으로 실험군에서 사라지는 것으로 보아 본 발명의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한 영양 크림의 사용에 의해 피부 탄력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 본 발명에 따른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한 페이셜 에센스 및 영양 크림의 피부 안전성 확인 시험
건강한 성인 남녀 30명(남자 15명, 여자 15명)의 전박부에 상기 실시예 2와 3에서 제조한 페이셜 에센스 및 영양 크림을 인체 첩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대상자의 전박부를 70% 에탄올로 잘 닦은 다음 그 부위에, 통상의 화장료 기제에 상기 실시예 2와 3에서 제조한 페이셜 에센스 및 영양 크림을 20㎕씩 담은 핀 챔버를 점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24시간 폐쇄 부착시켰다. 24시간 후에 점착 테이프와 핀 챔버를 제거하고, 가제로 피부에 잔존된 시료를 가볍게 닦아 제거한 뒤에 피부 상태를 관찰하고 다시 24시간 후에 한번 더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쌀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페이셜 에센스 및 영양 크림의 피부 자극성을 확인하기 위한 인체 첩포 시험에서 양성 반응을 보이지 않아 인체 피부에 자극성이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료 24시간 후(n=30) 48시간 후(n=30) 비고
페이셜 에센스 0/30 0/30 반응양성자수/총대상자수
영양 크림 0/30 0/30
실험예 4 : 본 발명에 따른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의 항산화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유리 라디칼의 생성과 항산화 체계의 균형이 깨지면 산화스트레스가 세포에 작용하게 되어 신체노화를 비롯한 각종 성인병과 암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DCFH-DA(2`,7`-dichlorofluorescin-diacetate)를 이용한 fluorimetric assay가 대표적인 평가법으로 DCFH-DA는 비극성분자로 용이하게 세포 내로 들어갈 수 있으며 세포 내의 에서터라아제(esterase)에 의해 비형광성 극성분자인 DCFH으로 분리된 후 세포 내의 활성산소에 의해 산화되면 형광성 DCF(2`,7`-dichlorofluorescin)로 전환되게 되고 이를 fluorometer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의 활성산소 생성 억제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대조군에 비하여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에서 보다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5 : 본 발명에 따른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의 항주름 효과 측정
피부주름의 발생원인 중 하나로 피부교원질(콜라겐)의 결핍을 들고 있다. 콜라겐은 피부 진피를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로서 피부구조와 탄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콜라겐은 나이가 들면서 생성의 감소를 보이며 분해도 증가되어 피부 진피층의 함몰을 유도하여 피부의 주름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광노화의 원인인 UV에 의해 콜라게나아제와 같은 MMP 발현으로 인하여 콜라겐의 분해가 증가되어 주름이 나타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 농도에 따른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능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통해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6 : 본 발명에 따른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의 항염증 효과 측정
실험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의 대조군과 실험군의 샘플을 제조하였다. 염증의 발현 기전에는 다양한 매개체가 관여하고 있으며, 염증의 원인도 다양하다. 대식세포에 내독소(endotoxin)으로 알려져 있는 LPS(lipopolysachride)를 처리하면, iNOS(inducible NOS)발현에 의해 일산화질소(NO) 생합성이 증가하며 염증반응이 유도된다. NO는 많은 세포들이 분비하는 병리적인 2차 신호전달 물질이며, COX의 활성을 조절하고 염증반응에 상승적으로 작용한다. Raw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되는 NOS에 의해 생성되는 NO를 측정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의 농도에 따른 염증반응 억제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7)

  1.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총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의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쌀은 현미, 백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이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이 항주름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이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059842A 2011-06-20 2011-06-20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1401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842A KR20120140141A (ko) 2011-06-20 2011-06-20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842A KR20120140141A (ko) 2011-06-20 2011-06-20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141A true KR20120140141A (ko) 2012-12-28

Family

ID=47906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842A KR20120140141A (ko) 2011-06-20 2011-06-20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4014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214B1 (ko) * 2013-07-23 2013-11-22 주식회사 더마랩 연꽃, 쌀, 개똥쑥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3152A (ko) 2013-11-07 2015-05-15 (주)아모레퍼시픽 덧발효를 이용한 발효쌀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54A (ko) *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80114784A (ko) * 2017-04-11 2018-10-19 코스맥스 주식회사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CN111437235A (zh) * 2020-05-15 2020-07-24 万京创科(山东)生物科技有限公司 具有抗衰老功效的大米复合发酵产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453396B1 (ko) * 2021-12-23 2022-10-12 에이피알지 주식회사 쌀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214B1 (ko) * 2013-07-23 2013-11-22 주식회사 더마랩 연꽃, 쌀, 개똥쑥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3152A (ko) 2013-11-07 2015-05-15 (주)아모레퍼시픽 덧발효를 이용한 발효쌀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54A (ko) *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80114784A (ko) * 2017-04-11 2018-10-19 코스맥스 주식회사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CN111437235A (zh) * 2020-05-15 2020-07-24 万京创科(山东)生物科技有限公司 具有抗衰老功效的大米复合发酵产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437235B (zh) * 2020-05-15 2022-07-01 万京创科(广州)生物科技有限公司 具有抗衰老功效的大米复合发酵产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453396B1 (ko) * 2021-12-23 2022-10-12 에이피알지 주식회사 쌀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4723B1 (ko) 야생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25450B1 (ko)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140141A (ko)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58887B1 (ko) 히카마, 콜리플라워, 말로우 및 아이슬란드 이끼 천연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보습,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43588B1 (ko)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101664025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94987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79220A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10001260A (ko) 야생 딸기잎 추출물, 플로레틴 및 에델바이스 캘러스 배양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80258B1 (ko) 병이소초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639578B1 (ko) 바실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42977B1 (ko) 백련오행차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화장료
KR101855206B1 (ko) 장뇌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92229A (ko) 조직 배양한 유채와 석류, 산삼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64915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130115497A (ko) 천삼, 녹각영지, 백호은침으로 구성된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121775A (ko) 금꿩의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8756B1 (ko) 귤껍질 및 칼메그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22448A (ko)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14344B1 (ko) 쌀겨와 감초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7303255B (zh) 具有抗炎、抗过敏和特应性皮肤改善作用的高粱发酵产物,其制备方法及其化妆料组合物
KR101207560B1 (ko) 빗죽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5B1 (ko) 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52269B1 (ko) 금등화 추출물 또는 비자 추출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3523A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