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021A - 병풀추출물, 목련수피 추출물, 나한백가지 추출물, 유칼립투스잎오일, 보리지씨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진정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병풀추출물, 목련수피 추출물, 나한백가지 추출물, 유칼립투스잎오일, 보리지씨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진정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46021A KR20160146021A KR1020150082523A KR20150082523A KR20160146021A KR 20160146021 A KR20160146021 A KR 20160146021A KR 1020150082523 A KR1020150082523 A KR 1020150082523A KR 20150082523 A KR20150082523 A KR 20150082523A KR 20160146021 A KR20160146021 A KR 201601460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skin
- oil
- composition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풀 추출물, 목련수피 추출물, 나한백가지 추출물, 유칼립투스오일 및 보리지씨오일과 같은 천연 물질이 함유됨에 따라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피부 진정 효과가 뛰어며 아토피 개선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부의 진정 효과와 더불어 아토피 개선 효과가 있는 주성분이 식물추출물 및 식물성 오일인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국소용 제품에 사용되는 일부 성분들은 잠재적으로 특히 민감성 피부를 갖는 사람들에게 있어 자극적이다. 일례로서, 하이드록시산(Hydroxy acid) 및 레티노이드는 광손상된 또는 자연적으로 노화된 피부의 외모, 피부 광택, 노화 등에서의 개선과 같은 이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그러나 이들 성분이 고농도로 적용 시 때로 피부 자극, 예를 들면, 도포시 피부 발적 및 찌르는 듯한 감각 등과 관련될 수 있다. 하이드록시와 관련된 자극은 조성물의 pH를 증가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피부를 통한 하이드록시의 침투의 감소에 따라 효능이 감소된다.
자극의 출현, 빈도 및 성상은 종종 사용자 마다 달라지는데, 민감한 사용자에 대한 자극의 심각도는 가벼운 정도에서 심각한 정도까지 달라질 수도 있다. 자극의 통상적인 증후에는 가려움, 찌르는 듯한 느낌, 타는 듯한 느낌. 긴장감, 얼얼함, 홍반(발적), 또는 부종(부풀어 오름)이 포함된다. 태양광, 바람, 추위 및 건조한 공기와 같은 환경적 조건이 자극을 일으키거나 악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비누, 세정제, 세정 제품, 면도 크림, 알코올 및 피부의 보호 지질 및 분비물을 제거하는 기타 제품이 자극을 생성하지 않을 수도 있을 국소적으로 도포된 화학물질에 대한 피부의 투과성 및 민감성을 증가 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피부는 감염, 면도 찰상, 반복된 또는 과도한 세척 또는 목욕, 태양광 노출, 또는 다른 기계적 찰상 또는 손상에 의하여 자극 받을 수 있다.
피부 자극의 화학적 및 환경적 원인에 더하여, 많은 사람들은 피부 자극제에 대한 타고난 민감성 또는 유전적인 소양을 갖는다. 자극의 정확한 원인이 무엇이든지 간에, 자극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는 화학물질의 식별과 제품으로부터 그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국소용 제품의 자극 잠재력을 감소시키려는 많은 시도가 있었다. 불행히도, 자극적인 화학물질 모두를, 특히 자극적인 화학물질이 제품의 활성 성분이거나 제형, 보존제 또는 기타의 기능성이 이유로 인해 필요한 것일 때, 이를 식별하거나 또는 제거하는 것은 종종 가능하지 않거나 실용적이지 않다. 따라서 피부 자극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조성물 및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편, 아토피 (Atopic dermatitis)는 주로 유아기 혹은 소아기에 시작되는 만성적이고 재발성의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가려움증과 피부 건조증 특징적인 습진을 동반한다. 유아기에는 얼굴과 팔 다리의 펼쳐진 쪽 부분에 습진으로 시작되지만, 성장하면서 특징적으로 팔이 굽혀지는 부분과 무릎 뒤의 굽혀지는 부위에 습진의 형태로 나타나게 되며, 많은 경우에 성장하면서 자연히 호전되는 경향을 보인다. 어른의 경우 접히는 부위 피부가 두꺼워지는 태선화가 나타나고, 유소아기에 비해 얼굴에 습진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아토피의 발병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임상 증상도 피부건조증, 습진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발병 원인이 어느 한가지로만 설명될 수는 없지만, 환경적인 요인과 유전적인 소인, 면역학적 반응 및 피부보호막의 이상 등이 주요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환경적인 요인으로는 산업화로 인한 매연 등 환경 공해, 식품 첨가물 사용의 증가, 카펫, 침대, 소파의 사용으로 인한 진드기 등의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의 증가 등이 있다.
병풀은 가장자리에 톱니를 두른 작은 부채 모양의 잎에 흰색 또는 연보라색의 꽃을 피우는 미나리과 식물이다. 열매는 작은 타원형으로, 끝에 튀어나온 그물눈이 있다. 따뜻하고 습기가 많은 지역에서 자란다.
인도에서는 상처를 입은 호랑이가 병풀이 많이 난 곳에서 뒹굴어 치료하는 것을 보고 호랑이풀이라고 부르며 오래 전부터 약으로 써 왔다. 병풀의 잎과 줄기에 있는 마데카식산이란 성분이 염증을 낫게 하고, 종양과 궤양 등의 상처를 치유하는 힘이 있다는게 밝혀지면서 연고나 치약, 화장품 등의 원료로도 쓰인다.
목련은 목련과의 낙엽교목으로서, 신이라고도 한다. 목련 꽃봉우리 및 꽃망울이 동맥경화, 축농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수피는 방향제로 이용되며 구충, 두통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나한백은 측백나무과의 상록침엽 교목으로 관상용으로 심으며 건축재, 토목재 등으로 사용된다. 나한백의 정유는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나한백에서 분리된 히노키티올은 항균효과의 메커니즘이 보고되어 있고 잎은 간 보호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유칼립투스는 도금양과로 아열대고지대에 분포한다. 유칼립투스는 그리스어로 아름답다와 덮인다의 합성어로 꽃의 모양에서 유래하였으며 오일은 강한 살균작용이 있어 입욕제로 하면 피부를 정화하고 피부 장애에 효과가 있다. 정신 고양, 스트레스 해소에도 효과가 있으며, 가래에는 희석한 오일을 가슴에 바른다. 젊은 피부를 유지하는 효능이 있어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사용되었다. 뜨거운 햇볕에 그을린 피부에 냉각작용을 하며 살충효과도 있다.
보리지는 지치과로 라틴어 강모의 뜻에서 유래 하였다. 보리지는 1년초생으로 고대인은 항우울약으로서의 효과가 있어서 그 가치를 칭송하였다. 습진이나 피부병에도 효과가 있으며 이뇨, 발한작용도 있다. 잎과 씨앗의 성분은 호르몬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모유량을 증가시킨다는 지적도 있다. 최근 씨앗에 함유된 고농도의 감마 리놀산이 발견되어 많은 질환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씨앗에서 채유되는 보리지유는 마사지 오일, 화장 크림으로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 잎과 꽃은 목용제로 사용하면 피부를 부드럽고 청결하게 하며 심신의 긴장 해소에 도움이 된다.
상기 식물의 특허로는 병풀 추출물은 특허공개 제 10-2003-0024932 호에 병풀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등에 개시되어 있고, 목련 수피 추출물은 특허공개 제 10-2010-0089409 호의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등에 개시되어 있고, 나한백가지 추출물은 특허공개 제 10-2009-00385890호의 나한백 오일을 함유한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등에 개시되어 있으며, 유칼립투스잎오일과 보리지씨오일은 특허공개10-2013-00664660호에 화장료 조성물고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5가지의 소재를 동시에 적용하여 그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는 발명은 전무하며 함유량별 최고의 시너지 효과를 발견한 바는 더욱이 게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피부에 국부 적용시 피부 진정 및 피부 자극 완화에 효과적인 피부 보호 조성물과 아토피 개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병풀 추출물, 목련수피 추출물, 나한백가지 추출물, 유칼립투스잎 오일, 보리지씨오일를 포함하는 피부 진정 및 피부 자극 완화에 효과적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병풀 추출물 2 중량%, 상기 목련수피 추출물 1 중량%, 상기 나한백가지 추출물 2 중량%, 상기 유칼립투스잎오일 0.1 중량%, 상기 보리지씨오일 0.5 중량%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의 제형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에센스,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크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 중 하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병풀 추출물, 목련수피 추출물, 나한백가지 추출물, 유칼립투스잎 오일, 보리지씨오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진정 및 피부 자극 완화에 효과적인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면 손상을 입거나 자극이 주어진 피부의 회복에 도움을 준다.
도 1은 실험예 1에서 RAW 264.7 세포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의 세포 독성 그래프이다.
도 2는 실험예 2에서 에서 RAW 264.7 세포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의 NO 생성 억제 효과의 그래프이다.
도 3은 실험예 1에서 RAW 264.7 세포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조성물의 세포 독성 그래프이다.
도 4는 실험예 2에서 에서 RAW 264.7 세포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조성물의 NO 생성 억제 효과의 그래프이다.
도 5는 실험예 3에서 에서 RBL-2H3 세포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조성물의 세포 독성 그래프이다.
도 6는 실험예 4에서 에서 RBL-2H3 세포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조성물의 β-hexosaminidase 활성 억제 효과의 그래프이다.
도 2는 실험예 2에서 에서 RAW 264.7 세포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의 NO 생성 억제 효과의 그래프이다.
도 3은 실험예 1에서 RAW 264.7 세포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조성물의 세포 독성 그래프이다.
도 4는 실험예 2에서 에서 RAW 264.7 세포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조성물의 NO 생성 억제 효과의 그래프이다.
도 5는 실험예 3에서 에서 RBL-2H3 세포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조성물의 세포 독성 그래프이다.
도 6는 실험예 4에서 에서 RBL-2H3 세포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조성물의 β-hexosaminidase 활성 억제 효과의 그래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제조방법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병풀 추출물, 목련수피 추출물, 나한백가지 추출물, 유칼립투스잎 오일, 보리지씨오일 복합물의 기능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중 기능성분들은 0.1 중량% 이하는 조성물 본 기능이 발현되기 힘들며 10 중량% 이상은 제형 안정성이 떨어지며 제조된 제형의 발림성이 떨어지는 등 화장품으로서 사용이 힘든점이 있기에 각기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진정용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통상적인 화장료, 예를 들어, 피부 점착 타입의 화장료 제형,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연고, 패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분무제, 고체상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파우더, 팩, 에센스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피부진정용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는, 전술한 유효성분들 이외에 다른 성분들이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피부 투여용 화장료 조성물 배합될 수 있는 기제 성분을 필요에 따라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진정용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기름, 식물성 기름,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코르 실리코느 벤토나이드,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산화 티타늄 등이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진정용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바디젤인 경우에 전술한 유효성분들 이외에 일반적으로 바디젤 제조시에 사용되는 성분인, 카보머, 트리에탄올아민, 멘톨, 에탄올, 글리세린, 디소디움이디티에이, 메틸파라벤, 향 등이 첨가될 수 있다.
여기서, 카보머, 트리에탈올아민은 점증제로 작용하고, 멘톨은 향 성분으로작용하며, 에탄올은 청량감을 부여하는 기능을 하고, 글리세린은 보습제로서의 역할을 하며, 디소디움이디티에이는 금속성분 킬레이트로 기능하고, 메틸파라벤은 방부제로의 기능을 하기 위해 첨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진정용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시에 상기 멘톨향 이외에도 허브향 등과 같은 다양한 향이 첨가될 수 있다.
전술한 구체적인 성분 이외에도, 상기에서 설명한 점증제, 청량감 부여, 향 성분, 보습제 등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물질들을 적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진정용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분무제)인 경우에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첨가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진정용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첨가되는데, 이의 예로는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진정용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 담체 성분으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진정용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진정용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첨가제를 부가하여 지방 분해 촉진을 위한 바디젤, 바디 로션, 바디 크림, 바디 오일 등의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에어졸 타입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정 효과를 지닌 화장료 은 피부에 직접 도포하거나 살포하는 경피 투여의 방법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진정용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량은 연령, 피부 지방의 상태 정도 등의 개인 차이나 제형,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정 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진정을 위한 화장품,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진정용 및 아토피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
우선, 병풀, 목련 껍질, 나한백 가지를 확보하여 정제수로 세척하고 깨끗한 티슈로 충분히 수분을 제거한 후 60℃로 2일 동안 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건조된 각각의 소재를 분쇄하여 분말 1kg을 용기에 담고, 40L의 정제수를 넣은 후 90 내지 120℃에서 48시간 열수 추출하였다. 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여과하여 나온 추출물 건조물을 1차적으로 회전감압농축기를 통해 고농도로 농축하고 -70℃에서 농축물을 동결하여 동결건조기를 통해 수분을 완전히 증발시키고 추출 건조물을 획득하였다.
상기 3가지의 추출물은 정제수에 1g/mL 의 농도로 용해하여 혼합하였고 혼합물은 하기 표와 같다.
실험예 1: 실시예 1의 대식세포(RAW264.7)에서의 세포 독성 실험 (Cytotoxicity)
실시예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1 내지 1-8에서 수득된 각각의 조성물을 RAW 264.7 세포에 처리하였다. RAW 264.7 세포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서 분주 받아서 배양하였다. 각 세포를 1×104 cells/ml의 농도로 하여 24 well 배양판에 접종하였다. 배지는 1% penicillin-streptomycin(P/S), 10 % FBS를 함유한 DMEM(Dubelcco'S Modified Eagle Medium, GIBCO, USA)을 사용하였다. 10% FBS를 함유하는 DMEM에서 24 시간 배양하여 배양용기 표면적의 50% 만큼 배양되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이 1% 함유된 10% FBS/DMEM으로 교체하여 24시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 후 3-(4,5-디메틸티아졸)-2,5-디페닐 테트라졸리움 브롬화물(MTT, Sigma M5655, USA) 용액(4 mg/ml)을 50㎕ 첨가하고 3시간동안 추가로 배양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각 well 당 200㎕ 의 Dimethylsulfoxide(DMSO, Sigma D2650, USA)용액을 가한 후 20분간 교반하여 형성된 포마잔(formazan) 결정을 녹인 다음, 100㎕ 씩을 96 well로 취하여 micro plate reader로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피부 세포의 생존율 정도는 정제수를 사용한 대조군의 흡광 강도를 기준으로 아래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여 백분율로 표시하였고, 결과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았다.
전술한 RAW264.7 세포를 이용한 Cytotoxicity(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시험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처리하였을 경우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2: 실시예 1의 NO 저해 효과 실험
실시예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NO 생성 저해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1 내지 1-8에서 수득된 각각의 조성물을 RAW 264.7 세포에 처리하였다. RAW 264.7 세포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서 분주 받아서 배양하였다. 각 세포를 1×105 cells/ml의 농도로 하여 6 well 배양판에 접종하였다. 배지는 1% penicillin-streptomycin(P/S), 10 % FBS를 함유한 DMEM(Dubelcco'S Modified Eagle Medium, GIBCO, USA)을 사용하였다. 10% FBS를 함유하는 DMEM에서 24 시간 배양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이 1% 함유된 10% FBS/DMEM으로 교체하고 한 시간뒤에 리포폴리사카라이드(이하 LPS) 100 ng/mL 되도록 추가 처리 하여 24시간 더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내 NO 측정하는 방법은 세포 배양액에 Griess 시약을 첨가하는 방법으로 Nitrate 형태의 NO양을 측정하였다. 세포배양액 100 μL와 Griess 시약 100μL을 혼합하여 96 well plate에서 10분간 반응 시킨 후 540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Sodium nitrite를 이용해 표준곡선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NO 생성 값을 산출하였다. 결과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았다.
전술한 RAW264.7 세포를 이용한 NO 저해 효과 실험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처리하였을 경우 병풀 추출물, 목련수피 추출물, 나한백가지 추출물을 2 : 1 : 2 로 조합한 실시예 1-6이 유독 뛰어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실시예2 : 본 발명의 일 실시예1에 오일류를 첨가한 피부진정용 및 아토피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
유칼립투스잎오일, 보리지씨오일은 원물을 확보하여 정제수로 세척하여 증류수에 원물을 담고 가열을 한다. 이때 발생하는 증류물을 냉각하여 포집한 다음 물층과 오일층을 분획하여 오일층만 걸러내어 얻는다.
상기 2가지 오일은 실시예1 중에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던 실시예 1-6에 농도별로 용해하여 혼합하였고 혼합물은 하기 표와 같다.
상기 실시예의 효과는 실험예 1과 실험예2와 동일하게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 도면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실시예 2 전부 세포 독성은 없었으며, NO 생성 저해효과는 도면 유칼립투스 오일, 보리지씨오일이 0.1 : 0.5 비율로 추가된 실시예 2-3이 가장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었다(도면 4).
실험예 3: 실시예 2의 비만세포(RBL-2H3) 에서의 세포독성 효과
실시예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NO 생성 저해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1 내지 2-9에서 수득된 각각의 조성물을 RBL-2H3 세포에 처리하였다. RBL-2H3 세포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서 분주 받아서 배양하였다. 각 세포를 1×104 cells/ml의 농도로 하여 24 well 배양판에 접종하였다. 배지는 1% penicillin-streptomycin(P/S), 10 % FBS를 함유한 DMEM(Dubelcco'S Modified Eagle Medium, GIBCO, USA)을 사용하였다. 10% FBS를 함유하는 DMEM에서 24 시간 배양하여 배양용기 표면적의 50% 만큼 배양되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이 1% 함유된 10% FBS/DMEM으로 교체하여 24시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 후 3-(4,5-디메틸티아졸)-2,5-디페닐 테트라졸리움 브롬화물(MTT, Sigma M5655, USA) 용액(4 mg/ml)을 50㎕ 첨가하고 3시간동안 추가로 배양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각 well 당 200㎕ 의 Dimethylsulfoxide(DMSO, Sigma D2650, USA)용액을 가한 후 20분간 교반하여 형성된 포마잔(formazan) 결정을 녹인 다음, 100㎕ 씩을 96 well로 취하여 micro plate reader로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피부 세포의 생존율 정도는 정제수를 사용한 대조군의 흡광 강도를 기준으로 아래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여 백분율로 표시하였고, 결과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았다.
전술한 RBL-2H3 세포를 이용한 Cytotoxicity(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시험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처리하였을 경우 유칼립투스가 고농도로 함유된 조성물에서 세포독성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그 외의 조성물에서는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4: 실시예 2의 비만세포(RBL-2H3) 에서의 β-hexosaminidase 억제 효과
실시예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β-hexosaminidase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1 내지 2-9에서 수득된 각각의 조성물을 RBL-2H3 세포에 처리하였다. RBL-2H3 세포를 24 well-plate에 well당 2.5 x 105씩 분주하여 20 ng/㎖ DNP 특이적 IgE가 포함된 MEM 배지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하며 감작시켰다. 실험은 PIPES 완충용액 (25 mM PIPES, pH 7.2, 159 mM NaCl, 5 mM KCl, 0.4 mM MgCl2, 1 mM CaCl2, 5.6 mM glucose, 0.1 % fatty acid-free fraction V from bovine serum)하에서 진행하였으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PIPES 완충액으로 2 회 씻어준 다음, 실험하고자 하는 시료를 각 농도별로 희석시켜 30 분 동안 반응시켰다. 다음으로 25 ng/㎖ DNP-BSA (항원)으로 세포를 10분 동안 자극시킨 다음, 5 분간 얼음에 두어 반응을 정지시켰으며, 그 후 1,000 rpm으로 5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E-tube로 옮기고, plate에 남아있는 세포는 0.1 % Triton X-100로 용해시켰다. 상층액과 용해된 세포시료는 96 well plate에 1 mM P-nitrophenyl-N-acetyl-β-d-glucosaminide와 각각 30 ㎕씩 섞은 다음 37 ℃ 항온수조 위에서 1 시간 동안 배양시킨 다음, 0.1 M Carbonate buffer를 넣어, 405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β-hexosaminidase 억제 정도는 흡광 강도를 기준으로 표시하였고, 결과는 도 6 에 나타난 바와 같았다.
전술한 RBL-2H3 세포를 이용한 β-hexosaminidase 억제 효과 시험 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처리하였을 경우 실시예 2-6 부터 2-9까지 조성물이 β-hexosaminidase의 억제 효과가 가장 뛰어나나 실시예 2-7 부터 2-9까지의 조성물은 세포독성이 있기에 실시예 2-6 조합이 독성이 없으면서도 아토피 개선효과가 뛰어나 가장 바람직한 조성물이라 볼 수 있다.
실시예3 : 본 발명의 일 실시예2를 포함하는 피부진정용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아래 표 3 의 조성은 팩의 기본 제형 원료와 병풀, 목련수피추출물, 나한백가지추출물, 유칼립투스잎오일, 보리지씨오일을 2 : 1 : 2 : 0.3 : 0.5 비율로 혼합한 조성물을 총 중량% 의 0.1 내지 10 중량%로 혼합 제조하고, 100 중량%가 될 때까지 나머지 잔량을 정제수로 채워 팩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5: 실시예 3의 항염증 효과
본 발명의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상기 비교예와 실시예의 조성물을 지원자를 대상으로 측정하여 실제 소비자가 얻게되는 효과를 측정하는 인체적용시험을 실시하였다.
피부에 가해지는 자극의 종류에 따라 다른 염증에 대한 진정효과를 측정하고자 적외선에 과다노출에 의해 유발되는 열홍반(Thermic erythema)과 자외선에 과다노출로 유발되는 홍반(Actinic erythema) 억제에 대해 본 발명 조성물의 효과를 실험하였다. 자원자는 나이 22세에서 59세 사이의 여성 10 명으로 구성된 패널과, 나이 10세에서 29세 사이의 남자 10명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형염 효과에 의한 염증 진정효과는 피하모세혈관혈행, 피부홍반색 및 피부온도를 측정하여 이를 계수화 하였다. 피하모세혈관 혈행은 열전도계측장치(Hematron)로 특정하였는데 모세혈관이 수축하면 전도도는 감소하고 팽창하면 증가하게 된다. 염증의 감소는 팽창된 모세혈관의 수축으로 부기가 가라않게 되는 것이 지표가 된다. 한편 피부 홍반색은 미놀타(Minolta) CR300크로마미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피부온도는 역시 헤마트론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열홍반의 유발을 위해 사용된 적외선 조사 장치는 IR Phillips 250 S 이며, 조사강도는 70mW/cm2 로 30분간 50cm의 거리에서 조사하여 열홍반을 유발하였다. 조사부위는 14 cm2 이었다. 자외선 조사는 제논(Xenon)램프가 장착된 UV조사장치(SUNTEST/ORIGINAL HANAU)를 사용하여 100W 강도로 4 cm2 부위에 조사하였다. 각 자원자 개인별 최소염증유발 조사량(MED : Minimal Erythemal Dose)을 결정한 뒤에 조사하였다. 본 발명 조성물에 의한 염증진정효과는 자외선을 조사한 후 24시간 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4, 5와 같다.
상기 실시예에서 조성물 농도가 0.1 중량 % 미만은 그 효과가 미미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이상의 농도를 첨가 하였을 시에 그 효과는 커진다. 하지만 조성물을 20중량%를 포함하여 제조시에는 화장품의 제형이 분리되고 추출물이 석출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하기에 효과가 있으면서 제형이 안정적인 조성물의 혼입 범위는 0.1 내지 10 중량%가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Claims (5)
- 병풀 추출물: 및
목련수피 추출물, 나한백가지 추출물, 유칼립투스오일 및 보리지씨오일을 2 : 1 : 2 : 0.1 내지 0.5 : 0.1 내지 0.5의 비율로 포함하는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유칼립투스오일 및 보리지씨오일은 0.1 : 0.5의 비율로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유칼립투스오일 및 보리지씨오일은 0.3 : 0.5의 비율로 포함하는 아토피 개선용 조성물.
- 청구항 1, 2 와 3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에센스,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크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청구항 4에 있어서, 청구항 1 과 2항의 조성물은 제품의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0 중량% 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2523A KR101732906B1 (ko) | 2015-06-11 | 2015-06-11 | 병풀추출물, 목련수피 추출물, 나한백가지 추출물, 유칼립투스잎오일, 보리지씨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진정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2523A KR101732906B1 (ko) | 2015-06-11 | 2015-06-11 | 병풀추출물, 목련수피 추출물, 나한백가지 추출물, 유칼립투스잎오일, 보리지씨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진정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6021A true KR20160146021A (ko) | 2016-12-21 |
KR101732906B1 KR101732906B1 (ko) | 2017-05-08 |
Family
ID=57734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2523A KR101732906B1 (ko) | 2015-06-11 | 2015-06-11 | 병풀추출물, 목련수피 추출물, 나한백가지 추출물, 유칼립투스잎오일, 보리지씨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진정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290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56676A1 (ko) | 2016-09-22 | 2018-03-29 | (주)프론트바이오 | 퍼플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KR102167319B1 (ko) * | 2019-08-29 | 2020-10-21 | 주식회사 두래 | 용암해수로 활용하여 재배한 작물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8698B1 (ko) | 2018-08-10 | 2019-08-28 | 안수연 | 양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관리 화장료 조성물 |
KR102149583B1 (ko) | 2018-11-28 | 2020-09-01 | 김범수 |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6206B1 (ko) | 2010-06-09 | 2012-05-24 | (주) 존스킨코스메틱 |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2015
- 2015-06-11 KR KR1020150082523A patent/KR101732906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56676A1 (ko) | 2016-09-22 | 2018-03-29 | (주)프론트바이오 | 퍼플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KR102167319B1 (ko) * | 2019-08-29 | 2020-10-21 | 주식회사 두래 | 용암해수로 활용하여 재배한 작물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32906B1 (ko) | 2017-05-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6206B1 (ko) |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KR102257342B1 (ko) | 항균 및 항염증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JPH1036279A (ja) | 植物抽出物含有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 | |
KR102171133B1 (ko) |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KR102113193B1 (ko) |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 |
KR101732906B1 (ko) | 병풀추출물, 목련수피 추출물, 나한백가지 추출물, 유칼립투스잎오일, 보리지씨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진정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80069756A (ko) |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142311B1 (ko) |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CN110072516B (zh) | 包含作为有效成分的中药材提取物的化妆料组合物 | |
AU2002347271B2 (en) | Cosmetic composition for human skin and hair care | |
KR100702327B1 (ko) | 자극완화 효과를 갖는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 |
KR100513659B1 (ko) |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 |
KR100561780B1 (ko) | 탱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214985B1 (ko) |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 |
KR100638053B1 (ko) | 소루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 |
KR20100089409A (ko) |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922089B1 (ko) |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221627B1 (ko) | 붉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 |
KR20150116504A (ko) | 티트리 추출물 및 소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524534B1 (ko) |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80082058A (ko) |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60068303A (ko) | 음주 후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또는 피부 부종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090075281A (ko) |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090042073A (ko) | 자극완화 효능을 가진 특정의 식물추출 혼합물과 이를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80069755A (ko) |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