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5281A -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5281A
KR20090075281A KR1020080001068A KR20080001068A KR20090075281A KR 20090075281 A KR20090075281 A KR 20090075281A KR 1020080001068 A KR1020080001068 A KR 1020080001068A KR 20080001068 A KR20080001068 A KR 20080001068A KR 20090075281 A KR20090075281 A KR 20090075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llia
skin
extract
atopic dermatiti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형욱
백화경
안준혁
김미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미인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미인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미인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080001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5281A/ko
Publication of KR20090075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28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화장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한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이나 일시적인 치료가 아닌 아토피성 피부염을 근본적으로 치료하기 위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의 염증성 세포활성물질을 억제하고 항알레르기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면역기능 저하, 대사기능 이상, 호르몬 분비 이상 등의 부작용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동백꽃(Camellia Japonica L.)추출물과 미네랄이 함유된 해양 심층수를 함유하여 피부 자극 완화제로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백꽃 추출물은 항염증 작용 및 항알레르기 작용에 의한 피부 진정효과를 갖으며, 상기 동백꽃 추출물의 농도는 5 내지 80%이고, 함량은 상기 해양 심층수 100중량 부에 대하여 0.1 내지 30중량 부 이다. 상기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은 피부 보습력, 항균성 및 소염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 독성이 없어, 민감성 피부에 적용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유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 동백꽃 추출물, 해양 심층수

Description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with the effect of Atopy skins}
본 발명은 동백꽃(Camellia Japonica L.) 추출물과 미네랄이 함유된 해양 심층수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에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항염증 작용, 항알레르기 작용을 하며 피부에 도포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염증, 알레르기, 부종, 홍반 등과 같은 피부자극의 예방 및 완화 효과가 우수하고, 부작용이 매우 적은 동백꽃 추출물과 미네랄이 함유된 해양 심층수를 함유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표면은 피지 선에서 분비되는 피지와 땀샘에서 나오는 수분이 자연적으로 잘 혼합된 피지 막이 각질층을 덮고 있어서, 매끄럽고 윤기 있으며 촉촉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피부 각질층의 수분 함량이 약 20%일 때 피부는 가장 이상적이고 아름다운 상태가 되며, 피부 각질층의 수분 함량이 10%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피부에서 각질이 떨어져 나가게 되고 이 물질의 침투가 용이하게 되어 각종 염증 및 알레르기가 유발되기 쉬워진다. 특히,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의 신진대사가 원활하지 못하므로 각종 염증 및 알레르기는 가중되게 된다. 또한, 건조한 실내환경, 공해, 자외선, 바람, 오용된 화장품이나 세제류 등 외부자 극에 의해 피부가 민감해 져가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외부 자극에 의해 민감해진 피부는 홍반과 같이 단순히 가시적인 경우도 있으며, 또한, 가려움, 따가움 등과 같이 몹시 심하고 불쾌한 염증반응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으므로 대중적인 피부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기 에는 약간 부담스럽고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자제하게 된다. 한편, 아토피성 피부염은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는 매우 흔한 피부과적 질환 중의 하나로서, 극심한 소양증과 면역학적 이상을 나타낸다. 전 세계 인구의 약 10% 정도가 이 질환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환경오염으로 인한 공기와 식품 매개성 알레르기 원인 물질의 증가 및 건조성 피부를 야기하는 조건 등으로 인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을 앓는 환자의 수가 계속 상승하고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세로는 크게 소양증(가려움증), 만성적 피부 건조, 염증 반응, 박피의 형성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피부 박피, 박탈 등은 소양증으로 긁어 생기며, 2차 세균 감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세는 수면 방해 및 흉한 외형상의 문제를 야기하고, 또한 우울증, 열등감, 심리적 위축 등의 정신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 또는 경감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현재까지 완전한 치료 방법은 개발되어 있지 않다. 통상적인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 방법으로는 국소 또는 전신적 부신피질 호르몬을 연고 형태로 피부에 바르거나, 히드록시진(hydorxyzine), 디펜히드라민 (diphenhydramin), 터페나딘(terfenadin), 아스테미제올 (astemizeole) 등의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는 방법, 세팔레신(cepalexin), 디클로사실린(dicloxaxillin) 등의 항생제를 복용하는 방법, UV-광을 피부에 조사하는 광학적 방법 등 다양한 방법 이 사용되고 있으나, 피부에 자극이 적으면서, 건조 피부 개선, 가려움증 완화, 염증 완화 등의 효과가 우수한 방법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화장품은 피부를 보호하고 미화 청결을 위해 사용하는 제품이지만 화장품 조성물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래의 피부 보호 목적과는 상이한 성분들이 제품형성에 필수 불가결한 존재로써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가용화제, 유화제, 방부제, 향료, 자외선 차단제 및 기타 효능,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여러 가지 부가물 들을 들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성분들이 피부에 염증, 알레르기, 뾰루지 또는 부종 등을 유발하는 주원인 물질로 알려져 있다. 염증은 세포나 조직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손상을 받으면 그 반응을 최소화하고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방어목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며 염증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외상, 화상, 동상, 방사능 등에 의한 물리적 요인과 산이나 염기와 같은 화학물질에 의한 화학적 요인, 항체반응에 의한 면역학적 요인들이 있으며 그 외에 혈관이나 호르몬 불균형에 의해서도 일어난다. 히스타민은 가려움과 통증을 매개하는 물질로서 가장 잘 알려진 물질이다. 지금까지 밝혀진 바에 의하면 가려움증을 감지하는 특정한 수용기는 없으며, 국부적인 통증과 같이 상피세포나 진피와 표피 사이의 간극에 존재하는 불특정한 자율신경 말단에 의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가려움증과 통증을 매개하는 물질들은 주로 비만세포로부터 유리되며 Fcε RIα 수용체의 교차결합에 의해 유리된다. 또한, 히스타민은 Fcε RIα 수용체와는 별도로 기질 P, 간세포 인자, 혈관작용성 장 펩티드 등의 염증 매개체에 의해서도 피부 비만 세포로부터 유리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현재까지 홍반이나 부종 같은 자극 및 염증을 완화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학물질로는 비스테로이드계 물질로서 프루페나믹산 (flufenamic acid), 이부프로펜(ibuprofen), 벤지다민(benzydamine), 인도메타신 (indomethacin)등이 있으며 스테로이드계 물질로서 는 프레드니솔론 (prednisol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등이 있고(김창종, 병태생리학, 한림상사, p61-69, 1988), 그 외에 알란토인, 아즈렌, ε-아미노키프론산, 하이드로코티존 (ⅴ), 감초산 및 그 유도체(β-글리칠레친산, 글리칠레친산유도체)등도 항염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광정무부, 신화장품학, 남산당, p162, 1993) 그러나, 화장품에 있어서 피부 부작용 유발요인은 항상 잠재되어 있는 것이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어 왔는데, 그 결과 항염증제로 사용되고 있는 인도메타신은 화장료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물질이고 하이드로코티존은 사용량이 제한되어 있고 감초산 및 그 유도체는 안정화시키기 어렵거나 용해도가 좋지 않아 실제 제품화를 하는 경우 농도의 제한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가 어려운 점이 있는 등 지금까지 알려진 항염증제 들은 피부안전성 면이나 화장료 배합시의 안정성 면에서 대부분 문제점이 있어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최근 소비자들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천연 원료를 이용한 화장료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동백꽃 추출물 및 미네랄이 함유된 해양 심층수를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동백꽃 추출물 및 미네랄이 함유된 해양 심층수의 용도에 대하여 계속 연구한 결과 피부에 안전성이 우수하며 화장료 배합시 보존 안정화가 쉽고 실질적으로 우수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동백꽃은 차나뭇과에 속하며 높이가 7M에 달하는 상록소 교목인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L.)의 꽃으로서 말린 것은 한약명으로 산다화, 또는 홍다화라고도 한다. 동백나무는 우리나라의 울릉도, 제주도 및 남부 지방의 바닷가나 섬에서 자라며 개화기는 12월~5월이고 결실기는 9월~10월이다. 약재로 쓰이는 말린 동백꽃은 유연하고 좋은 향기가 나는데, 색이 붉고 곰팡이가 피지 않았으며 꽃봉오리가 크고 아직 피지 않은 것이 제일 높은 등급을 갖는다. 산다화의 맛과 성질은 달고 약간 매우며 서늘하다. 동백꽃의 효능으로는 간경, 폐경에 들어가며 양혈, 지혈, 산 어혈에 효과가 있다. 임상응용 및 용법으로는 토혈, 육혈, 붕루, 적리, 장풍하혈 등에 달여 복용하고 화상에는 갈아 들기름에 개어 바른다.
<본초강목습유>에서는 치창출혈 치료에 보주산다를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따뜻한 물을 부어서 복용한다고 하였다.
동백꽃의 성분으로는 대표적으로 코안토시아닌(leucoanthocyanin)과 안토시아닌(anthocyanin)을 들 수 있다(동양의학대백과, 경희대학교 출판국, 양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 p540-541). 또한, 카멜린(camellin) B, 플라바놀(flavanol)로서 쿼세틴(quercetin), 캠페롤(kaemferol), 섹스안굴라레틴(sexangularetin) 및 페놀 화합물로서 ρ-하이드록시벤조산(ρ-hydroxybenzoic acid), 프로토카테큐산 (protocatechuic acid), 갈산(gallic acid) 등과 그 밖에 스테롤(sterols), 28-노르올레이넨트리테르펜(28-noroleanene triterpenes) 등이 함유되어 있다(Chem. Pham. Bull. 37(11) 3174-3176(1989), Chem. Pham. Bull. 44(10) 1899-1907(1996), YAKUGAKU ZASSHI, 104(2) 157-161(1984)). 동백나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내 자생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 미생물 활성에 대한 논문(Korean J. Plant. Res. 17(3) 314-322(2004))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101709호에는 동백나무 추출물을 안정화시킨 나노 리포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미백, 보습, 탄력 등의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다고 기재되어 있으며,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2-371092호에는 동백꽃 추출물의 위장점막 보호제로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으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55-099180호에는 동백꽃의 발효에 의한 차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55-111758호에는 동백꽃으로부터의 유사 초콜릿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들 은 모두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효과를 갖는 화장료와는 무관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해양 심층수는 햇빛이 도달하지 않는 수심 200m 이상의 깊은 곳에 위치하는 바닷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연중 수온 변화가 거의 없어 저온 안정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아 마그네슘, 칼슘 등의 무기 영양염을 다량 함유한다. 또한, 해양 심층수는 인공 물질로 오염되지 않은 청정수로서, 병원균 및 이들의 영양분인 유기물의 함량이 적기 때문에 세균 번식이 적을 뿐만 아니라고 항균성, 탈취성 등의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해양 심층수에서 염화나트륨(NaCl)을 제거한 후, 이를 음료, 식품, 화장품 등으로 이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여기서, 상기 동백꽃 추출물 추출물은 해양 심층수, 알코올 용매,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로 추출되며, 상기 동백꽃 추출물의 농도는 5 내지 80%이고, 상기 동백꽃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해양 심층수 100중량 부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량부이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해양 심층수는 수심 500m 이상의 바다 속에서 취수한 것으로서, 동백꽃 추출을 위한 추출용매 및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의 구성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피부 보습력 증가에 효과적인 미네랄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상기 미네랄 성분으로는 칼륨(K), 철(Fe), 나트륨(Na),마그네슘(Mg), 칼슘(Ca), 아연(Zn), 망간(Mn)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중 칼륨은 세포의 수분 조절에 관여하며, 철은 신진대사에 도움을 주며, 에너지를 생성시키고, 나트륨은 피부를 청정하게 하고, 피부의 PH를 조절하며, 마그네슘은 피부의 대사를 촉진하고, 칼슘은 아미노산과 단백질을 생성하고, 체액의 산성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해양 심층수로는 (a) 원수(原水), (b) 역삼투압법 (reverse osmosis)에 의한 농축수 및 여과수,(c) 전기 투석법(electrodialysis)에 의한 농축수 및 여과수 또는 (d)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동백꽃으로 추출하여 얻은 동백꽃 추출물은 우수한 항 염증효과, 항산화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이들 추출물들은 피부 독성이 없는 아토피 피부에 개선효과가 있는 안전한 원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원료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매우 안전하면서 외부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아토피성 피부개선효과 및 피부 노화개선 효과 등을 발휘할 수 있어 민감성 피부에 적용할 수 있으며,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로서 피부 보습력, 항균성 및 소염 효과가 있어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유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1] 해양 심층수 채취 및 정제
가. 역삼투압법에 의한 농축수 및 여과수 제조
동해안에서 1,100m에서 채수한 해양 심층수를 마이크로 필터(재질: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기공 크기: 약 0.5㎛, 주식회사 새한제품)로 정밀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역삼투 시스템(Dow Chemical Company 제품, FILMTEC, SW30-4021)을 이용하여 역삼투압 농축수 및 역삼투압 여과수로 분리한 후, UV Lamp로 살균 소독하였다.
나. 전기 투석법에 의한 농축수 및 여과수 제조
동해안에서 1,100m에서 채수한 해양 심층수를 마이크로 필터(재질: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기공 크기: 약 0.5㎛, 주식회사 새한제품)로 정밀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전기 투석장치(MICRO ACILYZER G4SK, 음이온 막: NEOSEPTA AMX SB, 양이온 막: ACIPLEX K-192 / ASAHI KASEI CORPORATION社, JAPAN, 운행조건: 전류밀도 2,5A/m2, STACK전압 38V 정전압 운전 /순환유량 13.1L/min)를 이용하여 전기투석 농축수 및 전기투석 후, 여과수로 분리, UV Lamp로 살균하였다.
다. 해양 심층수 혼합액 제조
역삼투압 여과수 및 전기투석 농축수를 10~1,000:0.1~100중량 부 비율로 혼합시켜, 30 내지 1,500 경도의 해양 심층수 혼합액을 제조하였고, 역삼투압 여과수, 역삼투압 농축수 및 전기투석 여과수를 10~1,000:0.1~100:0.1~100중량 부 비율로 혼합시켜, 30 내지 1,500 경도의 해양 심층수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동백꽃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실시 예 2] 동백꽃 추출물의 제조
1) 건조된 동백꽃을 중량에 대하여, 추출용매로서 물이나 무수 또는 함수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벤젠, 클로로포름, 글리세린, 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5~20배 부피량을 가한다.
추출 방법으로는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50~100℃, 3~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5~37℃에서 1~15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두 추출방법을 모두 활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추출한 동백꽃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증발되어 나오는 용매를 회수하면서 완전히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나 분무 건조하여 건조 추출물을 얻는다.
2) 얻어진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을 시킨 다음 헥산과 메틸렌 클로라이드, n-부탄올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였으며 n-부탄올 분획의 용매를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 또는 분무 건조하여 건조 추출물을 얻는다. 동백꽃 추출물은 고형분 환산으로 0.01 내지 10.0중량%의 넓은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중량%를 사용한다.
상기 동백꽃 추출물에 대하여 알레르기 및 염증으로 인한 손상으로부터의 피부보호 효과측정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하였다.
실험 1. 알레르기 유발 여부 평가(LLNA assay)
동백꽃 추출물에 대한 알레르기 유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국부임파절평가 (LLNA:local lymph node assay)를 실시하였다. 일주일 간의 순화기간을 거친 마우스를 사용하여 3일 동안 하루 한 번씩 시료(동백꽃 추출물)를 마우스 귀에 25㎕씩 도포하였으며, 4일째에 임파절을 떼어내어 임파구를 분리한 후 5%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24~48시간 배양을 하고 그 후에 증폭 정도를 방사선 동위원소 [3H]-메칠티미딘의 삽입량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국부임파절평가(LLNA)결과는 대조군에 대한 시료군의 임파구 증폭 정도로 나타내며 시료의 자극지수(S.I : stimulation index)가 3 이상일 경우 항원으로 간주한다.
동백꽃 추출물의 알레르기 유발 여부 평가 결과.
시 료 동백꽃 추출물의 최종농도 (㎍/ml) 평균 cpm 자극지수(S.I)
에탄올(60%) 100 2,261 ± 121 -
실시 예 2 100 2,993 ± 231 1.32
1) cpm(counter per minute) : [3H]-메칠티미딘이 세포 내로 삽입되는 양
2) S.I : 시료의 평균 cpm을 대조군의 평균 cpm으로 나눈 값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백꽃 추출물의 자극지수(S.I)가 3 이하로서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2. 항알레르기 실험 (β-hexosaminidase 방출량 측정)
β-헥소사미니다제(β-hexosaminidase)는 비만세포(mast cell)에 함유되어 있는 효소로서 비만세포가 면역반응에 의해 활성화되면 히스타민과 함께 방출된다. 그러므로 β-헥소사미니다제를 비만세포의 탈 과립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 (Planta Med. 64, 577-578 (1998)) RBL-2H3 cell을 10% FBS과 글루타민을 함유하고 있는 EMEM(Eagle's Minimum Essential Medium)배지로 배양한다.
24well plate에 세포를 well당 5x105 개로 분주하며 이때 사용되는 배지는 EMEM배지에 0.5㎍/㎖의 마우스 단일클론 면역글로불린 E(mouse monoclonal IgE)가 함유된 것을 사용하고, 24시간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다. 세포를 well 당 시라가니안버퍼 I(siraganian buffer I)(pH 7.2, 염화나트륨 119mM, 염화칼륨 5mM, 염화마그네슘 0.4mM, PIPES 25mM 및 수산화나트륨 40mM 함유) 500㎕를 사용하여 헹구어 내고, 시라가니안 버퍼 II(글루코오스 5.6mM, 염화칼륨 1mM 및 0.1% BSA가 추가됨) 160㎕를 첨가한 후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10분 동안 배양한다. 동백꽃 추출물을 처리한 후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0분 동안 배양하고 10분간 항원(1㎍/㎖, DNP-BSA)을 처리한다. 10분간 빙욕(ice bath)을 시켜 반응을 정지시키고 원심분리를 한다. 상층 액에 기질(1mM ρ-니트로페닐-N-아세틸-β-D-글루코사미니드) 20㎕를 처리한 후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1시간 배양하고 0.1M Na2CO3/NaHCO3를 넣어 반응을 정지시킨다.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억제율을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억제율(%) = L1-(B-C-D)/(A-C-D) b×100]
A(대조군) : 동백꽃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것 (항원 IgE 반응 측정)
B(처치군) : 동백꽃 추출물을 첨가한 것 (항원 IgE 반응 측정)
C(blank) : 동백꽃 추출물과 기질만 ELISA plate에 첨가한 것
D(무 처치군) : 항원, IgE 및 동백꽃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것
동백꽃 추출물의 항알레르기 평가 결과.
시 료 반응액 중에 함유시킨 동백꽃 추출물의 최종농도 (㎍/ml) 억제율(%)
실시 예 2 200 45.7
표 2와 같이 실시 예 2는 β-헥소사미니다제의 방출을 억제하여 항알레르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5.7%로서 매우 높은 억제율을 보여주고 있다.
실험 3. 마우스 귀 부종에 대한 항염증 실험 동백꽃 추출물에 대한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마우스 귀 부종법을 실시하였다. 일주일 간의 순화기간을 거친 마우스를 대상으로 하여 한 개의 시료당 3마리의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마우스 좌측 귀를 대조부위, 우측 귀를 시험부위로 하였으며 먼저 양쪽 귀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시료를 적용하기 전에 에탄올로 귀를 깨끗하게 세척하였으며 시료 20㎕/ear를 1일 1회 4일간 지속적으로 도포하였다. 마지막 도포 1시간 후에는, 좌측 귀에는 에탄올을 우측 귀에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2㎎/ear을 도포하였으며 1시간 후에 귀의 부종(ear edema) 정도를 마이크로미터로 양쪽 귀를 3회씩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항염효과는 아라키돈산 처리 군을 기준으로 부종억제 정도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국소적용에 의한 귀두께 및 염증 억제율.
시 료 반응액 중에 함유시킨 최종농도 (㎍/ml) 용매 귀두께 평균(㎛) 억제율(%)
동백꽃 추출물 시료처리 전 시료처리 후
인도메타신 1.0 에탄올 284 421 45.6
아라키돈산 2㎎/ear 에탄올 299 551 -
실시 예 2 10 에탄올 283 472 25.0
억제율(%) = (A―B) / A × 100.
A: 대조군 귀의 평균두께(아라키돈산 처리 귀의 두께-비처리 귀의 두께)
B: 시료도포군 귀의 두께(에탄올 처리 귀의 두께-비처리 귀의 두께)
표 3에 의하면 인도메타신보다는 낮지만 실시 예 2 동백꽃 추출물이 항염증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25%의 높은 항염증 억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 4. 3차원 생 인공 피부에서의 항염증 효과(IL-1α 방출량 측정)
IL-1α(interleukin-1α)는 전-염증 작용 인자 (pre-inflammatory mediator)로 작용하는 세포 간 신호물질(cytokine)로서 염증, 감염 등에 의한 자극에 의해 골 형성세포, 단핵세포, 대식세포, 각질형성세포, 간세포, 섬유아세포 등이 일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생산되는 물질이다. 또한 IL-1α는 상처의 재상피화 (reepithelialization)의 잠재적인 유도체로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알레르기 반응과 염증성 반응 조절인자로서 백혈구 운동을 촉진하는 류코트리엔 B4 (leukotriene B4), 5-,12-, 15 HETE와 같은 아라키돈산 리폭시게나제 대사산물의 생산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차원 인공피부를 배양하여 자극을 유발시킨 후 동백꽃 추출물에 의한 IL-1α방출량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TypeⅠ 콜라겐 매트릭스(Bioland, Korea)와 5배로 농축된 DMEM(Dubelcco's Modified Eagle Medium, GIBCO BRL, USA), 그리고 2.2% 탄산수소나트륨과 200mM HEPES, 0.05N 수산화나트륨으로 제조된 완충용액을 7:2:1로 섞어 만든 인간 섬유아세포 cell line(ATCC, Cat. No. CRL-2076)을 밀도 1×105 cells/ml로 혼합하여 지름 10mm의 인서트 (insert)에 각각 200㎕의 섬유아세포가 혼합된 콜라겐 용액을 넣어 진피를 제조한다. 진피 제조 후 10% FBS를 함유하는 DMEM배지를 2일마다 교체하여 7일간 배양한다. 배양된 진피 위에 정상 각질세포를 3×105 세포/인서트로 접종한다. DMEM (10% FBS)와 K-SFM(Keratinocyte Serum Free Medium, GIBCO, USA) (이것은 EGF(epidermal growth factor) 및 BPE(bovine pituitary extract)와 함께 제공됨)를 1:1로 섞은 배지를 넣고 7일간의 잠수 배양(submerge culture)을 한 후에 기체-액체 계면배양(air-liquid interface culture)을 하기 위하여 인서트 안의 배지는 제거하고 인서트 밖에만 잠수 배양시 사용한 배지를 사용하여 14일 동안 기체-액체 계면배양을 하였다. 배양된 인공피부의 배양 배지를 모두 제거한 다음 새 배지를 조직 배양 용기밖에 1.5㎖을 넣는다. 인서트 내에 피부자극물질로서 10㎕의 라우릴황산나트륨(SLS: Sodium Lauryl Sulfate)을 투여하고 4 시간 뒤 동백꽃 추출물을 10㎕ 적용한 후 37 ℃, 5% CO2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한다. SLS 와 동백꽃 추출물의 용매는 DMSO를 사용했으며 농도는 용액에 대한 물질의 무게 퍼센트로 하였다. IL-1α방출량 측정을 위해 배지 표본을 취하여 Human IL-1α assay kit(Endogen Inc. Boston, MA, USA)을 이용하였으며 ELISA-reader(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로 450 nm에서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3차원 생 인공 피부에서의 항염증 효과.
시료 반응액 중에 함유시킨 동백꽃 추출물의 최종농도 (㎍/ml) IL-1α 방출량(pg/ml)
SLS 0.05% 67
실시 예 2 50 53
표 4
에 의하면 실시 예 2에서는 IL-1α의 방출량이 2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는 등 실시 예에서 IL-1α의 방출량이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어 동백꽃 추출물이 염증에 대한 자극을 억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 5. 세포독성시험
동백꽃 추출물에 대하여 단층 세포 배양에서의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MTT assay, J. Immunological Methods 65, 55 (1983) ) MTT 검사법은 살아있는 세포의 수를 측정함으로써 세포 증식이나 독성에 많이 사용되는 실험법으로서 살아있는 세포는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수용성이고 노란색의 염인 MTT(3-[4, 5-dimethylthiazole-2-yl]- 2, 5-diphenyltetrazolium bromide)가 숙신산 탈수소효소에 의해 수불용성인 파란색의 포르마잔(formazan)유도체로 환원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며 생성된 포르마잔 유도체가 생성되면 용해제를 넣고 용해시킨 후 흡광도를 측정하게 되는데 이 수치는 살아있고 대사가 왕성한 세포의 농도를 반영한다.
실험을 위하여, 인간 섬유아세포 cell line (ATCC, CRL-2076)을 1x105 cells/ml의 농도로 하여 24well plate에 접종하였다. 배지는 소혈청 10%를 함유한 DMEM (Dubelcco'S Modified Eagle Medium, BRL, USA)를 사용하였다. 접종 후 24시간이 경과되면 소혈청 2%를 함유한 DMEM로 교체하고, 동백꽃 추출물을 10㎕ 첨가 한 후 3일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MTT 용액을 well당 1.0㎖씩 가하고 난 후 4시간이 경과되면 MTT를 제거하고 DMSO를 well당 1.0㎖씩 가한 후 하룻밤 37℃에서 인큐베이션시키고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동백꽃 추출물의 용해 용매를 음성 대조군, 피부자극물질로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를 양성 대조군으로 하여,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여 상대적인 흡광도의 차이로부터 세포증식 효과를 비교하였다. 각각의 물질에 대한 세포 생존율에 대한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동백꽃 추출물의 단층 세포배양에서의 세포독성 측정
시료 반응액 중에 함유시킨동백꽃의 최종 농도(ug/mL) 세포생존율(%)
SLS 0.0025% 50
실시예 2 100 103
그 결과 실시 예 2에서 100% 이상의 세포생존율을 보여 주는 등 실시 예 2에서 향상된 세포생존율을 보여주고 있어 동백꽃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매우 적은 안전한 물질임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동백꽃 추출물은 안전하고 알레르기 유발을 하지 않으면서도 알레르기 및 염증으로 손상된 피부로부터 피부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실험 6. 동백꽃 추출물의 히알루로니다아제 저해 활성 평가
먼저, 효소의 활성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0.1M 아세테이트 완충 용액(acetate buffer)(pH 3.5)에 용해된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 (7,900unit/ml) 50㎕를 동백꽃 추출물(10%) 20㎕ 및 12.5mM의 염화칼슘(CaCl2) 200㎕와 혼합시킨 후, 37℃의 수조(water bath)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대조군으로는 동백꽃 추출물 대신 DMSO 용액을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0.1M 아세테이트 완충용액(pH 3.5)에 용해된 히알루로닉 산(12㎎/5㎖) 250㎕를 Ca+ 2으로 활성화된 히알루로니다아제 용액에 첨가시킨 후, 37℃의 수조에서 4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0.4N의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 100㎕ 및 0.4M의 붕산칼륨 (potassium tetraborate) 100㎕를 반응혼합물에 첨가하고, 끓는 수조에서 3분간 반응시킨 후 냉각시켰다. 냉각된 반응 혼합물에 p-디메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 4g, 100% 아세트산 350㎖ 및 10N HCl 50㎖를 혼합시킨 혼합액 3.28㎖를 첨가한 한 다음, 37℃ 수조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58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측정된 흡광도를 바탕으로 히알루로니다아제의 저해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히알루로니다아제의 저해율은 하기 수학식 3에 따른다.
히알루로니다아제~저해율(%)~=~{(ODC-ODS)/ODC}X100
여기서, ODC는 585nm에서 측정된 대조군의OD(optical density)이고, ODS는 585nm에서 측정된 시료 용액의 OD값이다.
히알루로니다아제의 저해율.
저해율 (%)
대조군 1.20
실시 예 2 51.37
표 6으로부터, 대조군에 비해 모든 실시 예 2의 동백꽃 추출물은 히알루로니다아제 저해 활성이 높고, 따라서 항염(소염) 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처방을 다음과 같이 하고 그 처방에 의한 효과 실험을 하였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이외에도 제제학적으로 알려져 있는 통상의 여러 가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착색제, 착향제, 현탁화제, 유화제, 용해보조제, 안정제, 등장제, pH조절제, 점도조절제, 용제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는 사용 용도와 사용방법에 따라 적절한 첨가제를 함유하여 여러 가지 종류의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제형으로는 목적에 따라 화장수(스킨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영양에센스, 유화형 파운데이션 등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유아전용 화장수(스킨로션), 로션, 크림, 자외선차단 로션, 자외선차단 크림 등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유아전용 목욕 세정제, 샴푸, 비누 등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은 동백꽃 추출물 및 미네랄이 함유된 해양 심층수를 포함한다. 상기 동백꽃 추출물은 통상의 추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건조된 동백꽃을 추출 용매에 침지시키고, 상온에서 방치한 후, 이를 가열 및 농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로는 해양 심층수, 에탄올, 메탄올 등의 알코올 용매, 메틸렌 클로라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추출 용매의 pH는 3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 용매의 pH가 3 미만이거나, 10을 초과할 경우, 추출되는 양이 적거나 분해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동백꽃은 개화시기인 4~5월에 채집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야생 동백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해양 심층수 100중량 부에 대하여 0.01 내지 30중량 부의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백꽃 추출물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야생 동백꽃 추출물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유기용매를 이용한 추출물의 경우 30중량 부를 초과하면 유기용매에 의한 독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은 크림, 젤, 로션, 스킨, 연고 등의 외용 제제, 비누 등의 세안 제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의약부외품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이 보습 크림 또는 보습 젤로 사용될 경우 프로필렌 글리콜, 파라핀, 글리세린, 토코페롤, 벤토나이트, 알코올 등의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연고로 사용될 경우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도데실디메틸아민올 등의 아미드 화합물 및 토코페롤 성분 등의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이 비누 등의 생활용품으로 사용될 경우, 왁스, 에스테르 화합물, 알루미늄, 소르비톨, 인산철, 토코페롤 등의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1 내지 4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제조예, 실시 예, 비교예 및 실험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1: 화장수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화장수(스킨로션)의 처방 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처방된 동백꽃 추출물은 제조예 2의 것을 말한다.
화장수의 처방예
번호 원료 실시 예 1 비교예 1
1 동백꽃 추출물 5.0 -
2 글리세린 3.0 3.0
3 부틸렌 글리콜 2.0 2.0
4 프로필렌 글리콜 2.0 2.0
5 폴리옥시에칠렌(60) 경화피마자유 1.0 1.0
6 에탄올 10.0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1 0.1
8 방부제 미량 미량
9 색소 미량 미량
10 향료 미량 미량
11 해양 심층수 10.0-30.0 -
12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실시 예 1:12번에 1, 2, 3, 4, 5, 11번을 순서대로 투입하여 교반하며 용해시킨 후, 6번을 60℃ 정도 가열시킨 후, 7, 8, 9, 10번을 투입 교반하여 12번에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예 1:12번에 2, 3, 4, 5, 11번을 순서대로 투입하여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6번을 60℃ 정도 가열시킨 후 7, 8, 9, 10번을 투입 교반하여 12번에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킨다.
실시 예 2: 영양로션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로션의 처방 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처방된 동백꽃 추출물은 제조예2의 것을 말한다.
영양로션
번호 원료 실시 예 2 비교예 2
1 동백꽃 추출물 3.0 -
2 밀납 1.0 1.0
3 폴리솔베이트 60 1.5 1.5
4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0.5
5 유동파라핀 8.0 11.0
6 스쿠알란 3.0 3.0
7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 1.0
8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1.2 1.2
9 친유성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 0.5
10 스테아린산 1.5 1.5
11 글리세린 5.0 5.0
12 부틸렌 글리콜 5.0 5.0
13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0.1
14 트리에탄올아민 0.2 0.2
15 방부제 미량 미량
16 색소 미량 미량
17 향료 미량 미량
18 해양 심층수 10.0~30.0 -
19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실시 예 2:2, 3, 4, 5, 6, 7, 8, 9, 10, 15번을 혼합, 교반하면서 70~75℃ 사이로 가열하고, 1, 11, 12, 13, 14, 16, 17, 18, 19번을 혼합, 교반하면서 70~75℃ 사이로 가열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탈기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예 2:2, 3, 4, 5, 6, 7, 8, 9, 10, 15번을 혼합, 교반하면서 70~75℃ 사이로 가열하고, 11, 12, 13, 14, 16, 17, 19번을 혼합, 교반하면서 70~75℃ 사이로 가열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탈기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실시 예 3: 영양크림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처방 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처방된 동백 추출물은 제조예 2의 것을 말한다.
영양크림
번호 원 료 실시 예 3 비교예 3
1 동백꽃 추출물 3.0 -
2 밀납 1.8 1.8
3 폴리솔베이트 60 1.5 1.5
4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0.5
5 유동파라핀 10.0 13.0
6 스쿠알란 5.0 5.0
7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 1.0
8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1.0 1.0
9 친유성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 0.5
10 스테아린산 1.5 1.5
11 글리세린 5.0 5.0
12 부틸렌 글리콜 5.0 5.0
13 트리에탄올아민 0.2 0.2
14 방부제 미량 미량
15 색소 미량 미량
16 향료 미량 미량
17 해양 심층수 10.0 ~ 30.0 -
18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실시 예 3 : 2, 3, 4, 5, 6, 7, 8, 9, 10번을 혼합, 교반하면서 70~75℃ 사이로 가열하고, 1, 11, 12, 13, 14, 16, 17, 18번을 혼합, 교반하면서 70~75℃ 사이로 가열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탈기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예 3 : 11, 12, 14, 17을 혼합교반하면서 70~7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 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0, 13을 70~7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14, 15, 16번을 투입하고 재 유화한 후,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실시 예 4 : 맛사지 크림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마사지 크림의 처방 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처방된 동백 추출물은 제조예 2의 것을 말한다.
맛사지 크림
번호 원 료 실시 예 4 비교예 4
1 동백꽃 추출물 3.0 -
2 밀납 2.0 2.0
3 폴리솔베이트 60 1.5 1.5
4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0.8
5 유동파라핀 40.0 43.0
6 스쿠알란 5.0 5.0
7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4.0
8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0.2 0.2
9 글리세린 5.0 5.0
10 부틸렌 글리콜 3.0 3.0
11 프로필렌 글리콜 3.0 3.0
12 트리에탄올아민 0.2 0.2
13 방부제 미량 미량
14 색소 미량 미량
15 향료 미량 미량
16 심층해양수 10.0 ~ 30.0 -
17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실시 예 4 : 2, 3, 4, 5, 6, 7을 혼합, 교반하면서 70~75℃ 사이로 가열한 후, 1, 8, 9, 10, 11, 12, 13, 14, 15, 16, 17번을 70~75℃ 사이로 가열한 후, 투입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예 4 : 2, 3, 4, 5, 6, 7을 혼합, 교반하면서 70~75℃ 사이로 가열한 후, 8, 9, 10, 11, 12, 13, 14, 15, 17번을 70~75℃ 사이로 가열한 후, 투입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실시 예 5: 영양 에센스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 에센스의 처방 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처방된 동백 꽃 추출물은 제조예 2의 것을 말한다.
영양 에센스
번호 원 료 실시 예 5 비교예 5
1 동백꽃 추출물 3.0 -
2 스쿠알란 1.7 1.7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 1.5
4 세라마이드 0.7 0.7
5 세테아레스-4 1.0 1.0
6 콜레스테롤 0.2 0.2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0.4
8 농글리세린 5.0 5.0
9 선플라우어오일 12.0 15.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0.2
11 산탄검 0.2 0.2
12 방부제 미량 미량
13 향료 미량 미량
14 심층해양수 10.0~30.0 -
15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실시 예 5: 원료물질1, 2, 3, 4, 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원료물질 1, 7, 8 및 14를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 플루다이져를 통과하고, 이어 원료물질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 플루다이져에 재차 통과시킨다. 그리고 10, 11, 12, 13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비교예 5: 원료물질 2, 3, 4, 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원료물질 7, 8 및 14를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 플루다이져를 통과하고 이어 원료 물질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 플루다이져에 재차 통과시킨다. 그리고 10, 11, 12, 13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실험예 1. 피부 상태 개선효과 확인 실험
실시 예 1과 비교예 1, 실시 예 2과 비교예 2, 실시 예 3과 비교예 3, 실시 예 4과 비교예 4, 실시 예 5과 비교예 5에 대한 피부 도포 시, 피부상태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임상 확인 실험을 하였다. 20~55세의 여성층으로서 아토피 피부의 소유자 50명을 각각 25%씩으로 구성하여 피부상태 개선과 피부의 유수분 상태를 조사하였다. 동일인에게 안면 윗쪽 부분에는 실시 예 1, 실시 예 2, 실시 예 3, 실시 예 4, 실시 예 5의 제품을 안면 오른쪽 부분에는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의 제품을 매일 아침 세안 후 피부에 1일 1회 20일간 도포한 후 피부상태 개선을 확인하기 위하여 100일간 피부상태개선 정도를 측정하였다. 시험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피부 상태 개선효과 확인 실험 결과
조사항목 견본 피부상태개선 비고
인원 %
실시 예 1 매우 좋다 25 50 % 20일
좋다 16 32 %
보통이다 9 18 %
그저 그렇다 - 0 %
비교예 1 매우 좋다 2 4 %
좋다 10 20 %
보통이다 16 32 %
그저 그렇다 22 44 %
실시 예 2 매우 좋다 19 38 % 20일
좋다 20 40 %
보통이다 8 16 %
그저그렇다 3 6 %
비교예 2 매우 좋다 6 12 %
좋다 5 10 %
보통이다 15 30 %
그저 그렇다 24 48 %
실시 예 3 매우 좋다 28 56 % 20일
좋다 11 22 %
보통이다 5 10 %
그저 그렇다 6 12 %
비교예 3 매우 좋다 9 18 %
좋다 4 8 %
보통이다 31 62 %
그저 그렇다 6 12 %
실시 예 4 매우 좋다 31 62 % 20일
좋다 15 30 %
보통이다 4 8 %
그저 그렇다 - 0 %
비교예 4 매우 좋다 1 2 %
좋다 19 38 %
보통이다 20 40 %
그저 그렇다 10 20 %
실시 예 5 매우 좋다 24 48 % 20일
좋다 15 30 %
보통이다 6 12 %
그저 그렇다 5 10 %
비교예 5 매우 좋다 6 12 %
좋다 5 10 %
보통이다 11 22 %
그저 그렇다 28 56 %
상기 조사결과와 같이 동백꽃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실시 예 1, 실시 예 2, 실시 예 3, 실시 예 4, 실시 예 5의 화장료가 첨가되지 않고 제조한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보다 피부 개선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피부 노화 개선 효과 확인 시험
실시 예 1, 실시 예 2, 실시 예 3, 실시 예 4, 실시 예 5 제품에 대한 피부 도포 시,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20명의 왼쪽눈 가장자리에 하루에 두 번, 실시 예 1, 실시 예 2, 실시 예 3, 실시 예 4, 실시 예 5를 적용하였다. 오른쪽 눈 가장자리는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를 적용하였다. 각각 처리하고 난 14일 후 피부 표면의 주름깊이 감소를 Cutometer SEM 474에 의해 측정하였다. Cutometer SEM 474는 주름의 깊이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값이 적을수록 피부 노화개선효과가 높고 피부 탄력성이 좋은 것이다. 피부노화개선도 값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한 값을 %로 나타내었으며, 피검자 20명의 평균값을 결과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은 시료를 처리하기 전의 측정값이다.
피부 탄력성 증가 시험 결과.
시료 피부노화개선(주름깊이 감소) 효과(%)
15일 30일
실시 예 1 2.5 9.9
비교예 1 8.5 17.8
실시 예 2 3.1 10.2
비교예 2 7.9 16.8
실시 예 3 6.8 11.0
비교예 3 8.4 15.8
실시 예 4 5.6 8.2
비교예 4 9.2 20.1
실시 예 5 5.1 10.2
비교예 5 8.8 19.5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동백꽃으로 추출하여 얻은 동백꽃 추출물은 우수한 항 염증효과, 항산화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이들 추출물들은 피부 독성이 없는 아토피 피부에 개선효과가 있는 안전한 원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원료를 함유한 화장로 조성물은 피부에 매우 안전하면서 외부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아토피성 피부개선효과 및 피부 노화개선 효과 등을 발휘할 수 있어 민감성 피부에 적용할 수 있으며,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로서 피부 보습력, 항균성 및 소염 효과가 있어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유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동백꽃(Camellia Japonica L.) 추출물 및 미네랄이 함유된 해양 심층수를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백꽃(Camellia Japonica L.) 추출물은 해양 심층수, 에탄올, 메탄올, 에틸렌 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해양 심층수는 (a) 원수, (b) 역삼투압 법과 UV살균한 농축수 및 여과수를 (c) 전기투석법과 UV 살균에 의한 농축수 및 여과수 및 (d)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백꽃(Camellia Japonica L.) 추출물 꽃봉오리 추출물이고 상기 동백꽃 추출물의 농도는 5 내지 80%인 것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백꽃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해양 심층수 100중량 부에 대하여 0.1 내지 30중량 부인 것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이 크림, 젤, 로션, 스킨, 연고 또는 비누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20080001068A 2008-01-03 2008-01-03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52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068A KR20090075281A (ko) 2008-01-03 2008-01-03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068A KR20090075281A (ko) 2008-01-03 2008-01-03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281A true KR20090075281A (ko) 2009-07-08

Family

ID=41332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068A KR20090075281A (ko) 2008-01-03 2008-01-03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528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3110A3 (en) * 2010-01-08 2013-01-31 Chanel Parfums Beaute Use of at least one extract of flowers of camellia japonica alba plena for moisturizing the skin
KR101231864B1 (ko) * 2011-03-16 2013-02-08 이종호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85381B1 (ko) * 2010-04-02 2014-04-14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제주워터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3110A3 (en) * 2010-01-08 2013-01-31 Chanel Parfums Beaute Use of at least one extract of flowers of camellia japonica alba plena for moisturizing the skin
US8715651B2 (en) 2010-01-08 2014-05-06 Chanel Parfums Beaute Use of at least one extract of flowers of Camellia japonica alba plena for moisturizing the skin
KR101385381B1 (ko) * 2010-04-02 2014-04-14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제주워터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31864B1 (ko) * 2011-03-16 2013-02-08 이종호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80797A (zh) 一种美白祛斑霜及其制备方法
CN108778240A (zh) 婴儿护肤品
KR101119337B1 (ko)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허브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15702B1 (ko) 해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피부자극 개선 및 완화용조성물
WO2008072941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compounds of natural origin for damaged skin
KR102171133B1 (ko)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4425163B2 (ja) 抗老化化粧料
KR101985354B1 (ko) 여드름 병변 예방 및 개선효과가 있는 한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00010316A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JP5758174B2 (ja) 抗酸化剤、及び抗酸化化粧料
KR101595530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한 경피 흡수 촉진용 리포좀 조성물
CN103260706B (zh) 包含泡桐素和/或泡桐属提取物的组合物及其用途
KR100708236B1 (ko) 피부 수렴효과를 갖는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0702327B1 (ko) 자극완화 효과를 갖는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1732906B1 (ko) 병풀추출물, 목련수피 추출물, 나한백가지 추출물, 유칼립투스잎오일, 보리지씨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진정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10018388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7075177B2 (ja) 化粧料
JP2016027023A (ja) 皮膚外用剤又は化粧料
KR20090075281A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3132B1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50081550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 피부용 저자극 화장료 조성물
KR100723370B1 (ko) 피부 보습 및 항균효과를 갖는 황금 및 황련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38649A (ko)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9528A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