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8303A - 음주 후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또는 피부 부종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음주 후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또는 피부 부종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8303A
KR20160068303A KR1020140173814A KR20140173814A KR20160068303A KR 20160068303 A KR20160068303 A KR 20160068303A KR 1020140173814 A KR1020140173814 A KR 1020140173814A KR 20140173814 A KR20140173814 A KR 20140173814A KR 20160068303 A KR20160068303 A KR 20160068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cosmetic composition
drinking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은
김은하
김영석
최승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40173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8303A/ko
Publication of KR20160068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30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음주 후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또는 피부 부종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수분 보유능이 증가하여 피부 보습 효능이 매우 우수하고, 피부 트러블 완화에 효과적이며, 피부 부종 개선 효과가 탁월하다.

Description

음주 후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또는 피부 부종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dryness, trouble or edema by hangover}
본 발명은 음주 후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또는 피부 부종 등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신체에서 가장 큰 기관을 차지하고 있는 피부는 표피, 진피 및 피하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기관 보호, 체온 조절, 면역 기능, 외부 자극에 대한 장벽기능을 수행한다. 건강한 피부란, 피부 세포의 활동이 왕성하고, 촉촉하고 윤기가 나는 피부, 매끄러운 살결의 피부 등을 일컫는데, 이러한 건강한 피부는 최근 여성뿐만 아니라 연령, 성별, 계층 등에 관계없이 모든 현대인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피부는 환경 영향에 민감하며, 피부 건강은 현대인들의 다양한 생활 습관이나 기호 행동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면상태, 식습관, 음주, 운동, 기호식품, 목욕 및 세안 행태 등에 따라 피부 건강은 달라질 수 있으며 피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피부건강과 관련된 요인들을 파악하여, 관련 요인들을 조절할 필요성이 있다.
피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서도 최근 음주로 인한 현대인들의 피부고민은 증가하고 있다. 각종 스트레스로 지친 현대인들의 음주는 늘어나고 있으나, 과도한 음주로 인한 숙취(hangover)는 여러 질병과 더불어 많은 피부 질환을 야기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숙취 현상은 간세포에 축적된 에탄올이나 아세트알데히드의 독성에 의해 발생한다. 알코올이 체내로 들어가면 알코올은 혈관내로 들어가 간으로 옮겨지게 되고, 간세포에서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로 분해된다. 또한 이것은 다시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에 의해 아세트산으로 분해되어 전신의 근육이나 지방조직으로 옮겨져 최종적으로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된다.
체내의 에탄올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피부 수분은 함께 손실된다. 보통 알코올과 물은 1: 10의 비율로 체내에서 배출되며 이는 피부건조를 발생시킨다. 또한 알코올은 피부 온도를 증가시키고, 혈관을 확장시켜 얼굴을 붉게 만들며, 모세혈관의 수분손실을 증가시켜 피부 건조 및 부종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술을 마시면 일시적으로 체온이 올라가면서 모공이 확장되고 노폐물이 피부 속으로 침투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 등으로 인해 피지선을 자극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유로 피부 트러블을 일으킬 확률이 높아진다.
위의 현상으로 볼 때, 피부 숙취는 음주로 인한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피부 부종을 포함하는 음주 후의 피부 상태 악화 증상으로 정의 내릴 수 있다.
현재, 에탄올의 독성을 경감시키거나 독성의 발현을 저해할 수 있는 많은 물질에 대한 연구와 실험이 진행되고 있으나, 그것은 음료나 건강보조식품 쪽의 개발에 치우쳐 있는 실정이다. 숙취로 인한 피부 증상에 대한 화장료와 관련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며 제품 또한 개발되어있지 않다.
따라서 피부 숙취의 대표적인 증상인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피부 부종을 개선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55056호 (2005.06.10)
본 발명의 목적은 숙취로 인한 대표적인 증상인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또는 피부 부종을 부작용없이 개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보리수 나무 추출물, 동백꽃 추출물, 단호박 추출물, 복숭아꽃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율무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음주 후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리수 나무 추출물, 동백꽃 추출물, 단호박 추출물, 복숭아꽃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율무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음주 후 피부 상태 개선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천연 혼합 추출물을 화장료에 사용하여 피부에 안전하고, 수분 보유능이 증가하여 피부 보습 효능이 우수하며, 피부 트러블 완화에 효과적이고, 피부 부종 개선 효과가 탁월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보리수 나무 추출물, 동백꽃 추출물, 단호박 추출물, 복숭아꽃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율무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음주 후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음주 후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피부 부종 등의 피부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리수 나무 추출물, 동백꽃 추출물, 단호박 추출물, 복숭아꽃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율무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화장료에 사용하여 피부에 도포할 경우 피부 수분 유지능이 뛰어나 피부에 수분이 공급되고 오랜 시간 유지됨으로써 숙취로 인한 건조한 피부를 개선하며,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트러블 완화에 도움을 주며, 피부 부종을 개선하면서도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에 사용하는 보리수 나무(E. umbellata)는 낙엽이 지는 활엽 관목으로서 보리똥 나무라고도 하며, 높이는 3m 가량이다. 열매는 길이 6~8㎜ 정도의 다소 긴 공 모양으로 가을이 되면 붉게 익는데, 그 맛은 시고 달고 떫으며 성질은 평하며 독이 없다. 예로부터, 설사, 목마름, 천식 등에 주로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술독을 푸는데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보리수 나무의 열매를 추출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에 사용하는 동백 나무(Camellia japonica)는 차나무과에 속하는 늘 푸른 작은키나무로 아열대 기후에서만 자생한다. 동백 나무는 다른 식물들이 활동하지 않는 겨울에 타는 듯한 붉은빛의 꽃을 피웠다가 봄이 되어 다른 꽃들이 피기 시작하면 꽃이 지기 시작한다. 동백꽃은 열을 내려 지혈작용을 하고, 어혈을 없애 붓기를 가라앉히는데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동백 나무의 꽃을 추출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에 사용하는 단호박(C. maxima)은 호박 가운데 전분과 미네랄, 비타민 등의 함량이 많고 맛도 좋아 식용으로 재배하는 호박으로, 녹말과 무기염류가 풍부하고, 비타민 B 및 C가 많이 들어 있어 항염 및 항균작용, 면역력 강화의 효과가 있다. 또한 붓기를 가라앉히고 해독작용을 하기 때문에, 부종이 자주 나타나거나 벌에 쏘인 사람에게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에 사용하는 복숭아꽃은 복숭아 나무(Prunus persica (L.) Batsch for. persica)의 꽃으로 4~5월에 잎보다 먼저 백색 또는 담홍색으로 핀다. 예로부터 복숭아꽃은 살결을 부드럽게 하여 피부미용에 좋으며, 몸이 부을 때, 각기병, 생리가 없을 때 등에 효과가 있으며, 담으로 인해 생기는 가래에도 효과가 좋다고 보고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에 사용하는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삼백초과의 그늘진 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땅속 줄기가 옆으로 뻗고 20~50cm 높이로 자라는 줄기는 세로줄이 있으며 검은 자줏빛이 돌고 털이 없다. 전체에서 역겨운 생선 썩은 비린내가 물씬 풍긴다고 하여 어성초라는 이름이 붙여진 약용식물이다. 어성초 속의 풍부한 ?諮「D°?? 이라는 특수 성분이 모세혈관을 확장시키고 피를 맑게 해주며 피부 해독작용을 하므로 어성초를 먹으면 살결이 희어지고 피 트러블이 사라진다고 하여 일본에서는 먹는 미용제라 알려져 있을 정도로 그 효과가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에 사용하는 율무(Coix lacrymajobi var. mayuen (Rom. Caill.) Stapf)는 벼과의 한해살이풀로 높이는 1~1.5m 정도이다. 한약재로 쓰일 때는 의이인(薏苡仁)이라고 한다. 원산지인 동남아시아 열대지역에서는 여러해살이풀이다. 7월에 잎겨드랑이에서 꽃이 피며, 열매는 타원형 각과이다. 씨앗을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하는데, 이뇨, 진통, 강장 작용이 있어서 부종, 방광결석, 류머티즘 등에 이용한다. 또 생잎은 차 대용으로 쓰고, 뿌리는 황달과 신경통을 치료하는 데 쓴다. 최근에는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기도 했으며, 현재는 식용과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며 화장품 등의 분야에도 자주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추출물에 사용하는 병풀(Centella asiatica)은 한반도 남부 섬의 산이나 들에 흔히 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원줄기는 옆으로 뻗고, 뿌리가 내리는 마디 근처에 2개의 퇴화된 비늘 모양의 잎이 있다. 병풀은 화장품에 의한 접촉성 피부염, 기타습진, 소양증, 아토피피부염, 민감성피부, 얼굴당김증, 피부 진정효과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예로부터 해열제, 해독제 등의 민간약으로 널리 사용되어왔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보리수 나무 추출물, 동백꽃 추출물, 단호박 추출물, 복숭아꽃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율무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동량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상기의 추출 재료를 각각 또는 혼합하여 용매 추출하여 분리한 물질을 의미하며, 이때 사용할 수 있는 용매로서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다가 알코올; 또는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저급 알코올, 1,3-부틸렌글라이콜,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을 화장품에 사용하는 경우, 상기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제조되는 화장품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또는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과 같은 화장수; 훼이셜 로션 또는 바디로션 등과 같은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또는 아이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과 같은 메이크업 제거제; 클렌징 폼, 비누, 바디 워쉬 등과 같은 세정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은 상기 혼합 추출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유화제,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또는 지질 소낭 등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 유효성분이 단기간 내에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메이크업 제거제 또는 세정제와 같은 워쉬-오프(wash-off)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농도의 상기 혼합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유효성분이 장기간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화장수, 유액, 크림 또는 에센스 등의 리브-온(leave-on)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워쉬-오프 타입의 화장품에 비해 낮은 농도의 상기 혼합 추출물을 포함해도 무방할 것이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01 내지 30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0.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좋다. 이때,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사용에 따른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화장료 조성물로서 각종 형태의 제제로 적용하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 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무기염류, 색소, 산화방지제, 살균제,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을 피부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유화제,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또는 지질 소낭 등 피부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이 피부 외용제로 제공될 경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 등의 제형일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보리수 나무 추출물, 동백꽃 추출물, 단호박 추출물, 복숭아꽃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율무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의 제조
보리수 열매를 건조시킨 후, 100g을 에탄올 수용액 1L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0시간 끓여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을 진공 증류하여 에탄올은 제거하고 최종 0.45 ㎛ 필터로 여과한 뒤, 글리세린을 첨가하여 농축물 300 mL을 얻었다. 같은 방법으로 동백꽃, 단호박, 복숭아꽃, 어성초, 율무 및 병풀 농축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PGE2 생성 억제 효과
실시예 1의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통한 피부 트러블 완화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PEG2 생성 억제 효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는 COX-활성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Jeffrey, k. h. et al . Analytical Biochemistry, 1999, vol.271, pp.18-28).
사람의 표피 조직에서 분리한 섬유아세포를 수 차례 계대배양한 후, 96-웰 프레이트에 1×105개씩 넣고 24 시간 배양하였다. FBS가 포함되지 않은 배지로 교체하여 2 시간 배양, 인도메타신(indomethacin)을 비교군으로 함께 처리하여 1 시간 동안 배양한 후, 자극원으로 칼슘 이오노포머 A23187(Calcium Ionophore A23187)과 아라키돈산을 50 mM의 농도로 처리하여 37℃에서 5분간 배양하였다.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dodecyltrimethlammonium bromide)를 최종 농도 0.25 %로 10 분간 처리하여 세포를 용혈시키고, 상층액을 적당량 취하여 PGE2의 양을 효소면역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을 이용하여 정량함으로써 상기 추출물의 프로스타글란딘 억제 효과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 PEG 증가 (pg/웰) 억제율 (%)
대조군 (음성대조군) - -
아라키돈산 (양성대조군) 210 -
인도메타신 (양성대조군) 14 93.3
YM 배지 195 7.1
MRS 배지 180 14.3
BL 배지 185 11.9
보리수 나무 추출물 135 35.7
동백꽃 추출물 120 42.9
단호박 추출물 138 34.3
복숭아꽃 추출물 128 39.0
어성초 추출물 118 43.8
율무 추출물 135 35.7
병풀 추출물 119 43.3
7종 혼합 추출물 110 47.6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에 따라 수득한 추출물은 기본배지보다 높은 프로스타글란딘(PGE2) 억제율을 나타내어 COX-2 효소의 유도 작용 또는 활성 억제를 통한 항염증 효능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피부 트러블 완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성분을 모두 혼합한 추출물을 사용할 경우 단일 성분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더욱 우수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2> 및 < 비교예 1> 로션 조성물의 제조
보리수 나무 추출물, 동백꽃 추출물, 단호박 추출물, 복숭아꽃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율무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로션을 제조하고, 비교예로서 어떠한 추출물도 포함하지 않은 로션을 제조하였다. 하기의 표 2에 나타낸 함량 및 성분을 혼합믹서기 탱크에서 교반하고 가열, 탈기 및 냉각 등의 공정을 거쳐 균일하게 혼합하였다(단위: 중량%).
원료명 실시예 2 비교예 1
세테아릴알코올 2 2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1 1
스쿠알란 5 5
아르간오일 2 2
정제수 To 100 To 100
글리세린 7 7
카보머 0.2 0.2
트로메타민 0.18 0.18
EDTA-3Na 적량 적량
방부제 적량 적량
향료 적량 적량
보리수 나무 추출물 0.5 -
동백꽃 추출물 0.5 -
단호박 추출물 0.5 -
복숭아꽃 추출물 0.5 -
어성초 추출물 0.5 -
율무 추출물 0.5 -
병풀 추출물 0.5 -
< 실험예 2> 보습력 평가 실험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에 대하여 피부 보습력을 평가하고 판단하기 위하여 로션 조성물을 피부에 정량을 도포한 후 각질층의 수분 보유량을 측정하고 이를 평가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측정 기기로는 피부수분함량 측정기(스킨 설피스 하이그로미터, skin surface hygrometer, 모델명: SKICON-200, 일본 IBS사 제품)를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25℃, 상대습도 45%의 항온 항습실에서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각각 10명의 피시험자의 팔의 안쪽에 일정량(2 mg/㎠) 도포한 후 잘 문지르고, 평가전의 수분 보유능을 기준으로 1시간과 3시간 후의 수분 증가율(%)을 측정하여 보습 효과를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
측정시간
실시예 2 비교예 1
도포전 0 0
1시간 168 115
3시간 149 81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로션 조성물을 도포한 경우, 비교예 1에 비해 도포 1시간 후 및 3시간 후에 수분 보유 증가율이 훨씬 높아 보습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3> 피부 건조 개선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로션 조성물에 대해 건강한 30세에서 50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피부 건조 개선 효과를 실험하였다.
30세에서 50세까지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오른쪽 손등에는 비교예 1의 로션을, 왼쪽 손등에는 실시예 2의 로션을 1일 2회 2주간 도포하였다. 먼저 시료를 사용하기 전에 피험자의 손등 4 cm × 4 cm 의 면적부분에 대하여 피부에 발생하는 스케일을 건조평가 파라미터로 선정하여 휴대형 현미경으로 손등의 스케일을 측정한 다음, 영상분석기를 통해 스케일의 면적을 측정하였다. 이어서,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로션 조성물을 각각 20명의 피험자의 손등 부위에 2주간 사용하게 한 후에 스케일의 면적을 측정하여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고, 결과 수치는 전체 면적에 대한 스케일 면적의 %로서 나타내었다.
또한, 2주 후 피험자의 설문을 통해서 건조함 개선에 관하여 사용전과 비교하여 개선없음, 약간의 개선, 상당한 개선의 3단계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단위: 명)
시료 측정기간 실시예 2 비교예 1
사용전 15.5 15.5
사용후 3.6 8.3
시료 개선없음(명) 약간의 개선(명) 상당한 개선(명)
실시예 2 3 9 8
비교예 1 15 4 1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7종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2의 조성물이 비교예 1에 비해 스케일 면적이 현저히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7종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2의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비교예 1에 비해 피부 건조가 40 % 내지 85 %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 제품이 피부 건조 개선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4> 항 자극효과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과 자극원(젖산 또는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을 함유한 시료와 각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고 자극원(젖산 또는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만이 함유된 조성물을 건강한 남녀 20 명씩을 선정하여 젖산에 민감한 자극을 보이는 피시험자에게 먼저 비누 세안을 시킨 후 항온 항습실(27℃, 70% 상대습도)에서 15 분간 적응시켰다. 부직포에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각각 등 부위에 각각 일정량(0.2 g)을 24 시간 첩포한 후 핀쳄버를 제거하고 4 시간 경과한 다음 육안으로 피부 상태 변화를 판독하여 비교예 1과 비교하여 항자극 효과가 뚜렷한 효과 있음, 효과 있음, 차이 없음으로 판정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실험물질 뚜렷한 효과(명) 효과 있음(명) 차이 없음(명)
실시예 2 4 12 4
비교예 1 1 4 15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조성물은 피시험자 20 명의 80%인 16명에 대하여 항자극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해 우수한 항자극 효과를 보였다. 또한, 피부 내에서 어떤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아, 상기의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가 안전하고 효과가 매우 뛰어난 항자극 화장료임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5> 부종 개선 실험
실시예 2와 비교예 1의 로션 조성물의 부종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30세에서 50세 여성 중 평소 특발성 부종을 갖고 있는 여성 30명을 무작위로 2개군으로 나누어 실시예 2과 비교예 1의 로션을 매일 아침 저녁 2회씩 적당량을 안면과 손발에 1개월간 연속적으로 바르게 하였다. 부종의 개선 효과는 시험 종료 후 안면과 손발의 개선 효과를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의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다.
아주 유효 유효 약간 유효 무효
실시예 2 8 11 7 4
비교예 1 0 2 5 23
실험 결과,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실시예 2)가 비교예 1에 비하여 뛰어난 부종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를 도포한 부위에서 피부자극 등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 실험예 6> 음주 후 피부 상태 개선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제품에 대해서 음주 후 피부 고민이 있는 20세에서 40세의 성인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음주 후 피부 상태 개선 효과 평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20세에서 40세까지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제품을 각각 음주 후 아침, 저녁으로 이틀간 총 4회 얼굴에 도포하게 하였다. 이틀 후, 피험자의 설문을 통해서 건조함, 트러블 완화, 붓기 완화에 관한 항목들에 대하여 변화 없음, 약간 개선됨, 매우 개선됨의 3단계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8에 나타내었다(단위: 명)
항목 변화 없음 약간 개선됨 매우 개선됨
음주 후 피부 건조함이 개선되었다 실시예 2 5 16 9
비교예 1 23 6 1
음주 후 울굿불긋함이 개선되었다 실시예 2 7 17 6
비교예 1 23 7 0
음주 후 피부 붓기가 완화되는 느낌이다 실시예 2 13 12 5
비교예 1 24 6 0
음주 후 피부 트러블이 개선되었다 실시예 2 7 17 6
비교예 1 24 5 1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7종의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2의 조성물이 비교예 1에 비해 음주 후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피부 부종에 대한 개선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Claims (14)

  1. 보리수 나무 추출물, 동백꽃 추출물, 단호박 추출물, 복숭아꽃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율무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음주 후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음주 후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또는 피부 부종 중 어느 하나의 피부 상태를 개선하는 것인 음주 후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혼합 추출물은 보리수 나무 추출물, 동백꽃 추출물, 단호박 추출물, 복숭아꽃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율무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동량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것인 음주 후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인 음주 후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혼합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음주 후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혼합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음주 후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파우더, 파운데이션 및 세정제 중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형화된 것인 음주 후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보리수 나무 추출물, 동백꽃 추출물, 단호박 추출물, 복숭아꽃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율무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음주 후 피부 상태 개선용 피부 외용제.
  9. 제8항에 있어서,
    피부 외용제는 음주 후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또는 피부 부종 중 어느 하나의 피부 상태를 개선하는 것인 음주 후 피부 상태 개선용 피부 외용제.
  10. 제8항에 있어서,
    혼합 추출물은 보리수 나무 추출물, 동백꽃 추출물, 단호박 추출물, 복숭아꽃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율무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동량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것인 음주 후 피부 상태 개선용 피부 외용제.
  11. 제8항에 있어서,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인 음주 후 피부 상태 개선용 피부 외용제.
  12. 제8항에 있어서,
    혼합 추출물은 피부 외용제 전체 중량 대비 0.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음주 후 피부 상태 개선용 피부 외용제.
  13. 제8항에 있어서,
    혼합 추출물은 피부 외용제 전체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음주 후 피부 상태 개선용 피부 외용제.
  14. 제8항에 있어서,
    피부 외용제는 연고, 패취, 겔, 크림 및 분무제 중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형화된 것인 음주 후 피부 상태 개선용 피부 외용제.

KR1020140173814A 2014-12-05 2014-12-05 음주 후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또는 피부 부종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83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814A KR20160068303A (ko) 2014-12-05 2014-12-05 음주 후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또는 피부 부종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814A KR20160068303A (ko) 2014-12-05 2014-12-05 음주 후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또는 피부 부종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303A true KR20160068303A (ko) 2016-06-15

Family

ID=56135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814A KR20160068303A (ko) 2014-12-05 2014-12-05 음주 후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또는 피부 부종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830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329A (ko) * 2016-11-22 2018-05-30 주식회사 트루자임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발효 조성물
CN108685787A (zh) * 2018-07-10 2018-10-23 广州兰寇化妆品有限公司 保湿护肤组合物以及保湿护肤乳液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5056A (ko) 2003-12-05 2005-06-10 김선재 알코올 분해효소 활성을 증진하는 생약 음료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5056A (ko) 2003-12-05 2005-06-10 김선재 알코올 분해효소 활성을 증진하는 생약 음료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329A (ko) * 2016-11-22 2018-05-30 주식회사 트루자임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발효 조성물
CN108685787A (zh) * 2018-07-10 2018-10-23 广州兰寇化妆品有限公司 保湿护肤组合物以及保湿护肤乳液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1214B2 (en)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complex of herbal extracts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633380B1 (ko) 특정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KR101352363B1 (ko) 현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외용제조성물
AU2002347271B2 (en) Cosmetic composition for human skin and hair care
KR101825704B1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74556B1 (ko) 둥근마, 신선초, 오크라 및 토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101732906B1 (ko) 병풀추출물, 목련수피 추출물, 나한백가지 추출물, 유칼립투스잎오일, 보리지씨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진정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50749B1 (ko)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 항노화 활성,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009766B1 (ko) 하고초 추출물 및 개사철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40410B1 (ko) 마사지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38053B1 (ko) 소루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CN106389259A (zh) 一种活能补水水光精华液
KR20160068303A (ko) 음주 후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또는 피부 부종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0816265B1 (ko)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20190049067A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76179B1 (ko) 타래붓꽃과 참취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타민 c에 의한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24534B1 (ko)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13278477A (zh) 一种美白保湿滋润抑菌的沐浴皂及其制备方法
KR100927970B1 (ko) 능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분비 억제 및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43698A (ko) 탈모 방지 및 두피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150052907A (ko) 도화, 괴화, 대황, 정향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1403B1 (ko) 비자 세라마이드와 울금 및 동백유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104261A (ko) 유자씨 추출물, 미역 추출물 및 아마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