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56676A1 - 퍼플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퍼플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56676A1
WO2018056676A1 PCT/KR2017/010260 KR2017010260W WO2018056676A1 WO 2018056676 A1 WO2018056676 A1 WO 2018056676A1 KR 2017010260 W KR2017010260 W KR 2017010260W WO 2018056676 A1 WO2018056676 A1 WO 201805667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treatment
skin diseases
preven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026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수현
김샛별
Original Assignee
(주)프론트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론트바이오 filed Critical (주)프론트바이오
Priority to US16/335,36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90282650A1/en
Priority to CN201780058121.3A priority patent/CN109715184A/zh
Priority to EP17853390.7A priority patent/EP3517121A4/en
Priority to JP2019516378A priority patent/JP7208892B2/ja
Publication of WO201805667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56676A1/ko
Priority to US17/303,980 priority patent/US2021034645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 A61K31/573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substituted in position 21, e.g. cortisone, dexamethasone, prednisone or aldosterone

Definitions

  • Eczema is a generic term for a group of skin diseases that show common clinical and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early stages of the skin, itching, blisters, erythema, and swelling are observed, and in chronic periods, swelling and blisters are reduced, but wrinkles or thickening of the skin are observed, such as lichenitis, scales, and pigmentation. In general, dermatitis and eczema are used synonymously, but dermatitis is a term that refers to all inflammation. In strict terms, dermatitis has a broader meaning than eczema.
  • steroid preparations are usually used.
  • the symptom may be temporarily improved, but when stopped after continuous use, the side effects of skin diseases become more severe due to recoil phenomenon, and it is also known to cause side effects such as diabetes and hypertens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purple cone extract is effective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skin diseases, and the study of the active substance having the effect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skin diseases was conducted. As a result, when the extract using the organic solvent of the purple cone was obtained it was confirmed that the excellent effect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skin diseases.
  • On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skin diseases having an effect o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skin diseases without side effects by using a natural purple cone extract.
  • Figure 3 is a result showing the relieving effect of itching after 2, 4, 6, 8 days by applying the purple cone extract to the eczema experimental animal model.
  • 14A and 14B are histological evaluation results of dorsal skin lesions by applying purple cone extract to an experimental animal model for preventing and treating psoria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플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퍼플콘 추출물을 이용하여 아토피, 건선, 습진, 각화증, 양진 및 물사마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피부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에 있어 탁월한 효과가 있는 퍼플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퍼플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퍼플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퍼플콘 추출물을 이용하여 아토피, 건선, 습진, 각화증, 양진 및 물사마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피부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에 있어 탁월한 효과가 있는 퍼플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건선(psoriasis)은 만성 재발성 피부 염증 질환으로 은백색의 인설로 덮인 홍반성 구진이 나타난다. 세계 인구의 약 3% (1억2천5백만명)가 건선 환자이며 국내에서도 전 인구의 2% 정도가 해당된다. 건선은 조직학적으로 각질층의 이상 분화를 특징으로 갖는 것으로써, 아직까지 치료가 어려운 대표적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의 하나이다. 따라서, 건선 치료제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습진(eczema)은 공통적인 임상적, 조직학적 특징을 보이는 피부 질환군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피부 증상을 살펴보면 초기에는 주로 가려움과 함께 물집 구진, 홍반, 부기 등이 관찰되며 만성기에는 부기, 물집은 줄어드는 대신 피부 주름이 두드러지거나 피부가 두꺼워지는 태선화, 비늘, 색소침착 등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피부염과 습진은 동의어로 사용되고 있으나, 피부염은 모든 염증을 지칭하는 용어로 엄밀한 정의로는 피부염이 습진보다 더 넓은 의미를 가진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그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환경과 음식 및 유전적 소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 외에 건조한 피부, 정상인보다 쉽게 가려움증을 느끼는 피부, 세균ㆍ바이러스ㆍ곰팡이 등에 의한 감염, 정서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서로 복합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본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가려움증이 가장 중요한 증상으로 대개 피부가 건조하며, 긁게 되면 가려움증이 발진(發疹)으로 이어지고 다시 가려움증을 일으키는 악순환을 하게 된다. 급성기에는 경계가 불확실한 홍반성 구진(紅斑性 丘疹)을 동반하고, 심하면 부종(浮腫), 진물, 찰상, 가피(痂皮), 건조(乾燥), 태선화(苔癬化), 암화(暗化) 등을 보인다. 긁어서 상처가 생기면 포도상 구균에 의한 2차 감염이 있을 수 있고, 농포(膿疱)와 가피(痂皮)가 생긴다. 만성적으로 피부를 반복해서 긁기 때문에 태선화(苔癬化) 현상이 나타나고, 통증을 동반한 균열이 생기기도 하고, 반복적인 자극으로 색소가 침착되어 암화(暗化) 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나, 이러한 병증에 그치지 않고 잦은 재발로 말미암은 의료비 부담 증가, 정상적인 학업 및 사회 활동의 제약, 우울증과 대인기피증, 자살 충동 등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다.
상기에 상술한 피부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스테로이드 제재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스테로이드 제재의 경우 일시적으로 증상의 개선을 엿볼 수 있으나 지속적인 사용 후 중단 시에는 반동현상으로 인하여 피부 질환의 증세가 더욱 심해지는 부작용 있으며, 또한 당뇨병, 고혈압 등의 부작용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7-0013047호는 생약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탄력 증진, 피부보습, 피부미백 및 아토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며, 한국 공개 특허 제 10-2016-0146021호는 병풀 추출물, 목련수피 추출물, 나한백가지 추출물, 유칼립투스오일 및 보리지씨오일과 같은 천연 물질이 함유됨에 따라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피부 진정 효과가 뛰어며 아토피 개선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다.
앞서 상술한 종래기술은 천연물 추출물을 이용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피부질환을 치료에 대한 부작용이 줄어들고 피부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한가지가 아닌 여러가지의 천연물을 혼합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제조단계가 복잡하며, 이에 따라 제조비용이 올라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른 화학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하므로, 온전한 천연물질을 사용하지 않아 혼합된 화학물질로 인하여 2차 피부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퍼플콘 추출물을 함유한 약제학적 조성물이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고,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를 가지는 활성물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퍼플콘의 유기용매를 이용한 추출물을 수득한 경우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퍼플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구체예가 도면을 참조로 기재된다.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 다양한 특이적 상세사항, 예컨대, 특이적 형태, 조성물 및 공정 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정의 구체예는 이들 특이적 상세 사항 중 하나 이상 없이, 또는 다른 공지된 방법 및 형태와 함께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공지된 공정 및 제조 기술은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특정의 상세사항으로 기재되지 않는다. "한 가지 구체예" 또는 "구체예"에 대한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한 참조는 구체예와 결부되어 기재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친 다양한 위치에서 표현된 "한 가지 구체예에서" 또는 "구체예"의 상황은 반드시 본 발명의 동일한 구체예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추가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서 어떠한 적합한 방법으로 조합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특별한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과학적 및 기술적인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퍼플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퍼플콘은 퍼플콘 속대 또는 종실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퍼플콘(Purple corn, Zea mays L.)”이란, 옥수수의 속대 또는 종실의 색이 짙은 빛깔을 띠는 옥수수를 총칭하는 의미이며, 적색뿐만 아니라 자색, 갈색, 남색 또는 검정색 등의 빛깔이 나는 경우도 포괄한다. 퍼플콘의 명칭은 지역이나 분류, 방언의 영향 등으로 다양하게 호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퍼플콘은 적색, 자색, 갈색, 녹색, 남색 및 검정색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색을 가진 옥수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피부 질환은 아토피, 건선, 습진, 각화증, 양진 및 물사마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피부 질환은 건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피부 질환은 습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피부 질환은 아토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 (extract)"은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의미하며, 여기서는 퍼플콘의 속대 또는 종실로부터 분리된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이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피부 질환을 억제하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피부 질환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퍼플콘은 벼과(Graminese)에 속하는 1년생 식물로, 주로 라틴 아메리카의 페루에서 수천 년 전부터 재배되어 왔다. 또한, 퍼플콘은 식이섬유소, 폴리페놀, 식물성 스테롤, 토코페놀 유도체 및 카로티노이드 등의 다양한 기능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상기 폴리페놀 중 하나인 안토시아닌(anthocyanin)을 주요성분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안토시아닌은 폴리페놀류의 수용성 플라보노이드(flavonoid)계 적색색소의 일종으로 항비만, 항당뇨, 및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 건강기능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퍼플콘은 특히 옥수수 전체가 자색을 띄는 품종으로서, 품종이 특이하여 알곡이 소량 달리고, 잎을 제외한 전체 부위가 자색인 옥수수이다.
"건선(psoriasis)"은 은백색의 비늘로 덮여 있고, 경계가 뚜렷하며 크기가 다양한 붉은색의 구진이나 판을 이루는 발진이 전신의 피부에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피부병으로, 조직학적으로 표피의 각질세포의 증식과 진피의 염증을 특징으로 한다.
"습진(eczema)"은 공통적인 임상적, 조직학적 특징을 보이는 피부 질환군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임상적으로 가려움증, 홍반, 비늘과 군집된 구진, 수포를 보이고, 조직학적으로는 표재성 피부염으로서 표피에는 해면화를 동반하며 진피에는 혈관 주변에 염증세포가 침윤된 염증성 피부반응을 보이는 피부질환군을 통칭한다.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은 주로 유아기 혹은 소아기에 시작되는 만성적이고 재발성의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소양증(가려움증)과 피부건조증, 특징적인 습진을 동반하는 피부염을 말한다. 초기에는 주로 가려움과 함께 수포, 구진, 홍반, 부종 등이 관찰되며 만성기에는 부종, 수포는 줄어드는 대신 피부 주름이 두드러지거나 피부가 두꺼워지는 태선화, 비늘, 색소침착 등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아토피 피부염과 습진은 동의어로 사용되고 있으나, 피부염은 모든 염증을 지칭하는 용어로, 엄밀한 정의로는 피부염이 습진보다 더 넓은 의미를 가진다.
"각화증(keratosis)"이란 피부 표피의 최상층에 있는 각질층이 증식, 변화하여 까칠까칠해지거나 굳어지는 피부병"을 말한다. 표피의 각질이 증식할 뿐만 아니라, 때로는 털주머니의 각층이 표피의 각층보다도 심하게 증식하여 구진을 형성하는 수가 있다. 각질은 표피세포가 각화하여 생기는 것으로, 정상적인 각화과정에서는 각층에 세포핵을 발견할 수 없다. 그런데 각질증식의 경우에는 세포핵이 잘 염색되어 존재한다.
"양진(prurigo)"은 가려움이 심한 신경성 피부질환으로서, 헤브라 양진이 대표적인 것이다. 이 밖에 15~30세인 사람에게 잘 발생하고 재빨리 쇠퇴하는 안창과 비슷한 급성양진을 비롯하여, 만성화하는 심상성 양진, 완고한 두드러기와 같은 것으로 보이는 결절성 양진, 임신 3~4개월에 사지의 바깥쪽에 나타나서 점차 중증으로 되는 임신성 양진 등이 있다. 임신성 양진은 경산부에 나타나는데, 출산과 동시에 치유된다.
"물사마귀(wart)"는 면역력 저하로 인한 바이러스(HPV, human papillomavirus)감염을 원인으로 하며, 2~5 mm 정도의 작은 반구형으로 표면이 매끄럽고 색깔은 피부색 또는 분홍색으로서 중앙 부분에 움푹하게 들어간 모양을 가지며, 얼굴, 손등, 발등, 몸 부위, 항문, 성기 주위, 입술, 점막 또는 두피 등에 종종 발생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상기 추출물이 피부 각질층의 이상 분화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상기 퍼플콘 추출물은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발효법 및 포제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법으로 수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매 추출법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매 추출법을 사용하는 것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 과정을 통하여 퍼플콘 내 포함된 유효성분을 더 많이 수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유기용매는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조제 또는 첨가제가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추가적을 포함되는 첨가제의 종류와 양은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바에 따른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보강제 및 부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의 경구투여제; 및 멸균된 주사용액으로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및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의 비경구 투여제 등의 형태로 적용 형태에 알맞게 제형화 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복강 내 투여, 정맥 투여, 동맥 투여, 근육 내 투여, 골내 투여, 자궁 내 투여, 경막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비내 투여, 폐 내 투여, 직장 내 투여, 뇌혈관 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감염된 바이러스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퍼플콘 추출물은 분말 또는 추출물의 형태로, 고형분 기준으로 총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퍼플콘 추출물이 전체 조성물에 대해 0.001 중량% 미만이면 상기 퍼플콘 추출물의 유효 성분이 매우 적어 효과를 나타낼 수 없으며, 상기 퍼플콘 추출물이 전체 조성물에 대해 90 중량% 초과하면 상기 퍼플콘 추출물 내 포함된 유효성분 외의 물질에 의해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대한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퍼플콘을 건조시켜 분쇄하는 단계; 분쇄물을 물,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물을 감압 하에 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유기용매는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건조는 일광 건조, 열풍 건조, 증발 건조, 분무 건조, 동결 건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건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건조는 동결 건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효과는 천연물질인 퍼플콘 추출물을 이용함으로써 부작용 없이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를 가지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퍼플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 각질층의 이상 분화를 억제 시킬 수 있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퍼플콘 추출물을 습진 환자에게 적용하여 2주 복용한 경과를 치료 전(A)과 후(B)로 나누어 보여주는 피부 사진이다.
도 2는 퍼플콘 추출물을 습진 실험동물 모델에 적용하여 8일 후 피부 병변의 완화 효과에 대해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퍼플콘 추출물을 습진 실험동물 모델에 적용하여 2, 4, 6, 8일 후 가려움증의 완화 효과에 대해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4는 퍼플콘 추출물을 습진 실험동물 모델에 적용하여 8일 후 혈액을 채취하고 혈청을 분리하여 습진의 중요한 바이오마커인 IgE의 수치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5a 내지 5c는 퍼플콘 추출물을 건선 치료용 실험동물 모델에 적용하여 피부병변의 홍반, 각질, 두께 등의 건선의 임상적 변화에 대한 효능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6은 퍼플콘 추출물을 건선 치료용 실험동물 모델에 적용하여 피부 병변의 완화 효과에 대하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a 및 7b는 퍼플콘 추출물을 건선 치료용 실험동물 모델에 적용하여 귀쪽 피부 병변의 홍반, 두께 등의 건선의 임상적 변화에 대한 효능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8a 및 8b는 퍼플콘 추출물을 건선 치료용 실험동물 모델에 적용하여 등쪽 피부 병변의 조직학적 평가 결과 이다.
도 9는 퍼플콘 추출물을 건선 치료용 실험동물 모델에 적용하여 해부 후, 귀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이다.
도 10a 내지 10d는 퍼플콘 추출물을 건선 치료용 실험동물 모델에 적용하여, 비장을 적출 한 후, A는 도움 T세포(helper T cell), B는 세포독성 T세포(cytotoxic T cells), C는 regulatory T 세포 (CD4+CD25+) 및 D는 CD11c세포의 비율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11a 내지 11c는 퍼플콘 추출물을 건선의 예방 및 치료용 실험동물 모델에 적용하여 피부병변의 홍반, 각질, 두께 등의 건선의 임상적 변화에 대한 효능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12은 퍼플콘 추출물을 건선의 예방 및 치료용 실험동물 모델에 적용하여 피부 병변의 완화 효과에 대하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3a 및 13b는 퍼플콘 추출물을 건선의 예방 및 치료용 실험동물 모델에 적용하여 귀쪽 피부 병변의 홍반, 두께 등의 건선의 임상적 변화에 대한 효능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14a 및 14b는 퍼플콘 추출물을 건선의 예방 및 치료용 실험동물 모델에 적용하여 등쪽 피부 병변의 조직학적 평가 결과이다.
도 15a 내지 15d는 퍼플콘 추출물을 건선의 예방 및 치료용 실험동물 모델에 적용하여 귀쪽 피부 병변의 조직학적 평가 결과이다.
본 발명은 퍼플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1. 퍼플콘 추출물의 제조
퍼플콘 [품종명: 퍼플콘(purple corn) (Zeamays. L)]는 옥수수 시험장(대한민국, 강원도)으로부터 제공받았다. 건조시킨 퍼플콘 5kg을 분쇄하고, 유리 챔버에서 30L의 30% 에탄올-물 용액과 혼합하여, 20시간 동안 실온에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모아 모델 EYELA N-1000 회전증발기 (Tokyo Rikakikai, Tokyo, Japan)를 사용하여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냉동 건조시켰다 (수율: 410g, 8.2%). 건조시킨 추출물은 아래 실험에서 사용하기 전까지 -20℃에 보관하였다.
실험예 1. 피부 각질층의 이상 분화 억제에 관한 평가
손에 습진을 가진 환자 3명을 모집하여 상기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퍼플콘 추출물을 2주 동안 1일 1회씩 복용하였다. 2주 후, 각 환자의 손 사진을 촬영하여 손에 발생한 피부 각질층의 이상 분화에 대한 변화를 확인하였다(도 1).
상기 도 1과 같이, 환자 3명 모두 습진이 호전되었으며, 가장 심한 습진을 가진 환자 2는 갈라지고 붉게 올라온 증상이 모두 사라졌다. 이에 따라 퍼플콘 추출물에 의해 피부 각질층의 이상 분화를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실험동물 모델을 이용한 습진(아토피) 피부 병변의 완화에 대한 평가
먼저, 실험동물(BALB/C MOUSE)을 펜토바비탈로 마취 후 털을 제거하였다. 1% 2,4-디니트로클로로벤젠(2.4-dinitrochlorobenzen, DNCB)를 아세톤(아세톤:올리브오일=4:1)에 녹인 용액을 6일동안 1일 2회 150ul씩 거즈 위에 투여 후 패치(patch)로 실험동물 피부 위에 부착하여 습진을 유발하였다. 그 다음, 마취 후 100ul의 1% 2,4-디니트로클로로벤젠을 1일 2회씩 거즈 위에 투여하여 패치로 제작하였다. 이를 피부 위에 부착하여 습진(아토피)을 유발하였다. 다음, 하기 표 1과 같이, 각 실험군의 실험동물 모델에 8일간 1일 2회 경구 투여하였다. 도 2에 습진에 대한 피부 병변의 상태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냈다.
구분 경구투여 조성물
정상대조군 살린(saline)
대조군 살린(saline)
양성대조군 3mg/kg의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실험군 1 10mg/kg의 퍼플콘 추출물
실험군 2 30mg/kg의 퍼플콘 추출물
상기 도 2와 같이,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퍼플콘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실험군 1 및 2의 피부에 발생한 습진(아토피)에 대한 증상이 완화되었다. 또한, 퍼플콘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양성대조군과 동일하게 실험군 1 및 2에서 습진의 증상이 완화되었다.
실험예 3. 실험동물 모델을 이용한 습진(아토피)에 따른 가려움 억제 효능 평가
습진으로 인한 가려움을 억제시키는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실험예 2와 같이 습진을 유발시킨 실험동물 모델에 상기 표 1과 같이 경구투여하면서, 2, 4, 6, 8 일째 긁는(scratching) 횟수를 측정하여 도 3에 나타냈다.
상기 도 3과 같이, 4일째에 대조군은 가장 긁는 횟수가 높았다. 이때 실험군 2는 대조군에 비해 50% 정도 긁는 횟수가 적었다. 반면 6일째에 양성대조군은 가장 긁는 횟수가 높았다. 이때 실험군 1 및 2는 양성대조군에 비해 긁는 횟수가 낮게 나타냈다. 이에 따라 퍼플콘 추출물에 의하여 가려움 증상이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실험동물 모델을 이용한 습진(아토피)의 바이오마커 IgE의 수치 측정
상기 실험예 2를 마친 후, 각 실험군의 실험동물 모델의 피부 조직을 2등분으로 채취하였다. 1조각은 4%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 at pH 7.4)로 고정하고, 나머지 1조각은 냉동보관 하였다. 그 다음, 혈액을 채취하여 바이오마커 IgE의 수치를 측정하여 도 4에 나타냈다.
상기 도 4와 같이, 실험군 1 및 2는 현재 시판하고 있는 약물인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을 투여한 양성대조군과 동일한 수준으로 IgE 의 수치가 낮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건선 치료용 실험동물 모델을 이용한 퍼플콘 추출물에 대한 건선 치료 효과에 관한 평가
1. 건선 치료용 실험동물 모델 준비
건선은 2009년 van der Fits 등에 의해 발표된 방법인 이미퀴모드 크림(Imiquimod cream, IMQ)으로 유도하였다. 실험동물은 7주령의 마우스(BALB/C MOUSE)를 실험 동물실에서 7일간 사육, 순화 시킨 후 사용하였다. 사육실의 온도는 20.9 ~ 22.6℃, 상대습도 50 ~ 55%, 조명주기 12시간(08:00-20:00)으로 조절하고, 물과 식이는 자유롭게 급여하였다. 실험동물의 등 털을 제모크림(Veet, Oxy Reckitt Benckiser, Cedex, France)을 이용하여 제모하였다. 등과 귀의 임상적인 증상을 고려하여 하기 표 2와 같이, 실험동물 모델을 4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제모 다음 날부터, 정상대조군을 제외한 나머지 실험군의 실험동물은 62.5mg의 이미퀴모드 크림을 매일 등과 오른쪽 귀에 6일간 도포하였다. 이때, 정상대조군은 매일 62.5mg씩 등과 오른쪽 귀에 바세린을 도포하였다.
구분 이미퀴모드 크림 도포 여부
정상대조군 X
대조군 O
실험군 1 O
실험군 2 O
2. 건선 치료용 실험동물 모델을 이용한 퍼플콘 추출물에 대한 피부 병변의 임상적 평가
상기 건선 치료용 실험동물 모델의 4개의 실험군은 하기 표 3과 같이 7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이때, 상기 정상대조군과 대조군은 동량의 생리식염수를 경구투여 하였다. 상기 퍼플콘 추출물은 생리식염수에 녹여 사용하였다.
구분 경구투여 조성물
정상대조군 생리식염수
대조군 생리식염수
실험군 1 10mg/kg의 퍼플콘 추출물
실험군 2 30mg/kg의 퍼플콘 추출물
또한, 상기 건선 치료용 실험동물 모델의 4개의 실험군은 7일간 피부 병변의 홍반(erythema), 두께(thickness) 및 인설(scaliness)의 임상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피부 병변의 정도(clinical Skin Severity Score)의 측정은 건선평가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상적 육안 평가법을 이용하였다. 즉, 육안평가 항목으로 홍반, 두께 및 인설을 측정하였고, 홍반 및 인설은 실험 유경험자 3인 이상이 각각 실시하여 다음의 기준에 따라 증상 없음(0점), 증상 약함(1점), 중증도(2점), 심함(3점), 매우 심함(4점)으로 채점한 후, 평균 값으로 나타내었다. 두께는 켈리퍼(calip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의 결과를 도 5 내지 도8에 나타냈다.
상기 도 5와 같이, 등 피부의 홍반, 두께 및 인설의 정도가 이미퀴모드 크림 도포 6일 후에 최고치를 나타내었고, 모든 실험동물에서 이미퀴모드 크림의 도포를 멈춤에 따라 홍반, 두께, 인설의 정도가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군 1 및 실험군2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홍반, 두께, 인설의 정도가 감소가 유의적으로 낮았다. 또한, 경구투여한 퍼플콘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홍반, 두께 및 인설의 정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퍼플콘 추출물 투여 7일째, 실험군2에서는 정상대조군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낼 정도로 건선의 증상이 호전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도 6은 건선을 유발시킨 실험동물 모델에 퍼플콘 추출물을 투여하여 피부 병변의 완화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으로, 이미퀴모드 크림을 도포하고 생리식염수만을 투여한 대조군의 등 피부에는 각질, 홍반 등이 관찰되었다. 반면 퍼플콘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 1 및 실험군2의 등 피부에는 각질과 홍반의 정도가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퍼플콘 추출물이 건선치료에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도 7과 같이, 오른쪽 귀 피부의 홍반 및 두께의 정도는 등 피부의 임상적 평가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즉 이미퀴모드 크림 도포 6일 후에 홍반과 두께가 가장 증가하였고, 대조군의 경우 7일 내지 8일 후에 홍반과 두께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퍼플콘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실험군 1 및 실험군 2에서는 퍼플콘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직후에 홍반 및 두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3. 건선 치료용 실험동물 모델을 이용한 퍼플콘 추출물에 대한 피부 병변의 조직학적 평가
각 실험군의 실험동물을 해부한 후, 등 피부의 일부를 적출하여 헤마톡실린-에오신 (hematoxylin & eosin, H&E) 염색을 통한 조직학적으로 관찰 하였다. 이의 결과를 도 8 및 도 9에 나타냈다.
상기 도 8과 같이, 정상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대조군의 실험동물은 건선의 대표적인 특징의 하나인 표피(epidermis)의 두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 실험군1 및 실험군2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대조군에서 관찰되는 염증세포의 축적이 퍼플콘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동물의 등 피부에서는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도 9는 귀의 염증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귀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로, 실험군 1 및 2는 대조군에 비해 귀의 무게가 가벼웠다.
4. 건선 치료용 실험동물 모델을 이용한 퍼플콘 추출물에 대한 비장 및 비장 림프구의 변화 평가
건선 모델의 경우 비장세포의 도움 T세포(helper T cell)와 세포독성 T세포(cytotoxic T cells)의 비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퍼플콘 추출물이 비장 및 비장 림프구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실험동물로부터 비장을 적출하고, RPMI 1640 medium(Hyclone, Utah, USA) 내에서 40μm 스텐레스 스틸 매쉬(stainless steel mesh, BD Falcon)를 이용하여 비장을 분쇄하여 단일세포로 만들었다. 분쇄된 단일세포용액에 RPMI 1640 medium을 첨가하여 4℃하에서 1200 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 후, 적혈구 용해 버퍼(RBC lysis buffer, eBIOSCIENCE)로 적혈구를 제거하여 림프구를 얻었다. 얻은 림프구에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100 units/mL 페니시린 (penicillin), 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이 함유된 complete RPMI 1640 medium을 첨가하여 부유시킨 후, Muse Count & Viability Assay Kit와 Muse Cell Analyzer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세포의 수를 바탕으로 비장세포 부유 액을 5×105 cells/tube의 농도로 조제하고 PE-anti CD4/FITC-anti CD3 monoclonal antibody, PE-anti CD4/FITC-anti CD8αmonoclonal antibody, PE-anti CD25/FITC-anti CD4 monoclonal antibody, CD11c-PE monoclonal antibody를 첨가하고 차광상태로 4℃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형광활성 세포분류기(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ing, FACS)를 이용하여 비장세포의 아집단 비율을 측정하였다. 이의 결과 도 10에 나타냈다.
상기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대조군은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여 도움 T세포(helper T cell)와 세포독성 T세포(cytotoxic T cells)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고, 이러한 감소가 퍼플콘 추출물의 투여에 의해 유의적으로 회복됨을 관찰하였다(도 10 A, B). 또한 일반적으로 면역억제 활성을 가지고 있는 regulatory T 세포 (CD4+CD25+)의 비율이 퍼플콘의 투여에 의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도 10 C). 건선으로 인하여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는 비장의 CD11c세포의 비율은 모든 실험군이 유사한 비율을 나타냈다(도 10 D). 이에 따라 퍼플콘 추출물은 비장의 T세포의 비율의 변화에 기인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건선 예방 및 치료용 실험동물 모델을 이용한 퍼플콘 추출물에 대한 건선 치료 효과에 관한 평가
1. 건선 예방 및 치료용 실험동물 모델 준비
건선은 2009년 van der Fits 등에 의해 발표된 방법인 이미퀴모드 크림(imiquimod cream)으로 유도하였다. 실험동물은 7주령의 마우스(BALB/C MOUSE)를 실험 동물실에서 7일간 사육, 순화 시킨 후 사용하였다. 사육실의 온도는 20.9 ~ 22.6℃, 상대습도 50 ~ 55%, 조명주기 12시간(08:00-20:00)으로 조절하였다. 실험동물의 등 털을 제모크림(Veet, Oxy Reckitt Benckiser, Cedex, France)을 이용하여 제모하였다. 등과 귀의 임상적인 증상을 고려하여, 실험동물 모델을 정상대조군, 대조군, 실험군1 및 실험군 2로 나눴다. 제모 다음 날부터, 정상대조군을 제외한 나머지 실험군의 실험동물은 62.5mg의 이미퀴모드 크림을 매일 등과 오른쪽 귀에 6일간 도포하였다. 이때, 정상대조군은 매일 62.5mg씩 등과 오른쪽 귀에 바세린을 도포하였다. 또한, 이미퀴모드 크림 도포와 동시에 하기 표 4와 같이 매일 경구투여 하였다. 이때, 상기 정상대조군과 대조군은 동량의 생리식염수를 경구투여 하였다. 상기 퍼플콘 추출물은 생리식염수에 녹여 사용하였다.
구분 이미퀴모드 크림 도포 여부 경구투여 조성물
정상대조군 X 생리식염수
대조군 O 생리식염수
실험군 1 O 10mg/kg의 퍼플콘 추출물
실험군 2 O 30mg/kg의 퍼플콘 추출물
2. 건선 예방 및 치료용 실험동물 모델을 이용한 퍼플콘 추출물에 대한 피부 병변의 임상적 평가
상기 건선 예방 및 치료용 실험동물 모델의 4개의 실험군은 7일간 피부 병변의 홍반(erythema), 두께(thickness) 및 인설(scaliness)의 임상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피부 병변의 정도(clinical Skin Severity Score)의 측정은 건선평가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상적 육안 평가법을 이용하였다. 즉, 육안평가 항목으로 홍반, 두께 및 인설을 측정하였고, 홍반 및 인설은 실험 유경험자 3인 이상이 각각 실시하여 다음의 기준에 따라 증상 없음(0점), 증상 약함(1점), 중증도(2점), 심함(3점), 매우 심함(4점)으로 채점한 후, 평균 값으로 나타내었다. 두께는 켈리퍼(calip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의 결과를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냈다.
상기 도 11와 같이, 모든 실험동물의 등 피부에 대한 홍반(도 11 A), 두께(도 11 B), 인설(도 11 C)의 정도가 이미퀴모드 크림 도포 이후 증가하였다. 그러나, 퍼플콘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 1 및 실험군 2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홍반, 두께, 인설의 정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상기 도 12는 이미퀴모드 크림을 도포하고 생리식염수만을 처치한 대조군의 등 피부에는 정도가 심한 각질, 홍반 등이 관찰되었다. 반면 퍼플콘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 1 및 실험군 2의 등 피부에는 각질과 홍반의 정도가 대조군에 비해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냈다. 이의 결과로 퍼플콘 추출물이 건선 예방 및 치료에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상기 도 13과 같이, 오른쪽 귀 피부의 홍반 및 두께의 정도는 등 피부의 임상적 평가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퍼플콘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실험군 1및 실험군 2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귀의 홍반 및 두께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나타냈다.
3. 건선 치료용 실험동물 모델을 이용한 퍼플콘 추출물에 대한 피부 병변의 조직학적 평가
각 실험군의 실험동물을 해부한 후, 등 및 귀 피부의 일부를 적출하여 헤마톡실린-에오신 (hematoxylin & eosin, H&E) 염색을 통한 조직학적으로 관찰 하였다. 이의 결과를 도 14 및 도 15에 나타냈다.
상기 도 14와 같이,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이미퀴모드 크림을 도포한 대조군의 경우 건선의 대표적인 특징의 하나인 등 피부에 대한 표피의 두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 퍼플콘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실험군 1 및 실험군 2에서는 등 피부에 대한 표피의 두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상기 도 15에서 볼 수 있듯이, 대조군은 이미퀴모드 크림의 도포로 인하여 염증반응을 유발시켜, 귀 피부의 두께 및 표피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대조군은 많은 염증세포의 침전이 관찰하였다. 반면 퍼플콘 추출물의 경구 투여한 실험군 1 및 2는 염증반응의 정도를 완화시켜 귀 피부의 두께 및 표피의 두께가 감소하는 것을 보였다. 또한, 상기 실험군 1 및 2는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염증세포의 침전 정도가 낮았다. 특히 상기 실험군 2는 대조군에 비해 염증세포의 침전 정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도 15는 귀의 염증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귀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로, 실험군 1 및 2는 대조군에 비해 귀의 무게가 가벼웠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퍼플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퍼플콘 추출물을 이용하여 아토피, 건선, 습진, 각화증, 양진 및 물사마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피부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에 있어 탁월한 효과가 있는 퍼플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Claims (18)

  1. 퍼플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질환은 아토피, 건선, 습진, 각화증, 양진 및 물사마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질환은 건선인,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질환은 습진인,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질환은 아토피인,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퍼플콘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해 0.001 내지 90.0 중량%로 함유되어 있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피부 각질층의 이상 분화를 억제시키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퍼플콘 추출물은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발효법 및 포제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법으로 수득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추출법은 물,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인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보조제 또는 첨가제가 추가로 포함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2. 제 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제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캡슐제, 시럽 및 에멀젼 형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제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보강제 및 부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제제.
  15. 퍼플콘을 건조시켜 분쇄하는 단계;
    분쇄물을 물,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물을 감압 하에 농축한 후, 건조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항에 따른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인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일광 건조, 열풍 건조, 증발 건조, 분무 건조, 동결 건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건조인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동결 건조인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PCT/KR2017/010260 2016-09-22 2017-09-19 퍼플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WO2018056676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335,364 US20190282650A1 (en) 2016-09-22 2017-09-19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urple corn extrac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skin disease
CN201780058121.3A CN109715184A (zh) 2016-09-22 2017-09-19 含有紫玉米提取物的皮肤疾病的预防或治疗用药剂学组合物
EP17853390.7A EP3517121A4 (en) 2016-09-22 2017-09-19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PURPLE COR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 SKIN DISEASE
JP2019516378A JP7208892B2 (ja) 2016-09-22 2017-09-19 パープルコーン抽出物を含む皮膚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用薬剤学的組成物
US17/303,980 US20210346455A1 (en) 2016-09-22 2021-06-11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urple corn extrac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skin dise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597 2016-09-22
KR20160121597 2016-09-22
KR1020170028264A KR101839109B1 (ko) 2016-09-22 2017-03-06 퍼플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17-0028264 2017-03-06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6/335,364 A-371-Of-International US20190282650A1 (en) 2016-09-22 2017-09-19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urple corn extrac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skin disease
US17/303,980 Division US20210346455A1 (en) 2016-09-22 2021-06-11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urple corn extrac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skin disea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56676A1 true WO2018056676A1 (ko) 2018-03-29

Family

ID=61659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0260 WO2018056676A1 (ko) 2016-09-22 2017-09-19 퍼플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90282650A1 (ko)
EP (1) EP3517121A4 (ko)
JP (2) JP7208892B2 (ko)
KR (1) KR101839109B1 (ko)
CN (1) CN109715184A (ko)
WO (1) WO20180566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167B1 (ko) * 2019-04-26 2019-09-27 주식회사 미립 피부 보습 및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8488A (ja) * 2001-05-14 2002-11-27 Nippon Shokuhin Kako Co Ltd 抗アレルギー組成物
KR100729833B1 (ko) * 2007-02-02 2007-06-19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012118B1 (ko) * 2008-05-08 2011-02-07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옥수수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43590A (ko) * 2013-06-07 2014-12-1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백장미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피로갈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150071969A (ko) * 2013-12-19 2015-06-29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60146021A (ko) 2015-06-11 2016-12-21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병풀추출물, 목련수피 추출물, 나한백가지 추출물, 유칼립투스잎오일, 보리지씨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진정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13047A (ko) 2015-07-27 2017-02-06 유상기 생약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탄력 증진, 피부보습, 피부미백 및 아토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195915B (en) * 1984-09-21 1988-08-29 Tibor Keri Cosmetic preparation of skin regenerating and hydrating effect
HU205860B (en) * 1990-08-24 1992-07-28 Biogal Gyogyszergyar Process for producing pharmaceutical compositiojns for topical treating psoriasis
AU2000258901A1 (en) * 2000-04-06 2001-10-23 Nicholas V. Perricone Treatment of skin damage using olive oil polyphenols
ITMI20020756A1 (it) * 2002-04-09 2003-10-09 Sinclair Pharma S R L Composizioni farmaceutiche topiche per il trattamento delle dermatiti
MXPA05010400A (es) * 2003-04-04 2006-03-21 Cellmics Co Ltd Composicion para evitar o tratar una enfermedad alergica utilizando extracto de arroz negro y su uso terapeutico.
CN101439160A (zh) 2007-11-21 2009-05-27 龙井民康生物制品厂 玉米提取物防治肿瘤的用途
FR2925326B1 (fr) * 2007-12-21 2010-02-26 Vincience Utilisation d'un hydrolysat de mais en tant que principe actif activateur de la synthese des aquaporines
CN102477028A (zh) * 2010-11-25 2012-05-30 邹长根 一种紫玉米花青素的提取技术
CN105294635A (zh) * 2015-11-19 2016-02-03 中国海洋大学 一种从紫玉米中提取花青素的方法
JP7093310B2 (ja) * 2016-05-18 2022-06-29 アミリ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外因性ランディングパッドへの核酸のゲノム組込み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8488A (ja) * 2001-05-14 2002-11-27 Nippon Shokuhin Kako Co Ltd 抗アレルギー組成物
KR100729833B1 (ko) * 2007-02-02 2007-06-19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012118B1 (ko) * 2008-05-08 2011-02-07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옥수수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43590A (ko) * 2013-06-07 2014-12-1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백장미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피로갈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150071969A (ko) * 2013-12-19 2015-06-29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60146021A (ko) 2015-06-11 2016-12-21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병풀추출물, 목련수피 추출물, 나한백가지 추출물, 유칼립투스잎오일, 보리지씨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진정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13047A (ko) 2015-07-27 2017-02-06 유상기 생약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탄력 증진, 피부보습, 피부미백 및 아토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517121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08892B2 (ja) 2023-01-19
JP2019532941A (ja) 2019-11-14
US20190282650A1 (en) 2019-09-19
JP2021176888A (ja) 2021-11-11
KR101839109B1 (ko) 2018-03-15
EP3517121A1 (en) 2019-07-31
CN109715184A (zh) 2019-05-03
US20210346455A1 (en) 2021-11-11
EP3517121A4 (en) 202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303460B2 (en) Process for extracting cardiac glycodides and compositions
KR102257524B1 (ko) 피부 진정 및 재생효과를 지니는 병풀 유래 엑소좀 함유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53761B1 (ko) 노각나무 추출물 및 그 용도
WO2010058926A2 (ko) 생강 추출물 또는 쇼가올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O2013089449A1 (ko) 홍삼 먹인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6080691A1 (ko) 노린재나무 및 황기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4025148A1 (ko)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과를 갖는 육종용 및 후코이단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056676A1 (ko) 퍼플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EP3134099B1 (en) Anti-candida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WO2018230942A1 (ko) 호장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0077093A9 (ko) 에리스로포이에틴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1794935B1 (ko) 4'-o-메틸알피눔 이소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9103571A1 (ko) 대나물 지상부 추출물 및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20090116063A (ko) 돼지태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WO2020166773A1 (ko)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국소 지방 분해용 조성물
WO2014051296A1 (ko) 청미래덩굴의 뿌리줄기인 토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을 위한 약학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조성물
WO2023055060A1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
WO2023055053A1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
WO2023055056A1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
EP3284471B1 (en) Composition for wound treatment containing extract ofstellera chamaejasme
WO2023055051A1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
WO2023055055A1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
WO2022211396A1 (ko) 배암차즈기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RU2584245C2 (ru) Противовирусная композиция
KR20100000026A (ko) 돼지 태반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5339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516378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853390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