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118B1 - 옥수수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옥수수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118B1
KR101012118B1 KR1020080042652A KR20080042652A KR101012118B1 KR 101012118 B1 KR101012118 B1 KR 101012118B1 KR 1020080042652 A KR1020080042652 A KR 1020080042652A KR 20080042652 A KR20080042652 A KR 20080042652A KR 101012118 B1 KR101012118 B1 KR 101012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smetic composition
putrescine
corn bran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6864A (ko
Inventor
윤경섭
김미진
임경란
최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Priority to KR1020080042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118B1/ko
Publication of KR20090116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1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수수겨추출물, 특히 폴리아민 컨쥬게이트인 디페루로일푸트레신, 쿠마로일페루로일프트레신 및 디쿠마로일푸트레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물로서 피부 부작용이 없을 뿐만 아니라,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뛰어나다.
옥수수겨추출물, 주름개선, 폴리아민 컨쥬게이트

Description

옥수수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rn bran-containing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
본 발명은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자극이 없어 안전하면서도 피부의 주름개선과 관련된 항산화효과, 세포증식효과, 콜라겐합성효과 및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콜라게나아제의 발현 저해효과에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다양한 외부자극과 접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다른 기관들에 비해 주름이 발생하기 쉽다. 그 중에서도 얼굴 피부는 태양광선, 건조 외기, 공해 물질 등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어 그렇지 않은 피부보다 주름 현상이 조기에 발생한다.
피부조직의 노화에 따른 가장 특징적인 변화는 피부기질(matrix)의 변화로서, 진피층에 있는 섬유아세포(human skin fibroblast)가 노화되어 섬유질과 기질의 생성능력이 줄어들게 된다. 기질의 양이 전반적으로 감소하여 피부의 두께가 얇아지며 피부의 탄력을 저하시켜 주름이 형성된다. 즉,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피부는 탄력성의 저하, 혈액순환의 장애, 피부 장벽의 약화 등이 심해지게 된다.
이와 함께,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세포 손상의 주원인인 자유라디칼(free radical),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활성카르보닐화합물 유래의 라디칼종 등이 생성된다. 이들은 DNA의 손상을 유발하고, 세포막구조를 공격하여 노화반점을 발생시키며, 피부를 촉촉하고 부드러우며 유연하게 탄력을 유지시키는 교원질과 섬유질을 공격하여 주름생성을 가속화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자유라디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항산화제를 투여하면 피부 주름개선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모든 항산화제가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피부 주름개선 효과의 평가를 위해서는 세포증식효과, 콜라겐합성효과, 콜라게나아제 발현 저해효과 등을 확인해 보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외부환경 또는 내부기작에 의하여 발생하는 피부 주름을 줄이기 위하여 많은 화장품이 연구되고 있다. 최근 화장품 개발에 있어 천연물을 이용하여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고, 화학적 합성에 의한 화장품이 피부에 미치는 독성 작용을 최소화하면서 부작용을 줄이고, 피부의 각종 증상을 치료하는 효과까지 갖춘 순수 한방 처방을 이용한 한방 화장품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부 자극이 없어 안전하며,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옥수수겨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디페루로일푸트레신(N,N'-Diferuloylputrescine), 쿠마로일페루로일프트레신(N-p-Coumaroyl-N'-feruloylputrescine) 및 디쿠마로일푸트레신(N,N'-Dicoumaroylputrescin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옥수수겨추출물, 특히 옥수수겨로부터 분리 추출한 하이드록시신나믹애씨드 유도체 중의 폴리아민 컨쥬게이트인 디페루로일푸트레신(N,N'-Diferuloylputrescine, DFP), 쿠마로일페루로일프트레신(N-p-Coumaroyl-N'-feruloylputrescine, CFP) 및 디쿠마로일푸트레신(N,N'-Dicoumaroylputrescine, DCP)가 피부의 주름개선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발견에 기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옥수수겨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디페루로일푸트레신, 쿠마로일페루로일프트레신 및 디쿠마로일푸트레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디페루로일푸트레신, 쿠마로일페루로일프트레신 및 디쿠마로일푸트레신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화학적 합성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옥수수겨로부 터 추출 및 정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옥수수겨추출물, 특히, 디페루로일푸트레신, 쿠마로일페루로일프트레신 및 디쿠마로일푸트레신의 총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001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기초화장용 또는 메이크업용 제품류인 화장수류, 에센스류, 오일류, 크림류, 파우더류, 팩류, 파운데이션류, 메이크업베이스류, 스틱류 등의 제형으로 제조되어 이용될 수 있다.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고체상 등 다양한 성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통상적인 화장료 제조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시 안전하며,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뛰어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옥수수의 여러 품종 중 오목씨(馬齒種, Dent corn; Zea mays indendata) 종의 옥수수겨를 사용하였다. 오목씨는 알의 맨 윗부분이 오목하 게 들어가서 그 모양이 말 이빨처럼 닮았기 때문에 오목 또는 마치종이라고 부른다.
<실시예 1 내지 7>
국내에서 재배한 마치종 옥수수의 건조분말화 옥수수겨로부터 폴리아민 컨쥬게이트의 추출분리 및 정제를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분말 옥수수겨(2 kg)를 노르말-헥산으로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탈지한 후 얻어진 탈지박을 80% 에탄올수용액(40 L)을 가하여 초음파기에서 연속적으로 추출한 후 여과 및 농축하여 에탄올추출물을 얻었다(65.6 g, 실시예 1). 에탄올추출물을 다시 80% 메탄올수용액으로 용해한 후 노르말-헥산으로 분획하여 탈지하고 얻어진 하층을 부분 감압농축한 후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노르말-부탄올 용매를 가하여 순차적으로 분획농축하여 디클로로메탄추출물(4.92 g), 에틸아세테이트추출물(1.44 g)과 노르말-부탄올추출물(9.34 g)을 각각 얻었다(실시예 2 내지 4).
다음, 디클로로메탄추출물은 실리카겔 60 (70~230 mesh, Merck)을 이용하여 헥산-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트리플루오로초산(200:200:100:0.1, v/v) 혼합용매로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200개 분획으로 나누어 용출하고 각 분획을 실리카겔 코팅된 TLC(precoated silica gel TLC)를 이용하여 분리된 성분을 확인한 다음 같은 성분을 모아 16개 분획물을 얻었다. 이 분획물 중 13 분획을 60% 메탄올수용액으로 녹인 후 60% 메탄올수용액을 이동상으로 하여 ODS-A 칼럼크로마토그래피와 80% 메탄올수용액을 이동상으로 하여 Sephadex LH-20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순차적 으로 실시하여 DCP를 분리하였으며(13.6 mg, 실시예 5), 다음 분획 14와 분획 16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용매 분획 및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CFP 및 DFP를 각각 분리 및 정제하였다(28.8 mg, 156.3 mg, 실시예 6 및 7). 각 실시예에 따른 옥수수겨추출물의 수득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추출 실시예 수득량
1 65.6 g
2 4.92 g
3 1.44 g
4 9.34 g
5 (DCP) 13.6 mg
6 (CFP) 28.8 mg
7 (DFP) 156.3 mg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물질이 갖는 항산화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실험(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est)을 행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실험은 Kim 등(Kor. J. Pharmacogn., 24(4), 299~303, 1993)의 방법을 변형한 것으로서 안정한 자유라디칼인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 Sigma사) 시약을 사용하였다.
먼저, 0.2 mM DPPH 용액 1 mL에 상기 추출 실시예에 따라 수득된 각각의 시료를 메탄올에 적당한 농도로 희석하여 2 mL 혼합하고,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한편, 상기 자유라디칼소거실험에서의 대조군은 시료용액 대신 메탄올을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며, DPPH 용액 대신 메탄올을 넣어 실시예 각각에 대한 색 보정값을 얻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율을 수치로 계산하였으며, 실험은 각각 3회 반복하여 하기 표 2에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서, SC50은 자유라디칼 소거율 50%를 달성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료의 농도로서 다른 성분물질과 상대적으로 비교할 때 사용하는 수치로서 값이 작을수록 소거율이 높음을 나타낸다.
활성산소 소거실험은 Noro 등(Chem. Pharm. Bull., 31, 3984~3987, 1983)의 방법을 변형한 것으로 활성산소(superoxide anion)의 소거활성 평가는 잔틴/잔틴옥시다제(xanthine/xanthine oxidase)효소반응에 의한 활성산소 발생계를 이용하여 활성산소에 의한 니트로블루 테트라졸리움(nitroblue tetrazolim, NBT)의 산화에 의한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Na2CO3 2.4 mL, 잔틴 0.1 mL, EDTA 0.1 mL, BSA 0.1 mL, NBT 0.1 mL 및 시료 0.1 mL을 넣고 잘 혼합하여 25℃에서 10분간 정치하였다. 잔틴옥시다제 0.1 mL을 넣고 25℃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6 mM CuCl2를 넣어 반응을 정지시켰다. 광파장 5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한편, 상기 활성산소 소거활성실험에서의 대조군은 시료용액 대신 정제수를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며, 잔틴옥시다제 용액 대신 정제수를 넣어 실시예 각각에 대한 색 보정값을 얻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활성산소 소거율을 수치로 계산하였으며, 실험은 각각 3회 반복하여 하기 표 2에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서 IC50은 활성산소소거율 50%를 달성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료의 농도로서 다른 성분물질과 상대적으로 비교할 때 사용하는 수치로서 값이 작을수록 소거율이 높음을 나타낸다.
Figure 112008032725539-pat00001
Figure 112008032725539-pat00002
구분 SC50(ug/mL) IC50(ug/mL)
실시예 1 79.4 ± 2.9 -
실시예 2 34.8 ± 0.4 -
실시예 3 51.6 ± 2.7 -
실시예 4 161.1 ± 2.9 -
실시예 5 40.5 ± 0.6 550.2 ± 10.4
실시예 6 34.3 ± 1.0 488.0 ± 20.1
실시예 7 30.5 ± 0.7 291.6 ± 4.8
상기 표 2에 나타낸 결과와 같이, 용매에 따른 분획물인 실시예 1 내지 4에서는 실시예 2가 우수한 자유라디칼 소거효과를 보였으며, 폴리아민 컨쥬게이트를 포함한 추출물인 실시예 5 내지 7에서는 실시예 7이 자유라디칼 및 활성산소 소거실험에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본 발명의 상기 각 추출 실시예에서 우수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낸 실시예 5 내지 7에서 제조한 옥수수겨추출물에 대하여 섬유아세포의 증식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정상 사람 섬유아세포(normal human fibroblast)를 이용하여 MTT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예에 사용된 정상 사람 섬유아세포는 코씨드바이오팜으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세포를 10% 소혈청을 첨가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Jeil Biotechservices)에 1×104 세포의 밀도로 접종하고 하루 동안 5% CO2, 37℃에서 배양시켰다. 추출물 시료를 농도별로 시럼을 함유하지 않은 배지에 희석하여 처리한다. 1일간 배양 후에 세포 염색용 염료인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을 처리 후, 4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염색결정체를 디메틸설폭시드(dimethy sulfoxide)로 녹여내어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상대 비교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추출물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배양액을 사용하였으며, 비교물질로는 아스코르빈산을 사용하였다. 하기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세포의 생존능력을 수치로 계산하였으며, 실험은 각각 3회 반복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추출물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세포증식효과(%)를 100으로 할 때의 상대적인 세포증식효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32725539-pat00003
실험물질(ug/mL) 세포증식효과(%)
실시예 5 1
10
100
1000
102.3 ± 2.3
104.1 ± 2.1
107.5 ± 2.4
75.2 ± 3.7
실시예 6 1
10
100
1000
100.6 ± 1.8
104.7 ± 2.2
109.5 ± 2.9
74.8 ± 2.5
실시예 7 1
10
100
1000
101.2 ± 2.1
106.2 ± 2.0
111.3 ± 2.5
72.3 ± 4.2
아스코르빈산 1
10
100
1000
105.0 ± 1.7
107.0 ± 2.8
107.7 ± 2.0
18.5 ± 1.8
상기 표 3에 나타낸 결과와 같이 실시예 5 내지 7은 비교물질인 아스코르빈산에 비해 섬유아세포 증식효과가 우수하였으며, 특히 실시예 7은 효과가 좀 더 양호하였다. 또한 시료 1 mg/mL 농도까지 섬유아세포 생존력이 70% 이상으로 유지되어 아스코르빈산에 비해 안전성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본 발명의 상기 각 추출 실시예에서 우수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낸 실시예 5 내지 7에서 제조한 옥수수겨추출물에 대하여 피부 주름개선의 효과를 검정하는 콜라겐합성능을 섬유아세포의 배양에 의해 측정하였다. 실험예 2와 동일한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를 24-웰 마이크로플레이트(24-well micro plate)에 1×105 세포/웰의 농도로 접종시키고 37℃,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추출 실시예 5 내지 7에서 수득한 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한 혈청이 함유되지 않은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콜라겐합성량은 효소면역측정법(ELISA;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24시간 배양한 배지를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분주하여 4℃에서 하룻밤 동안 코팅하였다. 세척 버퍼(PBS)로 3회 세척하고 블로킹용액(5% skin milk)을 첨가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블로킹하였다. 블로킹용액을 버리고 세척 버퍼로 3회 세척하고, 일차 항체(rabbit anti-collagen type I)를 PBS에 희석하여 100 uL 씩 첨가하여 37℃에서 90분 동안 반응시켰다. 세척 버퍼로 3회 세척한 다음, 이차 항체(anti-rabbit IgG 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를 PBS에 희석하여 100 uL 씩 첨가하여 37℃에서 90분 반응시켰다. 세척 버퍼로 3회 세척 후, 기질용액(alkaline phosphatase substrate solution)을 100 uL 씩 넣고 실온에서 발색시킨 후, ELISA 리더(EL800, Bio-Tek Instruments, Inc.)를 사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값은 아래 수학식 4에 의해 콜라겐합성효과로 나타내었다. 이때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 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비교물질로 아스코르빈산을 설정하여, 각각 3회씩 실시하여 평균±표준오차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32725539-pat00004
실험물질(ug/mL) 콜라겐 합성효과(%)
실시예 5 0
0.1
1
10
100
100
101.2 ± 2.4
103.7 ± 3.2
108.2 ± 3.9
121.4 ± 2.7
실시예 6 0
0.1
1
10
100
100
102.7 ± 3.2
111.8 ± 2.6
120.1 ± 3.3
133.2 ± 4.4
실시예 7 0
0.1
1
10
100
100
105.3 ± 2.3
109.5 ± 3.1
118.1 ± 4.0
136.8 ± 3.1
아스코르빈산 0
0.1
1
10
100
100
97.9 ± 3.3
97.7 ± 3.2
115.5 ± 3.1
122.3 ± 5.7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5 내지 7은 100 ug/mL 농도에서 콜라겐 합성이 약 21~37% 증가하였으며, 콜라겐 합성효과가 우수한 물질로 알려진 아스코르빈산과 유사하거나, 아스코르빈산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4>
본 발명의 상기 각 추출 실시예에서 우수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낸 실시예 5 내지 7에서 제조한 옥수수겨추출물에 대하여 피부 주름개선의 효과를 검정하는 콜라게나아제(MMP-1) 발현 저해효과를 섬유아세포의 배양에 의해 측정하였다. 실험예 2와 동일한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를 24-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접종시키고(1×105 세포/웰) 37℃,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자외선 챔버를 이용하여 배양한 섬유아세포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UV-A를 조사한 후 시료가 첨가된 배지로 교환하여 48시간 배양한 다음 배지를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분주하여 4℃에서 하룻밤 동안 코팅하였다. 세척 버퍼(PBS)로 3회 세척하고 블로킹용액(5% skin milk)을 첨가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블로킹하였다. 블로킹용액을 버리고 세척 버퍼로 3회 세척하고, 일차 항체(mouse anti-MMP-1)를 PBS에 희석하여 100 uL씩 가하여 37℃에서 90분 동안 반응시켰다. 세척 버퍼로 3회 세척한 다음, 이차 항체(anti-mouse IgG 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를 PBS에 희석하여 100 uL씩 첨가하여 37℃에서 90분 반응시켰다. 세척 버퍼로 3회 세척 후, 기질용액(alkaline phosphatase substrate solution)을 100 uL씩 넣고 실온에서 발색시킨 후, ELISA 리더를 사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값은 아래 수학식 5에 의해 콜라게나아제 발현 저해정도를 나타내었다. 이때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 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비교물질로 올레아놀릭애씨드를 설정하여, 각각 3회씩 실시하여 평균±표준오차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32725539-pat00005
실험물질(ug/mL) 콜라게나아제 발현 저해효과(%)
실시예 5 0
1
10
100
93.2 ± 1.7
89.2 ± 1.6
실시예 6 0
1
10
100
90.5 ± 1.3
86.0 ± 1.2
실시예 7 0
1
10
100
89.1 ± 1.5
86.9 ± 1.1
올레아놀릭애씨드 0
1
10
100
92.3 ± 1.2
87.9 ± 2.2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5 내지 7은 콜라게나아제 합성 저해물질로 잘 알려진 올레아놀릭애씨드와 유사한 정도로 콜라게나아제 합성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제형예 1>
상기 실시예 5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 물질을 함유한 유연화장수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6과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성분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한편, 하기 표 6의 각 성분 번호로 구별된 성분 중에서, 먼저 성분 1(정제수)에 성분 2를 교반 분산시킨 후, 성분 3 내지 5를 가하고, 성분 7 내지 10을 성분 6에 용해시켜 혼합하는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제형예로서는 성분 10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 구성이나 그 제조방법은 동일하게 진행하여 제조하였다.
번호 성분 제형예 1 비교제형예 1
1 정제수 잔량 잔량
2 카보머 0.1 0.1
3 부틸렌글라이콜 2.0 2.0
4 글리세린 1.0 1.0
5 피이지-1500 0.5 0.5
6 에탄올 8.0 8.0
7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0.2 0.2
8 트리에탄올아민 0.1 0.1
9 방부제 미량 미량
10 실시예 5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 물질 0.1 -
<제형예 2>
상기 실시예 6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 물질을 함유한 탄력로션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7과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성분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한편, 하기 표 7의 각 성분 번호로 구별된 성분 중에서, 먼저 유상부인 성분 1 내지 7을 70℃의 온도에서 가열 용해시킨 다음, 성분 8 내지 11을 성분 12에 용해 분산시켜 70℃로 가열한 것에 유화한다. 이후, 상기 유화한 것을 성분 13으로 중화하고, 56℃의 온도로 냉각한 후, 미리 성분 14를 분취한 성분 8에 용해시킨 것을 첨가하여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제형예로서는 성분 14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 구성이나 그 제조방법은 동일하게 진행하여 제조하였다.
번호 성분 제형예 2 비교제형예 2
1 세테아릴알코올 1.0 1.0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1.0 1.0
3 폴리소르베이트 60 1.0 1.0
4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3 0.3
5 세틸옥타노에이트 6.0 6.0
6 스쿠알란 4.0 4.0
7 아프리코드커넬오일 4.0 4.0
8 부틸렌글라이콜 5.0 5.0
9 카보머 0.1 0.1
10 산탄검 0.03 0.03
11 방부제 미량 미량
12 정제수 잔량 잔량
13 아르기닌 0.1 0.1
14 실시예 6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 물질 0.3 -
<제형예 3>
상기 실시예 7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 물질을 함유한 탄력크림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8과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성분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한편, 하기 표 8의 각 성분 번호로 구별된 성분 중에서, 먼저 유상부인 성분 1 내지 7을 70℃의 온도에서 가열 용해시킨 다음, 성분 9 내지 12를 성분 13에 용해 분산시켜 70℃로 가열한 것에 유화한다. 이후, 상기 유화한 것을 56℃의 온도로 냉각한 후, 미리 성분 14를 분취한 성분 9에 용해시킨 것을 첨가하여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제형예로서는 성분 14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 구성이나 그 제조방법은 동일하게 진행하여 제조하였다.
번호 성분 제형예 3 비교제형예 3
1 세테아릴알코올 1.0 1.0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1.0 1.0
3 폴리소르베이트 60 1.0 1.0
4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3 0.3
5 세틸옥타노에이트 6.0 6.0
6 스쿠알란 8.0 4.0
7 아프리코드커넬오일 4.0 4.0
8 디메치콘 2.0 2.0
9 부틸렌글라이콜 10.0 10.0
10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4 0.4
11 산탄검 0.03 0.03
12 방부제 미량 미량
13 정제수 잔량 잔량
14 실시예 7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 물질 2.0 -
<실험예 5>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주름개선효과 및 피부자극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제형예 3과 제형 비교제형예 3에서 제조된 영양크림을 이용하여 관능실험을 실시하였다.
관능실험은 피부의 주름개선효과 항목에 대하여는 비교제형예 3의 탄력크림을 기준으로 제형예 3의 영양크림이 나타내는 주름개선효과를 상대적으로 평가하게 하였고, 피부자극에 대한 관능평가는 피부의 가려움, 따가움 및 홍반 등의 현상을 평가하게 하였다. 평가는 매우 우수(5점), 우수(3점), 보통(0점), 나쁨(-3점), 매우 나쁨(-5점)의 오점법 기준에 의거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9에서 피부자극은 피부자극이 없는 정도를 나타낸다.
번호 피부자극 주름개선효과
제형예 3 비교제형예 3
1 5 5 5
2 5 5 5
3 4 5 5
4 4 4 4
5 5 5 4
6 5 5 4
7 4 4 4
8 4 4 4
9 5 5 5
10 5 5 5
11 4 4 4
12 5 5 5
13 4 4 4
14 5 5 5
15 4 4 4
16 5 5 5
17 4 4 4
18 4 4 4
19 5 5 5
20 5 5 5
평균 4.48 4.52 4.50
상기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형예 3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피부자극 평가점수는 4.48점으로 매우 양호하게 평가되어, 비교제형예 3과 마찬가지로 피부자극 정도가 낮아 피부 안전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제형예 3 대비 제형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이 가진 상대적인 피부의 주름개선효과는 평가점수 4.50점으로 개선 정도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3)

  1. 디페루로일푸트레신(N,N'-Diferuloylputrescine), 쿠마로일페루로일프트레신(N-p-Coumaroyl-N'-feruloylputrescine) 및 디쿠마로일푸트레신(N,N'-Dicoumaroylputrescin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페루로일푸트레신, 쿠마로일페루로일프트레신 및 디쿠마로일푸트레신은 옥수수겨로부터 분리 및 정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디페루로일푸트레신, 쿠마로일페루로일프트레신 및 디쿠마로일푸트레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옥수수겨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042652A 2008-05-08 2008-05-08 옥수수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12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652A KR101012118B1 (ko) 2008-05-08 2008-05-08 옥수수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652A KR101012118B1 (ko) 2008-05-08 2008-05-08 옥수수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864A KR20090116864A (ko) 2009-11-12
KR101012118B1 true KR101012118B1 (ko) 2011-02-07

Family

ID=41601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652A KR101012118B1 (ko) 2008-05-08 2008-05-08 옥수수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1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337B1 (ko) 2013-12-19 2015-12-11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WO2018056676A1 (ko) * 2016-09-22 2018-03-29 (주)프론트바이오 퍼플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614182B1 (ko) 2023-06-16 2023-12-15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옥수수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833B1 (ko) * 2007-02-02 2007-06-19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833B1 (ko) * 2007-02-02 2007-06-19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337B1 (ko) 2013-12-19 2015-12-11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WO2018056676A1 (ko) * 2016-09-22 2018-03-29 (주)프론트바이오 퍼플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614182B1 (ko) 2023-06-16 2023-12-15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옥수수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864A (ko) 200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450B1 (ko)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8647610B2 (en) Use of melanin biosynthesis inhibitors from korean ginseng and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reof for skin whitening
JP2020532560A (ja) 鉄皮石斛(デンドロビウム・カンディダム)花の抽出物を含む化粧料組成物
KR101824770B1 (ko) 적하수오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JP2021519806A (ja) トリシン含量が増加した真菰草酵素処理抽出物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美白、しわ改善、抗炎症、抗アレルギー、保湿用組成物
KR101012118B1 (ko) 옥수수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23171950A (ja)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KR102154927B1 (ko) 클로로겐산, 페룰산, 레스베라트롤 및 스트렙토코쿠스 테르모필루스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587077B1 (ko) 피부 생리활성을 가지는 백년초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00550B1 (ko) 신갈나무 화분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아민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0903654B1 (ko) 하고초 추출물과 아데노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62B1 (ko) 미백개선과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배 캘러스와 유자 캘러스 소재
KR102310366B1 (ko) 시아니딘글루코사이드 및 낫토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18595B1 (ko) 토마티딘을 함유하는 미숙 토마토 분해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16400B1 (ko) 천화분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외용제 조성물
KR101550309B1 (ko) 미숙 토마토 발효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00018139A (ko) 돌나물 추출물 및 리포익산-peg 콘쥬게이트를 함유하는피부외용제 조성물
US11684564B2 (en)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taining taraxacum coreanum phytoplacenta culture extract that has moisturizing and soothing effects for extremely dry skin such as atopic dermatitis, and skin barrier strengthening effect
KR20030067545A (ko) 베툴린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452586B1 (ko) 노화세포 회춘용 조성물
JP6969760B2 (ja) 毛髪の成長を促進させる組成物
KR20190063600A (ko) 홍해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605467B1 (ko) 자주개자리씨 유래 당단백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6744537B2 (ja) 毛髪の成長を促進させる組成物
KR20120004620A (ko) 항산화 및 세포 손상 보호 효능을 갖는 비수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