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7545A - 베툴린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베툴린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7545A
KR20030067545A KR1020030007451A KR20030007451A KR20030067545A KR 20030067545 A KR20030067545 A KR 20030067545A KR 1020030007451 A KR1020030007451 A KR 1020030007451A KR 20030007451 A KR20030007451 A KR 20030007451A KR 20030067545 A KR20030067545 A KR 20030067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etulin
skin
collage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7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6424B1 (ko
Inventor
김종헌
엄상용
정의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참 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참 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참 존
Publication of KR20030067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7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4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툴린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베툴린을 화장료 조성물의 총 건조중량에 대하여 0.0001∼3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1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베툴린은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효과와 뛰어난 세포 재생 및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를 나타내며, 이를 함유하는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또한 우수한 세포 재생 및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베툴린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The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betuli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본 발명은 하기식 (1)의 베툴린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우리 일상 생활과 깊이 관련되어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인류의 문명이 발달하기 전 화장의 목적은 자연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것이었으나, 과학과 문명의 발달과 더불어 화장의 목적은 신체를 청결하게 하고 아름답게 하며, 또한 노화를 지연시켜 아름답고 쾌적한 생활을 하게 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화장품의 기능은 청결과 미적 기능뿐만 아니라, 수분, 공해 물질과 스트레스, 자외선 등의 외적인 요인과 면역세포의 기능저하, 세포 활성의 저하 등의 내적 요인에 기인한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활성산소, 과산화물 등에 의한 단백질, 핵산, 세포막 지질 파괴 등의 피부 노화의 원인을 제거하거나 억제하는 것이다. 또한, 소비자의 고기능 화장품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미백, 피부주름 개선 및 억제, 그리고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화장품들이 계속해서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주름 개선 및 억제 제품은 보다 젊음을 유지하려는 소비자의 많은 관심을 받는 대상이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는 내, 외적인 환경에 의하여 수분, 탄력성, 색 및 윤기를 잃고 거칠어진다. 이것을 피부 노화라고 하며, 기미, 주름, 주근깨 등이 많아지는 과정이다. 젊은 사람의 피부는 탄력성이 좋다. 특히, 아이 때는 체내에 콜라겐(Collagen)이 많아서 온몸이 매끌매끌하다. 나이가 들면 콜라겐이 부족하거나 질이 저하되어 피부는 탄력을 잃고 주름이 생기게 된다. 피부의 주름은 피부의 수분 함유량과 콜라겐의 함유량 그리고 면역 기능 등의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으며, 이 중에서도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콜라겐의 함유량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콜라겐은 피부의 진피층에 존재하며 전체 피부 건조중량의 약 70%를 차지한다. 피부의 탄력은 이 콜라겐과 엘라스틴(Elastin, 탄력섬유)에 의해서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콜라겐 분자는 파이브로블라스트(Fibroblast) 내에서 만들어지며, 이들이 세포 밖으로 분비된 후에 3중 나선 구조를 형성한다. 콜라겐의 주된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인 견고성 유지, 결합 조직의 저항력 및 조직의 결합력강화, 세포 접착의 지탱, 세포 분할 및 분화의 유도 등이 알려졌다(Van der Rest 등, 1990). 이러한 콜라겐은 자연 노화에 의한 세포 활성의 감소 및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의 활성으로 인한 내적 요인 및 공해, 자외선, 스트레스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한 활성산소 및 자유 라디칼의 증가로 인해 감소하게 된다(Ingrid Emerit 등, Free radical and aging, 1992).
일반적으로 80세에는 20세에 비해 65%의 콜라겐이 감소하여 피부의 두께가 얇아지고, 이는 피부의 주름 형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Arthur K. Balin 등, Aging and the skin, 1989). 또한 근래에는 피부 노화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피부에서 콜라겐의 중요성이 한층 강조되고 있다. 피부내 콜라겐의 합성촉진에 의해 콜라겐 대사가 활발해지면 진피 기질의 성분이 증가됨으로 이로부터 주름개선, 탄력증진, 피부강화 및 상처 치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종래에는 콜라겐을 화장품에 배합하여 제품화 하였다. 그러나 이들 화장품은 콜라겐을 피부 표면에 도포하는 것으로서, 고분자인 콜라겐의 경피 흡수가 어려워 그 기능을 기대할 수 없다. 또한 근래에는 피부의 진피에 직접 콜라겐을 주입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방법 역시 부작용으로 인해 올바른 피부 주름의 개선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최근에는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콜라겐 합성 촉진물질로는 레티노익 산(Retinoic acid),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일본특허 특개평 8-231370)등이 알려졌다. 그러나, 레티노익 산은 불안정하여 제형 기술이 복잡하며, 피부에 자극과 발적 등의 안전성 문제로 인해 사용에 한계가 있고,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은 광우병에 의한 소 적출물의 사용이 금지되고 있으므로 실질적인 피부 콜라겐의 합성 촉진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생체에 안전하고 사용의 간편성이 있으며 또한 제형상 안정성이 높고 우수한 콜라겐 생성 촉진효과를 갖는, 새로운 콜라겐 생성 촉진물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체에 안전하고 제형상 안정성이 높으며 또한 우수한 콜라겐 생성 촉진효과를 갖는 새로운 물질의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하던 중, 기존 항암 및 함염효과를 갖는 물질로 알려진 베툴린이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및 콜라겐 합성 촉진에 있어서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며, 배합시 안정성 또한 뛰어나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베툴린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베툴린과 베툴린 표준물질(Betulin, SIGMA B-9757)의 박층크로마토 그라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베툴린 표준물질의 IR 스펙트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베툴린의 IR 스펙트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베툴린 표준물질(Betulin, SIGMA B-9757)의 HPLC 스펙트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베툴린의 HPLC 스펙트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처방예 3의 영양크림과 대조군의 주름개선효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a는 대조군의 사용 전에 피검자의 시험부위에 대하여 제작한 레플리카(Replica)의 사진이다.
도 7b는 대조군의 사용 후에 피검자의 시험부위에 대하여 제작한 레플리카(Replica)의 사진이다.
도 7c는 처방예 3의 영양크림의 사용 전에 피검자의 시험부위에 대하여 제작한 레플리카(Replica)의 사진이다.
도 7d는 처방예 3의 영양크림의 사용 후에 피검자의 시험부위에 대하여 제작한 레플리카(Replica)의 사진이다.
본 발명은 베툴린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베툴린을 화장료 조성물 총 건조중량에 대하여 0.0001∼3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1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베툴린은 칼 제라시(Carl Djerassi) 등이 멕시코 및 남미 지역의 식물로부터 분리하여 그 존재를 확인한 바가 있으며(J.Am.Chem.Soc 78, 2312 ~ 2315(1956)), 또한 일본 유기화합물 데이터 베이스인 SDBS(integrated spectral database system for organic compounds, http://www.aist.go.jp/RIODB/SDBS)에 분석 결과가 있고, 자작나무 껍질에서의 베툴린 분리(Duke, J.A., Writeups or information summaries on approximately 2,000 economic plants, USDA, ARS, Beltsville, MD 20705)와 항암, 항염 등의 효과도 연구되었다(Recio, M., et al. Investigation on the Steroidal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riterpenoids from Diospyros leucomelas, Planta Medica, 61:9(1994)). 그러나, 베툴린의 콜라겐 생성촉진 효과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본 발명의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엣센스, 팩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에 있어서, 상기한 베툴린 외에 다른 성분들을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자작나무 껍질 1㎏을 에탄올 5ℓ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회전 감압 농축기로 건조시킨 후 메탄올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용액을 활성탄으로 처리하여 와트만(Whatman) 여과지, GF/C 여과지, 멤브레인 여과지(Millipore 사 제품)로 여과한 후 감압 농축기로 건조시키고, 이후 정제수를 가하여 현탁시켰다. 이 현탁액을 냉장 보관을 하여 침전물을 얻었다. 이 침전물을 90% 메탄올에 용해시켜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 그래피로 분리하여 목적 화합물질인 베툴린을 얻었다.
추출 분리한 베툴린을 하기의 방법들로 베툴린 표준품(Sigma 시약 B 9757)과 비교 분석하였다.
(1) 박층크로마토그라피:
1. 베툴린 표준물질(Betulin, SIGMA B-9757) 2. 추출 베툴린 시료
3. 베툴린 표준물질(Betulin, SIGMA B-9757) 4. 추출 베툴린 시료
5. 베툴린 표준물질(Betulin, SIGMA B-9757) 6. 추출 베툴린 시료
조건: TLC, 고정상 : 실리카겔 60 F254(MERCK 1.05554),
이동상 : N-핵산(노르말핵산) : 에틸아세테이트(2:1),
발색 : 10% 황산을 분사 후 가열
(2) FT-IR(JASCO FT-IR 410, KBr 디스크(disc))
(3)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라피(HPLC)
조건: 장치(System) : 워터스(Waters) 486 UV 205nm
컬럼 : 캅셀 팩(Capcell pak) C18UG120 4.6 ×250㎜(Shiseido),
이동상 : 90% 메탄올,
온도 : 40℃,
주입 부피량(Injection Vol.) : 20㎕
유속 : 1.0㎖/분
실행시간(Run Time) : 10분
(4) 융점 측정기(전열기(Electrotherma) 9300)
목적 화합물질의 TLC, IR, HPLC, 융점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TLC(Rf 값) FT-IR HPLC 융점
표준물질 추출베툴린 표준물질 추출베툴린 표준물질 추출베툴린 표준물질 추출베툴린
0.32 0.32 3444.23075.92942.82870.51644.01483.91453.11389.41374.01336.41301.71245.71188.91136.81105.91081.81035.51009.5983.5971.9879.3545.7 3440.33073.02942.82870.51643.01483.91453.11387.51375.01343.11298.81246.71188.91132.91105.91080.91033.61009.5983.5971.9879.3545.7 체류시간 (Retention time) :8.08분피크면적 : 3203076.8 체류시간 (Retention time) :8.06분피크면적 : 3069795.9순도 : 94% 223 ~ 225℃ 223 ~ 225℃
도 1은 본 발명의 베툴린과 베툴린 표준물질(Betulin, SIGMA B-9757)의 박층크로마토그라피를 나타내고, 도 2 및 도 3은 베툴린 표준물질 및 본 발명의 베툴린의 IR 스펙트럼을 각각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는 베툴린 표준물질 및 본 발명의 베툴린의 HPLC 스펙트럼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의 표 1 및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박층크로마토그라피(TLC),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라피(HPLC) 및 FT-IR의 결과가 베툴린 표준물질(Sigma B-9757)과 동일하므로, 본 발명의 자작나무 껍질로부터 추출된 성분이 베툴린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1.
베툴린에 대하여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활성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1) 실험방법
콜라게나아제 활성억제 효과 실험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콜라게나아제(SIGMA C5138) 0.1mg을 0.1M 트리스 완충액(Tris Buffer, pH 7.1) 1㎖에 용해시키고, 콜라겐(SIGMA C9879) 0.5㎎을 0.1M 트리스 완충액(Tris Buffer, pH 7.1) 1㎖에 용해시킨 후, 농도별로 시료를 준비하였다. 준비된 시료 0.05㎖, 콜라게나아제 0.05㎖ 및 콜라겐 0.4㎖를 시험관에 투여하고 37℃ 수욕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25mM 시트르산(Citric acid)용액을 1㎖ 가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반응이 종료된 시험관에 에틸아세테이트 5㎖를 주입하여 진탕하고, 3000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32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6회 실험 결과를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2) 실험결과
콜라게나아제 활성억제 효과는 다음 공식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농도 (㎍/㎖)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율 (%) 콜라게나아제 활성 50% 억제 농도 (㎍/㎖)
5 18.3 12.19
15 62.8
20 89.5
25 95.6
상기의 실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베툴린 농도 25㎍/㎖에서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율이 90% 이상이었으며, 콜라게나아제의 활성을 50% 억제시키는 농도는 12.19㎍/㎖로, 매우 낮은 농도에서도 우수한 콜라게나아제의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베툴린에 대하여 세포배양을 이용한 세포 증식 효과를 측정하였다.
1) 실험방법
세포 독성 및 증식 실험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배양하고 있는 세포(파이브로블라스트,3T3)를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5,000세포/웰로 분주하여 30분간 항온조에서 배양하고 시료를 농도 별(각각 0.5, 5, 50, 100, 200, 400(㎍/㎖))로 투여하여 72시간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티아졸린 블루(Thiazoline blue)를 투여하고 4시간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그리고 배양액을 모두 버리고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에 반응 정지액을 가하고 5분간 교반한 후에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주입량만큼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배지를 투여하여 세포 성장의 최적 조건으로 동시배양을 하였으며, 대조군의 세포 증식을 100%로 하고 시료 투입 실험군의 세포 증식율을 계산하였다. 6회 실험 결과를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의 표 3과 같다.
2) 실험결과
세포증식 효과는 다음 공식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베툴린의 농도(㎍/㎖) 세포 증식율(%)
대조군 100
0.5 107.52
5 116.36
50 117.20
100 132.03
200 154.30
400 193.01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포 성장 최적 조건에서의 세포 증식을 100%로 하였을 때 베툴린 농도 400㎍/㎖에서 193%의 세포 증식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세포 증식효과가 있음은 베툴린이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세포 증식 효과 실험으로부터 본 발명의 베툴린의 우수한 세포 증식 효과와 더불어 세포독성이 없는 안전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베툴린에 대하여 세포배양을 이용한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를 측정하였다.
1) 실험방법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 측정은 크리스탈 바이올렛 어세이(Crystal Violet assay)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 방법은 세포의 증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방법으로, 본 실험은 이 방법을 통하여 세포 증식과 단백질 합성 능력을 알아보는 실험이다.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액은 단백질과 결합하는 시약으로,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세포의 단백질 합성능력 그리고 콜라겐 합성 능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이 하였다.
세포는 스위스 알비뇨 마우스 세포(3T6 Fibroblast)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 (96 well micro plate)에 5,000/웰(well)의 3T6 파이브로블라스트(Fibroblast)를 분주하고, 24시간 후에 시료를 농도별(각각 0.5, 5, 50, 100, 200, 400(㎍/㎖))로 투여하여 72시간 5% CO2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후, 배양액을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살린-포스페이트 완충용액(PBS solution)으로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를 세척하고, 37℃에서 30분간 건조하였다. 그리고 크리스탈 바이올렛 시약을 가하여 실온에서 5분간 염색을 하고 염색액을 증류수로 잘 세척한 후, 결합된 염색약을 0.2M 인산(Phosphoric acid)과 에탄올을 가하여 녹이고, 5분간 방치후 59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주입량만큼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배지를 투여하여 세포 성장의 최적 조건으로 동시배양을 하였다. 대조군의 콜라겐 합성을 100%로 하고, 시료 투입 실험군의 콜라겐 합성을 계산하였다. 6회 실험 결과를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4과 같다.
2) 시험결과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는 다음 공식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베툴린의 농도(㎍/㎖) 콜라겐 생성 촉진율(%)
대조군 100
0.5 115.58
5 121.02
50 121.93
100 139.20
200 182.85
400 226.47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포 성장 최적 조건에서의 콜라겐 합성을 100%로 하였을때 베툴린 농도 400㎍/㎖에서 226%의 콜라겐 합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베툴린이 우수한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상기의 실험 결과들로부터, 베툴린이 피부 주름에 관련있는 콜라게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며, 세포 증식 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콜라겐 합성 촉진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베툴린은 우수한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 세포재생 및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처방예 3의 베툴린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의 주름 개선효과를 측정하였다.
1) 실험방법
35세 이상의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얼굴을 좌, 우로 나누어 처방예 3의 영양크림(베툴린 함유 제품)과 대조군(베툴린 미 함유 제품)을 각각 나누어주고 매일 2회씩 2개월간 0.2g을 2 ×2㎠의 면적에 도포하게 하였다. 처방예 3의 영양크림 또는 대조군을 사용하기 전 및 도포 후 2개월 시점에 각각 항온 항습 (22±2℃, 50±5% Humidity)실에서 실리콘(Silflo ; Flexico Ltd., England)을 이용하여 피검자의 시험 부위의 레플리카(Replica)를 제작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레플리카(Replica)는 주름의 깊이를 측정하는 컴퓨터 영상 시스템인 스킨비져메터(Skin Visiometer, 모델명 : SV600, 제작사 :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R1~R5의 값으로 표시하였다. 여기서 R1~R3는 깊은 주름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R4~R5는 피부 거칠음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2) 실험결과
상기에서 측정된 R1~R5의 값을 다음 식에 대입하여 주름감소율을 산출하였다.
주름감소율(%) = [(사용전 측정값 - 2개월 도포 후의 측정값)/사용전 측정값] ×100
상기 식으로 산출된 피검자들에 대한 R1~R5의 감소율을 표 5 및 6에 나타내었으며, 표 6에서 대조군에 대한 유의성은 시그마스타트 버젼 2.03 (Sigmastat version 2.03, 제작사: SPSS Inc.)으로 p〈0.05 수준(신뢰구간 95%)에서 검정하였다. 또한 표 5 및 6에 기재된 R1~R5의 감소율의 평균값을 그래프로 도시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여 처방예 3의 영양크림의 주름개선효과를 나타내었으며(도 6), 상기 레플리카(Replca)의 사진을 대조군 또는 처방예 3의 영양크림의 사용 전과 사용 후로 나누어 도 7a, 7b, 7c 및 7d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에 의한 주름 감소율
R1의 감소율 R2의 감소율 R3의 감소율 R4의 감소율 R5의 감소율
피검자 1 8.21 6.78 6.67 9.52 12.12
피검자 2 3.08 6.51 6.21 11.91 14.29
피검자 3 6.94 6.53 8.18 14.29 7.90
피검자 4 8.29 7.45 11.11 16.00 14.63
피검자 5 8.90 6.43 8.03 6.45 11.11
피검자 6 7.84 7.90 12.90 0.00 5.88
피검자 7 7.29 8.38 9.16 8.86 13.79
피검자 8 7.18 8.98 6.52 13.04 17.50
피검자 9 11.36 9.09 10.67 16.67 15.39
피검자 10 9.33 7.58 9.68 14.29 16.67
평균 7.84 7.56 8.91 11.10 12.93
S.Error 0.67 0.32 0.70 1.61 1.18
처방예 3의 영양크림에 의한 주름 감소율
R1의 감소율 R2의 감소율 R3의 감소율 R4의 감소율 R5의 감소율
피검자 1 41.57 41.98 42.86 41.18 28.57
피검자 2 52.81 53.70 41.24 44.74 35.29
피검자 3 51.04 51.87 48.52 37.50 28.57
피검자 4 48.98 49.47 46.15 42.11 30.77
피검자 5 42.21 42.95 34.67 32.14 20.00
피검자 6 9.13 13.92 15.39 11.11 18.52
피검자 7 11.70 11.96 4.90 0.00 20.59
피검자 8 2.78 3.41 0.00 0.00 38.89
피검자 9 36.00 14.29 34.72 33.33 17.86
피검자 10 49.76 50.98 41.11 37.50 20.59
평균 34.60* 33.45* 30.96* 27.96* 25.96*
S.Error 6.09 6.32 5.58 5.51 2.37
* : 대조군과의 유의성 검정 (p〈0.05)
상기의 표 5 및 6 그리고 도 6 및 도 7a, 7b, 7c, 7d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을 피부에 도포한 경우에 비하여 처방예 3의 영양크림을 피부에 도포한 경우에 깊은 주름(R1~R3)의 감소 및 피부 거칠음(R4~R5)의 감소가 확연하게 나타남을 알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베툴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주름 개선효과가 매우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하기의 처방예 1, 2 및 3의 베툴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약 5개월간 실온, 냉장, 40℃, 60℃의 조건에서 그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화장료 성상의 변화가 없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자작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안정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처방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베툴린을 함유하는 화장료중 유연화장수(스킨)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베툴린 0.5
부틸렌글리콜 4.0
글리세린 8.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06
디소디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틱에시드 0.01
에탄올 7.0
트리에탄올아민 0.2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8
하이드로지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0.4
페닐트리메티콘 3.5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2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정제수 잔량
100.0
처방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베툴린을 함유하는 화장료중 영양화장수(밀크로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베툴린 0.5
스테아린산 1.0
세틸알코올 1.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0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유동파라핀 4.0
스쿠알란 3.0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부틸렌글리콜 5.0
트리에탄올아민 0.2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2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정제수 잔량
100.0
처방예 3.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베툴린을 함유하는 화장료중 영양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베툴린 0.5
스테아린산 2.0
세틸알코올 2.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1.0
왁스 1.0
유동파라핀 4.0
스쿠알란 4.0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부틸렌글리콜 5.0
글리세린 3.0
트리에탄올아민 0.5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2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정제수 잔량
100.0
본 발명에 따른 베툴린은,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와 콜라겐 생성 촉진 및 세포 증식효과가 우수하며, 배합시 안정성이 뛰어나 이를 포함하는 피부의 주름 개선 화장료 역시 우수한 세포 재생 및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3)

  1. 베툴린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베툴린이 화장료 조성물 총 건조중량에 대하여 0.0001∼3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엣센스, 팩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0030007451A 2002-02-07 2003-02-06 베툴린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05664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964 2002-02-07
KR20020006964 2002-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545A true KR20030067545A (ko) 2003-08-14
KR100566424B1 KR100566424B1 (ko) 2006-03-31

Family

ID=32220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7451A KR100566424B1 (ko) 2002-02-07 2003-02-06 베툴린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42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940B1 (ko) * 2006-05-12 2007-10-26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자작나무 수피로부터 최적화된 베츌린 추출방법
WO2011074766A3 (ko) * 2009-12-14 2011-08-1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자작나무 수피로부터 초 고순도 베툴린과 고순도 베툴린산의 동시 생산방법과 그 장치
CN109893471A (zh) * 2019-04-03 2019-06-18 上海龙禧投资有限公司 一种含有白桦脂醇的组合物
KR20220077266A (ko) * 2020-12-01 2022-06-09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물박달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911B1 (ko) * 2009-04-01 2011-09-02 주식회사 페라온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940B1 (ko) * 2006-05-12 2007-10-26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자작나무 수피로부터 최적화된 베츌린 추출방법
WO2011074766A3 (ko) * 2009-12-14 2011-08-1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자작나무 수피로부터 초 고순도 베툴린과 고순도 베툴린산의 동시 생산방법과 그 장치
CN109893471A (zh) * 2019-04-03 2019-06-18 上海龙禧投资有限公司 一种含有白桦脂醇的组合物
KR20220077266A (ko) * 2020-12-01 2022-06-09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물박달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6424B1 (ko) 200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450B1 (ko)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20100310485A1 (en) Use of melanin biosynthesis inhibitors from korean ginseng and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reof for skin whitening
KR101663946B1 (ko) 인삼꽃 흑효모 발효를 통한 진세노사이드 Rg3 강화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A2770162A1 (en) Skin clarifying complex, use of said complex, cosmestic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aid complex and method for application thereof
WO2011062078A1 (ja) ドーパオキシダーゼ活性抑制剤及び美白剤
KR101860109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63686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80082177A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43112B1 (ko) 기능성 펩타이드, 아미노산, 캘러스 추출물 및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조성물
KR100566424B1 (ko) 베툴린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154927B1 (ko) 클로로겐산, 페룰산, 레스베라트롤 및 스트렙토코쿠스 테르모필루스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903654B1 (ko) 하고초 추출물과 아데노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62B1 (ko) 미백개선과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배 캘러스와 유자 캘러스 소재
KR101012118B1 (ko) 옥수수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136048A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TWI706792B (zh) 臭菘提取物或其餾分的用途
KR20010028372A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20084429A (ko) 생열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KR101214344B1 (ko) 쌀겨와 감초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44585B1 (ko) 피부 노화 개선 복합 화장료 조성물
KR102014961B1 (ko) 콩꼬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JP2000256175A (ja) 化粧料組成物
JP5155543B2 (ja) エンドセリン−1産生抑制剤、ヘキソサミニダーゼ遊離抑制剤、抗炎症用/美白用皮膚外用剤、エンドセリン−1の産生抑制方法及びヘキソサミニダーゼの遊離抑制方法
KR20030067554A (ko)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화장료조성물
JPH04282320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EXTG Extinguishment
O064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