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620A - 항산화 및 세포 손상 보호 효능을 갖는 비수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 및 세포 손상 보호 효능을 갖는 비수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620A
KR20120004620A KR1020100065212A KR20100065212A KR20120004620A KR 20120004620 A KR20120004620 A KR 20120004620A KR 1020100065212 A KR1020100065212 A KR 1020100065212A KR 20100065212 A KR20100065212 A KR 20100065212A KR 20120004620 A KR20120004620 A KR 20120004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repair
cosmetic composition
skin
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신욱
김현주
이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래디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래디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래디안
Priority to KR1020100065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4620A/ko
Publication of KR20120004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6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 및 세포 보효 효능을 갖는 비수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포에 독성이 없고,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지 않을뿐만 아니라,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로부터 세포 손상 보호 효능을 가지며,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소거능을 통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산화 및 세포 손상 보호 효능을 갖는 비수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Lespedeza cuneata with the Antioxidative and cytoprotective effects}
본 발명은 항산화 및 세포 보효 효능을 갖는 비수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포에 독성이 없고,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지 않을뿐만 아니라,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로부터 세포 손상 보호 효능을 가지며,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소거능을 통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피부를 건강하고 아름답게 가꾸어 주며, 나이가 들어가면서 생기는 내인적 노화 및 외부 요인에 의해 진행되는 외인적 노화를 지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피부는 신체의 가장 외부에 존재하는 조직이며, 외부환경의 물레, 화학적 요인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함과 동시에 인체의 대사에 필요한 생화학적 기능을 영위하는 생명유지에 불가결한 기관이다. 구체적으로 피부는 내분비 기능, 면역기능, 흡수 및 분비기능, 보호기능 뿐만 아니라 땀과 피지, 노폐물을 분비하여 체온 조절과 피부표면의 산도를 유지함으로써 방수 역할 및 항균작용, 수분조절, 호흡기능, 비타민 D 합성 기능, 영양소 저장기능 등 매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피부는 물리 화학적 상해, 세균이나 곰팡이 등의 미생물 및 기생충의 감염, 자외선 노출, 대기 오염 등의 외부 환경에 의해 쉽게 손상 받게 되며 이는 피부의 노화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일반적으로 피부 노화는 체세포 돌연변이, 자유 라디칼의 과도한 생성, 자가 면역반응, 독성물질의 축적, 유전자 복제중 발생된 에러, 진피구성 단백질의 변형 등 (M. Rieger, Cosmetics & toiletries, 110, 94, 1994) 여러 가지 학설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 중에서 노화 (aging)와 성인병과 같은 각종 질환의 원인이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에 기인된다는 학설이 인정받음에 따라 산소나 질소로부터 유래되는 활성 산소종을 조절할 수 있는 천연 항산화제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보통 유해산소로 알려져 있는 활성 산소종은 가장 안정한 형태인 삼중항 산소 (3O2)가 환원되면서 과산화물 음이온 라디칼 (O2 ), 과산화수소 (H2O2), 히드록시 라디칼 (·OH), 과산화지질 (ROOH)이나 여기서 발생되는 자유 라디칼 (ROO·, RO·) 등의 과산화지질로서, 체내에는 이러한 활성산소종이 정상적인 상태에서도 발생을 하지만 항산화 효소인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 (superoxide dismutase, SOD), 카탈라아제 (catalase),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아제 (glutathion peroxidase, GPx) 등이 존재하여 과도한 활성 산소종의 생성을 억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활성산소종이 스트레스 및 외부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과도하게 발생이 되어 소거되지 않고 체내에 존재하게 되면 자유 라디칼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 (oxidative stress)가 생체에 가해져 DNA, RNA, 단백질, 세포막 및 세포구조 손상, 암, 조직 손상, 노화 등을 유발한다고 추측된다.
현대에 급증하는 다양한 질병 및 노화의 가속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이러한 활성 산소종을 조절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항산화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천연 항산화제인 토코페롤, 아스코르빈산, 카로테노이드, 플라보노이드, 글루타치온 등에 대한 효능 연구 및 이들의 안정화 기술에 대한 연구와 합성 항산화제인 부틸화된 히드록시 톨루엔 (BHT), 부틸화된 히드록시 아니졸 (BHA) 등 다양한 항산화제가 알려져 있고, 그 외 많은 항산화제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E. A. Lissi et al. Free Radic. Biol. Med, 18(2), 153, 1995) (A. Ghiselli et al. Free Radic. Biol. Med, 18(1), 29, 1995) 이들 항산화제 중 토코페롤은 항산화 효과가 비교적 낮은 편이고, 효과가 우수한 BHA, BHT 등의 합성 항산화제가 의약품 및 식품분야 등에서 활용되고 있으나, 돌연변이원성 및 독성에 대한 지적이 있으며 아스코르빈산의 경우에는 안정성이 확보된 유도체 및 제형 개발이 진행되고 있어, 더욱 안정하고 효과가 우수한 천연 항산화 소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식물이 다양한 활성성분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며 많은 식물 추출물들이 통증 완화, 해독, 해열, 방부, 수렴, 항염, 항산화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 일고 있는 환경 친화적이고 자연지향적인 추세에 따라 화장품에 들어가는 유효성분들도 화학물질뿐만 아니라 식물 유래의 천연물이 그 유용성을 기반으로 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화장품에 배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천연 식물 및 식물 유래의 화합물을 이용한 소재 개발 과정에서 물리/ 화학적 작용에 의한 변성을 나타내서 제품의 취 와 색의 변화를 가져올 뿐 아니라, 효능의 저감을 나타내어 최근, 이러한 안정성 문제에 대한 원료 표준화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가장 근본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원료의 효능 안정성은 채취 시기 및 건조, 저장 기간의 차이에 따른 효능변화이며 특히, 항산화 효능 및 세포 보호 활성 물질의 경우에는 이에 대한 안정성 확보가 필수적으로 요구되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은 항산화 및 세포 보효 효능을 갖는 비수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포에 독성이 없고,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지 않을뿐만 아니라,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로부터 세포 손상 보호 효능을 가지며,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소거능을 통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비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효능 및 세포 손상 보호 효과에 의한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비수리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한 결과, 항산화 및 세포 손상 보호 효능이 탁월해지는 한편,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지 않는 안전성을 확보하여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비수리 추출물은 상기와 같은 효능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각 2001년, 2005년에 채취한 비수리를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채취 부위 및 기타의 실험 조건은 동일하게 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비수리(Lespedeza cuneata)는 쌍떡잎 식물 장미목 콩과의 반관목이며,노우근(老牛筋)·호지자·산채자·야관문라고도 한다. 산기슭 이하에서 자라며 줄기는 곧게 서고 가늘고 짧은 가지는 능선과 더불어 털이 있다. 높이 50∼100cm까지 자라며 가지가 많다. 잎은 어긋나고 작은잎이 3장씩 나온 겹잎이다. 작은잎은 줄 모양의 거꾸로 세운 듯한 바소꼴이고 뒷면에 털이 있다. 꽃은 8∼9월에 피고 잎겨드랑이에 산형(傘形)으로 달리며 흰색이다. 꽃받침은 밑까지 깊게 5개로 갈라지고 각 갈래조각에 1맥이 있다. 꽃잎은 흰 바탕에 자줏빛 줄이 있고 기판(旗瓣) 중앙은 자줏빛이
다. 10개의 수술 중 아래쪽 9개는 합쳐진다. 꼬투리는 편평한 달걀 모양이고 털과 그물맥이 있으며 1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한국·일본·타이완·인도·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비수리 추출물은, 비수리 분쇄물에 99% 메탄올을 첨가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이때, 비수리는 5 내지 30 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추출 용매는, 정제수, 탄소수 1 내지 4인 무수 또는 함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및 부틸렌글라이콜을 포함한 용매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순수용매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용매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해지는 추출용매의 양은 혼합 생약재 전체 부피 대비 1 내지 30배의 양이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추출단계는 생약재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적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당업자들에게 자명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득한 비수리 추출물은 본 발명의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에 0.01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그 함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실질적인 피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10 중량%보다 높으면 화장료 제형 및 제조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비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세포 손상 보호 효능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에멀젼, 오일젤, 마스크팩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은 위에 기재된 제형 이외에도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될 수 있으며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또는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 각각의 제형에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보호용 조성물은 항산화, 세포 손상 보호능, 자극 완화력의 효과를 동시에 가지고 있어 의약, 화장품, 식품 등에서 손상된 피부의 회복 및 개선 등의 피부 보호를 목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약에 있어서는 항산화제나 항산화와 관련된 항노화 제품 등에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피부 보호용 조성물은 이러한 목적으로만 한정하여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저자극성이고 피부질환 유발에 문제가 없으며 세포 손상 보호능, 자유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하여 항산화 및 세포 손상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피부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로 제형상의 안정성이 확보된 화장품의 모든 형태로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비수리 추출물의 세포 생존능 그래프이다.
도 2는 비수리 추출물의 세포 손상 보호능 그래프이다.
도 3은 비수리 추출물의 활성산소종(ROS) 생성 저해능 그래프이다.
도 4는 비수리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단,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비수리 추출물 제조
건조된 비수리(2001년 채취)를 세절한 후 다시 분쇄하여 분말 상으로 수득하였다. 수득한 비수리 분말에 99% 메탄올을 중량 대비 5~30배로 첨가하여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한 후, 여과지를 사용하여 추출액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추출액은 회전 감압 농축기를 사용하여 추출물 내의 유효 성분을 수득하여 시험에 사용되었다.
실시예 2. 비수리 추출물 제조
건조된 비수리(2005년 채취)를 세절한 후 다시 분쇄하여 분말 상으로 수득하였다. 수득한 비수리 분말에 99% 메탄올을 중량 대비 5~30배로 첨가하여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한 후, 여과지를 사용하여 추출액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추출액은 회전 감압 농축기를 사용하여 추출물 내의 유효 성분을 수득하여 시험에 사용되었다.
시험예 1.세포 독성 평가( MTT assay )
실시예 1,2 에서 제조한 비수리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람 유래의 각질 형성 세포(HaCaT)를 96 웰 플레이트에 1 x 105 cells/ml의 농도로 접종하고 배양한 후, 실시예 1,2 에서 제조한 비수리 추출물을 무혈청 배지를 이용하여 각각 10, 50, 100 ㎍/ml의 농도로 희석한 후, 24시간 동안 처리하고 MTT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평가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무혈청 배지를 사용하였다. 비수리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세포 생존능(%)을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농도(㎍/ml) 세포 생존능(%)
대조군 100.00± 5.92
실시예 1 10 97.00± 0.75
50 108.17± 2.47
100 121.45± 6.83
실시예 2 10 94.96± 1.07
50 99.40± 1.62
100 108.00± 7.97
상기 표 1의 결과로 실시예 1,2 에서 제조한 비수리 추출물의 경우 세포에 10~100㎍/ml의 농도까지 처리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시험예 2. 세포 손상 보호능 평가
실시예 1,2 에서 제조한 비수리 추출물에 대한 세포 손상 보호능 평가를 MTT assay법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사람 유래의 각질 형성 세포(HaCaT)를 96 웰 플레이트에 5 x 105 cells/ml의 농도로 접종하고 배양한 후, 실시예 1,2 에서 제조한 비수리 추출물을 무혈청 배지를 이용하여 각각 10, 50, 100 ㎍/ml의 농도로 희석한 후,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과산화수소(H2O2)를 처리하여 추가 배양한 뒤, MTT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 손상 보호능을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Quercetin을 사용하였다. 비수리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세포 손상 보호능(%)을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농도(㎍/ml) 세포 손상 보호능(%)
대조군 10 20.70± 2.14
50 41.39± 4.26
100 61.26± 3.90
실시예 1 10 18.58± 0.30
50 40.07± 1.98
100 50.57± 0.10
실시예 2 10 26.93± 8.51
50 45.57± 6.05
100 59.85± 1.89
위 표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2 에서 제조한 비수리 99% 메탄올 추출물은 양성 대조군인 Quercetin 과 대비하여 세포 손상 보호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2의 세포 손상 보호능이 실시예 1보다 우수하게 측정되었다. 이는 채취 시기에 따른 효능 차이로 판단되며, 실시예 1은 2001년, 실시예 2는 2005년 채취한 비수리 추출물이다.
시험예 3. ROS 생성 저해능 평가
실시예 1,2 에서 제조한 비수리 추출물의 ROS(Reactive Oxigen Species) 생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람 유래의 각질 형성 세포(HaCaT)를 96 웰 플레이트에 5 x 105 cells/ml의 농도로 접종하고 배양한 후, 실시예 1,2 에서 제조한 비수리 추출물을 무혈청 배지를 이용하여 각각 10, 50, 100 ㎍/ml의 농도로 희석한 후,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형광 물질인 DCFH-DA를 20μM의 농도로 20분 동안 처리한 후, 과산화수소(H2O2)를 처리하여 1시간 추가 배양한 뒤, 485nm/535nm에서 흡광값 측정하여 ROS 생성 저해능을 평가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Quercetin을 사용하였다. 비수리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ROS 생성 저해능(%)을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농도(㎍/ml) ROS 생성 저해능(%)
대조군 10 6.29± 5.68
50 37.30± 0.22
100 45.13± 3.29
실시예 1 10 8.83± 8.10
50 13.96± 3.94
100 23.88± 3.03
실시예 2 10 6.29± 3.14
50 39.27± 4.25
100 56.40± 3.49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1,2 에서 제조한 비수리 추출물의 경우, 실시예 1,2 모두 농도 의존적인 ROS 생성 저해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비수리 추출물의 경우 대조군인 Quercetin 대비 우수한 ROS 생성 저해능이 측정되었다. 세포 손상 보호능과 마찬가지로 채취 시기별 효능 차이가 있었으며, 실시예 2에서 더 큰 ROS 생성 저해 효과가 확인되었다.
시험예 4. DPPH radical 소거능 평가
실시예 1,2 에서 제조한 비수리 추출물의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소거능을 통한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DPPH radical 소거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비수리 추출물을 메탄올로 10~100㎍/ml농도로 희석한 후, 24-웰플레이트에 넣고, 0.1M DPPH 용액을 넣는다. 테잎으로 플레이트를 밀봉한 후, 빛을 차단하여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570nm에서 흡광값을 측정한다. 시료 자체의 흡광값으로 인한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DPPH 용액을 넣지 않은 대조군도 함께 실시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는 Quercetin을 사용하였다. 비수리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DPPH radical 소거능(%)을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농도(㎍/ml) DPPH radical 소거능(%)
대조군 10 50.73± 1.67
50 97.96± 0.03
100 97.86± 0.58
실시예 1 10 14.87± 2.39
50 74.97± 2.41
100 96.43± 1.72
실시예 2 10 22.32± 1.25
50 92.72± 2.00
100 99.31± 1.66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1,2 에서 제조한 비수리 추출물의 경우, 실시예 1,2 모두 농도 의존적인 DPPH radical 소거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조군인 Quercetin 및 실시예 1, 2 모두 시험 최고 농도인 100㎍/ml 처리시, 100%에 가까운 DPPH radical 소거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 시험예 4 의 경우에도 비수리의 채취 시기에 따른 다소 상이한 결과를 보였는데, 시험예 2, 3의 결과와 유의하게, 실시예 2에서의 DPPH radical 소거 효과가 더 높게 측정되었다.
시험예 5. 피부 자극 유발 여부 평가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비수리 추출물의 피부 자극 유발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인체 첩포 시험 (Human patch test)을 통하여 인체에 대한 1차 자극 시험 및 누적 자극 시험을 수행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CTFA 가이드라인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D.C., 20036, 1991)에 따라 실시하였다. 핀 쳄버 (Finn chamber)에 시료 20㎕를 적하시킨 후, 이를 시험 부위인 인체의 팔 한쪽에 첩포하고 테이프로 고정시켰다.
1차 피부 자극시험은 24시간 동안 첩포한 후, 첩포를 제거하고 다시 4시간, 24시간 경과 한 후의 시험부위의 피부 반응을 하기 표 4의 기준에 따라 판정하였다. 피부 누적 자극 시험(Repeated Insult Patch Test, RIPT)은 3주간 정기적인 피부에 시료 노출을 수행한 다음 2주 후 새로운 부위에 2차 폐쇄 첩포 (challenge test)를 행하여 피부에 나타난 자극 및 알러지 유발 유무를 관찰하는 시험으로 피부 질환 병력이 없는 성인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Finn Chamber에 실시예 1,2 을 10mg/ml의 농도로 20㎕를 적하시킨 후, 이것을 시험 부위인 양쪽 팔 안쪽에 Scanpor tape로 고정시켰다. 24시간 적용 후 patch를 제거시키고, 24시간 동안의 간격을 두고 같은 일정으로 동일한 부위에 동일한 방법으로 총 9번의 반복적인 적용을 수행하였다. 피부자극 정도는 1차 피부자극 평가기준에 의거하여 육안으로 평가하여 scoring scale list를 작성하였다.
시료
피시험자수 유도단계 도전단계 자극도
20 1 2 3 4 5 6 7 8 9 24hr 48hr 72hr
실시예1 20 - - - - - - - - - 0
실시예2 20 - - - - - - - - - 0
대조군 20 - - - - - - - - - 0

(계산식)
자극도 = [{(±)수 × 1}+{(+)수 × 2}+ {(++)수 × 3}]/피시험자 수
시료
피시험자수
판정결과 자극도
++ + ± -
실시예1 20 - - - 20 0
실시예2 20 - - - 20 0
대조군 20 - - - 20 0

(판정기준)
-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 없음
±: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어 오름
(자극도 계산식)
자극도 = [{(±) 수 × 1}+{(+)수 × 2}+{(++)수 × 3}]/피시험자 수
상기 표 5과 표 6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인체에 대한 피부 자극 시험을 평가한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 1,2 에서 제조한 비수리 추출물은 자극을 유발하지 않으며 피부에 적용하기에 안전한 소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형예 1. 화장품의 제형
본 발명의 비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 피부를 위한 화장품 및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제형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각종 피부에 바르는 외용제인 크림, 밀크로션, 파운데이션, 스킨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폼,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을 포함한다.
이하는 본 발명의 비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2 의 비수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유연화장수(skin toner)의 제형은 다음과 같다.
배합성분 함량 (중량 %)
실시예 2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3
부틸렌글리콜 4
프로필렌글리콜 3
메틸페닐폴리실록산 0.1
메틸파라벤 0.1
에틸 알코올 2
트리에탄올아민 0.04
EDTA-2Na 0.02
정제수 to 100
실시예 1,2 의 비수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로션(에멀젼)의 제형은 다음과 같다.
배합성분 함량 (중량 %)
실시예 2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4
에틸 하이드로벤조에이트 0.1
유동 파라핀 3
비타민 E 아세테이트 0.1
실리콘 0.8
케틸 알코올 0.5
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1
폴리솔베이트60 0.3
메틸설포닐페탄 0.2
프로필렌글리콜 2
부틸렌글리콜 5
메틸파라벤 0.2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2Na 0.03
정제수 to 100
실시예 1,2 의 비수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에센스의 제형은 다음과 같다.
배합성분 함량 (중량 %)
실시예 2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15
글리세린 6
프로필렌글리콜 3
마카다미아 오일 0.5
메틸파라벤 0.1
에틸 알코올 2
트리에탄올아민 0.15
EDTA-2Na 0.02
정제수 to 100

Claims (3)

  1. 물, 친수성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첨가하여 추출된 피부 노화 방지용 비수리 추출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리 추출물은 비수리 추출물 및 비수리 내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비수리 추출물은 항산화 및 세포 손상 보호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065212A 2010-07-07 2010-07-07 항산화 및 세포 손상 보호 효능을 갖는 비수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46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212A KR20120004620A (ko) 2010-07-07 2010-07-07 항산화 및 세포 손상 보호 효능을 갖는 비수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212A KR20120004620A (ko) 2010-07-07 2010-07-07 항산화 및 세포 손상 보호 효능을 갖는 비수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620A true KR20120004620A (ko) 2012-01-13

Family

ID=45611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212A KR20120004620A (ko) 2010-07-07 2010-07-07 항산화 및 세포 손상 보호 효능을 갖는 비수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462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7612A3 (en) * 2017-09-13 2018-08-09 Clariant International Ltd Compositions comprising lespedeza plant extract
KR101976572B1 (ko) * 2018-11-30 2019-05-09 충청남도 비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7612A3 (en) * 2017-09-13 2018-08-09 Clariant International Ltd Compositions comprising lespedeza plant extract
CN109481492A (zh) * 2017-09-13 2019-03-19 韩国百鸥思特公司 用于预防或者改善昼夜节律障碍的组合物
KR101976572B1 (ko) * 2018-11-30 2019-05-09 충청남도 비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450B1 (ko)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40790A (ko)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US20080160114A1 (en)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Rose Extract and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29748B1 (ko) 비타민나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92088B1 (ko) 자외선 차단 효과를 제공하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078888B1 (ko) 조직배양한 에키네시아 부정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112284A (ko) 다마스크 장미꽃 및 블루베리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50675A (ko) 분홍바늘꽃 및 구슬꽃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84163B1 (ko) 차요테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34484B1 (ko) 식물 혼합 추출물인 셀리언스를 함유하는 오일형 화장료조성물
KR102076656B1 (ko) 락토바실러스 속 복합균주를 활용한 청보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23654B1 (ko) 미생물에 의한 골담초 발효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03654B1 (ko) 하고초 추출물과 아데노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20120004620A (ko) 항산화 및 세포 손상 보호 효능을 갖는 비수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30115A (ko) 항염 및 항산화 효능을 갖는 강활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31289B1 (ko) 플랑크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46994A (ko) 제주양지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20004743A (ko) 항산화 및 세포 손상 보호 효능을 갖는 이질풀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60110B1 (ko) 아사이베리 추출물 및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1514A (ko) 마디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8925A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27556B1 (ko) 루시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70781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