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1969A -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1969A
KR20150071969A KR1020130159133A KR20130159133A KR20150071969A KR 20150071969 A KR20150071969 A KR 20150071969A KR 1020130159133 A KR1020130159133 A KR 1020130159133A KR 20130159133 A KR20130159133 A KR 20130159133A KR 20150071969 A KR20150071969 A KR 20150071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leaf extract
corn leaf
corn
inflammatory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6337B1 (ko
Inventor
이진혁
노경백
정은선
박덕훈
Original Assignee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9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337B1/ko
Publication of KR20150071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1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Bir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또는 항산화용 화장료 및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옥수수엽 추출물은 일산화질소 생성감소, NF-κB 활성 억제 및 에오탁신-1 생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우수한 염증성 피부질환 개선 효과를 가진다. 또한, 옥수수엽 추출물은 DPPH 자유라디컬을 효과적으로 소거시키므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세포독성 및 피부 부작용이 없어 화장료 및 약제학적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improving of inflammatory skin disease, or anti-oxidation comprising Zea mays leaves extract}
본 발명은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품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에 대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염증성 피부질환 개선효과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항산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피부는 환경오염, 자동차 배기가스 등의 각종 공해물질을 비롯하여 화장품 원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레티놀, 락트산 등에 의해 자극을 받아 노화, 아토피 또는 여드름과 같은 피부염증, 주름 등의 피부질환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각종 공해물질로 인해 호르몬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어 피부의 섬유아세포의 합성 능력을 감소시키거나 면역작용능력이 감소되고, 주름개선 및 재생에 효과적인 레티놀과 락트산은 자외선에 의해 분해되어 실제적인 효능이 떨어져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피부손상, 노화, 아토피, 여드름 등의 피부질환의 주요 원인은 체내 염증반응에 의해 이루어지며, 체내 염증반응에서 활성자유종(reactive radical species)의 일종인 일산화질소(NO)는 대식세포와 같은 면역세포에 의해 생성되어 각종 생리 및 병리적 과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산화질소는 매우 불안정한 화합물로서 지질다당류(lipopolysaccaride, LPS)와 같은 염증유발물질에 의한 일산화질소(NO) 생성 효소인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의 활성화를 통해 생성된다. COX(cyclooxygenase)는 PGHS(prostaglandin H synthase)라고도 불리우며, 세포막 인지질(membrane phospholipid)을 프로스타글라딘류(prostalandins, thromboxanes)로 변환시키는데 작용하는 중요한 조절효소로써 현재 COX-1과 COX-2가 알려져 있다. COX-1은 조직 내에서 기본적으로 존재하며 일정한 작용을 꾸준히 나타내는 반면에, COX-2는 동물이나 인간의 염증반응 부위에서 발현되는데 다양한 자극에 의해 단기간 내에 급격히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표적 염증유발효소인 COX-2의 발현 증가가 일산화질소(NO)의 생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대우, 대한화장품학회지 (2006)58:173-180).
또한, 염증세포가 병변에 침윤하는 과정에서 여러 종류의 사이토카인이나 케모카인이 관여하며, 이와 관련된 수용체가 염증 세포나 각질형성세포 등 여러 세포에 발현된다고 알려져 있다. 케모카인은 사이토카인의 한 군으로 현재 약 50여종 이상이 알려져 있다. 이들은 조직이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동안 그 부위에 적절한 면역 세포들을 끌어들이는 역할을 한다. 케모카인은 특히, 아토피 피부염에서 피부에 염증 세포가 침윤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데, 란테스(RANTES, regulated upon activation, normal T expressed and secreted), 단핵세포 화학주성 단백질 4(monocyte chemotactic protein 4, MCP4), 에오탁신-1(eotaxin-1)은 아토피 피부염 병변에서 흔히 증가하며, 이는 CCR3 수용체를 가진 호산구와 Th2 세포의 화학주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호산구들은 매우 독성이 강한 단백질기와 자유기(free radical)를 분비하는데, 이들은 미생물과 기생충을 죽일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이들이 부적절하게 활성화될 경우 숙주에게 심각한 조직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매우 엄격하게 조절되어진다. 이러한 호산구들이 순환혈액에서 조직으로 이동을 매개하는 물질이 에오탁신-1이며 에오탁신-1 조절이 아토피 치료의 새로운 타겟이 되고 있다.
또한, NF-κB(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s)는 염증을 일으키는 유전자 발현 기구를 작동시켜 면역반응이나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 TNF), 인터루킨-1(interleukin-1, IL-1), 인터루킨-6(interleukin-6, IL-6), 인터루킨-8(interleukin-8, IL-8), 과립구 대식세포 콜로니 자극인자(granulocyta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 일산화질소 생성 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세포간 접합분자(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 1, ICAM-1), E-셀렉틴(E-selectin), MHC class I, II 분자 등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전사인자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NF-kB의 억제제는 만성 및 급성 염증 질환,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현재 염증성 피부질환 치료제로는 스테로이드 제제, 국소 면역억제제, 국소 항생제 및 항히스타민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약물제제를 장기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피부가 얇아지거나 피부색의 변색, 골다공증, 동맥경화, 발암 가능성 및 내성으로 인한 증상 악화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천연물로부터 유래하여 부작용이 적어 안전하면서도 염증성 피부질환 개선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옥수수(Zea mays L.)는 벼과(Gramineae)에 속하는 열대성작물로서, 동양권에서는 식용이외에 한약재로 이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남미 안데스 일대가 원산지이며, 쌀, 밀과 함께 세계 3대 화곡류(禾穀類) 식량작물 중의 하나로 전 세계에 널리 재배되고 있다. 약용으로는 옥수수 뿌리와 잎은 소변이 찔끔거리는 것과 요석(尿石)이 있어 아픈 증상을 치료하는데 사용하였다. 또한, 옥수수 겨 또는 수염은 페놀산(ferulic acid), 쿠마르산(coumaric acid), 디페룰로일푸트레신(N,N-diferuloylputrescine), 디쿠마일푸트레신(N,N-dicoumaroylputrescine), 카로티노이드계(carotenoids), 피토스테롤(phytosterols), 섬유질(corn fiber), 메이신(maysin) 등의 생리활성 성분을 포함하여 항암, 항고혈압, 항당뇨, 항산화, 항비만 및 항노화 등에 활성을 나타낸다.
상기 옥수수를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 또는 예방 효능이 있는 조성물과 관련된 특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18호는 옥수수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05691호는 아르간오일, 카르노신 및 옥수수 종자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의 물질이 사이클로덱스트린에 포집된 상태로 존재하는 항노화용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28012호는 옥수수겨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본 발명에서와 같은 옥수수엽 추출물을 이용하여 염증성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항산화 효능에 대하여서는 개시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을 이용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안전성이 우수하면서도 효과가 뛰어난 식물유래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이 염증성질환 개선효과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또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옥수수(Zea mays L.)는 벼과에 속하는 열대성 작물로, 옥수수의 부산물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는 옥수수의 잎(엽)은 가축의 사료첨가물로만 이용되고 있어 그 이용도가 매우 낮은 실정이다. 최근, 옥수수의 잎(엽) 추출물을 이용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주름개선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옥수수의 잎(엽) 추출물을 단일로 사용하는 경우 피부 주름 개선에 대한 효능이 약하고, 피부 주름 개선에 실제적인 효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아직까지 옥수수의 잎(엽) 추출물의 염증성 질환 개선 효과, 항산화 효과 등에 대한 효능은 보고된 바가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옥수수엽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는데, 추출한 액은 액체 형태로 사용하거나 또는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며,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며, 추출물의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하는 유기용매에 따라 추출물의 유효성분의 추출정도와 손실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알맞은 유기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유기용매는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등이 있다.
상기 정제물은 추출물 또는 분획물로부터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는 과정으로, 면, 나일론 등을 이용하여 입자를 걸러 내거나 한외여과법, 냉동여과법, 원심분리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과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농축 및/또는 건조 방법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감압건조, 포말건조, 고주파건조, 적외선건조 등의 방법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최종 건조된 추출물을 분쇄하는 공정을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염증성 피부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용도를 갖는다. 하나의 예로, 본 발명의 옥수수엽 추출물은 일산화질소(NO)의 생성을 감소시키고, 염증물질인 프로글라딘 및 에이코사노이드의 생성을 촉진하는 전사인자인 NF-κB(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s)의 발현을 억제하며, 염증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에오탁신-1의 생성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염증반응을 조절하여 예방 또는 치료될 수 있는 다양한 염증성 피부질환, 질병 또는 이상 상태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염증성 피부질환은 반드시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여드름, 아토피성 피부염, 건선, 지루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홍반성 루프스 또는 구진상 두드러기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옥수수엽 추출물에 의하여 우수한 자유라디칼 제거 효과가 있으므로 항산화 용도를 가진다.
상기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산화 상태를 억제 또는 제거하여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다양한 항산화-관련 질환, 질병 또는 이상 상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예방 또는 치료될 수 있는 항산화-관련 질환은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관상동맥질환, 심장동맥 재협착, 재관류 손상, 파킨슨병 또는 알츠하이머 질환과 같은 신경변성 질환, 뇌졸중, 암, 피부노화, 심혈관 질환, 골다공증, 중추신경계 장애, 말초혈관 질환 및 호흡곤란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예방"은 질환 또는 질병을 보유하고 있다고 진단된 적은 없으나, 이러한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리기 쉬운 경향이 있는 개체에서 질환 또는 질병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치료" 또는 "개선"은 개체에서 (a) 질환 또는 질병의 발전의 억제 (b) 질환 또는 질병의 경감 및 (c) 질환 또는 질환의 제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개체”는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여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가진 인간을 포함한 원숭이, 소, 말, 돼지, 양, 개, 고양이, 래트, 마우스, 침팬지 등의 포유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옥수수엽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화장료로서 허용되는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로션, 에센스, 샴푸,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결정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한천 또는 트라가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옥수수엽 추출물의 유효성분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0.00001 내지 15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5중량%이다. 상기 옥수수엽 추출물의 중량이 0.00001중량% 미만일 경우 염증성 피부 질환 개선 및 항산화의 효능이 미약하고,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매우 미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산화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옥수수엽 추출물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탄수화물류 화합물(예: 락토스, 아밀로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셀룰로스, 등),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염 용액, 알코올, 아라비아 고무, 식물성 기름(예: 옥수수 기름, 목화 종자유, 두유, 올리브유, 코코넛유),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1일 당 0.001-100 ㎎/kg(체중)이다. 또한,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0 내지 3.0 ml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 하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옥수수엽 추출물의 유효성분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0.00001 내지 15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5중량%이다. 상기 옥수수엽 추출물의 중량이 0.00001중량% 미만일 경우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개선 및 항산화의 효능이 미약하고,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매우 미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 옥수수엽 추출물에 대한 피부자극시험 결과, 옥수수엽 추출물은 천연물질로서 인체에 무해한 물질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옥수수엽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화장료 및 약제학적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옥수수엽 추출물은 일산화질소 생성감소, NF-κB 활성 억제 및 에오탁신-1 생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우수한 염증성 피부질환 개선 효과를 가진다. 또한, 옥수수엽 추출물은 DPPH 자유라디컬을 효과적으로 소거시키므로 항산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세포독성 및 피부 부작용이 없어 화장료 및 약제학적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면역대식세포에 일산화질소 생성을 유도한 경우 옥수수엽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일산화질소 감소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면역대식세포에 NF-κB의 발현을 유도한 경우 옥수수엽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NF-κB의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에 에오탁신-1을 유도한 경우 옥수수엽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에오탁신-1의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옥수수엽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HPPD 자유라디컬 소거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옥수수엽 추출물 제조
옥수수의 엽을 채취하여 이물질 및 불순물이 완전히 제거되도록 깨끗이 세척한 다음, 20 내지 35℃에서 음건한 다음, 분쇄하고 입자의 크기가 1mm 이하가 되도록 하였다. 그 후 상기 분쇄된 옥수수의 엽 분말 1kg을 70% 메탄올 10L에 침지하여 24시간 초음파 추출하였다. 그 후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지(Advantes, No.2)에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옥수수엽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옥수수엽 추출물의 일산화질소 생성 감소 효과
마우스 대식세포(Macrophage, Raw 264.7 cells, 한국세포주은행)를 DMEM 배지가 들어 있는 24-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웰당 약 2 × 105 개의 세포가 되도록 접종시키고, 5% 농도의 CO2 배양기에 37℃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1, 10 및 50ppm의 옥수수엽 추출물을 처리한 다음 일산화질소 생성을 담당하는 효소 iNOS(Nitric oxide synthases)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LPS(Lipopolysaccharide) 200 ng/㎖을 함께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 후 배양액을 수집하여 동일 양의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 5%(w/v) phosphoric acid, 1%(w/v) sulfanilamide, 0.1%(w/c) N-[1-naphthyl] ethylene diamine dihydrochloride)과 10분간 혼합하여 반응 시킨 후 540nm에서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옥수수엽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식세포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LPS에 의해 유도된 일산화질소의 생성을 옥수수엽 추출물이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옥수수엽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일산화질소의 분비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농도 의존적인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 옥수수엽 추출물의 NF-κB 발현 억제 효과
일반적으로 염증을 유발하는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및 에이코사노이드(eicosanoids)의 생성을 촉진하는 단백질인 NF-κB의 활성에 대한 옥수수엽 추출물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인간 단핵구 세포(THP-1)를 6-웰 플레이트에 1 × 106 개의 세포를 분주한 후, 형질전환 시약(superfect transfection reagent, Qiagen Inc.)을 이용하여 루시퍼라아제 리포터 플라스미드 DNA(luciferase reporter DNA)를 형질전환시켰다. 상기 형질전환된 단핵구 세포에 LPS(Lipopolysaccharide) 200 ng/ml을 처리함과 동시에 1, 10 및 100 ppm의 옥수수엽 추출물을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세포배지를 수집하여 루미노미터(lumonometer, Berthold technologies)를 이용하여 루시퍼라아제(luciferase)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옥수수엽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단핵구 세포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옥수수엽 추출물은 NF-κB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옥수수엽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NF-κB의 활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농도 의존적인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 옥수수엽 추출물의 에오탁신-1 분비 억제 효과 측정
인간의 정상 섬유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 HNF)를 DMEM 배지가 들어 있는 24-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웰당 약 2 × 105 개의 세포가 되도록 접종시키고, 5% 농도의 CO2 배양기에 37℃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1, 10 및 50 ppm의 옥수수엽 추출물을 각각 처리한 다음 인터루킨-4(R&D, Minneapolis MN, IL-4)를 50ng/㎖을 함께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 배양액을 수집하였다. 그 다음 ELISA kit을 이용하여 에오탁신-1의 분비정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옥수수엽 추출물 및 에오탁신-1의 분비를 유도하지 않은 인간섬유아세포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인터루킨-4에 의해 유도된 에오탁신-1의 분비를 옥수수엽 추출물이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옥수수엽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에오탁신-1의 분비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농도 의존적인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5 : 옥수수엽 추출물의 DPPH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 확인
옥수수엽 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먼저, 4ml의 에탄올에 희석한 0.1 mM의 DPPH 용액과 10, 100 및 500 ppm의 옥수수엽 추출물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30분간 방치하여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옥수수엽 추출물을 혼합하지 않은 DPPH 용액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옥수수엽 추출물은 DPPH 자유라디칼을 유의성 있게 소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6 : 옥수수엽 추출물의 인체 피부에 대한 안전성 확인 실험
6-1. 옥수수엽 추출물을 포함한 피부외용제의 제조
옥수수엽 추출물이 인체 피부에 안전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으로 옥수수엽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를 제조한 다음 피부 안정성 검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정제수,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을 혼합하고 70℃에서 용해하였으며 (물파트), 상기 세 성분과 트리메탄올아민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70℃에서 용해하였다 (오일파트). 상기 오일파트를 물파트에 첨가하고 호모믹서 (일본 Tokushu Kika사)로 교반하여 1차 유화하였고, 여기에 트리메탄올아민을 최종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액에 생성된 기포를 제거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켜 피부외용제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
대조군 시험군 1 시험군 2
정제수 72 72 72
글리세린 8.0 8.0 8.0
부틸렌글리콜 4.0 4.0 4.0
옥수수엽 추출물 0 0.1 1.0
카프릴릭 카프리 트리글리세라이드 8.0 8.0 8.0
스쿠알란 5.0 5.0 5.0
세테아릴 글루쿠사이드 1.5 1.5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0.4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1.0 1.0
트리메탄올아민 0.1 0.1 0.1
총중량 100 100 100
6-2. 피부누적 자극 실험
상기 6-1의 방법으로 제조한 피부외용제를 건강한 3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윗팔뚝 부위에 격일로 총 9회, 24시간 누적 첩포를 시행하여 옥수수엽 추출물이 피부에 자극을 주는지의 여부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스쿠알란 베이스로 옥수수엽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피부외용제를 사용하였다.
첩포 방법은 핀 챔버 (Finn chamber, Epitest Ltd, 핀란드)를 이용하였으며, 챔버에 상기 각 피부외용제를 15ul씩 적하한 후 첩포를 실시하였다. 매회 피부에 나타난 반응의 정도를 하기 실험식 1을 이용하여 점수화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식 1]
평균반응도 = [[{(반응지수 × 반응도)/ (총 피검자수 × 최고점수(4점))}] × 100] / 검사회수(9회)
이때, 반응도에서 ± 는 1점, +는 2점 및 ++는 4점의 점수를 부여하며, 평균반응도가 3 미만일 때 안전한 조성물로 판정된다.
시험물질 반응이 나타난 피검자수(명) 평균
반응도
1주 2주 3주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7차 8차 9차
±/+/++ ±/+/++ ±/+/++ ±/+/++ ±/+/++ ±/+/++ ±/+/++ ±/+/++ ±/+/++
대조군 0/-/- -/-/- -/-/- -/-/- -/-/- -/-/- -/-/- -/-/- -/-/- 0.00
시험군 1 0/-/- 0/-/- -/-/- -/-/- -/-/- -/-/- -/-/- -/-/- -/-/- 0.00
시험군 2 0/-/- 0/-/- -/-/- -/-/- -/-/- -/-/- -/-/- -/-/- -/-/- 0.00
피검인원 30 30 30 30 30 30 30 30 30
실험결과, 대조군, 시험군 1 및 시험군 2의 경우, ±, +, ++에 해당하는 사람의 수가 각각 0명, 0명, 0명으로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상기 기재된 식에 따라 계산한 결과 대조군, 시험군 1 및 2의 평균 반응도는 모두 0.00으로 모두 3이하로 나타나 안전한 조성물로 판단되었다.
제제예 1 : 화장료의 제제
1-1. 유연 화장수의 제조
하기의 표 3과 같이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유연 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옥수수엽 추출물 0.01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2.0
프로필렌 글리콜 2.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잔량
총계 100.0
1-2. 영양 화장수의 제조
하기의 표 4와 같이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 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옥수수엽 추출물 0.01
밀납 4.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5.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잔량
총계 100.0
1-3. 영양 크림의 제조
하기의 표 5와 같이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 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옥수수엽 추출물 0.01
밀납 1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잔량
총계 100.0
1-4. 맛사지 크림의 제조
하기의 표 6과 같이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맛사지 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옥수수엽 추출물 0.01
밀납 1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잔량
총계 100.0
1-5. 팩의 제조
하기의 표 7과 같이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옥수수엽 추출물 0.01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복시메틸셀룰로스 0.2
알란토인 0.1
에탄올 5.0
노닐페닐에테르 0.3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잔량
총계 100.0
제조예 2: 약학적 제제의 제조
2-1. 산제의 제조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산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 표 8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g)
옥수수엽 추출물 2
유당 1
2-2. 정제의 제조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 표 9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mg)
옥수수엽 추출물 1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2-3. 캡슐제의 제조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 표 10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mg)
옥수수엽 추출물 1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Claims (6)

  1.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피부질환은 여드름, 아토피성 피부염, 건선, 지루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홍반성 루프스 또는 구진상 두드러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4.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피부질환은 여드름, 아토피성 피부염, 건선, 지루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홍반성 루프스 또는 구진상 두드러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6.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130159133A 2013-12-19 2013-12-19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576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133A KR101576337B1 (ko) 2013-12-19 2013-12-19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133A KR101576337B1 (ko) 2013-12-19 2013-12-19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969A true KR20150071969A (ko) 2015-06-29
KR101576337B1 KR101576337B1 (ko) 2015-12-11

Family

ID=53518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133A KR101576337B1 (ko) 2013-12-19 2013-12-19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3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676A1 (ko) * 2016-09-22 2018-03-29 (주)프론트바이오 퍼플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0503B2 (ja) 2001-05-14 2011-10-26 日本食品化工株式会社 抗アレルギー組成物
KR100729833B1 (ko) 2007-02-02 2007-06-19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012118B1 (ko) 2008-05-08 2011-02-07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옥수수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676A1 (ko) * 2016-09-22 2018-03-29 (주)프론트바이오 퍼플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JP2019532941A (ja) * 2016-09-22 2019-11-14 フロントバイオ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Frontbio Co. Ltd パープルコーン抽出物を含む皮膚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用薬剤学的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6337B1 (ko) 201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1080B1 (ko)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2021191795A (ja) 皮膚化粧料、頭髪化粧料および飲食品
KR102126470B1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12456A (ko) 아케비아 사포닌-디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WO2011115061A1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KR101477959B1 (ko) 알로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16866B1 (ko) 떡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911377B1 (ko) 항염 조성물
JP2020502172A (ja) 漢方薬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化粧料組成物
KR101576337B1 (ko) 옥수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922089B1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1162A (ko) 개망초 (Erigeron annuus (L.) Pers.) 추출물 또는 브레비스카핀 (breviscapine)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KR101831876B1 (ko) 이소세코타나파솔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58701B1 (ko) 아테미신산, 이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화장학적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지 억제용, 및/또는 여드름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576336B1 (ko) 샤스타데이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144566B1 (ko) 택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05672B1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1113173A (ja) インターロイキン37発現促進剤
JP2007230976A (ja) 顆粒球・マクロファージコロニー刺激因子(gm−csf)産生抑制剤i
KR102650364B1 (ko) 석산(꽃무릇)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아토피, 항주름 및 보습 증진용 조성물
KR101409111B1 (ko) 카페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026343B1 (ko)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7389465B2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及び抗酸化剤
KR20180039390A (ko) 엘리오카르푸스 하이나넨시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JP2008169172A (ja) 炎症性サイトカイン産生抑制作用を有するノルセファラジオンb誘導体、それからなる食品製剤、化粧品、抗炎症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