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343B1 -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343B1
KR102026343B1 KR1020170143801A KR20170143801A KR102026343B1 KR 102026343 B1 KR102026343 B1 KR 102026343B1 KR 1020170143801 A KR1020170143801 A KR 1020170143801A KR 20170143801 A KR20170143801 A KR 20170143801A KR 102026343 B1 KR102026343 B1 KR 102026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yam
weight ratio
c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8662A (ko
Inventor
이인아
하영순
고창인
윤영한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씨엔에스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43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343B1/ko
Publication of KR20190048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항산화 및 항염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henopodium album extract and Dioscorea japonica Thunb. extrac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트레스와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한 비만 등으로 인해 현대인들의 염증관련 질환에 대한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화학적으로 합성된 항염증 제제의 장기간 복용 시 위, 신장, 심장 및 혈관 등의 기능저해와 같은 심각한 부작용들이 밝혀지면서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은 천연자원으로부터 항염증 제제를 개발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또한, 항산화능을 가진 천연물 제제들은 주로 페놀산과 플라보노이드 등을 함유하고 있고, 이를 많이 가지고 있는 약물이나 약재는 뛰어난 항염증 효과를 가진다는 결과들을 바탕으로 항산화능이 뛰어난 천연물들의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염증 반응은 내재성 면역 반응(innate immunity) 중 하나로서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의 감염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고 유지하는 항상성 반응이다. 하지만, 과도한 급성 염증 및 만성 염증 반응은 3대 주요 사망 원인 질병인 암, 당뇨 및 혈관 관련 질환의 주 발생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대사성 질환, 혈관 관련 질환, 자가면역 질환, 신경계 질환, 근골격계 질환 및 암 등은 지속적으로 유지된 염증 상태에서 기인한 다양한 병리학적 과정(라디칼 생성,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케모카인 생성 등)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염증 반응을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제어 및 치료할 수 있다면, 상기 주요 사망 원인 질병을 충분히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염증 반응을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한편, 항염증 및 항산화 화장품은 일반적으로 피부를 정돈, 보호용의 기초 화장품, 베이스, 포인트, 손발톱용 메이크업 화장품 및 세정용, 선케어, 선테닝 등의 바디 화장품, 샴푸-전(pre-shampoo) 조성물,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왁스, 스프레이, 무스, 헤어로션, 에센스, 헤어크림, 영구 염모제, 일시 염모제, 펌제 등의 모발에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제제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항염증 및 항산화 화장품 원료 및 약제 성분으로 피부에 사용하는 경우 처리 후에 큰 효과를 보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며 인체에 무해한 화장료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11479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114539호
본 발명의 목적은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을 포함하여 항산화 및 항염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은 1 : 1-1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명아주 추출물은 명아주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1 : 20 내지 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참마 추출물은 참마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1 : 20 내지 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혼합용매는 20 내지 80 부피%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은 20 내지 35 ℃에서 40 내지 55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및 항염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도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는 스킨, 유액, 에센스, 로션, 미용액, 바디로션, 바디젤, 바디에센스, 바디세정제, 클렌징폼, 클렌징크림, 클렌징 겔, 팩, 마사지크림, 마사지겔, 영양크림, 수면크림 및 수분크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물,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방향제, 보존제, 중화제, 에몰리언트제, 피부보호제 및 피부컨디셔닝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A) 명아주와 용매를 1 : 20 내지 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20 내지 35 ℃에서 40 내지 55시간 동안 추출하여 명아주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참마와 용매를 1 : 20 내지 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20 내지 35 ℃에서 40 내지 55시간 동안 추출하여 참마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명아주 추출물과 참마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은 1 : 1-1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20 내지 80 부피%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 수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손상 없이 반영구적으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자연친화적이면서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 유래의 화장료 조성물이므로 소비자들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명아주 추출물과 참마 추출물의 농도 별로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a는 LPS로 활성화된 뇌 세포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의 IL-6 생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b는 LPS로 활성화된 비장 세포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의 IL-6 생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c는 LPS로 활성화된 대장 세포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의 IL-6 생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는 LPS로 활성화된 뇌 세포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의 TNF-α 생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b는 LPS로 활성화된 비장 세포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의 TNF-α 생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c는 LPS로 활성화된 대장 세포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의 TNF-α 생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을 포함하여 항산화 및 항염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상기 명아주(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C. album)는 중국남부에 원산지를 두고 있고, 전 세계적으로는 약 1,500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5종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명아주는 전국각지의 교란지, 염생지, 건조한 서식처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1년생 초본이다.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는 명아주를 약재로 활용하였는데 고혈압, 뇌출혈, 중풍 방지에 효과가 있어 그 엽경을 말려 약재로 사용했으며, 건초를 태운 가루를 치통, 인후통 등의 통증완화에 사용하였을 뿐 아니라 위무력증 이나 천식, 벌레물린 데까지 다양하게 사용하였다. 명아주는 식이성 섬유, 마그네슘, 비타민 K 등 영양 성분이 풍부하다는 것이 알려졌으며, 그 외에 β-카로틴, 칼슘, 철분, 필수 지방산, 시토스테롤, 로이신(leucin), 베타인(betain) 등의 아미노산, 비타민 A, B1, B2, C 등을 함유한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명아주는 항진균, 항바이러스, 항암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으며, 또한 항당뇨 작용 등이 연구된 바 있다.
또한, 상기 참마(Dioscorea japonica Thunb)는 마과(Dioscoreaceae)에 속하는 덩굴성 다년생 초본으로 땅속에 굵고 긴 덩이뿌리를 가지고 있다. 원산지가 중국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전국각지에 자생하고 덤불 속이나 풀밭에서 발견되며, 주로 전라도 산간지방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 참마는 근경에 함유되어 있는 약리 성분으로 batasin, mucin, amylase, mucilage, allantoin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자양강장, 폐결핵 및 당뇨병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또한 참마에 함유된 사포닌 성분은 동맥경화증과, 고혈압 및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중 steroidal saponin인 dioscin과 diosgenin은 항균, 항진균, 혈당 하강 작용 , 소화 촉진 작용, 자양작용 등의 약리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참마의 EtOAc(ethyl acetate) 분획물은 인체 폐암세포주의 생장을 억제한다는 것이 연구되었으며, Balb/c마우스에 참마를 투여하여 위의 기능과 지방 대사를 조사한 실험을 통해 작은 창자에서 leucine aminopeptidase 활성이 감소되고, cholesterol의 개선, LDL(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rol) 감소 및 지방흡수가 감소되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
상기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은 1 : 1-15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1-10의 중량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2-3의 중량비로 혼합된다. 명아주 추출물을 기준으로 참마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이 거의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피부 트러블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명아주와 참마를 각각 물에 세척하고 건조한다.
상기 세척된 명아주와 추출용매를 1 : 20 내지 50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25 내지 4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20 내지 35 ℃,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27 ℃에서 40 내지 55시간,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0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한다.
추출온도 및 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이 거의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불순물이 다량 함유되어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이 저하되고 피부 트러블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며, 상기 혼합용매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20 내지 80%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 수용액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의 에탄올 수용액이다.
상기 추출시 각 명아주 및 참마와 추출용매의 중량비가 벗어나는 경우에는 추출물에 명아주 및 참마의 유효성분이 적은 양으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은 각각 0.1 내지 3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2 중량%로 함유된다.
각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산화 및 염증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은 추출물 자체로 이용하거나 사용이 편리하도록 분말화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을 분말화하는 방법은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부피를 줄인 후 동결건조기로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A) 명아주와 용매를 1 : 20 내지 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20 내지 35 ℃에서 40 내지 55시간 동안 추출함으로써 명아주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참마와 용매를 1 : 20 내지 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20 내지 35 ℃에서 40 내지 55시간 동안 추출함으로써 참마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명아주 추출물과 참마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A)단계 및 (B)단계에서는 명아주와 참마를 각각 용매와 혼합시켜 20 내지 35 ℃에서 40 내지 55시간 동안 추출함으로써,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을 각각 수득한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을 1 : 1-15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1-10의 중량비로 혼합시킨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의 화장료 조성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배합 성분으로서는 물,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방향제, 보존제, 중화제, 에몰리언트제, 피부보호제 및 피부컨디셔닝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 사용되는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예로 스킨, 유액, 에센스, 로션, 미용액, 바디로션, 바디젤, 바디에센스, 바디세정제, 클렌징폼, 클렌징크림, 클렌징 겔, 팩, 마사지크림, 마사지겔, 영양크림, 수면크림 및 수분크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제조예 1. 명아주 추출물 제조_70% 에탄올 추출
전라북도 구례군에서 채취한 명아주를 세척하여 건조시킨 시료와 70% 에탄올을 1 : 3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상온에서 48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지로 2번 여과한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동결건조함으로써 명아주 추출물 분말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참마 추출물 제조_70% 에탄올 추출
전라북도 구례군에서 채취한 참마를 세척하여 건조시킨 시료와 70% 에탄올을 1 : 3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상온에서 48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지로 2번 여과한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동결건조함으로써 참마 추출물 분말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3. 명아주 추출물 제조_물 추출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추출 용매로 70% 에탄올 대신 물을 사용하여 명아주 추출물 분말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4. 참마 추출물 제조_물 추출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추출 용매로 70% 에탄올 대신 물을 사용하여 참마 추출물 분말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명아주 추출물 : 참마 추출물 = 1 : 1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명아주 추출물과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참마 추출물을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명아주 추출물 : 참마 추출물 = 1 :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명아주 추출물과 참마 추출물을 1 : 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명아주 추출물 : 참마 추출물 = 1 :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명아주 추출물과 참마 추출물을 1 :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명아주 추출물 : 참마 추출물 = 1 : 10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명아주 추출물과 참마 추출물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명아주 추출물 : 참마 추출물 = 1 : 1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명아주 추출물과 참마 추출물을 1 : 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명아주 추출물 단독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명아주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명아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참마 추출물 단독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참마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참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명아주 추출물 : 참마 추출물 = 1 : 2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명아주 물 추출물과 제조예 4에서 제조된 참마 물 추출물을 1 : 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시험예 1.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혼합 추출물의 항산화능 분석을 위하여 1,1-diphenyl- 2-picrylhydrazyl(DPPH) radical 소거법을 이용한 전자 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 측정을 수행하였다. 참마 추출물과 명아주 추출물 시료를 각각 에탄올(SAMCHUN Chemical, GYEONGGI, KOREA)에 녹여 농도 별(0.1-10 mg/ml)로 명아주 추출물과 참마 추출물이 각각 1 : 1, 1 : 2, 1 :3, 1 : 5, 1 : 10 및 1 : 15의 중량비가 되도록 제조한 후 96 well plate에 70% 에탄올에 용해시킨 0.2 mM DPPH(SIGMA, St.Louis, USA) 100 ul와 각 시료 100 ul를 분주한 혼합액을 실온에서 20분간 반응시킨 다음, microplate reader(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를 이용하여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백분율로 나타내고, 양성 대조군으로는 대표적인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를 사용하였으며 측정값은 3회 반복 실험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전자 공여능의 백분율 공식은 하기 [수학식 1]료 표시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DPPH가 짙은 자색의 안정한 자유 라디칼로 항산화 물질에 의해 환원되면서 짙은 자색이 탈색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측정하며, 그 측정 방법이 비교적 간단하여 여러 시료로부터 항산화 활성을 탐색할 때 유용하다.
[수학식 1]
Electron donating ability (%) = {1 - (A - B)/C} ㅧ 100
A: sample absorbance 520 nm, B: color control absorbance 520 nm (without DPPH), C: negative control absorbance 520 nm (without sample)
도 1은 명아주 추출물과 참마 추출물의 농도 별로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마 추출물은 0.1, 0.5, 1, 2, 4, 6, 8, 10 mg/ml에서 각각 18.01, 47.68, 66.04, 79.87, 84.76, 88.26, 89.05, 89.64%의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명아주 추출물은 10.25, 14.02, 22.24, 41.92, 62.71, 71.96, 75.07, 77.73%의 소거활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대조군으로 사용한 비타민 C(89.60 ~ 92.20% 사이)에 비하여 낮지만, 참마 추출물 및 명아주 추출물 모두 10 mg/ml에서 우수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보이므로 이후 실험에서는 참마 추출물 및 명아주 추출물 모두 10 mg/ml 농도로 사용하였다.
하기 [표 1]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혼합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전자 공여능의 백분율)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DPPH 라디칼 소거능 91.44 93.16 90.86 90.81 81.06 89.64 77.73 70.41
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된 혼합 추출물은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2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3 내지 5에 비해서도 월등히 우수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_항산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혼합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Folin-Ciocalteu's 발색법으로 함량을 측정하였다. 즉, 각각의 추출물 시료 200 ul에 0.2 N Folin-Ciocalteu's reagent 1 mL을 넣고 충분히 혼합한 후, 4분간 방치한 뒤 75 g/L Na2CO3용액 800 ul을 넣고 2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76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곡선 작성에는 0-500 mg/L gallic acid을 사용하였고, 총 폴리페놀 함량은 gallic acid (mg GAE)/g양으로 환산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촐 폴리페놀 함량(mgGAE/100g) 36.11 46.58 38.14 36.84 31.49 17.47 35.15 18.11
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된 혼합 추출물은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2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3 내지 5에 비해서도 월등히 우수한 총 폴리페놀 함량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IL-6, TNF-α) 측정_항염증
LPS로 유도한 Primary culture cells에서 염증 발생 시, 참마 추출물과 명아주 추출물이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ELISA 방법을 이용해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였다.
마우스의 뇌, 비장, 대장 조직에서 추출한 세포를 24 well plate에 1 X 106 cell/well씩 plating하여 5% CO2 incubator에서 2시간 배양한 후, LPS(1 μg/ml)로 세포를 자극하고 동시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을 처리한 후 24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염증매개물질은 세포 상층액을 이용하여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법으로 정량하였다. ELISA kit는 영인프런티어(CA, USA)에서 Mouse ELISA kit for IL-6, TNF-α를 구입하여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수행하였다. 상기 뇌는 우리 몸에 있는 세포 중 가장 민감한 세포이며, 비장은 염증조직에 민감한 조직이고, 대장은 피부와 비슷한 탄성을 가지는 조직이므로 뇌, 비장, 대장 조직에서 효능을 보이면 당연히 피부에서도 효능을 보일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과정은 항체가 코팅된 96-well plate를 washing buffer로 세척하고 1hr동안 실온에서 빛을 차단시킨다. 그 후 Standards와 각 군의 대장 점막 조직을 3번 원심분리 한 상등액을 100 ul 취한 후 96-well plate에 loading하여 Capture antibody인 IL-6항체와 2hr 반응시킨다. 다시 plate를 세척하고, Biotin이 결합된 Detection antibody와 결합시킨 후 Streptavidin-HRP(horseradish peroxidase) complex와 함께 배양한다. Substrate solution에 있는 TMB(Tetramethylbenzidine)는 HRP와 반응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가지게 되고, Stop solution(2 N H2SO4)으로 반응을 중지시킨다. Resulting solution을 Microplate reader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Standard curve를 이용해 의 농도를 IL-6와 TNF-α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IL-6
도 2a는 LPS로 활성화된 뇌 세포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의 IL-6 생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2b는 LPS로 활성화된 비장 세포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의 IL-6 생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c는 LPS로 활성화된 대장 세포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의 IL-6 생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IL-6는 감염 및 조직 손상에 반응하여 단핵식세포, T 세포 및 섬유아세포를 포함한 다양한 조혈 모세포 및 비 -조혈 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급성 기 염증반응(Acute-phase protein inflammation)을 유도하는 면역 시스템의 주요 요소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로 활성화된 마우스의 뇌, 비장, 대장 세포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 추출물의 IL-6 생성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뇌, 비장, 대장 세포 모두에서 실시예 1 내지 5의 혼합 추출물(1 mg/ml)이 대조군(NOR),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IL-6 생성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TNF-α
도 3a는 LPS로 활성화된 뇌 세포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의 TNF-α 생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2b는 LPS로 활성화된 비장 세포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의 TNF-α 생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c는 LPS로 활성화된 대장 세포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의 TNF-α 생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종양 괴사 인자 알파(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또는 TNF)는 주로 활성화된 대식세포에 의해 분비되는 염증성 사이토킨으로서 보조 T 세포, 자연살해세포, 그리고 손상된 뉴런 등의 다양한 세포에서도 분비된다. TNF는 체내 발열원으로 작용하여 열이 나게 유도하거나, 세포 자살을 유도하거나, IL-1과 IL-6의 생산을 통해 패혈증을 유발하거나, 감염을 유발하며 종양생성과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하는 능력을 갖는다.
도 3a 내지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로 활성화된 마우스의 뇌, 비장, 대장 세포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 추출물의 TNF-α 생성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뇌, 비장, 대장 세포 모두에서 실시예 1 내지 5의 혼합 추출물(1 mg/ml)이 대조군(NOR),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TNF-α 생성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세포독성 평가
한국 세포주 은행(KCLB)에서 분양 받은 대식세포 Raw 264.7 cell line을 사용하였으며, 이들 세포는 10% FBS와 15 P/S(50 units/mL penicillin, 25 mg/mL streptomycine)를 함유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Gibco BRL, Grand Island, NY, USA)을 표준배지로 하여 5% CO2 incubator에서 2일에 한 번씩 배지를 교환하면서 75 cm2 cultureflask에 배양하였다. 이후 70% 정도 증식된 세포를 trypsin/EDTA를 처리하여 세포를 회수한 다음 24 well plate에 1 X 106 cell/well씩 plating하여 5% CO2 incubator에서 하루 동안 배양한 후, 추출물을 0.2-1 mg/mL의 농도 범위로 처리한 다음 37 ℃, 5%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 후 Crystal violet staining법으로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실험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먼저 media를 각 well에서 제거하고, 1x PBS 1ml로 3회 세척 후, 10% formalin 용액을 각 well에 200 ul씩 첨가하여 10분간 고정하였다. 고정을 마치면 20% Methanol을 이용해 제조한 1% crystal violet 200 ul을 각 well에 분주한 다음 상온에서 10분간 염색하였다. 염색이 끝나면 각 well에서 염색 용액을 제거하고 증류수로 6번 세척한다. 33% glacial acetic acid 용액을 각 well에 250 ul씩 가하여 20배 희석한 용액을 96 well plate 로 옮겨 염색이 된 세포의 흡광도를 595 nm에서 측정하여 세포 생존율을 산출하였다.
[수학식 2]
세포 생존율(%)= (Test well/대조군 well) x 100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세포 생존율(%) 135.2 138.5 131.4 132.8 135.2 78.1 126.4 130.4
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된 혼합 추출물은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세포 생존율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제제예>
하기에 본 발명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유화 제형의 화장품의 제조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의 유화 제형의 화장품 및 유연화장수 등의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으로 유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1) 1 내지 9의 원료를 혼합한 혼합물을 65 내지 70 ℃로 가열하였다.
2) 10의 원료를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투입하였다.
3) 11 내지 13의 원료의 혼합물을 65 내지 70 ℃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4) 상기 단계 3)을 거치면서, 상기 2)의 혼합물을 서서히 첨가하여 8,000 rpm에서 2 내지 3분간 유화시켰다.
5) 14의 원료를 소량의 물에 용해시킨 후 상기 단계 4)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2분간 더 유화시켰다.
6) 15 내지 17의 원료를 각각 평량한 후 상기 단계 5)의 혼합물에 넣고 30초간 더 유화시켰다.
7) 상기 단계 6)의 혼합물을 유화 후 탈기과정을 거쳐 25 내지 35 ℃로 냉각시킴으로써 유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조성 유화제형 1 유화제형 2 유화제형 3
1 스테아린 산 0.3 0.3 0.3
2 스테알리 알콜 0.2 0.2 0.2
3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1.2 1.2 1.2
4 밀납 0.4 0.4 0.4
5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모노라우린산 에스테르
2.2 2.2 2.2
6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7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0.05 0.05 0.05
8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5 5 5
9 트리글리세라이드 2 2 2
10 사이클로메티콘 3 3 3
11 증류수 ~ 100 ~ 100 ~ 100
12 농글리세린 5 5 5
13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0.15
14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0.12 0.12 0.12
15 색소 0.0001 0.0001 0.0001
16 0.10 0.10 0.10
17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 0.0001 1 10
제제예 2.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의 제조
하기 표 5에 기재된 조성으로 가용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1) 2 내지 6의 원료를 1의 원료(정제수)에 넣고 아직 믹서를 이용하여 용해시켰다.
2) 8 내지 11의 원료를 7의 원료(알코올)에 넣고 완전 용해시켰다.
3) 상기 단계 2)의 혼합물을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가용화시켰다.
조성 가용화 제형 1 가용화 제형 2 가용화 제형 3
1 정제수 ~ 100 ~ 100 ~ 100
2 농글리세린 3 3 3
3 1,3-부틸렌글리콜 2 2 2
4 EDTA-2Na 0.01 0.01 0.01
5 색소 0.0001 0.0002 0.0002
6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 0.1 5 5
7 알코올(95%) 8 8 8
8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9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로제네이디트에스테르
0.3 0.3 0.3
10 0.15 0.15 0.15
11 사이클로메티콘 - - 2

Claims (12)

  1.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을 1 : 1-15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아주 추출물은 명아주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1 : 20 내지 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마 추출물은 참마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1 : 20 내지 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매는 20 내지 80 부피%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20 내지 35 ℃에서 40 내지 55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및 항염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스킨, 유액, 에센스, 로션, 미용액, 바디로션, 바디젤, 바디에센스, 바디세정제, 클렌징폼, 클렌징크림, 클렌징 겔, 팩, 마사지크림, 마사지겔, 영양크림, 수면크림 및 수분크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물,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방향제, 보존제, 중화제, 에몰리언트제, 피부보호제 및 피부컨디셔닝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A) 명아주와 용매를 1 : 20 내지 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20 내지 35 ℃에서 40 내지 55시간 동안 추출하여 명아주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참마와 용매를 1 : 20 내지 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20 내지 35 ℃에서 40 내지 55시간 동안 추출하여 참마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명아주 추출물과 참마 추출물을 1 : 1-1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20 내지 80 부피%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70143801A 2017-10-31 2017-10-31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6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801A KR102026343B1 (ko) 2017-10-31 2017-10-31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801A KR102026343B1 (ko) 2017-10-31 2017-10-31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662A KR20190048662A (ko) 2019-05-09
KR102026343B1 true KR102026343B1 (ko) 2019-09-27

Family

ID=66546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801A KR102026343B1 (ko) 2017-10-31 2017-10-31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34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870B1 (ko) * 2008-11-28 2016-01-22 (주)아모레퍼시픽 피부자극 및 염증 완화용 조성물
KR102168536B1 (ko) * 2014-07-01 2020-10-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14539A (ko) 2016-04-05 2017-10-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824179B1 (ko) 2016-04-06 2018-01-31 이스트힐(주) 더위지기 효모 발효물을 포함하는 보습 및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662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3890B1 (ko) 차가버섯, 말굽잔나비버섯, 신령버섯 및 노루궁뎅이버섯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19990B1 (ko) 천문동 및 마카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668290B1 (ko) 아토피 피부의 개선 효과를 갖는 애기수영 및/또는 대황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257435B1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92087B1 (ko) 신갈나무잎, 차풀 및 방아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0195747A (ja) グルタチオン産生促進剤、並びに該グルタチオン産生促進剤を用いた皮膚外用剤及び化粧料
KR101347910B1 (ko) 생강 초임계 추출물 및 발효 미나리 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102150927B1 (ko)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JP4460420B2 (ja) コラーゲン生成促進剤
KR102026343B1 (ko)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6440B1 (ko) 블루베리 및 흑미 추출물 배양 유산균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605517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20170101342A (ko)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열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1601A (ko) 모로헤이야, 은행잎 및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조성물
JP2003176230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エラスターゼ阻害剤、コラゲナーゼ阻害剤及び皮膚化粧料並びに美容用飲食品
KR20200053082A (ko) 한방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또는 피부진정을 위한 조성물
KR102014965B1 (ko) 포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16641B1 (ko) 포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27453B1 (ko) 포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40052B1 (ko) 포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0939658B1 (ko)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
KR20160082113A (ko) 컴파운드 k 및 파낙시돌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80039390A (ko) 엘리오카르푸스 하이나넨시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