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658B1 -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 - Google Patents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658B1
KR100939658B1 KR1020080018225A KR20080018225A KR100939658B1 KR 100939658 B1 KR100939658 B1 KR 100939658B1 KR 1020080018225 A KR1020080018225 A KR 1020080018225A KR 20080018225 A KR20080018225 A KR 20080018225A KR 100939658 B1 KR100939658 B1 KR 100939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garlic
extract
mixed
overweight
mixed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8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2955A (ko
Inventor
설장호
백남용
김동호
고재건
김동현
이호준
전용석
임남훈
이영희
김명화
정의수
윤재웅
곽재훈
강세찬
Original Assignee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더마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더마랩 filed Critical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8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9658B1/ko
Publication of KR20090092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흑마늘, 과체(참외 꼭지), 총백의 혼합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자유라디칼 소거, 지질과산화 억제, 히아루로니다아제 활성억제,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억제 등과 같은 항산화, 항염 효과를 나타내어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 가능하다.
흑마늘, 과체, 총백, 화장료, 항산화, 항염

Description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Mixture extract of aged gallic, Melonis Pedicellus(Cucumis melo var. makuwa MAKINO) and Allii Radix(Allium fistulosum L.)}
본 발명은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자유라디칼 이론은 1950년대 중반 디 하만(D. Harman)에 의해서 제시되었으며, 최근들어 학회와 관련업계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라디칼이 인체에 존재하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예를 들어, 백혈구의 식작용, 미토콘드리아에서의 ATP 생산과정 중 전자 전달계, 미엘로퍼 옥사이드(Myeloper Oxide(MPO)) 의 작용, 자외선, 담배, 정상적인 대사 과정, 스트레스, 공해 물질, 세균 등에 의해 생성된다. 
이러한 라디컬은 인체내의 항산화물질(라디칼 소거제)인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SuperOxide Dismutase:SOD), 카탈라아제, 비타민 E, 비타민 C, 유비퀴놀 (Uviquinol) 등에 의해 제거된다. 그러나 항산화 체계는 나이, 공해, 자외선, 스트레스 등에 의해 점차적으로 깨지기 시작하여, 라디칼이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이 증가된 라디칼은 진피의 결합조직인 콜라겐(Collagen), 엘라스틴 (Elastin), 히아루론산(Hyaluronic aicd) 등을 파괴하여 피부의 일정 부위의 침하 현상을 (주름) 일 으키며 세포막의 지질 부분을 산화시켜 세포의 파괴 현상을 일으켜 피부염, 여드름, 피부암 등의 질병을 유발한다. 또한 이 라디칼은 멜라닌 형성과정 중 자발적인 산화반응 (도파퀴논 →멜라닌)에 관여하여 기미, 주근깨 등의 원인 및 주름생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대한 화장품학회지 23권 1호 75~132). 
염증은 해로운 주위 환경, 즉 세균과 같은 외부 이물질의 침입과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생리적인 반응이다. 염증현상은 여러 종류의 다형핵 백혈구(PMNs)와 면역 물질의 많은 증가를 초래하고, 이들 세포들은 염증성 세포산물인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 및 지질 분해효소와 시토키닌(cytokine) 등을 분비하여 질병의 치료 및 방어를 한다. 단백질 및 지질 분해효소의 예는 Elastase, hyalurinidase 및 lipoxygenase와 같은 효소가 알려져 있다. 한편 이들의 작용은 인접해 있는 조직 세포와 비세포 성분들에게도 해로운 손상을 일으키기도 하므로, 적절한 조건하에서 염증은 초기 상태가 지난 후에 정상기능을 되찾게 되지만 염증을 자극하는 자극제가 없어지지 않거나 계속해서 만들어지면 결과적으로 만성염증이 일어나게 되어 더욱 심각한 조직의 손상을 가져온다.
이처럼 과다 염증은 세포 및 결합조직의 손상을 초래하며 피부의 탄력을 감소시켜 주름의 원인이 될 뿐 아니라 나아가 세포의 재생 및 증식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어 피부노화를 초래한다.
염증과 함께 백혈구의 이주를 촉진시키는 매개체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통해 생성된다. 이 경로는 cyclooxygenase에 의한 과정과 lipoxygenase에 의한 과정으로 나누어 있으며 이들 효소에 의해 생성된 leukotriene과 prostagladine이 염증 유발 인자로 작용한다. 따라서 lipoxygenase와 cyclooxygenase의 저해제는 염증유발물질의 생성 억제뿐만 아니라 염증시 생성되는 활성산소에 의한 세포막 파괴와 지질의 과산화반응을 억제하는 물질로서 항염증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과다 염증에 의해 생성되는 단백질 및 지질분해효소들을 억제 함으로서 그로 인해 손상되는 세포들을 보호하여 피부노화를 억제할 수 있다.
흑마늘은 마늘(Allium sativum for . Pekinense MAKINO)을 발효, 숙성시킨 것이다. 흑마늘에는 생마늘에 존재하지 않는 S-allylcysteine(SAC)과 S-allyl-mercapto-cysteine이라는 수용성의 유황아미노산이 생성되어 항산화력이 상승하고 암 예방, 콜레스테롤 저하, 동맥경화 개선, 심장질환의 예방 등의 다양한 약리작용의 효과가 생마늘보다 매우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과체는 박과(CuCurbitceae)의 식물인 참외(Cucumis melo var . makuwa MAKINO)의 꼭지이다. 과체는 천식, 구토, 동상, 부종, 생리통, 숙취, 양모(養毛), 풍습, 요퇴 동통 등에 사용되어 지고 있다(중약대사전, 중약대사전편찬위원회, 도서출판 정담, 1997).
총백은 백합과(Liliaceae)의 식물인 파(Allium fistulosum L.)의 뿌리 쪽의 흰부분을 총백이라 하여 약용하며 봄과 가을에 꽃피지 않은 뿌리를 캐어 쓴다. 해독, 항균 작용이 있어 염증이나 종기를 삭히는 작용을 하고, 감기, 소화불량, 설사, 피부 궤양, 부스럼, 임산부의 태동 불안에 이용되어 왔다. 또한 혈액순환을 좋게 하여 냉한 체질을 개선하고, 신경통으로 인한 통증이나 어깨 결림에도 효과가 있으며, 몸을 따뜻하게 하여 민간에서는 감기의 치료 및 예방에 사용되어 왔다(중약대사전, 중약대사전편찬위원회, 도서출판 정담, 1997).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항산화 및 항염 효과 물질인 아스코르브산, α-토코페롤, SOD 등이 자유 라디칼 소거 효과를 가지는 물질로 화장료나 의약품에 배합함으로써 주름 및 기타 피부 질환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이용되어 왔는데, 이들은 가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배합시 안정성이 좋지 못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얻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자유라디칼과 염증에 의한 피부 트러블의 개선을 위해서는 항산화, 항염의 효과가 우수하며, 부작용이 없고 비용이 저렴한 물질의 개발 및 그 물질을 함유하는 사용이 용이한 화장료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본 발명은 항염, 항산화 작용을 동시에 가지며 피부트러블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천연 혼합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효능을 갖는 신규한 화장료 소재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흑마늘은 검은색을 띠는 마늘을 의미하며 시중에 유통중인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도 있고, 백마늘을 구입하여 일정한 온도와 습도에서 발효시키는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과체는 참외 꼭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재래 시장에서 쉽게 구입하여 사용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총백은 파의 뿌리인 흰 부분을 의미하고, 봄과 가을에 꽃이 피지 않은 파 뿌리를 캐어서 주로 사용하며, 이 또한 재래 시장에서 구입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에서, 흑마늘, 과체, 총백의 혼합 중량비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흑마늘, 과체, 총백의 혼합 중량비가 1: 0.1~5: 0.1~5 일 수 있다. 바람직한 흑마늘, 과체, 총백의 혼합 중량비는 1: 0.4: 0.6(5: 2: 3)이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공지된 추출 용매를 통하여 공지된 방법으로 추출될 수 있다. 추출용매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가 있다. 추출방법을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약재상으로부터 구입한 흑마늘, 과체, 총백 전초를 세절한 후 동일 비율로 즉 1:1:1로 혼합하여 그 건조 중량의 1~15배 부피량의 물,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에틸아세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추출용매를 부가하여 4∼30℃에서 3∼20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추출용매를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또 다른 추출 방법으로는, 흑마늘, 과체, 총백 전초를 세절한 후 동일 비율로 즉 1:1:1로 혼합하여 그 건조 중량의 1~15배 부피량의 물,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에틸아세테이트, 물,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한다. 이어서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냉각 콘덴서를 구비한 추출기로 30∼100℃에서 3∼48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거나 5∼30℃에서 1~5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한 다음, 추출 용매를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은 다양한 범위의 중량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은 액상의 중량으로 0.1%~10 중량% 화장료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흑 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은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증발되어 나오는 용매를 회수하여 건조 시켜, 그 건조중량으로서 0.0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01∼3중량%의 양으로 화장료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에 있어서, 상기의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 외에 다른 성분들을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은 항산화, 항염, 세포 증식 효과가 우수하므로, 항산화, 항염, 피부 트러블 개선 효과 및 세포 증식을 위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제조예, 실험예 등을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흑마늘 , 과체 , 총백의 혼합 비율에 따른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
흑마늘(제조사: 의성영농조합법인 제품인 의성토종통흑마늘), 과체, 총백을 세절하여 각각 100g 씩 혼합한 시료를 메탄올 3㎏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80℃로 8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47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40℃에서 완전히 농축하여 건조 중량 85.1 g을 얻었다.
실시예 2~ 7.
흑마늘, 과체, 총백을 세절하여 하기 표1의 시료 혼합 비율(흑마늘: 과체: 총백)로 하고 메탄올을 용매로 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1과 같다.
시료 혼합 비율(중량비) (흑마늘: 과체: 총백) 수득량(g)
실시예 2 2:3:5 (60g:90g:150g) 60.2
실시예 3 2:5:3 (60g:150g:90g) 62.7
실시예 4 3:2:5 (90g:60g:150g) 68.3
실시예 5 3:5:2 (90g:150g:60g) 71.7
실시예 6 5:3:2 (150g:90g:60g) 108.4
실시예 7 5:2:3 (150g:60g:90g) 110.7
B. 추출용매 종류에 따른 흑마늘 , 과체 , 총백 혼합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8 ~ 10.
실시예 2~7의 결과에 근거하여 흑마늘, 과체, 총백의 중량 조성 비율을 5:2:3(150g:60g:90g)으로 하고 하기 표2에 기재된 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용매 수득량(g)
실시예 8 121.3
실시예 9 30% 함수 에탄올 115.7
실시예 10 70% 함수 에탄올 113.6
< 비교예 1> 흑마늘 추출물의 제조
흑마늘(제조사: 의성영농조합법인 제품인 의성토종통흑마늘) 100g을 30% 함수 에탄올 1㎏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80℃로 8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47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40℃에서 완전히 농축하여 건조 중량 35.9g을 얻었다.
< 비교예 2> 과체 추출물의 제조
과체 100g을 30% 함수 에탄올 1㎏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80℃로 8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47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40℃에서 완전히 농축하여 건조 중량 18.3g을 얻었다.
< 비교예 3> 총백 추출물의 제조
총백 100g을 30% 함수 에탄올 1㎏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80℃로 8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47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40℃에서 완전히 농축하여 건조 중량 16.5g을 얻었다.
< 제조예 1> 화장수 제조
실시예 8의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 분말을 함유한 화장수(스킨로션)를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 분말(실시예 8) 1.0
2 글리세린 3.0
3 부틸렌 글리콜 2.0
4 프로필렌 글리콜 2.0
5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1.0
6 에탄올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1
8 방부제 미량
9 색소 미량
10 향료 미량
11 정제수 잔량
성분 11번에 성분 2,3,4,8번을 순서대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별도의 용기에 5번을 60℃ 정도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성분 10번을 투입하고 용해한 후 성분 11번에 투입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용액에 성분 1,6,7,9번을 투입하여 실온에서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영양로션 제조
실시예 8의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 분말을 함유한 영양로션을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 분말(실시예 8) 1.0
2 밀납 1.0
3 폴리솔베이트 60 1.5
4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5
5 유동 파라핀 10.0
6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
7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
8 스테아린산 1.5
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1.0
10 프로필렌글리콜 3.0
11 카르복시폴리머 0.1
12 트리에탄올아민 0.2
13 방부제 미량
14 색소 미량
15 향료 미량
16 정제수 잔량
성분 10, 11, 13, 16번을 혼합 교반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성분 2, 3, 4, 5, 6, 7, 8, 9, 12번을 80 ~ 85℃사이로 가열 용해한 후 유화하였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성분 15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성분 14번을 투입하고 35℃에 성분 1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켜 본 발명에 따른 영양로션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영양크림 제조
실시예 8의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 분말을 함유한 영양크림을 하기 표 5에 기재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함량 (중량%)
1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 분말(실시예 8) 1.0
2 스테아린산 2.0
3 세틸알콜 2.0
4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5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5
6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7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1.0
8 왁스 1.0
9 유동파라핀 4.0
10 스쿠알란 4.0
11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1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13 부틸렌글리콜 5.0
14 글리세린 3.0
15 트리에탄올아민 0.5
16 정제수 잔량
성분 12, 13, 14, 16번을 혼합교반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성분 2, 3, 4, 5, 6, 7, 8, 9, 10, 11번을 80 ~ 85℃사이로 가열하여 용해한 후 성분 15번를 투입 교반하여 제조부에 투입하고 유화하였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35℃까지 냉각하고 성분 1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켜 본 발명에 따른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에센스 제조
실시예 8의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 분말을 함유한 에센스를 하기 표 6에 기재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 분말(실시예8) 1.0
2 시토 스테롤 1.7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
4 세라마이드 0.7
5 스테아레스-4 1.2
6 콜레스테롤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8 농글리세린 5.0
9 마카다미아 오일 15.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1 산탄검 0.2
12 방부제 미량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잔량
성분 2, 3, 4, 5 및 6번을 50℃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을 제조하였다. 이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성분 1, 7, 8 및 14번을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를 통과하고 이어 성분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에 재차 통과시켰다. 그리고 성분 10, 11, 12, 13번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실온에서 숙성시켜 본 발명에 따른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비교 제조예1 및 2> 영양크림 제조
하기 표 7에 기재된 조성 및 방법으로 비교 제조예 1 및 2의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비교 제조예1 비교 제조예2
2 스테아린산 2.0 2.0
3 세틸알콜 2.0 2.0
4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2.0
5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5 0.5
6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0.5
7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1.0 1.0
8 왁스 1.0 1.0
9 유동파라핀 4.0 4.0
10 스쿠알란 4.0 4.0
11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4.0
1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0.3
13 부틸렌글리콜 5.0 5.0
14 글리세린 3.0 3.0
15 트리에탄올아민 0.5 0.5
16 정제수 잔량 잔량
17 1.0 -
18 인도메타신 - 1.0
성분 12, 13, 14, 16번을 혼합교반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성분 2, 3, 4, 5, 6, 7, 8, 9, 10, 11번을 80 ~ 85℃사이로 가열하여 용해한 후 성분 15번을 투입 교반하여 제조부에 투입하고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35℃까지 냉각하고 성분 17번(비교 제조예1), 성분 18번(비교 제조예2)을 각각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켜 비교 제조예1 및 2의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세포 무독성 및 증식효과 확인 실험
실시예 9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추출물 건조분말에 대하여 세포배양을 이용한 세포 증식 효과를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배양하고 있는 세포(파이브로블라스트,3T3)를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5,000세포/웰로 분주하여 30분간 항온조에서 배양하고, 시료를 농도 별 각각 0.01, 0.1, 0.5, 1.0(%,W/V))로 투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티아졸린 블루(Thiazoline blue)를 투여하고 4시간 동안 추가 배양을 하였다. 배양액을 모두 버리고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에 반응 정지액을 가하고 5분간 교반한 후,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주입량만큼 10 %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배지를 투여하여 세포 성장의 최적 조건으로 동시배양을 하였으며, 대조군의 세포증식을 100%로 하고 시료 투입 실험군의 세포 증식율을 계산하였다.
세포증식 효과는 계산식 1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으며, 도1의 그래프와 같다.
[계산식 1]
Figure 112008014688346-pat00001
추출물 농도(%) 세포증식율(%)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9
대조군 100 100 100 100
0.01 109.0 103.2 101.5 105.3
0.1 118.6 107.5 104.9 113.5
0.5 131.2 118.1 111.6 127.1
1.0 133.9 120.7 117.2 135.7
상기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포 성장 최적 조건에서의 세포 증식을 100%로 하였을 때, 흑마늘, 과체 및 총백 혼합 추출물은 135.7%의 우수한 세포 증식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이러한 세포 증식효과는 흑마늘, 과체 및 총백 혼합 추출물이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세포 증식효과 실험으로부터 본 발명의 흑마늘, 과체, 및 총백 혼합 추출물은 세포증식 효과가 우수하고 세포 독성이 없는 안전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 자유라디칼 소거효과 확인 실험
실시예 9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대하여 자유라디칼(Free Radical) 소거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비교 물질로 Quercetin을 사용하였다.
DPPH(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법 (참조:Blois.M.S.Nature 181, 1190, 1958)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DPPH와 Quercetin은 시그마(SIGMA)사의 것을 사용하였다. 0.2mM DPPH 메탄올 용액 1ml에 여러 농도(1, 5, 10, 20, 30ppm)의 실시예 9, 비교예 1 내지 3, 비교 물질인 Quercetin의 메탄올 용액 2ml를 첨가하고 잘 교반한 후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그리고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공시험으로 각 시료 대신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하기 계산식 2를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효과를 구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9에 기재하였으며, 이를 도식화 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2]
Figure 112008014688346-pat00002
농도(ppm) 자유라디칼 소거 속도 (%)
비교예1 비교예2 대조예3 실시예 9 Quercetin
0 0 0 0 0 0
1 3.7 7.3 5.5 8.8 9.4
5 18.9 22.8 20.6 27.7 28.5
10 36.2 44.2 39.6 49.5 53.6
20 69.3 78.1 72.7 93.9 94.8
30 94.2 98.5 97.8 - -
비교예 1의 SC50 : 15.07ppm
비교예 2의 SC50 : 13.47ppm
비교예 3의 SC50 : 14.24ppm
실시예 9의 SC50 : 10.25ppm
Quercetin의 SC50 : 9.94ppm
표 9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9의 자유라디칼 50% 소거 농도(SC50)는 10.25ppm로 Quercetin의 자유라디칼 50% 소거 농도(SC50)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흑마늘, 과체, 총백의 혼합 추출물은 이들의 단일 추출물 보다 우수한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3> 리폭시게나아제활성억제 효과 확인 실험
실시예 9, 비교예 1 내지 3에 대하여 리폭시게나아제(Lipoxygenase) 활성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비교 물질로 Quercetin을 사용하였다.
TBAS법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에 사용하는 리놀산(Linoleic acid)과 리폭시게나아제(Lipoxygenase), 티오바르비툴산(Thiobarbitulic acid), Quercetin는 시그마(SIGMA)사의 것을 사용하였다. 1mM의 리놀산 1ml에 여러 농도(1, 3, 5, 20, 30ppm)의 실시예 9, 비교예 1 내지 3, 그리고 Quercetin을 0.05ml를 첨가하고 리폭시게나아제 0.95ml를 투여 후 잘 교반하여 25℃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그리고 트리클로로 아세트산을 0.5ml 투여하고 티오바르비툴산 1ml 첨가한 후 10분간 가열한 후 얼음물에서 2~3분간 냉각시켜 반응을 종료시켰다. 반응이 종결된 후, 반응액에 부탄올 2ml를 넣고 4000g로 5분간 원심분리 한 후 53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 각 시료 대신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하기 계산식 3을 이용하여 Lipoxygenase 활성억제 효과를 구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0에 기재하였으며, 이를 도식화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3]
Figure 112008014688346-pat00003
농도(ppm) Inhibition (%)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9 Quercetin
0 0 0 0 0 0
1 2.1 5.3 5.8 6.6 6.2
3 9.3 13.8 14.4 18.7 20.7
5 28.1 35.7 40.6 52.7 55.8
20 57.1 63.8 68.2 91.2 93.6
30 95.7 97.5 98.6 - -
비교예 1의 IC50 : 16.64ppm
비교예 2의 IC50 : 15.34ppm
비교예 3의 IC50 : 14.67ppm
실시예 9의 IC50 : 10.70ppm
Quercetin IC50 : 10.30ppm
표 10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9의 리폭시게나아제 50% 활성억제 농도(IC50)는 10.70ppm 이고, 이는 비교 물질인 Quercetin의 10.30ppm과 거의 동일하다. 그러나 Quercetin이 단일 물질이며 이를 추출하여 그 순수 물질의 수득과 사용상의 안정성 및 비용을 고려한다면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의 리폭시게나아제 활성억제 효과가 더 우수하며, 사용 및 생산 비용적인 면에서도 더 효과적이다.
또한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은 이들 각각의 단일 추출물에 비해 우수한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4> 히아루로니다아제 활성 억제 효과 확인 실험
실시예 9, 비교예 1 내지 3에 대하여 히아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 활성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Morgan-Elson법을 응용한 방법을 이용하였다. Hyaluronidase의 최종 효소 활성을 400NF unit/㎖, HA의 최종 농도를 0.4㎎/㎖로 하고 활성제인 Compound 48/80 buffer 용액 (0.1㎎/㎖)을 사용하여 불활성형 Hyaluronidase의 활성화 단계의 저해작용을 중심으로 Hyaluronidase 활성을 측정하였다. 시료는 buffer에 용해하여 시료 용액으로 하고 대조군은 시료용액 대신에 buffer를 사용하였다. 또한 각각의 blank로는 효소용액 대신에 buffer를 사용하였으며, 비교 물질로는 녹차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하기 계산식4를 이용하여 히아루로니다아제 활성억제 효과를 구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의 표 11과 같으며, 이를 도식화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4]
히아루로니다아제 활성 억제 효과(%)
×=100-(각 시료의 반응흡광도/대조군의 반응흡광도×100)
농도(%) Inhibition (%)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9 녹차추출물
0 0 0 0 0 0
0.5 12.9 7.8 6.2 11.6 8.5
1 36.1 25.7 22.8 31.6 20.1
3 57.2 54.3 50.7 60.5 47.3
5 98.1 96.1 93.6 97.3 90.7
비교예 1의 IC50 : 2.40%
비교예 2의 IC50 : 2.60%
비교예 3의 IC50 : 2.73%
실시예 9의 IC50 : 2.42%
녹차추출물의 IC50 : 2.85%
표 1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9는 비교 물질 녹차추출물보다 히아루로니다아제 활성억제 효과가 보다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5> 지질과산화 억제효과 확인 실험
실시예 9, 비교예 1 내지 3에 대하여 지질과산화(Lipid peroxydation)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비교 물질로 녹차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8%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수용액에 리놀산(linolenic acid)을 0.1%가 되게 용해한후, 이중 3.9ml을 취해서 여기에 농도별(0.5, 1, 3, 5, 10%)로 시료 0.1ml를 첨가한 후 자외선을 한 시간 조사하였다. 그리고 1 ml를 취해서 0.8% TBA(Thiobarbituric acid) 수용액 1.5ml와 20% 초산(pH 3.5) 1.5ml를 첨가하고 1시간 동안 중탕하여 냉각한 후 정제수 1ml와 n-BuOH:Pyridine(15:1) 5ml를 가하여 진탕하고 원심분리 후 n-BuOH층을 취해 53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공시험(대조군)은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으로 하였다. 하기 계산식 5를 이용하여 지질과산화 효과를 구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2에 기재하였으며, 이를 도식화하여 도 5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5]
지질 과산화 억제 효과(%)
=100-(각시료의 반응흡광도/대조군의 반응흡광도*100)
농도 (%) Inhibition (%)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9 녹차추출물
0 0 0 0 0 0
0.5 9.8 8.2 9.2 11.7 7
1 25.4 24.1 26.1 30.8 21.4
3 60.7 56.7 62.3 65.3 51.2
5 82.5 79.3 85.7 85.6 78.9
10 97.1 94.7 96.7 98.9 97.1
비교예 1의 IC50 : 3.67%
비교예 2의 IC50 : 3.90%
대조예 3의 IC50 : 3.59%
실시예 9의 IC50 : 3.38%
녹차 추출물 IC50 : 4.00%
표 1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9의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는 녹차 추출물 보다 우수하다. 또한,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추출물은 이들 각각의 단일 추출물 보다 우수한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6> 항염증효과 확인 실험
제조예 3에 대하여 항염증효과를 측정하였다.
건강한 쥐(ICR계 5주령) 20마리를 대상으로 1개 시료당 2마리씩 실험하였다. 우선 쥐의 양쪽 귀를 에탄올로 잘 닦아준 다음 시료[제조예3, 비교 제조예1(대조군), 비교 제조예2]를 각각 2㎕씩 발라주었다. 1시간 경과 후에 왼쪽 귀에는 아세톤을 20㎕ 발라주며, 오른쪽 귀에는 염증유발 양성대조물질인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발라주었다. 다시 1시간 경과 후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양쪽 귀의 두께를 3회씩 반복 측정하고, 계산식 6을 이용하여 평균치를 구하여 항염증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13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6]
저해율(%) =((대조군 두께 - 실험군 두께)/대조군 두께)*100
시료 결 과
부풀은 정도 (mm) 저해율(%)
제조예3 2.98 38.93%
비교제조예1(대조군) 4.88 -
비교제조예2 2.21 54.7%
상기의 표 1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은 염증발생 저해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의 세포증식 효과를 도식화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를 도식화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의 리폭시게나아제 활성억제 효과를 도식화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의 히아루로니다아제 억제 효과를 도식화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의 지질 과산화 억제 효과를 도식화한 그래프이다.

Claims (7)

  1. 흑마늘, 과체, 및 총백 혼합 추출물.
  2. 제1항에 있어서, 흑마늘, 과체, 총백의 혼합 중량비가 1: 0.1~5: 0.1~5 인 혼합 추출물.
  3. 제2항에 있어서, 흑마늘, 과체, 총백의 혼합 중량비가 1: 0.4: 0.6(5: 2: 3)인 혼합 추출물.
  4. 제1항에 있어서,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인 혼합 추출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이 화장료 조성물 총 건조중량에 대하여 0.001∼5중량%의 양으로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팩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018225A 2008-02-28 2008-02-28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 KR100939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225A KR100939658B1 (ko) 2008-02-28 2008-02-28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225A KR100939658B1 (ko) 2008-02-28 2008-02-28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955A KR20090092955A (ko) 2009-09-02
KR100939658B1 true KR100939658B1 (ko) 2010-02-03

Family

ID=41301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8225A KR100939658B1 (ko) 2008-02-28 2008-02-28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96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612B1 (ko) * 2016-03-04 2022-06-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과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6323A (en) 1994-03-03 1997-04-01 Bio-Obtention Sc Cucumis melo protein extract with antioxidant activity and process for preparing it, cosmetic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ood composition containing such an extract
JP2001226249A (ja) 2000-02-17 2001-08-21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水蒸気蒸留水含有化粧料組成物
KR20030056582A (ko) * 2001-12-28 2003-07-04 김형민 면역 증강용 조성물
JP2007151436A (ja) 2005-12-02 2007-06-21 Miiru Japan:Kk 醗酵黒ニンニク抽出液及び醗酵黒ニンニクパウダー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及びこれらを含む飲食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6323A (en) 1994-03-03 1997-04-01 Bio-Obtention Sc Cucumis melo protein extract with antioxidant activity and process for preparing it, cosmetic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ood composition containing such an extract
JP2001226249A (ja) 2000-02-17 2001-08-21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水蒸気蒸留水含有化粧料組成物
KR20030056582A (ko) * 2001-12-28 2003-07-04 김형민 면역 증강용 조성물
JP2007151436A (ja) 2005-12-02 2007-06-21 Miiru Japan:Kk 醗酵黒ニンニク抽出液及び醗酵黒ニンニクパウダー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及びこれらを含む飲食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955A (ko)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254B1 (ko)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KR100863890B1 (ko) 차가버섯, 말굽잔나비버섯, 신령버섯 및 노루궁뎅이버섯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16106B1 (ko)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해조류 혼합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화장료 조성물
KR100793019B1 (ko)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갖는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55354B1 (ko) 발효식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헤어샴푸
KR100953278B1 (ko) 항염 및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122960B1 (ko)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화장료 조성물
KR100992087B1 (ko) 신갈나무잎, 차풀 및 방아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009801A (ko) 호장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68290B1 (ko) 아토피 피부의 개선 효과를 갖는 애기수영 및/또는 대황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2103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949390B1 (ko) 항산화 또는 항염 또는 자극완화 또는 보습 효과가 있는 비비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81344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88753B1 (ko)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939658B1 (ko)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
KR102612017B1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74194A (ko) 쉬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7040B1 (ko) 리보플라빈 및 안젤리카잎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37328A (ko) 병아리꽃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382137B1 (ko) 히어리 및 얼레지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57376B1 (ko) 홍해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82972B1 (ko) 해란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효과 화장료 조성물
KR20060007083A (ko) 람부탄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및 람부탄추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