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753B1 -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753B1
KR100888753B1 KR1020070042739A KR20070042739A KR100888753B1 KR 100888753 B1 KR100888753 B1 KR 100888753B1 KR 1020070042739 A KR1020070042739 A KR 1020070042739A KR 20070042739 A KR20070042739 A KR 20070042739A KR 100888753 B1 KR100888753 B1 KR 100888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cid
cornel
oil
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2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7636A (ko
Inventor
김기호
이남호
김영희
한창성
양홍철
김경태
나심술타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to KR1020070042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753B1/ko
Publication of KR20080097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7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7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0Cornaceae (Dogwood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산딸나무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 주름 개선 효과 및 피부탄력 효과를 가지므로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Cornus kousa or the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having anti-aging and anti-wrinkle activity}
본 발명은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신체의 최외각을 이루고 있는 기관으로 항상 대기중에 노출되어 있어서 태양광선, 산소, 세균, 각종 공해물질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또한 대기 중 21%를 산소가 차지하고 있으며 지구상의 호기성 생물들은 이러한 대기 중의 풍부한 산소를 호흡하여 체내전자수용체를 통해 에너지를 확보하여 생명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생명유지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산소들이 체내 효소계, 환원대사, 화학약품, 공해물질, 광화학반응 등의 물리적, 화학적, 환경적 요일들로 인하여 슈퍼옥시드(superoxide) 음이온 라디칼(O2˙-), 하이드록시 라디칼(ㆍOH), 과산화수소(H2O2)나 싱글렛 옥시젠(singlet oxygene(1O2))과 같은 반응성이 매우 큰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으로 전환되면 프리라디칼 반응에 의해 지질을 포함하는 세포의 주요 거대분자를 파괴하고 세포구성물질 및 세포막과 반응하여 대사과정에 이상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arman, D., Ann. N. Y. Acade . Sci ., 673, pp126-141, 1992).
또한 노화란 지구상의 생명체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겪게 되는 신체의 모든 생리적 변화를 통칭하는 것으로 개체에 따라 수많은 요인에 의해 매우 다양하게 일어나는 생명현상을 말하며 수많은 연구들을 통해 노화에 대한 여러 가지 가설이 제기되었는데 하르맨(Harman)의 프리라디칼이론에 의하면 이러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생체내 항산화 방어기작이 있지만 지질, 단백질, 핵산 등의 생체분자들이 계속적으로 프리라디칼에 의해 산화적 손상을 받게 되면 산화와 항산화의 불균형이 야기되고 산화반응 산물들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축적되어 노화의 원인이 된다고 하고 있다(Harman, D., J. Gerontol., 11, pp298-300, 1596 ; Richter et al., Proc . Natl . Acad . Sci . USA, 85, pp6465-6467, 1988 ; Oliver et al., J. Biol Chem ., 262, pp5488-5491, 1987 ; Brunk et al., Mutat . Res., 275, 396-403, 1992).
특히 피부노화의 경우에는 내인성 노화(intrinsic aging)와 외인성노화(photoaging)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되는데(EB Doris, Cosmetics & Toiletories., 111, pp31-37, 1996) 내인성 노화는 외부환경과는 무관하게 유전적 요소에 영향을 받아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현상으로 인위적인 조절이 어렵지만 외인성 노화는 외부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 현상으로 인위적인 조절이 비교적 용이하다고 할 수 있다. 외인성노화의 대표적인 인자는 자외선으로 태양광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자외선에 의해 과잉의 활성산소종이 생성되고 체내의 항산화효소와 비타민 E, C, 글루타치온 및 유비퀴놀 등의 항산화제가 감소함으로 인해 산화와 항산화의 불균형이 야기되어 지질 과산화, 단백질 산화,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화,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사슬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 히아루론산 사슬절단, 멜라닌 생성반응 촉진, DNA 산화와 같은 생체 구성 성분들의 손상을 가져오고 결국에는 피부탄력감소, 주름 및 기미, 주근깨 생성 등의 피부노화가 일어나게 된다(Oikarinen, A., Photodermatol. Photoimmunol . Photomed ., 7(1), pp3-4, 1990 ; Yamauchi, M., J. Invest. Dermatol., 97, pp938-941, 1991).
따라서 자외선이나 외부환경적 요인에 의해 활성산소나 프리라디칼이 생성 되고 생성된 활성산소나, 프리라디칼에 의해 세포막이 공격을 당하게 되면 피부는 염증(inflammation)이 일어나며, 단백질이나 유전자 물질 등이 파괴되어 주름 등을 형성하는 일련의 피부노화 메카니즘을 거쳐 피부노화가 일어나는 것이다. 이에 피부노화 메카니즘상의 단계를 모두 억제시켜줄 수 있다면 피부노화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것이나 아직까지는 그런 이상적인 항노화제를 개발하지는 못하고 있으며 외부요인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나 프리라디칼을 제거해주는 항산화제와 피부노화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효소중 하나인 엘라스타제의 활성억제물질을 찾는 연구들이 가장 활발이 이뤄지고 있다.
엘라스타제(elastase)는 피부 탄력을 유지해주는 동물 결합조직의 불용성 탄성섬유단백질인 엘라스틴(elastin)을 분해하는 유일한 분해효소로 알려져 있다(Wiedow, O., Schroder, J. M., E. J. Biol . Chem., 265(5), p14791, 1990). 엘라스타제는 연령이 증가하거나 자외선 등의 외부피부자극에 의해 과잉생성이 되며 과잉 생성된 엘라스타제가 엘라스틴을 과도하게 분해시켜 콜라겐간 결합이 약화되어 피부에 주름이 생성된다. 특히 40대 이후에서 엘라스타제의 작용에 의해 피부의 탄력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엘라스타제의 작용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활발해져 엘라스틴 섬유가 일부 소멸되거나 응집현상이 나타나고, 콜라겐섬유가 감소하기 때문으로 이러한 엘라스타제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주름생성을 억제할 수가 있다(Bissett, D. L., Photochem. Photobiol., 46, pp367-378, 1987 ; Bizot-Foulon V., Godeat G., W. Int . J. Cos . Sci., 17, pp255-264, 1995).
산딸나무(Cornus kousa)는 중부이남에서 자라는 낙엽교목으로 높이 7~10m에 달하고 가지는 층을 지어 수평으로 퍼지며 잔가지는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갈색이며 둥근 피목이 있고 재부가 연한 녹색이며 골속은 연한 녹갈색이고 충실하다. 잎은 대생으로 난형, 원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고 점첨두 예저로 길이 5~12cm, 너비 3.5~7cm, 표면은 녹색이고 약간의 누운 잔털이 있으며 뒷면은 회록색으로 누운 털이 밀생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물결형 톱니가 약간 있으며 측맥은 4~5쌍이고 잎자루는 길이 3~7mm로 털이 없다. 잔가지 끝에 꽃차례가 둥글게 달리고 꽃자루는 길이 5~10cm로 처음에는 누운털이 약간 있으며 총포편은 4개가 사방으로 퍼지고 좁은 난형으로 예첨두 예저이고 길이 3~9cm, 너비 2~3cm로 보통 백색이다. 꽃은 6월에 피며 20~30개가 둥글게 모여달리고 소화경이 없다. 열매는 취과로 둥글며 지름 1.5~2.5cm이고 10월에 적색으로 익으며 타원형의 종자는 길이 4~6mm이다. 익은 열매는 맛이 달고 좋아 식용한다(이창복,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p850, 2003). 한방에서는 꽃과 잎을 야여지(野여枝)라고 하며 수렴, 지혈의 효능이 있으며 성분으로는 잎에 이소퀘르시트린(isoquercitrin), 갈릭산(gallic acid)이 함유되어 있다(배기환, 한국의 약용식물, 교학사, p359, 2000).
한편 산딸나무 추출물에 관한 선행발명의 예를 보면, 꽃포가 붉은 산딸나무(한국특허공개 제2005-0082850호), 잎이 좁고 수형이 특이한 산딸나무(한국특허공개 제2005-0082852호) 등이 있으나 항산화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산딸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에 대한 내용은 그 어디에도 개시되거나 교시된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에서 피부노화와 관련하여 프리라디칼을 소거하여 항산화 효과를 갖으며 피부주름을 개선할 수 있는 엘라스타제 억제활성을 갖는 물질을 확인하던 중 산딸나무 가지에서 우수한 항산화효과 및 주름개선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하기 구조식 1 내지 5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하기 구조식 1 내지 5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합물 1 : 베툴린산 ( betulinic acid)
(1)
화합물 2 : 2α,3α, 23- 트리하이드록시올린 -12-en-28-산 (2α,3α, 23- trihydroxyolean -12-en-28- oic acid)
(2)
화합물 3 : 카테킨( catechin )
(3)
화합물 4 : 2- 하이드록시나린제닌 -7-O-β-D-글루코피라노시드(2- hydroxynaringenin -7-O-β-D- glucopyranoside )
(4)
화합물 5 : 다우코스테롤( Daucosterol )
(5)
또한 상기 산딸나무 추출물은 산딸나무의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조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초산에칠,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에테르 및 클로로포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메탄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린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에서 정의되는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물, 메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부탄올에 가용한 추출물이고,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은 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글리세린 또는 부틸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 바람직하게는 헥산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산딸나무 추출물들의 수득과정을 살펴보면, 산딸나무를 세절하여 추출용매로서 정제수를 포함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초산에칠, 부틸렌글리콜물, 에테르, 클로로포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메탄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린에 가용한 추출물을 1 내지 30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배 부피의 양을 넣고 상온 또는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교반 추출,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가열추출 등의 추출방법, 바람직하게는 교반추출 또는 가열추출하고 여과하여 1 내지 10℃에서 1 내지 15일 동안 침적시켜 1 내지 7회,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회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본 발명의 산딸나무 조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극성용매 및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상기에서 얻은 산딸나무 조추출물 중량의 2 내지 30배,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5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배 부피의 물을 분산시킨 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등의 비극성 용매 및 부탄올, 에탄올등의 극성용매를 순차적으로 물과 동량 부피를 가하여 1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회 분획하여 본 발명의 산딸나무 극성용매 및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을 수득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산딸나무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전개용매로서 헥산: 에틸아세테이트의 100 :1의 혼합용매를 사용하고, 고정상으로는 실리카겔 60(Silica gel 60)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8개의 하부 분획물로 나눈 후, 클로로포름 : 메탄올의 100 :1의 혼합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세파덱스(Sephadex LH-20)로 분획한 다음 감압농축하여 본 발명의 베툴린산(betulinic acid), 2α,3α, 23-트리하이드록시올린-12-en-28-산(2α,3α, 23-trihydroxyolean-12-en-28-oic acid), 카테킨(catechin), 2-하이드록시나린제닌-7-O-β-D-글루코피라노시드(2-hydroxynaringenin-7-O-β-D-glucopyranoside) 및 다우코스테롤(Daucosterol)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0.1 내지 50 중량 %로 포함한다.
상기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 주름 개선 효과 및 피부탄력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피부에 적용시 안전성에도 문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딸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완화 효과를 갖는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피부 외용제 제형으로서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제 형태의 약학조성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100㎎/㎏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외용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완화 효과를 갖는 화장품 및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크림, 로션, 스킨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 중량 백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 % 중량 백분율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사용기기 및 용매
본 발명에서 활성성분의 구조분석에 사용한 핵자기공명분석기는 1H-NMR(400MHz), 13C-NMR(100.60MHz)의 JNM-LA 400(FT NMR system, JEOL)을 사용하였고, 사용된 용매는 각각 메탄올(methanol)-d4, 클로로포름(chloroform)-d, 피리딘(pyridine)-d5로써 알드리치(Aldrich)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산딸나무 조추출물의 제조
1-1. 산딸나무 95% 에탄올 가용 조추출물(CK-1)의 제조
산딸나무 가지를 세절하여 1kg을 95%(w/w%) 에탄올 10L에 넣고 상온에서 5일간 교반 추출한 후 25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여 추출물(CK-1) 8.3L(고형분 46.2g)를 수득하였다.
1-2. 산딸나무 물 가용 조추출물(CK-2)의 제조
95% 에탄올을 정제수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반응 공정을 수행하여 추출물(CK-2) 8.6L (고형분 28.3g)를 수득하였다.
1-3. 산딸나무 100% 메탄올 가용 조추출물(CK-3)의 제조
95% 에탄올을 100%메탄올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반응 공정을 수행하여 추출물(CK-3) 9.1L (고형분 32.4g)를 수득하였다.
1-4. 산딸나무 100% 에탄올 가용 조추출물(CK-4)의 제조
95% 에탄올을 100% 에탄올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반응 공정을 수행하여 추출물(CK-4) 8.2L (고형분 30.5g)를 수득하였다.
1-5. 산딸나무 30% 에탄올 가용 조추출물(CK-5)의 제조
95% 에탄올을 30% 에탄올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반응 공정을 수행하여 추출물(CK-5) 8.5L (고형분 43.1g)를 수득하였다.
1-6. 산딸나무 70% 에탄올 가용 조추출물(CK-6)의 제조
95% 에탄올을 70% 에탄올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반응 공정을 수행하여 추출물(CK-6) 8.6L (고형분 47.8g)를 수득하였다.
1-7. 산딸나무 100% 부틸렌글리콜 가용 조추출물(CK-7)의 제조
95% 에탄올을 100%부틸렌글리콜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반응 공정을 수행하여 추출물(CK-7) 8.2L (고형분 25.6g)를 수득하였다.
1-8. 산딸나무 100% 프로필렌글리콜 가용 조추출물(CK-8)의 제조
95% 에탄올을 100% 프로필렌글리콜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반응 공정을 수행하여 추출물(CK-8) 8.4L (고형분 29.2g)를 수득하였다.
1-9. 산딸나무 글리세린 가용 조추출물(CK-9)의 제조
95% 에탄올을 글리세린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반응 공정을 수행하여 추출물(CK-9) 8.1L (고형분 23.4g)를 수득하였다.
1-10. 산딸나무 30% 부틸렌글리콜 가용 조추출물(CK-10)의 제조
95% 에탄올을 30% 부틸렌글리콜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반응 공정을 수행하여 추출물(CK-10) 8.7L (고형분 23.9g)를 수득하였다.
1-11. 산딸나무 30% 프로필렌글리콜 가용 조추출물(CK-11)의 제조
95% 에탄올을 30% 프로필렌글리콜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반응 공정을 수행하여 추출물(CK-11) 8.4L (고형분 30.7g)를 수득하였다.
1-12. 산딸나무 95% 에탄올 가용 조추출물(CK-12)의 제조
산딸나무 가지를 세절하여 1kg을 95%(w/w%) 에탄올 10L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70℃에서 3시간 가열, 추출한다. 25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한다. 최종 0.45㎛ 필터로 여과하여 추출물(CK-12) 8.5L (고형분 48.5g)를 얻었다.
1-13. 산딸나무 물 가용 조추출물(CK-13)의 제조
95% 에탄올을 정제수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12와 동일한 반응 공정을 수행하여 추출물(CK-13) 8.3L (고형분 32.7g)를 수득하였다.
1-14. 산딸나무 100% 메탄올 가용 조추출물(CK-14)의 제조
95% 에탄올을 100% 메탄올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12와 동일한 반응 공정을 수행하여 추출물(CK-14) 8.8L (고형분 39.3g)를 수득하였다.
1-15. 산딸나무 100% 에탄올 가용 조추출물(CK-15)의 제조
95% 에탄올을 100% 에탄올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12와 동일한 반응 공정을 수행하여 추출물(CK-15) 8.5L (고형분 35.9g)를 수득하였다.
1-16. 산딸나무 30% 에탄올 가용 조추출물(CK-16)의 제조
95% 에탄올을 30% 에탄올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12와 동일한 반응 공정을 수행하여 추출물(CK-16) 8.5L (고형분 41.1g)를 수득하였다.
1-17. 산딸나무 70% 에탄올 가용 조추출물(CK-17)의 제조
95% 에탄올을 70% 에탄올로 바꾸는 점만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12와 동일한 반응 공정을 수행하여 추출물(CK-17) 8.8L (고형분 48.9g)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산딸나무 비극성 용매 가용 추출물의 제조
2-1. 산딸나무 n- 헥산 가용 추출물(CK-18)의 제조
상기 실시예 1-6에서 얻어진 추출물(CK-6) 고형분 중 30g을 500ml 정제수에 분산시킨 후, n-헥산 500ml을 넣어 진탕하여 실온에서 2~3시간정도 방치한 후, 상층과 하층으로 나누고, 상층액(n-헥산)을 회수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3회 실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추출액 파우더(CK-18) 4.2g을 얻었다.
2-2. 산딸나무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CK-19)의 제조
상기 실시예 2-1에서 얻어진 하층액(물층)에 에틸아세테이트 500ml을 넣고 진탕하여 실온에서 2~3시간정도 방치한 후, 상층과 하층으로 나누고, 상층액(에틸아세테이트)을 회수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3회 실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추출액 파우더(CK-19) 4.8g을 얻었다.
실시예 3. 산딸나무 극성용매 가용 추출무의 제조
3-1. 산딸나무 n- 부탄올 가용 추출물(CK-20)의 제조
상기 실시예 2-2에서 얻어진 하층액(물층)에 n-부탄올 500ml을 넣고 진탕하여 실온에서 2~3시간정도 방치한 후, 상층과 하층으로 나누고, 상층액(부탄올)을 회수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3회 실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감압농축하여 추출액 파우더(CK-20) 11.6g을 얻었다.
3-2. 산딸나무 물 가용 추출물(CK-21)의 제조
상기 실시예 3-1에서 얻어진 하층액(물층)을 감압농축하여 추출액 파우더(CK-21) 9.3g을 얻었다.
실시예 4. 산딸나무 추출물로부터 화합물의 분리
상기 실시예 2-2에서 얻어진 4.8g의 산딸나무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추출물 건조분말을 실리카겔(Merck silica gel 60, 0.063~0.2mm)로 충진된 컬럼에서 순차적으로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100:0→0:100), 에틸아세테이트: 메탄올(100:0→75:25)의 용매를 이동상으로 사용하여 8개의 분획물들을 분획한 다음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각각의 분획물 파우더들을 재결정하였고, 또한 세파덱스(Fluka sephadex LH-20, 25~100㎛)로 충진된 컬럼에서 클로로포름: 메탄올(100:0→80:20)의 용매를 이동상으로 사용하여 15개의 분획물들을 분획한 다음 감압농축 및 재결정하여 얻어진 파우더들의 구조분석 및 확인을 위하여 핵자기공명분광기를 사용하여 1H-NMR 및 13C-NMR 스펙트럼을 측정하였고 용매(메탄올(methanol)-d4 + 클로로포름(chloroform)-d)를 사용하여 δ값을 내부표준물질인 트리메칠실란을 기준으로 ppm단위로 나타내어, 하기와 같은 화합물들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1 : 베툴린산 ( betulinic acid)
1) 1H-NMR(400MHz) δ 0.53(s), 0.61(s), 0.72(s), 0.73(s), 0.76(s), 1.50(s), 3.17(brs), 4.37(d, J=1.7Hz), 4.52(d, J=2.4Hz).
2) 13C-NMR(100.60MHz) δ 38.6, 26.7, 78.5, 38.6, 55.3, 18.1, 34.2, 40.5, 50.4, 36.9, 20.7, 25.4, 38.2, 42.3, 30.4, 32.1, 56.1, 46.9, 49.1, 29.5, 36.9, 150.5, 27.6, 15.1, 15.6, 15.8, 14.4, 178.9, 109.2, 18.9
화합물 2 : 2α,3α, 23- 트리하이드록시올린 -12-en-28-산 (2α,3α, 23- trihydroxyolean -12-en-28- oic acid)
1) 1H-NMR(400MHz) δ 0.52(s), 0.55(s), 0.66(s), 0.69(s), 0.78(s), 0.92(s), 0.92(m), 3.03(d, J=13.68Hz), 3.11(m), 3.30(d, J=10.0Hz), 3.46(ddd, J=4.6, 6.3, 9.8Hz), 5.03(t, J=3.6Hz).
2) 13C-NMR(100.60MHz) δ 45.9, 68.2, 78.3, 42.5, 47.7, 17.9, 31.9, 39.1, 47.4, 37.8, 22.8, 121.9, 143.8, 41.6, 27.4, 23.2, 46.2, 41.1, 45.8, 30.4, 33.6, 32.3, 67.1, 12.6, 16.6, 16.5, 25.5, 180.6, 32.7, 23.2
화합물 3 : 카테킨( catechin )
1) 1H-NMR(400MHz) δ 2.51(dd, J=8.0, 16.1Hz), 2.86(dd, J=5.4, 16.1Hz), 3.98(dd, J=7.6, 13.2Hz), 4.57(d, J=7.6Hz), 5.85(d, J=1.7Hz), 5.93(d, J=1.7Hz), 6.73(dd, J=8.3, 1.2Hz), 6.77(d, J=8.3Hz), 6.84(d, J=1.2Hz).
2)13C-NMR(100.60MHz) δ 83.0, 68.9, 28.7, 157.7, 96.4, 157.1, 95.6, 157.9, 100.9, 132.4, 115.4, 146.4, 146.4, 116.2, 120.2
화합물 4 : 2- 하이드록시나린제닌 -7-O-β-D-글루코피라노시드(2- hydroxynaringenin -7-O-β-D- glucopyranoside )
1) 1H-NMR(400MHz) δ 3.08(brs), 3.43(t, J=8.0Hz), 3.65(m), 3.70(t, J=8.0Hz), 3.72(dd, J=4.4, 12.2Hz), 3.78(m), 3.87(dd, J=5.2, 12.7Hz), 4.86(d, J=7.4Hz), 5.99(s), 6.09(s), 6.57(d, J=8.6Hz), 7.00(d, J=8.6Hz).
2) 13C-NMR(100.60MHz) δ 107.5, 42.1, 197.6, 173.6, 92.0, 169.6, 97.7, 159.5, 105.0, 125.8, 132.7, 115.7, 157.2, 101.3, 74.6, 77.9, 71.1, 78.2, 62.3
화합물 5 : 다우코스테롤( Daucosterol )
1) 1H-NMR(400MHz) δ 0.68(s), 0.86(d, J=7.2Hz), 0.89(d, J=7.2Hz), 0.90(t, J=7.2Hz), 0.95(d, J=6.4Hz), 0.98(m), 1.01(s), 1.11(m), 1.13(m), 1.14(m), 1.30(m), 1.30(m), 1.44(m), 1.45(m), 1.60(m), 1.85(m), 2.05(m), 2.49(t, J=12.4Hz), 2.76(dd, J=5.1, 14.9Hz), 3.62(m), 3.95(dd, J=8.0, 9.0Hz), 4.00(m), 4.07(t, J=9.0Hz), 4.31(dd, J=9.0, 8.8Hz), 4.43(dd, J=11.9, 5.1Hz), 4.60(dd, J=12.0, 4.0Hz), 5.08(d, J=7.6Hz), 5.36(d, J=3.68Hz).
2) 13C-NMR(100.60MHz) δ 37.9, 32.3, 78.9, 40.0, 141.3, 122.3, 32.3, 32.1, 50.7, 37.3, 21.7, 39.4, 42.9, 57.2, 24.6, 28.6, 56.6, 12.5, 19.8, 36.5, 20.3, 34.3, 28.2, 46.1, 29.5, 19.6, 19.4, 23.8, 12.3, 102.9, 75.7, 78.8, 72.1, 78.5, 63.2
실험예 1. 프리라디칼 소거능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산딸나무 추출물 및 실시예 4의 화합물들에 대하여 프리라디칼 소거 효과를 푸지타(Fujita) 등의 방법을 개선한 방법으로 안정한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를 사용하여 하기와 같이 측정 하였다(M. S. Bloi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9, pp1199-1200, 1958).
0.2 mM 의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용액(SIGMA, D9132) 1mL 에 산딸나무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을 각 농도별로 2mL 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0 분간 반응 시킨 후, 525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프리라디칼 소거효과 (%)를 구한다. 이때 블랑크(Blank)는 DPPH 대신 에탄올을 사용하며, 대조군은 실험군과 동일한 농도의 아스코르브산 2mL 을 첨가한다.
프리라디칼 소거활성 SC50 은 프리라디칼을 50% 소거하는데 요구되는 추출물 및 화합물의 농도(㎍/㎖)로써 표시하였고, 산딸나무 추출물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산딸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 SC50 (㎍/㎖)
CK-1 32.1
CK-2 44.3
CK-3 28.9
CK-4 29.3
CK-5 36.9
CK-6 27.5
CK-7 54.8
CK-8 63.4
CK-9 81.6
CK-10 45.7
CK-11 51.2
CK-12 36.3
CK-13 41.9
CK-14 35.7
CK-15 32.5
CK-16 31.4
CK-17 28.8
CK-18 68.7
CK-19 12.7
CK-20 26.4
CK-21 39.4
시료 SC50 (㎍/㎖)
대조구(L-ascorbic acid) 4.6
화합물 3 8.2
화하물 4 71.9
실험결과, 상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산딸나무 추출물과 화합물 3 및 화합물 4는 탁월한 프리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어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엘라스타제 저해효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산딸나무 추출물 및 실시예 4의 화합물들에 대하여 엘라스타제 활성저해 효과를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Lee et al., J. Cosmetic Science, 49, pp285-297, 1998).
완충액(0.267M Tris 액을 pH 8.0이 되도록 0.267M 염산(HCl)액으로 조정하였다), 60㎕에 기질액 (엘라스타제 기질 Succ-Ala-Ala-Ala-p-nitroanilide 표준품(SIGMA, S4760)을 8.8mM로 하였다) 20㎕ 및 시료100㎕(실시예 1 내지 4의 각각의 시료를 정제수에 일정 농도로 희석하여 제조)를 넣어 섞고, 효소액(돼지 췌장 엘라스타제(Porcine Pancreatic Elastase) 표준품(SIGMA, E-1250)을 10㎍/㎖가 되도록 만들었다) 20㎕를 넣어 흔들어 섞어 25℃에서 15분간 반응시키고, p-니트로아닐린(p-nitroaniline)의 생성량을 파장 410nm에서 흡광도 B를 측정한다. 완충액 60㎕에 기질액 20㎕, 정제수 20㎕ 및 시료 100㎕를 넣어 위와 같은 방법으로 조작하여 얻은 액을 대조액으로 하여 흡광도 C를 측정한다. 또한 시료 대신 정제수 100㎕를 가지고 검액과 같은 방법으로 조작하여 얻은 액을 공시험액으로 하여 그 흡광도 A를 측정하며, 효소액 및 검액 대신 정제수 120㎕를 넣어 검액과 같은 방법으로 조작하여 얻은 액을 색보정액으로 하여 그 흡광도 D를 측정하고 다음식에 따라 엘라스타제 억제율(%)을 구한다.
엘라스타제 저해율(%) =
[1 - (각 농도 혼합 식물 추출물의 효소 활성도/대조군의 효소 활성도)] X 100
엘라스타제 저해활성 IC50 은 엘라스타제의 활성을 50% 저해하는데 요구되는 추출물 및 화합물의 농도(㎍/㎖)로써 표시하였고, 산딸나무 추출물의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으며, 산딸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고, 활성비교를 위해 대조구로 올레아놀릭산(Oleanolic acid)을 사용하였다.
시료 IC50 (㎍/㎖)
CK-1 132.7
CK-2 116.3
CK-3 112.8
CK-4 103.4
CK-5 121.7
CK-6 92.6
CK-7 142.1
CK-8 155.9
CK-9 148.2
CK-10 109.4
CK-11 118.5
CK-12 125.2
CK-13 126.9
CK-14 103.1
CK-15 110.8
CK-16 99.3
CK-17 105.2
CK-18 101.6
CK-19 86.3
CK-20 144.4
CK-21 163.1
시료 IC50 (㎍/㎖)
올레아놀릭산(Oleanolic acid) 8.0
화합물 1 10.8
화합물 2 113.5
화합물 3 97.0
화합물 4 44.6
화합물 5 86.3
실험결과, 상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산딸나무 추출물과 화합물 1 내지 화합물 5는 탁월한 엘라스타제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주름개선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1. 유연 화장수( 스킨 )의 제조
산딸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유연 화장수(스킨)의 제조예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번호 원 료 함 량
1 CK-6 10.0
2 프로필렌 글라이콜 5.00
3 에탄올 3.00
4 페녹시에탄올 0.20
5 알란토인 0.20
6 시트릭애씨드 0.20
7 소듐시트레이트 0.12
8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0.10
9 메칠파라벤 0.10
10 조합향료 0.10
11 정제수 총합이 100
〈제조방법〉
제형예 1
에탄올에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메칠파라벤 및 조합항료를 용해하고 나머지 성분을 용해한 정제수에 투입하여 용해하였다.
비교제형예 1
원료물질 1을 제외하고 상기 제형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영양화장수(로션)의 제조
산딸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로션의 제제예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번호 원 료 실시제형예 1 비교제형예 1
1 CK-6 10.0 -
2 스테아린산 0.4 0.4
3 1,3-부틸렌글라이콜 6.0 6.0
4 세토스테아릴 알콜 1.2 1.2
5 글리세린 4.0 4.0
6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 1.0
7 트리에탄올아민 0.2 0.2
8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3.0 3.0
9 유동파라핀 5.0 5.0
10 스쿠알란 3.0 3.0
11 마다카미아 너트 오일 2.0 2.0
12 폴리솔베이트 60 1.5 1.5
13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0.5
14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0 0.10
15 메칠파라벤 0.10 0.10
16 조합향료 0.10 0.10
17 정제수 총합이 100 총합이 100
〈제조방법〉
제형예 2
상기와 같은 함량의 원료를 일반 유화방법으로 오일에 용해되는 성분을 유상성분으로, 정제수에 용해되는 성분을 수상성분으로 하여 일정온도(80~85℃)에서 수상성분과 유상성분을 일반 호모믹서로 균질 혼합하는 유화공정을 거처, 증점제(카보머)를 중화한 다음 냉각, 부향, 산딸나무 추출물 첨가, 탈포 과정을 거쳐 제조를 완료하였다.
비교제형예 2
원료물질 1을 제외하고 상기 제형예 2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영양크림의 제조
산딸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크림의 제제예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번호 원 료 함 량
1 CK-6 10.0
2 글리세린 6.00
3 스쿠알란 6.00
4 이소헥사데칸 5.50
5 세틸옥타노에이트 4.00
6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2.50
7 폴리소르베이트 60 1.00
8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00
9 스테아린산 1.00
10 라놀린 1.00
11 라우레쓰-12 1.00
12 세틸알코올 0.50
13 소르비탄 시쓰퀴올리에이트 0.30
14 카보머 0.30
15 트리에탄올아민 0.30
16 메칠파라벤 0.20
17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0.15
18 프로필파라벤 0.10
19 조합향료 0.10
20 정제수 총합이 100
〈제조방법〉
제형예 3
상기와 같은 함량의 원료를 일반 유화방법으로 오일에 용해되는 성분을 유상성분으로, 정제수에 용해되는 성분을 수상성분으로 하여 일정온도(80~85℃)에서 수상성분과 유상성분을 일반 호모믹서로 균질 혼합하는 유화공정을 거쳐, 증점제(카보머)를 중화한 다음 냉각, 부향, 산딸나무 추출물 첨가, 탈포 과정을 거쳐 제조를 완료하였다.
비교제형예 3
원료물질 1을 제외하고 상기 제형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친수성 연고제의 제조
번호 원 료 함량(중량%) 함량(중량%)
1 CK-6 0.5 -
2 화합물 1 - 0.5
3 백색 바세린 250 250
4 스테아릴 알콜 220 220
5 에칠(또는 메칠)p-옥시벤조에이트 0.25 0.25
6 프로필렌 글리콜 120 120
7 라우릴 황산 나트륨 15 15
8 프로필 p-옥시벤조에이트 0.15 0.15
임상 시험예 1. 피부 탄력도 개선 효과
피부주름에 대한 산딸나무 추출물의 영향을 실험하기 위해 제조예 2의 제형예 2 및 비교제형예 3의 로션을 20세~55세의 여성층으로서 정상, 지성, 건성, 복합성 피부의 소유자 20명에게 안면 왼쪽부분에는 제형예 2의 로션을, 안면 오른쪽부분에는 비교제형예 2의 로션을 아침, 저녁으로 1일 2회 도포하여 사용하게 한 후 1주, 2주, 3주 및 4주후, 피부 탄력 측정기기(Ballistometer)를 이용하여 피부의 탄력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산딸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예 2의 로션이 비교제형예 2의 로션에 비해 피부상태 개선효과에 의해 피부탄력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산딸나무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 주름 개선 효과 및 피부탄력 효과를 가지므로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피부 외용 약학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9)

  1. 산딸나무 가지의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베툴린산(betulinic acid), 카테킨(catechin) 또는 2-하이드록시나린제닌-7-O-β-D-글루코피라노시드(2-hydroxynaringenin-7-O-β-D-glucopyranoside)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피부 외용 약학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70042739A 2007-05-02 2007-05-02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888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739A KR100888753B1 (ko) 2007-05-02 2007-05-02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739A KR100888753B1 (ko) 2007-05-02 2007-05-02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636A KR20080097636A (ko) 2008-11-06
KR100888753B1 true KR100888753B1 (ko) 2009-03-24

Family

ID=40285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2739A KR100888753B1 (ko) 2007-05-02 2007-05-02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7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881B1 (ko) * 2010-12-03 2014-01-0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6-메톡시나린제닌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147B1 (ko) * 2009-08-18 2012-01-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산딸나무 열매 추출물, 산딸나무 열매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펜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콜레스테롤혈증에 기인하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30028442A (ko) * 2011-09-09 2013-03-19 학교법인 한동대학교 항노화 활성을 갖는 베툴린산과 그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CN109771350B (zh) * 2019-03-19 2021-09-28 广州睿森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皮肤屏障修复组合物、精华液及其制备方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식품과학회지 제39권 2호, pp.200-208.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ksabc), 49(1), 82-85, 2006*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2th Symposium & conference, pp.170-170 (2005)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881B1 (ko) * 2010-12-03 2014-01-0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6-메톡시나린제닌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636A (ko) 200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427B1 (ko)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갖는 녹차씨 오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773856B1 (ko) 나한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라이터펜계화합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80004367A (ko) 금화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15485B1 (ko) 피부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수련 뿌리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05386B1 (ko)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0776346B1 (ko) 한련초, 숙지황, 하수오 및 반하 혼합 생약 추출물을함유하는 항비듬, 항염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1001578B1 (ko) 산거울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알파-비니페린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888753B1 (ko)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696294B1 (ko)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녹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1191724B1 (ko) 대청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090097483A (ko) 독성을 경감시킨 반묘 함유 복합 생약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의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100865071B1 (ko)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179589B1 (ko)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o-메틸호노키올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535875B1 (ko)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2284899B1 (ko) 황기 펩타이드 숙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활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07874B1 (ko) 산거울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알파-비니페린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KR102171924B1 (ko) 개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러지 완화용 피부 외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42690B1 (ko) 참나도히초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82983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JP2003342179A (ja) 老化防止剤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210123548A (ko)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조성물
KR20210063048A (ko) 아롱 부챗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의학적 조성물
KR100714172B1 (ko) 주름 생성 억제 및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28984A (ko)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