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1342A -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열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열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1342A
KR20170101342A KR1020160023235A KR20160023235A KR20170101342A KR 20170101342 A KR20170101342 A KR 20170101342A KR 1020160023235 A KR1020160023235 A KR 1020160023235A KR 20160023235 A KR20160023235 A KR 20160023235A KR 20170101342 A KR20170101342 A KR 20170101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natural plant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japoni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3098B1 (ko
Inventor
이규란
정의수
Original Assignee
정의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의수 filed Critical 정의수
Priority to KR1020160023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098B1/ko
Publication of KR20170101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외선, 적외선 등에 의해 피부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고, 알로에, 참다시마, 참마, 유근피 및 제비꽃을 혼합하여 추출한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함으로써,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에 도포하면 자외선, 적외선 등에 의한 피부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여 열에 의한 피부 노화 방지를 하며, 상기 알로에, 참다시마, 참마, 유근피 및 제비꽃을 혼합하여 추출한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하는 것으로, 상기 천연 식물 혼합추출물과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력 효과, 항산화(NO 소거) 효과 및 세포증식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 독성이 없고, 민감성 피부에 적용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피부 부작용이 없도록 하는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열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부의 열을 조절하도록 알로에, 참다시마, 참마, 유근피 및 제비꽃을 혼합하여 추출한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제공하고, 상기 알로에, 참다시마, 참마, 유근피 및 제비꽃을 혼합한 후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열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열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Natural plant mixed extracts that regulate heat of the skin and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heat anti-aging that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적외선 등에 의해 피부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하는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알로에, 참다시마, 참마, 유근피 및 제비꽃을 혼합하여 추출한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함으로써,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에 도포하면 적외선 등에 의한 피부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여 열에 의한 피부 노화 방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열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알로에, 참다시마, 참마, 유근피 및 제비꽃을 혼합하여 추출한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하는 것으로, 상기 천연 식물 혼합추출물과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력 효과, 항산화(NO 소거) 효과 및 세포증식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 독성이 없고, 민감성 피부에 적용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피부 부작용이 없도록 하는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열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는 일반적으로 피부를 청결하고 아름답게 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러한 목적을 수반하는 과정에 피부를 깨끗하게 하고 잡티를 제거하고, 피부를 촉촉하게 하고, 자외선을 차단하고, 공해 및 스트레스에 의한 체내 활성산소 및 과산화물 제거하여 피부의 노화를 지연하는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화장품은 피부의 노화를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피부의 노화는 크게 자연 노화와 외인성 노화로 구분할 수 있다. 외인성 노화는 주로 태양광선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특히 자외선은 광노화(photo-aging)를 일으키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반면, 적외선은 체내에 열을 상승시켜 이로운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적외선은 인체에서 완전히 무해하다고 간주하기 어려우며, 자외선과 같이 photo-aging 및 photo-carcinogenesis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사람의 피부에 장시간 노출하게 되면 열에 의한 피부 노화를 발생시킨다고 보고되었다.
종래에는 피부 노화를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피부의 보습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화장품에 콜라겐을 배합한 제품들이 출시되어 있으나, 이들 화장품은 콜라겐을 피부 표면에 도포하는 것으로서 고분자인 콜라겐의 경피 흡수가 어려워 보습작용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본질적인 피부 기능 개선이라고 말할 수 없었다.
또한, 피부노화 억제를 위하여 콜라겐 합성 촉진 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종래의 콜라겐 합성 촉진 물질로는 레티노익애씨드,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 발암증식인자, Cardinale G. 등, Adv. Enzymol., 41, p.425,1974),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8-231370호), 베툴린산(betulinic acid,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3561063호), 클로렐라 추출물(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9-040523,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3966922호)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레티노익애씨드는 불안정하고 피부적용시 자극, 발적 등의 안정성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고,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클로렐라 추출물 등은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의 콜라겐 합성 촉진에 의한 피부 기능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피부 노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열을 조절하여 적정 피부 온도를 유지하며, 피부 자극완화 효과가 우수하며, 안전하고, 생산비용이 저렴하며, 제형에 있어서 안정성이 있는 소재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적외선 등에 의해 피부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하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알로에, 참다시마, 참마, 유근피 및 제비꽃을 혼합하여 추출한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함으로써,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에 도포하면 적외선 등에 의한 피부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여 열에 의한 피부 노화 방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열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알로에, 참다시마, 참마, 유근피 및 제비꽃을 혼합하여 추출한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하는 것으로, 상기 천연 식물 혼합추출물과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력 효과, 항산화(NO 소거) 효과 및 세포증식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 독성이 없고, 민감성 피부에 적용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피부 부작용이 없도록 하는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열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피부의 열을 조절하도록 알로에, 참다시마, 참마, 유근피 및 제비꽃을 혼합하여 추출한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알로에, 참다시마, 참마, 유근피 및 제비꽃을 혼합한 후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열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은 적외선 등에 의해 피부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열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은 알로에, 참다시마, 참마, 유근피 및 제비꽃을 혼합하여 추출한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함으로써,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에 도포하면 적외선 등에 의한 피부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여 열에 의한 피부 노화 방지를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열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은 알로에, 참다시마, 참마, 유근피 및 제비꽃을 혼합하여 추출한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하는 것으로, 상기 천연 식물 혼합추출물과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력 효과, 항산화(NO 소거) 효과 및 세포증식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 독성이 없고, 민감성 피부에 적용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피부 부작용이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 직후 피부 열 감소를 나타내는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 5분 경과 후 피부 열 감소를 나타내는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 10분 경과 후 피부 열 감소를 나타내는 사진.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적외선 등에 의해 피부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고,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로 활용하여, 적외선 등에 의한 피부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열에 의한 피부 노화를 방지하고, 보습력 효과, 항산화(NO 소거) 효과 및 세포증식 효과를 가지며, 피부 독성이 없고, 민감성 피부에 적용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피부 부작용이 없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피부의 열을 조절하도록 알로에, 참다시마, 참마, 유근피 및 제비꽃을 혼합하여 추출한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제공한다.
상기 알로에(Aloe Barbadensis Mill.)는 백합과(Liliaceae)의 다년생 초본으로 한 곳에서 방사꼴로 뻗어 나온 두껍고 다육질의 가시가 없는 잎과 똑바로 선 노란색 혹은 빨간 꽃다발을 지닌 줄기가 없는 식물이다. (Ben-Erik van Wyk and Michael Wink. (2007) Medicinal Plants of the World. Shinilbooks.)
알로에 잎즙을 말린 것은 쓴맛강장약, 소화 및 식욕항진약으로 사용하며, 설사약으로도 사용하고, 동의치료에서는 어린이 감적과 변비 때 사용하며, 알로에 생즙은 억균약으로 상처를 관장하거나 썩는 부위를 씻는데 사용한다.(최옥자. (1994) 약초의 성분과 이용. 일월서각)
알로에의 주요 성분으로는 glucomannan, mannose와 같은 polysaccharide와 Anthraquinone, Vitamin, Mineral 등이 있으며, 그 효능으로는 상처치료, 화상으로 인한 자극완화, 항균, 항염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ra Dermarderosian.(2008) The review of natural products, 5th, pub.Wolterscluwerhealth, Y.J Cho at al. (2006) / Anti-inflammatory Effect of Aloe Vera and Aloe Arborescens in Phosphatidic Acid-Stimulated Raw Cells. KOR. J. Appl. Biol. Chemistry 49(1),65-69, Qiuhui Hu at al.(2005) /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Aloe vera(Aloe barbadensis Miller) extracts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상기 참다시마 (Laminaria japonica Aresch.)는 갈조식물 중 다시마과(Laminariaceae)에 속하며, 수산자원 중 가장 풍부한 해조류 중 하나로 우리나라 전해안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동의보감에서 참다시마는 ‘곤포’라 하여 신체의 저항성을 높여주고 각종 질병에 효과가 있으며 노화를 예방하는 건강장수식품으로 기록되어 있다. 참다시마는 K, Na, Ca, Mg, I 등 신체의 생리대사에 관하는 무기질을 다량 함유하고 alginic acid, fucoidan, laminaran, polysaccharide 등과 같은 다양한 영양성분을 포함한다.(YSKim, CO Kang, MH Kim, WS Cha and HJ Shin. (2011) Contents of Water Extract for Laminaria japonica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26 : 112-118)
또한, 상기 참다시마는 지질 대사 개선 효과, 항당뇨 활성, 해독 작용, 고혈압 예방, 항암, 항돌연변이, 항바이러스, 면역증강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가 보고되었다.(DS Ryu, SM Oh, KH kim, SH Kin, HJ Choi and DS Lee. (2010)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Laminaria japonica Polysaccharides.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42, No. 3, pp. 350~354)
상기 참마(Dioscorea japonica Thunb.)는 마과(Dioscoreaceae)의 다년생 초본으로 괴근, 주아 및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과 들에서 자란다. 관상용으로 울타리에 심기도 하며, 괴근은 식용한다.(강병화. (2008) 한국생약자원생태도감. 지오북.)
참마는 알칼리성 식품으로 자양강장, 폐결핵 및 당뇨병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며, 참마에 함유된 사포닌 성분은 동맥경화증과, 고혈압 및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점액성분인 mucilage을 비롯하여 Saponin, Diosicn, Diosgenin, Flavonoid, Polyphenol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산화, tyrosinase 억제활성 및 항균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K Kim and KK Lee. (2013) Screening of Physiological Activities of Discurea japonica Extracts. J. Kor. Soc. Cosm. Vol. 19, No. 3, 509-515 )
상기 유근피는 느릅나무과(Ulmaceae)의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의 코르크층을 벗긴 수피를 건조한 것으로 유피(楡皮), 유백피(楡白皮)라고도 한다. 우리나라의 전국 산야에서 자생하며 지리적으로 만주, 일본, 중국에 널리 분포한다. (YS Kim, JH Kim and KH Kim. (2004) Cosmetical Properties of Polysccharides from the Root Bark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Vol. 30, No. 4, 509-514)
유근피는 예로부터 수욕, 거담, 항암, 항부패성, 상처치료약 및 염증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으며 민간에서는 유근피와 열매, 뿌리를 물에 담가두어 용출되는 끈끈한 점액질을 고약으로 만들어 소염제로 이용했다고 한다.(YS Kim, JH Kim and KH Kim. (2004) Cosmetical Properties of Polysccharides from the Root Bark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Vol. 30, No. 4, 509-514)
유근피 중에는 β-sitosterol, phytosterol, stimasterol, tannin, 전분, 점질성, 다당류 등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진통, 소염, 항균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다.(KY Jeong and ML Kim. (2012) Physiological Activities of Ulmus pumila L.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9(1), 104-109)
상기 제비꽃(Viola mandshurica W. Becker)은 제비꽃과(Violaceae)의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나 들에서 자라고 관상용 또는 식용으로 이용한다. 전초를 ‘동북근채’, 지상부를 ‘자화지정’이라 한다.
제비꽃은 살리실산, 메틸배당체, 알칼로이드 및 다양한 종류의 사포닌을 함유하며, 생리학적 활성과 관련하여 포도상 구균과 녹농균, 폐렴구균 및 피부진균 등 다양한 병원 미생물에 대한 항균작용을 나타내며, 진통 억제, 소염작용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BD Choi, CS Park and EY Joo. (2008) Physiological Activities of Korean and Chinese Viola mandshuric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9), 1101-1108)
본 발명은 알로에, 참다시마, 참마, 유근피 및 제비꽃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혼합 건조 중량비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추출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은 알로에, 참다시마, 참마, 유근피 및 제비꽃의 건조물을 세절하여 혼합하고, 그 건조 중량의 1 내지 15배 부피량의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중에서 선택된 추출 용매를 부가하여 4 내지 30 ℃에서 3 내지 20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수득한다.
상기 침적 후 추출할 때 사용되는 추출 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추출 온도는 50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함초 및 노근 건조물 또는 함초 및 노근 혼합 추출물을 더 포함하여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알로에, 참다시마, 참마, 유근피 및 제비꽃의 건조물에 함초 및 노근 건조물을 더 포함하여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천연 식물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고, 상기 알로에, 참다시마, 참마, 유근피 및 제비꽃의 혼합 추출물에 함초 및 노근 혼합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초 및 노근 혼합 추출물은 함초 및 노근의 건조물을 분쇄하여 혼합하고, 그 건조 중량의 1 내지 15배 부피량의 물,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에틸아세테이트, 물,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며, 이어서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 콘덴서를 구비한 추출기로 30 내지 100 ℃에서 3 내지 48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거나 5 내지 30 ℃에서 1 내지 5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추출 용매를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수득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제조된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은 적외선 등에 의한 피부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열에 의한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은 도 1 내지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부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은 적외선 등에 의한 피부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열에 의한 피부 노화를 방지하고, 보습력 효과, 항산화(NO 소거) 효과 및 세포증식 효과를 가지며, 피부 독성이 없고, 민감성 피부에 적용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피부 부작용이 없기 때문에 각종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도 1 내지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부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상기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은 화장료로 적용하기 위해, 유화형, 가용화형, 오일성, 분말 분산형, 또는 고체 분말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장료 조성물로는 화장수, 스킨, 로션, 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젤, 팩 등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유화형 자외선 차단용 크림, 유화형 파운데이션, 유화형 메이크업 베이스, 오일케익형 파운데이션, 투웨이케익, 파우더 팩트로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액상 중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화장료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 대비 0.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조성들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그 효과를 떨어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 실리콘 폴리머, 체질안료, 향료, 방부제, 살균제, 산화 안정화제, 유기 용매,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증점제, 유연화제, 산화방지제, 자유 라디칼 파괴제, 불투명화제, 안정화제, 에몰리언트(emollient), 실리콘, α-히드록시산, 소포제, 보습제, 비타민, 곤충 기피제, 향료, 보존제, 계면활성제, 소염제, 물질 P 길항제, 충전제, 중합체, 추진제, 염기성화 또는 산성화제, 또는 착색제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 시험예 및 제형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비교예, 시험예 및 제형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비교예, 시험예 및 제형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 실시예 1 > 알로에 추출물 제조방법
겉 껍질을 제거한 내부의 알로에 점액부위 1 kg에 정제수 20 ㎏을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0 ℃로 24시간 중탕조건하에서 추출한 후 따뜻할 때 1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을 3000 rpm으로 원심분리 시켜 순물을 제거한 상층액을 취하여 동결건조기로 동결건조를 시켜 191 g의 고형분을 얻었다. 이 고형분 191 g에 에탄올 1 kg을 가하여 천천히 교반을 하면서 고형분에 존재하는 점액성분 이외의 물질 및 색소물질을 제거한 후 1 ㎛필터로 여과, 건조하여 161.8 g의 고형분을 얻었다.
< 실시예 2 > 참다시마 추출물 제조방법
흐르는 물에 세척하여 염분을 제거한 참다시마 1 kg에 정제수 20 ㎏을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0 ℃로 24시간 중탕조건하에서 추출한 후 따뜻할 때 100 메쉬로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을 3000 rpm으로 원심분리 시켜 순물을 제거한 상층액을 취하여 동결건조기로 동결건조를 시켜 152 g의 고형분을 얻었다. 이 고형분 152 g에 에탄올 1 kg을 가하여 천천히 교반을 하면서 고형분에 존재하는 점액성분 이외의 물질 및 색소물질을 제거한 후 1 ㎛필터로 여과, 건조하여 128.1 g의 고형분을 얻었다.
< 실시예 3 > 참마 추출물 제조방법
겉 껍질을 제거한 참마 1 kg에 정제수 20 ㎏을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0 ℃로 24시간 중탕조건하에서 추출한 후 따뜻할 때 100 메쉬로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을 3000 rpm으로 원심분리 시켜 순물을 제거한 상층액을 취하여 동결건조기(일신랩 제품)로 동결건조를 시켜 141 g의 고형분을 얻었다. 이 고형분 141 g에 에탄올 1 kg을 가하여 천천히 교반을 하면서 고형분에 존재하는 점액성분 이외의 물질 및 색소물질을 제거한 후 1 ㎛필터로 여과, 건조하여 105.3 g의 고형분을 얻었다.
< 실시예 4 > 유근피 추출물 제조방법
채취한 후 바람이 잘 통하는 음지에서 반건한 유근피 1 kg에 정제수 20 ㎏을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0℃로 24시간 중탕조건하에서 추출한 후 따뜻할 때 100메쉬로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을 3000rpm으로 원심분리 시켜 순물을 제거한 상층액을 취하여 동결건조기로 동결건조를 시켜 93 g의 고형분을 얻었다. 이 고형분 93 g에 에탄올 1 kg을 가하여 천천히 교반을 하면서 고형분에 존재하는 점액성분 이외의 물질 및 색소물질을 제거한 후 1 ㎛필터로 여과, 건조하여 76.1 g의 고형분을 얻었다.
< 실시예 5 > 제비꽃 추출물 제조방법
채취 후 세척 건조한 제비꽃 전초 1 kg에 정제수 30 ㎏을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0 ℃로 24시간 중탕조건하에서 추출한 후 따뜻할 때 100 메쉬로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을 3000 rpm으로 원심분리 시켜 순물을 제거한 상층액을 취하여 동결건조기로 동결건조를 시켜 95 g의 고형분을 얻었다. 이 고형분 95 g에 에탄올 1 kg을 가하여 천천히 교반을 하면서 고형분에 존재하는 점액성분 이외의 물질 및 색소물질을 제거한 후 1 ㎛필터로 여과, 건조하여 72.5 g의 고형분을 얻었다.
< 실시예 6 > 본 발명에 따른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 제조방법
겉 껍질을 제거한 내부이 알로에 점액부위 200 g, 흐르는 물에 세척하여 염분을 제거한 참다시마 200 g, 겉 껍질을 제거한 참마 200 g, 바람이 잘 통하는 음지에서 반건한 유근피 200 g, 세척 건조한 제비꽃 전초 200 g에 정제수 40 ㎏을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50 ℃로 24시간 중탕조건하에서 추출한 후 따뜻할 때 100 메쉬로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을 3000 rpm으로 원심분리 시켜 순물을 제거한 상층액을 취하여 동결건조기(일신랩 제품)로 동결건조를 시켜 162 g의 고형분을 얻었다. 이 고형분 162 g에 에탄올 1 kg을 가하여 천천히 교반을 하면서 고형분에 존재하는 점액성분 이외의 물질 및 색소물질을 제거한 후 1 ㎛필터로 여과, 건조하여 135.6 g의 고형분을 얻었다.
< 실시예 7과 비교예 > 실시예 6 추출물 분말의 유무에 따른 영양크림 제조
실시예 7은 실시예 6 추출물 분말을 함유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고, 비교예는 실시예 6 추출물 분말을 함유하지 않고 정제수로 대체하여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번호 원료 함량(중량%)
실시예 7 비교예
1 실시예 6 추출물 분말 1.0 -
2 정제수 - 1.0
3 스테아린산 2.0 2.0
4 세틸알콜 2.0 2.0
5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2.0
6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5 0.5
7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0.5
8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트 1.0 1.0
9 왁스 1.0 1.0
10 유동파라핀 4.0 4.0
11 스쿠알란 4.0 4.0
12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4.0
13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0.3
14 부틸렌글리콜 5.0 5.0
15 글리세린 3.0 3.0
16 트리에탄올아민 0.5 0.5
17 방부제 0.4 0.4
18 정제수 to 100 to 100
< 실시예 7의 영양크림 제조방법>
상기 표 중 13, 14, 16, 17, 18번 물질을 혼합교반하면서 80 내지 85 ℃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3, 4, 5, 6, 7, 8, 9, 10, 11, 12번 물질을 80 내지 85 ℃로 가열하여 용해한 후 유화시켰다. 유화가 끝나면 15번 물질을 투입하여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중화시키고 35 ℃까지 냉각하고 1번 물질을 투입하여 25 ℃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켜 표제의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의 영양크림 제조방법 >
상기 표 중 13, 14, 16, 17, 18번 물질을 혼합교반하면서 80 내지 85℃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3, 4, 5, 6, 7, 8, 9, 10, 11, 12번 물질을 80 내지 85℃로 가열하여 용해한 후 유화시켰다. 유화가 끝나면 15번 물질을 투입하여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중화시키고 35 ℃까지 냉각하고 2번 물질을 투입하여 25 ℃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켜 표제의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 시험예 1 > 세포 무독성 및 세포증식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의 건조분말에 대하여 세포배양을 이용한 세포 증식 효과를 측정하였다.
< 실험방법 >
세포 독성 및 증식 실험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배양하고 있는 세포(파이브로블라스트,3T3)를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5,000 세포/웰로 분주하여 30분간 항온조에서 배양하고, 시료를 농도 별 각각0.01, 0.1, 1.0(%,W/V))로 투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티아졸린 블루(Thiazoline blue)를 투여하고 4시간 동안 추가 배양을 하였다. 배양액을 모두 버리고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에 반응 정지액(acidic isopropanol)을 가하고 5분간 교반한 후, 57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주입량만큼 10 %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배지를 투여하여 세포 성장의 최적 조건으로 동시배양을 하였으며, 대조군의 세포증식을 100 %로 하고 시료 투입 실험군의 세포 증식률을 계산하였다.
< 실험결과 >
세포증식률은 하기 계산식 1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 계산식 1 ]
Figure pat00001
농도 (㎍/㎖)





(%)
0 0.01 0.1 1
대조군 100 100 100 100
실시예 1 100 102.1 104.5 103.6
실시예 2 100 102.6 105.5 107.4
실시예 3 100 103.4 103.9 106.6
실시예 4 100 102.9 104.7 107.3
실시예 5 100 100.7 102.7 106.5
실시예 6 100 108.2 113.3 120.1
상기 표 2에 보는 바와 같이, 세포 성장 최적 조건에서의 세포 증식을 100%로 하였을 때, 알로에 추출물(실시예 1), 참다시마 추출물(실시예 2), 참마 추출물(실시예 3), 유근피 추출물(실시예 4), 제비꽃 추출물(실시예 5)은 세포 독성이 없으며, 세포의 증식효과는 미약한 편이었으나, 혼합추출물(실시예 6)은 세포 증식효과가 우수함을 보여주고 있다.
< 시험예 2 >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의 건조분말에 대하여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 실험방법 >
콜라게나아제 활성억제 효과 실험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콜라게나아제(SIGMA C5138) 0.1 mg을 0.1 M 트리스 완충액(Tris Buffer, pH 7.1) 1 ㎖에 용해시키고, 콜라겐(SIGMA C9879) 0.5 mg을 0.1 M 트리스 완충액(Tris Buffer, pH 7.1) 1 ㎖에 용해시킨 후, 농도별로 시료를 준비하였다. 준비된 시료 0.05 ㎖, 콜라게나아제 0.05 ㎖ 및 콜라겐 0.4 ㎖를 시험관에 투여하고 37 ℃ 수욕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25 mM 시트르산(Citric acid)용액을 1 ㎖ 가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반응이 종료된 시험관에 에틸아세테이트 5 ㎖를 주입하여 진탕하고, 3000 rpm 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3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6회 실험 결과를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 실험결과 >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는 하기 계산식 2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 계산식 2 ]
Figure pat00002
농도 (㎍/㎖)
0 5 15 20 50 IC50
콜라
게나
아제
활성
억제
율(%)
실시예 1 0 5.6 24.3 49.5 77.5 29.71
실시예 2 0 8.9 22.8 63.7 88.1 25.37
실시예 3 0 2.8 15.6 50.9 78.1 30.47
실시예 4 0 5.3 18.2 44.1 73.6 32.35
실시예 5 0 3.8 11.6 38.1 55.9 42.16
실시예 6 0 18.6 53.9 88.7 96.1 17.22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콜라게나아제 50 % 활성억제 농도(IC50)는 알로에 추출물(실시예 1), 참다시마 추출물(실시예 2), 참마 추출물(실시예 3), 유근피 추출물(실시예 4), 제비꽃 추출물(실시예 5) 경우에는 콜라게나아제 활성억제 효과가 미약한 편이었으나, 혼합추출물(실시예 6)은 콜라게나아제 활성억제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IC50은 유해 활성산소 소거활성(scavenging activity)을 말하며, 여기서 IC50은 유해 활성산소(free radical)를 50% 감소시키는 필요한 시료의 농도를 말한다.
< 시험예 3 >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의 건조분말에 대하여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를 측정하였다.
< 실험방법 >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 측정은 크리스탈 바이올렛 어세이(Crystal Violet assay)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 방법은 세포의 증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방법으로, 본 실험은 이 방법을 통하여 세포 증식과 단백질 합성 능력을 알아보는 실험이다.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액은 단백질과 결합하는 시약으로,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세포의 단백질 합성능력 그리고 콜라겐 합성 능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이 하였다.
세포는 스위스 알비뇨 마우스 세포(3T6 Fibroblast)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 (96 well micro plate)에 5,000/웰(well)의 3T6 파이브로블라스트(Ficroblast) 를 분주하고, 24시간 후에 시료를 농도별(각각 0.5, 5, 50, 100, 200, 400(㎍/㎖))로 투여하여 72시간 5 %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후, 배양 액을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살린-포스페이트 완충용액(PBS solution)으로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를 세척하고, 37 ℃에서 30분간 건조하였다. 그리고 크리스탈 바이올렛 시약을 가하여 실온에서 5분간 염색을 하고 염색액을 증류수로 잘 세척한 후, 결합된 염색약을 0.2 M 인산(Phosphoric acid)과 에탄올을 가하여 녹이고, 5분간 방치후 5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효 주입량만큼 10 %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배지를 투여하여 세포 성장의 최적 조건으로 동시배양을 하였다. 대조군의 콜라겐 합성을 100 %로 하고, 시료 투입 실험군의 콜라겐 합성을 계산하였다. 6회 실험 결과를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 실험결과 >
콜라겐 생성 촉진율은 하기 계산식 3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 계산식 3 ]
Figure pat00003
농도 (㎍/㎖)
0 0.5 5 50 100 200 400

콜라겐
생성
촉진율
(%)
대조군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1 100 103.2 105.9 110.8 117.6 122.9 134.1
실시예 2 100 105.2 112.7 119.9 125.4 134.2 155.7
실시예 3 100 101.3 105.6 110.7 118.8 127.2 133.5
실시예 4 100 105.3 109.9 120.2 132.6 141.6 146.2
실시예 5 100 108.1 114.2 120.5 129.6 133.9 141.1
실시예 6 100 112.9 118.9 129.6 140.5 158.2 179.2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콜라겐 생성 촉진효과를 확인한 결과 알로에 추출물(실시예 1), 참다시마 추출물(실시예 2), 참마 추출물(실시예 3), 유근피 추출물(실시예 4), 제비꽃 추출물(실시예 5) 경우에는 콜라겐 생성촉진 효과가 미약한 편이었으나, 혼합추출물(실시예 6)은 콜라겐 생성촉진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4 > 피부 열 감소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된 추출물 건조 분말 1 % 수용액, 실시예 7 영양크림 및 비교예 영양크림을 가지고 피부 열 감소 효과를 측정하였다.
< 실험방법 >
20~30대 피험자 10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피험자는 적외선에 노출되기 전 실내온도 25~25 ℃, RH 40~45%로 유지시킨 항온항습 조건에서 30분간 대기하였다. 그 다음 20분간 피험자의 실험 부위(상박부)를 직사광선에 노출시킨 후, 시험 시료와 대조 시료를 전완부의 선정된 시험부위 (2.5cm X 2.5cm)에 Micro Pipette을 사용하여 각각 10 uL의 양으로 도포하였다. 시료 도포 전, 도포 직후, 도포 3분 후 및 도포 5분 간격으로 30분 간 피부의 온도 변화를 Thermo-graphic Camera (FLIR, SWEDEN)로 측정하였다.
< 실험결과 >
피부 열 감소 효과는 하기 계산식 3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 계산식 3 ]
Figure pat00004
피부 열 감소율(%)
실시예 6 1% 수용액 실시예 7 대조군
도포 전 - - -
사용 직후 11.87 14.54 5.61
3 분 후 7.37 10.32 4.13
5 분 후 3.15 7.45 1.87
10 분 후 2.42 5.41 1.10
15 분 후 1.85 3.97 0.98
20 분 후 1.56 2.81 0.40
25 분 후 0.28 2.52 0.12
30 분 후 0.58 2.02 0.16
피부 열 감소 온도 (℃)
도포 직후 5분 경과 10분 경과

무처리군(Bx 1)
최고 온도 35.2 35.4 35.5
최저 온도 34.5 34.2 34.7
평균 온도 34.9 34.8 35.0
실시예 6 1% 수용액(El 1) 최고 온도 33.1 33.4 34.4
최저 온도 29.9 29.7 31.8
평균 온도 31.3 31.9 33.0

실시예 7(El 2)
최고 온도 31.9 32.0 33.2
최저 온도 29.4 28.7 30.2
평균 온도 30.3 30.1 31.7

대조군(El 3)
최고 온도 34.2 33.9 34.8
최저 온도 31.5 31.9 33.9
평균 온도 32.9 33.1 34.3
상기 표 5, 6과 도 1 내지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군(실시예 6 추출물이 미 함유된 영양크림)을 피부에 도포한 경우에 비하여 실시예 6의 1% 수용액 및 실시예 7의 영양크림(실시예 6 추출물이 함유된 영양크림)을 피부에 도포한 경우에 피부열 감소효과가 매우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5 > 피부 보습력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7의 영양크림, 비교예의 영양크림 및 히아루론산 1 %가 함유된 영양크림(대조군)을 가지고 피부 열 감소 효과를 측정하였다.
< 실험방법 >
20~30대 피험자 10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피험자는 실내온도 25~25 ℃, RH 40~45 %로 유지시킨 항온항습 조건에서 30분간 대기하였다. 그 다음 시험 시료와 대조 시료를 전완부의 선정된 시험부위 (2.5cm X 2.5cm)에 Micro Pipette을 사용하여 각각 10 uL의 양으로 도포하였다. 시료 도포 전, 도포 5분 후 및 도포 10분 간격으로 30분간 피부의 보습 유지력을 Corneometer CM820(Courage+Khazaka, Germany)로 측정하였다.
< 실험결과 >
피부 보습 효과는 하기 계산식 4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 계산식 4 ]
Figure pat00005
time (min) 비교예 실시예 7 대조군
0 14.7±0.9 35.9±1.2 27.6±0.4
10 8.6±0.6 27.7±1.0 19.4±0.5
20 6.5±0.6 23.2±0.8 14.7±0.5
30 3.0±0.5 18.4±0.6 9.0±0.6
60 1.4±0.2 15.1±0.7 5.2±0.5
상기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의 영양크림과 대조군의 영양크림을 피부에 도포한 경우에 비하여 실시예 7의 영양크림을 피부에 도포한 경우에 피부 보습력이 매우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6 > 항산화(Nitric oxide 소거) 활성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추출물 건조분말의 항산화(Nitric oxide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 실험방법 >
NO 소거활성은 RAW 264.7 세포주(mouse macrophage cell line)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는 10 %의 FBS가 함유된 DMEM media에서 계대배양 하였다. NO 소거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세포를 well plate에 각 well당 1×105cells를 분주한 후, 37℃, 5 % CO2incubator(PANASONIC,JAPAN)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그리고 시료와 1 ㎍/㎖의 lipopolysaccharide(LPS) 20 μL를 세포배양well에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시료에 대한 대조구로는 1 μg/mL의 LPS만을 20 μL 처리하여 활성화 된 세포를 사용하였다. 배양 후 상등액 100 μL를 회수하고 여기에 2-naphthylamine이 포함된 Griess solution(Fluka Chmie AG, Buchs, Switzerland)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상등액의 발색도를 ELISA reader(Molecular Devices, U.S.A.)를 사용하여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가 생산한 NO는 sodium nitrate를 사용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한 후 NO 함량을 정량하였다.
< 실험결과 >
항산화(Nitric oxide 소거) 활성 효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Nitrite production (μM)
비교군 7.60
대조군 22.60
실시예 1 21.27
실시예 2 17.67
실시예 3 21.13
실시예 4 23.50
실시예 5 18.00
실시예 6 10.97
상기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6은 대조군 및 실시예 1 내지 5에서 생산된 NO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으며, 비교군과 비슷한 결과를 보이므로 Nitro oxide 소거 활성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제형예 1 > 본 발명에 따른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수의 제조
실시예 6의 추출물 분말을 함유한 화장료 중 화장수(스킨로션)의 제형예는 표 9와 같다.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실시예 6 추출물 분말 1.0
2 글리세린 3.0
3 부틸렌 글리콜 2.0
4 프로필렌 글리콜 2.0
5 폴리올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1.0
6 에탄올 10.0
7 방부제 0.4
8 향료 미량
9 정제수 to 100
상기 화장수를 제조하기 위하여, 표 9에 기재된 9번에 2,3,4 및 7번을 순서대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다. 그리고 5번을 60 ℃ 정도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8번을 투입하여 용해한 후 9번에 투입하였다. 마지막으로 1 및 6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켜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 제형예 2 > 본 발명에 따른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로션의 제조
실시예 6의 추출물 분말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로션의 제형예는 표 10과 같다.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실시예 6 추출물 분말 1.0
2 밀납 1.0
3 폴리솔베이트 60 1.5
4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5
5 유동 파라핀 10.0
6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
7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
8 스테아린산 1.5
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1.0
10 프로필렌글리콜 3.0
11 카르복시폴리머 0.1
12 트리에탄올아민 0.2
13 방부제 0.4
14 향료 미량
15 정제수 to 100
상기 영양로션을 제조하기 위하여, 표 10에 기재된 10, 11, 13 및 15번을 혼합 교반하면서 80 ~ 85 ℃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및 9번을 80 ~ 85 ℃로 가열 용해한 후 유화하였다. 유화가 끝나면 12번을 투입하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 ℃까지 냉각한 뒤 14번을 투입하고 35 ℃까지 냉각한 뒤 35 ℃에 1번을 투입하여 25 ℃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켜 영양로션을 제조하였다.
< 제형예 3 > 본 발명에 따른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의 제조
실시예 6의 추출물 분말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제형예는 표 11과 같다.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실시예 6 추출물 분말 1.0
2 스테아린산 2.0
3 세틸알콜 2.0
4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5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5
6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7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트 1.0
8 왁스 1.0
9 유동파라핀 4.0
10 스쿠알란 4.0
11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1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13 부틸렌글리콜 5.0
14 글리세린 3.0
15 트리에탄올아민 0.5
16 방부제 0.4
17 정제수 to 100
상기 영양크림을 제조하기 위하여 표 11에 기재된 12, 13, 14, 16, 17 및 18번을 혼합 교반하면서 80 ~ 85 ℃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3, 4, 5, 6, 7, 8, 9, 10, 11 및 12번을 80 ~ 85 ℃로 가열하여 용해한 후 15번을 투입 교반하여 제조부에 투입하고 유화하였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35 ℃까지 냉각하고 1번을 투입하여 25 ℃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켜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 제형예 4 > 본 발명에 따른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에센스의 제조
실시예 6의 추출물 분말을 함유한 화장료 중 에센스의 제형예는 표 12와 같다.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실시예6 추출물 분말 1.0
2 시토 스테롤 1.7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
4 세라마이드 0.7
5 스테아레스-4 1.2
6 콜레스테롤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8 농글리세린 5.0
9 마카다미아 오일 15.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1 산탄검 0.2
12 방부제 0.4
13 정제수 to 100
상기 에센스를 제조하기 위하여 표 12에 기재된 2, 3, 4, 5 및 6번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제조되는 것을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을 제조하였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1, 7, 8 및 13번을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를 통과하고 이어 9번을 50 내지 60 ℃로 가온하여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에 재차 통과시켰다 그리고 10, 11, 12 및 13번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켜서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열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El 1 : 실시예 6의 1 % 수용액
El 2 : 실시예 6 추출물이 함유된 영양크림(실시예 7)
El 3 : 실시예 6 추출물이 미함유된 영양크림(비교예 : 대조군)
Bx 1 : 무처리군

Claims (8)

  1. 피부의 열을 조절하도록 알로에, 참다시마, 참마, 유근피 및 제비꽃을 혼합하여 추출한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로에, 참다시마, 참마, 유근피 및 제비꽃을 혼합한 후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은 50 내지 100 ℃에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에 함초 및 노근 혼합 추출물이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
  5. 청구항 제 1 항의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열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청구항 제 1 항의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이 총 액상 중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열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청구항 제 1 항의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이 총 건조 중량 대비 0.0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열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스킨, 로션, 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젤, 팩, 유화형 자외선 차단용 크림, 유화형 파운데이션, 유화형 메이크업 베이스, 오일케익형 파운데이션, 투웨이케익, 또는 파우더 팩트의 제형으로 제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열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23235A 2016-02-26 2016-02-26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열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93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235A KR101793098B1 (ko) 2016-02-26 2016-02-26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열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235A KR101793098B1 (ko) 2016-02-26 2016-02-26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열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342A true KR20170101342A (ko) 2017-09-06
KR101793098B1 KR101793098B1 (ko) 2017-11-03

Family

ID=59925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235A KR101793098B1 (ko) 2016-02-26 2016-02-26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열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0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35132A (zh) * 2020-01-19 2020-05-12 伯德创研(广州)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调节皮肤散热组合物及化妆品
CN112386534A (zh) * 2019-08-14 2021-02-23 百岳特生物科技(上海)有限公司 紫花地丁提取物、其提取方法、以及其用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413B1 (ko) * 2013-07-09 2014-02-14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함초 및 노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86534A (zh) * 2019-08-14 2021-02-23 百岳特生物科技(上海)有限公司 紫花地丁提取物、其提取方法、以及其用途
CN111135132A (zh) * 2020-01-19 2020-05-12 伯德创研(广州)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调节皮肤散热组合物及化妆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098B1 (ko) 2017-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an et al. The therapeutic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Aloe vera: A review
KR100687468B1 (ko) 면역증강 및 보습 효능을 가지는 새싹채소 발효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32548A (ko) 폴리페놀이 풍부한 아보카도 과육 및/또는 껍질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한 화장학적, 피부과학적 및 기능식품 조성물
JPH0717847A (ja) 皮膚外用剤
KR100982883B1 (ko)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04874B1 (ko) 노근, 함초 및, 매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863890B1 (ko) 차가버섯, 말굽잔나비버섯, 신령버섯 및 노루궁뎅이버섯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3160505A (ja) 体脂肪減少効果を有する飲食物及び外用組成物
KR101458887B1 (ko) 히카마, 콜리플라워, 말로우 및 아이슬란드 이끼 천연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보습,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76346B1 (ko) 한련초, 숙지황, 하수오 및 반하 혼합 생약 추출물을함유하는 항비듬, 항염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899278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0431076B1 (ko) 천연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의 치유개선효과를 갖는 화장료
KR101793098B1 (ko)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열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137919B (zh) 竹荪蛋提取物在制备美容美肤外用品中的应用及基于其的美容外用品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747415B1 (ko)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추출혼합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CN117017829A (zh) 一种抗氧化保湿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05281205A (ja) マクロファージ活性化剤
KR101757457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644064B1 (ko) 포도, 올리브잎 및 몰약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15146A (ko)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열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6343B1 (ko)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