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4539A -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4539A
KR20170114539A KR1020160041639A KR20160041639A KR20170114539A KR 20170114539 A KR20170114539 A KR 20170114539A KR 1020160041639 A KR1020160041639 A KR 1020160041639A KR 20160041639 A KR20160041639 A KR 20160041639A KR 20170114539 A KR20170114539 A KR 20170114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group
antioxidant
phosphate
s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설훈
염준석
허유진
강내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60041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4539A/ko
Publication of KR20170114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53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표면의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특정 관능기를 갖는 항산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에 손상 없이 공유결합을 형성하여 반영구적으로 원하는 항산화 효과를 제공해 준다.

Description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Cosmetics compositions for antioxidant}
본 발명은 단백질과 결합하는 관능기가 결합된 반응성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의 항산화제라 함은 산화작용으로 손상된 피부 기능과 구조가 파괴되고 소진되는 현상을 상당 정도 감소시키거나 예방하는 능력을 갖고 있고, 자외선 노출로 인해 손상된 피부를 회복시켜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의약부외품은 인체에 작용이 있더라도 작용이 경미하고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하지 않고, 신체의 구조,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 같은 사용 목적을 함께 갖고 있지 않을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항산화 화장품은 일반적으로 피부를 정돈, 보호용의 기초 항산화 화장품, 베이스, 포인트, 손발톱용 메이크업 항산화 화장품 및 세정용, 선케어, 선테닝 등의 바디 항산화화장품 및 샴푸-전(pre-shampoo) 조성물,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왁스, 스프레이, 무스, 헤어로션, 에센스, 헤어크림, 영구 염모제, 일시 염모제, 펌제 등의 모발에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제제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하지만, 이러한 항산화 화장품 원료 및 약제 성분으로 피부 및 모발에 사용하는 경우 처리 후에 다음 세정시까지 일시적인 효과만을 제공 할 뿐 세정 이후에는 재처리 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항상 존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피부 또는 모발용 비수계 퍼스널 케어 제품에 관한 것으로, 비수계 파트에 모발 또는 피부 표면의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로 카보네이트(carbonate), 알데히드(aldehyde), 프로피온알데히드(propionaldehyde), 부틸알데히드(butylaldehyde), 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nitrophenyl carbonate), 아지리딘(aziridine),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티오시아네이트(thiocyanate), 에폭사이드(epoxide), 트레실레이트(tresylate), 숙신이미드(succinimide), 하이드록시숙신이미딜 에스테르(hydroxysuccinimidyl ester), 이미다졸(imidazole), 옥시카보닐 아미다졸(oxycarbonylamidazole), 이민(imine), 티올(thiol), 말레이미드(maleimide), 비닐설폰(vinylsulfone), 에틸렌이민(ethyleneimine), 티오에테르(thioether), 아크릴로나이트릴(acrylonitrile),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acrylic acid or methacrylic ester), 디설파이드(disulfide), 케톤(ketone) 및 RX로 표시되는 관능기(R은 알킬, 아릴, 아랄킬, 고리 및 불포화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X는 I, Br 또는 Cl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갖는 컨디셔닝 성분을 포함하면서 비수계 파트와 수계 파트로 분리되어 있고, 사용 직전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또는 피부용 퍼스널 케어 제품을 개시하고 있지만, 상기에 제시된 다양한 관능기들의 경우 인체에 유해하거나 또는 모발 또는 피부를 구성하는 단백질의 아미노산 중에서 그 함량이 모발(1.9~3.1%), 피부 케라틴(3.1~6.9%) 정도로 적은 양을 함유하는 라이신을 표적하거나, 모발(16.6~18%), 피부 케라틴(2.3~3.8%) 정도인 시스테인을 표적하여 반응시키기 때문에 반응 효율이 저하되고 각각의 물질을 하나하나 따로 합성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 특허 제2008-0064467호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손상 없이 반영구적인 항산화 효과를 지속적으로 부여할 수 있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포스포늄계 화합물; 및 항산화 성분을 포함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에 펩타이드 결합 형성 촉진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특정 관능기를 도입한 반응성 항산화 성분 및/또는 포스포늄계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에 손상 없이 공유결합을 형성하여 반영구적으로 항산화 효과를 제공해 준다. 또한, 펩타이드 결합 형성 촉진 첨가제를 포함하여 효과적인 항산화 효과를 제공해 준다.
본 발명은 포스포늄계 화합물 및 항산화 성분을 포함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기존에 알려진 항산화 성분에 포스포늄계 화합물을 반응시켜 포스포늄계 결합된 반응성 항산화 성분을 거쳐 피부의 단백질과 공유결합을 형성시킴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포스포늄계 화합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부, 0.01 내지 7 중량부 또는 0.1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의 함량이 0.001 중량부 미만이면 지속적인 피부 항산화 효과가 나타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피부에 존재하는 반응 위치 이상으로 과도하게 존재하는 포스포늄계 화합물이 피부와 반응하지 못한 상태에서 효능 물질과 반응함으로써 지속성 향상에 도움이 되지 못하고 손실되는 성분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산화 효과'라 함은 세포내 대사 또는 자외선의 영향으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따라 반응성이 높은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또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ROS)에 의한 세포의 산화를 억제하는 것을 말하며, 자유 라디칼 또는 활성산소종을 제거함으로써 세포의 손상을 감소시켜 피부의 노화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항산화 성분은 물질은 아미노에탄설폰산(aminoethanesulfonic acid ; 타우린), 아세트아미도카프로산(acetamidocaproic acid), 아세틸 벤조일옥시 프라스테론(acetyl benzoyloxy prasterone), 아세틸 시스테인(acetyl cysteine), 2-아세틸하이드로퀴논(2-acetylhydroquinone), 아다만타닐카르보사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마이드(adamantanylcarboxamido hydroxylbenzamide), 아미노에탄설핀산(aminoethanesulfinic acid), 아미노프로필 아스코빌 포스페이트(aminopropyl ascorbyl phosphate), 안고로사이드 C(angoroside C), 안세린(anserine), 어파제닌(apigenin), 알부틴(arbutin), 알파-알부틴(alpha-albutin),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벤조쿠안아민(benzoquanamine), BHA(butylhydroxyanisol), BHT(Butylated Hydroxy Toluene), 비스-하이드록시에틸토코페릴석시노일아미도하이드록시프로판(bis-hydroxyethyl tocopherylsuccinoylamido hydroxypropane), 비스-테트라메틸 하이드록시피레리디닐 세바케이트(bis-(tetramethyl hydroxypiperidinyl) sebacate), 부틸레이티드 크실레놀(butylated xylenol), t-부틸베즈아마이도 하이드록시벤자마이드(t-butylbenzamido hydroxylbenzamide), 4-부틸레조시놀(4-butylresorcinol), 카페인산(caffeic acid), 아스코르빈산칼슘(calcium ascorbate), 카르노스산(carnosic acid), 카로티노이드(carotenoids), 키토산 아스코르베이트(chitosan ascorbate), 클로로젠산(chlorogenic acid), 코발트 디엔에이(cobalt DNA), 쿠퍼 ATP(copper adenosine triphosphate), 쿠퍼 피리독살 5-포스페이트(copper pyridoxal 5-phosphate), 커큐민(curcumin), 시스테인(cysteine), 시스테인 하이드로클로라이드(cysteine HCl), 데카펩타이드-6(decapeptide-6), 데카펩타이드-7(decapeptide-7), 데쿠시놀(decursinol), 데실 머캡토메틸이미다졸(decyl mercaptomethylimidazole), 디아밀하이드로퀴논(diamylhydroquinone), 디-t-부틸하이드로퀴논(di-t-butylhydroquinone), 디세틸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cetyl thiodipropionate), 디사이클로펜타디엔/t-부틸크레솔 코폴리머(dicyclopentadiene/t-butylcresol copolymer), 디갈로일 트리올레이트(digalloyl trioleate), 디이소옥틸 세바케이트(diisooctyl sebacate),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lauryl thiodipropionate), 디메톡시벤즈아미도 페닐하이드록실아세타마이드(dimethoxybenzamido phenylhydroxylacetamide, 디메톡시 디-p-크레졸(dimethoxy di-p-cresol), 디메틸메톡시 크로만올(dimethylmethoxy chromanol), 디미리스틸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myristyl thiodipropionate), 디올레일 토코페릴 메틸실란올(dioleyl tocopheryl methylsilanol), 디오스민(diosmine), 디레티닐 에테르(diretinyl ether), 디쇼듐 아스코빌 설페이트(disodium ascorbyl sulfate),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stearyl thiodipropionate), 디트리데실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tridecyl thiodipropionate), 도데실 갈레이트(dodecyl gallate), 두날리엘라 바다윌(dunaliella bardawil) 분말, 엘라그산(ellagic acid),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에르고티오네인(ergothioneine), 비파나무 잎 원형질체(eriobotrya japonica leaf protoplasts), 에리소프빈산(erythorbic acid), 에틸비스이미노메틸구아이아콜 망가니스 클로라이드(ethylbisiminomethylguaiacol manganese chloride), 에틸 페룰레이트(ethyl ferulate), 에틸헥실 페룰레이트 (ethylhexyl ferulate), 페눌산(ferulic acid), 페룰로일 소이 글리세라이드(feruloyl soy glycerides), 퍼퍼릴 팔미테이트(furfuryl palmitate), 게니스테인 글루코사이드(genistein glucoside), 은행 잎 테르페노이드(ginkgo leaf terpenoids), 글루코실루틴(glucosylrutin), 글리세릴 크로모닐 에테르(glyceryl chromonyl ether), 글리세릴 디 페룰레이트(glyceryl diferulate), 헤스페레틴(hesperetin), 헥실록시 트리메틸페놀(hexyloxy trimethylphenol), 호노키올(honokiol), 하이드롤라이즈드 프로안토시아니딘(hydrolyzed proanthocyanidin),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p-하이드록시아니솔(p-hydroxyanisole), 하이드록시데실 유비키논(hydroxydecyl ubiquinone), 하이드록시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hydroxylamine HCl), 하이드록시아민 설페이트(hydroxylamine sulfate), 하이드록시페닐 디하이드록시벤즈아마이드(hydroxyphenyl dihydroxybenzamide), 이노시놀 헥사나이아시네이트 헥사아스코베이트(inositol hexaniacinate hexaascorbate), 이소옥틸 카프리레이트/카프레이트(isooctyl caprylate/caprate), 이소옥틸 티오글리콜레이트(isooctyl thioglycolate), 이소퀘르시트린(isoquercitrin), 캠프페롤(kaempferol), 코직산(kojic acid), 코질 글루코사이드(kojyl glucoside),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kojyl methylenedioxycinnamate), 홍차 추출물(kou-cha ekisu), 리코펜(lycopene),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마그네슘 아스코베이트(magnesium ascorbate), 마그놀롤(magnolol), 망가네이즈 ATP(manganese adenosine triphosphate), 마트린(matrine), 멜라토닌(melatonin), 메톡시 PEG-7 아스코빈산(methoxy PEG-7 ascorbic acid), 메톡시트리메틸페닐 디하이드록시페닐 프로판올(methoxytrimethylphenyl dihydroxyphenyl propanol), 메틸-디-t-부틸 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methyl di-t-butyl hydroxyhydrocinnamate), 메틸렌 디-t-부틸크레솔(methylene di-t-butylcresol), 메틸-메타크릴레이트/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메타아클리레이트 크로스폴리머(methyl methacrylate/trimethoxysilylpropyl methacrylate crosspolymer), 메틸 미리스트산(methyl myristic acid), 니아신아마이드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niacinamide hydroxybenzoate), 닉토플로린(nictoflorin), 노르디하이드로구아이아레트산(nordihydroguaiaretic acid), 옥타니코티노일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octanicotinoyl epigallocatechin gallate), 옥타펩타이드-4(octapeptide-4), 올리고펩타이드-28(oligopeptide-28), 패오놀(paeonol), 팔마틴(palmatine), PEG/PPG-2/5 토코페릴 에테르(PEG/PPG-2/5 tocopheryl ether), 페리릴 알코올(perillyl alcohol), 페네틸 카페이트(phenethyl caffeate), 페닐에틸 레조르시놀(phenylethyl resorcinol), 페닐티오글리콜산(phenylthioglycolic acid), 플로레틴(phloretin), 플로로글루시놀(phloroglucinol), 피세아타놀 (piceatannol), 피퍼롱구미닌(piperlonguminine), 포피리듐 폴리사카라이드(porphyridium polysaccharide), 포타슘 아스코빌 토코페릴 포스페이트(potassium ascorbyl tocopheryl phosphate), 포타슘 설파이트(potassium sulfite), PPG-2 토코페레스-5(PPG-2 tocophereth-5), 프로필 갈레이트(propyl gallate), 프로토카테추이칼데하이드(protocatechuicaldehyde), 푸에라린(puerarin), 피리독신 하이드로벤조에이트(pyridoxine hydroxybenzoate), 피리딜옥사이드 t-부틸니트론(phridyloxide t-butylnitrone), 퀘세틴(quercetin), 레사케토페논(resacetophenone), 레조르시놀(resorcinol),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레티닐 포르밀 아스파라메이트(retinyl formyl aspartamate),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 루틴(rutin), 루티닐 숙시네이트(rutinyl succinate), 녹차 추출물(ryoku-cha ekisu), 살나세딘(salnacedin), 소듐 아스코베이트(sodium ascorbate), 소듐 설파이트(sodium sulfite), 소듐 토코페릴 포스페이트(sodium tocopheryl phosphate), 소듐 에시쏘베이트(sodium erythorbate), 소듐 포스포노-피리독시리데네르호다닌(sodium phosphono-pyridoxylidenerhodanine), 서듐 티오글리코레이트(sodium thioglycolate), 소듐 징크 히스티딘 디티오옥타아마이드(sodium zinc histidine dithiooctanamide), 소프비틸 퍼퍼랄(sorbityl furfural), 스테아릴 갈레이트(stearyl gallate), 숙시노일 아스코베이트 펜타펩타이드-6(succinoyl ascorbate pentapeptide-6), 탄제리틴(tangeritin), TBHQ(tert-butylhydroquinone]), 테트라부틸 에틸리딘비스페놀(tetrabutyl ethylidinebisphenol), 테트라하이드로디메톡시페룰로일메탄(tetrahydrodemethoxydiferuloylmethane),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 디아세테이트(tetrahydrocurcumin diacetate), 테트라하이드로디페러로일메탄(tetrahydrodiferuloylmethane), 테트라메틸부틸 디하이드록시벤즈아마이드(tetramethylbutyl dihydroxybenzamide), 테트라메틸크로만올 글루코사이드(tetramethylchromanol glucoside), 티옥산(thioctic acid), 티오디글리콜(thiodiglycol), 티오락틱산(thiolactic acid), 티오살리실산(thiosalicylic acid), 티오아우린(thioaurine), 티몰 트리메톡시신나메이트(thymol trimethoxycinnamate), 토코사이스테아마이드(tococysteamide), 토코페레쓰-5(tocophereth-5), 토코페롤(tocopherol), 토코페르솔란(tocophersolan),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토코퀴논(tocoquinone), 톨루엔(toluene), o-톨릴 비구아나이드(o-tolyl biguanide), 토타롤(totarol), 트리프로필렌 글리콜(triprophylene glycol), 트리스- BHT 메시틸렌(tris-BHT mesitylene),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tris(nonylphenyl)phosphate), 트리소듐 아스코빌 이소팔미테이트 포스페이트(trisodium ascorbyl isopalmitate phosphate), 티로실 히스디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tyrosyl histidine HCl), 유비퀴놀(ubiquinol), 유비퀴논(ubiquinone), 참갈파래 분말(ulva lactuca powder), 우롱차 추출물(uuron-cha ekisu), 크실릴 디부틸벤조퓨라논(xylyl dibutylbenzofuranone), 징크 ATP(zinc adenosine triphosphate), 징크 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zinc dibutyldithiocarbamate), 징크 프럭토스 디포스페이트(zinc fructose diphosphate), 징크 피리독살 5-포스페이트(zinc pyridoxal 5-phosphate) 및 이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항산화 성분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50 중량부, 0.001 내지 30 중량부, 0.01 내지 10 중량부 또는 0.1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의 함량이 0.001 미만이면 효과가 미미하여 한계가 있고,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형화 및 안정화에 문제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항산화 성분은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 또는 아민기를 포함함으로써 포스포늄계 화합물과의 반응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항산화 성분은 피부 표면의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백질과 공유 결합하는 관능기는 카르보디이미드, 이미도에스터, 아릴아자이드, 디아지린, 하이드록시메틸 포스핀, 펜타플루오로페닐에스터, 피리딜 디설파이드, 설포-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알콕시 아민, 하이드라자이드, 할로아세틸, 아자이드, 카보네이트, 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 아지리딘, 이소시아네이트, 티오시아네이트, 에폭사이드, 트레실레이트, 석신이미드, 하이드록시석신이미딜 에스테르, 이미다졸, 옥시카보닐 이미다졸, 이민, 티올, 말레이미드, 비닐설폰, 에틸렌이민, 티오에테르,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디설파이드, 케톤, 카복실산 및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단백질은 티올(thiol), 하이드록실(hydroxyl), 카르복실(carboxyl) 또는 아민(amine)의 반응성 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스포늄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용성 비이온계 고분자, 비드 형태 또는 레진 형태의 고분자 수지, 또는 실리카 비드를 나타내며,
R2는 벤조트리아졸-일옥시(benzotriazole-yloxy), 아자벤조트리아졸-일옥시(azabenzotriazole-yloxy), 니트로벤조트리아졸-일옥시(nitrobenzotriazole-yloxy), 펜타플루오로펜일-O-(pentafluoropenyl-O-), 피리딜티오(pyridylthio), 하이드로옥소벤조트리아진(hydrooxobenzotriazin), 시아노에톡시카르보닐메틸리덴(cyanoethoxycarbonylmethyliden) 및 할로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며,
R3 내지 R5는 각각 서로 같거나 다르며, 디알킬아미노계 화합물 또는 헤테로시클로아민계 화합물이다.
상기 디알킬아미노계 화합물은 탄소수가 1 내지 10인 화합물일 수 있으며 탄소수가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테로시클로아민계 화합물은 탄소수가 2 내지 10인 화합물일 수 있으며 탄소수가 3 내지 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비이온계 고분자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Da 이상 300,000 Da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분자량이 300,000 Da 이상인 경우에는 공유결합을 유도하는 포스포늄계 화합물의 비율이 너무 적어서 효능을 나타내기 어렵다.
상기 수용성 비이온계 고분자는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폴리비닐알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셀룰로오스 유도체, 스타치 유도체, 덱스트란 및 구아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분자일 수 있다.
상기 비드 형태 또는 레진 형태의 고분자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Da 이상 300,000 Da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분자량이 300,000 Da 이상이면 공유결합을 유도하는 포스포늄계 화합물의 비율이 너무 적어서 효능을 나타내기 어렵다.
상기 비드 형태 또는 레진 형태의 고분자 수지는 구체적으로 스티렌, 에틸렌, 부타디엔, 아크릴로니트릴, 메틸스티렌, 테레프탈레이트, 염화에틸렌, 에테르케톤, 에테르이미드, 에테르설폰, 프탈아미드, 페닐렌에테르, 산화페닐렌, 페닐렌설파이드, 설폰, 우레탄,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및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량체로 중합된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비드는 평균 입자 직경이 100 ㎚ 내지 1 ㎜인 것,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인 것,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인 것,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0㎛인 것이 포함될 수 있다. 고분자 비드의 직경이 100㎚ 보다 작을 경우 피부 표면에서 안전성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고분자 비드의 직경이 1㎜ 보다 클 경우에는 제형화 및 안정화에 문제가 있다.
상기 실리카 비드는 평균 입자 직경이 100 ㎚ 내지 1 ㎜인 것,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인 것,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100 ㎛인 것, 가장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70㎛인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실리카 비드의 직경이 100㎚ 보다 작을 경우 피부 표면에서 안전성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실리카 비드의 직경이 1㎜ 보다 클 경우에는 제형화 및 안정화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로, 카르복실기를 갖는 항산화 성분을 직접 생체 반응성을 갖는 반응성 에스테르 항산화 성분 형태로 만들어 주거나, 피부 케라틴(15.5~23.5%)에 과량 존재하는 아미노산(ex,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을 반응성 에스테르화시켜 아민기를 포함하는 항산화 성분이 표적화할 수 있는 형태를 만들어 반응 효율을 증대시킴으로써 그 효과를 확연히 증대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카르복실기를 갖는 항산화 성분 분자 또는 피부 단백질 표면에 먼저 화학식 1의 고분자 형태 포스포늄계 화합물을 1차 반응하여 반응성 에스테르를 형성하고, 형성된 반응성 에스테르 관능기에 다시 아민을 분자 내에 갖는 항산화 성분을 반응시키거나, 피부 표면의 아민과 반응시킴으로써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기 반응식 1에서 카르복실기를 갖는 항산화 성분 분자가 포스포늄계 화합물과 1차 반응하여 반응성 에스테르를 형성하고 뒤이어 아민 잔기를 갖는 생체의 아미노산과 반응하여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반응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2
하기 반응식 2와 같이 피부의 단백질 표면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생체 아미노산인 아스파라긴산 및 글루타민산이 포스포늄계 화합물과 1차 반응하여 반응성 에스테르를 형성하고 뒤이어 아민 잔기를 갖는 미백 성분과 반응하여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반응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하기 반응식 2에서 피부의 단백질 표면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생체 아미노산인 아스파라긴산 및 글루타민산이 포스포늄계 화합물과 1차 반응하여 반응성 에스테르를 형성하고 뒤이어 아민 잔기를 갖는 항산화 성분과 반응하여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반응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반응식 2]
Figure pat00003
포스포늄계 화합물을 이용해서 피부의 단백질과 펩타이드 결합으로 부착된 항산화 성분은 피부로부터 비누 및 클렌져 등을 통한 세정방법으로 제거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피부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항산화 성분에 카르보디이미드, 이미도에스터, 아릴아자이드, 디아지린, 하이드록시메틸 포스핀, 펜타플루오로페닐에스터, 피리딜 디설파이드, 설포-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알콕시 아민, 하이드라자이드, 할로아세틸, 아자이드, 카보네이트, 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 아지리딘, 이소시아네이트, 티오시아네이트, 에폭사이드, 트레실레이트, 석신이미드, 하이드록시석신이미딜 에스테르, 이미다졸, 옥시카보닐 이미다졸, 이민, 티올, 말레이미드, 비닐설폰, 에틸렌이민, 티오에테르,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디설파이드, 케톤, 카복실산 및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백질과 공유결합하는 관능기가 결합된 반응성 항산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응식 1에서와 같이 포스포늄계 화합물을 1차 반응시켜 생성된 포스포늄계 화합물이 결합된 항산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응성 항산화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하이드록시카복시이미드, 하이드록시트리아졸, 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하이드록시피리디논, 하이드록시페닐벤지미다졸, 하이드록시인돌린온, 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진 및 옥시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 결합 형성 반응 촉진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 결합 형성 반응 촉진첨가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 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1 중량부이다. 10 중량부 이상 사용하여도 화학반응의 속도가 포화되기 때문에 제품의 경제성이 없고, 또한 제품의 안정성에 도움되지 않는다. 0.0001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반응성에 미미하게 도움이 되거나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부수적으로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팔미틱산(palmitic acid), 스테아릭산(stearic acid) 등의 지방산, 지방 알코올, 직쇄와 분기쇄의 장쇄 알킬 4급 암모늄염 등의 양이온화 계면활성제,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양이온화 구아, 양이온화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양이온화 폴리머, 실리콘 등과 혼용하면 제제가 용이해 질 수 있다. 또한, 화장품 제제로의 제형화를 위하여 용제, 계면활성제, 증점제, 안정화제, 방부제, 착색제, pH 조절제, 금속이온 봉쇄제, 펄화제, 외관 개선제, 에몰리언트, 안료, 분체 입자 등의 화장품 제제화를 위한 성분들을 부수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제화를 위한 성분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내지 99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은 관능기를 가지는 항산화 기능의 성분을 포함하여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의 처방에 이용될 수 있다. 모발 제품의 적용 예로는 샴푸 전(pre-shampoo) 조성물,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왁스, 젤, 스프레이, 무스, 헤어 로션, 헤어 팩, 헤어 에센스, 헤어 크림, 연구 염모제, 일시 염모제, 펌제, 부직포, 시트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피부 제품의 적용 예로는 일반적으로 피부를 정돈, 보호용의 기초 화장품 (화장수,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 색조 화장품(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아이 쉐도우, 립글로즈, 립스틱, 립밤 등), 손·발톱용 메이크업(메니큐어, 영양제, 강화제, 탑코트 등), 세정용 화장품(폼클렌징, 클렌징 오일, 클렌징 로션, 클렌징 크림, 클렌징 젤, 팩, 마스크, 비누, 클렌징 티슈 등), 선 케어 화장품, 바디용 화장품(바디 로션, 샤워젤, 바디 크림, 바디 오일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화장료은 포스포늄계 화합물을 포함하면서 동시에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항산화 성분을 포함하게 되고, 위의 제제가 수계에서 활성이 저하되는 경우에는 비수계 제형에서 그 활성을 유지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며, 사용 직전에 pH 조절을 위하여 완충액(buffer)과 혼합하거나, 세정 과정에서 물과 접촉하는 방법으로 반응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비수계 제형의 예로는 통상의 비수계 화장품 제제로서 사용되는 액상형, 시트형, 분말 분체형, 정제형, 오일, 왁스, 앰플, 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포스포늄계 화합물과 항산화 성분을 캡슐화 형태의 단일제 또는 각각 분리된 형태의 2제로 제형화할 수 있다. 또한 캡슐화를 통해 반응성을 가지는 관능기와 항산화 기능을 갖는 성분이 결합된 형태의 유도체를 수분으로부터 차단하는 방법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에서 관능기를 가지는 항산화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디옥틸석시네이트, 디옥틸 아디페이트, 디에틸 세바케이트 등과 같은 2-염기산 에스텔유와 폴리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부타네디올 및 그들의 이성체, 글리세롤, 벤질 알코올, 에톡시디글리콜 및 그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용제는 피부의 침투성을 증가시키며 난용성 물질의 용제로서 이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관능기를 가지는 항산화 성분의 활성 유지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제에는 디에틸 세바케이트, 에톡시글리콜, 비스-에톡시글리콜 시클로헥산 1,4-디카복실레이트 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항산화 화장품 ( 100 g ) 제형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 및 함량으로 크림 제형의 마스크 팩을 제조하였다.
수상 원료 3 ~ 13을 70 ℃로 가열한 후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1500 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미리 70 ℃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유상 성분 15 ~ 24를 혼합된 수상에 가하고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3500 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후 온도를 50 ℃로 낮추고 중화제, 포스포늄계 화합물인 Polystyrene supported (Benzotriazol-1-yloxy)-tris(dimethylamino)phosphonium) (PS-BOP) 1, 펩타이드 결합 형성 촉진첨가제인 1-Hydroxybenzotriazole(HOBt) 2와 향료 14를 후첨하고 호모 믹서로 3분간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탈포, 여과, 냉각시켰다.
상기 PS-BOP는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이 하기 화학식 2(m + n + x + y : z = 99 : 1의 몰수 비율)로 표시되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200,000 Da인 레진 형태의 고분자 수지이고; R2는 벤조트리아졸-일옥시(benzotriazole-yloxy)이며; R3 내지 R5는 디메틸아미노이다. 상기 z는 특정 위치에 붙어있지 않고 고분자 사이를 무작위적으로 연결하는 가교제(crosslinker)이며, Eur . J. Org . Chem . 2004, 1936_1939 를 참고하여 합성하였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4
No 성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1 PS-BOP(Polystyrene supported (Benzotriazol-1-yloxy)-tris(dimethylamino)phosphonium) - - - 0.1 0.1 0.1
2 HOBt - - - 0.01 0.01 0.01
3

아세틸 시스테인 2.0 - - 2.0 - 2.0
카페인산 - 2.0 - - 2.0 -
아미노에탄 설폰산 - - 2.0 - - 2.0
4 글리세린 6.0 6.0 6.0 6.0 6.0 6.0
5 DPG 3.0 3.0 3.0 3.0 3.0 3.0
6 1,3-부틸렌글리콜 2.0 2.0 2.0 2.0 2.0 2.0
7 Urea/HEPES 0.8 0.8 0.8 0.8 0.8 0.8
8 방부제 1.0 1.0 1.0 1.0 1.0 1.0
9 항염제 2.0 2.0 2.0 2.0 2.0 2.0
10 카보머 0.2 0.2 0.2 0.2 0.2 0.2
11 잔탄검 0.05 0.05 0.05 0.05 0.05 0.05
12 중화제 0.28 0.28 0.28 0.28 0.28 0.28
13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14 항료 0.1 0.1 0.1 0.1 0.1 0.1
15 Cetearyl alcohol 2.5 2.5 2.5 2.5 2.5 2.5
16 Glyceryl stearate 1.2 1.2 1.2 1.2 1.2 1.2
17 PEG-100 stearate 0.3 0.3 0.3 0.3 0.3 0.3
18 PEG-40 stearate 0.5 0.5 0.5 0.5 0.5 0.5
19 Stearic acid 0.3 0.3 0.3 0.3 0.3 0.3
20 Cyclohexasiloxane 6.0 6.0 6.0 6.0 6.0 6.0
21 Petaerythrityl tetraethylhexanoate 3.0 3.0 3.0 3.0 3.0 3.0
22 Dimethicone 5.0 5.0 5.0 5.0 5.0 5.0
23 마카다미아 오일 2.0 2.0 2.0 2.0 2.0 2.0
24 Hydrogenated polydecene 4.0 4.0 4.0 4.0 4.0 4.0
실험예 1
아세틸 시스테인, 카페인산 또는 아미노에탄 설폰산을 PS-BOP를 이용하여 바이오컨주게이션으로 피부에 부착한 뒤 효능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비교예 1~3 및 실시예 1 ~ 3의 조성물 각각 2g을 10명의 대상자를 대상으로 손등 부분에 아침 저녁으로 매일 2회씩 도포하고 처리 1일 후, 5일 후, 10일 후의 손 등의 거칠기 및 외관 상태 등을 종합하여 5점 척도(5 매우 우수, 4 약간 우수, 3 차이 없음, 2 효과 없음, 1 매우 효과 없음)의 관능으로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비교하였다.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실험 결과(표 2), PS-IIDQ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3에 비하여 PS-BOP를 포함한 실시예 1~3은 공유결합 형성 효과로 보다 우수한 피부노화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피부노화 개선 효과(5점 척도, n=각 10명)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처리 1일 후 3.0 3.1 3.1 4.1 3.9 4.1
처리 5일 후 3.1 3.2 3.0 3.7 3.7 3.9
처리 10일 후 3.2 2.9 31 3.8 3.7 4.2

Claims (17)

  1. 포스포늄계 화합물 및 항산화 성분을 포함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포늄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용성 비이온계 고분자, 비드 형태 또는 레진 형태의 고분자 수지, 또는 실리카 비드를 나타내며,
    R2는 벤조트리아졸-일옥시(benzotriazole-yloxy), 아자벤조트리아졸-일옥시(azabenzotriazole-yloxy), 니트로벤조트리아졸-일옥시(nitrobenzotriazole-yloxy), 펜타플루오로펜일-O-(pentafluoropenyl-O-), 피리딜티오(pyridylthio), 하이드로옥소벤조트리아진(hydrooxobenzotriazin), 시아노에톡시카르보닐메틸리덴(cyanoethoxycarbonylmethyliden) 및 할로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며,
    R3 내지 R5는 각각 서로 같거나 다르며, 탄소수가 1 내지 10인 디알킬아미노계 화합물 또는 탄소수가 2 내지 10인 헤테로시클로아민계 화합물이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비이온계 고분자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 Da 이상 300,000 Da 미만인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비이온계 고분자는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폴리비닐알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셀룰로오스 유도체, 스타치 유도체, 덱스트란 및 구아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분자인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형태 또는 레진 형태의 고분자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Da 이상 300,000 Da 미만인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형태 또는 레진 형태의 고분자 수지는 스티렌, 에틸렌, 부타디엔, 아크릴로니트릴, 메틸스티렌, 테레프탈레이트, 염화에틸렌, 에테르케톤, 에테르이미드, 에테르설폰, 프탈아미드, 페닐렌에테르, 산화페닐렌, 페닐렌설파이드, 설폰, 우레탄,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및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량체로 중합된 고분자인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비드는 평균 입자 직경이 100 ㎚ 내지 1 ㎜인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포늄계 화합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부인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 성분은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 또는 아민기를 포함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 성분은 아미노에탄설폰산(aminoethanesulfonic acid ; 타우린), 아세트아미도카프로산(acetamidocaproic acid), 아세틸 벤조일옥시 프라스테론(acetyl benzoyloxy prasterone), 아세틸 시스테인(acetyl cysteine), 2-아세틸하이드로퀴논(2-acetylhydroquinone), 아다만타닐카르보사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마이드(adamantanylcarboxamido hydroxylbenzamide), 아미노에탄설핀산(aminoethanesulfinic acid), 아미노프로필 아스코빌 포스페이트(aminopropyl ascorbyl phosphate), 안고로사이드 C(angoroside C), 안세린(anserine), 어파제닌(apigenin), 알부틴(arbutin), 알파-알부틴(alpha-albutin),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벤조쿠안아민(benzoquanamine), BHA(butylhydroxyanisol), BHT(Butylated Hydroxy Toluene), 비스-하이드록시에틸토코페릴석시노일아미도하이드록시프로판(bis-hydroxyethyl tocopherylsuccinoylamido hydroxypropane), 비스-테트라메틸 하이드록시피레리디닐 세바케이트(bis-(tetramethyl hydroxypiperidinyl) sebacate), 부틸레이티드 크실레놀(butylated xylenol), t-부틸베즈아마이도 하이드록시벤자마이드(t-butylbenzamido hydroxylbenzamide), 4-부틸레조시놀(4-butylresorcinol), 카페인산(caffeic acid), 아스코르빈산칼슘(calcium ascorbate), 카르노스산(carnosic acid), 카로티노이드(carotenoids), 키토산 아스코르베이트(chitosan ascorbate), 클로로젠산(chlorogenic acid), 코발트 디엔에이(cobalt DNA), 쿠퍼 ATP(copper adenosine triphosphate), 쿠퍼 피리독살 5-포스페이트(copper pyridoxal 5-phosphate), 커큐민(curcumin), 시스테인(cysteine), 시스테인 하이드로클로라이드(cysteine HCl), 데카펩타이드-6(decapeptide-6), 데카펩타이드-7(decapeptide-7), 데쿠시놀(decursinol), 데실 머캡토메틸이미다졸(decyl mercaptomethylimidazole), 디아밀하이드로퀴논(diamylhydroquinone), 디-t-부틸하이드로퀴논(di-t-butylhydroquinone), 디세틸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cetyl thiodipropionate), 디사이클로펜타디엔/t-부틸크레솔 코폴리머(dicyclopentadiene/t-butylcresol copolymer), 디갈로일 트리올레이트(digalloyl trioleate), 디이소옥틸 세바케이트(diisooctyl sebacate),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lauryl thiodipropionate), 디메톡시벤즈아미도 페닐하이드록실아세타마이드(dimethoxybenzamido phenylhydroxylacetamide, 디메톡시 디-p-크레졸(dimethoxy di-p-cresol), 디메틸메톡시 크로만올(dimethylmethoxy chromanol), 디미리스틸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myristyl thiodipropionate), 디올레일 토코페릴 메틸실란올(dioleyl tocopheryl methylsilanol), 디오스민(diosmine), 디레티닐 에테르(diretinyl ether), 디쇼듐 아스코빌 설페이트(disodium ascorbyl sulfate),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stearyl thiodipropionate), 디트리데실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tridecyl thiodipropionate), 도데실 갈레이트(dodecyl gallate), 두날리엘라 바다윌(dunaliella bardawil) 분말, 엘라그산(ellagic acid),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에르고티오네인(ergothioneine), 비파나무 잎 원형질체(eriobotrya japonica leaf protoplasts), 에리소프빈산(erythorbic acid), 에틸비스이미노메틸구아이아콜 망가니스 클로라이드(ethylbisiminomethylguaiacol manganese chloride), 에틸 페룰레이트(ethyl ferulate), 에틸헥실 페룰레이트 (ethylhexyl ferulate), 페눌산(ferulic acid), 페룰로일 소이 글리세라이드(feruloyl soy glycerides), 퍼퍼릴 팔미테이트(furfuryl palmitate), 게니스테인 글루코사이드(genistein glucoside), 은행 잎 테르페노이드(ginkgo leaf terpenoids), 글루코실루틴(glucosylrutin), 글리세릴 크로모닐 에테르(glyceryl chromonyl ether), 글리세릴 디 페룰레이트(glyceryl diferulate), 헤스페레틴(hesperetin), 헥실록시 트리메틸페놀(hexyloxy trimethylphenol), 호노키올(honokiol), 하이드롤라이즈드 프로안토시아니딘(hydrolyzed proanthocyanidin),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p-하이드록시아니솔(p-hydroxyanisole), 하이드록시데실 유비키논(hydroxydecyl ubiquinone), 하이드록시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hydroxylamine HCl), 하이드록시아민 설페이트(hydroxylamine sulfate), 하이드록시페닐 디하이드록시벤즈아마이드(hydroxyphenyl dihydroxybenzamide), 이노시놀 헥사나이아시네이트 헥사아스코베이트(inositol hexaniacinate hexaascorbate), 이소옥틸 카프리레이트/카프레이트(isooctyl caprylate/caprate), 이소옥틸 티오글리콜레이트(isooctyl thioglycolate), 이소퀘르시트린(isoquercitrin), 캠프페롤(kaempferol), 코직산(kojic acid), 코질 글루코사이드(kojyl glucoside),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kojyl methylenedioxycinnamate), 홍차 추출물(kou-cha ekisu), 리코펜(lycopene),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마그네슘 아스코베이트(magnesium ascorbate), 마그놀롤(magnolol), 망가네이즈 ATP(manganese adenosine triphosphate), 마트린(matrine), 멜라토닌(melatonin), 메톡시 PEG-7 아스코빈산(methoxy PEG-7 ascorbic acid), 메톡시트리메틸페닐 디하이드록시페닐 프로판올(methoxytrimethylphenyl dihydroxyphenyl propanol), 메틸-디-t-부틸 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methyl di-t-butyl hydroxyhydrocinnamate), 메틸렌 디-t-부틸크레솔(methylene di-t-butylcresol), 메틸-메타크릴레이트/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메타아클리레이트 크로스폴리머(methyl methacrylate/trimethoxysilylpropyl methacrylate crosspolymer), 메틸 미리스트산(methyl myristic acid), 니아신아마이드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niacinamide hydroxybenzoate), 닉토플로린(nictoflorin), 노르디하이드로구아이아레트산(nordihydroguaiaretic acid), 옥타니코티노일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octanicotinoyl epigallocatechin gallate), 옥타펩타이드-4(octapeptide-4), 올리고펩타이드-28(oligopeptide-28), 패오놀(paeonol), 팔마틴(palmatine), PEG/PPG-2/5 토코페릴 에테르(PEG/PPG-2/5 tocopheryl ether), 페리릴 알코올(perillyl alcohol), 페네틸 카페이트(phenethyl caffeate), 페닐에틸 레조르시놀(phenylethyl resorcinol), 페닐티오글리콜산(phenylthioglycolic acid), 플로레틴(phloretin), 플로로글루시놀(phloroglucinol), 피세아타놀 (piceatannol), 피퍼롱구미닌(piperlonguminine), 포피리듐 폴리사카라이드(porphyridium polysaccharide), 포타슘 아스코빌 토코페릴 포스페이트(potassium ascorbyl tocopheryl phosphate), 포타슘 설파이트(potassium sulfite), PPG-2 토코페레스-5(PPG-2 tocophereth-5), 프로필 갈레이트(propyl gallate), 프로토카테추이칼데하이드(protocatechuicaldehyde), 푸에라린(puerarin), 피리독신 하이드로벤조에이트(pyridoxine hydroxybenzoate), 피리딜옥사이드 t-부틸니트론(phridyloxide t-butylnitrone), 퀘세틴(quercetin), 레사케토페논(resacetophenone), 레조르시놀(resorcinol),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레티닐 포르밀 아스파라메이트(retinyl formyl aspartamate),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 루틴(rutin), 루티닐 숙시네이트(rutinyl succinate), 녹차 추출물(ryoku-cha ekisu), 살나세딘(salnacedin), 소듐 아스코베이트(sodium ascorbate), 소듐 설파이트(sodium sulfite), 소듐 토코페릴 포스페이트(sodium tocopheryl phosphate), 소듐 에시쏘베이트(sodium erythorbate), 소듐 포스포노-피리독시리데네르호다닌(sodium phosphono-pyridoxylidenerhodanine), 서듐 티오글리코레이트(sodium thioglycolate), 소듐 징크 히스티딘 디티오옥타아마이드(sodium zinc histidine dithiooctanamide), 소프비틸 퍼퍼랄(sorbityl furfural), 스테아릴 갈레이트(stearyl gallate), 숙시노일 아스코베이트 펜타펩타이드-6(succinoyl ascorbate pentapeptide-6), 탄제리틴(tangeritin), TBHQ(tert-butylhydroquinone]), 테트라부틸 에틸리딘비스페놀(tetrabutyl ethylidinebisphenol), 테트라하이드로디메톡시페룰로일메탄(tetrahydrodemethoxydiferuloylmethane),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 디아세테이트(tetrahydrocurcumin diacetate), 테트라하이드로디페러로일메탄(tetrahydrodiferuloylmethane), 테트라메틸부틸 디하이드록시벤즈아마이드(tetramethylbutyl dihydroxybenzamide), 테트라메틸크로만올 글루코사이드(tetramethylchromanol glucoside), 티옥산(thioctic acid), 티오디글리콜(thiodiglycol), 티오락틱산(thiolactic acid), 티오살리실산(thiosalicylic acid), 티오아우린(thioaurine), 티몰 트리메톡시신나메이트(thymol trimethoxycinnamate), 토코사이스테아마이드(tococysteamide), 토코페레쓰-5(tocophereth-5), 토코페롤(tocopherol), 토코페르솔란(tocophersolan),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토코퀴논(tocoquinone), 톨루엔(toluene), o-톨릴 비구아나이드(o-tolyl biguanide), 토타롤(totarol), 트리프로필렌 글리콜(triprophylene glycol), 트리스- BHT 메시틸렌(tris-BHT mesitylene),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tris(nonylphenyl)phosphate), 트리소듐 아스코빌 이소팔미테이트 포스페이트(trisodium ascorbyl isopalmitate phosphate), 티로실 히스디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tyrosyl histidine HCl), 유비퀴놀(ubiquinol), 유비퀴논(ubiquinone), 참갈파래 분말(ulva lactuca powder), 우롱차 추출물(uuron-cha ekisu), 크실릴 디부틸벤조퓨라논(xylyl dibutylbenzofuranone), 징크 ATP(zinc adenosine triphosphate), 징크 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zinc dibutyldithiocarbamate), 징크 프럭토스 디포스페이트(zinc fructose diphosphate), 징크 피리독살 5-포스페이트(zinc pyridoxal 5-phosphate) 및 이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 성분은 피부 표면의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과 공유 결합하는 관능기는 카르보디이미드, 이미도에스터, 아릴아자이드, 디아지린, 하이드록시메틸 포스핀, 펜타플루오로페닐에스터, 피리딜 디설파이드, 설포-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알콕시 아민, 하이드라자이드, 할로아세틸, 아자이드, 카보네이트, 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 아지리딘, 이소시아네이트, 티오시아네이트, 에폭사이드, 트레실레이트, 석신이미드, 하이드록시석신이미딜 에스테르, 이미다졸, 옥시카보닐 아미다졸, 이민, 티올, 말레이미드, 비닐설폰, 에틸렌이민, 티오에테르,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디설파이드, 케톤, 카복실산 및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13. 제 1 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 성분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50 중량부인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14. 제 1 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펩타이드 결합 형성 반응 촉진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 결합 형성 반응 촉진첨가제는 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하이드록시카복시이미드, 하이드록시트리아졸, 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하이드록시피리디논, 하이드록시페닐벤지미다졸, 하이드록시인돌린온, 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진 및 옥시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 결합 형성 반응 촉진첨가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부인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17. 제 1 항에 있어서,
    포스포늄계 화합물 및 항산화 성분이 캡슐화된 형태의 단일제로 제형화되거나; 포스포늄계 화합물 및 항산화 성분이 각각 분리된 형태의 2제로 제형화된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41639A 2016-04-05 2016-04-05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145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639A KR20170114539A (ko) 2016-04-05 2016-04-05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639A KR20170114539A (ko) 2016-04-05 2016-04-05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539A true KR20170114539A (ko) 2017-10-16

Family

ID=60295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639A KR20170114539A (ko) 2016-04-05 2016-04-05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453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8257A (zh) * 2018-04-24 2018-09-28 吉林大学 一种苦橙花油丹皮酚水包油纳米乳及其制备方法
KR20190048662A (ko) 2017-10-31 2019-05-09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1554087B2 (en) 2020-11-05 2023-01-17 The Gillette Company Llc Shaving aid comprising an antioxida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662A (ko) 2017-10-31 2019-05-09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578257A (zh) * 2018-04-24 2018-09-28 吉林大学 一种苦橙花油丹皮酚水包油纳米乳及其制备方法
CN108578257B (zh) * 2018-04-24 2021-10-22 吉林大学 一种苦橙花油丹皮酚水包油纳米乳及其制备方法
US11554087B2 (en) 2020-11-05 2023-01-17 The Gillette Company Llc Shaving aid comprising an antioxid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947B1 (ko)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2502512B1 (ko)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663053B1 (ko) 모발 표면 개질용 조성물
KR101663055B1 (ko) 피부 표면 개질용 조성물
KR101628589B1 (ko) 미백 화장료
ES2617137T3 (es) Partículas compuestas que tienen un sistema protector a base de antioxidante, y composiciones tópicas que comprenden las mismas
KR20180017459A (ko)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JP2018528187A (ja) 表面改質用組成物
KR101453217B1 (ko)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WO2008025755A1 (de) Verwendung von n-haltigen heterozyklen in dermokosmetika
KR20170068162A (ko) 표면 개질용 기능성 조성물
JP2019108303A (ja) 皮膚外用組成物、紫外線吸収剤の機能低下抑制用組成物及び紫外線吸収剤の機能低下抑制方法
KR20150066826A (ko) 주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14539A (ko)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9656A (ko)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77006B1 (ko) 섬유 케어용 조성물
KR101453220B1 (ko)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166919B1 (ko) 섬유 케어용 조성물
KR102486936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BR112015030331B1 (pt) Derivados de succinato, seus usos, composição cosmética ou farmacêutica, métodos cosméticos, e processo para preparar um creme
KR102006954B1 (ko) 포접 화합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KR102502511B1 (ko) 주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5494142B2 (ja) 皮膚外用剤
JPH11222412A (ja) 皮膚外用剤
KR20150066809A (ko)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