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006B1 - 섬유 케어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섬유 케어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006B1
KR101677006B1 KR1020150121048A KR20150121048A KR101677006B1 KR 101677006 B1 KR101677006 B1 KR 101677006B1 KR 1020150121048 A KR1020150121048 A KR 1020150121048A KR 20150121048 A KR20150121048 A KR 20150121048A KR 101677006 B1 KR101677006 B1 KR 101677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dium
fiber
fiber care
chitosan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성길
김동완
김경환
유지희
김영현
이정래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50121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006B1/ko
Priority to PCT/KR2016/009505 priority patent/WO2017034367A2/ko
Priority to CN201680046407.5A priority patent/CN107920973B/zh
Priority to US15/753,067 priority patent/US10799436B2/en
Priority to JP2018506959A priority patent/JP6873103B2/ja
Priority to EP16839655.4A priority patent/EP3342395A4/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006B1/ko
Priority to HK18113063.5A priority patent/HK1253915A1/zh
Priority to US16/909,197 priority patent/US11612552B2/en
Priority to US17/966,148 priority patent/US20230088314A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1Softening compositions
    • C11D3/0015Softening compositions liqu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 케어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케어용 조성물은 특정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 섬유에 손상 없이 공유결합을 형성하여 반영구적으로 원하는 섬유 케어 효과를 제공해 준다.

Description

섬유 케어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fabric-care}
본 발명은 섬유 케어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 케어라 함은 섬유에 유연 효과를 부여하거나, 광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거나, 섬유의 주름 형성을 억제하거나 형성된 주름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거나, 섬유 본래의 색상을 선명하게 해주거나, 본래의 색감을 오래 유지시켜 주거나, 표면의 오염을 쉽게 제거되도록 하거나, 향기를 부여하거나, 냄새를 제거하거나, 항균이나 해충기피를 해주거나, 세탁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거나, 빗물 등의 침투를 방지하거나 하는 등의 기능을 의미한다.
섬유 케어용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섬유를 케어하기 위한 세정, 정돈, 포인트용 등의 섬유에 유익한 기능의 조성물 및 염색, 표백, 유연, 살균자외선 차단, 방향, 향기 등 섬유에 유익한 기능의 조성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조성물을 제형화한 제품으로는 세제와 유연제, 섬유 린스, 트리트먼트, 부분 처리제 등의 제품들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섬유 케어용 조성물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원료로는 유지, 왁스, 탄화수소, 고급지방산, 고급알콜, 에스텔유, 실리콘유 등과 같은 유성원료,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및 피막형성제로 사용되는 고분자화합물, 자외선흡수 및 차단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이온교환제, 빌터, 표백제, 효소, 기포조절제, 형광증백제, 이염 방지제, 염료 및 안료를 포함한 색재, 향료, 방부제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특별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한 섬유 케어 성분으로 섬유에 유연효과를 부여하거나, 광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거나, 섬유의 주름 형성을 억제하거나 형성된 주름을 쉽게 제거 할 수 있도록 하거나, 섬유 본래의 색상을 선명하게 해주거나, 본래의 색감을 오래 유지시켜 주거나, 표면의 오염을 쉽게 제거되도록 하거나, 향기를 부여하거나, 냄새를 제거하거나, 항균이나 해충기피를 해주거나, 세탁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거나, 빗물 등의 침투를 방지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솝(비누), 알킬벤젠술포네이트, 알칸술포네이트, 알파올레핀술포네이트, 알파술포지방산에스테르, 알킬설페이트, 알킬에테르설페이트, 알콜에톡실레이트, 알킬페놀에톡실레이트, 지방산알칸올아마이드, 알킬아민옥사이드, 메틸글루카마이드, 알킬폴리글루코시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눔클로라이드,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알킬디메틸벤젠암모늄클로라이드, 에스테르쿼트, 아미노에스테르염, 알킬베타인, 알킬설포베타인, 탄산나트륨, 탄산칼슘, 규산나트륨, 소듐트리포스페이트, 니드로트리아세트산,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제올라이트, 소듐폴리카르복실레이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소듐하이드록시에탄디포스페이트, 소듐퍼보레이트, 소듐퍼카보네이트, 퍼옥사이드, 하이포클로라이트,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 소듐 파라 노나노일옥시벤젠설포네이트, 과탄산나트륨, 과붕산나트륨, 단백질분해효소, 지방분해효소, 전분분해효소, 팩틴분해효소, 셀룰로오스분해효소,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스타치, 셀룰로오스에테르,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린산/폴리옥시에틸렌 테레프타린산 공중합체, 지방산아미드, 지방산알칸올아미드, 아민옥사이드, 스틸벤, 코우마린, 비스벤자졸, 디스티릴바이페닐,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피리딘옥사이드, 향료, 사이클로덱스트린, 황산나트륨, 실리콘 및 유도체, 알킬아민, 지방알콜, 지방산, 폴리에칠렌,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염화나트륨, 초산나트륨 등 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섬유 케어 성분으로 섬유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처리 후에 다음 세정 시까지 일시적인 효과만을 제공할 뿐 세정 이후에는 재처리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항상 존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은 울 섬유와 구성 성분이 유사한 모발에 화장 특성을 장시간 지속시키는 화장처치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에서는 모발 화장 처리 전 모발의 표면에 변화가 생기도록 하는 열, 전자파, 전기장, 음파, 플라즈마 등의 물리적 방법이나, 환원 방법을 제외한 화학적 방법을 통해 1차로 모발을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모발 활성화 과정은 열, 전자파, 전기장, 음파, 플라즈마 등 높은 에너지를 모발에 가해야 하고, 환원 방법을 제외한 화학적 비활성화 물질로 사용되는 과산화수소, 브로메이트 등 산화제는 모발에 심각한 손상을 유발하고, 이 외 폴리아민이나 다당류 폴리머의 경우 활성화는 가능하지만, 이들 폴리머가 모발에 공유 결합 형태로 활성화되지 못한 상태여서 세정에 의해 쉽게 제거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섬유의 유연 효과 외에 향의 지속성이 우수하고 섬유에 항균성을 부여하고자 항균 성분인 키토산을 사용하면서 향을 마이크로캡슐화하여 첨가하는 방안을 고려하였다. 이와 같이 향을 마이크로 캡슐로 처리하면, 캡슐이 내부물질(core material) 향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여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되므로, 섬유에서 향의 지속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이 향기 캡슐 역시 세탁과정에서 섬유 표면에 잔존하지 못하고 대부분 씻겨나가기 때문에, 일부 섬유에 남아있는 캡슐 성분만으로는 그 효과를 제공하기에 한계가 있고, 경제적으로도 사용한 캡슐이 대부분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헹굼수에 헹궈져 나가는 문제를 갖게 된다.
일본 공개 특허 제2004-182731호 한국 공개 특허 제2002-006842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섬유에 손상 없이 반영구적인 섬유 케어 효과를 지속적으로 부여할 수 있는 섬유 케어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섬유 케어 성분을 포함하는 섬유 케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83365465-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하기에 나열된 구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반복 단위 양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모노머를 나타내며, 여기서 두 개의 A는 서로 같은 구조의 호모 폴리머(Homo Polymer) 또는 서로 다른 구조의 헤테로 폴리머(Hetero Polymer)이고, 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00의 직쇄 또는 분기쇄 또는 고리형의 탄화수소; 또는 벤젠 고리형의 탄화수소;를 나타내며, 상기 탄화수소 분자의 일부에 이중 결합을 포함하거나; O, N, S, P 및 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치환된 형태이거나;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형태로 치환된 형태이거나; 또는 금속이온이 염 형태로 결합된 구조를 포함하며, m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Figure 112015083365465-pat00002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섬유 케어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섬유 케어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케어용 조성물은 섬유의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특정 관능기를 도입한 반응성 섬유 케어 성분 및/또는 특정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 섬유에 손상 없이 공유결합을 형성하여 반영구적으로 섬유 케어 효과를 제공해 준다.
본 발명은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섬유 케어 성분을 포함하는 섬유 케어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케어용 조성물은 예를 들면, 기존에 알려진 섬유 케어 성분에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반응시켜 카르보디이미드기가 결합된 반응성 섬유 케어 성분을 거쳐 섬유의 단백질과 공유결합을 형성시킴으로써 섬유 케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를 분자 내에 포함하는 화합물을 총칭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83365465-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며, A는 하기에 나열된 구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반복 단위 양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모노머를 나타내며, 여기서 두 개의 A는 서로 같은 구조의 호모 폴리머(Homo Polymer) 또는 서로 다른 구조의 헤테로 폴리머(Hetero Polymer)이고, 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00의 직쇄, 분기쇄 또는 고리형의 탄화수소; 또는 벤젠 고리형의 탄화수소;를 나타내며, 상기 탄화수소 분자의 일부에 이중 결합을 포함하거나; O, N, S, P 및 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치환된 형태이거나;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형태로 치환된 형태이거나; 또는 금속이온이 염 형태로 결합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고리형의 탄화수소는 고리 내 O, N 및 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포함된 구조 및/또는 이중결합이 포함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15083365465-pat00004
본 발명에 있어 바람직한 상기 카르보디이미드계 폴리머의 일례는 폴리머의 말단이 폴리에틸렌 글리콜이나 폴리프로필렌글리콜로 블라킹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5083365465-pat00005
상기 화학식 2에서 A는 하기에 나열된 구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반복 단위 양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모노머를 나타내며, 여기서 두 개의 A는 서로 같은 구조의 호모 폴리머(Homo Polymer) 또는 서로 다른 구조의 헤테로 폴리머(Hetero Polymer)이고, m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며, n은 1 내지 1000의 정수이다.
Figure 112015083365465-pat00006
또한, 본 발명에 있어 보다 바람직한 카르보디이미드계 폴리머의 일례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5083365465-pat00007
상기 화학식 3에서, n은 각각 1 내지 130의 정수이며, m은 1 내지 20의 정수(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의 정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가장 바람직한 카르보디이미드계 폴리머의 일례는 상기 화학식 3에서, m이 평균 4이고, n이 평균 26인 1,1'- 메틸렌-비스-(3-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헥산)-,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1,1'- methylene-bis-(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에 있어서, 하나의 분자 내에 존재하는 카르보디이미드기가 100개를 초과하면 원료의 점도가 너무 크고, 분자량이 너무 과도하게 크고, 반응할 수 있는 반응 위치가 너무 과도하게 많아지며, 카르보디이미드기를 보유한 분자가 너무 거대해져서 실질적인 기능을 갖는 분자의 기능 효과를 나타내는 부분을 가림에 의해서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1,1'- 메틸렌-비스-(4-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헥산)-,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1,1'- methylene-bis-(4-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1'- 메틸렌-비스-(3-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헥산)-,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1,1'- methylene-bis-(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1'- 메틸렌-비스-(4-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헵탄)-,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1,1'- methylene-bis-(4-isocyanatocyclohept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1'- 메틸렌-비스-(3-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헵탄)-,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1,1'- methylene-bis-(3-isocyanatocyclohept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1'- 메틸렌-비스-(3-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펜탄)-,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1,1'-methylene-bis-(3-isocyanatocyclopent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부, 0.001 내지 7 중량부 또는 0.01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의 함량이 0.0001 중량부 미만이면 지속적인 표면 개질을 통한 지속적인 섬유 케어 효과가 나타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섬유에 존재하는 반응위치 이상으로 과도하게 존재하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이 섬유와 반응하지 못한 상태에서 효능 물질과 반응함으로써 지속성 향상에 도움이 되지 못하고 손실되는 성분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섬유 케어 효과'라 함은 섬유에 유연 효과를 부여하거나, 광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거나, 섬유의 주름 형성을 억제하거나 형성된 주름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거나, 섬유 본래의 색상을 선명하게 해주거나, 본래의 색감을 오래 유지시켜 주거나, 섬유를 염색하거나, 표면의 오염을 쉽게 제거되도록 하거나, 향기를 부여하거나, 냄새를 제거하거나, 항균이나 해충기피를 해주거나, 세탁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거나, 빗물 등의 침투를 방지하거나, 섬유 내부로 침투를 강화하거나, 다림질을 쉽게 하거나, 건조가 빠르게 하거나, 섬유를 윤택하게 보이도록 하거나, 섬유를 탄력있게하거나, 오염이 쉽게 달라붙지 못하도록 하거나, 정전기를 방지하거나, 섬유를 강하게 하거나, 섬유를 굵게 하거나, 섬유 표면에 코팅을 형성하거나, 보습력을 제공하거나, 보온 및 보냉을 강화하거나, 산화를 방지하거나, 자외선을 차단하거나, 섬유에 유효성분의 침투를 촉진하거나 및 유효성분의 머무름 시간을 개선하거나, 보풀 발생을 감소시키거나, 섬유의 엉김을 방지하거나, 피부에 친화적이거나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섬유 케어 성분은 섬유 유연 성분, 광 손상 방지 성분, 주름 억제 또는 제거 성분, 색상 유지 성분, 염료, 오염 제거 성분, 향 성분, 소취 성분, 항균 성분, 세탁 손상 방지 성분, 방수 성분, 코팅 성분, 정전기 방지 성분, 보습 성분, 보온 또는 보냉 성분, 항산화 성분, 자외선 차단 성분, 보풀 엉김 방지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섬유 유연, 손상방지, 방수, 코팅, 정전기방지, 보풀형성 및 엉김 방지 성분은 예를 들면, 디메치콘, 트리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아모디메치콘, 아모디페닐트리메치콘, 아모디-펜타 페닐트리메치콘,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메틸트리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메치콘, 사이크로메치콘, 알킬메틸실록산, 디메치콘코폴리올, 트리메틸실릴아모디메치콘, 불소계 실리콘 화합물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섬유 유연, 손상방지 효과를 갖는 세라마이드류는 스핑고신의 아미노기에 지방산이 결합한 구조의 물질로 천연 및 합성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며, 스핑고신, 스핑가닌, 스핀제닌, 2-아미노-4-아이코산-1,3디올, 세라마이드, 스이고마이에린, 세라브로사이드, 강글리오사이드, 스핑고리피드 및 이들의 유도체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섬유와 피부의 친화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천연물 유래 추출물로는 해조 추출물, 해바라기씨 추출물, 고삼 추출물, 인삼 추출물, 황련 추출물, 금잔화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자작나무 추출물, 화초 추출물, 천라 추출물, 베르가못 추출물, 편백 추출물, 고삼홍경천 추출물, 고삼 추출물, 창출 추출물, 병풀 추출물, 황련 추출물, 홍삼수, 패모 추출물, 은방울꽃 추출물, 벌집 추출물, 카시스 추출물, 석류 추출물, 레몬 추출물, 솔싹 추출물, 녹차 추출물, 브로커리 추출물, 꿀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 베리 추출물, 라벤터 추출물, 렌틸콩 추출물, 생강 수 추출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백질 및 펩타이드로는 천잠실크, 실크, 폴리라이신, 해조, 울 및 모발, 밀로부터 얻어진 단백질 및 펩타이드, 아미노산으로는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트레오닌, 세린, 시스테인, 시스틴, 메티오닌,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라긴, 글루탐산, 디요드티로신,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프롤린, 옥시프롤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섬유에 코팅 및 주름 방지 개선, 이염 방지, 세탁시 보풀 제거, 섬유 탄력부여, 다림질 용이성 부여 등을 위해 사용되는 폴리머류는 분자량 1000 내지 100만 정도의 사슬(linier) 및 분지(branched) 사슬형, 네트웍크(network)형 폴리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이들 탄소 사이에 이중 결합이나 링 구조의 다양한 치환체가 포함된 경우도 사용할 수 있고, 분자 내 말단 어느 하나에 생체 반응성 관능기를 부착하기 위한 반응이 용이하도록 -COONa, -COOK, -COOH, -NH2, -NHR, -NR2, -Cl, -Br, -I, 또는 -F 기와 같은 생체 반응기를 부착하기 위해 반응성을 갖는 잔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분자 내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000 내지 50만 정도의 사슬 및 분지 사슬형 폴리머이면서 분자 내 말단 어느 하나에 생체 반응성 관능기를 부착하기 위한 반응이 용이하도록 -COONa, -COOK, -COOH, -NH2, -NHR, -NR2, -Cl, -Br, -I, 또는 -F 기와 같은 생체 반응기를 부착하기 위해 반응성을 갖는 잔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분자 내에 포함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아민 폴리머, 폴리카르복실릭산 폴리머, 폴리머로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Methacryloylethyl Betaine/Methacrylate Copolymer), 옥틸아크릴아마이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Octylacrylamide/Acrylates/Butylaminoethyl Methacrylate Copolymer)와 같은 양쪽성의 폴리머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피브이피/브이에이 공중합체(PVP/VA Copolymer), 피브이피/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PVP/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Copolymer)와 같은 비이온성 폴리머 그리고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 Methacrylate Copolymer), 브이에이/ 크로토네이트/ 비닐네오데카노에이트 공중합체(VA/Crotonates/ Vinyl Neodecanoate Copolymer)와 같은 음이온성 폴리머와 같은 합성 폴리머나 또는 셀룰로오스, 구아, 녹말, 전분등에서 유래하는 천연 폴리머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섬유의 색상 유지 및 색상 부가 기능을 갖는 염료는 발색단으로 -NO2, -N〓N-, C〓O, C〓C, C〓N-, C〓S, -N〓O 및 -N〓N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자단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염료는 조색단으로 -OCH3, -N(CH3)2, -NH(CH3), -NO2, -CF3, -OH, -OCH3, -Cl 및 -NH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자단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염료는 -COONa, -COOK, -COOH, -NH2, -NHR, -NR2, -Cl, -Br, -I 및 -F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반응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염료는 모발, 피부, 섬유, 가죽 등에 사용하는 천연 염료 또는 합성 염료일 수 있으며, 상기 천연 염료는 퍼푸린(purpurin), 문지스틴(Munjistin), 멜라닌(Melanin) 또는 멜라닌 전구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합성 염료는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5호,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20호, 적색 227호, 흑색 401호, 적색 230호, 적색 231호, 적색 232호, 적색 401호, 적색 405호, 황색 4호, 황색 202호, 등자색 207호, 적색 106호, 적색 213호, 적색 214호, 적색 215호, 황색 404호, 황색 405호, 청색 403호, 디스퍼스 블루 1(Disperse Blue 1), 디스퍼스 바이올렛 1(Disperse Violet 1), 디스퍼스 오렌지 3(Disperse Orange 3), 디스퍼스 블랙 9(Disperse Black 9), 에이씨 블루 2(HC Blue 2), 에이씨 레드 3(HC Red 3), 에이씨 엘로우 5(HC Yellow 5) 또는 에이씨 레드 1(HC Red 1), 베이직 오렌지 1, 베이직 오렌지 2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오염 제거 성분은 예를 들면, 솝(비누), 알킬벤젠술포네이트, 알칸술포네이트, 알파올레핀술포네이트, 알파술포지방산에스테르, 알킬설페이트, 알킬에테르설페이트, 알콜에톡실레이트, 알킬페놀에톡실레이트, 지방산알칸올아마이드, 알킬아민옥사이드, 메틸글루카마이드, 알킬폴리글루코시드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향 성분은 예를 들면, 알데히드류, 페놀류, 알코올류, 에테르류, 에스테르류, 하이드로카본류, 케톤류, 락톤류, 무스크류, 테르펜 골격을 갖는 항료, 천연 항료, 동물성 항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데히드류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운데실렌알데히드, 라우릴알데히드, 알데히드 C-12MNA, 미락알데히드, α-아밀신나믹알데히드, 시클라멘알데히드, 에틸바닐린, 헤리오트로핀, 아니스알데히드, α-헥실신나믹알데히드, 옥탄알, 리구스트랄, 릴리알, 리랄, 트리플랄, 바닐린, 헬리오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페놀류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오이겐올, 이소오이겐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코올류로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박단올, 디하이드로미르센올, 디하이드로리날로올, 리날로올, 네롤, 산탈롤, 산탈렉스, 터피네올, 테트라하이드로리날로올, 페닐에틸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테르류로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세드람바, 그리살바, 메틸오이겐올, 메틸이소오이겐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에스테르류로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시스-3-헥센일아세테이트, 시스-3-헥센일프로피오네이트, 시스-3-헥센일살리실레이트, p-크레질아세테이트, p-t-부틸시클로헥실 아세테이트, 아밀아세테이트, 메틸디히드로자스모네이트, 아밀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벤질벤조에이트, 벤질아세테이트, 세드릴아세테이트, 시트로넬릴아세테이트, 데카하이드로-β-나프틸아세테이트, 디메틸벤질카르비닐아세테이트, 에리카프로피오네이트, 에틸아세트아세테이트, 에리카아세테이트, 게라닐아세테이트, 게라닐포메이트, 헤디온, 리날릴아세테이트, β-페닐에틸아세테이트, 헥실살리실레이트, 스티랄릴아세테이트, 터피닐아세테이트, 베티베릴아세테이트, o-t-부틸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만자네이트, 알릴헵타노에이트, 신나밀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카본류로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미르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케톤류로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α-이오논, β-이오논, 메틸-β-나프틸케톤, α-다마스콘, β-다마스콘, δ-다마스콘, 시스-자스몬, 메틸이오논, 알릴이오논, 카슈메란, 디하이드로자스몬, 이소이 수퍼, 베르토픽스, 이소론지포라논, 코아본, 로즈페논, 라즈베리케톤, 다이나스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락톤류로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γ-데카락톤, γ-운데카락톤, γ-노나락톤, γ-도데카락톤, 쿠마린, 안브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스크류로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시클로펜타데카놀라이드, 에틸렌브라실레이트, 갈락솔라이드, 무스크케톤, 토날리드, 니트로무스크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테르펜 골격을 갖는 항료로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게라니올(제라니올), 네롤, 리날로올, 시트랄, 시트로넬롤, 멘톨, 민트, 시트로넬랄, 미르센, 피넨, 리모넨, 테레피네롤, 카르본, 요논, 캄퍼(장뇌), 보르네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천연 항료로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오렌지유, 레몬유, 라임유, 프티그레인유, 유자유, 네롤리유, 베르가모트유, 라벤더유, 라반딘유, 아비에스유, 아니스유, 베이유, 보아 드로즈유, 일랑일랑유, 시트로넬라유, 제라늄유, 페퍼민트유, 박하유, 스페어민트유, 유칼리유, 레몬그라스유, 파출리유, 자스민유, 장미유, 시다유, 베티버유, 갈바넘유, 오크모스유, 파인유, 장뇌유, 백단유, 방장유, 테레핀유, 클로브유, 검정클로브유, 카시아유, 너트메그유, 카날가유, 타임유 등의 정유를 들 수 있다. 상기 동물성 항료로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사향, 영묘향, 해리향, 용연향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소취 성분은 모노-6-에탄디아민-6-데옥시-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쿠커비트릴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항균 성분은 세라마이드, 글리세린, 히알루론산, 베타인, 키토산, 비타민 E(토코페롤), 우레아(Urea), 디-판테놀(d-panthenol), 유황, 레솔신, 염화세린, 알란토인, AHA, 살리실산, 트리클로로카바마이드, 초산토코페롤, 진크피리치온, 염화벤잘코니움, 염화벤제토니움, 클로로헥시딘, 히노치올, 페놀, 이소프로필메틸페놀, 페녹시에탄올, 이소치아졸리논,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피리독신, 글리칠리친산, 초산히드로코치손, 호박산히드로코치손, 프레드니솔론, 염화디펜히드라민, 말레인산클로로페닐아민, 캄파, 멘톨, 알라닌글루타민, 비사보롤, 코엔자임Q10, SG(Stearyl Glycyrrhetinate)/DPG(dipotassium Glycyrrhizinate), 피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 및 이의 유도체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정전기 방지 성분은 스테아릴아미도프로필아민, 이소스테아릴프로필아미도아민, 스테아릴아미도아민, 이소스테아릴프로필아미도아민, 메칠에이코사노익아미도프로필아민, 메칠에이코사노익아미도아민, 베헤닐아미도프로필아민, 베헤닐아미도아민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섬유의 보습, 주름 방지 및 회복, 정전기방지, 유연, 수분과의 작용에 의한 보온, 보냉 특성을 나타내는 보습 성분은 동, 식물, 광물 등의 천연물 유래 추출물,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백질, 당류, 비타민 등과 같이 섬유의 손상 부위를 채워줄 수 있는 보습 작용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카프릴릴글라이콜, 디글리세린, 메틸글루세스, 에톡시디글라이콜, 글리세레스, 프로판디올, 디에톡시디글라이콜피롤리돈카르복실산, 소듐락테이트, 소듐피씨에이, 미네랄오일, 바세린, 라놀린, 호호바오일, 올리브오일, 글라이코스핑고리피드, 포스포리피드, 지질 혼합체,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베타인, 카복시메틸키틴, 세라마이드, 글루코실세라마이드,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알파-글루칸, 히알루론산, 하이드롤라이즈드 히알루론산, 베타인, 키토산, 키토산석신아마이드, 비타민 E(토코페롤), 우레아, 하이드록시에틸우레아, 글루코사이드류, 감마 PGA, 자일리틸글루코사이드, 자일리톨,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소듐콘드로이틴설페이트, 콘드로이틴-4-설페이트, 아텔로콜라겐, 베타 글루칸, PEG, 피리독신트리스-헥실데카노에이트, 포타슘피씨에이, 소듐폴리감마-글루타메이트, 폴리글루타민산, 글리세릴폴리아크릴레이트, 갈락토아라비난, 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비스-피이지-18메틸에테르디메틸실란, 비스-에톡시디글라이콜석시네이트, 레시틴,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글라이코실트레할로스,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타치하이드롤리세이트, 1,2-헥산디올, 만니톨, 알지닌, 세린, 수크로오스, 피씨에이, 시트룰린, 글라이코젠, 히스티딘에이치씨엘, 알라닌, 트레오닌, 글루타민산, 라이신에이치씨엘, 포스페이트버퍼드셀라인, 크레아틴, 콜레스테릴이소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클로라이드, 콜레스테릴노나노에이트, 비에이치티,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마이드라이신, 말토덱스트린, 폴리쿼터늄-39, 콜레칼시페롤피이지-12에테르,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소르비톨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섬유의 보습, 주름 방지 및 회복, 정전기방지, 유연, 수분과의 작용에 의한 보온, 보냉 특성을 나타내는 당류는 단당류로 2탄당 내지 6탄당의 글리코알데히드, 글리세라알데히드, 디하이드로아세톤, 에리드로스, 에리드루로스, 리보우스,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리부로스, 자일루오스, 포도당, 과당, 갈락토오스, 만노우스 및 이당류인 슈크로오스, 말토스, 락토스, 트레할로스, 멜리비오스, 셀로비오스 및 다당류인 라피노우스, 멜레지토우스, 말토리오스스타치오스, 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자이란, 아라반, 전분, 녹말, 덱스트린, 글리코겐, 셀룰로오스, 프록탄, 갈락탄, 만난 및 복합 다당류인 한천, 알긴, 카라기난, 키틴, 헤미셀룰로오스, 팩틴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섬유 노화를 방지하는 항산화 성분은 동, 식물, 광물 등의 천연물 유래 추출물, 발효 추출물,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백질 등과 같이 산화작용으로 손상된 피부 기능과 구조가 파괴되고 소진되는 현상을 상당 정도 감소시키거나 예방하는 능력을 갖는 항산화 작용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아세트아미도카프로산(acetamidocaproic acid), 아세틸 벤조일옥시 프라스테론(acetyl benzoyloxy prasterone), 아세틸 시스테인(acetyl cysteine), 2-아세틸하이드로퀴논(2-acetylhydroquinone), 아다만타닐카르보사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마이드(adamantanylcarboxamido hydroxylbenzamide), 아미노에탄설핀산(aminoethanesulfinic acid), 아미노프로필 아스코빌 포스페이트(aminopropyl ascorbyl phosphate), 안고로사이드 C(angoroside C), 안세린(anserine), 어파제닌(apigenin), 알부틴(arbutin), 알파-알부틴(alpha-albutin),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벤조쿠안아민(benzoquanamine), BHA(butylhydroxyanisol), BHT(Butylated Hydroxy Toluene), 비스-하이드록시에틸토코페릴석시노일아미도하이드록시프로판(bis-hydroxyethyl tocopherylsuccinoylamido hydroxypropane), 비스-테트라메틸 하이드록시피레리디닐 세바케이트(bis-(tetramethyl hydroxypiperidinyl) sebacate), 부틸레이티드 크실레놀(butylated xylenol), t-부틸베즈아마이도 하이드록시벤자마이드(t-butylbenzamido hydroxylbenzamide), 4-부틸레조시놀(4-butylresorcinol), 카페인산(caffeic acid), 아스코르빈산칼슘(calcium ascorbate), 카르노스산(carnosic acid), 카로티노이드(carotenoids), 키토산 아스코르베이트(chitosan ascorbate), 클로로젠산(chlorogenic acid), 코발트 디엔에이(cobalt DNA), 쿠퍼 ATP(copper adenosine triphosphate), 쿠퍼 피리독살 5-포스페이트(copper pyridoxal 5-phosphate), 커큐민(curcumin), 시스테인(cysteine), 시스테인 하이드로클로라이드(cysteine HCl), 데카펩타이드-6(decapeptide-6), 데카펩타이드-7(decapeptide-7), 데쿠시놀(decursinol), 데실 머캡토메틸이미다졸(decyl mercaptomethylimidazole), 디아밀하이드로퀴논(diamylhydroquinone), 디-t-부틸하이드로퀴논(di-t-butylhydroquinone), 디세틸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cetyl thiodipropionate), 디사이클로펜타디엔/t-부틸크레솔 코폴리머(dicyclopentadiene/t-butylcresol copolymer), 디갈로일 트리올레이트(digalloyl trioleate), 디이소옥틸 세바케이트(diisooctyl sebacate),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lauryl thiodipropionate), 디메톡시벤즈아미도 페닐하이드록실아세타마이드(dimethoxybenzamido phenylhydroxylacetamide, 디메톡시 디-p-크레졸(dimethoxy di-p-cresol), 디메틸메톡시 크로만올(dimethylmethoxy chromanol), 디미리스틸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myristyl thiodipropionate), 디올레일 토코페릴 메틸실란올(dioleyl tocopheryl methylsilanol), 디오스민(diosmine), 디레티닐 에테르(diretinyl ether), 디쇼듐 아스코빌 설페이트(disodium ascorbyl sulfate),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stearyl thiodipropionate), 디트리데실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tridecyl thiodipropionate), 도데실 갈레이트(dodecyl gallate), 두날리엘라 바다윌(dunaliella bardawil) 분말, 엘라그산(ellagic acid),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에르고티오네인(ergothioneine), 비파나무 잎 원형질체(eriobotrya japonica leaf protoplasts), 에리소프빈산(erythorbic acid), 에틸비스이미노메틸구아이아콜 망가니스 클로라이드(ethylbisiminomethylguaiacol manganese chloride), 에틸 페룰레이트(ethyl ferulate), 에틸헥실 페룰레이트 (ethylhexyl ferulate), 페눌산(ferulic acid), 페룰로일 소이 글리세라이드(feruloyl soy glycerides), 퍼퍼릴 팔미테이트(furfuryl palmitate), 게니스테인 글루코사이드(genistein glucoside), 은행 잎 테르페노이드(ginkgo leaf terpenoids), 글루코실루틴(glucosylrutin), 글리세릴 크로모닐 에테르(glyceryl chromonyl ether), 글리세릴 디 페룰레이트(glyceryl diferulate), 헤스페레틴(hesperetin), 헥실록시 트리메틸페놀(hexyloxy trimethylphenol), 호노키올(honokiol), 하이드롤라이즈드 프로안토시아니딘(hydrolyzed proanthocyanidin),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p-하이드록시아니솔(p-hydroxyanisole), 하이드록시데실 유비키논(hydroxydecyl ubiquinone), 하이드록시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hydroxylamine HCl), 하이드록시아민 설페이트(hydroxylamine sulfate), 하이드록시페닐 디하이드록시벤즈아마이드(hydroxyphenyl dihydroxybenzamide), 이노시놀 헥사나이아시네이트 헥사아스코베이트(inositol hexaniacinate hexaascorbate), 이소옥틸 카프리레이트/카프레이트(isooctyl caprylate/caprate), 이소옥틸 티오글리콜레이트(isooctyl thioglycolate), 이소퀘르시트린(isoquercitrin), 캠프페롤(kaempferol), 코직산(kojic acid), 코질 글루코사이드(kojyl glucoside),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kojyl methylenedioxycinnamate), 홍차 추출물(kou-cha ekisu), 리코펜(lycopene),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마그네슘 아스코베이트(magnesium ascorbate), 마그놀롤(magnolol), 망가네이즈 ATP(manganese adenosine triphosphate), 마트린(matrine), 멜라토닌(melatonin), 메톡시 PEG-7 아스코빈산(methoxy PEG-7 ascorbic acid), 메톡시트리메틸페닐 디하이드록시페닐 프로판올(methoxytrimethylphenyl dihydroxyphenyl propanol), 메틸-디-t-부틸 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methyl di-t-butyl hydroxyhydrocinnamate), 메틸렌 디-t-부틸크레솔(methylene di-t-butylcresol), 메틸-메타크릴레이트/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메타아클리레이트 크로스폴리머(methyl methacrylate/trimethoxysilylpropyl methacrylate crosspolymer), 메틸 미리스트산(methyl myristic acid), 니아신아마이드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niacinamide hydroxybenzoate), 닉토플로린(nictoflorin), 노르디하이드로구아이아레트산(nordihydroguaiaretic acid), 옥타니코티노일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octanicotinoyl epigallocatechin gallate), 옥타펩타이드-4(octapeptide-4), 올리고펩타이드-28(oligopeptide-28), 패오놀(paeonol), 팔마틴(palmatine), PEG/PPG-2/5 토코페릴 에테르(PEG/PPG-2/5 tocopheryl ether), 페리릴 알코올(perillyl alcohol), 페네틸 카페이트(phenethyl caffeate), 페닐에틸 레조르시놀(phenylethyl resorcinol), 페닐티오글리콜산(phenylthioglycolic acid), 플로레틴(phloretin), 플로로글루시놀(phloroglucinol), 피세아타놀 (piceatannol), 피퍼롱구미닌(piperlonguminine), 포피리듐 폴리사카라이드(porphyridium polysaccharide), 포타슘 아스코빌 토코페릴 포스페이트(potassium ascorbyl tocopheryl phosphate), 포타슘 설파이트(potassium sulfite), PPG-2 토코페레스-5(PPG-2 tocophereth-5), 프로필 갈레이트(propyl gallate), 프로토카테추이칼데하이드(protocatechuicaldehyde), 푸에라린(puerarin), 피리독신 하이드로벤조에이트(pyridoxine hydroxybenzoate), 피리딜옥사이드 t-부틸니트론(phridyloxide t-butylnitrone), 퀘세틴(quercetin), 레사케토페논(resacetophenone), 레조르시놀(resorcinol),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레티닐 포르밀 아스파라메이트(retinyl formyl aspartamate),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 루틴(rutin), 루티닐 숙시네이트(rutinyl succinate), 녹차 추출물(ryoku-cha ekisu), 살나세딘(salnacedin), 소듐 아스코베이트(sodium ascorbate), 소듐 설파이트(sodium sulfite), 소듐 토코페릴 포스페이트(sodium tocopheryl phosphate), 소듐 에시쏘베이트(sodium erythorbate), 소듐 포스포노-피리독시리데네르호다닌(sodium phosphono-pyridoxylidenerhodanine), 서듐 티오글리코레이트(sodium thioglycolate), 소듐 징크 히스티딘 디티오옥타아마이드(sodium zinc histidine dithiooctanamide), 소프비틸 퍼퍼랄(sorbityl furfural), 스테아릴 갈레이트(stearyl gallate), 숙시노일 아스코베이트 펜타펩타이드-6(succinoyl ascorbate pentapeptide-6), 탄제리틴(tangeritin), TBHQ(tert-butylhydroquinone]), 테트라부틸 에틸리딘비스페놀(tetrabutyl ethylidinebisphenol), 테트라하이드로디메톡시페룰로일메탄(tetrahydrodemethoxydiferuloylmethane),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 디아세테이트(tetrahydrocurcumin diacetate), 테트라하이드로디페러로일메탄(tetrahydrodiferuloylmethane), 테트라메틸부틸 디하이드록시벤즈아마이드(tetramethylbutyl dihydroxybenzamide), 테트라메틸크로만올 글루코사이드(tetramethylchromanol glucoside), 티옥산(thioctic acid), 티오디글리콜(thiodiglycol), 티오락틱산(thiolactic acid), 티오살리실산(thiosalicylic acid), 티오아우린(thioaurine), 티몰 트리메톡시신나메이트(thymol trimethoxycinnamate), 토코사이스테아마이드(tococysteamide), 토코페레쓰-5(tocophereth-5), 토코페롤(tocopherol), 토코페르솔란(tocophersolan),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토코퀴논(tocoquinone), 톨루엔(toluene), o-톨릴 비구아나이드(o-tolyl biguanide), 토타롤(totarol), 트리프로필렌 글리콜(triprophylene glycol), 트리스- BHT 메시틸렌(tris-BHT mesitylene),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tris(nonylphenyl)phosphate), 트리소듐 아스코빌 이소팔미테이트 포스페이트(trisodium ascorbyl isopalmitate phosphate), 티로실 히스디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tyrosyl histidine HCl), 유비퀴놀(ubiquinol), 유비퀴논(ubiquinone), 참갈파래 분말(ulva lactuca powder), 우롱차 추출물(uuron-cha ekisu), 크실릴 디부틸벤조퓨라논(xylyl dibutylbenzofuranone), 징크 ATP(zinc adenosine triphosphate), 징크 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zinc dibutyldithiocarbamate), 징크 프럭토스 디포스페이트(zinc fructose diphosphate), 징크 피리독살 5-포스페이트(zinc pyridoxal 5-phosphate)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섬유의 광손상 방지 및 색상 유지 기능을 갖는 주요 성분인 자외선 차단 성분은 p-아미노벤조익산 유도체, 계피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벤조페논 유도체 등의 자외선 흡수제, 산화 티탄, 산화 아연 등의 자외선 산란제, 셀룰로오스계, PVP/알파 올레핀계 중합체, 아크릴산 중합체, 실리콘 수지, 불소 변성 실리콘 수지 등의 수지류, 고분자 피막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제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신나민산, 글리세릴 파바, 드로메트리졸, 디갈롤트리올리에이트, 3,(4-메틸벤질리덴)캄파,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벤조페논-3, 벤조페논-4, 벤조페논-8, 부틸메톡시벤조일메탄, 시녹세이트, 아데닌리보사이드, 옥토크릴렌, 옥틸디메틸파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옥틸트리아존, 파라아미노안식향산, 2-벤즈이미다졸-5-설폰산, 호모살레이트, 징크옥사이드, 티타늄디옥사이드,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디소듐페닐디벤지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아모디-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디에틸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폴리실리콘-15(디메치코디에틸벤잘말로네이트),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일테트라메틸부틸페놀, 테레프탈리덴디캄포설폰산 및 이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섬유 케어 성분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50 중량부, 0.001 내지 30 중량부, 0.01 내지 10 중량부 또는 0.1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의 함량이 0.0001 중량부 미만이면 효과적인 성능 발휘 한계의 문제가 있고,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형화 및 제형 안정화에 문제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섬유 케어 성분은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 히드록실기, 포스페이트기 또는 아민기를 포함함으로써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과의 반응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섬유 케어 성분은 섬유 표면의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를 갖거나 또는 섬유 표면의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백질 잔기와 공유 결합하는 관능기는 카르보디이미드, 이미도에스터, 아릴아자이드, 디아지린, 하이드록시메틸 포스핀, 펜타플루오로페닐에스터, 피리딜 디설파이드, 설포-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알콕시 아민, 하이드라자이드, 할로아세틸, 아자이드, 카보네이트, 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 아지리딘, 이소시아네이트, 티오시아네이트, 에폭사이드, 트레실레이트, 숙신이미드, 하이드록시숙신이미딜 에스테르, 이미다졸, 옥시카보닐 아미다졸, 이민, 티올, 말레이미드, 비닐설폰, 에틸렌이민, 티오에테르,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디설파이드 및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관능기는 아미노산의 티올(thiol), 하이드록실(hydroxyl), 카르복실(carboxyl), 포스페이트(Phosphate) 또는 아민(amine)의 반응성 잔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케어용 조성물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로, 카르복실기를 갖는 섬유 케어 성분을 직접 반응성을 갖는 반응성 에스테르 섬유 케어 성분 형태로 만들어 주거나, 섬유에 존재하는 아미노산(ex,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을 반응성 에스테르화시켜 아민기를 포함하는 섬유 케어 성분이 표적화할 수 있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사용하여 반응성을 갖는 에스테르 형태(반응성 섬유 케어 성분)를 만들어서 반응 효율을 증대시킴으로써 그 효과를 확연히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기타 다른 아미노산을 표적하거나 상기 카르보디이미드 반응을 강화시켜주는 카르보디이미드, 이미도에스터, 아릴아자이드, 디아지린, 하이드록시메틸 포스핀, 펜타플루오로페닐에스터, 피리딜 디설파이드, 설포-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알콕시 아민, 하이드라자이드, 할로아세틸, 아자이드와 같은 관능기를 분자 내에 포함하는 섬유 케어 성분을 사용하여 그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카르복실기를 갖는 섬유 케어 성분 분자 또는 모발의 단백질 표면에 먼저 화학식 1의 고분자 형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1차 반응하여 반응성 에스테르를 형성하고, 형성된 반응성 에스테르 관능기에 다시 아민을 분자 내에 갖는 섬유 케어 성분을 반응시키거나, 섬유 표면의 아민과 반응시킴으로써 우수한 섬유 케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반응 시에는 바람직하게 pH 2 내지 10의 조건에서 반응이 가능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3 내지 9에서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pH 4 내지 6.5 정도의 산성 내지 약산성 수용액 상에서 반응하는 것이 가장 반응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반응은 1분 내지 30분 이내 완결된다.
하기 반응식 1에서 카르복실기를 갖는 섬유 케어 성분 분자가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과 1차 반응하여 반응성 에스테르를 형성하고 뒤이어 아민 잔기와 반응하여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반응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반응식 1]
Figure 112015083365465-pat00008
하기 반응식 2에서 섬유의 표면의 카르복실기와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이 1차 반응하여 반응성 에스테르를 형성하고 뒤이어 아민 잔기를 갖는 섬유 케어 성분과 반응하여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반응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반응식 2]
Figure 112015083365465-pat00009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에 의해 섬유 내 반응 잔기와 섬유 케어 성분의 반응 효율을 증대시켜 섬유에 결합된 반응성 섬유 케어 성분은 세제나 비누 등으로 인한 일반적인 세정 시에 잘 떨어져 나오지 않으며 거의 영구적으로 섬유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섬유 케어 성분에 카르보디이미드기, 이미도에스터, 아릴아자이드, 디아지린, 하이드록시메틸 포스핀, 펜타플루오로페닐에스터, 피리딜 디설파이드, 설포-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알콕시 아민, 하이드라자이드, 할로아세틸, 아자이드, 카보네이트, 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 아지리딘, 이소시아네이트, 티오시아네이트, 에폭사이드, 트레실레이트, 숙신이미드, 하이드록시숙신이미딜 에스테르, 이미다졸, 옥시카보닐 아미다졸, 이민, 티올, 말레이미드, 비닐설폰, 에틸렌이민, 티오에테르,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산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디설파이드 및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백질과 공유결합하는 관능기가 결합된 반응성 섬유 케어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응식 1에서와 같이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1차 반응시켜 생성된 카르보디이미드기가 결합된 섬유 케어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응성 섬유 케어 성분을 포함하는 섬유 케어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케어용 조성물에 있어 부수적으로 효과 증대를 위하여 팔미틱산(palmitic acid), 스테아릭산(stearic acid) 등의 지방산, 지방알콜, 직쇄와 분기쇄의 장쇄 알킬 4급 암모늄염 등의 양이온화 계면활성제,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양이온화 구아, 양이온화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양이온화 폴리머, 실리콘 등과 혼용하면 제제화가 용이해 질 수 있다. 또한, 제형화를 위하여 용제, 계면활성제, 증점제, 안정화제, 방부제, 착색제, pH 조절제, 금속이온 봉쇄제, 착색제, 펄화제, 외관개선제, 안료, 분체입자 등의 제제화를 위한 성분들을 부수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제화를 위한 성분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5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케어용 조성물은 관능기를 가지는 섬유 케어 기능의 성분을 포함하여 섬유 케어용 조성물의 처방에 이용될 수 있다. 섬유 제품의 적용 예로는 일반적으로 섬유 유연제, 액상 세제, 분말 세제, 시트형 세제, 섬유 염색제, 섬유트리트먼트, 섬유린스, 표백제, 부분오염처리제, 섬유 스타일링제, 다림질보조제, 의류 보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케어용 조성물은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면서 동시에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섬유 케어 성분을 포함하게 되고, 위의 제제가 수계에서 활성이 저하되는 경우에는, 비수계 제형에서 그 활성을 유지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며, 사용 직전에 pH 조절을 위하여 완충액(buffer)과 혼합하거나, 세정 과정에서 물과 접촉하는 방법으로 반응이 일어나도록 할 수도 있다. 비수계 제형의 예로는 통상의 비수계 제제로서 사용되는 액상형, 시트형, 분말 분체형, 정제형, 오일, 왁스, 앰플, 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과 섬유 케어 성분을 캡슐화 형태의 단일제 또는 각각 분리된 형태의 2제로 제형화할 수 있다. 또한, 캡슐화를 통해 반응성을 가지는 관능기와 섬유 케어 기능을 갖는 성분이 결합된 형태의 유도체를 수분으로부터 차단하는 방법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케어용 조성물에서 섬유 케어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디옥틸 석시네이트, 디옥틸 아디페이트, 디에틸 세바케이트 등과 같은 2-염기산 에스텔유와 폴리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부타네디올 및 그들의 이성체, 글리세롤, 벤질 알코올, 에톡시디글리콜 및 그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용제는 섬유의 침투성을 증가시키며 난용성 물질의 용제로서 이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관능기를 가지는 섬유 케어 성분의 활성 유지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제는 디에틸 세바케이트, 에톡시글리콜, 비스-에톡시글리콜 시클로헥산 1,4-디카복실레이트 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6 및 실시예 1~3: 섬유세제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과 함량으로 일반적으로 액상 세탁세제에 정전기 방지 성분으로 사용되는 Stearylamidopropyl Amine, 섬유 유연 성분으로 사용되는 Amodimethicone, 소취 성분으로 사용되는 mono-(6-ethanediamine-6-deoxy)-beta-cyclodextrin을 함유하면서 카르보디이미드계 폴리머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 내지 3 및 카르보디이미드계 폴리머로 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를 포함하는 비교예 4 내지 6 및 본 발명의 카르보디 이미드계폴리머인 1,1'- methylene-bis-(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폴리머를 포함하는 실시예 1내지 3의 섬유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6083346230-pat00016

삭제
삭제
실험예 1: 정전기 방지, 유연, 소치 효과 확인
상기 비교예 1~6 및 실시예 1~3의 세제 조성물로 가로 X 세로 각각 5cm X 5cm의 표준 울포를 각각 10회 세탁하여 표면 개질을 유도하고 각각의 울포를 세정 계면활성제인 소듐라우릴에틸설페이트 15% 용액으로 3회 세정하여 공유결합이 형성되지 못하고 단순 흡착된 정전기 방지, 유연, 소취 성분을 제거한 후 처리된 울포를 이용하여 정전기 측정장치, 유연 및 소취 특성(관능 평가, 5점 척도[5점: 매우 우수, 4점: 약간 우수, 3점: 보통, 2점 약간 나쁨, 1점 매우 나쁨], n=30)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표시하였다.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정전기 방지율(%) 10.2 - - 38.6 - - 52.4 - -
유연효과(감성, 5점척도) - 2.7 - - 3.9 - - 4.3 -
소취(관능, 5점척도) - - 2.5 - - 3.9 - - 4.5
상기 표 2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1~3은 정전기 방지, 유연, 소취 효과 면에서 비교예 1~6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제제예 1: 세탁 세제 제조
일반적인 섬유 세제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 표 3의 세탁세제를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
Water 54.1
Lauryl Sulfate 20.0
Laurylalcohol Ethoxylate(12mole) 7.00
Lauric Acid 4.0
Sodiumtriphosphate 10.0
0.9
Stearylamidopropyl Amine 1.0
Amodimethicone 1.0
mono-(6-ethanediamine-6-deoxy)-beta-cyclodextrin 1.0
1,1'- methylene-bis-(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0
합계 100.0
제제예 2: 섬유 유연제 제조
일반적인 섬유 유연제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 표 4의 세탁유연제를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
Water 88
이소스테아릴아민 0.5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5.0
Stearylamidopropyl Amine 1.0
Amodimethicone 1.0
mono-(6-ethanediamine-6-deoxy)-beta-cyclodextrin 1.0
1,1'- methylene-bis-(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0
에탄올 1.0
방부제, 항균제 적량
적량
합계 100.0

Claims (10)

  1. 삭제
  2.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섬유 케어 성분을 포함하는 섬유 케어용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15083365465-pat00013

    상기 화학식 2에서 A는 하기에 나열된 구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반복 단위 양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모노머를 나타내며, 여기서 두 개의 A는 서로 같은 구조의 호모 폴리머(Homo Polymer) 또는 서로 다른 구조의 헤테로 폴리머(Hetero Polymer)이고, n은 1 내지 1000의 정수이며, m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Figure 112015083365465-pat00014

  3.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섬유 케어 성분을 포함하는 섬유 케어용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112015083365465-pat00015

    상기 화학식 3에서, n은 1 내지 130의 정수이며, m은 1 내지 20의 정수이다.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케어 성분은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 히드록실기, 포스페이트기 또는 아민기를 포함하는 섬유 케어용 조성물.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케어 성분은 솝(비누), 알킬벤젠술포네이트, 알칸술포네이트, 알파올레핀술포네이트, 알파술포지방산에스테르, 알킬설페이트, 알킬에테르설페이트, 알콜에톡실레이트, 알킬페놀에톡실레이트, 지방산알칸올아마이드, 알킬아민옥사이드, 메틸글루카마이드, 알킬폴리글루코시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눔클로라이드,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알킬디메틸벤젠암모늄클로라이드, 에스테르쿼트, 아미노에스테르염, 알킬베타인, 알킬설포베타인, 탄산나트륨, 탄산칼슘, 규산나트륨, 소듐트리포스페이트, 니드로트리아세트산,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제올라이트, 소듐폴리카르복실레이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소듐하이드록시에탄디포스페이트, 소듐퍼보레이트, 소듐퍼카보네이트, 퍼옥사이드, 하이포클로라이트,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 소듐 파라 노나노일옥시벤젠설포네이트, 과탄산나트륨, 과붕산나트륨, 단백질분해효소, 지방분해효소, 전분분해효소, 팩틴분해효소, 셀룰로오스분해효소,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스타치, 셀룰로오스에테르,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린산/폴리옥시에틸렌 테레프타린산 공중합체, 지방산아미드, 지방산알칸올아미드, 아민옥사이드, 스틸벤, 코우마린, 비스벤자졸, 디스티릴바이페닐,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피리딘옥사이드, 향료, 사이클로덱스트린류, 황산나트륨, 실리콘 및 유도체, 알킬아민, 지방알콜, 지방산, 폴리에칠렌,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염화나트륨 및 초산나트륨, 동식물 및 광물 추출물, 폴리머류, 실리콘류, 지방알콜류, 지방산류, 왁스류, 에스테르류, 탄화수소,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비스-에톡시디글라이콜석시네이트,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콜레스테릴이소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노나노에이트, 콜레칼시페롤피이지-12에테르, 알킬아민류, 스테아릴아미도프로필아민, 이소스테아릴프로필아미도아민, 스테아릴아미도아민, 이소스테아릴프로필아미도아민, 메칠에이코사노익아미도프로필아민, 메칠에이코사노익아미도아민, 베헤닐아미도프로필아민, 베헤닐아미도아민, 세라마이드류,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카프릴릴글라이콜, 디글리세린, 에톡시디글라이콜, 프로판디올, 당류, 계면활성제류, 분체 및 염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비타민류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섬유 케어용 조성물.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케어 성분은 섬유 표면의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섬유 케어용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는 이미도에스터, 아릴아자이드, 디아지린, 하이드록시메틸 포스핀, 펜타플루오로페닐에스터, 피리딜 디설파이드, 설포-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알콕시 아민, 하이드라자이드, 할로아세틸, 아자이드, 카보네이트, 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 아지리딘, 이소시아네이트, 티오시아네이트, 에폭사이드, 트레실레이트, 숙신이미드, 하이드록시숙신이미딜 에스테르, 이미다졸, 옥시카보닐 아미다졸, 이민, 티올, 말레이미드, 비닐설폰, 에틸렌이민, 티오에테르,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디설파이드 및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섬유 케어용 조성물.
  8.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부인 섬유 케어용 조성물.
  9.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섬유 케어 성분이 캡슐화된 형태의 단일제로 제형화되거나;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섬유 케어 성분이 각각 분리된 형태의 2제로 제형화된 섬유 케어용 조성물.
  10. 제 2 항 또는 제 3 항의 섬유 케어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섬유 케어 제품.
KR1020150121048A 2015-08-27 2015-08-27 섬유 케어용 조성물 KR101677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048A KR101677006B1 (ko) 2015-08-27 2015-08-27 섬유 케어용 조성물
PCT/KR2016/009505 WO2017034367A2 (ko) 2015-08-27 2016-08-26 표면 개질용 조성물
CN201680046407.5A CN107920973B (zh) 2015-08-27 2016-08-26 表面改性用组合物
US15/753,067 US10799436B2 (en) 2015-08-27 2016-08-26 Composition for surface modification
JP2018506959A JP6873103B2 (ja) 2015-08-27 2016-08-26 表面改質用組成物
EP16839655.4A EP3342395A4 (en) 2015-08-27 2016-08-26 SURFACE MODIFICATION COMPOSITION
HK18113063.5A HK1253915A1 (zh) 2015-08-27 2018-10-12 表面改性用組合物
US16/909,197 US11612552B2 (en) 2015-08-27 2020-06-23 Composition for surface modification
US17/966,148 US20230088314A1 (en) 2015-08-27 2022-10-14 Composition For Surface Modif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048A KR101677006B1 (ko) 2015-08-27 2015-08-27 섬유 케어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319A Division KR102166919B1 (ko) 2016-11-02 2016-11-02 섬유 케어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7006B1 true KR101677006B1 (ko) 2016-11-17

Family

ID=57542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048A KR101677006B1 (ko) 2015-08-27 2015-08-27 섬유 케어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0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8502B2 (en) 2015-12-31 2018-08-28 L'oreal Nail polish compositions
KR102321008B1 (ko) * 2021-05-27 2021-11-03 유세균 수축저항성능을 갖는 속경성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보수공법
KR102379891B1 (ko) * 2020-11-27 2022-03-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효능물질의 전달이 강화된 세정제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7642A (ja) * 1998-04-20 2000-01-11 Nisshinbo Ind Inc 水性ジシクロヘキシルメタンカルボジイミド
KR20020068427A (ko) 2001-02-21 2002-08-27 주식회사 아르테크플러스 향 캡슐과 키토산을 함유한 섬유 유연제
JP2004182731A (ja) 2002-11-29 2004-07-02 L'oreal Sa 長期に持続する化粧特性を毛髪に付与する毛髪の化粧処置方法
KR20150010549A (ko) * 2013-07-18 2015-01-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섬유 케어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7642A (ja) * 1998-04-20 2000-01-11 Nisshinbo Ind Inc 水性ジシクロヘキシルメタンカルボジイミド
KR20020068427A (ko) 2001-02-21 2002-08-27 주식회사 아르테크플러스 향 캡슐과 키토산을 함유한 섬유 유연제
JP2004182731A (ja) 2002-11-29 2004-07-02 L'oreal Sa 長期に持続する化粧特性を毛髪に付与する毛髪の化粧処置方法
KR20150010549A (ko) * 2013-07-18 2015-01-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섬유 케어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8502B2 (en) 2015-12-31 2018-08-28 L'oreal Nail polish compositions
KR102379891B1 (ko) * 2020-11-27 2022-03-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효능물질의 전달이 강화된 세정제 조성물
WO2022114681A1 (ko) * 2020-11-27 2022-06-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효능물질의 전달이 강화된 세정제 조성물
KR102321008B1 (ko) * 2021-05-27 2021-11-03 유세균 수축저항성능을 갖는 속경성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보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2552B2 (en) Composition for surface modification
KR101663055B1 (ko) 피부 표면 개질용 조성물
KR101663053B1 (ko) 모발 표면 개질용 조성물
KR102502512B1 (ko)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WO2008025755A1 (de) Verwendung von n-haltigen heterozyklen in dermokosmetika
KR20150066805A (ko)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7459A (ko)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677006B1 (ko) 섬유 케어용 조성물
KR102166919B1 (ko) 섬유 케어용 조성물
JP2019108303A (ja) 皮膚外用組成物、紫外線吸収剤の機能低下抑制用組成物及び紫外線吸収剤の機能低下抑制方法
KR102006954B1 (ko) 포접 화합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KR20170114539A (ko)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JP2005120286A (ja) 羽毛ケラチン加水分解物またはその塩、及びこれら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並びに羽毛ケラチン加水分解物またはその塩の製造方法
KR20210100975A (ko) 투명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0440B1 (ko)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EP3501488A1 (en) Aqueous silicone polymer compositions
KR102379891B1 (ko) 효능물질의 전달이 강화된 세정제 조성물
DE202021004361U1 (de) Multifunktionelle Mischungen, die mehrere (Bio)-Alkandiole enthalten
US20040151676A1 (en) Hair care agents containing natural oils
EP2057232B1 (en) Aqueous compositions
KR102327526B1 (ko) 표면 개질용 기능성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