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34367A2 - 표면 개질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표면 개질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34367A2
WO2017034367A2 PCT/KR2016/009505 KR2016009505W WO2017034367A2 WO 2017034367 A2 WO2017034367 A2 WO 2017034367A2 KR 2016009505 W KR2016009505 W KR 2016009505W WO 2017034367 A2 WO2017034367 A2 WO 2017034367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air
skin
composition
component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950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7034367A3 (ko
Inventor
손성길
박경란
김동완
김경환
유지희
김영현
이정래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2104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77006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2589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63055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2589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63053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CN201680046407.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7920973B/zh
Priority to US15/753,067 priority patent/US10799436B2/en
Priority to JP2018506959A priority patent/JP6873103B2/ja
Priority to EP16839655.4A priority patent/EP3342395A4/en
Publication of WO2017034367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34367A2/ko
Publication of WO2017034367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34367A3/ko
Priority to HK18113063.5A priority patent/HK1253915A1/zh
Priority to US16/909,197 priority patent/US11612552B2/en
Priority to US17/966,148 priority patent/US20230088314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6Chitin; Chitosa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8Poly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6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 A61K8/898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containing nitrogen, e.g. amodimethicone, trimethyl silyl amodimethicone or dimethicone propyl PG-bet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07Polyethers, e.g. polyalkylene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19Polyamides or polyi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4Involves covalent bonding to the substrat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skin or hair surface modification, and a composition for fiber care.
  • Cosmetics and personal care products for the skin provide cosmetically beneficial conditioning effects for the skin, such as softness, moistness, smoothness and elasticity, or prevent or improve wrinkles, whitening, sunscreen, antioxidants, fragrances, dead skin care, itching, wool Hair growth, acne prevention and antibacterial, body odor suppression, atopy care, pore care, roughness improvement, skin tone improvement, blood circulation improvement and blood flow promotion, active ingredient penetration and retention time improvement, deodorant, deodorant, hair removal, dye and powder
  • the product may have a function such as tattooing, nail care, or bioconjugation, and may further include functions such as cleansing and washing.
  • Various methods for increasing the conditioning effect of such cosmetics and personal care products for the skin have been steadily studied, but even if the condition is excellent in most one-time cases.
  • Human hair cuticles generally consist of flatly overlapping cells (scales). Cuticle cells are attached to the hair from the root to the end of the hair like tiles on the roof. Each cuticle layer is about 0.3-0.5 ⁇ m thick, of which the portion of the cuticle shown is about 5-10 ⁇ m. Cuticles of human hair are generally stacked in five or ten layers. Each cuticle cell in the hair contains a variety of sublamella and cell membranes, such as epicuticle, A-layer, exocuticle, endocuticle, and inner layer. It consists of a cell membrane complex.
  • the outermost epicuticle layer is covered with covalently bound lipids (fatty acids), the most common of which is 18-Methyl Eicosanoic Acid (18-MEA).
  • This layer constitutes the outer ⁇ -layer of the cuticle cell membrane complex and serves as lubrication, friction reduction and hydrophobic surface formation.
  • the hair outside the scalp is called the hair shaft, which varies with the life and length of the hair.
  • the hair shaft which varies with the life and length of the hair.
  • environmental stresses such as drying, ultraviolet rays, seawater, lime powder in the pool.
  • the hairs that surround the outside of the hair shaft will be damaged if they accumulate complexly, even if they are not directly affected by these stresses. Damaged hair is more prone to falling off due to a bulging or partial peeling of the hair. These hairs lose their luster and are not smooth because of the diffuse reflection of light. More damage to the hair can cause the layer of hair to fall completely, exposing the internal cortex and eventually causing the hair to crack or break.
  • fiber care is to give a softening effect to the fiber, to prevent damage caused by light, to prevent the formation of wrinkles of the fiber or to easily remove the formed wrinkles, or to make the original color of the fiber sharp, Maintains original color for a long time, easily removes surface contamination, gives scents, removes odors, prevents antibacterial or insect pests, prevents damage from washing, and prevents rain It means such a function.
  • Fiber care compositions generally include a composition having a beneficial function on the fiber, such as washing, trimming, and pointing for the care of the fiber, and a composition having a beneficial function on the fiber, such as dyeing, bleaching, softening, antimicrobial ultraviolet ray blocking, aroma, and fragrance. It may be.
  • Products formulated with such compositions include products such as detergents, softeners, fiber rinses, treatments, and partial treatments.
  • Typical raw materials used to construct such a fiber care composition include oily materials such as fats and oils, waxes, hydrocarbons, higher fatty acids, higher alcohols, ester oils, silicone oils, anionic, cationic, amphoteric, nonionic surfactants, Polymer compounds used as humectants, thickeners and film-forming agents, UV absorbers and blocking agents, antioxidants, metal ion blockers, ion exchangers, builders, bleaches, enzymes, foam control agents, fluorescent whitening agents, anti-inflammation agents, dyes and pigments Contains coloring material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 oily materials such as fats and oils, waxes, hydrocarbons, higher fatty acids, higher alcohols, ester oils, silicone oils, anionic, cationic, amphoteric, nonionic surfactants, Polymer compounds used as humectants, thickeners and film-forming agents, UV absorbers and blocking agents, antioxidants, metal ion blockers, ion exchanger
  •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4-182731 discloses a cosmetic treatment method for sustaining cosmetic characteristics for a long time on hair similar in composition to skin and wool fibers.
  • the hair is first activated by physical methods such as heat, electromagnetic waves, electric fields, sound waves, and plasma, or chemical methods other than reduction methods to change the surface of the hair before the hair cosmetic treatment.
  • the hair activation process requires high energy such as heat, electromagnetic waves, electric fields, sound waves, and plasma to the hair, and oxidizing agents such as hydrogen peroxide and bromate, which are used as chemically inactive substances except the reduction method, cause serious damage to the hair.
  • oxidizing agents such as hydrogen peroxide and bromate, which are used as chemically inactive substances except the reduction method, cause serious damage to the hair.
  • activation is possible, but these polymers are not activated in the form of covalent bonds to the hair,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y are easily removed by washing.
  •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8-0064467 relates to a non-aqueous personal care product for skin or hair, wherein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covalently bonding to protein residues on the hair or the skin surface in a non-aqueous part is carbonate and aldehyde.
  • a hair or skin personal care product comprising a hair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having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separated into a non-aqueous part and an aqueous part, and used immediately before use, is disclosed.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2-0068427 considered a method of microencapsulating the fragrance while using chitosan, which is an antimicrobial component, in order to impart excellent antimicrobial properties to the fiber and to provide excellent antimicrobial properties.
  • the fragrance capsule since the capsule protects the core material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improves storage stability, the fragrance capsule also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durability of the fragrance, while the fragrance capsule is also washed. Since the process does not remain on the surface of the fiber and is mostly washed away, the capsules remaining in some fibers are limited to provide the effect. Economically, most capsules used are not functioning and are rinsed in rinsing water. You have a problem.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skin surface modification that can continuously give a semi-permanent surface modification effect without damaging the ski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modifying the surface of the hair that can continuously give a semi-permanent surface modification effect without damaging the hai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ber care composition that can continuously give a semi-permanent fiber care effect without damaging the fiber.
  •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rbodiimid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nd a skin modification component, wherein the composition for skin modification comprises:
  • A is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structures listed below, and represents a monomer having an isocyanate (*) group at both ends of the repeating unit, wherein two A are homopolymers of the same structure or different Hetero polymer of the structure (R), R is hydrogen; Or straight or branched chain or cyclic hydrocarbon having 1 to 500 carbon atoms; Or a benzene cyclic hydrocarbon; wherein a portion of the hydrocarbon molecule includes a double bond;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 N, S, P and Si is in substituted form; Substituted in anionic, cation, amphoteric form; Or a structure in which metal ions are bound in salt form, m being an integer from 1 to 100.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kin care product comprising the composition for skin surface modifica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rbodiimid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nd a hair modification component, wherein the composition for hair modification comprises:
  • A is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structures listed below, and represents a monomer having an isocyanate (*) group at both ends of the repeating unit, wherein two A are homopolymers of the same structure or different Hetero polymer of the structure (R), R is hydrogen; Or straight or branched chain or cyclic hydrocarbon having 1 to 500 carbon atoms; Or a benzene cyclic hydrocarbon; wherein a portion of the hydrocarbon molecule includes a double bond;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 N, S, P and Si is in substituted form; Substituted in anionic, cation, amphoteric form; Or a structure in which metal ions are bound in salt form, m being an integer from 1 to 100.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ir care product comprising the composition for modifying the hair surface.
  •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rbodiimid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nd a fiber care component comprising:
  • A is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structures listed below, and represents a monomer having an isocyanate (*) group at both ends of the repeating unit, wherein two A are homopolymers of the same structure or different Hetero polymer of the structure (R), R is hydrogen; Or straight or branched chain or cyclic hydrocarbon having 1 to 500 carbon atoms; Or a benzene cyclic hydrocarbon; wherein a portion of the hydrocarbon molecule includes a double bond;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 N, S, P and Si is in substituted form; Substituted in anionic, cation, amphoteric form; Or a structure in which metal ions are bound in salt form, m being an integer from 1 to 100.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ber care product comprising the fiber care composition.
  • the surface modificatio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reactive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or reactive fiber care component) and / or a specific carbodiimide-based compound incorporating a specific functional group capable of covalently bonding with protein residues of skin, hair or fiber. It forms covalent bonds without damaging the skin, hair or fibers to provide semi-permanent skin or hair surface modification effects or fiber care effect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face modification composition
  • a surface modification composition comprising a carbodiimide compound and a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 the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is a skin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a hair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or a fiber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fiber care component).
  • skin refers to the tissue surrounding the body and generally includes facial skin, scalp, body skin, nails, and the like, which are appendages of the skin.
  • the skin surface modificatio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xample, by reacting a carbodiimide-based compound with a known skin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through a reactive skin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having a carbodiimide group, which is shared with skin proteins without skin damage. By forming a bond, the skin surface modification effect can be maximized.
  • the hair surface modificatio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by reacting a carbodiimide-based compound to a known hair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to form a covalent bond with a protein of the hair via a reactive hair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having a carbodiimide group bonded thereto. This can maximize the hair surface modification effect.
  • the fiber surface modification composition (fiber care composition) for example, by reacting a carbodiimide-based compound to a known fiber care component through a reactive fiber care component bonded to a carbodiimide group, the protein of the fiber By forming a covalent bond with the fiber care effect can be maximized.
  • the carbodiimide-based compound is a generic term for a compound containing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in a molecule:
  • m is an integer of 1 to 100
  • A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structures listed below, and represents a monomer having an isocyanate (*) group at both ends of the repeating unit, wherein two A's of the same structure Homo Polymer or Hetero Polymer of different structure, R is hydrogen; Or straight chain, branched or cyclic hydrocarbons having 1 to 500 carbon atoms; Or a benzene cyclic hydrocarbon; wherein a portion of the hydrocarbon molecule includes a double bond;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 N, S, P and Si is in substituted form; Substituted in anionic, cation, amphoteric form; Or it may include a structure in which the metal ion is bonded in the form of a sal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yclic hydrocarbon may include a structure including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 N and Si in the ring and / or a structure including a double bond.
  • One example of the preferred carbodiimide-based polymer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arbodiimide-based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in which the end of the polymer is blocked with polyethylene glycol or polypropylene glycol.
  • A is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structures listed below, and represents a monomer having an isocyanate (*) group at both ends of the repeating unit, wherein two As are homopolymers of the same structure or different structures.
  • an example of a more preferable carbodiimide polymer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arbodiimid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3).
  • n is an integer of less than 1 to 120 (preferably an integer of less than 1 to 100, more preferably an integer of less than 1 to 70), m is an integer of less than 1 to 100 (preferably 1 To an integer less than or equal to 30, more preferably an integer less than or equal to 1 to 10).
  • an example of the most preferred carbodiimide-based polymer in the present invention is 1,1'-methylene-bis- (3-isocyane, wherein m is 1 to 7 and n is 5 to 50 in the general formula (3). I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 (1,1'-methylene-bis- (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have.
  • carbodiimide-based compounds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1,1'-methylene-bis- (4-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 (1, 1'-methylene-bis- (4-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1'- methylene-bis- (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1'-methylene-bis- (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1'- methylene-bis- (4-isocyanatocyclohept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 (1,1'-methylene-bis- (4-isocyanatocyclohex
  • the carbodiimide compound may be used in an amount of 0.0001 to 10 parts by weight, 0.001 to 7 parts by weight, or 0.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cosmetic composition. If the content thereof is less than 0.0001 parts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how a continuous surface modification effect, and if it exceeds 10 parts by weight, the carbodiimide compound that is excessively present beyond the reaction site present on the skin does not react with the ski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act as a component that does not help to improve the sustainability by reacting with.
  • 'skin surface modification' is to change the properties of the skin surface by applying to the skin, coating the skin or bonding an effective material to remove the dead skin and prevent the keratin to improve the roughness of the skin surface Beautify and attract skin by giving it beneficial properties such as improving blood circulation or promoting blood flow, making skin look brighter (improving skin tone), or providing beneficial properties such as nourishing the skin, scalp and nourishment, and giving conditioning benefits such as elasticity, softness or smoothness Increase the number of people, change the appearance, give fragrance or suppress body odor, prevent or improve skin problems such as itching or atopic dermatitis, promote hair growth, prevent acne, shrink pores, active ingredients Promotes penetration, improves retention time, moisturizes the skin, It can be used in a similar way to the coating, spraying, and other skin them to act in a block that maintain healthy skin.
  • Skin surface modification effects include, for example, improving skin wrinkles, increasing skin moisturizing power, nourishing skin, maintaining skin moisture homeostasis, removing and reducing skin exfoliation, preventing skin problems, preventing skin aging, skin antioxidants, preventing scalp dandruff, skin It may exhibit effects such as promoting blood circulation, improving skin luster and elasticity, and preventing skin roughness and cracking.
  • 'hair surface modification' refers to changing the properties of the hair surface by applying it to the hair, coating the hair or bonding an effective material to change the properties of the hair surface to make the hair appear thick or cracked. Impairs damaged hair, prevents cracking, prevents breaks, strengthens tensile strength, increases thickness, enriches hair, provides nutrition, increases elasticity, increases gloss, moisturizes, prevents damage, recovers damage, dyes, discolors, styling, reduces friction, perm, chlorine Beautify and attract hair by providing beneficial properties such as removal, salt removal, antistatic, porosity reduction, volume, frizz reduction, strengthening curls, film and film formation, and giving conditioning benefits such as softness, calmness or smoothness To increase the appearance of hair, change the appearance of hair, moisturize the hair, or block UV rays.
  • Hair surface modification effects may include, for example, antioxidant, conditioning, moisturizing, sun protection, fragrance, dyes, powders, bioconjugation, antibacterial and dandruff prevention and improvement, wool, hair growth, hair growth, and the like. It doesn't work.
  • the 'fiber care effect' is to impart a softening effect to the fiber, to prevent damage by light, to suppress the formation of wrinkles of the fiber or to easily remove the formed wrinkles, or to the original color of the fiber Clarify the color, keep the original color for a long time, dye the fiber, make it easy to remove surface contamination, give a scent, remove odor, antibacterial or insect repellent, It does not prevent damage, prevent the ingress of rain, etc., strengthen the penetration into the fiber, make ironing easier, dry faster, make the fiber look glossy, make the fiber elastic, or contaminate it easily.
  • Prevent prevent static electricity, strengthen the fiber, thicken the fiber, form a coating on the surface of the fiber, or moisturize Provide enhanced heat and cold insulation, prevent oxidation, block UV light, promote penetration of active ingredients into fibers, improve retention times of active ingredients, reduce fluff occurrence, or tangle fibers. Prevents, or is skin-friendly.
  • the 'skin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includes an antioxidant component; Conditioning ingredients (skin hydration, radiance); Moisturizing ingredients; Whitening ingredients; Sunscreen ingredients; Fragrance component; Anti-wrinkle or improve ingredients; Keratin care ingredients; Dandruff, itching prevention or improvement component; Wool or hair growth promoting ingredients; Anti-acne or antibacterial ingredients; Body odor inhibiting ingredients; Atopy care ingredients; Pore care ingredients; Hair removal components; dyes; Powder; Nail care ingredients; Or a bioconjugate compon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hair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is an antioxidant component, conditioning (tensile strength, thickness increase, elasticity, shine, moisturizing, damage prevention, damage recovery, crack prevention, breakage reduction, cracking improvement, nutrition, dyeing, bleaching, Styling, friction reduction, perm, chlorine removal, desalination, antistatic, porosity reduction, volume, richness, frizz reduction, curl strengthening, film and film formation, softness, calmness, smoothness), moisturizing ingredients, sun protection ingredients, Flavor component, dye, bioconjugation component, antibacterial component, wool, hair growth or hair growth component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ntioxidant components belonging to the skin modification component or hair modification component are equivalent to the phenomenon of destruction and exhaustion of skin function and structure damaged by oxidation such as extracts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such as copper, plants, minerals, fermented extracts, amino acids, peptides, proteins, etc.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n antioxidant component having the ability to reduce or prevent a degree.
  • acetamidocaproic acid For example, acetamidocaproic acid, acetyl benzoyloxy prasterone, acetyl cysteine, 2-acetylhydroquinone, adamantanylcarbosamido hydride
  • Adamantanylcarboxamido hydroxylbenzamide aminoethanesulfinic acid, aminopropyl ascorbyl phosphate, angoroside C, anserine, apigenin, arbutin arbutin, alpha-albutin, ascorbic acid, asiaticoside, benzoquanamine, BHA (butylhydroxyanisol), BHT (Butylated Hydroxy Toluene) Bis-hydroxyethyl tocopherylsuccinoylamido hydroxypropane, bis-tetramethyl hydroxypyridinyl sebacate (b is- (tetramethyl hydroxypiperidinyl) sebacate), butylated xylen
  • the conditioning component belonging to the skin modification component or hair modification component may include a conditioning action component that can fill a damaged area of the skin or hair, such as extracts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such as copper, plants, minerals, amino acids, peptides, proteins, etc. This is not restrictive.
  • natural extracts amino acids, peptides, proteins, polymers, silicones, fatty alcohols, fatty acids, waxes, esters, fatty amidoamines, hydrocarbons, alkylglyceryl esters, polyhydric alcohols, sugars, interfaces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tive agents, powders and dyes, polyethylene, polypropylene, ceramides, vitamins, alkylamines, alkylamidoamines and derivatives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 Extracts derived from the natural products include seaweed extract, sunflower seed extract, ginseng extract, ginseng extract, rhubarb extract, marigold extract, birch sap, birch extract, flower extract, cheonna extract, bergamot extract, cypress extract, red ginseng extract, gosam Extracts, Produce Extracts, Centella Extracts, Rhubarb Extracts, Red Ginseng Water, Femo Extracts, Lily of the Valley Extract, Cassis Extract, Pomegranate Extract, Lemon Extract, Pine Needle Extract, Green Tea Extract, Brokerage Extract, Honeycomb Extract, Honey Extract, Propolis, Royal Jelly, Cranberry Extracts, berry extracts, lavender extracts, lentils extracts, ginger water extracts, etc., and the protein and peptides, such as cheonjamsil, silk, polylysine, seaweed, wool and hair, proteins and peptides obtained from wheat, etc.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mino acids include glycine, alanine, valine, leucine, isoleucine, threonine, serine, cysteine, cystine, methionine, aspartic acid, asparagine, glutamic acid, diyotyrosine, lysine, arginine, histidine, phenylalanine, tyrosine, tryptophan, proline, oxy Proline,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olymers may use a linear, branched, networked polymer compound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about 1,000 to 1 million, and a double bond or ring structure between these carbons, if necessary. It can also be used when a variety of substituents are included, and -COONa, -COOK, -COOH, -NH 2 , -NHR, -NR 2, -Cl to facilitate the reaction for attaching the bioreactive functional group to any one of the end of the molecule It is preferred to include in the molecule at least one moiety that is reactive to attach a bioreactor such as a -Br, -I, or -F group.
  • a bioreactor such as a -Br, -I, or -F group.
  • the reaction for attaching a bioreactive functional group to any one of the terminal ends of the molecule is -COONa, -COOK, -COOH, -NH 2 , -NHR
  • a bioreactor such as a -NR 2, -Cl, -Br, -I, or -F group can be used.
  • polyamine polymer polycarboxylic acid polymer, methacryloylethyl Betaine / Methacrylate Copolymer, octylacrylamide / acrylate / butylaminoethyl methacrylate copolymer
  • Amphoteric polymers such as Octylacrylamide / Acrylates / Butylaminoethyl Methacrylate Copolymer or Polyvinylpyrrolidone, PVP / VA Copolymer, PIV / 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copolymer
  • Nonionic polymers such as (PVP / 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Copolymer) and acrylate methacrylate copolymers, such as VA / Crotonates / Vinyl Neodecanoate Copolymers Anionic polymer,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silicones examples include dimethicone, trimethicone, phenyl amodimethicone, amodimethicone, amodiphenyltrimethicone, amodi-penta phenyltrimethicone, dimethylpolysiloxane, methylphenylpolysiloxane, and deca.
  • the fatty alcohols are chain and branched fatty alcohol compounds having about 10 to 50 carbon atoms, for example, lauryl alcohol, cetyl alcohol, stearyl alcohol, isostearyl alcohol, behenyl alcohol, etc. It is not limited.
  • the fatty acid is a chain and branched fatty acid compound having about 10 to 50 carbon atoms, for example, 18-methyl eicosanoic acid, lauric acid, stearic acid, isostearic acid,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waxes may be, for example, candela wax, carnauba wax, rice wax, beeswax, lanolin, ozokerite, ceresin wax, paraffin wax, microcrystalline wax, polyethylene wax,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 the ester oil is, for example, isopropyl myristate, butyl myristate, isopropyl palmitate, ethyl stearate isopropyl linoleate, decyl myristate, cetyl myristate, cetyl palmitate, hydrogenated polyisobutene ( Hydrogenated polyisobutaine)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atty amidoamines are, for example, stearylamidopropylamine, isostearylpropylamidoamine, stearylamidoamine, isostearylpropylamidoamine, methyleicosanoicamidopropylamine, methyleicho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sanoamidoamine, behenylamidopropylamine, behenylamidoamine, and the like.
  • the saccharides are monosaccharides such as glycoaldehyde, glycaraldehyde, dihydroacetone, erythrose, erythrurose, ribose, arabinose, xylose, ribose, xylose, glucose, fructose, Galactose, mannose and disaccharides, sucrose, maltose, lactose, trehalose, melibiose, cellobiose and polysaccharides raffinose, melezitus, maltoliostacciose, oligosaccharides, galactoligosaccharides, isomaltoligosaccharides , Fructooligosaccharides, zara, araban, starch, starch, dextrin, glycogen, cellulose, proktan, galactan, agar and manganese and complex polysaccharides agar, algin, carrageenan, chitin
  • the ceramides are substance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fatty acid is bonded to an amino group of sphingosine, and include natural and synthetic ceramides. Suigomyelin, cerabroside, ganglioside, sphingolipid and derivatives thereof,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moisturizing component belonging to the skin modification component or hair modification component includes a moisturizing component that can fill the damaged area of the skin or hair such as extracts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such as copper, plants, minerals, amino acids, peptides, proteins, sugars, vitamins, and the like.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whitening component belonging to the skin modification component may include a whitening component that can improve the damaged part by melanin pigmentation of the skin, such as extracts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such as copper, plants, minerals, amino acids, hormones, vitamins, etc. This is not restrictive.
  • the UV protection component belonging to the skin modification component or the hair modification component includes ultraviolet absorbers such as p-aminobenzoic acid derivatives, cinnamic acid derivatives, salicylic acid derivatives and benzophenone derivatives, ultraviolet scattering agents such as titanium oxide and zinc oxide, cellulose-based and PVP.
  • Resin such as an alpha olefin type polymer, an acrylic acid polymer, a silicone resin, and a fluorine modified silicone resin, and a polymeric film forming agent can be contained.
  • Examples of the component having an actual UV protection function include, for example, cinnamic acid, glyceryl fava, drrometrisol, digalol trioleate, 3, (4-methylbenzylidene) campa, menthyl anthranilate, and benzophenone-3.
  • Benzophenone-4 benzophenone-8, butylmethoxybenzoylmethane, synoxate, adenine riboside, octocrylene, octyldimethylpava, octylmethoxycinnamate, octylsalicylate, octyltriazone, paraamino Benzoic acid, 2-benzimidazole-5-sulfonic acid, homosalate, zinc oxide, titanium dioxide, isoamyl-p-methoxycinnamate, bisethylhexyloxyphenolmethoxyphenyltriazine, disodiumphenyldibenzimida Soltetrasulfonate, Amodi-Drometrizol Soltrisiloxane, Diethylhexyl Butamidotrione Zone, Polysilicon-15 (Dimethicodiethylbenzalmalonate), Methylenebis-benzotriazolyl
  • the fragrance component belonging to the skin modification component or hair modification component is, for example, aldehydes, phenols, alcohols, ethers, esters, hydrocarbons, ketones, lactones, musks, terpenes having a terpene skeleton, natural A dye, an animal paint, etc. are mentioned.
  • aldehyd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undecylene aldehyde, lauryl aldehyde, aldehyde C-12MNA, miracaldehyde, ⁇ -amylcinnamicaldehyde, cyclamenaldehyde, ethyl vanillin, heliotropin, anise Aldehyde, (alpha)-hexyl cinnamic aldehyde, an octanal, ligustral, a lily, a rial, a triral, vanillin, a helional, etc. are mentioned.
  • Examples of the phenol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eugenol, iso-igenol, and the like.
  • Examples of the alcohol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bakdanol, dihydromirsenol, dihydrolinaloolol, linalool, nerol, santrol, santalex, terpineol, tetrahydrolinalol And phenyl ethyl alcohol.
  • the ethe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but are not limited to, for example, cedramba, grisalva, methyliogenol, methylisoogenenol, and the like.
  • este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is-3-hexenyl acetate, cis-3-hexenyl propionate, cis-3-hexenyl salicylate, p-cresyl acetate, pt -Butylcyclohexyl acetate, amyl acetate, methyldihydrosasmonate, amyl salicylate, benzyl salicylate, benzyl benzoate, benzyl acetate, cedryl acetate, citronellyl acetate, decahydro- ⁇ -naphthyl acetate , Dimethylbenzylcarvinylacetate, erica propionate, ethyl acetate acetate, erica acetate, geranyl acetate, geranyl formate, hedione, linalyl acetate, ⁇ -phenylethyl acetate, hexyl salicylate,
  • hydrocarbon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myrcene and the like.
  • keton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 -ionone, ⁇ -ionone, methyl- ⁇ -naphthyl ketone, ⁇ -damascone, ⁇ -damascone, ⁇ -damascone, cis-jasmon And methyl ionone, allyl ionone, kashumeran, dihydrozasmon, isoi super, bertopix, isonronpophoranone, coabon, rosephenone, raspberry ketone, dynascon and the like.
  • lacton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 -dekaralactone, ⁇ -undecalactone, ⁇ -nonlaclac, ⁇ -dodecaractone, coumarin, anbroxane, and the like.
  • musk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yclopentadecanolide, ethylene brasylate, galactose, muskketone, tonalide, nitro musks, and the like.
  • Examples of the pharmaceutical having the terpene skeleton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geraniol (geraniol), nerol, linalool, citral, citronellol, menthol, mint, citronellal, myrsen , Pinene, limonene, terepineol, carbon, yonon, camphor (camphor), Borneol and the like.
  • Examples of the natural flavo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orange oil, lemon oil, lime oil, pitgrain oil, citron oil, neroli oil, bergamot oil, lavender oil, labandine oil, abies oil, anise oil, Why, boa drose oil, ylang-ylang oil, citronella oil, geranium oil, peppermint oil, peppermint oil, spare mint oil, eucalyptus oil, lemongrass oil, patchouli oil, jasmine oil, rose oil, soda oil, vetiver oil, galbanum oil And essential oils such as oak moss oil, pine oil, camphor oil, sandalwood oil, gingko oil, terepin oil, clove oil, black clove oil, cassia oil, nutmeg oil, canal oil and thyme oil.
  • the animal flavo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for example, civet, mausoleum, dissociation, dragon fragrance,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nti-wrinkle or improvement component belonging to the skin modification componen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extracts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such as copper, plants, minerals, amino acids, hormones, vitamins, and the like.
  • natural products such as copper, plants, minerals, amino acids, hormones, vitamins, and the like.
  • vitamin A retinoid
  • vitamin E tocopherol
  • flavonoids polyphenols
  • SOD Superoxide dismutase
  • coenzyme Q10 alpha-lipoic acid
  • acetylhexapeptide retinol, retinyl palmitate, retinyl acetate
  •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but is not
  • the keratin care component belonging to the skin modification component is alpha hydroxy acid (lactic acid, citric acid, mandelic acid, glycolic acid, tartaric acid, etc.), beta hydroxy acid (salicylic acid), propanoic acid (Propanoic acid), Hydroxypropionic acid (carnitine), retinoid derivatives, vitamin A derivatives, rat bean extract, black soy flour, sugar cane extract, rice husk powder, palm seed powder, nephrite powder, hydrolyzed It may be a cactus flower extract, cheoglycolic acid,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andruff, itching prevention or improvement component belonging to the skin modification component may include extracts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such as copper, plants, minerals, amino acids, hormones, vitamins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hair growth agents including ceramide, glycerin, hyaluronic acid, betaine, chitosan, moisturizing ingredients such as vitamin E (tocopherol), urea, vasodilators, wool, female hormones, hair root activators, and the like.
  • Anti-inflammatory and exfoliating agents anti-inflammatory agents such as di-panthenol, sulfur, resorcin, serine chloride, allantoin, AHA, salicylic acid, astringents, fresheners, vitamins, hormonal antihistamines, sebum inhibitors, Antiseptic agents such as trichlorocarbamide, tocopherol acetate, ginpyrithione, benzalkonium chloride, benzetonium chloride, chlorohexidine, bactericides such as hinochiol, phenol, isopropylmethylphenol, pyridoxine and derivatives thereof , Anti-inflammatory agents such as glycyl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hydrococcione acetate, hydrosuccinate succinate, prednisolone, anti-inflammatory agents such as diphenhydramine chloride, chlorophenylamine maleate, camphor, menthol and others Alanine glutamine, bisabolol, allantoin, coenzyme Q10
  • the hair growth promoting component belonging to the skin modification component or the hair, hair growth or hair growth component belonging to the hair modification component is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such as copper, plants, minerals, extracts of amino acids, peptides, proteins, sugars, vitamins, etc.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hair growth promoting component that can fill the damaged area.
  • medicinal extracts capronium chloride, separanthin, benzyl nicotinate, l-menthol, estradiol, ethynylestradiol, pyridoxine hydrochloride, salicylic acid, resorcin, benzalkonium chloride, benzetonium chloride, iso Propylmethylphenol, pyrotonolamine, klimbazole, pantothenic acid, placenta extract, biotin, mononitroguayacol, photosensitizer, pentadecanoic acid glyceride, glycyrrhetinic acid, potassium or ammonium salt of glycyrrhetinic acid, allantoin, Minoxidil, steroid, estradiol, estrone, hydrocortisone, prednisolone (acetic acid) hydrocortisone, prednisolone, diphenhydramine, diglycisine dipotassi
  • Acne prevention or antibacterial components belonging to the skin modification component is an acne prevention and antibacterial action that can improve the damaged areas by melanin pigmentation of the skin, such as extracts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such as copper, plants, minerals, amino acids, hormones, vitamins, etc. It may include a compon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sebum inhibitors include estradiol, estrone, ethynylestradiol; Sulfur, salicylic acid, resorcin as keratin exfoliating and dissolving agents; Fungicides such as benzalkonium chloride, benzetonium chloride, harockalban, 2,4,4-trichloro-2-hydroxyphenol;
  • the disinfectant for cosmetics include triclosan, trichlorocarbitol, isopropylmethylphenol and pinion;
  • Anti-inflammatory agents such as allantoin, ⁇ -aminocapric acid, glycilic acid, etc. as keratin solubilizers;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keratin solubilizers such as glycolic acid.
  • Examples of the body odor inhibitors belonging to the skin modification component include, for example, chlorohydroxy aluminum, allantoin chlorohydroxyaluminum, allantoindihydroxyaluminum, aluminum compounds such as aluminum chloride, potassium aluminum sulfate, benzetonium chloride and halocarrane.
  • Chlorohexidine hydrochloride zinc oxide, p-phenolsulfonic acid zinc, benzalkonium chloride, triclosan, chiram, bogeolji extract, brown root extract, gilding extract, kill extract, iris extract, ginkgo biloba extract, bark extract, licorice extract,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ewage extract, echochocho extract, machi extract, wood vinegar, bamboo salt, grapefruit extract, green tea extract and peony extract.
  • the atopy care component belonging to the skin modification component such as animals, plants, minerals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such as minerals, fermented extracts, herbal ingredients, vitamins, and so on, such as soothing and regenerating the skin, strengthening immunity, etc. to significantly reduce atopic or skin problems Or atopy or skin trouble care ingredients having the ability to prevent or prevent them.
  • the peptide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wheat peptide, wheat hydrolysis peptide, keratin peptide, keratin hydrolysis peptide, collagen peptide, collagen hydrolysis peptide, and the like.
  • Pore care ingredients belonging to the skin modification component is niacinamide, polyethoxylated retinamide, adenosine, menthol (Menthol), witch hazel, ascorbic acid, kaolin, retinol, grape root extract , Clays, asiaticoside, artichoke leaf extract, glycosyltrehalose, hydrogenated starch hydrolysate, lecithin, tocopherol, charcoal powder,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hair removal component belonging to the skin modification componen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chioglycolic acid, beeswax, narcissus bulb extract, papaya extract, oak bush extract, and the like.
  • the dyes belonging to the skin modification component or the hair modification component are -NO 2 , -N ⁇ N-, C ⁇ O, C ⁇ C, C ⁇ N-, C ⁇ S, -N ⁇ O and -N ⁇ NO as chromophores. It may include one or more atomic group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ye is composed of -OCH 3 , -N (CH 3 ) 2 , -NH (CH 3 ), -NO 2 , -CF 3 , -OH, -OCH 3 , -Cl and -NH 2 as a crude It may include one or more atomic groups selected from the group,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ye may include at least one reacto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ONa, -COOK, -COOH, -NH 2 , -NHR, -NR 2, -Cl, -Br, -I and -F, This is not restrictive.
  • the dye may be a natural dye or synthetic dye used for hair, skin, nails, etc.
  • the natural dye may be purpurin, Munjistin, melanin or melanin precursor, but The synthetic dyes are not limited to, red 3, red 104, red 105, red 201, red 202, red 220, red 227, black 401, red 230, red 231, red 232.
  • Red 401, Red 405, Yellow 4, Yellow 202, Orange 207, Red 106, Red 213, Red 214, Red 215, Yellow 404, Yellow 405, Blue 403 Disperse Blue 1, Disperse Violet 1, Disperse Orange 3, Disperse Black 9, HC Blue 2, HC Red 3, HC Yellow 5 or HC Red 1, Basic Orange 1, Basic O Range 2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Powders belonging to the skin modification components are titanium dioxide, hydroxyapatite, triethoxycaprylylsilane, aluminum hydroxide, zinc oxide, talc, mica, yellow oxide, red iron oxide, black iron oxide, Silica, Acrylate Copolymer, Guanine, Guazulene, Copper Powder, Aluminum Stearate, Suit Stone, Zinc Stearate, Bronze Powder, Gardenia Blue Pigment, Ginger Extract, Gardenia Yellow Pigment, Caramel, Carmine, Carbon, Carbon Black, Capperchlorophyll, henna leaf extract, henna extract, grape powder, grape skin extract, wine extract, grape extract, loess,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nail care component belonging to the skin modification component is mistletoe extract, chickweed leaf / flower / stem extract, dimethyltolylamine, methacryloylethylphosphate, myrrh extract, butyl methacrylate, AMP-isostearoyl hydride It may be a rolled silk, an echiacea root extract, a subzero germ extract, urea peroxide, calcium peroxide, keratin, potassium hydroxide, hydrogen peroxide, hydrolyzed keratin, hydrolyzed collagen, and the like. It is not limited.
  • the bioconjugate component belonging to the skin modification component or the hair modification component may include fibrin, albumin, glucosamine, n-acetyl glucosamine, alginate, hydrogel, growth factor, bioactive factor, hair binder, antimicrobial coating, and the like.
  • the growth factors include, for example, Fibroblast Growth Factor (FGF), Keratinocyte Growth Factor (K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Epidermal Growth Factor (EGF),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AA (PDGF-AA), and PDGF.
  •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AB (AB),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BB (PDGF-BB), Transforming Growth Factor- ⁇ (TGF- ⁇ ), TGF- ⁇ ,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 and Tumor Necrosis Factor ), Granulocyte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 NGF (Nerve Growth Factor), etc.
  • the bioactive factors include interferon, erythroid hematopoietic factor, 1L-1 (interleukin-1), IL-2, and the like. , IL-6, IL-8, etc.
  • the hair binder may be N- (4-carboxy-3-hydroxy-phenyl) maleimide, transglutaminase, lauryldiamine, etc.
  • the antimicrobial coating agent Benzalkonium Chloride, Benzetonium Chloride, Harokalban, 2,4,4-trichloro-2-hydroxyphenol, Triclosan, Trichlorokalbi, Isopro Methylphenol, pinion, allantoin, ⁇ - aminocaproic acid, or the like, but glycidyl chili parent acid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ntimicrobial components belonging to the hair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is ceramide, glycerin, hyaluronic acid, betaine, chitosan, vitamin E (tocopherol), urea (Urea), di-panthenol, sulfur, resorcin, serine chloride, Allantoin, AHA, Salicylic Acid, Trichlorocarbamide, Tocopherol Acetate, Ginpyrithione, Benzalkonium Chloride, Benzetonium Chloride, Chlorohexidine, Hinochiol, Phenol, Isopropylmethylphenol, Phenoxyethanol, Isothia Zolinone, methylchloroisothiazolinone, pyridoxine, glycilinic acid, hydrococcione acetate, succinic acid hydrocortisone, prednisolone, diphenhydramine, maleic acid chlorophenylamine, camphor, menthol, alanine glutamine, bisabolo
  • the fiber care compon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ber softening component, light damage prevention component, wrinkle suppression or removal component, color retention component, dye, decontamination component, fragrance component, deodorant component, antibacterial component, laundry damage prevention component, waterproofing component.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coating component, an antistatic component, a moisturizing component, a warm or cold component, an antioxidant component, a sunscreen component, a fluff preventing component, and the like.
  • the fiber softening, damage prevention, waterproofing, coating, antistatic, fluff forming and anti-entanglement components are, for example, dimethicone, trimethicone, phenyltrimethicone, amodimethicone, amodiphenyltrimethicone, ammonia Modi-penta phenyltrimethicone, dimethylpolysiloxane, methylphenylpolysiloxane, decamethylcyclopentasiloxane, methyltrimethicone, phenyltrimethicone, methicone, cyclomethicone, alkylmethylsiloxane, dimethicone polyphenol, trimethylsilyl amodi Methicone, a fluorine-based silicon compound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eramides having fiber softening and damage preventing effects are substance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fatty acids are bonded to amino groups of sphingosine, including natural and synthetic ceramides, sphingosine, sphinginine, spingenin, and 2-amino-4-aiko. Acid-1,3diol, ceramide, suigomyelin, cerabrose, gangliosides, sphingolipids and derivatives thereof,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Extracts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used to enhance the affinity of the fiber and skin include seaweed extract, sunflower seed extract, red ginseng extract, ginseng extract, rhubarb extract, marigold extract, birch sap, birch extract, flower extract, cheonna extract, Bergamot Extract, Cypress Extract, Red Ginseng Extract, Red Ginseng Extract, Produce Extract, Centella Extract, Rhododendron Extract, Red Ginseng Water, Famo Extract, Lily of the Valley Extract, Honeycomb Extract, Cassis Extract, Pomegranate Extract, Lemon Extract, Pine Needle Extract, Green Tea Extract, Brokerage Extract , Honey extract, cranberry extract, berry extract, lavender extract, lentil bean extract, ginger water extract, and the like, the protein and peptides include cheonjamsil, silk, polylysine, seaweed, wool and hair, wheat Obtained proteins and peptides, amino acids include glycine, alanine, valine, leucine, Solutein, threonine, serine, cyst
  • Polymers used for coating and improving the anti-wrinkle, anti-dyeing, removing lint during washing, giving elasticity to fibers, and providing easy ironing, etc. have a linear and branched chain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1,000 to 1 mill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network type polymer compound, and if necessary, it may be used in the case where various substituents of double bonds or ring structures are included between these carbons, and for attaching a bioreactive functional group to either end of the molecule.
  • At least a moiety that is reactive to attach a bioreactor such as -COONa, -COOK, -COOH, -NH 2 , -NHR, -NR 2, -Cl, -Br, -I, or -F to facilitate the reaction It is preferred to include in one or more molecules.
  • the reaction for attaching a bioreactive functional group to any one of the terminal ends of the molecule is -COONa, -COOK, -COOH, -NH 2 , -NHR
  • a bioreactor such as a -NR 2, -Cl, -Br, -I, or -F group can be used.
  • polyamine polymer polycarboxylic acid polymer, methacryloylethyl Betaine / Methacrylate Copolymer, octylacrylamide / acrylate / butylaminoethyl methacrylate copolymer
  • Amphoteric polymers such as Octylacrylamide / Acrylates / Butylaminoethyl Methacrylate Copolymer or Polyvinylpyrrolidone, PVP / VA Copolymer, PIV / 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copolymer
  • Nonionic polymers such as (PVP / 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Copolymer) and acrylate methacrylate copolymers, such as VA / Crotonates / Vinyl Neodecanoate Copolymers
  • Synthetic polymers such as anionic polymers or cellulose, guar, starch, Minutes, but the like derived from natural polymers, etc., but
  • the dyes having the color retention and color addition functions of the fibers are chromophores -NO 2 , -N ⁇ N-, C ⁇ O, C ⁇ C, C ⁇ N-, C ⁇ S, -N ⁇ O and -N ⁇ . It may include one or more atomic group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O,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ye is composed of -OCH 3 , -N (CH 3 ) 2 , -NH (CH 3 ), -NO 2 , -CF 3 , -OH, -OCH 3 , -Cl and -NH 2 as a crude It may include one or more atomic groups selected from the group,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ye may include at least one reacto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ONa, -COOK, -COOH, -NH 2 , -NHR, -NR 2, -Cl, -Br, -I and -F, This is not restrictive.
  • the dye may be a natural dye or a synthetic dye used for hair, skin, fibers, leather, etc.
  • the natural dye may be purpurin, Munjistin, melanin or melanin precursor.
  • the synthetic dye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ynthetic dyes include red 3, red 104, red 105, red 201, red 202, red 220, red 227, black 401, red 230, red 231, Red 232, Red 401, Red 405, Yellow 4, Yellow 202, Orange 207, Red 106, Red 213, Red 214, Red 215, Yellow 404, Yellow 405, Blue 403, Disperse Blue 1, Disperse Violet 1, Disperse Orange 3, Disperse Black 9, AC Blue 2 ), HC Red 3, HC Yellow 5 or HC Red 1, Basic Orange 1, Bay Orange, but 2 days, but it not limited thereto.
  • the decontamination component is, for example, soap (soap), alkyl benzene sulfonate, alkanesulfonate, alpha olefin sulfonate, alpha sulfo fatty acid ester, alkyl sulfate, alkyl ether sulfate, alcohol ethoxylate, alkyl phenol ethoxylate , Fatty acid alkanolamide, alkylamine oxide, methylglucamide, alkylpolyglucoside,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Examples of the fragrance component include aldehydes, phenols, alcohols, ethers, esters, hydrocarbons, ketones, lactones, musks, and terpene-based pigments, natural and animal pigments.
  • Examples of the aldehyd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undecylene aldehyde, lauryl aldehyde, aldehyde C-12MNA, miracaldehyde, ⁇ -amylcinnamicaldehyde, cyclamenaldehyde, ethyl vanillin, heliotropin, anise Aldehyde, (alpha)-hexyl cinnamic aldehyde, an octanal, ligustral, a lily, a rial, a triral, vanillin, a helional, etc.
  • Examples of the phenol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eugenol, iso-igenol, and the like.
  • Examples of the alcohol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bakdanol, dihydromirsenol, dihydrolinaloolol, linalool, nerol, santrol, santalex, terpineol, tetrahydrolinalol And phenyl ethyl alcohol.
  • the ethe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but are not limited to, for example, cedramba, grisalva, methyliogenol, methylisoogenenol, and the like.
  • este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is-3-hexenyl acetate, cis-3-hexenyl propionate, cis-3-hexenyl salicylate, p-cresyl acetate, pt -Butylcyclohexyl acetate, amyl acetate, methyldihydrosasmonate, amyl salicylate, benzyl salicylate, benzyl benzoate, benzyl acetate, cedryl acetate, citronellyl acetate, decahydro- ⁇ -naphthyl acetate , Dimethylbenzylcarvinylacetate, erica propionate, ethyl acetate acetate, erica acetate, geranyl acetate, geranyl formate, hedione, linalyl acetate, ⁇ -phenylethyl acetate, hexyl salicylate,
  • hydrocarbon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myrcene and the like.
  • keton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 -ionone, ⁇ -ionone, methyl- ⁇ -naphthyl ketone, ⁇ -damascone, ⁇ -damascone, ⁇ -damascone, cis-jasmon And methyl ionone, allyl ionone, kashumeran, dihydrozasmon, isoi super, bertopix, isonronpophoranone, coabon, rosephenone, raspberry ketone, dynascon and the like.
  • lacton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 -dekaralactone, ⁇ -undecalactone, ⁇ -nonlaclac, ⁇ -dodecaractone, coumarin, anbroxane, and the like.
  • musk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yclopentadecanolide, ethylene brasylate, galactose, muskketone, tonalide, nitro musks, and the like.
  • Examples of the pharmaceutical having the terpene skeleton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geraniol (geraniol), nerol, linalool, citral, citronellol, menthol, mint, citronellal, myrsen , Pinene, limonene, terepineol, carbon, yonon, camphor (camphor), Borneol and the like.
  • Examples of the natural flavo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orange oil, lemon oil, lime oil, pitgrain oil, citron oil, neroli oil, bergamot oil, lavender oil, labandine oil, abies oil, anise oil, Why, boa drose oil, ylang-ylang oil, citronella oil, geranium oil, peppermint oil, peppermint oil, spare mint oil, eucalyptus oil, lemongrass oil, patchouli oil, jasmine oil, rose oil, soda oil, vetiver oil, galbanum oil And essential oils such as oak moss oil, pine oil, camphor oil, sandalwood oil, gingko oil, terepin oil, clove oil, black clove oil, cassia oil, nutmeg oil, canal oil and thyme oil.
  • the animal flavo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for example, civet, mausoleum, dissociation, dragon fragrance,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eodorant componen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mono-6-ethanediamine-6-deoxy-beta-cyclodextrin, alphacyclodextrin, betacyclodextrin, alphacyclodextrin, cucurbitryl, and the like.
  • the antimicrobial component is ceramide, glycerin, hyaluronic acid, betaine, chitosan, vitamin E (tocopherol), urea (Urea), di-panthenol, sulfur, resolcin, serine chloride, allantoin, AHA, salicylic acid, Trichlorocarbamide, Tocopherol Acetate, Ginpyrithione, Benzalkonium Chloride, Benzetonium Chloride, Chlorohexidine, Hinochiol, Phenol, Isopropylmethylphenol, Phenoxyethanol, Isothiazolinone, Methylchloroiso Chiazolinone, pyridoxine, glycilinic acid, hydrococcione acetate, succinic acid hydrocortisone, prednisolone, diphenhydramine, maleic acid chlorophenylamine, camphor, menthol, alanine glutamine, bisabolol, coenzy
  • the antistatic component is stearylamidopropylamine, isostearylpropylamidoamine, stearylamidoamine, isostearylpropylamidoamine, methyleicosanoic amidopropylamine, methyleicosanoic amidoamine , Behenylamidopropylamine, behenylamidoamine,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moisturizing ingredient exhibiting the moisturizing, anti-wrinkle and recovery of the fiber, antistatic, softness, moisture and action by moisture, extracts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such as copper, plants, minerals, amino acids, peptides, proteins, sugars, vitamins It may include a moisturizing component that can fill the damaged part of the fiber, such a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glycerin 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caprylyl glycol, diglycerine, methylgluses, ethoxy diglycol, glycerine, propanediol, diethoxy diglyc Colpyrrolidonecarboxylic acid, sodium lactate, sodium PC, mineral oil, petrolatum, lanolin, jojoba oil, olive oil, glycosphingolipid, phospholipid, lipid mixture, isononyl isononanoate, betaine , Carboxymethyl chitin, ceramide, glucosyl ceramide, glycosaminoglycan, alpha-glucan, hyaluronic acid, hydrolyzed hyaluronic acid, betaine, chitosan, chitosan succinamide, vitamin E (tocopherol), urea, hydroxy Ethylurea, Glucosides, Gamma PGA, Xylity Gluco
  • Sugars exhibiting moisturizing, anti-wrinkle and recovery, antistatic, softness, heat retention, and cold retention properties by the action of the fibers are monosaccharides, glycoaldehyde, glycoaldehyde, dihydroacetone, and erythene.
  • the antioxidant component that prevents fiber aging significantly reduces the phenomenon of destruction and exhaustion of damaged skin function and structure due to oxidation, such as extracts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such as copper, plants and minerals, fermented extracts, amino acids, peptides, and proteins.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ntioxidant components that have the ability to prevent.
  • acetamidocaproic acid For example, acetamidocaproic acid, acetyl benzoyloxy prasterone, acetyl cysteine, 2-acetylhydroquinone, adamantanylcarbosamido hydride
  • Adamantanylcarboxamido hydroxylbenzamide aminoethanesulfinic acid, aminopropyl ascorbyl phosphate, angoroside C, anserine, apigenin, arbutin arbutin, alpha-albutin, ascorbic acid, asiaticoside, benzoquanamine, BHA (butylhydroxyanisol), BHT (Butylated Hydroxy Toluene) Bis-hydroxyethyl tocopherylsuccinoylamido hydroxypropane, bis-tetramethyl hydroxypyridinyl sebacate (b is- (tetramethyl hydroxypiperidinyl) sebacate), butylated xylen
  • the UV blocking component which is a main component having the optical damage prevention and color retention function of the fiber, is an ultraviolet absorber such as p-aminobenzoic acid derivative, cinnamic acid derivative, salicylic acid derivative, benzophenone derivative, ultraviolet scattering agent such as titanium oxide and zinc oxide.
  • an ultraviolet absorber such as p-aminobenzoic acid derivative, cinnamic acid derivative, salicylic acid derivative, benzophenone derivative, ultraviolet scattering agent such as titanium oxide and zinc oxide.
  • resins such as cellulose-based, PVP / alpha olefin-based polymers, acrylic acid polymers, silicone resins, fluorine-modified silicone resins, and polymer film-forming agents.
  • Examples of the component having an actual UV protection function include, for example, cinnamic acid, glyceryl fava, drrometrisol, digalol trioleate, 3, (4-methylbenzylidene) campa, menthyl anthranilate, and benzophenone-3.
  • Benzophenone-4 benzophenone-8, butylmethoxybenzoylmethane, synoxate, adenine riboside, octocrylene, octyldimethylpava, octylmethoxycinnamate, octylsalicylate, octyltriazone, paraamino Benzoic acid, 2-benzimidazole-5-sulfonic acid, homosalate, zinc oxide, titanium dioxide, isoamyl-p-methoxycinnamate, bisethylhexyloxyphenolmethoxyphenyltriazine, disodiumphenyldibenzimida Soltetrasulfonate, Amodi-Drometrizol Soltrisiloxane, Diethylhexyl Butamidotrione Zone, Polysilicon-15 (Dimethicodiethylbenzalmalonate), Methylenebis-benzotriazolyl
  • the skin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or hair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is preferably used in an amount of 0.0001 to 50 parts by weight, 0.001 to 30 parts by weight, 0.01 to 10 parts by weight or 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If the content thereof is less than 0.0001 parts by weight, there is a limit in providing an effect by the active ingredient, and if it exceeds 50 parts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in the formulation and stability of the formulation over tim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cts as an unreacted and lost component.
  • the fiber care component is preferably used in 0.0001 to 50 parts by weight, 0.001 to 30 parts by weight, 0.01 to 10 parts by weight or 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If the content thereof is less than 0.0001 parts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of effective performance limitation, and if it exceeds 50 parts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in formulation and formulation stabilization.
  • the skin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hair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or fiber care component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reaction efficiency with the carbodiimide compound by including a carboxyl group, hydroxyl group, phosphate group or amine group in the molecule.
  • the skin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hair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or fiber care component has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covalently bonding with a protein residue on the skin, hair or fiber surface or covalently bound with a protein residue on the skin, hair or fiber surface. It may further include a component having this possible functional group.
  • Functional groups covalently bonded with the protein residues are carbodiimide, imido ester, aryl azide, diazirine, hydroxymethyl phosphine, pentafluorophenylester, pyridyl disulfide, sulfo-hydroxysuccinimide ester, alkoxy Amine, hydrazide, haloacetyl, azide, carbonate, aldehyde, propionaldehyde, butylaldehyde, nitrophenyl carbonate, aziridine, isocyanate, thiocyanate, epoxide, tresylate, succinimide, hydroxysuccinimi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ll esters, imidazoles, oxycarbonyl amidazoles, imines, thiols, maleimides, vinylsulfones, ethyleneimines, thioethers, acrylonitrile, acrylic acid or methacrylic acid esters
  • the functional group may react with thiol, hydroxyl, carboxyl, or amine residues of amino acids constituting the protein.
  • the skin, hair or fiber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having a carboxyl group is made into the form of a reactive ester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having direct bioreactivity, or the skin, hair or Reactive esterification of amino acids (ex, aspartic acid, glutamic acid) present in the fiber to the reactive ester form (reactive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using a carbodiimide compound which can be targeted by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s containing amine groups
  • a carbodiimide compound which can be targeted by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s containing amine groups
  • carbodiimides, imidoesters, arylazides, diazirines, hydroxymethyl phosphines, pentafluorophenylesters, pyridyl disulfides, sulfo-hydrides that target other amino acids or enhance the carbodiimide reaction The effect is further enhanced by further using a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or fiber care component containing functional groups such as oxysuccinimide ester, hydroxysuccinimide ester, alkoxy amine, hydrazide, haloacetyl, azide in the molecule. You can.
  • an excellent surface modification effect can be obtained by reacting a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having an amine in a molecule or reacting with an amine on the skin surface.
  • the reaction may be preferably performed at a pH of 2 to 10, more preferably at a pH of 3 to 9, and most preferably at an acidic to weakly acidic aqueous solution having a pH of 4 to 6.5. The most reac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 the reaction is completed within 1 to 30 minutes.
  • a skin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molecule having a carboxyl group was first reacted with a carbodiimide-based compound to form a reactive ester, followed by reaction with an amino acid of a living body having an amine residue to form a covalent bond.
  • aspartic acid and glutamic acid which are biological amino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on the surface of the protein of the skin, are first reacted with a carbodiimide compound to form a reactive ester, followed by reaction with a skin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having an amine residue to form a covalent bond.
  • the reaction schematic was shown.
  • Carbodiimide-based compounds increase the reaction efficiency of skin proteins and skin surface modifications, and the reactive skin surface modifications bound to the skin do not come off during normal cleaning due to cleansing or soap, and are almost permanently applied to the skin. It can remain attached.
  • the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molecule having a carboxyl group was first reacted with a carbodiimide-based compound to form a reactive ester, followed by reaction with an amino acid of a living body having an amine residue to form a covalent bond.
  • aspartic acid and glutamic acid which are biological amino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on the surface of the protein of the hair, are first reacted with a carbodiimide compound to form a reactive ester, followed by reaction with a hair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having an amine residue to form a covalent bond.
  • the reaction schematic was shown.
  • Carbodiimide-based compounds increase the reaction efficiency of the hair protein and hair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s, so that the reactive hair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s bound to the hair do not come off during normal cleaning due to shampoo or soap and are almost permanently applied to the hair. It can remain attached.
  • the carbodiimide-based compound increases the reaction efficiency of the reaction moiety in the fiber and the fiber care component, so that the reactive fiber care component bonded to the fiber is hardly detached during normal cleaning due to detergents or soaps and is almost permanently attached to the fiber. It can keep the stat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arbodiimide group, imidoester, arylazide, diazirine, hydroxymethyl phosphine, pentafluorophenylester, pyridyl disulfide, to a skin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a hair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or a fiber care component.
  • Sulfo-hydroxysuccinimide esters alkoxy amines, hydrazides, haloacetyls, azides, carbonates, aldehydes, propionaldehydes, butylaldehydes, nitrophenyl carbonates, aziridine, isocyanates, thiocyanates, epoxides, tresyl Latex, succinimide, hydroxysuccinimidyl ester, imidazole, oxycarbonyl amidazole, imine, thiol, maleimide, vinylsulfone, ethyleneimine, thioether, acrylonitrile, acrylic acid or methacrylic acid ester,
  • the ability to covalently bind one or more protei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sulfides and ketones It may further comprise a reactive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care component) to which the group is bound.
  • the carbodiimide group generated by the first reaction may include a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care component) bonded to the carbodiimide group.
  •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include a surface modification composition comprising the reactive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care component).
  • Long chain of fatty acids, fatty alcohols, straight and branched chains such as palmitic acid, stearic acid, etc. in order to increase the side effects in formulating the surface modification composition (care compon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smetics Formulation may be facilitated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a cationic surfactant such as an alkyl quaternary ammonium salt, cationic cellulose, cationic guar, or cationic polymer such as cationic polyvinylpyrrolidone, or silicone.
  • a cationic surfactant such as an alkyl quaternary ammonium salt, cationic cellulose, cationic guar, or cationic polymer such as cationic polyvinylpyrrolidone, or silicone.
  • cosmetic formulations for the formulation of cosmetics such as solvents, surfactants, thicken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colorants, pH adjusters, metal ion sequestrants, colorants, pearlescent agents, cosmetics, pigments, powder particles, etc.
  • Components may be incidentally included.
  • Ingredients for the formulation may be used from 0.0001 to 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 Skin surface modification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used in skin care product formulations including skin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s having functional groups.
  • Skin care products are generally used to prepare and protect the skin, such as basic cosmetics (cosmetics, serums, essences, lotions, creams, etc.), color cosmetics (makeup bases, foundations, powders, eyeshadows, lip gloss, lipsticks, lip balms, etc.), Cleansing cosmetics (foam cleansing, cleansing oil, cleansing lotion, cleansing cream, cleansing gel, pack, mask, soap, cleansing tissue, etc.), sun care cosmetics (sun spray, sunscreen, sunblock, sun gel, etc.), body cosmetics (Body washes, body lotions, shower gels, baths, body creams, body oils, etc.), nail care cosmetics (manicures, nutrients, coatings, removers, dyes, tattoos, cuticle removers and oils) It may include all agents which can be used.
  • Hair surface modification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hair care product formulations including hair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s having functional groups.
  • Hair care products include shampoos, rinses, treatments, hair packs, hair essences, waxes, gels, sprays, mousses, hair dyes, bleaches, pumps, wool, hair restorers, hair restorers, hair root and scalp activators, styling, coatings and coatings It may include all agents which can be used for hair such as a forming agent.
  • composition for fiber c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the formulation of a composition for fiber care, including the component of the fiber care function having a functional group.
  • Application examples of the textile products generally include fabric softeners, liquid detergents, powder detergents, sheet detergents, fiber dyes, fiber treatments, fiber rinses, bleaches, partial contaminants, fiber styling agents, ironing aids, and clothing storage agents. Can be.
  • the surface modification composition (car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ntains a carbodiimide-based compound and at the same time includes a skin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having a reactive functional group, and when the above agent is deactivated in water, It is easier to maintain its activity in aqueous formulations, and the reaction may be effected by mixing with a buffer for pH control immediately prior to use, or by contacting with water during the cleaning process.
  • non-aqueous formulations include liquid form, sheet form, powder powder form, tablet form, oil, wax, ampoule, gel and the like used as conventional non-aqueous cosmetic preparations.
  • the carbodiimide compound and the surface modification component may be formulated in a single agent in encapsulated form or in two separate agents, respectively.
  • a method of blocking a derivative from a moisture in a form in which a reactive functional group and a component having a surface modification function (care component) are combined through encapsulation may be used.
  • a 2-basic acid ester oil such as dioctyl succinate, dioctyl adipate, diethyl sebacate and the like
  • Polyols polyethylene glycols, propylene glycols, hexylene glycols, butanediols and their isomers, glycerol, benzyl alcohols, ethoxydiglycols and derivatives thereof can be used.
  • the above-mentioned solvents increase the permeability of skin, hair or fibers and are used as solvents of poorly soluble substances.
  • the solvent used to increase the activity retention effect of the surface-modifying component (care component) having a functional group is diethyl sebacate, ethoxyglycol, bis-ethoxyglycol cyclohexane 1,4-dicarboxylate, or the like. There is this.
  • the body wash composition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8 and Examples 1 to 4 were each washed 10 times using test pig skin each having a size of 2 cm x 2 cm to induce surface modification and each skin specimen was a cleaning surfactant.
  • Example 4 Conditioning effect 2.7 - - - 3.9 - - - 4.7 - - - Brightness Growth Rate (%) - 3.5 - - - 17.6 - - - 46.3 - - % Growth - - 2.3 - - - 26.5 - - - 48.7 - Redness Growth Rate (%) - - - 15.9 - - - 32.3 - - - - 48.6
  • a body wash composition was prepared using the same ingredients as in Examples 1 to 4 except for replacing the carbodiimide-based compound used in Examples 1 to 4 with the compound shown in Table 3 below.
  • the surface modification effect was confirmed by the same measuring method as Experimental Example 1,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 niacinamide Naacinamide
  • Hyaluronic Acid hyaluronic acid
  • salicylic Acid salicylic Acid
  • Comparative Examples 12 to 14 comprising and 1,1'-methylene-bis- (3-isocyanatocyclohexane)-, a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rbodiimide-based polymer
  • the body wash compositions of Examples 5-7 were prepared.
  • Example 7 Whitening (improvement, retention) (1.7, 2.5) - - (3.5, 3.9) - - (4.2, 4.5) - - Wrinkles (improvement, retention) - (1.9, 2.3) - - (3.7, 4.0) - - (4.5, 4.3) - Keratin (improvement, retention) - - (1.2, 1.9) - - (3.4, 4.0) ,- - (4.7, 4.3)
  • Examples 5 to 7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ere confirmed to be remarkably superior to Comparative Examples 9 to 14 in terms of whitening, wrinkles, and keratin care effects.
  • a body wash composition was prepared using the same ingredients as in Examples 5 to 7 except for replacing the compound shown in Table 6 instead of the carbodiimide compound used in Examples 5 to 7,
  • the surface modification effect was confirmed by the same measuring method as Experimental Example 3,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below.
  • stearylamidopropyl amine (Stearylamidopropyl Amine), a phenyl amodimethicone (Phenyl Amodimethicone), which is generally used as a conditioning ingredient in hair shampoo
  • Comparative Examples 19 to 22 including Benzene, 1,3-bis (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as a carbodiimide-based polymer; And 1,1'-methylene-bis- (4-isocyanatocyclohexane)-, a homopolymer, and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polymer of the carbodiimide-based polymer of
  • Example 11 Water 47 47 47 47 46 46 46 46 46 46 46 Polyquaternium-10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EDTA 4Na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 the shampoo composition of Examples 8 to 11 and Comparative Examples 15 to 22 was shampooed 10 times each for a hairdressing of 12 cm in length and 3 g in weight to induce surface modification and to wash each tress with sodium lauryl ethyl sulfate 15%.
  • gloss using the hair gloss measurement device by measuring the reflectance of light
  • hair thickness hair thickness measuring device using the laser
  • moisturizing power measurement The effect of using the device was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increase rate compared to the untreated hair tres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8 below.
  • Example 11 Conditioning effect 2.3 - - - 3.7 - - - 4.5 - - - Glossy Growth Rate (%) - 1.2 - - - 28 - - - 53 - - Thickness increase rate (%) - - 0.23 - - - 3.6 - - - 7.3 - Hair Moisture Content (%) - - - 10.3 - - - 17.2 - - - 25.6
  • a shampoo composition was prepared using the same ingredients as in Examples 8 to 11, except that the compound shown in Table 9 was used instead of the carbodiimide compound used in Examples 8 to 11, and the shampoo composition was tested.
  • the surface modification effect was confirmed by the same measuring method as Example 5,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9 below.
  • the white yakmo tress was shampooed 10 times using the present shampoo composition Comparative Examples 23, 25 and Example 12, and the shampoo composition was compared 10 times each with 30 strands of the split hair using Comparative Examples 24, 26 and Example 13, respectively.
  • To induce surface modification and wash each tress three times with a 15% solution of sodium lauryl ethyl sulfate as a cleaning surfactant to remove covalent bonds.
  • the change in redness was confirmed by using and the cracked hairs were compared by confirming the recovery of the cracked hairs under a microscop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1 below.
  • Example 12 Example 13 % Increase in redness 13 - 27 - 49 - Hair Bonding Rate (%) - 0 - 35 - 48
  • a shampoo composition was prepared using the same ingredients as in Examples 12 to 13 except for replacing the compound shown in Table 9 instead of the carbodiimide compound used in Examples 12 to 13, and the experiment on the shampoo composition.
  • the surface modification effect was confirmed by the same measuring method as Example 7,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2 below.
  • Stearylamidopropyl Amine is generally used as an antistatic component in liquid detergents
  • Amodimethicone is used as a fabric softener
  • mono- (6-ethanediamine-6-deoxy) -beta is used as a deodorant component.
  • Example 14 Example 15
  • Example 16 Antistatic rate (%) 10.2 - - 38.6 - - 52.4 - - Softness effect (Emotion, 5-point scale) - 2.7 - - 3.9 - - 4.3 - Deodorization (Sensory, 5-point scale) - - 2.5 - - 3.9 - - 4.5
  • Examples 14 to 16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ere remarkably superior to Comparative Examples 27 to 32 in terms of antistatic, softening, and deodorizing effects.
  • the body wash of Table 16 was prepared using a general method for preparing a body wash.
  • Formulation example 2 skin Care Product manufacturing (whitening mist Lotion, cream, pack)
  • the mist, lotion, cream, and pack of Table 17 were prepared using general methods for preparing mist, lotion, cream, and pack.
  • Whitening mist Whitening lotion Whitening cream Whitening pack
  • Niacinamide 2.0 2.0 2.0 2.0 2.0 1,1'- methylene-bis- (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0 1.0 1.0 1.0 glycerin 3.0 3.0 3.0 3.0 Butylene glycol 3.0 3.0 3.0 - Propylene glycol 3.0 3.0 - - Carboxy Vinyl Polymer 0.1 0.1 0.1 - Polyvinyl alcohol - - - 15.0 Fiji-12 nonylphenyl ether 0.3 - - 0.5 Polysorbate 80 0.5 - - - Polysorbate 60 - 1.5 1.5 1.5 1.5 Sorbitassquioleate - 1.5 - - Sorbitan stearate - - 0.5 - Liquid paraffin - 0.5 10.0 - Caprylic / Capric Triglycerides - 5.0 -
  • the conditioning hair shampoo of Table 18 was prepared by using a general method of preparing a hair shampoo.
  • Formulation example 4 hair Product manufacturing (conditioning mist Lotion, cream, pack)
  • Conditioning hair products of Table 19 were prepared using a general method of preparing hair conditioning mist, lotion, cream, and pack.
  • Conditioning mist Conditioning Lotion Conditioning Cream Conditioning pack Stearylamidopropylamine One One One One One Phenyl amodimethicone One One One One One One Chitosan polymer One One One One One 1,1'- methylene-bis- (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One One One One One One glycerin 3 3 3 3 3
  • Formulation example 5 laundry detergent manufacturer
  • the laundry detergent of Table 20 was prepared by using a general method for preparing a textile detergent.
  • a laundry softener of Table 21 was prepared by using a general fabric softener.
  • Raw material content(%) Water 88 Isostearylamine 0.5 Distearyldimethylammonium chloride 5.0 Stearylamidopropyl Amine 1.0 Amodimethicone 1.0 mono- (6-ethanediamine-6-deoxy) -beta-cyclodextrin 1.0 1,1'- methylene-bis- (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0 ethanol 1.0 Antiseptic, Antibacterial Quantity incense Quantity Sum 10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 개질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개질용 조성물은 특정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 모발 또는 섬유에 손상 없이 공유결합을 형성하여 반영구적으로 원하는 피부 또는 모발 표면 개질 효과 또는 섬유 케어 효과를 제공해 준다.

Description

표면 개질용 조성물
본 발명은 피부 또는 모발 표면 개질용 조성물, 및 섬유 케어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용 화장품 및 퍼스널 케어 제품은 피부에 부드러움, 촉촉함, 매끄러움, 탄력 등과 같이 화장학적으로 피부에 유익한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하거나 또는 주름, 미백, 자외선차단, 항산화, 향기, 각질케어, 가려움 예방 또는 개선, 양모육모 촉진, 여드름 방지 및 항균, 체취 억제, 아토피 케어, 모공 케어, 거칠음 개선, 피부톤 개선, 혈행 개선 및 혈류 촉진, 유효성분 침투 촉진 및 머무름 시간 개선, 소취, 데오도란트, 제모, 염료 및 분체를 이용한 염색 또는 문신, 손발톱 케어 또는 생체 접합 등의 기능을 갖는 제품으로서, 클렌징, 세정 등의 기능을 추가로 구비하기도 한다. 이러한 피부용 화장품 및 퍼스널 케어 제품의 컨디셔닝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꾸준히 연구되고 있으나,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하다고 하더라도 일회성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피부에 대한 컨디셔닝 효과가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지속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모발 큐티클은 평평하게 중첩된 세포(비늘)로 구성된다. 큐티클 세포들은 모발의 뿌리 쪽에서부터 끝부분 쪽으로 마치 지붕의 타일처럼 부착되어 있다. 각 큐티클 층은 약 0.3~0.5 ㎛ 두께이고 이들 중 보여지는 큐티클의 부분은 약 5~10 ㎛ 정도이다. 사람의 모발의 큐티클은 일반적으로 5~10층이 쌓여져 있다. 모발의 각 큐티클 세포는 에피큐티클(epicuticle), A-층(A-layer), 엑소큐티클(exocuticle), 엔도큐티클(endocuticle), 내층(inner layer)과 같은 다양한 보조라멜라(sublamella)층과 셀 멤브레인 복합체(cell membrane complex)로 구성된다. 최외각의 epicuticle층은 공유 결합된 지질(지방산)로 덮여 있고, 이중 가장 많이 포함된 성분이 18-메틸 에이코사노산(18-Methyl Eicosanoic Acid, 18-MEA)이다. 이 층은 큐티클 셀 멤브레인 복합체(cell membrane complex)의 외곽 β-층(β-layer)을 구성하며 윤활, 마찰감소, 소수성 표면 형성과 같은 역할을 한다.
모발에 있어서 두피보다 바깥에 나와 있는 부분을 모간이라고 하는데, 이 부분은 모발의 수명과 길이에 따라 변한다. 또한, 머리를 자를 때나 샴푸, 드라이기를 사용할 때, 빗질이나 파마, 헤어 칼라 등을 사용할 때, 건조, 자외선, 해수, 풀장의 석회분 등의 환경적 스트레스에 의해 변한다. 특히 모간의 바깥쪽을 둘러싸고 있는 모소피는 이러한 스트레스의 영향을 직접 받지 않더라도 복합적으로 축적될 경우 손상을 입게 된다. 손상된 모발은 모소피의 끝 부분이 삐쳐 나와 있거나 부분적으로 박리되어 탈락이 한층 진행되어 있다. 이러한 모발은 빛이 난반사되기 때문에 광택을 잃고 매끄럽지 못하게 된다. 모발의 손상이 보다 많이 진행되면 모소피 층이 완전히 떨어져 내부의 모피질이 노출되게 되며 결국 모발이 갈라지거나 끊어지기 쉽게 된다.
18-MEA가 손상된 모발의 표면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처리들이 시도되고 있으며 특히, 실리콘을 사용하여 모발 표면을 코팅하는 헤어 메니큐어나 헤어 에센스와 같은 모발 표면 개질 효과, 즉, 모발 강화 효과를 제공하는 제품들이 판매되거나 미용실을 통해 시술되고 있으며, 특히 모발 표면의 코팅이나 모발 내부로 아미노산 등의 침투를 통해 모발에 강화 효과를 주는 강화 샴푸 등과 같은 제품들이 최근 들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러한 모발 개질 성분으로 모발에 사용하는 경우 처리 후에 다음 세정 시까지 일시적이고 단기적인 효과만을 제공할 뿐 세정 이후에는 재처리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항상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모발용 화장품 및 퍼스널 케어 제품의 컨디셔닝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꾸준히 연구되고 있으나,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하다고 하더라도 일회성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섬유 케어라 함은 섬유에 유연 효과를 부여하거나, 광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거나, 섬유의 주름 형성을 억제하거나 형성된 주름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거나, 섬유 본래의 색상을 선명하게 해주거나, 본래의 색감을 오래 유지시켜 주거나, 표면의 오염을 쉽게 제거되도록 하거나, 향기를 부여하거나, 냄새를 제거하거나, 항균이나 해충기피를 해주거나, 세탁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거나, 빗물 등의 침투를 방지하거나 하는 등의 기능을 의미한다.
섬유 케어용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섬유를 케어하기 위한 세정, 정돈, 포인트용 등의 섬유에 유익한 기능의 조성물 및 염색, 표백, 유연, 살균자외선 차단, 방향, 향기 등 섬유에 유익한 기능의 조성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조성물을 제형화한 제품으로는 세제와 유연제, 섬유 린스, 트리트먼트, 부분 처리제 등의 제품들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섬유 케어용 조성물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원료로는 유지, 왁스, 탄화수소, 고급지방산, 고급알콜, 에스텔유, 실리콘유 등과 같은 유성원료,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및 피막형성제로 사용되는 고분자화합물, 자외선흡수 및 차단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이온교환제, 빌터, 표백제, 효소, 기포조절제, 형광증백제, 이염 방지제, 염료 및 안료를 포함한 색재, 향료, 방부제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특별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한 섬유 케어 성분으로 섬유에 유연효과를 부여하거나, 광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거나, 섬유의 주름 형성을 억제하거나 형성된 주름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거나, 섬유 본래의 색상을 선명하게 해주거나, 본래의 색감을 오래 유지시켜 주거나, 표면의 오염을 쉽게 제거되도록 하거나, 향기를 부여하거나, 냄새를 제거하거나, 항균이나 해충기피를 해주거나, 세탁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거나, 빗물 등의 침투를 방지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솝(비누), 알킬벤젠술포네이트, 알칸술포네이트, 알파올레핀술포네이트, 알파술포지방산에스테르, 알킬설페이트, 알킬에테르설페이트, 알콜에톡실레이트, 알킬페놀에톡실레이트, 지방산알칸올아마이드, 알킬아민옥사이드, 메틸글루카마이드, 알킬폴리글루코시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눔클로라이드,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알킬디메틸벤젠암모늄클로라이드, 에스테르쿼트, 아미노에스테르염, 알킬베타인, 알킬설포베타인, 탄산나트륨, 탄산칼슘, 규산나트륨, 소듐트리포스페이트, 니드로트리아세트산,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제올라이트, 소듐폴리카르복실레이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소듐하이드록시에탄디포스페이트, 소듐퍼보레이트, 소듐퍼카보네이트, 퍼옥사이드, 하이포클로라이트,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 소듐 파라 노나노일옥시벤젠설포네이트, 과탄산나트륨, 과붕산나트륨, 단백질분해효소, 지방분해효소, 전분분해효소, 팩틴분해효소, 셀룰로오스분해효소,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스타치, 셀룰로오스에테르,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린산/폴리옥시에틸렌 테레프타린산 공중합체, 지방산아미드, 지방산알칸올아미드, 아민옥사이드, 스틸벤, 코우마린, 비스벤자졸, 디스티릴바이페닐,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피리딘옥사이드, 향료, 사이클로덱스트린, 황산나트륨, 실리콘 및 유도체, 알킬아민, 지방알콜, 지방산, 폴리에칠렌,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염화나트륨, 초산나트륨 등 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섬유 케어 성분으로 섬유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처리 후에 다음 세정 시까지 일시적인 효과만을 제공할 뿐 세정 이후에는 재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항상 존재하고 있다.
일본 공개 특허 제2004-182731호에는 피부, 울 섬유와 구성 성분이 유사한 모발에 화장 특성을 장시간 지속시키는 화장처치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에서는 모발 화장 처리 전 모발의 표면에 변화가 생기도록 하는 열, 전자파, 전기장, 음파, 플라즈마 등의 물리적 방법이나, 환원 방법을 제외한 화학적 방법을 통해 1차로 모발을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모발 활성화 과정은 열, 전자파, 전기장, 음파, 플라즈마 등 높은 에너지를 모발에 가해야 하고, 환원 방법을 제외한 화학적 비활성화 물질로 사용되는 과산화수소, 브로메이트 등 산화제는 모발에 심각한 손상을 유발하고, 이 외 폴리아민이나 다당류 폴리머의 경우 활성화는 가능하지만, 이들 폴리머가 모발에 공유 결합 형태로 활성화되지 못한 상태여서 세정에 의해 쉽게 제거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 공개 특허 제2008-0064467호에는 피부 또는 모발용 비수계 퍼스널 케어 제품에 관한 것으로, 비수계 파트에 모발 또는 피부 표면의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로 카보네이트(carbonate), 알데히드(aldehyde), 프로피온알데히드(propionaldehyde), 부틸알데히드(butylaldehyde), 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nitrophenyl carbonate), 아지리딘(aziridine),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치오시아네이트(thiocyanate), 에폭사이드(epoxide), 트레실레이트(tresylate), 숙신이미드(succinimide), 하이드록시숙신미딜 에스테르(hydroxysuccinimidyl ester), 이미다졸(imidazole), 옥시카보닐 아미다졸(oxycarbonylamidazole), 이민(imine), 치올(thiol), 비닐설폰(vinylsulfone), 에틸렌이민(ethyleneimine), 티오에테르(thioether), 아크릴로나이트릴(acrylonitrile),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acrylic acid or methacrylic ester), 디설파이드(disulfide), 케톤(ketone) 및 RX로 표시되는 관능기(R은 알킬, 아릴, 아랄킬, 고리 및 불포화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X는 I, Br 또는 Cl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갖는 모발 표면 개질 성분을 포함하면서 비수계 파트와 수계 파트로 분리되어 있고, 사용 직전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또는 피부용 퍼스널 케어 제품을 개시하고 있지만, 상기에 제시된 다양한 관능기들의 경우 인체에 유해하거나 또는 모발 피부를 구성하는 단백질의 아미노산 중에서 그 함량이 모발(1.9~3.1%), 피부 케라틴(3.1~6.9%) 정도로 적은 양을 함유하는 라이신을 표적하거나, 모발(16.6~18%), 피부 케라틴(2.3~3.8%) 정도인 시스테인을 표적하여 반응시키기 때문에 반응 효율이 저하되고 각각의 물질을 하나하나 따로 합성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 공개 특허 제2002-0068427호에는 섬유의 유연 효과 외에 향의 지속성이 우수하고 섬유에 항균성을 부여하고자 항균 성분인 키토산을 사용하면서 향을 마이크로캡슐화하여 첨가하는 방안을 고려하였다. 이와 같이 향을 마이크로 캡슐로 처리하면, 캡슐이 내부물질(core material) 향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여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되므로, 섬유에서 향의 지속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이 향기 캡슐 역시 세탁과정에서 섬유 표면에 잔존하지 못하고 대부분 씻겨나가기 때문에, 일부 섬유에 남아있는 캡슐 성분만으로는 그 효과를 제공하기에 한계가 있고, 경제적으로도 사용한 캡슐이 대부분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헹굼수에 헹궈져 나가는 문제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손상 없이 반영구적인 표면 개질 효과를 지속적으로 부여할 수 있는 피부 표면 개질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발에 손상 없이 반영구적인 표면 개질 효과를 지속적으로 부여할 수 있는 모발 표면 개질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섬유에 손상 없이 반영구적인 섬유 케어 효과를 지속적으로 부여할 수 있는 섬유 케어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피부 개질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개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하기에 나열된 구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반복 단위 양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모노머를 나타내며, 여기서 두 개의 A는 서로 같은 구조의 호모 폴리머(Homo Polymer) 또는 서로 다른 구조의 헤테로 폴리머(Hetero Polymer)이고, 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00의 직쇄 또는 분기쇄 또는 고리형의 탄화수소; 또는 벤젠 고리형의 탄화수소;를 나타내며, 상기 탄화수소 분자의 일부에 이중 결합을 포함하거나; O, N, S, P 및 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치환된 형태이거나;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형태로 치환된 형태이거나; 또는 금속이온이 염 형태로 결합된 구조를 포함하며, m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02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피부 표면 개질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케어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모발 개질 성분을 포함하는 모발 개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하기에 나열된 구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반복 단위 양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모노머를 나타내며, 여기서 두 개의 A는 서로 같은 구조의 호모 폴리머(Homo Polymer) 또는 서로 다른 구조의 헤테로 폴리머(Hetero Polymer)이고, 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00의 직쇄 또는 분기쇄 또는 고리형의 탄화수소; 또는 벤젠 고리형의 탄화수소;를 나타내며, 상기 탄화수소 분자의 일부에 이중 결합을 포함하거나; O, N, S, P 및 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치환된 형태이거나;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형태로 치환된 형태이거나; 또는 금속이온이 염 형태로 결합된 구조를 포함하며, m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04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모발 표면 개질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모발 케어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섬유 케어 성분을 포함하는 섬유 케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하기에 나열된 구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반복 단위 양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모노머를 나타내며, 여기서 두 개의 A는 서로 같은 구조의 호모 폴리머(Homo Polymer) 또는 서로 다른 구조의 헤테로 폴리머(Hetero Polymer)이고, 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00의 직쇄 또는 분기쇄 또는 고리형의 탄화수소; 또는 벤젠 고리형의 탄화수소;를 나타내며, 상기 탄화수소 분자의 일부에 이중 결합을 포함하거나; O, N, S, P 및 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치환된 형태이거나;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형태로 치환된 형태이거나; 또는 금속이온이 염 형태로 결합된 구조를 포함하며, m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06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섬유 케어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섬유 케어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개질용 조성물은 피부, 모발 또는 섬유의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특정 관능기를 도입한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또는 반응성 섬유 케어 성분) 및/또는 특정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 모발 또는 섬유에 손상 없이 공유결합을 형성하여 반영구적으로 피부 또는 모발 표면 개질 효과, 또는 섬유 케어 효과를 제공해 준다.
본 발명은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표면 개질 성분을 포함하는 표면 개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표면 개질 성분은 피부 표면 개질 성분, 모발 표면 개질 성분 또는 섬유 표면 개질 성분(섬유 케어 성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피부"는 몸을 싸고 있는 조직으로, 일반적으로 얼굴 피부, 두피, 바디 피부, 피부의 부속 기관인 손발톱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표면 개질 조성물은 예를 들면, 기존에 알려진 피부 표면 개질 성분에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반응시켜 카르보디이미드기가 결합된 반응성 피부 표면 개질 성분을 거쳐 피부 손상 없이 피부의 단백질과 공유결합을 형성시킴으로써 피부 표면 개질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표면 개질 조성물은 예를 들면, 기존에 알려진 모발 표면 개질 성분에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반응시켜 카르보디이미드기가 결합된 반응성 모발 표면 개질 성분을 거쳐 모발의 단백질과 공유결합을 형성시킴으로써 모발 표면 개질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표면 개질용 조성물(섬유 케어용 조성물)은 예를 들면, 기존에 알려진 섬유 케어 성분에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반응시켜 카르보디이미드기가 결합된 반응성 섬유 케어 성분을 거쳐 섬유의 단백질과 공유결합을 형성시킴으로써 섬유 케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를 분자 내에 포함하는 화합물을 총칭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07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며, A는 하기에 나열된 구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반복 단위 양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모노머를 나타내며, 여기서 두 개의 A는 서로 같은 구조의 호모 폴리머(Homo Polymer) 또는 서로 다른 구조의 헤테로 폴리머(Hetero Polymer)이고, 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00의 직쇄, 분기쇄 또는 고리형의 탄화수소; 또는 벤젠 고리형의 탄화수소;를 나타내며, 상기 탄화수소 분자의 일부에 이중 결합을 포함하거나; O, N, S, P 및 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치환된 형태이거나;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형태로 치환된 형태이거나; 또는 금속이온이 염 형태로 결합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고리형의 탄화수소는 고리 내 O, N 및 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포함된 구조 및/또는 이중결합이 포함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08
본 발명에 있어 바람직한 상기 카르보디이미드계 폴리머의 일례는 폴리머의 말단이 폴리에틸렌 글리콜이나 폴리프로필렌글리콜로 블라킹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09
상기 화학식 2에서 A는 하기에 나열된 구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반복 단위 양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모노머를 나타내며, 여기서 두 개의 A는 서로 같은 구조의 호모 폴리머(Homo Polymer) 또는 서로 다른 구조의 헤테로 폴리머(Hetero Polymer)이고, m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며, n은 1 내지 1000의 정수이다.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10
또한, 본 발명에 있어 보다 바람직한 카르보디이미드계 폴리머의 일례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11
상기 화학식 3에서, n은 1 내지 120 미만의 정수(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미만의 정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0 미만의 정수)이며, m은 1 내지 100 미만의 정수(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미만의 정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미만의 정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가장 바람직한 카르보디이미드계 폴리머의 일례는 상기 화학식 3에서, m이 1 내지 7이고, n이 각각 5 내지 50인 1,1'-메틸렌-비스-(3-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헥산)-,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1,1'-methylene-bis-(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에 있어서, 하나의 동일 분자 내에 존재하는 카르보디이미드기가 100개를 초과하면 원료의 점도가 너무 크고, 분자량이 너무 과도하게 크고, 반응할 수 있는 반응 위치가 너무 과도하게 많아지며, 카르보디이미드기를 보유한 분자가 너무 거대해져서 실질적인 기능을 갖는 분자의 기능 효과를 나타내는 부분을 가림에 의해서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1,1'-메틸렌-비스-(4-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헥산)-,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1,1'-methylene-bis-(4-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1'- 메틸렌-비스-(3-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헥산)-,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1,1'- methylene-bis-(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1'- 메틸렌-비스-(4-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헵탄)-,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1,1'- methylene-bis-(4-isocyanatocyclohept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1'- 메틸렌-비스-(3-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헵탄)-,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1,1'-methylene-bis-(3-isocyanatocyclohept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1'- 메틸렌-비스-(3-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펜탄)-,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1,1'-methylene-bis-(3-isocyanatocyclopent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3-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사이클로헥산-,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1,3-Bis(isocyanatomethyl)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벤젠-1,3-디이소시아네이트-,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Benzene-1,3-diisocyanat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PEG 600 디이소시아네이트-,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PEG 600 diisocyanat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디페닐메탄-2,2'-디이소시아네이트-,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Diphenylmethane-2,2'-diisocyanat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호모폴리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Me-에테르-블록트(Isophorone diisocyanat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12
상기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부, 0.001 내지 7 중량부 또는 0.01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의 함량이 0.0001 중량부 미만이면 지속적인 표면 개질 효과가 나타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피부에 존재하는 반응위치 이상으로 과도하게 존재하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이 피부과 반응하지 못한 상태에서 효능 물질과 반응함으로써 지속성 향상에 도움이 되지 못하고 손실되는 성분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표면 개질'이라 함은 피부에 적용하여 피부 표면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피부를 코팅하거나 유효한 물질을 접합하여 각질을 제거 및 각화를 방지하여 피부 표면의 거칠음을 개선시키고 혈행 개선하거나 혈류를 촉진하여 피부를 밝게 보이게 하거나(피부톤 개선), 윤기, 피부 및 두피의 영양 보충, 탄력, 부드러움 또는 매끄러움 등의 컨디셔닝 효능을 부여하는 등 유익한 특성을 부여해줌으로써 피부를 미화하고, 매력을 증가시키고, 용모를 변화시켜주고, 향을 부여하거나 체취를 억제하거나, 가려움 또는 아토피 등의 피부 트러블을 예방 또는 개선하거나, 양모 육모를 촉진하거나, 여드름 방지하거나, 모공을 축소시키거나, 유효성분 침투를 촉진시키거나, 머무름 시간을 개선하거나, 피부에 보습력을 부여하거나, 자외선을 차단해주는 작용을 하여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피부에 도포, 산포, 기타 이들에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피부 표면 개질 효과로, 예를 들면, 피부의 주름 개선, 피부 보습력 증대, 피부 영양 공급, 피부 수분 항상성 유지, 피부 각질 제거 및 감소, 피부 트러블 방지, 피부 노화 방지, 피부 항산화, 두피 비듬 방지, 피부 혈행 촉진, 피부 윤기 및 탄력 유지 개선, 피부 거칠음 및 갈라짐 방지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발 표면 개질'이라 함은 모발에 적용하여 모발 표면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모발을 코팅하거나 유효한 물질을 접합하여 모발 표면의 성질을 변화시켜 모발을 굵게 보이게 하거나, 갈라지고 손상된 모발 개선, 갈라짐 방지, 끊어짐 방지, 인장강도 강화, 굵기 증대, 모발의 풍성함, 영양 공급, 탄력 증대, 윤기 증대, 보습, 손상 방지, 손상회복, 염색, 탈색, 스타일링, 마찰감소, 퍼머, 염소 제거, 소금기 제거, 정전기 방지, 다공성 감소, 볼륨, 곱슬거림 감소, 컬 강화, 필름 및 피막 형성, 부드러움, 차분함 또는 매끄러움 등의 컨디셔닝 효능을 부여하는 등 유익한 특성을 부여해줌으로써 모발을 미화하고, 매력을 증가시키고, 용모를 변화시켜주는 것 또는, 모발에 보습력을 부여하거나, 자외선을 차단해주는 작용을 하여 모발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모발에 도포, 산포, 기타 이들에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모발 표면 개질 효과로, 예를 들면, 항산화, 컨디셔닝, 보습, 자외선 차단, 향, 염료, 분체, 생체 접합, 항균 및 비듬 예방 및 개선, 양모, 육모, 발모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섬유 케어 효과'라 함은 섬유에 유연 효과를 부여하거나, 광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거나, 섬유의 주름 형성을 억제하거나 형성된 주름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거나, 섬유 본래의 색상을 선명하게 해주거나, 본래의 색감을 오래 유지시켜 주거나, 섬유를 염색하거나, 표면의 오염을 쉽게 제거되도록 하거나, 향기를 부여하거나, 냄새를 제거하거나, 항균이나 해충기피를 해주거나, 세탁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거나, 빗물 등의 침투를 방지하거나, 섬유 내부로 침투를 강화하거나, 다림질을 쉽게 하거나, 건조가 빠르게 하거나, 섬유를 윤택하게 보이도록 하거나, 섬유를 탄력있게 하거나, 오염이 쉽게 달라붙지 못하도록 하거나, 정전기를 방지하거나, 섬유를 강하게 하거나, 섬유를 굵게 하거나, 섬유 표면에 코팅을 형성하거나, 보습력을 제공하거나, 보온 및 보냉을 강화하거나, 산화를 방지하거나, 자외선을 차단하거나, 섬유에 유효성분의 침투를 촉진하거나 및 유효성분의 머무름 시간을 개선하거나, 보풀 발생을 감소시키거나, 섬유의 엉김을 방지하거나, 피부에 친화적이거나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표면 개질 성분'은 항산화 성분; 컨디셔닝 성분(피부 윤택, 광채 부여); 보습 성분; 미백 성분; 자외선 차단 성분; 향 성분; 주름 방지 또는 개선 성분; 각질 케어 성분; 비듬, 가려움 예방 또는 개선 성분; 양모 또는 육모 촉진 성분; 여드름 방지 또는 항균 성분; 체취 억제 성분; 아토피 케어 성분; 모공 케어 성분; 제모 성분; 염료; 분체; 손발톱 케어 성분; 또는 생체 접합 성분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발 표면 개질 성분'은 항산화 성분, 컨디셔닝(인장강도, 굵기 증대, 탄력, 윤기, 보습, 손상 방지, 손상 회복, 갈라짐 방지, 끊어짐 감소, 갈라짐 개선, 영양, 염색, 탈색, 스타일링, 마찰 감소, 퍼머, 염소제거, 소금기제거, 정전기 방지, 다공성 감소, 볼륨, 풍성함, 곱슬거림 감소, 컬 강화, 필름 및 피막 형성, 부드러움, 차분함, 매끄러움) 성분, 보습 성분, 자외선 차단 성분, 향 성분, 염료, 생체 접합 성분, 항균 성분, 양모, 육모 또는 발모 성분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피부 개질 성분 또는 모발 개질 성분에 속하는 항산화 성분은 동, 식물, 광물 등의 천연물 유래 추출물, 발효 추출물,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백질 등과 같이 산화작용으로 손상된 피부 기능과 구조가 파괴되고 소진되는 현상을 상당 정도 감소시키거나 예방하는 능력을 갖는 항산화 작용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아세트아미도카프로산(acetamidocaproic acid), 아세틸 벤조일옥시 프라스테론(acetyl benzoyloxy prasterone), 아세틸 시스테인(acetyl cysteine), 2-아세틸하이드로퀴논(2-acetylhydroquinone), 아다만타닐카르보사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마이드(adamantanylcarboxamido hydroxylbenzamide), 아미노에탄설핀산(aminoethanesulfinic acid), 아미노프로필 아스코빌 포스페이트(aminopropyl ascorbyl phosphate), 안고로사이드 C(angoroside C), 안세린(anserine), 어파제닌(apigenin), 알부틴(arbutin), 알파-알부틴(alpha-albutin),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벤조쿠안아민(benzoquanamine), BHA(butylhydroxyanisol), BHT(Butylated Hydroxy Toluene), 비스-하이드록시에틸토코페릴석시노일아미도하이드록시프로판(bis-hydroxyethyl tocopherylsuccinoylamido hydroxypropane), 비스-테트라메틸 하이드록시피레리디닐 세바케이트(bis-(tetramethyl hydroxypiperidinyl) sebacate), 부틸레이티드 크실레놀(butylated xylenol), t-부틸베즈아마이도 하이드록시벤자마이드(t-butylbenzamido hydroxylbenzamide), 4-부틸레조시놀(4-butylresorcinol), 카페인산(caffeic acid), 아스코르빈산칼슘(calcium ascorbate), 카르노스산(carnosic acid), 카로티노이드(carotenoids), 키토산 아스코르베이트(chitosan ascorbate), 클로로젠산(chlorogenic acid), 코발트 디엔에이(cobalt DNA), 쿠퍼 ATP(copper adenosine triphosphate), 쿠퍼 피리독살 5-포스페이트(copper pyridoxal 5-phosphate), 커큐민(curcumin), 시스테인(cysteine), 시스테인 하이드로클로라이드(cysteine HCl), 데카펩타이드-6(decapeptide-6), 데카펩타이드-7(decapeptide-7), 데쿠시놀(decursinol), 데실 머캡토메틸이미다졸(decyl mercaptomethylimidazole), 디아밀하이드로퀴논(diamylhydroquinone), 디-t-부틸하이드로퀴논(di-t-butylhydroquinone), 디세틸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cetyl thiodipropionate), 디사이클로펜타디엔/t-부틸크레솔 코폴리머(dicyclopentadiene/t-butylcresol copolymer), 디갈로일 트리올레이트(digalloyl trioleate), 디이소옥틸 세바케이트(diisooctyl sebacate),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lauryl thiodipropionate), 디메톡시벤즈아미도 페닐하이드록실아세타마이드(dimethoxybenzamido phenylhydroxylacetamide, 디메톡시 디-p-크레졸(dimethoxy di-p-cresol), 디메틸메톡시 크로만올(dimethylmethoxy chromanol), 디미리스틸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myristyl thiodipropionate), 디올레일 토코페릴 메틸실란올(dioleyl tocopheryl methylsilanol), 디오스민(diosmine), 디레티닐 에테르(diretinyl ether), 디쇼듐 아스코빌 설페이트(disodium ascorbyl sulfate),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stearyl thiodipropionate), 디트리데실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tridecyl thiodipropionate), 도데실 갈레이트(dodecyl gallate), 두날리엘라 바다윌(dunaliella bardawil) 분말, 엘라그산(ellagic acid),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에르고티오네인(ergothioneine), 비파나무 잎 원형질체(eriobotrya japonica leaf protoplasts), 에리소프빈산(erythorbic acid), 에틸비스이미노메틸구아이아콜 망가니스 클로라이드(ethylbisiminomethylguaiacol manganese chloride), 에틸 페룰레이트(ethyl ferulate), 에틸헥실 페룰레이트 (ethylhexyl ferulate), 페눌산(ferulic acid), 페룰로일 소이 글리세라이드(feruloyl soy glycerides), 퍼퍼릴 팔미테이트(furfuryl palmitate), 게니스테인 글루코사이드(genistein glucoside), 은행 잎 테르페노이드(ginkgo leaf terpenoids), 글루코실루틴(glucosylrutin), 글리세릴 크로모닐 에테르(glyceryl chromonyl ether), 글리세릴 디 페룰레이트(glyceryl diferulate), 헤스페레틴(hesperetin), 헥실록시 트리메틸페놀(hexyloxy trimethylphenol), 호노키올(honokiol), 하이드롤라이즈드 프로안토시아니딘(hydrolyzed proanthocyanidin),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p-하이드록시아니솔(p-hydroxyanisole), 하이드록시데실 유비키논(hydroxydecyl ubiquinone), 하이드록시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hydroxylamine HCl), 하이드록시아민 설페이트(hydroxylamine sulfate), 하이드록시페닐 디하이드록시벤즈아마이드(hydroxyphenyl dihydroxybenzamide), 이노시놀 헥사나이아시네이트 헥사아스코베이트(inositol hexaniacinate hexaascorbate), 이소옥틸 카프리레이트/카프레이트(isooctyl caprylate/caprate), 이소옥틸 티오글리콜레이트(isooctyl thioglycolate), 이소퀘르시트린(isoquercitrin), 캠프페롤(kaempferol), 코직산(kojic acid), 코질 글루코사이드(kojyl glucoside),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kojyl methylenedioxycinnamate), 홍차 추출물(kou-cha ekisu), 리코펜(lycopene),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마그네슘 아스코베이트(magnesium ascorbate), 마그놀롤(magnolol), 망가네이즈 ATP(manganese adenosine triphosphate), 마트린(matrine), 멜라토닌(melatonin), 메톡시 PEG-7 아스코빈산(methoxy PEG-7 ascorbic acid), 메톡시트리메틸페닐 디하이드록시페닐 프로판올(methoxytrimethylphenyl dihydroxyphenyl propanol), 메틸-디-t-부틸 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methyl di-t-butyl hydroxyhydrocinnamate), 메틸렌 디-t-부틸크레솔(methylene di-t-butylcresol), 메틸-메타크릴레이트/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메타아클리레이트 크로스폴리머(methyl methacrylate/trimethoxysilylpropyl methacrylate crosspolymer), 메틸 미리스트산(methyl myristic acid), 니아신아마이드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niacinamide hydroxybenzoate), 닉토플로린(nictoflorin), 노르디하이드로구아이아레트산(nordihydroguaiaretic acid), 옥타니코티노일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octanicotinoyl epigallocatechin gallate), 옥타펩타이드-4(octapeptide-4), 올리고펩타이드-28(oligopeptide-28), 패오놀(paeonol), 팔마틴(palmatine), PEG/PPG-2/5 토코페릴 에테르(PEG/PPG-2/5 tocopheryl ether), 페리릴 알코올(perillyl alcohol), 페네틸 카페이트(phenethyl caffeate), 페닐에틸 레조르시놀(phenylethyl resorcinol), 페닐티오글리콜산(phenylthioglycolic acid), 플로레틴(phloretin), 플로로글루시놀(phloroglucinol), 피세아타놀 (piceatannol), 피퍼롱구미닌(piperlonguminine), 포피리듐 폴리사카라이드(porphyridium polysaccharide), 포타슘 아스코빌 토코페릴 포스페이트(potassium ascorbyl tocopheryl phosphate), 포타슘 설파이트(potassium sulfite), PPG-2 토코페레스-5(PPG-2 tocophereth-5), 프로필 갈레이트(propyl gallate), 프로토카테추이칼데하이드(protocatechuicaldehyde), 푸에라린(puerarin), 피리독신 하이드로벤조에이트(pyridoxine hydroxybenzoate), 피리딜옥사이드 t-부틸니트론(phridyloxide t-butylnitrone), 퀘세틴(quercetin), 레사케토페논(resacetophenone), 레조르시놀(resorcinol),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레티닐 포르밀 아스파라메이트(retinyl formyl aspartamate),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 루틴(rutin), 루티닐 숙시네이트(rutinyl succinate), 녹차 추출물(ryoku-cha ekisu), 살나세딘(salnacedin), 소듐 아스코베이트(sodium ascorbate), 소듐 설파이트(sodium sulfite), 소듐 토코페릴 포스페이트(sodium tocopheryl phosphate), 소듐 에시쏘베이트(sodium erythorbate), 소듐 포스포노-피리독시리데네르호다닌(sodium phosphono-pyridoxylidenerhodanine), 서듐 티오글리코레이트(sodium thioglycolate), 소듐 징크 히스티딘 디티오옥타아마이드(sodium zinc histidine dithiooctanamide), 소프비틸 퍼퍼랄(sorbityl furfural), 스테아릴 갈레이트(stearyl gallate), 숙시노일 아스코베이트 펜타펩타이드-6(succinoyl ascorbate pentapeptide-6), 탄제리틴(tangeritin), TBHQ(tert-butylhydroquinone]), 테트라부틸 에틸리딘비스페놀(tetrabutyl ethylidinebisphenol), 테트라하이드로디메톡시페룰로일메탄(tetrahydrodemethoxydiferuloylmethane),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 디아세테이트(tetrahydrocurcumin diacetate), 테트라하이드로디페러로일메탄(tetrahydrodiferuloylmethane), 테트라메틸부틸 디하이드록시벤즈아마이드(tetramethylbutyl dihydroxybenzamide), 테트라메틸크로만올 글루코사이드(tetramethylchromanol glucoside), 티옥산(thioctic acid), 티오디글리콜(thiodiglycol), 티오락틱산(thiolactic acid), 티오살리실산(thiosalicylic acid), 티오아우린(thioaurine), 티몰 트리메톡시신나메이트(thymol trimethoxycinnamate), 토코사이스테아마이드(tococysteamide), 토코페레쓰-5(tocophereth-5), 토코페롤(tocopherol), 토코페르솔란(tocophersolan),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토코퀴논(tocoquinone), 톨루엔(toluene), o-톨릴 비구아나이드(o-tolyl biguanide), 토타롤(totarol), 트리프로필렌 글리콜(triprophylene glycol), 트리스- BHT 메시틸렌(tris-BHT mesitylene),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tris(nonylphenyl)phosphate), 트리소듐 아스코빌 이소팔미테이트 포스페이트(trisodium ascorbyl isopalmitate phosphate), 티로실 히스디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tyrosyl histidine HCl), 유비퀴놀(ubiquinol), 유비퀴논(ubiquinone), 참갈파래 분말(ulva lactuca powder), 우롱차 추출물(uuron-cha ekisu), 크실릴 디부틸벤조퓨라논(xylyl dibutylbenzofuranone), 징크 ATP(zinc adenosine triphosphate), 징크 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zinc dibutyldithiocarbamate), 징크 프럭토스 디포스페이트(zinc fructose diphosphate), 징크 피리독살 5-포스페이트(zinc pyridoxal 5-phosphate)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피부 개질 성분 또는 모발 개질 성분에 속하는 컨디셔닝 성분은 동, 식물, 광물 등의 천연물 유래 추출물,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백질 등과 같이 피부 또는 모발의 손상 부위를 채워줄 수 있는 컨디셔닝 작용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천연 추출물,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백질, 폴리머류, 실리콘류, 지방알콜류, 지방산류, 왁스류, 에스테르류, 지방아미도아민류, 탄화수소, 알킬글리세릴에스테르류, 다가알콜류, 당류, 계면활성제류, 분체 및 염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세라마이드류, 비타민류, 알킬아민류, 알킬아미도아민류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천연물 유래 추출물로는 해조 추출물, 해바라기씨 추출물, 고삼 추출물, 인삼 추출물, 황련 추출물, 금잔화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자작나무 추출물, 화초 추출물, 천라 추출물, 베르가못 추출물, 편백 추출물, 고삼홍경천 추출물, 고삼 추출물, 창출 추출물, 병풀 추출물, 황련 추출물, 홍삼수, 패모 추출물, 은방울꽃 추출물, 카시스 추출물, 석류 추출물, 레몬 추출물, 솔싹 추출물, 녹차 추출물, 브로커리 추출물, 벌집 추출물, 꿀 추출물, 프로폴리스, 로얄젤리, 크랜베리 추출물, 베리 추출물, 라벤터 추출물, 렌틸콩 추출물, 생강 수 추출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백질 및 펩타이드로는 천잠실크, 실크, 폴리라이신, 해조, 울 및 모발, 밀로부터 얻어진 단백질 및 펩타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아미노산으로는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트레오닌, 세린, 시스테인, 시스틴, 메티오닌,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라긴, 글루탐산, 디요드티로신,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프롤린, 옥시프롤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폴리머류는 분자량 1000 내지 100만 정도의 사슬(linier) 및 분지(branched) 사슬형, 네트웍크(network)형 폴리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이들 탄소 사이에 이중 결합이나 링 구조의 다양한 치환체가 포함된 경우도 사용할 수 있고, 분자 내 말단 어느 하나에 생체 반응성 관능기를 부착하기 위한 반응이 용이하도록 -COONa, -COOK, -COOH, -NH2, -NHR, -NR2, -Cl, -Br, -I, 또는 -F 기와 같은 생체 반응기를 부착하기 위해 반응성을 갖는 잔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분자 내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000 내지 50만 정도의 사슬 및 분지 사슬형 폴리머이면서 분자 내 말단 어느 하나에 생체 반응성 관능기를 부착하기 위한 반응이 용이하도록 -COONa, -COOK, -COOH, -NH2, -NHR, -NR2, -Cl, -Br, -I, 또는 -F 기와 같은 생체 반응기를 부착하기 위해 반응성을 갖는 잔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분자 내에 포함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아민 폴리머, 폴리카르복실릭산 폴리머, 폴리머로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Methacryloylethyl Betaine/Methacrylate Copolymer), 옥틸아크릴아마이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Octylacrylamide/Acrylates/Butylaminoethyl Methacrylate Copolymer)와 같은 양쪽성의 폴리머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피브이피/브이에이 공중합체(PVP/VA Copolymer), 피브이피/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PVP/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Copolymer)와 같은 비이온성 폴리머 그리고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 Methacrylate Copolymer), 브이에이/ 크로토네이트/ 비닐네오데카노에이트 공중합체(VA/Crotonates/ Vinyl Neodecanoate Copolymer)와 같은 음이온성 폴리머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실리콘류로는 예를 들면, 디메치콘, 트리메치콘, 페닐아모디메치콘, 아모디메치콘, 아모디페닐트리메치콘, 아모디-펜타 페닐트리메치콘,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메틸트리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메치콘, 사이크로메치콘, 알킬메틸실록산, 디메치콘코폴리올, 트리메틸실릴아모디메치콘 형태의 화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지방알콜류는 탄소수 10 내지 50개 정도의 사슬 및 분지형의 지방알콜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라우릴알콜, 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이소스테아릴알콜, 베헤닐알콜 등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지방산류는 탄소수 10 내지 50개 정도의 사슬 및 분지형 지방산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18-메틸 에이코사노산, 라우릭산, 스테아린산, 이소스테아린산 등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왁스류는 예를 들면, 칸델리라왁스, 카르나우바왁스, 라이스왁스, 비즈왁스, 라놀린, 오조케라이트, 세레신왁스, 파라핀왁스, 마이크로 결정체왁스, 폴리에틸렌왁스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에스테르유는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부틸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에틸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리놀레이트, 데실미리스테이트, 세틸미리스테이트, 세틸팔미테이트, 하이드로겐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aine)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지방아미도아민류는 예를 들면, 스테아릴아미도프로필아민, 이소스테아릴프로필아미도아민, 스테아릴아미도아민, 이소스테아릴프로필아미도아민, 메칠에이코사노익아미도프로필아민, 메칠에이코사노익아미도아민, 베헤닐아미도프로필아민, 베헤닐아미도아민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당류는 단당류로 2탄당 내지 6탄당의 글리코알데히드, 글리세라알데히드, 디하이드로아세톤, 에리드로스, 에리드루로스, 리보우스,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리부로스, 자일루오스, 포도당, 과당, 갈락토오스, 만노우스 및 이당류인 슈크로오스, 말토스, 락토스, 트레할로스, 멜리비오스, 셀로비오스 및 다당류인 라피노우스, 멜레지토우스, 말토리오스스타치오스, 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자이란, 아라반, 전분, 녹말, 덱스트린, 글리코겐, 셀룰로오스, 프록탄, 갈락탄, 만난 및 복합 다당류인 한천, 알긴, 카라기난, 키틴, 헤미셀룰로오스, 팩틴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세라마이드류는 스핑고신의 아미노기에 지방산이 결합한 구조의 물질로 천연 및 합성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며, 스핑고신, 스핑가닌, 스핀제닌, 2-아미노-4-아이코산-1,3디올, 세라마이드, 스이고마이에린, 세라브로사이드, 강글리오사이드, 스핑고리피드 및 이들의 유도체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피부 개질 성분 또는 모발 개질 성분에 속하는 보습 성분은 동, 식물, 광물 등의 천연물 유래 추출물,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백질, 당류, 비타민 등과 같이 피부 또는 모발의 손상 부위를 채워줄 수 있는 보습 작용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PPG-아르기닌,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카프릴릴글라이콜, 디글리세린, 메틸글루세스, 에톡시디글라이콜, 글리세레스, 프로판디올, 디에톡시디글라이콜피롤리돈카르복실산, 소듐락테이트, 소듐피씨에이, 미네랄오일, 바세린, 라놀린, 호호바오일, 올리브오일, 글라이코스핑고리피드, 포스포리피드, 지질 혼합체,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베타인, 카복시메틸키틴, 세라마이드, 글루코실세라마이드,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알파-글루칸, 히알루론산, 하이드롤라이즈드 히알루론산, 베타인, 키토산, 키토산석신아마이드, 비타민 E(토코페롤), 우레아, 하이드록시에틸우레아, 글루코사이드류, 감마 PGA, 자일리틸글루코사이드, 자일리톨,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소듐콘드로이틴설페이트, 콘드로이틴-4-설페이트, 아텔로콜라겐, 베타 글루칸, PEG, 피리독신트리스-헥실데카노에이트, 포타슘피씨에이, 소듐폴리감마-글루타메이트, 폴리글루타민산, 글리세릴폴리아크릴레이트, 갈락토아라비난, 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비스-피이지-18메틸에테르디메틸실란, 비스-에톡시디글라이콜석시네이트, 레시틴,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글라이코실트레할로스,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타치하이드롤리세이트, 1,2-헥산디올, 만니톨, 알지닌, 세린, 수크로오스, 피씨에이, 시트룰린, 글라이코젠, 히스티딘에이치씨엘, 알라닌, 트레오닌, 글루타민산, 라이신에이치씨엘, 포스페이트버퍼드셀라인, 크레아틴, 콜레스테릴이소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클로라이드, 콜레스테릴노나노에이트, 비에이치티,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마이드라이신, 말토덱스트린, 폴리쿼터늄-39, 콜레칼시페롤피이지-12에테르,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소르비톨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피부 개질 성분에 속하는 미백 성분은 동, 식물, 광물 등의 천연물 유래 추출물, 아미노산류, 호르몬류, 비타민 등과 같이 피부의 멜라닌 색소 침착으로 손상된 부위를 개선시킬 수 있는 미백 작용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코직산, 나이아신 아마이드,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마그네슘아스코빌포스페이트, 아세틸티로신, 플러린, 오리자놀, 메톡시피이지-7아스코빈산, 메틸운데세노일류시네이트, 디아세틸벤조일라티롤, 프로토카테츄익알데하이드, 알파-비사보롤, 디하이드록시메톡시찰콘, 아세틸피토스핑고신, 폴리다틴, 디오스메틴, 아젤라익산(Azelaic acid), 메이스리그난, 인삼 추출물, 홍삼 추출물, 흑삼 추출물, 자근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아그리모니 추출물, 인도칸나 뿌리 추출물, 제주 조릿대 추출물, 고삼 추출물, 의이인 추출물, 백출 추출물, 밀 배아 추출물, 백출 오일 및 서양 자두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피부 개질 성분 또는 모발 개질 성분에 속하는 자외선 차단 성분은 p-아미노벤조익산 유도체, 계피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벤조페논 유도체 등의 자외선 흡수제, 산화 티탄, 산화 아연 등의 자외선 산란제, 셀룰로오스계, PVP/알파 올레핀계 중합체, 아크릴산 중합체, 실리콘 수지, 불소 변성 실리콘 수지 등의 수지류, 고분자 피막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제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신나민산, 글리세릴 파바, 드로메트리졸, 디갈롤트리올리에이트, 3,(4-메틸벤질리덴)캄파,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벤조페논-3, 벤조페논-4, 벤조페논-8, 부틸메톡시벤조일메탄, 시녹세이트, 아데닌리보사이드, 옥토크릴렌, 옥틸디메틸파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옥틸트리아존, 파라아미노안식향산, 2-벤즈이미다졸-5-설폰산, 호모살레이트, 징크옥사이드, 티타늄디옥사이드,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디소듐페닐디벤지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아모디-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디에틸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폴리실리콘-15(디메치코디에틸벤잘말로네이트),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일테트라메틸부틸페놀, 테레프탈리덴디캄포설폰산 및 이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피부 개질 성분 또는 모발 개질 성분에 속하는 향 성분은 예를 들면, 알데히드류, 페놀류, 알코올류, 에테르류, 에스테르류, 하이드로카본류, 케톤류, 락톤류, 무스크류, 테르펜 골격을 갖는 항료, 천연 항료, 동물성 항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데히드류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운데실렌알데히드, 라우릴알데히드, 알데히드 C-12MNA, 미락알데히드, α-아밀신나믹알데히드, 시클라멘알데히드, 에틸바닐린, 헤리오트로핀, 아니스알데히드, α-헥실신나믹알데히드, 옥탄알, 리구스트랄, 릴리알, 리랄, 트리플랄, 바닐린, 헬리오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페놀류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오이겐올, 이소오이겐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코올류로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박단올, 디하이드로미르센올, 디하이드로리날로올, 리날로올, 네롤, 산탈롤, 산탈렉스, 터피네올, 테트라하이드로리날로올, 페닐에틸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테르류로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세드람바, 그리살바, 메틸오이겐올, 메틸이소오이겐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에스테르류로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시스-3-헥센일아세테이트, 시스-3-헥센일프로피오네이트, 시스-3-헥센일살리실레이트, p-크레질아세테이트, p-t-부틸시클로헥실 아세테이트, 아밀아세테이트, 메틸디히드로자스모네이트, 아밀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벤질벤조에이트, 벤질아세테이트, 세드릴아세테이트, 시트로넬릴아세테이트, 데카하이드로-β-나프틸아세테이트, 디메틸벤질카르비닐아세테이트, 에리카프로피오네이트, 에틸아세트아세테이트, 에리카아세테이트, 게라닐아세테이트, 게라닐포메이트, 헤디온, 리날릴아세테이트, β-페닐에틸아세테이트, 헥실살리실레이트, 스티랄릴아세테이트, 터피닐아세테이트, 베티베릴아세테이트, o-t-부틸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만자네이트, 알릴헵타노에이트, 신나밀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카본류로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미르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케톤류로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α-이오논, β-이오논, 메틸-β-나프틸케톤, α-다마스콘, β-다마스콘, δ-다마스콘, 시스-자스몬, 메틸이오논, 알릴이오논, 카슈메란, 디하이드로자스몬, 이소이 수퍼, 베르토픽스, 이소론지포라논, 코아본, 로즈페논, 라즈베리케톤, 다이나스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락톤류로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γ-데카락톤, γ-운데카락톤, γ-노나락톤, γ-도데카락톤, 쿠마린, 안브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스크류로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시클로펜타데카놀라이드, 에틸렌브라실레이트, 갈락솔라이드, 무스크케톤, 토날리드, 니트로무스크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테르펜 골격을 갖는 항료로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게라니올(제라니올), 네롤, 리날로올, 시트랄, 시트로넬롤, 멘톨, 민트, 시트로넬랄, 미르센, 피넨, 리모넨, 테레피네롤, 카르본, 요논, 캄퍼(장뇌), 보르네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천연 항료로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오렌지유, 레몬유, 라임유, 프티그레인유, 유자유, 네롤리유, 베르가모트유, 라벤더유, 라반딘유, 아비에스유, 아니스유, 베이유, 보아 드로즈유, 일랑일랑유, 시트로넬라유, 제라늄유, 페퍼민트유, 박하유, 스페어민트유, 유칼리유, 레몬그라스유, 파출리유, 자스민유, 장미유, 시다유, 베티버유, 갈바넘유, 오크모스유, 파인유, 장뇌유, 백단유, 방장유, 테레핀유, 클로브유, 검정클로브유, 카시아유, 너트메그유, 카날가유, 타임유 등의 정유를 들 수 있다. 상기 동물성 항료로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사향, 영묘향, 해리향, 용연향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피부 개질 성분에 속하는 주름 방지 또는 개선 성분은 동, 식물, 광물 등의 천연물 유래 추출물, 아미노산류, 호르몬류, 비타민 등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비타민 A(레티노이드), 비타민 E(토코페롤),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SOD(Superoxide dismutase), 코엔자임 Q10, 알파-리포익산, 아세틸헥사펩타이드, 레티놀, 레티닐 팔미테이트, 레티닐 아세테이트, 아데노신, 비타민 C, 콜라겐, 헥사펩타이드3, 피부세포 성장인자(EGF), 키네틴, 달팽이 점액, 아쿠아노미드, 세라마이드, 글리세린, 히알루론산, 베타인, 키토산, 우레아(Urea) 및 이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피부 개질 성분에 속하는 각질 케어 성분은 알파히드록시액시드(젖산, 구연산, 만델산, 글라이콜릭산, 주석산 등), 베타히드록시액시드(살리실산), 프로파노익액시드(Propanoic acid), 히드록시프로피오닉 액시드(hydroxypropionic acid), 카르니틴), 레티노이드 유도체, 비타민A 유도체, 쥐눈이콩추출물, 검정콩가루, 사탕수수추출물, 쌀껍질가루, 야자씨가루, 옥설(Nephrite Powder), 하이드롤라이즈드선인장꽃추출물, 치오글라이콜릭애씨드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피부 개질 성분에 속하는 비듬, 가려움 예방 또는 개선 성분은 동, 식물, 광물 등의 천연물 유래 추출물, 아미노산류, 호르몬류, 비타민 등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세라마이드, 글리세린, 히알루론산, 베타인, 키토산, 비타민 E(토코페롤), 우레아(Urea)와 같은 보습성분, 혈관확장제, 양모제, 여성 호르몬제, 모근 부활제 등을 포함하는 육모용 약제, 디-판테놀(d-panthenol), 유황, 레솔신, 염화세린, 알란토인, AHA, 살리실산 등의 항염증 및 각질박리 용해제, 수렴제, 청량화제, 비타민, 호르몬 항히스타민 등 피부훼손 방지용 약제, 피지억제제, 트리클로로카바마이드, 초산토코페롤, 진크피리치온, 염화벤잘코니움, 염화벤제토니움, 클로로헥시딘, 히노치올, 페놀, 이소프로필메칠페놀 등의 살균제, 피리독신 및 그 유도체 등의 항지루제, 글리칠리친산 및 그 유도체, 초산히드로코치손, 호박산히드로코치손, 프레드니솔론 등의 소염제, 염화디펜히드라민, 말레인산클로로페닐아민, 캄파, 멘톨 등의 진양제 및 기타 알라닌글루타민, 비사보롤, 알란토인, 코엔자임Q10, SG(Stearyl Glycyrrhetinate)/DPG(dipotassium Glycyrrhizinate), 피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 및 이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피부 개질 성분에 속하는 양모 육모 촉진 성분 또는 상기 모발 개질 성분에 속하는 양모, 육모 또는 발모 성분은 동, 식물, 광물 등의 천연물 유래 추출물,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백질, 당류, 비타민 등과 같이 피부 또는 모발의 손상 부위를 채워줄 수 있는 양모육모 촉진 작용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당약 추출물, 염화카프로니움, 세파란틴, 니코틴산벤질, l-멘톨, 에스트라디올, 에티닐에스트라디올, 염산피리독신, 살리실산, 레소르신, 염화벤잘코니움, 염화벤제토니움, 이소프로필메틸페놀, 피록톤올아민, 클림바졸, 판토텐산, 플라센타 추출물, 비오틴, 모노니트로구아야콜, 감광소, 펜타데칸산글리세라이드, 글리시레틴산, 글리시레틴산의 칼륨염이나 암모늄염, 알란토인, 미녹시딜, 스테로이드, 안식향산에스트라디올, 에스트론, (초산)히드로코르티손, 프레드니솔론, 염산디펜히드라민, 글리시리진산디칼륨, 디카프릴산피리독신, 트리코사카라이드, 토코페롤/초산토코페롤, 히노키티올, 덱스판테놀, 판토테닐에틸에테르, 판토텐산나트륨/칼슘, 이소프로필에틸페놀, 모노니트로구아야콜, 글루콘산클로로헥시딘액, 니코틴산에틸, 니코틴산아미드, 고추 틴크, 레이소겐, 콜레스테롤, 스웨르치올, 용성시스틴, 고삼 틴크, 세신 틴크, 부평초 추출물, 자주쓴플 엑기스, 세파란틴, 감마-오리자롤, 칸타리스틴크(cantharis tinc), 건강 틴크, 니코틴산 벤질에스테르,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E, 시스틴, 시스테인, 메치오닌, 루신, 트립토판, 글리세린, 피롤리돈 카르본산 및 캄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피부 개질 성분에 속하는 여드름 방지 또는 항균 성분은 동, 식물, 광물 등의 천연물 유래 추출물, 아미노산류, 호르몬류, 비타민 등과 같이 피부의 멜라닌 색소 침착으로 손상된 부위를 개선시킬 수 있는 여드름 방지 및 항균 작용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피지 억제제로 에스트라디올, 에스트론, 에티닐에스트라디올; 각질 박리 및 용해제로 유황, 살리실산, 레솔신; 살균제로 염화벤잘코니움, 염화벤제토니움, 하로칼반, 2,4,4-트리클로로-2-하이드록시페놀; 화장료의 살균제로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칼비톨, 이소프로필메틸페놀, 피니온; 각질 용해제로 알란토인, ε-아미노카프린산, 글리칠리친산 등과 같은 소염제; 글리콜산 등의 각질 용해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피부 개질 성분에 속하는 체취 억제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클로로히드록시 알루미늄, 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 알란토인디히드록시알루미늄, 염화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칼륨과 같은 알루미늄 화합물, 염화벤제토니움, 할로카란, 염산클로르헥시딘, 산화아연, p-페놀설폰산아연, 염화 벤잘코늄, 트리클로산, 치람(Thiram), 보골지 추출물, 갈근 추출물, 금은화 추출물, 죽여 추출물, 창포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목초액, 죽염, 자몽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작약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피부 개질 성분에 속하는 아토피 케어 성분은 동물, 식물, 광물 등의 천연물 유래 약제, 발효 추출물, 한방 성분, 비타민 등과 같이 피부 진정 및 재생, 면역력 강화 등의 기능으로 아토피 또는 피부 트러블을 상당 정도 감소 시키거나 예방하는 능력을 갖는 아토피 또는 피부 트러블 케어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세라마이드, 펩타이드, 히알루론산, 글리세린, 타크로리무스, 피메크로리무스, 클린다마이신, 에리쓰로마이신, 트레티노인, 아답팔렌, 벤조일퍼옥사이드, 감초산, E.G.F(Epidermal Growth Factor), 낙화생유, 마카다미아씨 오일, 프로폴리스, 올리브 잎 추출물, 가시오갈피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아르니카 추출물 및 고삼틴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는 구체적으로 밀 펩타이드, 밀가수분해 펩타이드, 케라틴 펩타이드, 케라틴 가수분해 펩타이트, 콜라겐 펩타이드, 콜라겐 가수분해 펩타이드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피부 개질 성분에 속하는 모공 케어 성분은 나이아신아마이드,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Polyethoxylated Retinamide), 아데노신, 멘톨(Menthol), 위치 하젤 추출물(Witch Hazel), 아스코르브산, 카올린, 레티놀, 포도뿌리추출물, 클레이류, 아시아티코사이드, 아티초크잎 추출물, 글라이코실트레할로스,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타치하이드롤리세이트, 레시틴, 토코페롤, 숯가루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피부 개질 성분에 속하는 제모 성분은 치오글리콜릭애씨드, 비즈왁스, 수선화 구군 추출물, 파파야 추출물, 떡갈나무 덤불 추출물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피부 개질 성분 또는 모발 개질 성분에 속하는 염료는 발색단으로 -NO2, -N〓N-, C〓O, C〓C, C〓N-, C〓S, -N〓O 및 -N〓N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자단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염료는 조색단으로 -OCH3, -N(CH3)2, -NH(CH3), -NO2, -CF3, -OH, -OCH3, -Cl 및 -NH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자단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염료는 -COONa, -COOK, -COOH, -NH2, -NHR, -NR2, -Cl, -Br, -I 및 -F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반응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염료는 모발, 피부, 손발톱 등에 사용하는 천연 염료 또는 합성 염료일 수 있으며, 상기 천연 염료는 퍼푸린(purpurin), 문지스틴(Munjistin), 멜라닌(Melanin) 또는 멜라닌 전구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합성 염료는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5호,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20호, 적색 227호, 흑색 401호, 적색 230호, 적색 231호, 적색 232호, 적색 401호, 적색 405호, 황색 4호, 황색 202호, 등자색 207호, 적색 106호, 적색 213호, 적색 214호, 적색 215호, 황색 404호, 황색 405호, 청색 403호, 디스퍼스 블루 1(Disperse Blue 1), 디스퍼스 바이올렛 1(Disperse Violet 1), 디스퍼스 오렌지 3(Disperse Orange 3), 디스퍼스 블랙 9(Disperse Black 9), 에이씨 블루 2(HC Blue 2), 에이씨 레드 3(HC Red 3), 에이씨 엘로우 5(HC Yellow 5) 또는 에이씨 레드 1(HC Red 1), 베이직 오렌지 1, 베이직 오렌지 2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피부 개질 성분에 속하는 분체는 티타늄디옥사이드, 히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triethoxycaprylylsilane),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징크옥사이드, 탈크, 마이카, 황색산화철, 적색산화철, 흑색산화철, 실리카,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구아닌, 구아이아줄렌, 구리가루, 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 정장석, 징크스테아레이트, 청동가루, 치자청색소, 치저추출물, 치자황색소, 카라멜, 카민, 카본, 카본블랙, 카퍼클로로필, 헨나잎추출물, 헨나추출물, 포도가루, 포도껍질추출물, 포도주추출물, 포도즙추출물, 황토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피부 개질 성분에 속하는 손발톱 케어 성분은 겨우살이추출물, 닭의장풀잎/꽃/줄기추출물, 디메칠톨릴아민, 메타크릴로일에칠포스페이트, 몰약추출물, 부틸메타크릴레이트, 에이엠피-이소스테아로일하이드롤라이즈드실크, 에키아세아뿌리추출물, 영하구기자추출물, 우레아퍼옥사이드, 칼슘퍼옥사이드, 케라틴,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하이드로젠퍼옥사이드, 하이드롤라이즈드케라틴,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피부 개질 성분 또는 모발 개질 성분에 속하는 생체 접합 성분은 피브린, 알부민, 글루코사민, n-아세틸 글루코사민, 알지네이트, 하이드로겔, 성장인자, 생리활성인자, 지모 접합제, 항균 피복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장인자로는 예를 들면, FGF(Fibroblast Growth Factor), KGF(Keratinocyte Growth Factor),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EGF(Epidermal Growth Factor), PDGF-AA(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AA), PDGF-AB(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AB), PDGF-BB(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BB), TGF-α(Transforming Growth Factor-α), TGF-β, IGF(Insulin-like Growth Factor), TNF(Tumor Necrosis Factor), GM-CSF(Granulocyte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NGF(NGF(Nerve Growth Factor) 등 일 수 있다. 상기 생리활성 인자로는 인터페론, 적혈구 조혈인자, 1L-1(인터루킨-1), IL-2, IL-6, IL-8 등일 수 있다. 상기 지모 접합제는 N-(4-카르복시-3-하이드록시-페닐)말레이미드, 트렌스글루타미네이즈, 라우릴디아민 등일 수 있다. 상기 항균 피복제로는 염화벤잘코니움, 염화벤제토니움, 하로칼반, 2,4,4-트리클로로-2-하이드록시페놀,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칼비, 이소프로필메틸페놀, 피니온, 알란토인, ε-아미노카프로산, 글리칠리친산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모발 표면 개질 성분에 속하는 항균 성분은 세라마이드, 글리세린, 히알루론산, 베타인, 키토산, 비타민 E(토코페롤), 우레아(Urea), 디-판테놀(d-panthenol), 유황, 레솔신, 염화세린, 알란토인, AHA, 살리실산, 트리클로로카바마이드, 초산토코페롤, 진크피리치온, 염화벤잘코니움, 염화벤제토니움, 클로로헥시딘, 히노치올, 페놀, 이소프로필메틸페놀, 페녹시에탄올, 이소치아졸리논,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피리독신, 글리칠리친산, 초산히드로코치손, 호박산히드로코치손, 프레드니솔론, 염화디펜히드라민, 말레인산클로로페닐아민, 캄파, 멘톨, 알라닌글루타민, 비사보롤, 코엔자임Q10, SG(Stearyl Glycyrrhetinate)/DPG(dipotassium Glycyrrhizinate), 피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 및 이의 유도체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섬유 케어 성분은 섬유 유연 성분, 광 손상 방지 성분, 주름 억제 또는 제거 성분, 색상 유지 성분, 염료, 오염 제거 성분, 향 성분, 소취 성분, 항균 성분, 세탁 손상 방지 성분, 방수 성분, 코팅 성분, 정전기 방지 성분, 보습 성분, 보온 또는 보냉 성분, 항산화 성분, 자외선 차단 성분, 보풀 엉김 방지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섬유 유연, 손상방지, 방수, 코팅, 정전기방지, 보풀형성 및 엉김 방지 성분은 예를 들면, 디메치콘, 트리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아모디메치콘, 아모디페닐트리메치콘, 아모디-펜타 페닐트리메치콘,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메틸트리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메치콘, 사이크로메치콘, 알킬메틸실록산, 디메치콘코폴리올, 트리메틸실릴아모디메치콘, 불소계 실리콘 화합물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섬유 유연, 손상방지 효과를 갖는 세라마이드류는 스핑고신의 아미노기에 지방산이 결합한 구조의 물질로 천연 및 합성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며, 스핑고신, 스핑가닌, 스핀제닌, 2-아미노-4-아이코산-1,3디올, 세라마이드, 스이고마이에린, 세라브로사이드, 강글리오사이드, 스핑고리피드 및 이들의 유도체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섬유와 피부의 친화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천연물 유래 추출물로는 해조 추출물, 해바라기씨 추출물, 고삼 추출물, 인삼 추출물, 황련 추출물, 금잔화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자작나무 추출물, 화초 추출물, 천라 추출물, 베르가못 추출물, 편백 추출물, 고삼홍경천 추출물, 고삼 추출물, 창출 추출물, 병풀 추출물, 황련 추출물, 홍삼수, 패모 추출물, 은방울꽃 추출물, 벌집 추출물, 카시스 추출물, 석류 추출물, 레몬 추출물, 솔싹 추출물, 녹차 추출물, 브로커리 추출물, 꿀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 베리 추출물, 라벤터 추출물, 렌틸콩 추출물, 생강 수 추출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백질 및 펩타이드로는 천잠실크, 실크, 폴리라이신, 해조, 울 및 모발, 밀로부터 얻어진 단백질 및 펩타이드, 아미노산으로는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트레오닌, 세린, 시스테인, 시스틴, 메티오닌,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라긴, 글루탐산, 디요드티로신,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프롤린, 옥시프롤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섬유에 코팅 및 주름 방지 개선, 이염 방지, 세탁시 보풀 제거, 섬유 탄력부여, 다림질 용이성 부여 등을 위해 사용되는 폴리머류는 분자량 1000 내지 100만 정도의 사슬(linier) 및 분지(branched) 사슬형, 네트웍크(network)형 폴리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이들 탄소 사이에 이중 결합이나 링 구조의 다양한 치환체가 포함된 경우도 사용할 수 있고, 분자 내 말단 어느 하나에 생체 반응성 관능기를 부착하기 위한 반응이 용이하도록 -COONa, -COOK, -COOH, -NH2, -NHR, -NR2, -Cl, -Br, -I, 또는 -F 기와 같은 생체 반응기를 부착하기 위해 반응성을 갖는 잔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분자 내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000 내지 50만 정도의 사슬 및 분지 사슬형 폴리머이면서 분자 내 말단 어느 하나에 생체 반응성 관능기를 부착하기 위한 반응이 용이하도록 -COONa, -COOK, -COOH, -NH2, -NHR, -NR2, -Cl, -Br, -I, 또는 -F 기와 같은 생체 반응기를 부착하기 위해 반응성을 갖는 잔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분자 내에 포함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아민 폴리머, 폴리카르복실릭산 폴리머, 폴리머로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Methacryloylethyl Betaine/Methacrylate Copolymer), 옥틸아크릴아마이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Octylacrylamide/Acrylates/Butylaminoethyl Methacrylate Copolymer)와 같은 양쪽성의 폴리머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피브이피/브이에이 공중합체(PVP/VA Copolymer), 피브이피/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PVP/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Copolymer)와 같은 비이온성 폴리머 그리고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 Methacrylate Copolymer), 브이에이/ 크로토네이트/ 비닐네오데카노에이트 공중합체(VA/Crotonates/ Vinyl Neodecanoate Copolymer)와 같은 음이온성 폴리머와 같은 합성 폴리머나 또는 셀룰로오스, 구아, 녹말, 전분등에서 유래하는 천연 폴리머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섬유의 색상 유지 및 색상 부가 기능을 갖는 염료는 발색단으로 -NO2, -N〓N-, C〓O, C〓C, C〓N-, C〓S, -N〓O 및 -N〓N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자단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염료는 조색단으로 -OCH3, -N(CH3)2, -NH(CH3), -NO2, -CF3, -OH, -OCH3, -Cl 및 -NH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자단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염료는 -COONa, -COOK, -COOH, -NH2, -NHR, -NR2, -Cl, -Br, -I 및 -F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반응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염료는 모발, 피부, 섬유, 가죽 등에 사용하는 천연 염료 또는 합성 염료일 수 있으며, 상기 천연 염료는 퍼푸린(purpurin), 문지스틴(Munjistin), 멜라닌(Melanin) 또는 멜라닌 전구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합성 염료는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5호,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20호, 적색 227호, 흑색 401호, 적색 230호, 적색 231호, 적색 232호, 적색 401호, 적색 405호, 황색 4호, 황색 202호, 등자색 207호, 적색 106호, 적색 213호, 적색 214호, 적색 215호, 황색 404호, 황색 405호, 청색 403호, 디스퍼스 블루 1(Disperse Blue 1), 디스퍼스 바이올렛 1(Disperse Violet 1), 디스퍼스 오렌지 3(Disperse Orange 3), 디스퍼스 블랙 9(Disperse Black 9), 에이씨 블루 2(HC Blue 2), 에이씨 레드 3(HC Red 3), 에이씨 엘로우 5(HC Yellow 5) 또는 에이씨 레드 1(HC Red 1), 베이직 오렌지 1, 베이직 오렌지 2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오염 제거 성분은 예를 들면, 솝(비누), 알킬벤젠술포네이트, 알칸술포네이트, 알파올레핀술포네이트, 알파술포지방산에스테르, 알킬설페이트, 알킬에테르설페이트, 알콜에톡실레이트, 알킬페놀에톡실레이트, 지방산알칸올아마이드, 알킬아민옥사이드, 메틸글루카마이드, 알킬폴리글루코시드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향 성분은 예를 들면, 알데히드류, 페놀류, 알코올류, 에테르류, 에스테르류, 하이드로카본류, 케톤류, 락톤류, 무스크류, 테르펜 골격을 갖는 항료, 천연 항료, 동물성 항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데히드류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운데실렌알데히드, 라우릴알데히드, 알데히드 C-12MNA, 미락알데히드, α-아밀신나믹알데히드, 시클라멘알데히드, 에틸바닐린, 헤리오트로핀, 아니스알데히드, α-헥실신나믹알데히드, 옥탄알, 리구스트랄, 릴리알, 리랄, 트리플랄, 바닐린, 헬리오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페놀류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오이겐올, 이소오이겐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코올류로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박단올, 디하이드로미르센올, 디하이드로리날로올, 리날로올, 네롤, 산탈롤, 산탈렉스, 터피네올, 테트라하이드로리날로올, 페닐에틸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테르류로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세드람바, 그리살바, 메틸오이겐올, 메틸이소오이겐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에스테르류로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시스-3-헥센일아세테이트, 시스-3-헥센일프로피오네이트, 시스-3-헥센일살리실레이트, p-크레질아세테이트, p-t-부틸시클로헥실 아세테이트, 아밀아세테이트, 메틸디히드로자스모네이트, 아밀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벤질벤조에이트, 벤질아세테이트, 세드릴아세테이트, 시트로넬릴아세테이트, 데카하이드로-β-나프틸아세테이트, 디메틸벤질카르비닐아세테이트, 에리카프로피오네이트, 에틸아세트아세테이트, 에리카아세테이트, 게라닐아세테이트, 게라닐포메이트, 헤디온, 리날릴아세테이트, β-페닐에틸아세테이트, 헥실살리실레이트, 스티랄릴아세테이트, 터피닐아세테이트, 베티베릴아세테이트, o-t-부틸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만자네이트, 알릴헵타노에이트, 신나밀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카본류로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미르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케톤류로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α-이오논, β-이오논, 메틸-β-나프틸케톤, α-다마스콘, β-다마스콘, δ-다마스콘, 시스-자스몬, 메틸이오논, 알릴이오논, 카슈메란, 디하이드로자스몬, 이소이 수퍼, 베르토픽스, 이소론지포라논, 코아본, 로즈페논, 라즈베리케톤, 다이나스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락톤류로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γ-데카락톤, γ-운데카락톤, γ-노나락톤, γ-도데카락톤, 쿠마린, 안브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스크류로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시클로펜타데카놀라이드, 에틸렌브라실레이트, 갈락솔라이드, 무스크케톤, 토날리드, 니트로무스크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테르펜 골격을 갖는 항료로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게라니올(제라니올), 네롤, 리날로올, 시트랄, 시트로넬롤, 멘톨, 민트, 시트로넬랄, 미르센, 피넨, 리모넨, 테레피네롤, 카르본, 요논, 캄퍼(장뇌), 보르네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천연 항료로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오렌지유, 레몬유, 라임유, 프티그레인유, 유자유, 네롤리유, 베르가모트유, 라벤더유, 라반딘유, 아비에스유, 아니스유, 베이유, 보아 드로즈유, 일랑일랑유, 시트로넬라유, 제라늄유, 페퍼민트유, 박하유, 스페어민트유, 유칼리유, 레몬그라스유, 파출리유, 자스민유, 장미유, 시다유, 베티버유, 갈바넘유, 오크모스유, 파인유, 장뇌유, 백단유, 방장유, 테레핀유, 클로브유, 검정클로브유, 카시아유, 너트메그유, 카날가유, 타임유 등의 정유를 들 수 있다. 상기 동물성 항료로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사향, 영묘향, 해리향, 용연향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소취 성분은 모노-6-에탄디아민-6-데옥시-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쿠커비트릴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항균 성분은 세라마이드, 글리세린, 히알루론산, 베타인, 키토산, 비타민 E(토코페롤), 우레아(Urea), 디-판테놀(d-panthenol), 유황, 레솔신, 염화세린, 알란토인, AHA, 살리실산, 트리클로로카바마이드, 초산토코페롤, 진크피리치온, 염화벤잘코니움, 염화벤제토니움, 클로로헥시딘, 히노치올, 페놀, 이소프로필메틸페놀, 페녹시에탄올, 이소치아졸리논,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피리독신, 글리칠리친산, 초산히드로코치손, 호박산히드로코치손, 프레드니솔론, 염화디펜히드라민, 말레인산클로로페닐아민, 캄파, 멘톨, 알라닌글루타민, 비사보롤, 코엔자임Q10, SG(Stearyl Glycyrrhetinate)/DPG(dipotassium Glycyrrhizinate), 피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 및 이의 유도체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정전기 방지 성분은 스테아릴아미도프로필아민, 이소스테아릴프로필아미도아민, 스테아릴아미도아민, 이소스테아릴프로필아미도아민, 메칠에이코사노익아미도프로필아민, 메칠에이코사노익아미도아민, 베헤닐아미도프로필아민, 베헤닐아미도아민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섬유의 보습, 주름 방지 및 회복, 정전기방지, 유연, 수분과의 작용에 의한 보온, 보냉 특성을 나타내는 보습 성분은 동, 식물, 광물 등의 천연물 유래 추출물,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백질, 당류, 비타민 등과 같이 섬유의 손상 부위를 채워줄 수 있는 보습 작용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카프릴릴글라이콜, 디글리세린, 메틸글루세스, 에톡시디글라이콜, 글리세레스, 프로판디올, 디에톡시디글라이콜피롤리돈카르복실산, 소듐락테이트, 소듐피씨에이, 미네랄오일, 바세린, 라놀린, 호호바오일, 올리브오일, 글라이코스핑고리피드, 포스포리피드, 지질 혼합체,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베타인, 카복시메틸키틴, 세라마이드, 글루코실세라마이드,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알파-글루칸, 히알루론산, 하이드롤라이즈드 히알루론산, 베타인, 키토산, 키토산석신아마이드, 비타민 E(토코페롤), 우레아, 하이드록시에틸우레아, 글루코사이드류, 감마 PGA, 자일리틸글루코사이드, 자일리톨,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소듐콘드로이틴설페이트, 콘드로이틴-4-설페이트, 아텔로콜라겐, 베타 글루칸, PEG, 피리독신트리스-헥실데카노에이트, 포타슘피씨에이, 소듐폴리감마-글루타메이트, 폴리글루타민산, 글리세릴폴리아크릴레이트, 갈락토아라비난, 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비스-피이지-18메틸에테르디메틸실란, 비스-에톡시디글라이콜석시네이트, 레시틴, 아스코빌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글라이코실트레할로스, 하이드로제네이티드스타치하이드롤리세이트, 1,2-헥산디올, 만니톨, 알지닌, 세린, 수크로오스, 피씨에이, 시트룰린, 글라이코젠, 히스티딘에이치씨엘, 알라닌, 트레오닌, 글루타민산, 라이신에이치씨엘, 포스페이트버퍼드셀라인, 크레아틴, 콜레스테릴이소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클로라이드, 콜레스테릴노나노에이트, 비에이치티, 소듐디라우라미도글루타마이드라이신, 말토덱스트린, 폴리쿼터늄-39, 콜레칼시페롤피이지-12에테르,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소르비톨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섬유의 보습, 주름 방지 및 회복, 정전기방지, 유연, 수분과의 작용에 의한 보온, 보냉 특성을 나타내는 당류는 단당류로 2탄당 내지 6탄당의 글리코알데히드, 글리세라알데히드, 디하이드로아세톤, 에리드로스, 에리드루로스, 리보우스,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리부로스, 자일루오스, 포도당, 과당, 갈락토오스, 만노우스 및 이당류인 슈크로오스, 말토스, 락토스, 트레할로스, 멜리비오스, 셀로비오스 및 다당류인 라피노우스, 멜레지토우스, 말토리오스스타치오스, 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자이란, 아라반, 전분, 녹말, 덱스트린, 글리코겐, 셀룰로오스, 프록탄, 갈락탄, 만난 및 복합 다당류인 한천, 알긴, 카라기난, 키틴, 헤미셀룰로오스, 팩틴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섬유 노화를 방지하는 항산화 성분은 동, 식물, 광물 등의 천연물 유래 추출물, 발효 추출물,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백질 등과 같이 산화작용으로 손상된 피부 기능과 구조가 파괴되고 소진되는 현상을 상당 정도 감소시키거나 예방하는 능력을 갖는 항산화 작용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아세트아미도카프로산(acetamidocaproic acid), 아세틸 벤조일옥시 프라스테론(acetyl benzoyloxy prasterone), 아세틸 시스테인(acetyl cysteine), 2-아세틸하이드로퀴논(2-acetylhydroquinone), 아다만타닐카르보사미도 하이드록시벤즈아마이드(adamantanylcarboxamido hydroxylbenzamide), 아미노에탄설핀산(aminoethanesulfinic acid), 아미노프로필 아스코빌 포스페이트(aminopropyl ascorbyl phosphate), 안고로사이드 C(angoroside C), 안세린(anserine), 어파제닌(apigenin), 알부틴(arbutin), 알파-알부틴(alpha-albutin),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벤조쿠안아민(benzoquanamine), BHA(butylhydroxyanisol), BHT(Butylated Hydroxy Toluene), 비스-하이드록시에틸토코페릴석시노일아미도하이드록시프로판(bis-hydroxyethyl tocopherylsuccinoylamido hydroxypropane), 비스-테트라메틸 하이드록시피레리디닐 세바케이트(bis-(tetramethyl hydroxypiperidinyl) sebacate), 부틸레이티드 크실레놀(butylated xylenol), t-부틸베즈아마이도 하이드록시벤자마이드(t-butylbenzamido hydroxylbenzamide), 4-부틸레조시놀(4-butylresorcinol), 카페인산(caffeic acid), 아스코르빈산칼슘(calcium ascorbate), 카르노스산(carnosic acid), 카로티노이드(carotenoids), 키토산 아스코르베이트(chitosan ascorbate), 클로로젠산(chlorogenic acid), 코발트 디엔에이(cobalt DNA), 쿠퍼 ATP(copper adenosine triphosphate), 쿠퍼 피리독살 5-포스페이트(copper pyridoxal 5-phosphate), 커큐민(curcumin), 시스테인(cysteine), 시스테인 하이드로클로라이드(cysteine HCl), 데카펩타이드-6(decapeptide-6), 데카펩타이드-7(decapeptide-7), 데쿠시놀(decursinol), 데실 머캡토메틸이미다졸(decyl mercaptomethylimidazole), 디아밀하이드로퀴논(diamylhydroquinone), 디-t-부틸하이드로퀴논(di-t-butylhydroquinone), 디세틸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cetyl thiodipropionate), 디사이클로펜타디엔/t-부틸크레솔 코폴리머(dicyclopentadiene/t-butylcresol copolymer), 디갈로일 트리올레이트(digalloyl trioleate), 디이소옥틸 세바케이트(diisooctyl sebacate),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lauryl thiodipropionate), 디메톡시벤즈아미도 페닐하이드록실아세타마이드(dimethoxybenzamido phenylhydroxylacetamide, 디메톡시 디-p-크레졸(dimethoxy di-p-cresol), 디메틸메톡시 크로만올(dimethylmethoxy chromanol), 디미리스틸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myristyl thiodipropionate), 디올레일 토코페릴 메틸실란올(dioleyl tocopheryl methylsilanol), 디오스민(diosmine), 디레티닐 에테르(diretinyl ether), 디쇼듐 아스코빌 설페이트(disodium ascorbyl sulfate),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stearyl thiodipropionate), 디트리데실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tridecyl thiodipropionate), 도데실 갈레이트(dodecyl gallate), 두날리엘라 바다윌(dunaliella bardawil) 분말, 엘라그산(ellagic acid),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에르고티오네인(ergothioneine), 비파나무 잎 원형질체(eriobotrya japonica leaf protoplasts), 에리소프빈산(erythorbic acid), 에틸비스이미노메틸구아이아콜 망가니스 클로라이드(ethylbisiminomethylguaiacol manganese chloride), 에틸 페룰레이트(ethyl ferulate), 에틸헥실 페룰레이트 (ethylhexyl ferulate), 페눌산(ferulic acid), 페룰로일 소이 글리세라이드(feruloyl soy glycerides), 퍼퍼릴 팔미테이트(furfuryl palmitate), 게니스테인 글루코사이드(genistein glucoside), 은행 잎 테르페노이드(ginkgo leaf terpenoids), 글루코실루틴(glucosylrutin), 글리세릴 크로모닐 에테르(glyceryl chromonyl ether), 글리세릴 디 페룰레이트(glyceryl diferulate), 헤스페레틴(hesperetin), 헥실록시 트리메틸페놀(hexyloxy trimethylphenol), 호노키올(honokiol), 하이드롤라이즈드 프로안토시아니딘(hydrolyzed proanthocyanidin),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p-하이드록시아니솔(p-hydroxyanisole), 하이드록시데실 유비키논(hydroxydecyl ubiquinone), 하이드록시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hydroxylamine HCl), 하이드록시아민 설페이트(hydroxylamine sulfate), 하이드록시페닐 디하이드록시벤즈아마이드(hydroxyphenyl dihydroxybenzamide), 이노시놀 헥사나이아시네이트 헥사아스코베이트(inositol hexaniacinate hexaascorbate), 이소옥틸 카프리레이트/카프레이트(isooctyl caprylate/caprate), 이소옥틸 티오글리콜레이트(isooctyl thioglycolate), 이소퀘르시트린(isoquercitrin), 캠프페롤(kaempferol), 코직산(kojic acid), 코질 글루코사이드(kojyl glucoside), 코질 메틸렌디옥시신나메이트(kojyl methylenedioxycinnamate), 홍차 추출물(kou-cha ekisu), 리코펜(lycopene),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마그네슘 아스코베이트(magnesium ascorbate), 마그놀롤(magnolol), 망가네이즈 ATP(manganese adenosine triphosphate), 마트린(matrine), 멜라토닌(melatonin), 메톡시 PEG-7 아스코빈산(methoxy PEG-7 ascorbic acid), 메톡시트리메틸페닐 디하이드록시페닐 프로판올(methoxytrimethylphenyl dihydroxyphenyl propanol), 메틸-디-t-부틸 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methyl di-t-butyl hydroxyhydrocinnamate), 메틸렌 디-t-부틸크레솔(methylene di-t-butylcresol), 메틸-메타크릴레이트/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메타아클리레이트 크로스폴리머(methyl methacrylate/trimethoxysilylpropyl methacrylate crosspolymer), 메틸 미리스트산(methyl myristic acid), 니아신아마이드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niacinamide hydroxybenzoate), 닉토플로린(nictoflorin), 노르디하이드로구아이아레트산(nordihydroguaiaretic acid), 옥타니코티노일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octanicotinoyl epigallocatechin gallate), 옥타펩타이드-4(octapeptide-4), 올리고펩타이드-28(oligopeptide-28), 패오놀(paeonol), 팔마틴(palmatine), PEG/PPG-2/5 토코페릴 에테르(PEG/PPG-2/5 tocopheryl ether), 페리릴 알코올(perillyl alcohol), 페네틸 카페이트(phenethyl caffeate), 페닐에틸 레조르시놀(phenylethyl resorcinol), 페닐티오글리콜산(phenylthioglycolic acid), 플로레틴(phloretin), 플로로글루시놀(phloroglucinol), 피세아타놀 (piceatannol), 피퍼롱구미닌(piperlonguminine), 포피리듐 폴리사카라이드(porphyridium polysaccharide), 포타슘 아스코빌 토코페릴 포스페이트(potassium ascorbyl tocopheryl phosphate), 포타슘 설파이트(potassium sulfite), PPG-2 토코페레스-5(PPG-2 tocophereth-5), 프로필 갈레이트(propyl gallate), 프로토카테추이칼데하이드(protocatechuicaldehyde), 푸에라린(puerarin), 피리독신 하이드로벤조에이트(pyridoxine hydroxybenzoate), 피리딜옥사이드 t-부틸니트론(phridyloxide t-butylnitrone), 퀘세틴(quercetin), 레사케토페논(resacetophenone), 레조르시놀(resorcinol),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레티닐 포르밀 아스파라메이트(retinyl formyl aspartamate),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 루틴(rutin), 루티닐 숙시네이트(rutinyl succinate), 녹차 추출물(ryoku-cha ekisu), 살나세딘(salnacedin), 소듐 아스코베이트(sodium ascorbate), 소듐 설파이트(sodium sulfite), 소듐 토코페릴 포스페이트(sodium tocopheryl phosphate), 소듐 에시쏘베이트(sodium erythorbate), 소듐 포스포노-피리독시리데네르호다닌(sodium phosphono-pyridoxylidenerhodanine), 서듐 티오글리코레이트(sodium thioglycolate), 소듐 징크 히스티딘 디티오옥타아마이드(sodium zinc histidine dithiooctanamide), 소프비틸 퍼퍼랄(sorbityl furfural), 스테아릴 갈레이트(stearyl gallate), 숙시노일 아스코베이트 펜타펩타이드-6(succinoyl ascorbate pentapeptide-6), 탄제리틴(tangeritin), TBHQ(tert-butylhydroquinone]), 테트라부틸 에틸리딘비스페놀(tetrabutyl ethylidinebisphenol), 테트라하이드로디메톡시페룰로일메탄(tetrahydrodemethoxydiferuloylmethane),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 디아세테이트(tetrahydrocurcumin diacetate), 테트라하이드로디페러로일메탄(tetrahydrodiferuloylmethane), 테트라메틸부틸 디하이드록시벤즈아마이드(tetramethylbutyl dihydroxybenzamide), 테트라메틸크로만올 글루코사이드(tetramethylchromanol glucoside), 티옥산(thioctic acid), 티오디글리콜(thiodiglycol), 티오락틱산(thiolactic acid), 티오살리실산(thiosalicylic acid), 티오아우린(thioaurine), 티몰 트리메톡시신나메이트(thymol trimethoxycinnamate), 토코사이스테아마이드(tococysteamide), 토코페레쓰-5(tocophereth-5), 토코페롤(tocopherol), 토코페르솔란(tocophersolan),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토코퀴논(tocoquinone), 톨루엔(toluene), o-톨릴 비구아나이드(o-tolyl biguanide), 토타롤(totarol), 트리프로필렌 글리콜(triprophylene glycol), 트리스- BHT 메시틸렌(tris-BHT mesitylene),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tris(nonylphenyl)phosphate), 트리소듐 아스코빌 이소팔미테이트 포스페이트(trisodium ascorbyl isopalmitate phosphate), 티로실 히스디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tyrosyl histidine HCl), 유비퀴놀(ubiquinol), 유비퀴논(ubiquinone), 참갈파래 분말(ulva lactuca powder), 우롱차 추출물(uuron-cha ekisu), 크실릴 디부틸벤조퓨라논(xylyl dibutylbenzofuranone), 징크 ATP(zinc adenosine triphosphate), 징크 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zinc dibutyldithiocarbamate), 징크 프럭토스 디포스페이트(zinc fructose diphosphate), 징크 피리독살 5-포스페이트(zinc pyridoxal 5-phosphate)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섬유의 광손상 방지 및 색상 유지 기능을 갖는 주요 성분인 자외선 차단 성분은 p-아미노벤조익산 유도체, 계피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벤조페논 유도체 등의 자외선 흡수제, 산화 티탄, 산화 아연 등의 자외선 산란제, 셀룰로오스계, PVP/알파 올레핀계 중합체, 아크릴산 중합체, 실리콘 수지, 불소 변성 실리콘 수지 등의 수지류, 고분자 피막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제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신나민산, 글리세릴 파바, 드로메트리졸, 디갈롤트리올리에이트, 3,(4-메틸벤질리덴)캄파,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벤조페논-3, 벤조페논-4, 벤조페논-8, 부틸메톡시벤조일메탄, 시녹세이트, 아데닌리보사이드, 옥토크릴렌, 옥틸디메틸파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옥틸트리아존, 파라아미노안식향산, 2-벤즈이미다졸-5-설폰산, 호모살레이트, 징크옥사이드, 티타늄디옥사이드,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디소듐페닐디벤지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아모디-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디에틸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폴리실리콘-15(디메치코디에틸벤잘말로네이트),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일테트라메틸부틸페놀, 테레프탈리덴디캄포설폰산 및 이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피부 표면 개질 성분 또는 모발 표면 개질 성분은 전체 조성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50 중량부, 0.001 내지 30 중량부, 0.01 내지 10 중량부 또는 0.1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의 함량이 0.0001 중량부 미만이면 유효성분에 의한 효과 제공에 한계가 있고,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형화 및 제형의 경시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반응되지 못하고 손실되는 성분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섬유 케어 성분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50 중량부, 0.001 내지 30 중량부, 0.01 내지 10 중량부 또는 0.1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의 함량이 0.0001 중량부 미만이면 효과적인 성능 발휘 한계의 문제가 있고,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형화 및 제형 안정화에 문제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피부 표면 개질 성분, 모발 표면 개질 성분 또는 섬유 케어 성분은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 히드록실기, 포스페이트기 또는 아민기를 포함함으로써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과의 반응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피부 표면 개질 성분, 모발 표면 개질 성분 또는 섬유 케어 성분은 피부, 모발 또는 섬유 표면의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를 갖거나 또는 피부, 모발 또는 섬유 표면의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는 카르보디이미드, 이미도에스터, 아릴아자이드, 디아지린, 하이드록시메틸 포스핀, 펜타플루오로페닐에스터, 피리딜 디설파이드, 설포-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알콕시 아민, 하이드라자이드, 할로아세틸, 아자이드, 카보네이트, 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 아지리딘, 이소시아네이트, 티오시아네이트, 에폭사이드, 트레실레이트, 숙신이미드, 하이드록시숙신이미딜 에스테르, 이미다졸, 옥시카보닐 아미다졸, 이민, 티올, 말레이미드, 비닐설폰, 에틸렌이민, 티오에테르,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디설파이드 및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관능기는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티올(thiol), 하이드록실(hydroxyl), 카르복실(carboxyl), 또는 아민(amine) 잔기와 반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개질 조성물 또는 섬유 케어용 조성물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로, 카르복실기를 갖는 피부, 모발 또는 섬유 표면 개질 성분을 직접 생체 반응성을 갖는 반응성 에스테르 표면 개질 성분 형태로 만들어 주거나, 피부, 모발 또는 섬유에 과량 존재하는 아미노산(ex,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을 반응성 에스테르화시켜 아민기를 포함하는 표면 개질 성분이 표적화할 수 있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사용하여 반응성을 갖는 에스테르 형태(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를 만들어서 반응 효율을 증대시킴으로써 그 효과를 확연히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기타 다른 아미노산을 표적하거나 상기 카르보디이미드 반응을 강화시켜주는 카르보디이미드, 이미도에스터, 아릴아자이드, 디아지린, 하이드록시메틸 포스핀, 펜타플루오로페닐에스터, 피리딜 디설파이드, 설포-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알콕시 아민, 하이드라자이드, 할로아세틸, 아자이드와 같은 관능기를 분자 내에 포함하는 표면 개질 성분 또는 섬유 케어 성분을 추가로 사용하여 그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카르복실기를 갖는 표면 개질 성분 분자 또는 피부, 모발 또는 섬유의 단백질 표면에 먼저 화학식 1의 고분자 형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1차 반응하여 반응성 에스테르를 형성하고, 형성된 반응성 에스테르 관능기에 다시 아민을 분자 내에 갖는 표면 개질 성분을 반응시키거나, 피부 표면의 아민과 반응시킴으로써 우수한 표면 개질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반응 시에는 바람직하게 pH 2 내지 10의 조건에서 반응이 가능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3 내지 9에서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pH 4 내지 6.5 정도의 산성 내지 약산성 수용액 상에서 반응하는 것이 가장 반응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반응은 1분 내지 30분 이내 완결된다.
하기 반응식 1에서 카르복실기를 갖는 피부 표면 개질 성분 분자가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과 1차 반응하여 반응성 에스테르를 형성하고 뒤이어 아민 잔기를 갖는 생체의 아미노산과 반응하여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반응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반응식 1]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13
하기 반응식 2에서 피부의 단백질 표면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생체 아미노산인 아스파라긴산 및 글루타민산이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과 1차 반응하여 반응성 에스테르를 형성하고 뒤이어 아민 잔기를 갖는 피부 표면 개질 성분과 반응하여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반응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반응식 2]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14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에 의해 피부의 단백질과 피부 표면 개질 성분의 반응 효율을 증대시켜 피부에 결합된 반응성 피부 표면 개질 성분은 클린싱 또는 비누 등으로 인한 일반적인 세정 시에 잘 떨어져 나오지 않으며 거의 영구적으로 피부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하기 반응식 3에서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발 표면 개질 성분 분자가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과 1차 반응하여 반응성 에스테르를 형성하고 뒤이어 아민 잔기를 갖는 생체의 아미노산과 반응하여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반응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반응식 3]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15
하기 반응식 4에서 모발의 단백질 표면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생체 아미노산인 아스파라긴산 및 글루타민산이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과 1차 반응하여 반응성 에스테르를 형성하고 뒤이어 아민 잔기를 갖는 모발 표면 개질 성분과 반응하여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반응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반응식 4]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16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에 의해 모발의 단백질과 모발 표면 개질 성분의 반응 효율을 증대시켜 모발에 결합된 반응성 모발 표면 개질 성분은 샴푸나 비누 등으로 인한 일반적인 세정 시에 잘 떨어져 나오지 않으며 거의 영구적으로 모발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하기 반응식 5에서 카르복실기를 갖는 섬유 케어 성분 분자가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과 1차 반응하여 반응성 에스테르를 형성하고 뒤이어 아민 잔기와 반응하여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반응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반응식 5]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17
하기 반응식 6에서 섬유의 표면의 카르복실기와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이 1차 반응하여 반응성 에스테르를 형성하고 뒤이어 아민 잔기를 갖는 섬유 케어 성분과 반응하여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반응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반응식 6]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18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에 의해 섬유 내 반응 잔기와 섬유 케어 성분의 반응 효율을 증대시켜 섬유에 결합된 반응성 섬유 케어 성분은 세제나 비누 등으로 인한 일반적인 세정 시에 잘 떨어져 나오지 않으며 거의 영구적으로 섬유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피부 표면 개질 성분, 모발 표면 개지 성분 또는 섬유 케어 성분에 카르보디이미드기, 이미도에스터, 아릴아자이드, 디아지린, 하이드록시메틸 포스핀, 펜타플루오로페닐에스터, 피리딜 디설파이드, 설포-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알콕시 아민, 하이드라자이드, 할로아세틸, 아자이드, 카보네이트, 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 아지리딘, 이소시아네이트, 티오시아네이트, 에폭사이드, 트레실레이트, 숙신이미드, 하이드록시숙신이미딜 에스테르, 이미다졸, 옥시카보닐 아미다졸, 이민, 티올, 말레이미드, 비닐설폰, 에틸렌이민, 티오에테르,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디설파이드 및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백질과 공유결합하는 관능기가 결합된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케어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응식 1, 3, 5에서와 같이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1차 반응시켜 생성된 카르보디이미드기가 결합된 표면 개질 성분(케어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응성 표면 개질 성분(케어 성분)을 포함하는 표면 개질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개질 조성물(케어 성분)을 화장품으로 제형화 함에 있어 부수적으로 효과 증대를 위하여 팔미틱산(palmitic acid), 스테아릭산(stearic acid) 등의 지방산, 지방알콜, 직쇄와 분기쇄의 장쇄 알킬 4급 암모늄염 등의 양이온화 계면활성제,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양이온화 구아, 양이온화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양이온화 폴리머, 실리콘 등과 혼용하면 제제화가 용이해 질 수 있다. 또한, 화장품 제제로의 제형화를 위하여 용제, 계면활성제, 증점제, 안정화제, 방부제, 착색제, pH 조절제, 금속이온 봉쇄제, 착색제, 펄화제, 외관개선제, 안료, 분체입자 등의 화장품 제제화를 위한 성분들을 부수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제화를 위한 성분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3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표면 개질 조성물은 관능기를 가지는 피부 표면 개질 성분을 포함하여 피부 케어 제품 처방에 이용될 수 있다. 피부 케어 제품으로는 일반적으로 피부를 정돈, 보호용의 기초 화장품(화장수, 세럼, 에센스, 로션, 크림 등), 색조 화장품(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아이 쉐도우, 립글로즈, 립스틱, 립밤 등), 세정용 화장품(폼클린싱, 클린싱 오일, 클린싱 로션, 클린싱 크림, 클린싱 젤, 팩, 마스크, 비누, 클린싱 티슈 등), 선 케어 화장품(선 스프레이, 선크림, 선블록, 선 젤 등), 바디용 화장품(바디 워시, 바디로션, 샤워젤, 입욕제, 바디크림, 바디오일 등), 손발톱 케어 화장품(메니큐어, 영양제, 코팅제, 리무버, 염색, 문신, 큐티클 리무버 및 오일)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피부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표면 개질 조성물은 관능기를 가지는 모발 표면 개질 성분을 포함하여 모발 케어 제품 처방에 이용될 수 있다. 모발 케어 제품으로는 샴푸, 린스, 트린트먼트, 헤어 팩, 헤어 에센스, 왁스, 젤, 스프레이, 무스, 염모제, 탈색제, 펌제, 양모제, 발모제, 육모제, 모근 및 두피 활성화제, 스타일링, 코팅 및 피막형성제 등의 모발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케어용 조성물은 관능기를 가지는 섬유 케어 기능의 성분을 포함하여 섬유 케어용 조성물의 처방에 이용될 수 있다. 섬유 제품의 적용 예로는 일반적으로 섬유 유연제, 액상 세제, 분말 세제, 시트형 세제, 섬유 염색제, 섬유트리트먼트, 섬유린스, 표백제, 부분오염처리제, 섬유 스타일링제, 다림질보조제, 의류 보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발명에 따른 표면 개질 조성물(케어 조성물)은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면서 동시에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피부 표면 개질 성분을 포함하게 되고, 위의 제제가 수계에서 활성이 저하되는 경우에는, 비수계 제형에서 그 활성을 유지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며, 사용 직전에 pH 조절을 위하여 완충액(buffer)과 혼합하거나, 세정과정에서 물과 접촉하는 방법으로 반응이 일어나도록 할 수도 있다. 비수계 제형의 예로는 통상의 비수계 화장품 제제로서 사용되는 액상형, 시트형, 분말 분체형, 정제형, 오일, 왁스, 앰플, 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과 표면 개질 성분(케어 성분)을 캡슐화 형태의 단일제 또는 각각 분리된 형태의 2제로 제형화할 수 있다. 또한, 캡슐화를 통해 반응성을 가지는 관능기와 표면 개질 기능을 갖는 성분(케어 성분)이 결합된 형태의 유도체를 수분으로부터 차단하는 방법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개질 조성물(케어 조성물)에서 관능기를 가지는 표면 개질 효과(케어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디옥틸 석시네이트, 디옥틸 아디페이트, 디에틸 세바케이트 등과 같은 2-염기산 에스텔유와 폴리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부타네디올 및 그들의 이성체, 글리세롤, 벤질 알코올, 에톡시디글리콜 및 그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용제는 피부, 모발 또는 섬유의 침투성을 증가시키며 난용성 물질의 용제로서 이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관능기를 가지는 표면 개질 성분(케어 성분)의 활성 유지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제는 디에틸 세바케이트, 에톡시글리콜, 비스-에톡시글리콜 시클로헥산 1,4-디카복실레이트 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8 및 실시예 1~4: 바디 워시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과 함량으로 일반적으로 바디 워시에 컨디셔닝 성분으로 사용되는 스핑고신(Spingosine), 피부 윤택 및 광채 부여 성분으로 사용되는 아모디메치콘(Amodimethicone), 피부 보습 성분으로 사용되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피부 및 네일 염색 목적으로 사용되는 적색 227호를 함유하면서 카르보디이미드계 폴리머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 내지 4 및 카르보디이미드계 폴리머로 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를 포함하는 비교예 5 내지 8 및 본 발명의 카르보디 이미드계폴리머인 1,1'-methylene-bis-(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폴리머를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4의 바디워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Water 55 55 55 55 54 54 54 54 54 54 54 54
Polyquaternium-7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EDTA 4Na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Lauric Acid 3 3 3 3 3 3 3 3 3 3 3 3
Myristic acid 4 4 4 4 4 4 4 4 4 4 4 4
Sodium Lauryl Ether(2mole) Sulfate(3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Cocamidopropyl Betaine(30%)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0.9 0.9 0.9 0.9 0.9 0.9 0.9 0.9 0.9 0.9 0.9 0.9
Sphingosine 1 - - - 1 - - - 1 - - -
Amodimethicone - 1 - - - 1 - - - 1 - -
Hyaluronic Acid - - 1 - - - 1 - - - 1 -
적색 227호 - - - 1 - - - 1 - - - 1
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 - - - 1 1 1 1 - - - -
1,1'- methylene-bis-(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 - - - - - - - 1 1 1 1
pH 조정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실험예 1: 컨디셔닝, 광채, 보습 및 염색 효과 확인
비교예 1~8 및 실시예 1~4의 바디워시 조성물로 가로세로 각각 2cm X 2cm 크기의 시험용 돼지 피부를 이용하여, 각각 10회 세정하여 표면 개질을 유도하고 각각의 피부 시편을 세정 계면활성제인 소듐라우릴에틸설페이트 15% 용액으로 3회 세정하여 공유결합이 형성되지 못하고 단순 흡착된 성분을 제거한 후 처리된 피부 시편을 이용하여 피부 컨디셔닝 특성(관능 평가, 5점 척도[5점: 매우 우수, 4점: 약간 우수, 3점: 보통, 2점 약간 나쁨, 1점 매우 나쁨], n=30), 빛의 반사율 측정을 통한 피부 윤기 측정장치 및 스키콘을 이용한 보습, 색차계를 이용한 적색도 증가율을 각각 처리하지 않는 피부 시편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표시하였다.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컨디셔닝 효과 2.7 - - - 3.9 - - - 4.7 - - -
광채 증대율(%) - 3.5 - - - 17.6 - - - 46.3 - -
함수 증가율(%) - - 2.3 - - - 26.5 - - - 48.7 -
적색도증가율(%) - - - 15.9 - - - 32.3 - - - 48.6
상기 표 2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1~4는 피부 컨디셔닝, 피부 광채, 보습, 염색에 의한 적색도 증대 효과가 비교예 1~8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4에서 사용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대신에 다음 표 3에 기재된 화합물로 대체하는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4와 동일한 성분으로 바디워시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상기 바디워시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측정방법으로 표면 개질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3과 같다.
화합물명 피부컨디셔닝 (5점척도) 피부광채 증대율 (%) 함수 증가율 (%) 적색도 증가율 (%)
1,3-Bis(isocyanatomethyl)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4.3 43.6 46.7 46.3
Benzene-1,3-diisocyanat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4.1 43.2 45.3 44.2
Hexamethylene diisocyanat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4.0 42.2 44.6 44.1
PEG 600 diisocyanat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4.6 45.7 47.3 47.6
Diphenylmethane-2,2'-diisocyanat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4.5 45.0 46.9 46.6
Isophorone diisocyanat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4.3 44.5 45.2 46.0
비교예 9~14 및 실시예 5~7: 바디워시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4에 나타낸 조성과 함량으로 일반적으로 피부 미백에 사용하는 나이아신 아마이드(Niacinamide), 피부 주름 방지 성분으로 사용되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피부 각질 케어에 사용되는 살리실산(Salicylic Acid)을 함유하면서 카르보디이미드계 폴리머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9 내지 11 및 카르보디이미드계 폴리머로 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를 포함하는 비교예 12 내지 14 및 본 발명의 카르보디 이미드계폴리머인 1,1'-methylene-bis-(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폴리머를 포함하는 실시예 5 내지 7의 바디워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중량%) 비교예 9 비교예 10 비교예 11 비교예 12 비교예 13 비교예 1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Water 55 55 55 54 54 54 54 54 54
Polyquaternium-7 0.5 0.5 0.5 0.5 0.5 0.5 0.5 0.5 0.5
EDTA 4Na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Lauric Acid 3 3 3 3 3 3 3 3 3
Myristic acid 4 4 4 4 4 4 4 4 4
Sodium Lauryl Ether(2mole) Sulfate(30%) 20 20 20 20 20 20 20 20 20
Cocamidopropyl Betaine(30%) 15 15 15 15 15 15 15 15 15
0.9 0.9 0.9 0.9 0.9 0.9 0.9 0.9 0.9
Niacinamide 1 - - 1 - - 1 - -
Hyaluronic Acid - 1 - - 1 - - 1 -
Salicylic Acid - - 1 - - 1 - - 1
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 - - 1 1 1 - - -
1,1'- methylene-bis-(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 - - - - - 1 1 1
pH 조정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실험예 3: 미백, 주름 개선 및 각질 개선 효과 확인
비교예 9~14 및 실시예 5~7의 바디워시 조성물 각각을 미백, 주름, 각질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패널 각각을 대상으로 매 10명의 평가자들에게 20일 동안 매일 사용하게 한 후, 그 후 10일 동안은 일반적인 바디워시를 사용하게 하여, 20일 사용 직후 개선 정도와 10일 후 효과 지속력에 대한 만족도를 5점 척도[5점: 매우 우수, 4점: 약간 우수, 3점: 보통, 2점 약간 나쁨, 1점 매우 나쁨]의 관능으로 평가하게 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표시하였다.
 구분 비교예 9 비교예 10 비교예 11 비교예 12 비교예 13 비교예 1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미백(개선도, 유지력) (1.7, 2.5) - - (3.5, 3.9) - - (4.2, 4.5) - -
주름(개선도, 유지력) - (1.9, 2.3) - - (3.7, 4.0) - - (4.5, 4.3) -
각질(개선도, 유지력) - - (1.2, 1.9) - - (3.4, 4.0) ,- - (4.7, 4.3)
상기 표 5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5~7은 미백, 주름, 각질 케어 효과 면에서 비교예 9~14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상기 실시예 5~7에서 사용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대신에 다음 표 6에 기재된 화합물로 대체하는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5~7과 동일한 성분으로 바디워시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상기 바디워시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한 측정방법으로 표면 개질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6과 같다.
화합물명 미백(개선효과,유지력)(5점척도) 주름(개선효과,유지력)(5점척도) 각질(개선효과,유지력)(5점척도)
1,3-Bis(isocyanatomethyl)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4.0,4.2) (4.4,4.0) (4.4,4.2)
Benzene-1,3-diisocyanat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4.0,4.1) (4.1,4.0) (4.3,4.1)
Hexamethylene diisocyanat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3.9,4.1) (3.8,4.0) (4.0,4.0)
PEG 600 diisocyanat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4.0,4.2) (4.3,4.3) (4.5,4.2)
Diphenylmethane-2,2'-diisocyanat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4.0,4.1) (4.2,4.2) (4.3,4.2)
Isophorone diisocyanat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3.9,4.1) (4.0,4.1) (4.2,4.1)
비교예 15~22 및 실시예 8~11: 샴푸 조성물 제조
하기 표 7에 나타낸 조성과 함량으로, 일반적으로 모발 샴푸에 컨디셔닝 성분으로 사용되는 스테아릴아미도프로필 아민(Stearylamidopropyl Amine), 컨디셔닝(모발 윤기) 성분으로 사용되는 페닐아모디메치콘(Phenyl Amodimethicone), 컨디셔닝(모발 굵기 증대) 성분으로 사용되는 폴리라이신(Poly Lysine), 모발 보습 성분으로 사용되는 키토산 폴리머를 함유하면서 카르보디이미드계 폴리머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5 내지 18; 카르보디이미드계 폴리머로 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를 포함하는 비교예 19 내지 22; 및 본 발명의 카르보디이미드계 폴리머인 1,1'-methylene-bis-(4-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폴리머를 포함하는 실시예 8 내지 11의 모발용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중량%) 비교예 15 비교예 16 비교예 17 비교예 18 비교예 19 비교예 20 비교예 21 비교예 22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Water 47 47 47 47 46 46 46 46 46 46 46 46
Polyquaternium-10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EDTA 4Na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Sodium Lauryl Ether(2mole) Sulfate(30%) 35.0 35.0 35.0 35.0 35.0 35.0 35.0 35.0 35.0 35.0 35.0 35.0
Cocamidopropyl Betaine(3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0.9 0.9 0.9 0.9 0.9 0.9 0.9 0.9 0.9 0.9 0.9 0.9
Stearylamidopropyl Amine 1.0 - -   1.0 - -   1.0 - - -
Phenyl Amodimethicone - 1.0 -   - 1.0 -   - 1.0 - -
Poly-Lysine - - 1.0   - - 1.0   - - 1.0 -
Chitosan Polymer - - - 1.0 - - - 1.0 - - - 1.0
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 - -   1.0 1.0 1.0 1.0 - - - -
1,1'- methylene-bis-(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 - -   - - -   1.0 1.0 1.0 1.0
pH 조정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실험예 5: 컨디셔닝 및 보습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8~11 및 비교예 15~22의 샴푸 조성물로 길이 12cm, 무게 3g의 헤어트레스를 각각 10회 샴푸하여 표면 개질을 유도하고 각각의 트레스를 세정 계면활성제인 소듐라우릴에틸설페이트 15% 용액으로 3회 세정하여 공유결합이 형성되지 못하고 단순 흡착된 성분을 제거한 후 처리된 헤어 트레스를 이용하여 컨디셔닝 특성(관능 평가, 5점 척도[5점: 매우 우수, 4점: 약간 우수, 3점: 보통, 2점 약간 나쁨, 1점 매우 나쁨], n=30), 윤기(빛의 반사율 측정을 통한 모발 윤기 측정장치 이용), 모발 굵기(레이져를 이용한 모발 굵기 측정 장치) 및 보습(보습력 측정장치 이용) 효과에 대하여, 처리하지 않은 모발 트레스 대비 증대율 결과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표시하였다.
구분 비교예 15 비교예 16 비교예 17 비교예 18 비교예 19 비교예 20 비교예 21 비교예 22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컨디셔닝 효과 2.3 - - - 3.7 - - - 4.5 - - -
윤기 증대율(%) - 1.2 - - - 28 - - - 53 - -
굵기 증가율(%) - - 0.23 - - - 3.6 - - - 7.3 -
모발 함수율(%) - - - 10.3 - - - 17.2 - - - 25.6
상기 표 8과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8~11의 경우, 컨디셔닝, 윤기, 모발 굵기 및 보습 효과가 비교예 15~22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상기 실시예 8~11에서 사용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대신에 다음 표 9에 기재된 화합물로 대체하는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8~11과 동일한 성분으로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상기 샴푸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 실험예 5와 동일한 측정방법으로 표면 개질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9와 같다.
화합물명 모발컨디셔닝(5점 척도) 모발윤기증대율(%) 모발굵기증가율(%) 모발함수율(%)
1,3-Bis(isocyanatomethyl)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4.3 48 7.2 24.3
Benzene-1,3-diisocyanat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4.1 45 6.9 24.0
Heaxmethylene diisocyanat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4.0 44 6.6 23.6
PEG 600 diisocyanat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4.6 51 7.0 25.1
Diphenylmethane-2,2'-diisocyanat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4.4 49 6.8 24.8
Isophorone diisocyanat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4.4 47 6.6 24.0
비교예 23~26 및 실시예 12~13: 샴푸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0에 나타낸 조성과 같은 함량으로 일반적으로 모발 샴푸에 염료 성분으로 사용되는 적색 227호, 갈라진 모발의 접합이 가능한 구조의 라우릴 디아민(Lauryl Diamine)을 함유하면서 카르보디이미드계 폴리머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23, 24 및 카르보디이미드계 폴리머로 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를 포함하는 비교예 25, 26 및 본 발명의 카르보디 이미드계폴리머인 1,1'- methylene-bis-(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폴리머를 포함하는 실시예 12, 13의 모발용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중량%) 비교예 23 비교예 24 비교예 25 비교예 26 실시예 12 실시예 13
Water 47 47 46 46 46 46
Polyquaternium-10 0.5 0.5 0.5 0.5 0.5 0.5
EDTA 4Na 0.05 0.05 0.05 0.05 0.05 0.05
Sodium Lauryl Ether(2mole) Sulfate(30%) 35.0 35.0 35.0 35.0 35.0 35.0
Cocamidopropyl Betaine(30%) 15.0 15.0 15.0 15.0 15.0 15.0
0.9 0.9 0.9 0.9 0.9 0.9
적색 227호 1.0 - 1.0 - 1.0 -
Lauryl Diamine - 1.0 - 1.0 - 1.0
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 - 1.0 1.0 - -
1,1'- methylene-bis-(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 - - - 1.0 1.0
pH 조정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실험예 7: 염색 및 생체 접합 효과 확인
본 샴푸 조성물 비교예 23, 25, 실시예 12를 이용하여 백색 야크모 트레스를 각각 10회 샴푸하였고, 샴푸 조성물 비교예 24, 26 및 실시예 13을 이용하여 끝이 갈라진 모발 30 가닥씩을 각각 10회 샴푸하여 표면 개질을 유도하고 각각의 트레스를 세정 계면활성제인 소듐라우릴에틸설페이트 15% 용액으로 3회 세정하여 공유결합이 형성되지 못하고 단순 흡착된 성분을 제거한 후 처리된 헤어 트레스를 야크모의 경우 색차계를 이용하여 적색도의 변화를 확인하였고, 갈라진 모발의 경우 현미경으로 갈라진 모발의 회복을 확인하여 비교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표시하였다.
구분 비교예 23 비교예 24 비교예 25 비교예 26 실시예 12 실시예 13
적색도 증대율(%) 13 - 27 - 49 -
지모 접합율(%) - 0 - 35 - 48
상기 표 11과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12, 13의 경우, 염색 및 생체 접합 효과가 비교예 23~25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8
상기 실시예 12~13에서 사용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대신에 다음 표 9에 기재된 화합물로 대체하는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2~13과 동일한 성분으로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상기 샴푸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 실험예 7과 동일한 측정방법으로 표면 개질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12와 같다.
화합물명 적색도증가율(%) 지모접합율(%)
1,3-Bis(isocyanatomethyl)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45 42
Benzene-1,3-diisocyanat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43 40
Hexamethylene diisocyanat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40 41
PEG 600 diisocyanat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47 46
Diphenylmethane-2,2'-diisocyanat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45 45
Isophorone diisocyanat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42 43
비교예 27~32 및 실시예 14~16: 섬유 세제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3에 나타낸 조성과 함량으로 일반적으로 액상 세탁세제에 정전기 방지 성분으로 사용되는 Stearylamidopropyl Amine, 섬유 유연 성분으로 사용되는 Amodimethicone, 소취 성분으로 사용되는 mono-(6-ethanediamine-6-deoxy)-beta-cyclodextrin을 함유하면서 카르보디이미드계 폴리머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27 내지 29 및 카르보디이미드계 폴리머로 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를 포함하는 비교예 30 내지 32 및 본 발명의 카르보디 이미드계폴리머인 1,1'- methylene-bis-(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폴리머를 포함하는 실시예 14~16의 섬유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중량%) 비교예 27 비교예 28 비교예 29 비교예 30 비교예 31 비교예 32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Water 57.1 57.1 57.1 56.1 56.1 56.1 56.1 56.1 56.1
Lauryl Sulfate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Laurylalcohol Ethoxylate(12mole)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
Lauric Acid 4.0 4.0 4.0 4.0 4.0 4.0 4.0 4.0 4.0
소듐트리포스페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0.9 0.9 0.9 0.9 0.9 0.9 0.9 0.9 0.9
Stearylamidopropyl Amine 1.0 -   1.0 -   1.0 - -
Amodimethicone - 1.0   - 1.0   - 1.0 -
mono-(6-ethanediamine-6-deoxy)-beta-cyclodextrin - - 1.0 - - 1.0 - - 1.0
Benzene, 1,3-bis(1-isocyanato-1-methylethyl)-,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 -   1.0 1.0 1.0 - - -
1,1'- methylene-bis-(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 -   - -   1.0 1.0 1.0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실험예 9: 정전기 방지, 유연 및 소취 효과 확인
상기 비교예 27~32 및 실시예 14~16의 세제 조성물로 가로 X 세로 각각 5cm X 5cm의 표준 울포를 각각 10회 세탁하여 표면 개질을 유도하고 각각의 울포를 세정 계면활성제인 소듐라우릴에틸설페이트 15% 용액으로 3회 세정하여 공유결합이 형성되지 못하고 단순 흡착된 정전기 방지, 유연, 소취 성분을 제거한 후 처리된 울포를 이용하여 정전기 측정장치, 유연 및 소취 특성(관능 평가, 5점 척도[5점: 매우 우수, 4점: 약간 우수, 3점: 보통, 2점 약간 나쁨, 1점 매우 나쁨], n=30)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4에 표시하였다.
 구분 비교예 27 비교예 28 비교예 29 비교예 30 비교예 31 비교예 32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정전기 방지율(%) 10.2 - - 38.6 - - 52.4 - -
유연효과(감성, 5점척도) - 2.7 - - 3.9 - - 4.3 -
소취(관능, 5점척도) - - 2.5 - - 3.9 - - 4.5
상기 표 14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14~16은 정전기 방지, 유연, 소취 효과 면에서 비교예 27~32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0
상기 실시예 14~16에서 사용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대신에 다음 표 9에 기재된 화합물로 대체하는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4~16과 동일한 성분으로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상기 세제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 실험예 9와 동일한 측정방법으로 표면 개질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15와 같다.
화합물명 정전기 방지율(%) 유연 효과(감성, 5점 척도) 소취(관능, 5점 척도)
1,3-Bis(isocyanatomethyl)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50.6 4.1 4.3
Benzene-1,3-diisocyanat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48.2 4.1 4.2
Hexamethylene diisocyanat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45.3 4.0 4.0
PEG 600 diisocyanat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50.1 4.2 4.4
Diphenylmethane-2,2'-diisocyanat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49.6 4.2 4.1
Isophorone diisocyanat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48.7 4.1 4.2
제제예 1: 바디워시 제조
일반적인 바디워시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 표 16의 바디워시를 제조하였다.
구분 컨디셔닝 바디워시 피부 광채 바디워시 보습 바디워시 염색 바디워시 미백 바디워시 주름 바디워시 각질케어 바디워시
원료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Water 52.5 52.5 53 54.5 52.5 53 52.5
Polyquaternium-7 0.5 0.5 0.5 0.5 0.5 0.5 0.5
EDTA 4Na 0.1 0.1 0.1 0.1 0.1 0.1 0.1
Lauric Acid 3.0 3.0 3.0 3.0 3.0 3.0 3.0
Myristic acid 4.0 4.0 4.0 4.0 4.0 4.0 4.0
Sodium Lauryl Ether(2mole) Sulfate(3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Cocamidopropyl Betaine(3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0.9 0.9 0.9 0.9 0.9 0.9 0.9
Sphingosine 2.0 - - - - - -
Amodimethicone - 2.0 - - - - -
적색 227호 - - - 0.2 - - -
Niacinamide - - - - 2.0 - -
Hyaluronic Acid 0.5 0.5 2.0 0.5 0.5 2.0 0.5
Salicylic Acid - - - - - - 2.0
1,1'- methylene-bis-(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0 1.0 1.0 1.0 1.0 1.0 1.0
pH 조정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제제예 2: 피부 케어 제품 제조(미백 미스트 , 로션, 크림, 팩)
일반적인 미스트, 로션, 크림, 팩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 표 17의 미스트, 로션, 크림, 팩을 각각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미백 미스트 미백 로션 미백 크림 미백 팩
Niacinamide 2.0 2.0 2.0 2.0
1,1'- methylene-bis-(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0 1.0 1.0 1.0
글리세린 3.0 3.0 3.0 3.0
부틸렌글리콜 3.0 3.0 3.0 -
프로필렌글리콜 3.0 3.0 -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0.1 0.1 -
폴리비닐알콜 - - - 15.0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3 - - 0.5
폴리솔베이트 80 0.5 - - -
폴리솔베이트 60 - 1.5 1.5 1.5
솔비타세스퀴올레이트 - 1.5 - -
솔비탄스테아레이트 - - 0.5 -
유동파라핀 - 0.5 10.0 -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 5.0 5.0 -
스쿠알란 - 5.0 5.0 -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 - 2.0 -
에탄올 10.0 - - -
트리에탄올아민 0.1 0.1 0.1 -
세테아릴알콜 - 1.0 - -
밀납 - 5.0 - -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Buffer(pH 5.5)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0 100.0 100.0 100.0
제제예 3: 컨디셔닝 샴푸 제조
일반적인 헤어 샴푸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 표 18의 컨디셔닝 헤어 샴푸를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
Water 44.6
Polyquaternium-10 0.5
EDTA 4Na 0.05
Sodium Lauryl Ether(2mole) Sulfate(30%) 35.0
Cocamidopropyl Betaine(30%) 15.0
0.9
Stearylamidopropyl Amine 1.0
1,1'-methylene-bis-(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0
pH 조정제 적량
합계 100.0
제제예 4: 헤어 제품 제조(컨디셔닝 미스트 , 로션, 크림, 팩)
일반적인 헤어 컨디셔닝 미스트, 로션, 크림, 팩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 표 19의 컨디셔닝 헤어 제품을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컨디셔닝 미스트 컨디셔닝로션 컨디셔닝크림 컨디셔닝 팩
스테아릴아미도프로필아민 1 1 1 1
페닐 아모디메치콘 1 1 1 1
폴리라이신 1 1 1 1
키토산 폴리머 1 1 1 1
1,1'- methylene-bis-(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 1 1 1
글리세린 3 3 3 3
부틸렌글리콜 3 3 3 -
프로필렌글리콜 3 3 -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0.1 0.1 -
폴리비닐알콜 - - - 15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3 - - 0.5
폴리솔베이트 80 0.5 - - -
폴리솔베이트 60 - 1.5 1.5 1.5
솔비타세스퀴올레이트 - 1.5 - -
솔비탄스테아레이트 - - 0.5 -
유동파라핀 - 0.5 10 -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 5 5 -
스쿠알란 - 5 5 -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 - 2 -
에탄올 10 - - -
트리에탄올아민 0.1 0.1 0.1 -
세테아릴알콜 - 1 - -
밀납 - 5 - -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Buffer(pH 4.5)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제제예 5: 세탁 세제 제조
일반적인 섬유 세제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 표 20의 세탁세제를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
Water 54.1
Lauryl Sulfate 20.0
Laurylalcohol Ethoxylate(12mole) 7.00
Lauric Acid 4.0
Sodiumtriphosphate 10.0
0.9
Stearylamidopropyl Amine 1.0
Amodimethicone 1.0
mono-(6-ethanediamine-6-deoxy)-beta-cyclodextrin 1.0
1,1'- methylene-bis-(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0
합계 100.0
제제예 6: 섬유 유연제 제조
일반적인 섬유 유연제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 표 21의 세탁유연제를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
Water 88
이소스테아릴아민 0.5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5.0
Stearylamidopropyl Amine 1.0
Amodimethicone 1.0
mono-(6-ethanediamine-6-deoxy)-beta-cyclodextrin 1.0
1,1'- methylene-bis-(3-isocyanatocyclohexane)-, homopolymer, polyethylene glycol mono-Me-ether-blocked 1.0
에탄올 1.0
방부제, 항균제 적량
적량
합계 100.0

Claims (30)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피부 개질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개질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19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하기에 나열된 구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반복 단위 양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모노머를 나타내며, 여기서 두 개의 A는 서로 같은 구조의 호모 폴리머(Homo Polymer) 또는 서로 다른 구조의 헤테로 폴리머(Hetero Polymer)이고, 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00의 직쇄 또는 분기쇄 또는 고리형의 탄화수소; 또는 벤젠 고리형의 탄화수소;를 나타내며, 상기 탄화수소 분자의 일부에 이중 결합을 포함하거나; O, N, S, P 및 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치환된 형태이거나;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형태로 치환된 형태이거나; 또는 금속이온이 염 형태로 결합된 구조를 포함하며, m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20
  2.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피부 개질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개질용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21
    상기 화학식 2에서 A는 하기에 나열된 구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반복 단위 양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모노머를 나타내며, 여기서 두 개의 A는 서로 같은 구조의 호모 폴리머(Homo Polymer) 또는 서로 다른 구조의 헤테로 폴리머(Hetero Polymer)이고, n은 1 내지 1000의 정수이며, m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22
  3.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피부 개질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개질용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23
    상기 화학식 3에서, n은 1 내지 130의 정수이며, m은 1 내지 20의 정수이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에서 선택된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개질 성분은 항산화 성분; 컨디셔닝 성분; 보습 성분; 미백 성분; 자외선 차단 성분; 향 성분; 주름 방지 또는 개선 성분; 각질 케어 성분; 비듬, 가려움 예방 또는 개선 성분; 양모 또는 육모 촉진 성분; 여드름 방지 또는 항균 성분; 체취 억제 성분; 아토피 케어 성분; 모공 케어 성분; 제모 성분; 염료; 분체; 손발톱 케어 성분; 또는 생체 접합 성분인 피부 개질용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에서 선택된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개질 성분은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 히드록실기, 포스페이트기 또는 아민기를 포함하는 피부 개질용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에서 선택된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개질 성분은 피부 표면의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피부 개질용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는 이미도에스터, 아릴아자이드, 디아지린, 하이드록시메틸 포스핀, 펜타플루오로페닐에스터, 피리딜 디설파이드, 설포-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알콕시 아민, 하이드라자이드, 할로아세틸, 아자이드, 카보네이트, 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 아지리딘, 이소시아네이트, 티오시아네이트, 에폭사이드, 트레실레이트, 숙신이미드, 하이드록시숙신이미딜 에스테르, 이미다졸, 옥시카보닐 아미다졸, 이민, 티올, 말레이미드, 비닐설폰, 에틸렌이민, 티오에테르,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디설파이드 및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피부 개질용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에서 선택된 한 항에 있어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부인 피부 개질용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에서 선택된 한 항에 있어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피부 개질 성분이 캡슐화된 형태의 단일제로 제형화되거나;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피부 개질 성분이 각각 분리된 형태의 2제로 제형화된 피부 개질용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에서 선택된 한 항의 피부 표면 개질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케어 제품.
  1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모발 개질 성분을 포함하는 모발 개질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24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하기에 나열된 구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반복 단위 양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모노머를 나타내며, 여기서 두 개의 A는 서로 같은 구조의 호모 폴리머(Homo Polymer) 또는 서로 다른 구조의 헤테로 폴리머(Hetero Polymer)이고, 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00의 직쇄 또는 분기쇄 또는 고리형의 탄화수소; 또는 벤젠 고리형의 탄화수소;를 나타내며, 상기 탄화수소 분자의 일부에 이중 결합을 포함하거나; O, N, S, P 및 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치환된 형태이거나;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형태로 치환된 형태이거나; 또는 금속이온이 염 형태로 결합된 구조를 포함하며, m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25
  12.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모발 개질 성분을 포함하는 모발 개질용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26
    상기 화학식 2에서 A는 하기에 나열된 구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반복 단위 양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모노머를 나타내며, 여기서 두 개의 A는 서로 같은 구조의 호모 폴리머(Homo Polymer) 또는 서로 다른 구조의 헤테로 폴리머(Hetero Polymer)이고, n은 1 내지 1000의 정수이며, m은 1 내지 100의 정수 이다.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27
  13.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모발 개질 성분을 포함하는 모발 개질용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28
    상기 화학식 3에서, n은 1 내지 130의 정수이며, m은 1 내지 20의 정수이다.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에서 선택된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개질 성분은 항산화 성분; 컨디셔닝 성분; 자외선 차단 성분; 향 성분; 염료; 생체 접합 성분; 항균 성분; 또는 양모, 육모 또는 발모 성분인 모발 개질용 조성물.
  15.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에서 선택된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개질 성분은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 히드록실기, 포스페이트기 또는 아민기를 포함하는 모발 개질용 조성물.
  16.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에서 선택된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개질 성분은 모발 표면의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모발 개질용 조성물.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는 이미도에스터, 아릴아자이드, 디아지린, 하이드록시메틸 포스핀, 펜타플루오로페닐에스터, 피리딜 디설파이드, 설포-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알콕시 아민, 하이드라자이드, 할로아세틸, 아자이드, 카보네이트, 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 아지리딘, 이소시아네이트, 티오시아네이트, 에폭사이드, 트레실레이트, 숙신이미드, 하이드록시숙신이미딜 에스테르, 이미다졸, 옥시카보닐 아미다졸, 이민, 티올, 말레이미드, 비닐설폰, 에틸렌이민, 티오에테르,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디설파이드 및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모발 개질용 조성물.
  18.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에서 선택된 한 항에 있어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부인 모발 개질용 조성물.
  19.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에서 선택된 한 항에 있어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모발 개질 성분이 캡슐화된 형태의 단일제로 제형화되거나;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모발 개질 성분이 각각 분리된 형태의 2제로 제형화된 모발 개질용 조성물.
  20.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에서 선택된 한 항의 모발 표면 개질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모발 케어 제품.
  2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섬유 케어 성분을 포함하는 섬유 케어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29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하기에 나열된 구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반복 단위 양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모노머를 나타내며, 여기서 두 개의 A는 서로 같은 구조의 호모 폴리머(Homo Polymer) 또는 서로 다른 구조의 헤테로 폴리머(Hetero Polymer)이고, 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00의 직쇄 또는 분기쇄 또는 고리형의 탄화수소; 또는 벤젠 고리형의 탄화수소;를 나타내며, 상기 탄화수소 분자의 일부에 이중 결합을 포함하거나; O, N, S, P 및 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치환된 형태이거나;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형태로 치환된 형태이거나; 또는 금속이온이 염 형태로 결합된 구조를 포함하며, m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30
  22.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섬유 케어 성분을 포함하는 섬유 케어용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31
    상기 화학식 2에서 A는 하기에 나열된 구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반복 단위 양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모노머를 나타내며, 여기서 두 개의 A는 서로 같은 구조의 호모 폴리머(Homo Polymer) 또는 서로 다른 구조의 헤테로 폴리머(Hetero Polymer)이고, n은 1 내지 1000의 정수이며, m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32
  23.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섬유 케어 성분을 포함하는 섬유 케어용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PCTKR2016009505-appb-I000033
    상기 화학식 3에서, n은 1 내지 130의 정수이며, m은 1 내지 20의 정수이다.
  24.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중에서 선택된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케어 성분은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 히드록실기, 포스페이트기 또는 아민기를 포함하는 섬유 케어용 조성물.
  25.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중에서 선택된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케어 성분은 솝(비누), 알킬벤젠술포네이트, 알칸술포네이트, 알파올레핀술포네이트, 알파술포지방산에스테르, 알킬설페이트, 알킬에테르설페이트, 알콜에톡실레이트, 알킬페놀에톡실레이트, 지방산알칸올아마이드, 알킬아민옥사이드, 메틸글루카마이드, 알킬폴리글루코시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눔클로라이드,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알킬디메틸벤젠암모늄클로라이드, 에스테르쿼트, 아미노에스테르염, 알킬베타인, 알킬설포베타인, 탄산나트륨, 탄산칼슘, 규산나트륨, 소듐트리포스페이트, 니드로트리아세트산,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제올라이트, 소듐폴리카르복실레이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소듐하이드록시에탄디포스페이트, 소듐퍼보레이트, 소듐퍼카보네이트, 퍼옥사이드, 하이포클로라이트,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 소듐 파라 노나노일옥시벤젠설포네이트, 과탄산나트륨, 과붕산나트륨, 단백질분해효소, 지방분해효소, 전분분해효소, 팩틴분해효소, 셀룰로오스분해효소,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스타치, 셀룰로오스에테르,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린산/폴리옥시에틸렌 테레프타린산 공중합체, 지방산아미드, 지방산알칸올아미드, 아민옥사이드, 스틸벤, 코우마린, 비스벤자졸, 디스티릴바이페닐,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피리딘옥사이드, 향료, 사이클로덱스트린류, 황산나트륨, 실리콘 및 유도체, 알킬아민, 지방알콜, 지방산, 폴리에칠렌,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염화나트륨 및 초산나트륨, 동식물 및 광물 추출물, 폴리머류, 실리콘류, 지방알콜류, 지방산류, 왁스류, 에스테르류, 탄화수소, 알킬글리세릴에스테르류, 알킬아민류, 알킬아미도아민류, 세라마이드류, 다가알콜류, 당류, 계면활성제류, 분체 및 염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비타민류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섬유 케어용 조성물.
  26.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중에서 선택된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케어 성분은 섬유 표면의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섬유 케어용 조성물.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잔기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는 이미도에스터, 아릴아자이드, 디아지린, 하이드록시메틸 포스핀, 펜타플루오로페닐에스터, 피리딜 디설파이드, 설포-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알콕시 아민, 하이드라자이드, 할로아세틸, 아자이드, 카보네이트, 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 아지리딘, 이소시아네이트, 티오시아네이트, 에폭사이드, 트레실레이트, 숙신이미드, 하이드록시숙신이미딜 에스테르, 이미다졸, 옥시카보닐 아미다졸, 이민, 티올, 말레이미드, 비닐설폰, 에틸렌이민, 티오에테르,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디설파이드 및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섬유 케어용 조성물.
  28.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중에서 선택된 한 항에 있어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부인 섬유 케어용 조성물.
  29.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중에서 선택된 한 항에 있어서,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섬유 케어 성분이 캡슐화된 형태의 단일제로 제형화되거나;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및 섬유 케어 성분이 각각 분리된 형태의 2제로 제형화된 섬유 케어용 조성물.
  30.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중에서 선택된 한 항의 섬유 케어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섬유 케어 제품.
PCT/KR2016/009505 2015-08-27 2016-08-26 표면 개질용 조성물 WO2017034367A2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80046407.5A CN107920973B (zh) 2015-08-27 2016-08-26 表面改性用组合物
US15/753,067 US10799436B2 (en) 2015-08-27 2016-08-26 Composition for surface modification
JP2018506959A JP6873103B2 (ja) 2015-08-27 2016-08-26 表面改質用組成物
EP16839655.4A EP3342395A4 (en) 2015-08-27 2016-08-26 SURFACE MODIFICATION COMPOSITION
HK18113063.5A HK1253915A1 (zh) 2015-08-27 2018-10-12 表面改性用組合物
US16/909,197 US11612552B2 (en) 2015-08-27 2020-06-23 Composition for surface modification
US17/966,148 US20230088314A1 (en) 2015-08-27 2022-10-14 Composition For Surface Modif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21047 2015-08-27
KR20150121041 2015-08-27
KR10-2015-0121048 2015-08-27
KR10-2015-0121047 2015-08-27
KR1020150121048A KR101677006B1 (ko) 2015-08-27 2015-08-27 섬유 케어용 조성물
KR10-2015-0121041 2015-08-27
KR10-2016-0025892 2016-03-03
KR1020160025892A KR101663053B1 (ko) 2015-08-27 2016-03-03 모발 표면 개질용 조성물
KR1020160025891A KR101663055B1 (ko) 2015-08-27 2016-03-03 피부 표면 개질용 조성물
KR10-2016-0025891 2016-03-03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5/753,067 A-371-Of-International US10799436B2 (en) 2015-08-27 2016-08-26 Composition for surface modification
US16/909,197 Continuation US11612552B2 (en) 2015-08-27 2020-06-23 Composition for surface modif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34367A2 true WO2017034367A2 (ko) 2017-03-02
WO2017034367A3 WO2017034367A3 (ko) 2017-05-11

Family

ID=58100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9505 WO2017034367A2 (ko) 2015-08-27 2016-08-26 표면 개질용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0799436B2 (ko)
EP (1) EP3342395A4 (ko)
JP (1) JP6873103B2 (ko)
CN (1) CN107920973B (ko)
HK (1) HK1253915A1 (ko)
WO (1) WO2017034367A2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8502B2 (en) 2015-12-31 2018-08-28 L'oreal Nail polish compositions
WO2019006331A1 (en) * 2017-06-29 2019-01-03 L'oreal COMPOSITION CONTAINING COMPOUNDS polycarbodiimides
WO2019098774A1 (ko) * 2017-11-16 2019-05-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발, 피부 또는 섬유 처리용 조성물
KR20190072013A (ko) *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씨앤피코스메틱스 피부 쿨링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25304B1 (ko) * 2018-06-08 2019-09-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피부 또는 섬유 성분 소실 방지용 조성물
KR20190139798A (ko) * 2018-06-08 2019-12-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피부 또는 섬유 성분 소실 방지용 조성물
CN113730440A (zh) * 2021-09-14 2021-12-03 康博士日化集团有限公司 一种抑菌组合物以及包含其的口腔护理用品
US20220047487A1 (en) * 2018-10-31 2022-02-17 Henkel Ag & Co. Kgaa Composition of active ingredients, for care of human hai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73103B2 (ja) * 2015-08-27 2021-05-19 エルジー ハウスホールド アンド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表面改質用組成物
KR102031186B1 (ko) * 2017-01-11 2019-11-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단백질 강도 강화용 조성물
EP3543325A1 (en) * 2018-03-19 2019-09-25 Green Impact Holding AG Organic disinfecting agent
CA3110856A1 (en) * 2018-08-26 2020-03-05 Hair Plus Health Llc Methods and compositions to increase hair growth and/or prevent hair loss
WO2020111297A1 (ko) * 2018-11-28 2020-06-04 (주)에스디생명공학 타임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MX2021007695A (es) * 2018-12-27 2021-08-11 Colgate Palmolive Co Composiciones para el cuidado del hogar.
US11008533B2 (en) * 2018-12-27 2021-05-18 Colgate-Palmolive Company Home care compositions
JP2021109861A (ja) * 2020-01-15 2021-08-02 株式会社ブルーム・クラシック サーチュイン1活性化剤及びサーチュイン1活性化用皮膚化粧料
BR112022012569A2 (pt) * 2020-01-17 2022-09-27 Unilever Ip Holdings B V Composição tópica e método não terapêutico
US11241371B1 (en) * 2020-02-18 2022-02-08 Janis Isabel Carreras Skin protectant
CN111407697A (zh) * 2020-04-14 2020-07-14 广东润洁日化有限公司 一组去屑组合物
KR102474794B1 (ko) * 2020-07-13 2022-12-06 (주)아크 약초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용 동물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16194073A (zh) 2020-07-21 2023-05-30 化美有限责任公司 二酯化妆品制剂及其用途
EP4203907A2 (en) * 2020-08-25 2023-07-05 L'oreal Stable composition comprising polydatin
CN116157111A (zh) * 2020-09-25 2023-05-23 联合利华知识产权控股有限公司 保湿的抗菌组合物
KR102213669B1 (ko) * 2020-10-15 2021-02-08 (주)알피바이오 카페인 가용화 조성물
NL2026818B1 (en) * 2020-11-04 2022-06-24 Stahl Int B V Composition and process for leather dyeing with polycarbodiimides and dyes
EP4348266A1 (en) * 2021-05-26 2024-04-10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thods and systems for single cell protein analysis
US20230031385A1 (en) * 2021-07-20 2023-02-02 National Health Research Institutes Storage media for preservation of corneal tissue
WO2023130064A2 (en) * 2021-12-30 2023-07-06 Sincerus Pharmaceuticals, Inc. Improved anti-aging formula
KR102631370B1 (ko) * 2023-09-26 2024-02-01 주식회사 다정한마켓 반려견을 위한 귀 세정용 패드
CN117589545B (zh) * 2024-01-19 2024-04-12 武汉科技大学 一种用于透射电镜分析的纳米微粒样品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73179B1 (fr) * 1991-02-21 1993-06-11 Oreal Ceramid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s applications en cosmetique et en dermopharmacie.
JPH05124929A (ja) * 1991-10-30 1993-05-21 Pola Chem Ind Inc 化粧料
JP3715464B2 (ja) * 1998-04-20 2005-11-09 日清紡績株式会社 水性ジシクロヘキシルメタンカルボジイミド組成物
US6121406A (en) * 1998-04-20 2000-09-19 Nisshinbo Industries, Inc. Mixture of hydrophilic dicyclohexylmethanecarbodiimide
KR100419603B1 (ko) 2001-02-21 2004-02-25 주식회사 아르테크플러스 향 캡슐과 키토산을 함유한 섬유 유연제
FR2847806B1 (fr) 2002-11-29 2006-06-23 Oreal Procede de traitement cosmetique capillaire conferant aux cheveux des proprietes cosmetiques durables
US7220405B2 (en) * 2003-09-08 2007-05-2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eptide-based conditioners and colorants for hair, skin, and nails
US20080053835A1 (en) * 2004-09-29 2008-03-06 Kansai Paint Co., Ltd. Monomer Compou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Polymer Thereof, and Water-Based Curable Composition
KR101351467B1 (ko) 2007-01-05 2014-01-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또는 모발용 혼합형 퍼스널 케어 제품
JP5539623B2 (ja) 2008-03-27 2014-07-02 日清紡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カルボジイミド化合物、カルボジイミド組成物及び水性塗料組成物
CN102885698B (zh) * 2012-04-20 2016-12-21 张晓金 一种具备核、壳结构的超微胶体粉末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2009936B1 (ko) 2013-07-18 2019-08-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섬유 케어용 조성물
KR102006952B1 (ko) 2013-12-09 2019-08-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6954B1 (ko) * 2013-12-09 2019-08-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포접 화합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KR101453220B1 (ko) 2013-12-09 2014-10-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WO2015088126A1 (ko) * 2013-12-09 2015-06-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453216B1 (ko) * 2013-12-09 2014-10-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염색제 조성물
JP2017036342A (ja) 2013-12-17 2017-02-16 住友化学株式会社 水性エマルション
JP6873103B2 (ja) * 2015-08-27 2021-05-19 エルジー ハウスホールド アンド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表面改質用組成物
BR112018013493A2 (pt) 2015-12-31 2019-02-12 Oreal composições contendo policarbodiimidas para o tratamento de substratos queratinosos
WO2017117522A1 (en) 2015-12-31 2017-07-06 L'oreal Compositions containing polycarbodiimides and amino compounds for treating keratinous substrates
BR112018013452A2 (pt) * 2015-12-31 2019-02-12 Oreal composições contendo policarbodiimidas e polímeros de látex para tratamento de substratos queratinosos
US20170189314A1 (en) * 2015-12-31 2017-07-06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keratinous substrates
CN109069876A (zh) * 2015-12-31 2018-12-21 欧莱雅 用于处理角蛋白基质的含有聚碳化二亚胺和胶乳聚合物的组合物
EP3397346A1 (en) * 2015-12-31 2018-11-07 L'oreal Compositions containing polycarbodiimides and amino compounds for treating keratinous substrates
WO2017117526A1 (en) 2015-12-31 2017-07-06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keratinous substrates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8502B2 (en) 2015-12-31 2018-08-28 L'oreal Nail polish compositions
WO2019006331A1 (en) * 2017-06-29 2019-01-03 L'oreal COMPOSITION CONTAINING COMPOUNDS polycarbodiimides
WO2019098774A1 (ko) * 2017-11-16 2019-05-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발, 피부 또는 섬유 처리용 조성물
CN111356436A (zh) * 2017-11-16 2020-06-30 株式会社Lg生活健康 阳离子纤维素及包含其的毛发、皮肤或纤维处理用组合物
KR20190072013A (ko) *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씨앤피코스메틱스 피부 쿨링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40490B1 (ko) 2017-12-15 2019-11-05 주식회사 씨앤피코스메틱스 피부 쿨링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25304B1 (ko) * 2018-06-08 2019-09-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피부 또는 섬유 성분 소실 방지용 조성물
KR20190139798A (ko) * 2018-06-08 2019-12-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피부 또는 섬유 성분 소실 방지용 조성물
KR102415236B1 (ko) 2018-06-08 2022-06-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피부 또는 섬유 성분 소실 방지용 조성물
US20220047487A1 (en) * 2018-10-31 2022-02-17 Henkel Ag & Co. Kgaa Composition of active ingredients, for care of human hair
CN113730440A (zh) * 2021-09-14 2021-12-03 康博士日化集团有限公司 一种抑菌组合物以及包含其的口腔护理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34367A3 (ko) 2017-05-11
JP2018528187A (ja) 2018-09-27
CN107920973A (zh) 2018-04-17
US11612552B2 (en) 2023-03-28
US20230088314A1 (en) 2023-03-23
US10799436B2 (en) 2020-10-13
JP6873103B2 (ja) 2021-05-19
EP3342395A4 (en) 2019-02-20
US20200345599A1 (en) 2020-11-05
EP3342395A2 (en) 2018-07-04
CN107920973B (zh) 2021-05-07
HK1253915A1 (zh) 2019-07-05
US20180193236A1 (en) 2018-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34367A2 (ko) 표면 개질용 조성물
CN105813626B (zh) 含有碳二亚胺类化合物的组合物
KR102401790B1 (ko) 피부 표면 개질용 조성물
KR101139979B1 (ko) 피부 타이트닝 조성물 중의 개질 대두 단백질
KR102415076B1 (ko) 모발 표면 개질용 조성물
US20060093571A1 (en) Hair and skin protecting compositions based on esters or ethers of betulin
KR20140119091A (ko) 말단-관능화된 이온성 실리콘을 함유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
KR20040021685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용 및/또는 약학적 제제
WO2017099436A1 (ko) 표면 개질용 기능성 조성물
KR20030005206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제제
CN109310620A (zh) 一种护发组合物
KR102166919B1 (ko) 섬유 케어용 조성물
KR101677006B1 (ko) 섬유 케어용 조성물
EP1697006B2 (de) Verwendung von peptiden zum schutz der haut vor haarbehandlungsmitteln
KR102006954B1 (ko) 포접 화합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WO2022114681A1 (ko) 효능물질의 전달이 강화된 세정제 조성물
KR102010440B1 (ko)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JP2023094350A (ja) 毛髪化粧料
JP2021075466A (ja) 乳酸エステル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396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506959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839655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