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5206A -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제제 - Google Patents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5206A
KR20030005206A KR1020027011040A KR20027011040A KR20030005206A KR 20030005206 A KR20030005206 A KR 20030005206A KR 1020027011040 A KR1020027011040 A KR 1020027011040A KR 20027011040 A KR20027011040 A KR 20027011040A KR 20030005206 A KR20030005206 A KR 20030005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cid
plant
mourera fluviatilis
mour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1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뽈리쥘르
모제필리쁘
프레이스올가
Original Assignee
코니스 프랑스,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니스 프랑스,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코니스 프랑스,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30005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520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에 관한 것이며, 상기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또는 약학 제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제제{COSMETIC PREPARATIONS CONTAINING PLANT EXTRACTS}
수년동안, 다양한 작물의 식물 추출물이 의료용 및 화장료 목적용으로 사용되어왔다. 항상 새로운 식물이 추출되었으며, 신규하고 다른 작용 특성분포를 갖는 추출물을 찾기 위한 탐구로 상기 추출물의 화장료 효과에 대해서 연구되었다. 가치가 아직 알려지지 않고, 외래산이며 대수롭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는 수많은 식물이 특히 화장료 분야에서 현재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오늘날, 소비자는 화장료 제제를 다양한 조합으로 이용하고 있다. 소비자는 이러한 화장료가 일정한 케어 효과를 갖거나 일정한 결점을 없앨 것을 기대할 뿐만 아니라, 이들이 수개의 특성을 결합하여 개선된 성능 특성분포를 나타내는 요구 산물을 점점더 기대하고 있다. 저장 안정성, 광안정성 및 제형성과 같은 화장료 제품의 기술적 특성에 양성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동시에 예를 들어 케어, 보습, 자극 방지, 염증 억제 효과, 및/또는 피부 및/또는 헤어에 대한 햇빛 보호 특성을 부여하는 활성 소인을 나타내는 물질에 대해서 특히 관심이 있다. 또한, 소비자는 높은 피부학적 적합성 및 상기 모든 특성을 갖는 천연물의 사용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특정 조성에 의한 높은 품질의 기술적 특성을 갖고, 또한 피부 및 헤어에 대한 추가적인 특성에 의해 특색을 갖는 화장료 및 약학 제제에 대한 일반적인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화장료, 더욱 구체적으로는 특정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제에 관한 것이며, 예를 들어 피부 치료용 화장료 및/또는 약학 제제로의 상기 식물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저장 안정성 및 피부학적 적합성과 같이 화장료 제형에 대한 요구를 충족하며, 또한 개선된 수분 조절, 케어 효과 및 인간 피부 및/또는 헤어에 대한 보호 특성을 갖는 화장료 및/또는 약학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하고자하는 또 다른 과제는, 지금까지 화장료적 사용을 위해 알려지지 않은 식물로부터의 식물 추출물을 얻는 것과, 화장료 및/또는 약학 제제에서 활성 소인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상기 추출물 성분을 만드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Mourera fluviatilis)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식물은 식물 전체 및 이의 부분(입, 꽃, 뿌리) 및 이의 조합인 것을 이해된다.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추출물은 포도스테마세아에(Podostemaceae) 과의 식물로부터 얻어지며,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의 추출물이다. 이 식물은 열대 빠른 조수(fast-flowing) 및 폭포 등에서 발견되는 "줄기 섬유(stalk fiber)" 식물 중의 하나이다. 이 식물은 북서 아메리카 및 프랑스령 가이아나가 본산지이며, 또한 "쿠마로우 샐러드(Coumarou salad)"로서 알려져 있다. 이 식물은 이중 표피 포엽을 갖는 총상 꽃차례(racemose inflorescence)를 갖는다. 이들 꽃차례는 14 내지 40 개의 꽃밥(anther)를 함유한다.
추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추출물은 식물 또는 그의 부분을 추출하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침용 (maceration), 재침용(remaceration), 소화(digestion), 교반 침용, 와동 침용 (vortex marceration), 초음파 추출, 역류 추출, 삼출(percolation), 재삼출 (repercolation), 에바콜레이션(evacolation; 감압하에서의 추출), 디아콜레이션 (diacolation), 속슬렛(Soxhlet) 추출기내에서의 연속 환류하의 고체/액체 추출 등과 같은 다른 여러 적당한 추출 방법의 특정예들이, 예를 들어 문헌 [Hagers Handbuch der pharmazeutischen Praxis (5th Edition, Vol. 2, pp. 1026-1030, Springer Verlag, Berlin-Heidelberg-New York 1991)]에서 찾아질 수 있으며, 이들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원칙적으로는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추출 전에 기계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는 건조 식물 및/또는 식물부분이 일반적으로 사용될지라도, 신선한 식물 또는 그의 부분들도 출발물질로서 적당하다. 예를 들어 막자 사발에서의 분쇄와 같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크기 줄임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추출 과정에 바람직한 용매는 유기 용매, 물(증류수 또는 비증류수,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의 온도로 가열된 물이 바람직함) 또는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물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다소 많은 함량의 물을 갖는 저분자량 알콜, 에스테르, 탄화수소, 케톤 또는 할로겐화 탄화수소이다. 물, 메탄올, 에탄올, 펜탄, 헥산, 헵탄, 아세톤,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틸 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메탄 및 이들의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추출 과정은 일반적으로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에서 수행된다. 하나의 가능한 구현예에 의하면, 추출 과정은 추출물 중의 활성 성분의 산화를 피하기 위해서 불활성 기체 대기하에서 수행된다. 추출 시간은 출발물질, 추출방법, 추출 온도, 및 원료물질에 대한 용매의 비율 등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선택된다. 추출 단계 후, 수득된 조추출물(crude extract)은 선택적으로 예컨대 정제, 농축 및/또는 탈색 등과 같은 다른 전형적인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추출물은, 요구된다면 예를 들어 개개의 원치 않은 성분의 선별적 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추출 과정은 임의의 정도로 수행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소진될 때까지 지속된다. 전형적인 수율(= 사용된 원료물질의 양에 대한 추출 건조물의 비율)은 3 내지 2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6 중량%의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은, 추출 조건 및 최종 추출물의 수율이 목적하는 적용법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는 관찰을 포함한다. 이어서, 추출물은, 요구된다면 스프레이 건조 또는 동결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또는 약학 제제에 관한 것이다.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에 기초한 화장료 및/또는 약학 제제는, 놀랍게도 우수한 피부 및 헤어 케어 효과, 및 스트레스, 다시 말해서 높은 피부학적 적합성에 관계된 환경적 영향에 대한 보호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제조되는 제제는 효과적인 수분조절 보습제이다. 한편, 상기 제조되는 제제는, 염증 반응 및 산화 유도성 피부노화 진행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높은 항산화력에 의해 구별되며; 동시에, 본 화장료 제제는 산화 분해(악화)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상기 수득되는 생성물은 UV 조사에 의한 인간 섬유아세포 및 케라티노사이트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어, 화장료내에서 햇빛 보호 인자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제제내에 사용되는 식물 추출물의 양은 개개의 성분의 농도, 추출물이 사용되는 방식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식물 추출물은 최종 화장료 및/또는 약학 조성물에 대해 0.01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단, 상기 양은 다른 보조제 및 첨가제와 함께, 그리고 물과 함께 100 중량% 이하로 첨가함). 보조제 및 첨가제의 총 함량은 최종 화장료 및/또는 약학 제제에 대해 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중량%이다. 본 제제는 표준 냉각 또는 가열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 전환 온도법에 의해 제조된다.
추출물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은, 일반적으로 사포닌, 플라본 유도체, 스테롤, 트리터펜(triterpene), 크산톤(xanthone) 유도체 및/또는 카로티노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성분을 함유한다. 이러한 성분들은 선택된 출발물질 및 추출방법에 따라 조성이 다르다.
본 발명에 관련된사포닌은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사포닌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들은 물중의 콜로이드성 비누-유사 용액을 형성할 수 있는 글리코시드군이다. 사포닌은 아글리콘(aglycone) 및 사포게닌의 특성에 따라 스테로이드 사포닌 및 트리터펜 사포닌으로 나누어진다.
본 발명에 관련된플라본 유도체는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들은 2-페닐-4H-1-벤조피란의 수소첨가, 산화 또는 치환산물이며; 수소첨가는 탄소 사슬의 2,3-위치에 이미 존재할 수 있고, 산화는 4-위치에 이미 존재할 수 있으며, 치환 산물은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를 히드록시 또는 메톡시 그룹으로 대체한 것임이 이해된다. 따라서, 상기 정의는 전통적인 관점에서 또한 플라반, 플라반-3-올 (카테콜), 플라반-3,4-디올(루코안토시아니딘), 플라본, 플라보놀 및 플라보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스테롤은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스테롤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들은 단지 C-3에서 히드록시기를 갖고 그외의 다른 관능기를 갖지 않는 스테로이드, 즉 전형적인 알콜이다. 또한, 27 내지 30 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스테롤은, 일반적으로 5/6 위치에서, 경우에 따라서 심지어는 7/8, 8/9 및 그외의 위치 (예컨대, 22/23)에서 C=C의 이중결합을 갖는다.
본 발명에 관련된트리터펜은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트리터펜이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트리터펜은 탄화수소 이소프렌의 중합 산물로서 간주될 수 있다. 트리터펜 (C30)은 세 개의 이소프렌 잔기로부터 형성된다. 가능한 트리터펜에 대한 다양한 다환 고리계는, 세개의 이소프렌 잔기의 각종 겹침 가능체(folding possibilities)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고리화는 주로 6-고리 [대부분 테트라사이클 트리터펜 (예컨대, 쿠쿠르비타신) 및 일부 펜타사이클 트리터펜 (예컨대, 루판) 을 가짐] 및 5-고리를 또한 제공한다. 6-고리는 의자형 및 보트형 모양으로 존재하고, 5-고리는 평면 또는 각진 모양이기 때문에, 수많은 다양한 골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크산톤유도체는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이들은 디벤조-감마-피론의 유도체이다. 또한, 크산톤 유도체는 9-크산테논 유도체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산톤 유도체는 바람직하게는 6-데옥시자카레우빈 및/또는 트라페즈폴리아크산톤이다. 또한, 9-크산테논은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 및/또는 메톡시 치환된 크산테논, 예컨대 겐티안산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크산테논의 유도체는 대부분 옅은 황색이며, 밝은 푸른 형광을 갖는다.
본 발명에 관련된카로티노이드는,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들은, 9 개의 콘쥬게이트된 이중결합, 8 개의 메틸 분기(가능한 고리구조를 포함) 및 분자의 하나의 말단에서 분자의 다른 하나의 말단 구조와는 다른 β-이오논 구조을 함유한 기본 골격을 갖는 11× 내지 12× 불포화 테트라터펜(tetraterpene)을 화학적으로 나타내는 물질이다. 전형적인 카로티노이드는, 예를 들어 β-카로텐 또는 프로비타민 A, α-카로텐, 루테인, 크립토크산틴, 제아크산틴 및 리코펜이 있다. 헨리치(Heinrich) 등은 전신 햇빛 보호제에서 카로티노이드의 사용에 대해서 기재하였다 [Parf. Kosm. 78, 10 (1997)].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구현예에 의하면,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의 추출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 형태의 미네랄을 함유한다. 주로 존재하는 상기 금속은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이다. 상기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은 이들의 염의 형태로 존재하지만, 주로 할로겐화물,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 인산화물, 탄산화물, 황산화물 또는 질산화물의 형태로 존재한다.
본 발명은, 특히 효과적인 화장료 제제가 식물 추출물 성분, 특히 상기 언급된 것들의 공동 작용을 통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의 여러가지 용도에 관한 것이며,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ㆍ 피부 및 헤어 케어 제제, 특히 스트레스에 대한 것;
ㆍ 수분조절 보습제.
케어 제제
본 발명에 관련된 케어 제제는, 헤어 및 피부 케어 제제인 것으로 이해된다. 이들 케어 제제는 특히 세정 및 회복 효과를 가지며, 수분조절 및 UV 보호 특성을 갖는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임의의 화장료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화장료 제품의 예로는 표 7 내지 표 15의 제형 형태에 기재되었다.
헤어 케어의 목적은, 가능한한 천연 상태로 재성장된 헤어를 생생하게 유지시키고, 손상이 일어났을 때 이를 회복시켜주는 것이다. 천연 건강 헤어의 특징은, 비단 광택, 작은 모공, 탄력성 및 유연성 몸체, 및 기분 좋은 매끄러운 느낌(우수한 "느낌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케어 제제는 헤어를 매끄럽게 하는 효과를 갖으며, 헤어의 빗질성을 개선하고, 정전기를 방지하며, 느낌성 및 광택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높은 피부학적 적합성이 결합된 우수한 피부 케어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들은 높은 안정성, 특히 제품의 산화적 분해에 대한 안정성을 나타낸다.
보습제
본 발명에 따른 수분조절 보습제는 피부 수분을 조절할 의도를 갖는 피부 케어 제제인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관련해서, 상기 수분조절 보습제는 보습제 정의를 따른다. 상기 수분조절 보습제는, 피부 표면에 적용하고 엷게 바른 후에, 스트라툼 코르니움(Stratum corneum; 각질층)으로부터의 수분 방출을 감소시키는 능력을 갖는 화장료 및/또는 약학 제제를 제공하는 물질 또는 그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습제는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의 추출물을 함유한다. 예컨대, 하기를 포함하는 그외의 다른 보습제가 본 식물 추출물과 조합되어 존재할 수 있다:
ㆍ C12-18지방산 기재의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테트라글리세릴 모노올레에이트, 트리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레이트;
ㆍ 피로글루탐산 또는 L-아르기닌 피로글루타메이트, L-리신 피로글루타메이트;
ㆍ 예를 들어 L-알라닌, L-아르기닌, L-세린, L-트레오닌과 같은 아미노산의 혼합물;
ㆍ 프로필렌 글리콜;
ㆍ 아세트아미드;
ㆍ 폴라사카라이드 또는 히알루론산;
JP 60149511(Lion Corp)에 기재된 카스토르(castor) 오일 에테르 및 소르비탄 에스테르.
햇빛 (UV) 보호 인자
또한, 본 발명은 햇빛 보호 제제로의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햇빛 보호 인자 또는 UV 보호 인자는, 직접 및 간접적인 태양 조사의 해로운 효과에 대해 인간 피부를 보호하는데 유용한 햇빛 보호 인자이다. 피부 태닝(tanning)을 일으키는 태양의 자외선 조사는 UV-C (파장 200-280㎚), UV-B (280-315㎚) 및 UV-A (315-400㎚)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태양 조사의 영향하의 일반 피부의 착색, 즉 멜라닌의 형성은, UV-B 및 UV-A에 의해 다양하게 효과를 받는다. UV-A (긴파장의 UV)에의 노출은, 임의의 해로운 효과 징후 없이 상피에 이미 존재하는 멜라닌의 암화(darkening)를 초래한다. 이는 소위 짧은 파장 UV (UV-B)와는 다르다. 이는 멜라닌의 재형성을 통한 소위 후기 착색의 형성을 촉진한다. 그러나, (보호적) 착색이 형성되기 전에, 피부는 여과대지 않은 조사에 노출되고, 노출시간에 따라, 피부의 적화(赤化) (홍반), 피부 염증 (햇볕 그을림), 심지어는 물집을 발생시킨다.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은, UV 흡수제 또는 UV 조사를 해롭지 않은 열로 전환시키는 광 필터로서 사용된다. 또한, 이들은 다른 햇빛 보호 인자 또는 UV 보호 인자와 조합하여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다른 UV 보호인자는 예를 들어 상온에서 액체 또는 결정 상태이고,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으며, 흡수된 에너지를 더 긴 파장의 복사선의 형태, 예를 들어 열로 방출할 수 있는 유기 물질(광 필터)이다. UV-B 필터는 유용성(油溶性) 또는 수용성일 수 있다. 다음은 유용성 물질의 예이다:
ㆍ 3-벤질리덴 캄파(camphor) 또는 3-벤질리덴 노르캄파 및 그의 유도체, 예를 들어 EP-B1 0693471에 기재된 바와 같은 3-(4-메틸벤질리덴)-캄파;
ㆍ 4-아미노벤조산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4-(디메틸아미노)벤조산-2-에틸헥실 에스테르, 4-(디메틸아미노)-벤조산-2-옥틸 에스테르 및 4-(디메틸아미노)-벤조산 아밀 에스테르;
ㆍ 신남산의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4-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에스테르, 4-메톡시신남산 프로필 에스테르, 4-메톡시신남산 이소아밀 에스테르, 2-시아노-3,3-페닐신남산-2-에틸헥실 에스테르(옥토크릴렌);
ㆍ 살리실산의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살리실산-2-에틸헥실 에스테르, 살리실산-4-이소프로필벤질 에스테르, 살리실산 호모멘틸 에스테르;
ㆍ 벤조페논의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ㆍ 벤잘말론산의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4-메톡시벤즈말론산 디-2-에틸헥실 에스테르;
ㆍ 예를 들어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1'-헥실옥시)-1,3,5-트리아진 및EP 0818450 A1에 기재된 옥틸 트리아존 또는 디옥틸 부타미도 트리아존(UvasorbHEB)과 같은 트리아진 유도체;
ㆍ 예를 들어 1-(4-tert-부틸페닐)-3-(4'-메톡시페닐)-프로판-1,3-디온과 같은 프로판-1,3-디온;
EP 0694521 B1에 기재된 케토트리사이클로(5.2.1.0)데칸 유도체.
적합한 수용성 물질은 다음과 같다:
ㆍ 2-페닐벤즈이미다졸-5-술폰산, 및 그의 알카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암모늄, 알킬암모늄, 알카놀암모늄 및 글루카암모늄 염.
ㆍ 벤조페논의 술폰산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 및 그의 염;
ㆍ 예를 들어 4-(2-옥소-3-보르닐리덴메틸)-벤젠 술폰산 및 2-메틸-5-(2-옥소-3-보르닐리덴)-술폰산 및 그의 염과 같은 3-벤질리덴 캄파의 술폰산 유도체.
전형적인 UV-A 필터로는, 특히 예를 들어 1-(4'-tert-부틸페닐)-3-(4'-메톡시페닐)-프로판-1,3-디온, 4-tert-부틸-4'-메톨시디벤조일 메탄(Parsol 1789) 또는 1-페닐-3-(4'-이소프로필페닐)-프로판-1,3-디온 및DE 197 12 033 A1 (BASF)에 기재된 엔아민(enamine) 화합물과 같은 벤조일 메탄의 유도체가 있다. 또한, UV-A및 UV-B 필터는 물론 혼합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해성 물질 외에도, 불용성 광-블록 색소제, 즉 가늘게 분산된 산화금속 또는 염이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적당한 산화 금속의 예로는, 특히 산화아연 및 이산화 티타늄, 및 철, 지르코늄, 규소, 망간, 알루미늄 및 세륨의 산화물, 및 그의 혼합물이 있다. 규산염(탈쿰), 바륨 술페이트 및 아연 스테아레이트가 염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산화물 및 염은 피부 케어 및 피부 보호 에멀젼 및 치장 화장품에 대한 색소의 형태로 사용된다. 상기 입자는 10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의 평균 직경을 가져야만 한다. 이들은 구형 모양일 수 있지만, 타원형 입자 또는 그 외 다른 비구형 입자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색소제를 표면-처리, 즉 친수화시키거나 소수화시킬 수 있다. 전형적인 예로는 코팅된 이산화 티타늄, 예를 들어 Titandioxid T 805(Degussa) 및 EusolexT2000(Merck)가 있다. 적합한 소수성 코팅 물질로는 상기한 모든 실리콘, 이들 중 특히 트리알콕시옥틸실란 또는 디메티콘이 있다. 소위 마이크로- 또는 나노색소가 햇빛 보호 산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마이크로화된 산화아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 외의 다른 UV 필터는 P. 핀컬(Finkel)에 의한 리뷰 문헌 [SOFW-Journal 122, 543 (1996)] 및 [Parfumerie und Kosmetik 3 (1999), pages 11 et seq.]에서 찾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UV-A 조사 및/또는 UV-B 조사에 의한 섬유아세포 및/또는 케라티노사이트 손상에 대한 제제로서, 및 항염증 첨가제로서의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UV-A 선은 상피를 투과하여, 세포질 막의 지질과산화에 의해 나타나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발생시킨다. 지질과산화물은, 단백질 및 핵산 염기와 같은 수많은 생물학적 분자를 가교결합(효소 억제 또는 돌연변이 형성)하는 말로날디알데히드(MDA)로 분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은 UV-A에 의해 유도된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MDA의 양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피부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의 해로운 영향을 감소시키는 높은 능력을 나타낸다.
UV-B 선은 효소, 즉 포스포리파아제 A2 또는 PLA2를 활성화시켜 염증을 개시한다. 이러한 염증(홍반, 부종)은 포스포리파아제에 의한 원형질막 인지질로부터의 아라키돈산의 제거에 의해 유도된다. 아라키돈산은 염증 및 세포막 손상을 유발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의 전구체이다. 프로스타글란딘 E2 (= PEG2)는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에 의해 형성된다. 인간 케라티노사이트내 세포질 효소 LDH (락테이트 디히드로게나아제)의 방출 정도는 세포 손상에 대한 표식자(marker)로서 제공된다.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은, 케라티노사이트의 수 및 방출된 LDH의 함량에서 UV-B 조사의 영향을 줄인다. 따라서, 본 추출물은 UV-B 조사에 의해 유발되는 세포막 손상을 줄이는 능력을 갖는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피부 염증에 대항하여 피부 케어용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화장료 및/또는 약학 제제를 위한 항염증 첨가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피부 염증은 다양한 인자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산화제 또는 라디칼 포획제로서의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항산화제는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산화 억제제이다. 항산화제는, 보호될 물질내 산소 및 그외의 산화과정의 효과에 의해 유발되는 변화를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항산화제의 효과는 주로 자동산화(autoxidation)시 발생하는 자유라디칼에 대해 라디칼 포획제로서 작용하는데 있다.
항산화제로서의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의 사용 이외에도, 이미 공지된 다른 항산화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료 및/또는 약학 제제중에서 항산화제의 하나의 가능한 사용은, 2차 햇빛 보호인자로서의 사용이며, 이는 항산화제가 UV선이 피부를 관통할 때 광화학적 연쇄 반응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 이외에, 전형적인 예로는, 아미노산(예를 들어, 글리신, 알라닌, 아르기닌, 세린, 트레오닌, 히스티딘, 티로신, 트립토판) 및 그의 유도체; 이미다졸(예를 들어, 우로칸산) 및 그의 유도체; D,L-카르노신, D-카르노신, L-카르노신과 같은 펩티드 및 그의 유도체(예를 들어 안세린); 카로티노이드, 카로텐(예를 들어 α-카로텐, β-카로텐, 리코펜, 루테인) 및 그의 유도체; 클로로겐산 및 그의 유도체; 리폰산 및 그의 유도체(예를 들어 디히드로리폰산); 아우로티오글루코오스, 프로필티오우라실 및 그 외의 티올(예를 들어 티오레독신, 글루타티온, 시스테인, 시스틴, 시스타민, 및 그의 글리코실, N-아세틸, 메틸, 에틸, 프로필, 아밀, 부틸 및 라우릴, 팔미토일, 올레일, γ-리놀레일, 콜레스테릴 및 글리세릴 에스테르), 및 그의 염; 디라우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티오디프로피온산 및 그의 유도체(에스테르, 에테르, 펩티드, 리피드, 뉴클레오타이드, 뉴클레이사이드 및 염); 및 투약에 적합한 매우 소량(예를 들어 p㏖ 내지 μ㏖/㎏)의 술폭시민 화합물(예를 들어, 부티오닌 술폭시민, 호모시스테인 술폭시민, 부티오닌 술폰, 및 펜타-, 헥사- 및 헵타-티오닌 술폭시민); 또한, (금속)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α-히드록시 지방산, 팔미트산, 피트산, 락토페린); α-히드록시산(예를 들어, 시트르산, 락트산, 말산); 훔산(humic acid); 담즙산; 담즙 추출물(bile extract); 빌리루빈(bilirubin); 빌리버르딘(biliverdin); 볼딘(boldin); 볼도(boldo) 추출물; EDTA; EGTA 및 그의 유도체; 불포화 지방산 및 그의 유도체(예를 들어 γ-리놀렌산, 리놀레산, 올레산); 엽산 및 그의 유도체; 유비퀴논(ubiquinone) 및 유비퀴놀 및 그의 유도체; 비타민 C 및 그의 유도체(예를 들어,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아스코르빌 아세테이트); 토코페롤 및 그의 유도체(예를 들어 비타민 E 아세테이트); 비타민 A 및 그의 유도체(비타민 A 팔미테이트); 및 벤조인 수지의 코니페릴 벤조에이트; 루틴산 및 그의 유도체; α-글리코실 루틴; 페룰산(ferulic acid); 푸르푸릴리덴 글루시톨; 카르노신; 부틸 히드록시톨루엔; 부틸 히드록시아니솔; 노르디히드로구아이악 수지 산(nordihydroguaiac resin acid); 노르디히드로구아이아레트산; 트리히드록시부티로페논; 우르산(uric acid) 및 그의 유도체; 만노오스 및 그의 유도체; 슈퍼옥시드-디스뮤타아제(Superoxid-Dismutase); 아연 및 그의 유도체(예를 들어, ZnO, ZnSO4), 셀레니움 및 그의 유도체(예를 들어 셀레늄 메티오닌); 스틸벤 및 그의 유도체(예를 들어, 스틸벤 산화물, 트랜스-스틸벤 산화물); 및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이러한 활성 물질의 유도체(염, 에스테르, 에테르, 당, 뉴클레오타이드, 뉴클레오사이드, 펩티드 및 리피드)가 있다.
UV 보호 인자 또는 항산화제는, 제제 총량에 대하여, 0.01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예를 들어 헤어 삼푸, 헤어 로션, 거품 바스 (bath), 샤워 바스, 크림, 겔, 로션, 알콜성 및 수성/알콜성 용액, 에멀젼, 왁스/지방 화합물, 스틱(stick) 제제, 파우더 또는 연고와 같은 화장용 및/또는 약학 제제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제는 온화한 계면활성제, 오일 성분, 에멀젼화제, 진주화 왁스(pearlized wax), 점도 인자, 증점제(thickener), 과잉지방화제 (superfatting agents), 안정화제, 중합체, 실리콘 화합물, 지방, 왁스, 레시틴, 인지질, 생물기원 작용제(biogenic agent), UV 보호인자, 항산화제, 탈취제, 발한방지제(antiperspirant), 비듬방지제, 필름 형성제(film former), 팽창제, 방충제, 자기-태닝 작용제(self-tanning agent), 티로신 억제제(침착 색소 제거제), 향수성 물질, 용해제, 보존제, 향수 오일, 염색제 등과 같은 추가적인 보조제 및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비이온성, 양이온성 및/또는 양쪽이온성 또는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zwitterionic surfactant)가 있으며, 이는 본 제제 내에, 일반적으로는 1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전형적인 예는, 비누, 알킬 벤젠술포네이트, 알칸술포네이트, 올레핀 술포네이트, 알킬에테르 술포네이트, 글리세롤 에테르 술포네이트, α-메틸 에스테르 술포네이트, 술포지방산, 알킬 술페이트, 지방알콜 에테르 술페이트, 글리세롤 에테르 술페이트, 지방산 에테르 술페이트, 히드록시 혼합된 에테르 술페이트, 모노글리세라이드 (에테르) 술페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술페이트, 모노- 및 디알킬 술포숙시네이트, 모노- 및 디알킬 술포숙시나메이트, 술포트리글리세라이드, 아미드 비누, 에테르 카르복실산 및 그의 염, 지방산 이스에티오네이트, 지방산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타루라이드, N-아실아미노산(예를 들어, 아실 락틸레이트, 아실 타르트레이트, 아실 글루타메이트 및 아실 아스파테이트 등), 알킬 올리고글루코시드 술페이트, 단백질 지방산 축합물 (특히 소맥 기재 채소 생성물) 및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가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폴리글리콜 에테르 사슬을 함유하고 있다면,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좁은 범위의 동족체 분포를 가지고 있을지라도, 이들은 기존의 동족체 분포를 갖는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전형적인 예는, 지방 알콜 폴리글리콜 에테르, 알킬페놀 폴리글리콜 에테르,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 지방산 아미드, 폴리글리콜 에테르, 지방 아민 폴리글리콜 에테르, 알콕시화 트리글리세라이드, 혼합된 에테르 및 혼합된 포르말, 선택적으로 부분 산화된 알킬(또는 알케닐) 올리고글리코시드 또는 글루쿠론산 유도체, 지방산-N-알킬 글루카미드, 단백질 가수분해물(특히, 소맥 기재 채소 생성물), 폴리올 지방산 에스테르, 당 에스테르, 소르비탄 에스테르, 폴리소르베이트 및 아민 산화물이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폴리글리콜 에테르 사슬을 함유하고 있다면,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좁은 범위의동족체 분포를 가질지라도, 이들은 기존의 동족체 분포를 가질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전형적인 예는, 예를 들어 4급 암모늄 화합물 (예컨대, 디메틸 디스테아릴 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4차 에스테르화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4차 지방산 트리알카놀아민 에스테르 염)이 있다. 양쪽 이온성 또는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화제의 전형적인 예로는, 알킬베타인, 알킬아미도베타인, 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아미노글리시네이트, 이미다졸리늄 베타인 및 술포베타인이 있다. 상기 언급된 계면활성제는 모두 공지된 화합물이다. 이들 구조 및 제조에 관한 정보는 관련 개요 작업 [예컨대, J. Falbe (ed.),"Surfactants in Consumer Products", Springer Verlag, Berlin, 1987, page 54-124또는 J. Falbe (ed.),"Katalysatoren Tenside und Mineraloladditive (Catalysts, Surfactants and Mineral Oil Additives)", Thieme Verlag, Stuttgart, 1978, page 123-217참고]에서 찾아질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온화한, 즉 특히 피부학적으로 적합한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지방 알콜 폴리글리콜 에테르 술페이트, 모노글리세라이드 술페이트, 모노- 및/또는 디알킬 술포숙시네이트, 지방산 이스에티오네이트, 지방산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타우라이드, 지방산 글루타메이트, α-올레핀 술포네이트, 에테르 카르복실산, 알킬 올리고글루고시드, 지방산 글루카미드, 알킬아미도베타인, 암포아세탈 및/또는 단백질 지방산 축합물 (바람직하게는 소맥 단백질 기재임)이 있다.
적합한 오일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6 내지 18개,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지방 알콜 기재의 궤르벳(Guerbet) 알콜; 선형 C6-22지방산과 선형 C6-22지방 알콜의 에스테르; 예를 들어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myristyl myristate), 미리스틸 팔미테이트, 미리스틸 스테아레이트, 미리스틸 이소스테아레이트, 미리스틸 올레에이트, 미리스틸 베헤네이트, 미리스틸 에루케이트, 세틸 미리스테이트, 세틸 팔미테이트, 세틸 스테아레이트, 세틸 이소스테아레이트, 세틸 올레에이트, 세틸 베헤네이트, 세틸 에루케이트, 스테아릴 미리스테이트, 스테아릴 팔미테이트,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릴 올레에이트, 스테아릴 베헤네이트, 스테아릴 에루케이트, 이소스테아릴 미리스테이트, 이소스테아릴 팔미테이트, 이소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 올레에이트, 이소스테아릴 베헤네이트, 이소스테아릴 올레에이트, 올레일 미리스테이트, 올레일 팔미테이트, 올레일 스테아레이트, 올레일 이소스테아레이트, 올레일 올레에이트, 올레일 베헤네이트, 올레일 에루케이트, 베헤닐 미리스테이트, 베헤닐 팔미테이트, 베헤닐 스테아레이트, 베헤닐 이소스테아레이트, 베헤닐 올레에이트, 베헤닐 베헤네이트, 베헤닐 에루케이트, 에루실 미리스테이트, 에루실 팔미테이트, 에루실 스테아레이트, 에루실 이소스테아레이트, 에루실 올레에이트, 에루실 베헤네이트 및 에루실 에루케이트 등과 같은 선형 C6-22지방 알콜과 분지형 C6-13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가 있다. 또한, 선형 C6-22지방산과 분지형 알콜, 더욱 바람직하게는 2-에틸 헥사놀의 에스테르; C18-38알킬히드록시카르복실산과 선형 또는 분지형 C6-22지방 알콜(DE 197 56 377 A1참조), 더욱 구체적으로는 디옥틸 말레이트의 에스테르; 선형 및/또는 분지형 지방산과, 다가 알콜(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 이합체(dimer) 디올 또는 삼합체(trimer) 트리올) 및/또는 궤르벳 알콜의 에스테르; C6-10지방산 기재의 트리글리세라이드; C6-18지방산 기재의 모노-, 디- 및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액체 혼합물; C6-22지방 알콜 및/또는 궤르벳 알콜과, 방향족 카르복실산, 더욱 바람직하게는 벤조산의 에스테르; C2-12디카르복실산과, 1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콜, 또는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및 2 내지 6개의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폴리올의 에스테르; 채소 오일; 분지형 1차 알콜, 치환된 사이클로헥산, 및 선형 및 분지형 C6-22지방 알콜 카르보네이트; 궤르벳 카르보네이트; 벤조산과 선형 및/또는 분지형 C6-22알콜(예를 들어, FinsolvTN)의 에스테르; 알킬기마다 6 내지 22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한, 선형 또는 분지형, 대칭 또는 비대칭 디알킬 에테르; 폴리올, 실리콘 오일(사이클로메티콘, 실리콘 메티콘형 등) 및/또는 지방족 또는 나프텐족 탄화수소(예컨대, 스쿠알란, 스쿠알렌 또는 디알킬 사이클로헥산)와, 에폭시화 지방산 에스테르의 개환중합 산물(ring opening product)도 적합하다.
적합한에멀젼화제는, 예를 들어 하기의 군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ㆍ 선형 C8-22지방 알콜, C12-22지방산, 알킬기가 8 내지 15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알킬 페놀 및 알킬기가 8 내지 22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알킬아민에,2 내지 30몰의 에틸렌 옥시드 및/또는 0 내지 5몰의 프로필렌 옥시드를 첨가하여 수득한 산물;
ㆍ 알킬기가 8 내지 22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알킬 및/또는 알케닐 올리고글리코시드, 및 그의 에폭시화 유사체;
ㆍ 피마자유 및/또는 수소화 카스토르 오일과, 1 내지 15몰의 에틸렌 옥시드의 첨가 생성물;
ㆍ 피마자유 및/또는 수소화 카스토르오일과, 15 내지 60몰의 에틸렌 옥시드의 첨가 생성물;
ㆍ 12 내지 22 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불포화, 선형 또는 포화, 분지형 지방산, 및/또는 3 내지 18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한 히드록시카르복실산과, 글리세롤 및/또는 소르비탄의 부분적 에스테르, 및 이와 1 내지 30몰의 에틸렌 옥시드의 첨가 생성물;
ㆍ 폴리글리세롤(평균 2 내지 8의 자기 축합도(self-condensation degree), 폴리에틸렌 글리콜(분자량 400 내지 5,000),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당 알콜(예를 들어, 소르비톨), 알킬 글루코시드(예를 들어, 메틸 글루코시드, 부틸 글루코시드, 라우릴 글루코시드) 및 폴리글루코시드(예를 들어, 셀룰로오스)와, 12 내지 22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포화 및/또는 불포화,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산 및/또는 3 내지 18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히드록시카르복실산의 부분적 에스테르, 및 이와 1 내지 30몰의 에틸렌 옥시드의 첨가 생성물;
ㆍ 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시트르산 및DE 11 65 574 PS에 따른 지방 알콜의 혼합된 에스테르, 및/또는 6 내지 22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지방산, 메틸 글루코오스 및 폴리올(바람직하게는 글리세롤 또는 폴리글리세롤)의 혼합된 에스테르;
ㆍ 모노-, 디- 및 트리알킬 포스페이트, 및 모노-, 디- 및/또는 트리-PEG-알킬 포스페이트, 및 그의 염;
ㆍ 울(wool) 왁스 알콜;
ㆍ 폴리실록산/폴리알킬/폴리에테르 공중합체 및 대응 유도체;
ㆍ 블록공중합체,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40 디폴리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ㆍ 중합체 에멀젼화제, 예컨대 Goodrich의 페물렌(Pemulen)형 (TR-1, TR-2);
ㆍ 폴리알킬렌 글리콜; 및
ㆍ 글리세롤 카르보네이트.
지방 알콜, 지방산, 알킬페놀, 또는 파마자유와,에틸렌 옥시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시드의 첨가 생성물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공지의 산물이다. 이들은 동족 혼합물이며, 이의 평균 알콕시화도는 에틸렌 옥시드 및/또는 프로필렌옥시드의 양과 첨가 반응을 실시하는 물질의 양 사이의 비율에 대응한다. 글리세롤과 에틸렌 옥시드의 첨가 생성물인 C12/18지방산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는DE 20 24 051 PS로부터의 화장용 제형을 위한 리페팅제(refatting agent)로서 공지되어 있다.
알킬 및/또는 알케닐 올리고글리코시드의 제조 및 그의 용도는 선행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특히 글루코오스 또는 올리고사카라이드를 8 내지 18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1차 알콜과 반응시켜 부분적으로 제조한다. 글리코시드 단위체에 대해서는, 글리코시드 결합에 의해 환식 당 단위체가 지방 알콜에 부착된 모노글리코시드와, 바람직하게는 약 8 이하의 올리고머화도를 갖는 올리고머 글리코시드 둘 모두가 적합하다. 올리고머화 정도는, 상기 기술적 산물의 전형적인 동족체 분포에 기초한 통계학적 평균값이다.
적합한부분적 글리세라이드의 전형적인 예로는, 히드록시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히드록시스테아르산 디글리세라이드, 이소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이소스테아르산 디글리세라이드, 올레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올레산 디글리세라이드, 리시놀레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리시놀레산 디글리세라이드, 리놀레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리놀레산 디글리세라이드, 리놀렌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리놀렌산 디글리세라이드, 에루크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에루크산 디글리세라이드, 타르타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타르타르산 디글리세라이드, 시트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시트르산 디글리세라이드, 말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말산 디글리세라이드, 및 제조 과정으로부터의 적은 양의 트리글리세라이드를 함유할 수 있는 이들의 기술적 혼합물이 있다. 1 내지 30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몰의 에틸렌 옥시드와 상술한 부분적 글리세라이드의 첨가 생성물도 적합하다.
적합한소르비탄 에스테르로는, 소르비탄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디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에이트, 소르비탄 디올레에이트, 소르비탄 트리올레에이트, 소르비탄 모노에루케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에루케이트, 소르비탄 디에루케이트, 소르비탄 트리에루케이트, 소르비탄 모노리시놀레에이트, 소르비탄 세스퀴리시놀레에이트, 소르비탄 디리시놀레에이트, 소르비탄 트리리시놀레에이트, 소르비탄 모노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디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트리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타르트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타르트레이트, 소르비탄 디타르트레이트, 소르비탄 트리타르트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시트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시트레이트, 소르비탄 디시트레이트, 소르비탄 트리시트레이트, 소르비탄 모노말레에이트, 소르비탄 세스퀴말레에이트, 소르비탄 디말레에이트, 소르비탄 트리말레에이트 및 이들의 기술적 혼합물이 있다. 1 내지 30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몰의 에틸렌 옥시드와, 상술한 소르비탄 에스테르의 첨가 생성물도 적합하다.
적합한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의 전형적인 예로는, 폴리글리세릴-2-디폴리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Dehymuls PGPH), 폴리글리세린-3-디이소스테아레이트 (LameformTGI), 폴리글리세릴-4 이소스테아레이트(IsolanGI 34), 폴리글리세릴-3 올레에이트, 디이소스테아로일 폴리글리세릴-3 디이소스테아레이트 (IsolanPDI), 폴리글리세릴-3 메틸글루코오스 디스테아레이트 (Tego Care450), 폴리글리세릴-3 밀랍(Beeswax)(Cera Bellina), 폴리글리세릴-4 카프레이트(폴리글리세롤 카프레이트 T2010/90), 폴리글리세릴-3 세틸 에테르(ChimexaneNL), 폴리글리세릴-3 디스테아레이트(CremophorGS 32) 및 폴리글리세릴 폴리리시놀레에이트 (Admul WOL 1403), 폴리글리세릴 디머레이트 이소스테아레이트 및 그의 혼합물이 있다. 그 외의 적합한폴리올에스테르의 예로는, 선택적으로 1 내지 30몰의 에틸렌 옥시드와 반응시킨, 라우르산, 코코넛 지방산, 탈로우(tallow) 지방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베헨산 등과, 트리메틸올프로판 또는 펜타에리트리톨의 모노-, 디- 및 트리에스테르가 있다.
그 외의 적합한 에멀젼화제로는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zwitterionic surfactant)가 있다.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분자내에 하나 이상의 4급 암모늄기와 하나 이상의 카르복실레이트기 및 하나의 술포네이트기를 함유하는 표면-활성 화합물이다. 특히 적합한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N-알킬-N,N-디메틸 암모늄 글리시네이트(예컨대, 코코알킬 디메틸 암모늄 글리시네이트), N-아실아미노프로필 -N,N-디메틸 암모늄 글리시네이트(예컨대, 코코아실아미노프로필 디메틸 암모늄 글리시네이트), 및 알킬 또는 아실기가 8 내지 18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2-알킬-3-카르복시메틸-3-히드록시에틸 이미다졸린 및 코코아실아미노에틸 히드록시에틸 카르복시메틸 글리시네이트 등과 같은 소위 베타인(betaine)이 있다.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Cocamidoporpyl Betaine)의 CTFA명으로 공지된 지방산 아미드 유도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양쪽성 계면활성제도 적합한 에멀젼화제이다.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분자내에 C8/18알킬 또는 아실기 외에도 하나이상의 자유 아미노기 및 하나 이상의 -COOH 또는 -SO3H 기를 갖고, 내부 염(inner salt)을 형성할 수 있는 표면 활성 화합물이다. 적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N-알킬 글리신, N-알킬 프로피온산, N-알킬아미노부티르산, N-알킬이미노디프로피온산, N-히드록시에틸 -N-알킬아미도프로필 글리신, N-알킬 타우린, N-알킬 사르코신, 2-알킬아미노프로피온산 및 알킬아미노아세트산이 있다(여기에서, 알킬은 약 8 내지 18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함). 특히 바람직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로는 N-코코알킬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코코아실아미노에틸 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및 C12/18아실 사르코신이 있다.
마지막으로,양이온성 계면활성제도 적합한 에멀젼화제이며, 4급에스테르 (esterquat)의 형태, 바람직하게는 4급 메틸화(methylquaternized) 2지방산 (difatty acid) 트리에타놀아민 에스테르 염이 특히 바람직하다.
지방의 전형적인 예는 글리세라이드(즉, 필수적으로 고도 지방산의 혼합된 글리세롤 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고체 또는 액체, 또는 식물성 또는 동물성 산물)이다. 적합한왁스로는 특히 천연 왁스, 예를 들어 칸델릴라(candelilla) 왁스, 카르나우바(carnauba) 왁스, 일본 왁스, 에스파르토그라스 왁스, 코르크 왁스, 구아루마 왁스, 미유(race oil) 왁스, 당 줄기(sugar cane) 왁스, 오루리큐리(ouricury) 왁스, 몬탄(montan) 왁스, 밀랍, 셀락(shellac) 왁스, 스퍼르마세티(spermaceti), 라놀린(울 왁스), 우로피기알(uropygial) 지방, 세레신(ceresine), 오조세라이트(ozocerite; 토양 왁스(earth wax)), 페트로라툼(petrolatum),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왁스; 또는 예를 들어 몬탄 에스테르 왁스, 사솔(sasol) 왁스, 수소화 조조바(jojoba) 왁스 등과 같은 화학적으로 변형된 왁스(경화 왁스); 또는 예를 들어 폴리알킬렌 왁스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왁스와 같은 합성 왁스가 있다. 지방 이외에도, 그 외의 적합한 첨가제로는 레시틴 및 인지질과 같은 지방-유사 물질이 있다. 레시틴은 지방산, 글리세롤, 인산 및 콜린(choline)으로부터 에스테르화에 의해 형성되는 글리세로-인지질로서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따라서, 레시틴은 종종 포스파티딜 콜린(PC)으로서 당업자에게 언급되고, 하기 화학식에 대응한다:
[상기 식중, R은 전형적으로 4개 이하의 시스-이중결합을 갖는 탄소수 15 내지 17 개의 선형 지방족 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냄].
천연 레시틴의 예로는, 포스파티드산으로써 공지되어 있고 1,2-디아실-sn-글리세롤-3-인산의 유도체인 케팔린(kephalin)이 있다. 반면, 인지질은, 일반적으로 지방으로서 분류되는 글리세롤을 함유한 인산(글리세로포스페이트)의 모노-, 바람직하게는 디에스테르인 것으로 통상적으로 이해된다. 스핑고신 및 스핑고리피드도 적합하다.
적합한진주화 왁스는, 예를 들어 알킬렌 글리콜 에스테르, 특히 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지방산 알카놀아미드, 특히 코코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부분적 글리세라이드, 특히 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다가 염기성이고, 선택적으로 히드록시 치환된 6 내지 22 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특히 타르타르산의 긴사슬 에스테르; 예를 들어 지방 알콜, 지방 케톤, 지방 알데히드, 지방 에테르 및 지방 카르보네이트(이들 모두는 24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가짐) 등과 같은 지방 화합물, 특히 라우론 및 디스테아릴에테르; 스테아르산, 히드록시스테아르산 또는 베헨산, 및 12 내지 22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올레핀 에폭시드와, 12 내지 22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지방 알콜 및/또는 2 내지 15개의 탄소원자와 2 내지 10개의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폴리올 및 그의 혼합물과의 개환중합 산물 등과 같은 지방산이 있다.
주로 사용되는점도 인자로는, 12 내지 22개,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18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고, 부분적으로 글리세라이드, 지방산 또는 히드록시 지방산을 함유하는 지방 알콜 또는 히드록시 지방 알콜이 있다. 이들 물질과, 알킬 올리고글루코시드 및/또는 동일한 사슬 길이를 갖는 지방산 N-메틸 글루카미드 및/또는 폴리글리세롤 폴리-12-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와의 조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적합한증점제는, 예를 들어 Aerosil형(친수성 실리카), 폴리사카라이드, 특히 크산탄 검(gum), 구아(guar)-구아, 아가(agar)-아가, 알기네이트 및 틸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또는 비교적 고분자량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에스테르 및 지방산의 디에스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예를 들어 Carbopols[Goodrich] 또는 Synthalens[Sigma]),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비닐 피롤리돈, 예를 들어 에톡시화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및 폴리올(예컨대, 펜타에리트리톨 또는 트리메틸올 프로판)을 갖는 지방산의 에스테르와 같은 계면활성제, 좁은 범위의 지방 알콜 에톡실레이트 또는 알킬 올리고글루코시드, 및 염화나트륨 및 염화암모늄과 같은 전해질이 있다.
과잉지방화제는, 예를 들어 라놀린 및 레시틴, 및 폴리에톡시화된 또는 아실화된 라놀린 및 레시틴 유도체, 폴리올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지방산 알카놀아미드, 또는 발포 안정화제로서 공급되는 지방산 알카놀아미드와 같은 물질들로부터 선택된다.
예를 들어 마그네슘, 알루미늄 및/또는 아연 스테아레이트 또는 리시놀레에이트와 같은 금속염이안정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양이온성 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유도체(예컨대, Polymer JR 400명칭의 암머콜(Amerchol)로부터 수득될 수 있는 4급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등), 양이온성 전분, 디알릴 암모늄 염 및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 4급 비닐 피롤리돈/비닐 이미다졸 중합체(예컨대, Luviquat(BASF) 등), 폴리글리콜 및 아민의 축합산물, 4급 콜라겐 폴리펩티드(예컨대, 라우릴디모늄 히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된 콜라겐(LamequatL, Grunau) 등), 4급 소맥 폴리펩티드,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성 실리콘 중합체(예컨대, 아모디메티콘 등), 아디프산 및 디메틸아미노-히드록시프로필 디에틸렌트리아민의 공중합체(Cartaretine, Sandoz), 아크릴산과 디메틸 디알릴 암모늄 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Merquat550, Chemviron), 예를 들어FR 2 252 840 A에 기재된 폴리아미노폴리아미드 및 그들의 가교결합 수용성 중합체, 양이온성 키틴(chitin) 유도체(예컨대, 선택적으로 미세결정질 분포를 갖는 4급 키토산 등), 디할로알킬렌(예컨대 디브로모부탄)과 비스-디알킬아민(예컨대, 비스-디메틸아미노-1,3-프로판)의 축합 산물, 양이온성 구아 검(예컨대, Celanese의 JaguarCBS, JaguarC-17, JaguarC-16 등), 4급 아모늄 염 중합체(예컨대, Miranol의 MirapolA-15, MirapolAD-1, MirapolAZ-1 등)이 있다.
적합한음이온성, 쯔비터 이온성, 양쪽성비이온성중합체는, 예를 들어 비닐 아세테이트/크로톤산(crotonic acid) 공중합체, 비닐 피롤리돈/비닐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비닐 아세테이트/부틸 말레에이트/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틸 비닐에테르/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및 이들의 에스테르, 비가교결합 및 폴리올-가교결합 폴리아크릴산, 아크릴아미도프로필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옥틸아크릴아미드/메틸 메타크릴레이트/tert-부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 피롤리돈, 비닐 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비닐 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비닐 카프로락탐 삼원공중합체, 및 이들의 선택적으로 유도된 셀룰로오스 에테르 및 실리콘 화합물이 있다. 그외 적합한 중합체 및 증점제는 문헌 [Costmetics & Toiletries, Vol. 108, May 1993, pages 95 et seq.]에서 찾아질 수 있다.
적합한 실리콘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디메틸 폴리실록산, 메틸페닐 폴리실록산, 환식 실리콘, 및 아미노-, 지방산-, 알콜-, 폴리에테르-, 에폭시-, 플루오린-, 글리코시드- 및/또는 알킬-변형된 실리콘 화합물이 있으며, 이들은 상온에서 액상 또는 수지상일 수 있다. 그 외의 적합한 실리콘 화합물로는 200 내지 300 개의 디메틸실록산 단위체의 평균 사슬 길이를 갖는 디메티콘과 수소화 규산염의 혼합물인 시메티콘(simethicone)이 있다. 적합한 휘발성 실리콘 화합물의 상세한 개요는 토드(Todd) 등에 의한 문헌 [Cosm. Toil. 91 , 27 (1976)]에서 찾아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생물기원 작용제로는 예를 들어 토코페롤,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토코페롤 팔미테이트, 아스코르브산, 디옥시뉴클레오타이드, 레티놀, 비사볼올, 알란토인, 피탄트리올, 판텐올, AHA 산, 아미노산, 세라미드, 슈도세라미드, 필수오일, 그 외의 식물 추출물 및 비타민 복합물이 있다.
화장료용탈취제는 체내 악취를 억제하거나, 감추거나 또는 제거한다. 체내 악취는 불쾌한 냄새의 분해 산물을 형성케 하는 아포크린 땀샘에서의 피부 박테리아의 작용을 통해 형성된다. 따라서, 탈취제는 발아(germ) 억제제, 효소 억제제, 악취 흡수제 또는 악취 마스커(masker)로서 작용하는 활성 소인을 함유한다.
기본적으로, 적합한발아 억제제로는, 예를 들어 4-히드록시벤조산 및 그의 염과 에스테르, N-(4-콜로로페닐)-N'-(3,4-디클로로페닐)-우레아,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트리클로산), 4-클로로-3,5-디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6-브로모-4-클로로페놀), 3-메틸-4-(1-메틸에틸)-페놀, 2-벤질-4-클로로페놀, 3-(4-클로로-페녹시)-프로판-1,2-디올, 3-요오도-2-프로피닐 부틸 카르바메이트, 클로로헥시딘, 3,4,4'-트리클로로카르바닐리드(TTC), 항균 향수, 타이몰(thymol), 백리향 오일, 유게놀(eugenol), 클로버 오일, 멘톨, 민트 오일,파르네솔(farnesol), 페녹시에탄올, 글리세롤 모노라우레이트(GML), 디글리세롤 모노카프레이트(DMC), 예를 들어 살리실산-n-옥틸 아미드 또는 살리실산-n-데실 아미드와 같은 살리실산-N-알킬아미드와 같이 그람-양성 박테리아에 대해 작용하는 임의의 물질이 있다.
적합한효소 억제제로는, 예를 들어 에스테라아제 억제제가 있다. 에스테라아제 억제제는, 바람직하게는 트리메틸 시트레이트, 트리프로필 시트레이트, 트리이소프로필 시트레이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와 같은 트리알킬 시트레이트, 특히 트리에틸 시트레이트(HydagenCAT, Henkel KGaA, Dusseldorf, FRG)가 있다. 에스테라아제 억제제는 효소활성을 억제하여 악취 형성을 감소시킨다. 다른 에스테라아제 억제제로는 예를 들어 라노스테롤, 콜레스테롤, 캄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시토스테롤 술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 등과 같은 스테롤 술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 및 그의 디카르복실산 및 에스테르, 예를 들어 글루타르산, 글루타르산 모노에틸 에스테르, 글루타르산 디에틸 에스테르, 아디프산, 아디프산 모노에틸 에스테르, 아디프산 디에틸 에스테르, 말론산 및 말론산 디에틸 에스테르, 히드록시카르복실산 및 그의 에스테르, 예컨대 시트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또는 타르타르산 디에틸 에스테르, 및 아염 글리시네이트가 있다.
적합한악취 흡수제는 악취 형성 화합물을 흡수할 수 있고, 다량 유지할 수 있는 물질이다. 이들은 개개 성분의 부분 압력을 줄여서, 악취성분이 확산되는 속도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중요한 요구사항은, 향수는 약화됨 없이 유지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악취 흡수제는 박테리아에 대해서는 활성이 없다. 이들은, 주요성분으로써 예를 들어 리시놀산의 아연 착염, 또는 예를 들어 라다눔(radanum) 또는 때죽나무(styrax)의 추출물 또는 일정한 아비에트산 유도체와 같은 "고착제(fixateur)"로서 알려져 있는 많은 천연 향기의 특정한 향수를 포함한다. 악취 마스커는 이들의 악취 감춤 기능 이외에도, 탈취제에 이들의 특정한 향수 특성을 부여한 향수 또는 향수 오일이다. 적합한 향수 오일은, 예를 들어 천연 및 합성 향수의 혼합물이다. 천연향수는 꽃, 줄기와 잎, 과일, 과일껍질, 뿌리, 목질, 약초와 목초, 침상옆(needle)과 가지(branch), 수지 및 발삼(balsam)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동물원료, 예를 들어 사향액 및 비버(beaver)도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인 합성 향수 화합물은, 에스테르, 에테르, 알데히드, 케톤, 알콜 및 탄화수소 형태의 산물이다. 에스테르 형태의 향수 화합물의 예로는, 벤질 아세테이트, p-tert-부틸 사이클로헥실아세테이트, 리날릴(linalyl) 아세테이트, 페닐 에틸 아세테이트, 리날릴 벤조에이트, 벤질 포르메이트, 알릴 사이클로헥실 프로피오네이트, 스티랄릴프로피오네이트 및 벤질 살리실레이트가 있다. 에테르는 예를 들어 벤질 에틸 에테르를 포함하며, 알데히드는 예를 들어 8 내지 18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선형 알카날, 시트랄, 시트로넬랄, 시트로넬릴옥시아세트알데히드, 시클라멘 알데히드, 히드록시-시트로넬랄, 릴리알 및 보르지오날(bourgeonal)을 포함한다. 적합한 케톤의 예로는 이오논(ionone) 및 메틸 세드릴 케톤이 있다. 적합한 알콜은 아네톨, 시트로넬롤, 유게놀, 이소유게놀, 게라니올, 리나로올, 페닐에틸 알콜 및 테르피네올이 있다. 탄화수소로는 주로 테르펜 및 발삼을 포함한다. 그러나, 적당한 방향성을 함께 생산하는 다른 향수 화합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바람직하다. 다른 적합한 향수 오일은 방향 성분으로써 주로 사용되는, 비교적 낮은 휘발성을 갖는 필수 오일이다. 예를 들어, 샐비어 오일, 클로버 오일, 멜리사 오일, 민트 오일, 육계나무 잎 오일, 라임나무-꽃 오일, 향나무 베리(berry) 오일, 베티버(vetiver) 오일, 올리바눔 오일, 갈바눔 오일, 라다눔 오일 및 라벤딘 오일이 있다. 다음은 바람직하게는 개별적으로 각각 또는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된다: 베르가모트(bergamot) 오일, 디히드로마이르세놀, 릴리알, 라이알, 시트로넬올, 페닐에틸 알콜, α-히드록시-신남알데히드, 게라니올, 벤질 아세톤, 시클라멘 알데히드, 리날로올, 보이삼브렌 포르테(Boisambrene Forte), 암브록산(Ambroxan), 인돌, 헤디온, 산델리스, 시트루스 오일, 만다린 오일, 오렌지 오일, 알릴아밀 글리콜레이트, 시클로버르탈(cyclovertal), 라벤딘 오일, 클라리 오일, β-다마스콘, 게라늄 오일 부르봉(bourbon), 시클로헥실 살리실레이트, 베르토픽스 코우르(Vertofix Coeur), Iso-E-Super, Fixolide NP, 에베르닐, 이라데인 감마, 페닐아세트산, 게라닐 아세테이트, 벤질 아세테이트, 로오즈 산화물, 로밀라트, 이로틸 및 플로라마트.
발한방지제은 발한을 줄여서, 외분비 한선(汗腺; eccrine sweat gland)의 활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겨드랑이 밑의 습기 및 체내 악취를 줄인다. 수성 또는 무수 발한방지제 제제는 전형적으로 다음의 함유물을 함유한다.
ㆍ 수축성 활성 소인;
ㆍ 오일 성분;
ㆍ 비이온성 에멀젼화제;
ㆍ 보조 에멀젼화제;
ㆍ 점도 인자;
ㆍ 예를 들어, 증점제 또는 복합 작용제의 형태로의 보조제; 및/또는
ㆍ 에탄올, 프로필렌 글리콜 및/또는 글리세롤과 같은 비수성 용매.
발한방지제의 적합한 수축성 활성 소인은, 상기 모든 알루미늄, 지르코늄 또는 아연의 염들이다. 이러한 형태의 적합한 항습성제(antihydrotic agent)는, 예를 들어 염화 알루미늄, 알루미늄 클로로히드레이트, 알루미늄 디클로로히드레이트, 알루미늄 세스퀴클로로히드레이트 및 이들의 복합 화합물, 예를 들어 1,2-프로필렌 글리콜, 알루미늄 히드록시알란토이네이트,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타르트레이트, 알루미늄 지르코늄 트리클로로히드레이트, 알루미늄 지르코늄 테트라클로로히드레이트, 알루미늄 지르코늄 펜타클로로히드레이트, 및 예를 들어 글리신과 같은 아미노산을 갖는 이들의 복합화합물이 있다. 이와 같은 유용성 보조제로는, 예를 들어 다음을 포함한다:
ㆍ 염증 억제, 피보-보호 또는 기호성-냄새의 필수 오일;
ㆍ 합성 피부 보호제; 및/또는
ㆍ 유용성 향수 오일.
전형적인 수용성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보존제, 수용성 향수, pH 조절제(예컨대, 완충액 혼합물), 수용성 증점제(예를 들어 크산탄 검,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또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옥시드와 같은 수용성 천연 또는 합성 중합체)가 있다.
표준필름 형성제는, 예를 들어 키토산, 미세결정 키토산, 4급 키토산, 폴리비닐 피롤리돈, 비닐 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아크릴산류의 중합체, 4급 셀룰로오스 유도체, 콜라겐,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및 그의 염, 및 그의 유사체 화합물이 있다.
적합한비듬방지제는, 피록톤 올라민(Piroctone Olamine; 1-히드록시-4-메틸 -6-(2,4,4-트리메틸펜틸)-2-(1H)-피리디논 모노에탄올아민 염), Baypival(Baypival; Climbazole), Ketoconazole(4-아세틸-1-{4-[2-(2,4-디클로로페닐) r-2-(1H-이미다졸-1-일메틸)-1,3-디옥실란-c-4-일메톡시-페닐}-피페라진, 셀레늄 디술피드, 콜로이드성 황, 황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황 리시놀 폴리에톡실레이트, 황 타르 증류액, 살리실산(또는, 헥사클로로펜과의 조합물), 운데실렌산, 모노에탄올아미드 술포숙시네이트 Na 염, LameponUD(단백질/운데실렌산 축합물), 아연 피리티온, 알루미늄 피리티온 및 마그네슘 피리티온/디피리티온 마그네슘 술페이트가 있다.
수상에 적합한팽창제는, 몬트모릴론나이트(montmorillonite), 점토(clay) 광물, 페물렌(Pemulen) 및 알킬 변형된 카르보폴 형태(Pemulen and alkyl-modified Carbopol type; Goodrich)가 있다. 그 외의 적합한 중합체 및 팽창제는 알. 로취헤드(R. Lochhead) 등에 의한 리뷰문헌[Cosm. Toil. 108 , 95 (1993)]에서 찾아질 수 있다.
적합한 방충제는 N,N-디에틸-m-톨루아미드, 펜탄-1,2-디올 또는 에틸 부틸아세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이다.
적합한자기-태닝제로는 디히드록시아세톤이 있다. 멜라닌의 형성을 방해하여색소침착 억제제로 사용되는 적합한 티로신 억제제는, 예를 들어 아르부틴(arbutin), 페루산(ferulic acid), 코지산, 코우마르산(coumaric acid) 및 아스코브산(비타민 C)가 있다.
또한, 향수성 물질(hydrotrope), 예를 들어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또는 폴리올은 유동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폴리올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개의 탄소원자 및 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함유한다. 상기 폴리올은 그 외의 관능기, 특히 아미노기를 함유할 수 있거나, 또는 질소로 변형될 수 있다. 전형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ㆍ 글리세롤;
ㆍ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및 평균 분자량 100 내지 1,000 Da을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알킬렌 글리콜;
ㆍ 예를 들어 40 내지 50 중량%의 디글리세롤 함량을 갖는 기술적 디글리세롤 혼합물과 같은 1.5 내지 10의 자기-축합 정도를 갖는 기술적 올리고글리세롤 혼합물;
ㆍ 특히 트리메틸올 에탄,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틸올 부탄, 펜타에리트리톨 및 디펜타에리트리톨과 같은 메틸올 화합물;
ㆍ 저급 알킬 글루코시드, 특히 알킬기가 1 내지 8개의 탄소원자, 예를 들어 메틸 및 부틸 글루코시드를 함유하는 것들;
ㆍ 5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한 당 알콜, 예를 들어 소르비톨 또는 마니톨;
ㆍ 5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당, 예를 들어 글루코오스 또는 수크로오스;
ㆍ 아미노 당, 예를 들어 글루카민;
ㆍ 디에탄올아민 또는 2-아미노프로판-1,3-디올과 같은 디알콜아민.
적합한보존제는, 예를 들어 페녹시에탄올, 포름알데히드 용액, 파라벤, 펜탄디올 또는 소르브산, 및 Kosmetikverordnung('화장품 지시안'과 유사)의 파트 A 및 B, 첨부 6내에 기재된 다른 부류의 화합물이 있다. 적합한 방충제는 N,N-디에틸 N,N-디에틸-m-톨루아미드, 펜탄-1,2-디올 또는 에틸 부틸아세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가 있다.
적합한향수 오일로는, 천연 및 합성 향수의 혼합물이 있다. 천연 향수는, 꽃(백합, 라벤다, 장미, 자스민, 등자나무, 일랑일랑나무), 줄기 및 잎(게라늄, 파촐리, 페티트그레인(petitgrain)), 과실(아니스, 고수(coriander), 애기회향, 향나무), 뿌리(육두구, 안젤리카, 셀러리, 카더몬, 코스투스(costus), 붓꽃, 칼무스), 목질부(송림, 백단, 구아이아쿰 나무, 개잎갈나무, 자단), 약초 및 목초(타라곤, 레몬 풀잎, 샐비어, 백리향), 침상옆 및 가지(가문비나무, 전나무, 소나무, 작은 소나무(dwarf pine)), 수지 및 발삼(갤버넘, 엘레미, 벤조인 수지, 몰약, 올리바눔, 오포파낙스)의 추출물이 있다. 동물 원료, 예를 들어 사향액 및 비버도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인 합성 향수 화합물은 에스테르, 에테르, 알데히드, 케톤, 알콜 및 탄화수소 형태의 산물이다. 에스테르 형태의 향수 화합물의 예로는, 벤질 아세테이트, 페녹시에틸 이소부티레이트, p-tert-부틸 사이클로헥실아세테이트, 리날릴 아세테이트, 디메틸 벤질 카르비닐 아세테이트, 페닐 에틸 아세테이트, 리날릴 벤조에이트, 벤질 포르메이트, 에틸메틸 페닐 글리시네이트, 알릴 사이클로헥실 프로피오네이트, 스티랄릴 프로피오네이트 및 벤질 살리실레이트가 있다. 에테르는, 예를 들어 벤질 에틸 에테르를 포함하며, 알데히드는 예를 들어 8 내지 18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선형 알카날, 시트랄, 시트로넬랄, 시트로넬릴옥시아세트알데히드, 시클라멘 알데히드, 히드록시시트로넬랄, 릴리알 및 보르지오날을 포함한다. 적합한 케톤의 예로는 이오논, α-이소메틸이오논 및 메틸 세드릴 케톤이 있다. 적합한 알콜은 아네톨, 시트로넨올, 유게놀, 이소유게놀, 게라니올, 리나로올, 페닐에틸 알콜 및 테르피네올이 있다. 탄화수소로는 주로 테르펜 및 발삼을 포함한다. 그러나, 적당한 방향성을 함께 생산하는 다른 향수 화합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적합한 향수 오일은 방향 성분으로써 주로 사용되는, 비교적 낮은 휘발성을 갖는 필수 오일이다. 예를 들어, 샐비어 오일, 카모밀 오일, 클로버 오일, 멜리사 오일, 민트 오일, 육계나무 잎 오일, 라임나무-꽃 오일, 향나무 베리 오일, 베티버 오일, 올리바눔 오일, 갈바눔 오일, 라다눔 오일 및 라벤딘 오일이 있다. 다음은 바람직하게는 개별적으로 각각 또는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된다: 베르가모트 오일, 디히드로마이르세놀, 릴리알, 라이알, 시트로넬올, 페닐에틸 알콜, α-히드록시-신남알데히드, 게라니올, 벤질 아세톤, 시클라멘 알데히드, 리날로올, 보이삼브렌 포르테, 암브록산, 인돌, 헤디온, 산델리스, 시트루스 오일, 만다린 오일, 오렌지 오일, 알릴아밀 글리콜레이트, 시클로버르탈, 라벤딘 오일, 클라리 오일, β-다마스콘, 게라늄 오일 부르봉, 시클로헥실 살리실레이트, 베르토픽스 코우르, Iso-E-Super, Fixolide NP, 에베르닐, 이라데인 감마, 페닐아세트산, 게라닐 아세테이트, 벤질 아세테이트, 로오즈 산화물, 로밀라트, 이로틸 및 플로라마트.
적당한 염색제는, 예를 들어 문헌 [Farbstoffkommission der Deutschen Forschungs-gemeinschaft, Verlag Chemie, Weinheim, 1984, 페이지 81 내지 106A Kosmetische Farbemittel]에 나열된, 화장품 목적에 적합하고 승인된 임의의 물질이다. 이러한 염색제는 일반적으로 전체 혼합물에 대하여 0.001 내지 0.1 중량%의 농도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증류수 또는 비증류수, 저분자량 알콜, 에스테르 또는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 또는 용매의 혼합물을 식물 추출에 사용하여,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
300g의 건조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식물을 막자사발에서 거칠게 분쇄한 다음, 유리 반응기(glass reactor)로 옮겼다. 이어서, 3ℓ의 증류수를 부었다. 상기 주입물은 80 내지 85℃로 가열하고, 그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1시간동안 추출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20℃로 냉각하고, 5000G의 속도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 콜로이드성 액체는, 평균 구멍크기 0.450㎛를 갖는 깊이 필터 (depth filter)(Bordeaux, France 제조의 Seitz)를 통한 여과에 의해 잔류물로부터 분리되었으며, 2.4 중량%의 건조 잔류물을 갖는 1.7ℓ 추출물이 얻어졌다. 갈색의 추출물을 185℃의 출발온도와 80℃의 종결온도에서 스프레이 건조시켰다. 건조생성물의 수율은, 사용된 식물의 건조중량에 대하여, 13.5 중량%이었다.
실시예 2
제조과정은, 원심분리후, 수성층을 pH 7.2±0.2로 조정하고, 평균 구멍크기 0.200㎛를 갖는 깊이 필터를 통한 여과에 의해 여과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3
추출을 80중량% 수성 메탄올 3ℓ로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추출은 끓는 온도에서 1시간동안 환류하에 교반하면서 수행하였고,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더 진행시켰다. 여과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그 후, 알콜을 45℃ 감압하에 제거하고, 녹갈색 잔류물을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레이 건조시켰다. 건조 생성물의 수율은 사용된 식물의 건조중량에 대하여 15.9 중량%이었다.
실시예 4
추출을 96중량% 수성 에탄올 3ℓ로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추출은 끓는 온도에서 1시간동안 환류하에 교반하면서 수행하였고,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더 진행시켰다. 여과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그리고나서, 알콜을 45℃ 감압하에 제거한 다음, 녹색 잔류물을 50℃에서 스프레이 건조시켰다. 건조 생성물의 수율은 사용된 식물의 건조중량에 대하여 4.9 중량%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4로부터의 건조 잔류물 260g을 유리 반응기로 옮기고, 여기에 2.6ℓ의 증류수를 부었다. 이어서, 주입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더 처리하였다. 갈색 추출물을 185℃의 출발온도와 80℃의 종결온도에서 스프레이 건조시켰다. 건조생성물의 수율은, 사용된 식물의 건조중량에 대하여, 12.5 중량%이었다.
실시예 6. 자유 라디칼에 대한 활성
첫 번째 일련의 검사에서, 추출물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이들의 성능을 조사하기 위해 검사되었다. 실시예 1 내지 5의 추출물은 0% (w/v) (부피에 대한 중량); 0.03 % (w/v) 및 0.1% (w/v)의 농도로 사용되었다. 첫 번째 검사에서, 히드록실 라디칼 (철(Ⅲ) 이온 및 EDTA와 과산화 수소의 반응으로부터 유래)에 의한 살리실산의 히드록실화가 참고 시스템으로서 조사되었다. 살리실산의 히드록실화 생성물은 붉은색을 띄므로, 상기 반응은 광도계로 조사되었다. 히드록시살리실산의 형성에 대한 추출물의 영향은 490㎚에서의 광학밀도로 측정되었다. 그 결과를 히드록시살리실산 형성 정도를 %-절대값으로 나타내어, 표 1에 기재하였다.
살리실산의 히드록실화 정도(%-절대값; 결과는 두 측정값의 평균임)
농도(% w/v) 실시예 1의추출물 실시예 3의추출물 실시예 4의추출물 실시예 5의추출물
0.0 100 100 100 100
0.03 75 95 76 85
0.1 33 77 36 46
IC50(% w/v) 0.072 0.188 0.076 0.093
표 1에 기재된 결과는, 사용된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이 라디칼에 대해 활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사용된 추출방법에 따라 활성이 다른 추출물이 얻어졌다. 실시예 1에 기재된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0.072%의 농도는 라디칼 반응의 50% 억제를 얻는데 충분하다. 이 경우에, 히드록시 라디칼에 의한 히드록시살리실산의 형성은 상기 농도에서 50%로 감소된다.
세 번재 검사에서, 크산틴 옥시다아제는 검사계로서 선택되었다. 산화적 스트레스하에서, 효소는 예를 들어 아데닌 또는 구아닌과 같은 퓨린 염기를 우론산(uronic acid)으로 전환시킨다. 중간생성물로서 형성되는 산소 라디칼은 루미놀과의 반응에 의해(냉광을 통해) 검출되고, 정량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냉광 수율은 라디칼-포획 특성을 갖는 물질의 존재하에 감소된다.
냉광 억제 (%-절대값)
농도(% w/v) 실시예 1의추출물 실시예 3의추출물 실시예 4의추출물 실시예 5의추출물
0.0 0 0 0 0
0.03 11 33 27 -
0.1 71 76 60 36
IC50(% w/v) 0.076 0.058 0.079 0.127
표 2로부터,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이 라디칼 유도 냉광 형성을 억제함을 알 수 있다. 다양한 정도의 억제는 농도 및 사용되는 추출 방법에 따라 얻어진다. 실시예 3의 추출물은 겨우 0.058% (w/v)에서 냉광 50% 억제를 제공하며, 따라서 뚜렷한 라디칼 포획 특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7: 실험관내 배양된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UV-A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
배경: UV-A 선을 상피에 투과시켜, 세포질 막의 지질과산화로 나타내어지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지질과산화물은 단백질 및 핵산 염기와 같은 많은 생물학적 분자를 가교결합시키는 말로날디알데히드로(효소 억제 및 돌연변이 형성)로 분해된다.
방법: 본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서, 우태아 혈청과 함께 섬유아세포를 함유하는 정의된 배양배지를 접종하고, 접종후 72시간째에 식물 추출물(10% 우태아 혈청을 함유하는 정의된 배지에 용해)을 첨가하였다.
37℃/5% CO2하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 배지를 식염수 용액(생리학적 NaCl 용액)으로 대체하고, 섬유아세포에 UV-A의 일정 선량(365㎚, 15 J/㎠; 튜브; MAZDA FLUOR TFWN40)에 노출시켰다
UV-A에 노출시킨 후, 상청액인 염화 나트륨 용액 중의 MDA 양(말로날디알데히드의 양)을 티오바르비투르산과의 반응에 의해 정량적으로 결정하였다.
섬유아세포 중의 말로날디알데히드의 정량(대조군에 대한 %의 결과, 2회 검사(각각마다 3번 반복)의 평균값)
농도(% 중량/부피) 실시예 3의추출물 실시예 4의추출물 실시예 5의추출물
UV 없는 대조군 0 0 0
UV-A (365㎚) 100 100 100
UV-A + 추출물 0.01% - 65 -
UV-A + 추출물 0.02% - 72 -
UV-A + 추출물 0.05% 58 - 65
UV-A + 추출물 0.1% 57 - 74
표 3에 나타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은 UV-A 광선에 의해서 유도된 인간 섬유아세포에서의 MDA 양이 유의적으로 줄어든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 부분이 피부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의 해로운 영향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반영한다.
실시예 8. 실험관내 배양된 케라티노사이트에서 UV-B에 대한 세포 보호 유효성
배경: UV-B선은 원형질막의 인지질로부터의 아라키돈산을 제거하는 효소, 즉 포스포리파아제 A2 또는 PLA2를 활성화시켜 염증(홍반, 부종)을 일으킨다. 아라키돈산은 염증 및 세포막 손상을 유발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의 전구체이며; 프로스타글란딘 E2 (= PEG2)는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에 의해 형성된다.
방법: UV-B 조사에 대한 효과는 케라티노사이트에서 세포질 효소 LDH(락테이트 디히드로게나아제)의 방출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실험관내에서 조사하였다. 상기 효소는 세포 손상에 대한 표식자로서 이용한다.
상기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서, 우태아 혈청을 함유한 정의된 배지에 케라티노사이트를 접종하고, 본 식물 추출물(식염수 용액으로 희석)을 접종후 72시간째에첨가하였다.
이어서, 케라티노사이트는 UV-B의 일정 선량(30 mJ/㎠ - 튜브: DUKE GL40E)에 노출시켰다.
37℃/5% CO2하에서 다시 하룻동안 배양한 후, 상청액내 LDH 함량을 측정하였다. LDH (락테이트 디히드로게나아제) 함량을 효소 반응 (Roche로부터 LDH 량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키트)에 의해 측정하였다.
부착하는 케라티노사이트의 수는 (트립신 처리 후에) 입자 계수기로 측정하였다.
UV-B 선에 대한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의 세포보호 효과 (대조군에 대한 %의 결과, 2회 검사(각각마다 3번 반복)의 평균값)
실시예 3의 추출물 케라티노사이트의 수 방출된 LDH의 함량
UV 없는 대조군 100 0
UV-B (315㎚) 49 100
UV-B + 추출물 0.03% 90 44
UV-A + 추출물 0.1% 19 19
상기 검사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이 케라티노사이트의 수 및 방출된 LDH 함량에 대해 UV-B의 효과를 감소시킴을 보여준다. 따라서, 상기 기술된 추출물은 UV-B에 의해 유발된 세포막 손상을 감소시키는 능력을 갖는다.
실시예 9. 인간 헤어에 대한 지각적 활성(sensory activity)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로 처리한 후, 인간 헤어의 지각적 특성의 변형은 표준화된 모발(tress)(길이 15㎝, 무게 3g)에 대해 평가하였다. 수성 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 용액 (15%, w/v)을 표준 및 위약(placebo)으로서 사용하였다. 식물 추출물의 샘플은 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 용액에 혼입되었고, 1.5% (w/v)의 농도로 검사되었다. 처리 효과는 세 가지 다른 형태의 헤어에 대해 조사되었다.
a)대조군 헤어: 모발을 수성 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 용액(15%, w/v)으로 세척하였다.
b)표백 헤어(bleached hair): 모발을 6% H2O2및 암모니아를 함유하는 표백 샴푸 (L'Oreal의 Eclair clair)로 30분동안 처리한 다음, 수성 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 용액 (15%, w/v)로 세척하였다. 상기 표백 과정은 두 번 반복하였다.
c)영구 웨이브화 ("파마") 헤어: 모발을 나트륨 메르캅토아세테이트 용액 (6% w/v, pH 6)으로 20분동안 처리하고, 헹군 다음, H2O2용액 (pH 3)으로 10분동안 처리하였다. 상기 용액을 헹구어 낸 후, 모발을 수성 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 용액 (15% w/v)으로 처리하였다. 상기 영구 웨이브화 사이클을 두 번 반복하였다.
상기 제조된 모발을 특정 검사물질을 함유하는 용액에 3분동안 유지시킨 다음, 1분동안 헹구었다. 헹군 후, 모발을 빗질하고, 습윤 빗질성에 대해 검사하였다. 모발을 상온에서 건조시켰다. 지각적 검사를, 추출물 처리한 후 24시간째의 건조 헤어에 대해 수행하였다.
건조 헤어에 대해 하기 특성이 측정되었다: 빗질성, 휨성 및 유연성, 정전기, 부피 및 광택.
습윤 및 건조 헤어에 대한 지각적 검사 결과는 하기 표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지각적 검사는 표준화 모발과 비교하여 검사되어야만 한다. 보여주는 숫자가 더 높을수록, 특정 지각적 특성의 평가는 더욱 좋은 것이다.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로 처리한 후의 인간 모발을 비처리된 모발과 비교한 지각적 특성
매개변수 대조군 헤어 표백 헤어 파마 헤어
빗질성, 습윤 헤어 2 1 0
빗질성, 건조 헤어 0 0 1
휨성 및 유연성 2 0 1
정전기 2 1 0
부피 1 1 0
광택 2 0 0
상기 검사 결과는,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이 모발의 지각적 특성을 개선시킨다는 것이 보여준다. 습윤 헤어의 빗질성, 유연성, 부피 및 광택에서의 유의적인 개선은 처리 후의 대조군 헤어와 비교하여 확인되었다. 정전기는 상기 식물 추출물로 처리한 후에 감소되었다.
습윤 헤어의 빗질성 및 부피에서의 개선 및 정전기의 감소는 표백 헤어에서 확인되었다. 파마 머리에서, 건조 빗질성 및 유연성의 개선이 있었다.
실시예 10. 피부 수분 조절 검사
배경: 인간 피부의 상피는 각질층(스트라툼 코르니움)을 함유한다. 스트라툼 코르니움은 낮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유전체 매체이다. 물 함량은 증가된 유전체 전도성을 이끌어내어, 스트라툼 코르니움의 유전체 전도성을 측정하는 것은 인간 피부의 수분 함량 측정법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스트라툼 코르니움의 유전체 전도성의 증가는 인간 피부의 증가된 수분 함량을 반영한다.
방법: 하기의 제형은, 제형의 수분 조절 특성을 검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장료 제형의 예로서 제공된다.
피로글루탐산:11.2 %
L-알라닌: 7.2 %
L-아르기닌:17.0 %
L-세린:20.5 %
L-트레오닌: 3.1 %
실시예 3의 건조 추출물: 1.0 %
수크로오스:40.0 %
성형 외과로부터 얻은 일반 피부 샘플을 검사용으로 사용하였다. 이들 피부 샘플로부터의 스트라툼 코르니움을 정의된 상대 습도 (44%, 포화된 탄산칼륨 용액)를 갖는 챔버에 저장하고, 표준화시켰다. 각각의 스트라툼 코르니움 샘플을 4가지 조건하에 상대적으로 검사하였다.
1) 비(非)처리;
2) 위약 처리;
3) 2%(w/v)의 상기 수분조절 제제를 함유하는 히드로겔 (Laboratoire Serobiologique LS로부터의 히드로겔 LS)로 이루어진 제제로 처리;
4) 4%(w/v)의 상기 수분조절 제제를 함유하는 히드로겔 (LaboratoireSerobiologique LS로부터의 히드로겔 LS)로 이루어진 제제로 처리;
위약은 상기 제제 없이, 즉 식물 추출물 없는 히드로겔 (Laboratoire Serobiologique LS로부터의 히드로겔 LS)이었다.
상기 제제의 수분 조절 활성은 위약 처리와 비교한 전도성의 증가율로서 측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투여량-의존성 수분 조절활성을 나타내었다.
유전체 전도성(μS)의 측정에 의해 측정된 수분조절 효과(18번의 측정에 대한 평균값(표준 편차는 괄호내에 표시함))
처리 처리전 30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24시간
대조군 25.37(3.07) 29.37(2.38) 29.00(2.35) 27.96(2.19) 28.70(2.08) 27.61(2.54) 27.83(2.26)
위약(僞藥) 28.48(2.83) 46.78(2.50) 37.74(2.02) 30.81(1.84) 31.85(1.35) 31.13(1.63) 30.54(1.40)
3) 26.91(2.11) 62.39(4.85) 49.49(2.71) 41.26(2.49) 36.74(2.38) 33.87(2.06) 32.54(1.91)
4) 28.6(2.5) 72.2(3.7) 56.6(2.3) 44.2(3.0) 40.8(3.1) 36.8(1.8) 37.1(2.0)
상기 결과는 조사되고 검사된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이 하기 능력을 갖음을 나타낸다:
- 이들은 라디칼 및 반응성 형태의 산소를 포획하고 중화시킴;
- 이들은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UV-A에 의해 유도된 지질과산화 정도를 감소시킴;
- 이들은 인간 케라티노사이트에서 UV-B에 의해 유도된 세포 손상을 감소시킴;
- 화장료와 관련한 인간 헤어에 대한 지각적 검사는 뚜렷한 회복, 유연화 및 광택-증가 효과 및 개선된 빗질성을 나타냄;
-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제는 뚜렷한 수분 조절 특성을 나타냄.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각종 화장료 제품 또는 화장료 제제는, 본 발명의 실제 구현예로서 하기에 기술하였다.
수많은 제형예가 하기 표에 기재되었다.
실시예 11.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제품의 예시적 제형
실시예 1 내지 5에 따라 얻어지는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은 본 발명에 따른 하기 제형 K1 내지 K21 및 1 내지 40에 사용된다. 별다른 지적이 없다면, 실시예 1 내지 5 중 임의의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화장료 제제는, 비교 제형 (C1, C2 및 C3)에 대하여, 높은 피부학적 안정성이 결합된 매우 우수한 피부 케어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산화적 분해에 대해서도 안정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소프트 그림 제형 K1 내지 K9
INCI 명칭 K1 K2 K3 K4 K5 K6 K7 C1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및) 세테아레트-12/20 (및) 세테아릴 알콜 (및) 세틸 팔미테이트 8.0 8.0 8.0 8.0 8.0 8.0 8.0 8.0
세테아릴 알콜 (및) 세틸 팔미테이트 2.0 2.0 2.0 2.0 2.0 2.0 2.0 2.0
디카프릴일 에테르 2.0 2.0 2.0 2.0 2.0 2.0 2.0 2.0
코코글리세라이드 3.0 3.0 3.0 3.0 3.0 3.0 3.0 3.0
세테아릴 이소노나노에이트 3.0 3.0 3.0 3.0 3.0 3.0 3.0 3.0
글리세린 (86 중량%) 3.0 3.0 3.0 3.0 3.0 3.0 3.0 3.0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 (실시예 1-4) 0.5 0.5 0.5 0.5 0.5 0.5 0.5 -
토코페롤 0.5
알란토인 0.2
비사볼올 0.5
키토산 (하다겐 CMF) 10.0
데옥시리보핵산1) 0.5
판테놀 0.5
100이 되도록 첨가
상기 양 모두는 화장료 제제에 대하여, 중량%임.1)디옥시리보핵산: 분자량 약 70,000, 순도 (260㎚ 및 280㎚에서의 흡광도의 분광광도적 측정에 의해 결정됨): 1.7 이상
나이트 크림 제형 K8 내지 K14
INCI 명칭 K8 K9 K10 K11 K12 K13 K14 C2
폴리글리세릴-2 디폴리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4.0 4.0 4.0 4.0 4.0 4.0 4.0 5.0
폴리글리세릴-3 디이소스테아레이트 2.0 2.0 2.0 2.0 2.0 2.0 2.0 2.0
세라 알바 2.0 2.0 2.0 2.0 2.0 2.0 2.0 2.0
아연 스테아레이트 2.0 2.0 2.0 2.0 2.0 2.0 2.0 2.0
코코글리세라이드 3.0 3.0 3.0 3.0 3.0 3.0 3.0 3.0
세테아릴 이소노나노에이트 8.0 8.0 8.0 8.0 8.0 8.0 8.0 8.0
디카프릴일 에테르 5.0 5.0 5.0 5.0 5.0 5.0 5.0 5.0
마그네슘 술페이트 1.0 1.0 1.0 1.0 1.0 1.0 1.0 1.0
글리세린 (86중량%) 5.0 5.0 5.0 5.0 5.0 5.0 5.0 5.0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 0.5 0.5 0.5 0.5 0.5 0.5 0.5 -
토코페롤 0.5
알란토인 0.2
비사볼올 0.5
키토산 (히다겐 CMF) 10.0
디옥시리보핵산1) 0.5
판테놀 0.5
100이 되도록 첨가
상기 양 모두는 화장료 제제에 대하여, 중량%임.1)디옥시리보핵산: 분자량 약 70,000, 순도 (260㎚ 및 280㎚에서의 흡광도의 분광광도적 측정에 의해 결정됨): 1.7 이상
W/O 바디 로션 제형 K15 내지 21
INCI 명칭 K15 K16 K17 K18 K19 K20 K21 C3
PEG-7 수소첨가 카스토르 오일 7.0 7.0 7.0 7.0 7.0 7.0 7.0 7.0
데실 올레에이트 7.0 7.0 7.0 7.0 7.0 7.0 7.0 7.0
세테아릴 이소노나노에이트 7.0 7.0 7.0 7.0 7.0 7.0 7.0 7.0
글리세린 (86 중량%) 5.0 5.0 5.0 5.0 5.0 5.0 5.0 5.0
MgSO4ㆍ7H2O 1.0 1.0 1.0 1.0 1.0 1.0 1.0 1.0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 (실시예 1-4) 1.5 1.5 1.5 1.5 1.5 1.5 1.5 -
토코페롤 0.5
알란토인 0.2
비사볼올 0.5
키토산 (히다겐 CMF) 10.0
디옥시리보핵산1) 0.5
판테놀 0.5
100이 되도록 첨가
상기 양 모두는 화장료 제제에 대하여, 중량%임.1)디옥시리보핵산: 분자량 약 70,000, 순도 (260㎚ 및 280㎚에서의 흡광도의분광광도적 측정에 의해 결정됨): 1.7 이상
컨디셔너 I에 대한 제형 [화장료 제제 컨디셔너 (100중량%가 되도록 물 및 보존제 첨가)]
조성물 (INCI) 1 2 3 4 5 6
Dehyquart A세트리모늄 클로라이드 4.0 4.0 3.0
Dehyquart L 80도코코일메틸에톡시모늄 메토술페이트 (및) 프로필렌글리콜 1.2 1.2 1.0
Eumulgin B2세테아레트-20 0.8 - 0.8 - 1.0
Eumulgin VL 75라우릴 글루코시드 (및) 폴리글리세릴-2 폴리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및) 글리세린 - 2.0 2.0 - 0.8 -
Lanette O세테아릴 알콜 3.0 3.0 3.0 3.0 3.0 3.0
Cutina GMS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 0.5 - 0.5 - 1.0
Lamesoft PO 65코코-글루코시드 (및) 글리세릴 올레에이트 - 3.0 - - 3.0
Cetiol J 600올레일 에루케이트 - 0.5 - 1.0 - 1.0
Eutanol G옥틸도데카놀 - - 1.0 - - 1.0
Nutrilan Keratin W가수분해된 케라틴 5.0 - - 2.0 - -
Generol 122 N소야 스테롤 - - - - 1.0 1.0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 1.0 1.0 1.0 1.0 1.0 1.0
Copherol 12250토코페롤 아세테이트 - - 0.1 0.1 - -
(1-4) 헤어 린스, (5-6) 헤어 트리트먼트
컨디셔너 II에 대한 제형 [화장료 제제 컨디셔너 (100중량%가 되도록 물 및 보존제 첨가)]
조성물 (INCI) 7 8 9 10
Texapon NSO나트륨 라우레트 술페이트 38.0 38.0 25.0 -
Texapon SB 3디나트륨 라우레트 술포숙시네이트 - - 10.0 -
Plantacare 818코코 글루코시드 7.0 7.0 6.0 -
Plantacare PS 10나트륨 라우레트 술페이트 (및) 코코 글루코시드 - - - 20.0
Dehyton PK 45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 - 10.0 -
Lamesoft PO 65코코-글루코시드 (및) 글리세릴 올레에이트 3.0 4.0
Lamesoft LMG글리세릴 라우레이트 (및) 칼륨 코코일 가수분해된 콜라겐 - 5.0 - -
Euperlan PK 3000 AM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및) 라우레트-4 (및)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 3.0 5.0 5.0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 1.0 1.0 1.0 1.0
Arlypon F라우레트-2 3.0 3.0 1.0 -
나트륨 클로라이드 - 1.5 - 1.5
(7-8) 샤워 바스, (9) 샤워 겔, (10) 세척 로션
화장료 제제 샴푸 (100중량%가 되도록 물 및 보존제 첨가)
조성물 (INCI) 15 16 17 18 19 20
Texapon NSO나트륨 라우레트 술페이트 30.0 30.0 25.0
Texapon K 14 S나트륨 미레트 술페이트 30.0 30.0
Texapon SB 3디나트륨 라우레트 술포숙시네이트 10.0
Plantacare 818코코 글루코시드 4.0
Plantacare 2000데실 글루코시드 4.0
Plantacare PS 10나트륨 라우레트 술페이트 (및) 코코 글루코시드 20.0
Dehyton PK 45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5.0 10.0 10.0
Gluadin WK나트륨 코코일 가수분해된 소맥 단백질 8.0
Lamesoft PO 65코코-글루코시드 (및) 글리세릴 올레에이트 - - - - 2.0 2.0
Nutrilan Keratin W가수분해된 케라틴 5.0 - - - -
Gluadin W 40가수분해된 소맥 단백질 - 2.0 - 2.0 - -
Euperlan PK 3000 AM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및) 라우레트-4(및)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 - - 3.0 3.0 -
판테놀 - - - - - 0.2
모우레라 플루 비아틸리스 추출물 1.0 1.0 1.0 1.0 1.0 1.0
Arlypon F라우레트-2 1.5 - - - - -
나트륨 클로라이드 - 1.6 2.0 2.2 - 3.0
화장료 제제 "2-in-1" 샤워 바스 (100중량%가 되도록 물 및 보존제 첨가)
조성물 (INCI) 11 12 13 14
Texapon NSO나트륨 라우레트 술페이트 30.0 25.0 25.0
Plantacare 818코코 글루코시드 8.0
Plantacare 2000데실 글루코시드 8.0
Plantacare PS 10나트륨 라우레트 술페이트 (및) 코코 글루코시드 20.0
Dehyton PK 45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10.0 10.0
Lamesoft PO 65코코-글루코시드 (및) 글리세릴 올레에이트 5.0
Lamesoft LMG글리세릴 라우레이트 (및) 칼륨 코코일 가수분해된 콜라겐 5.0 5.0
Gluadin WQ라우르디모늄 히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된 소맥 단백질 3.0
Gluadin WK나트륨 코코일 가수분해된 소맥 단백질
Euperlan PK 3000 AM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및) 라우레트-4 (및)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5.0 3.0 4.0 -
판테놀 0.5 - - 0.5
모우레라 플루 비아틸리스 추출물 1.0 1.0 1.0 1.0
Arlypon F라우레트-2 2.6 2.6 - 1.0
나트륨 클로라이드 - - - -
화장료 제제 거품 바스 (100중량%가 되도록 물 및 보존제 첨가)
조성물 (INCI) 21 22 23 24 25
Texapon NSO나트륨 라우레트 술페이트 - 30.0 30.0 - 25.0
Plantacare 818코코 글루코시드 - 10.0 - - 20.0
Plantacare PS 10나트륨 라우레트 술페이트 (및) 코코 글루코시드 22.0 - 5.0 22.0 -
Dehyton PK 45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15.0 10.0 15.0 15.0 15.0
Monomuls 90-O 18글리세릴 올레에이트 0.5
Lamesoft PO 65코코-글루코시드 (및) 글리세릴 올레에이트 3.0 3.0 2.0
Cetiol HE PEG-7글리세릴 코코에이트 2.0 2.0
Nutrilan I-50가수분해된 콜라겐 5.0
Gluadin W 40가수분해된 소맥 글루텐 5.0 5.0
Gluadin WK나트륨 코코일 가수분해된 소맥 단백질 7.0
Euperlan PK 3000 AM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및) 라우레트-4 (및)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5.0 - - 5.0 -
Arlypon F라우레트-2 1.0
나트륨 클로라이드 1.0 1.0 2.0
모우레라 플루 비아틸리스 추출물 1.0 1.0 1.0 1.0 1.0
화장료 제제 (100중량%가 되도록 물 및 보존제 첨가)
조성물 (INCI)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Dehymuls PGPH폴리글리세릴-2 디폴리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4.0 3.0 - 5.0 - - - - - -
Lameform TGI폴리글리세릴-3 디이소스테아레이트 2.0 1.0 - - - - - - - -
Emulgade PL 68/50세테아릴 글루코시드 (및) 세테아릴 알콜 - - - - 4.0 - - - 3.0 -
Eumulgin B2세테아레트-20 - - - - - - - 2.0 - -
Tegocare PS폴리글리세릴-3 메틸글루코오스 디스테아레이트 - - 3.0 - - - 4.0 - - -
Eumulgin VL 75폴리글리세릴-2 디폴리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및) 라우릴 글루코시드 (및) 글리세린 - - - - - 3.5 - - 2.5 -
비이스 왁스(Bees Wax) 3.0 2.0 5.0 2.0 - - - - - -
Cutina GMS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 - - - - 2.0 4.0 - - 4.0
Lanette O세테아릴 알콜 - - 2.0 - 2.0 4.0 2.0 4.0 4.0 1.0
Antaron V 216PVP/헥사데센 공중합체 - - - - - 3.0 - - - 2.0
Myritol 818코코글리세라이드 5.0 - 10.0 - 8.0 6.0 6.0 - 5.0 5.0
Finsolv TNC12/15 알킬 벤조에이트 - 6.0 - 2.0 - - 3.0 - - 2.0
Cetiol J 600올레일 에루케이트 7.0 4.0 3.0 5.0 4.0 3.0 3.0 - 5.0 4.0
Cetiol OE디카프릴일 에테르 3.0 - 6.0 8.0 6.0 5.0 4.0 3.0 4.0 6.0
미네랄 오일 - 4.0 - 4.0 - 2.0 - 1.0 - -
Cetiol PGL헥사데카놀 (및) 헥실데실 라우레이트 - 7.0 3.0 7.0 4.0 - - - 1.0 -
판테놀/비사볼올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실시예 3, 4 or 5)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Copherol F 1300토코페롤/토코페롤 아세테이트 0.5 1.0 1.0 2.0 1.0 1.0 1.0 2.0 0.5 2.0
Neo Heliopan Hydro나트륨 페닐벤즈이미다졸 술포네이트 3.0 - - 3.0 - - 2.0 - 2.0 -
Neo Heliopan 303옥토크릴렌 - 5.0 - - - 4.0 5.0 - - 10.0
Neo Heliopan BB벤조페논-3 1.5 - - 2.0 1.5 - - - 2.0 -
Neo Heliopan E 1000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5.0 - 4.0 - 2.0 2.0 4.0 10.0 - -
Neo Heliopan AV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4.0 - 4.0 3.0 2.0 3.0 4.0 - 10.0 2.0
Uvinul T 150옥틸 트리아존 2.0 4.0 3.0 1.0 1.0 1.0 4.0 3.0 3.0 3.0
아연 산화물 - 6.0 6.0 - 4.0 - - - - 5.0
이산화 티탄 - - - - - - - 5.0 - -
글리세롤 (86중량%)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31) w/o 햇빛 보호 크림, (32-34) w/o 햇빛 보호 로션,(35, 38, 40) o/w 햇빛 보호 로션, (36, 37, 39) o/w 햇빛 보호 크림

Claims (13)

  1.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증류수 또는 비(非)증류수, 저분자량 알콜, 에스테르, 탄화수소, 케톤, 또는 할로겐 함유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이 추출물 매질로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3.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및/또는 화장료 제제.
  4. 제 3 항에 있어서, 최종 제제에 대하여 0.01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상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단, 상기 양은 물 및 선택적으로 그외의 부형제 및 첨가제와 함께 100% 이하가 되도록 첨가함)
  5. 제 3 항 및/또는 제 4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사포닌, 플라본 유도체, 스테롤, 트리터펜, 크산톤 유도체 및 카로티노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6. 제 3 항 및/또는 제 4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염,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칼륨 및/또는 칼슘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7. 피부 및/또는 헤어 케어 제제로의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의 용도.
  8. 수분 조절 보습제로의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의 용도.
  9. 햇빛 보호 제제로의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의 용도.
  10. UV-A 조사 및/또는 UV-B 조사에 의한 섬유아세포 및/또는 케라티노사이트 손상에 대한 제제로의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의 용도.
  11. 항염증제로서의 식물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의 용도.
  12. 항산화제로의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의 용도.
  13. 증류수 또는 비증류수, 저분자량 알콜, 에스테르, 탄화수소, 케톤 또는 할로겐 함유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이 추출을위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0027011040A 2000-02-25 2001-02-16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제제 KR200300052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02425 2000-02-25
FR0002425A FR2805464B1 (fr) 2000-02-25 2000-02-25 Preparations cosmetiques contenant des extraits de la plante mourera fluviatili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206A true KR20030005206A (ko) 2003-01-17

Family

ID=8847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1040A KR20030005206A (ko) 2000-02-25 2001-02-16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제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30129150A1 (ko)
EP (1) EP1257253A2 (ko)
JP (1) JP2003524650A (ko)
KR (1) KR20030005206A (ko)
CN (1) CN1404387A (ko)
AU (1) AU2001235480A1 (ko)
BR (1) BR0108564A (ko)
FR (1) FR2805464B1 (ko)
WO (1) WO200106222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9388B1 (fr) * 2001-09-11 2005-09-02 Oreal Utilisation d'au moins un carotenoide dans une composition cosmetique
FR2834211B1 (fr) * 2002-01-03 2004-06-04 Clarins Lab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utter contre le vieillissement cutane
FR2834210B1 (fr) * 2002-01-03 2004-02-27 Clarins Lab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utter contre le vieillissement cutane
KR20040020092A (ko) * 2002-08-29 2004-03-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보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US20070190019A1 (en) * 2003-06-23 2007-08-16 Chunfeng Guo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opical administration
KR101535395B1 (ko) 2004-01-22 2015-07-08 유니버시티 오브 마이애미 국소용 코-엔자임 큐10 제형 및 그의 사용 방법
US7311896B2 (en) * 2004-02-05 2007-12-25 Mmi Corporation Natural sunscreen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 same
US20060115555A1 (en) * 2004-12-01 2006-06-01 Foulger Sidney W Nutritional supplements containing xanthone extracts
US20060115556A1 (en) * 2004-12-01 2006-06-01 Foulger Sidney W Nutritional supplement drink containing xanthone extracts
CA2823407C (en) 2007-03-22 2016-10-18 Berg Pharma Llc Topical formulations having enhanced bioavailability
JP2008273874A (ja) * 2007-04-27 2008-11-13 Fuji Chem Ind Co Ltd 頭皮外用剤
CN101156830B (zh) * 2007-10-10 2010-05-19 叶芳 防晒霜
CA2721071C (en) 2008-04-11 2017-10-17 Cytotech Labs, Llc Methods and use of inducing apoptosis in cancer cells
IT1391451B1 (it) * 2008-09-24 2011-12-23 Canalini Preparato per il trattamento della disfunzione erettile
EA201101519A1 (ru) 2009-05-11 2012-10-30 БЕРГ БАЙОСИСТЕМЗ, ЭлЭлСи Способы диагностики метаболических нарушений, использующие эпиметаболические переключатели, многоаспектные внутриклеточные молекулы или факторы влияния
BR112012006614B1 (pt) 2009-09-24 2021-02-17 Unilever Nv método não terapêutico para desinfetar uma superfície, composições antimicrobianas, usos não terapêuticos de uma composição e uso de uma composição
SG10202010355PA (en) 2010-03-12 2020-11-27 Berg Llc Intravenous formulations of coenzyme q10 (coq10)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2648681B1 (en) 2010-12-07 2015-01-07 Unilever N.V. An oral care composition
JP6092844B2 (ja) 2011-04-04 2017-03-08 バーグ エルエルシー 中枢神経系腫瘍の治療方法
EP2720680B1 (en) 2011-06-17 2020-02-12 Berg LLC Inhal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N103998011B (zh) 2011-11-03 2016-11-23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个人清洁组合物
BR112015025424A2 (pt) 2013-04-08 2017-07-18 Berg Llc tratamento de câncer usando terapias de combinação de coenzima q10
JP6595478B2 (ja) 2013-09-04 2019-10-23 バーグ エルエルシー コエンザイムq10の連続注入によるがんの治療方法
CN107929146A (zh) * 2017-12-19 2018-04-20 武汉北度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花椰菜提取成分的抗氧化护肤霜及其制备方法
BR112021008183A8 (pt) * 2018-10-29 2022-08-16 Lonza Solutions Ag Composição de limpeza e condicionamento do cabel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29150A1 (en) 2003-07-10
CN1404387A (zh) 2003-03-19
FR2805464B1 (fr) 2003-02-14
WO2001062223A2 (de) 2001-08-30
JP2003524650A (ja) 2003-08-19
EP1257253A2 (de) 2002-11-20
FR2805464A1 (fr) 2001-08-31
WO2001062223A3 (de) 2001-12-27
BR0108564A (pt) 2002-12-03
AU2001235480A1 (en) 2001-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7151B2 (en) Use of an extract from the vigna aconitifolia plant in a cosmetic and/or dermopharmaceutical composition
US20030108493A1 (en) Extracts from residues left in the production of wine
US20030091518A1 (en) Cosmetic and/or pharmaceutical preparations
KR20030005206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제제
US20040191190A1 (en) Cosmetic and/or pharmaceutical preparations containing plant extracts
US20070134193A1 (en) Cosmetic and/or pharmaceutical preparations
US8535731B2 (en) Use of extracts of the Cassia alata plant
US20050089499A1 (en) Active substances for use in cosmetic and/or pharmaceutical products, obtainable from the fermentation of plant components and/or plant extracts
US7651692B2 (en) Use of extracts of the plant Litchi chinensis sonn
US20040009142A1 (en) Synergistically active mixture which inhibits hair growth
US20060078568A1 (en) Use of the residues from wine production
US20040241261A1 (en) Active ingredient mixtures
US20030170265A1 (en) Use of grifola frondosa fungus extracts
KR100866302B1 (ko) 식물 아르가니아 스피노사의 추출물로부터의 천연단백질을 함유하는 화장용 및/또는 피부약학용 제제
KR20030061834A (ko) 식물 아르가니아 스피노사의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용및/또는 피부약학용 제제
US20040028697A1 (en) Method for protecting the skin from aging
KR100748056B1 (ko) 월터리아 인디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제제
US20080160118A1 (en) Treatment of skin with cosmetic and dermatological preparations containing extracts from seeds of plants of the genus adenanthera
KR20030036147A (ko) 프로리포좀 캡슐화 제제 (ⅳ)
JP2003531844A (ja) 植物Arganiaspinosaの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品製剤および/または医薬製剤
US20040146482A1 (en) Cosmetic and/or pharmaceutical preparations containing an extract of pterocarpus marsupium
US20060165631A1 (en) Use of oligoglucosamines in cosmetic or dermatological preparations
US20050095305A1 (en) Anti-aging agents
US20030165582A1 (en) Preparations that contain an extract of the plant pistia stratio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