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0092A - 피부 보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 Google Patents

피부 보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0092A
KR20040020092A KR1020020051539A KR20020051539A KR20040020092A KR 20040020092 A KR20040020092 A KR 20040020092A KR 1020020051539 A KR1020020051539 A KR 1020020051539A KR 20020051539 A KR20020051539 A KR 20020051539A KR 20040020092 A KR20040020092 A KR 20040020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weight
moisturizing
composition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경기열
조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20051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0092A/ko
Publication of KR20040020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009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1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72Hypo-allerge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보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서,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Mourera fluviatilis) 추출물 60 내지 80 중량%, 아미노산 복합물 10 내지 20 중량%, 2-피롤리돈-5-카복실릭애시드 5 내지 15 중량% 및 트레할로스(Trehalos) 20 내지 3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습용 조성물은 수분보유능이 우수하고 피부에서의 수분증발량이 적을 뿐만 아니라 피부에 대한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건성피부의 개선을 위한 화장료 등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보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Composition for moisturizing for skin and Cosmetic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 보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Mourera fluviatilis) 추출물, 아미노산 복합물, 2-피롤리돈-5-카복실릭애시드 및 트레할로스(Trehalos)를 적량 함유함으로서 건조피부의 개선에 효과적인 피부 보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 있어서 피부는 외부환경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보호막의 기능을 하는 기관으로서, 인체 내의 생체성분 즉, 물이나 전해질 등의 손실을 방지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유해물질이 인체내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피부는 크게 표피층, 진피층 및 피하지방층으로 구분된다. 표피층은 각질세포와 멜라닌세포로 구성되는데, 피부 최외곽의 각질세포층은 외부환경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물리적, 화학적 혹은 물질의 투과에 대한 강한 저항성이 요구되며, 인체로부터 외부로 수분이 손실되는 것을 막아줌과 동시에 자체로도 적당한 수분을 보유함으로써 유연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피부의 수분량은 진피층에서는 70% 정도이나 표피층으로 갈수록 감소하여 각질세포층에서는 약 10 내지 30%가 된다. 진피층에서 공급된 물은 주로 수동적 확산에 의해 각질층 상부로 이동하며 최종적으로는 외부로 배출된다. 이를 경피수분 손실(Trans Epedermal Water Loss : TEWL)이라 하며, 이러한 경피수분 손실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시켜주는 것이 각질세포층의 지질막 성분인 피지성분과 표피지질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각질세포층에는 천연보습 인자 (Natural Moisturizing Factor : NMF)라고 하는 친수성의 수분 보유능을 가진 물질이 존재하여 피부의 보습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적인 각질세포층의 수분이 10 내지 30% 정도가 유지되면 피부는 매끄럽고 부드러우며, 신체 보호기능을 정상적으로 발휘하게 된다.
그러나, 각질세포층의 수분함량이 10% 이하가 되면 피부는 거칠어지고 신체의 보호기능을 잃게 되어 노화현상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 건성피부의 경우에는 각질세포의 결집력이 약화되어 피부표면으로부터 비늘조각과 같이 각질세포가 허옇게 벗겨져 나오는 스케일링(Scaling) 현상이 나타나는 바, 이와 같이 피부가 건성화되는 것은 각질세포층의 수분함량이 정상피부에 비해 적기 때문이다. 이 밖에, 건강한 피부라 할지라도 혹독한 외부환경 즉, 바람, 추운 날씨, 햇빛, 세안, 면도 등에 의해 수분 부족현상이 일어나 피부상태가 나빠지기도 한다.
따라서, 피부의 각질세포층의 수분함량을 적절히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화장품에는 피지와 유사한 성분이나 NMF 성분, 또는 폴리올과 같은 보습제 등이 첨가되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수용성 폴리올로서 수산기(OH기)가 3개 이상인 글리세린, 솔리톨 등은 뛰어난 보습력을 나타내나 끈적임이 심하여 사용할 때 불쾌감을 느끼게 하며, 수산기(OH 기)가 2개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등은 피부의 부작용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다른 천연보습인자인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나트륨(PCA-Na), 젖산나트륨(Sodium lactate), 요소 등은 전해성이 강해 화장료의 유화안정성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으며, 아미노산, 콜라겐, 엘라스틴 등도 보습능력이 있다고 하나 그 보습능력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수분보유능이 우수하여 건조피부의 개선에 효과적이고, 끈적이거나 번들거리지 않기 때문에 사용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부작용이 거의 없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Mourera fluviatilis) 추출물 60 내지 80 중량%, 아미노산 복합물 10 내지 20 중량%, 2-피롤리돈-5-카복실릭애시드 5 내지 15 중량% 및 트레할로스(Trehalos) 20 내지 30 중량%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아미노산 복합물은 아미노산 복합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세린 10 내지 30 중량%, 알기닌 10 내지 30 중량%, 알라닌 10 내지 30 중량% 및 트레오닌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 보습용 조성물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Mourera fluviatilis) 추출물은 우수한 피부보습능력을 부여한다.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는 포도스테마시에(Podostemaceae)과에 속하며, 강이나 폭포 등지에서 서식하는 식물종으로서, 아마존 유역의 거친 자연 환경으로 둘러싸인 프렌치 기아나(French Guiana) 지방의 급물살이 흐르는 강물내의 바위 위에서 자라난다.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아마존 현지로부터 채취된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Mourera fluviatilis)를 잘게 분쇄하고 분쇄된 건조 중량에 대하여 5-20 부피의 물이나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 등의 유기용매를 넣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환류 추출기에서 50-100 ℃로 1-5시간 가열하여 1차 추출한 다음, 100 메쉬의 여과포로 여과한 후 잔사를 같은 방법으로 1 회 더 추출하였다. 각각의 추출액을 합하여 상온에서 화트만(Whatman) 2 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불용성물질을 제거하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거나 분무 건조하여 건조추출물을 얻는다. 이와 같은 방법 외에 용매, 시간, 횟수 등을 변화시켜 일반적인 추출/농축 방법을 사용하여도 차이가 없다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아미노산 복합물은 생명체내에서 단백질, 효소 및 호르몬을 구성하는 기본 소재 물질인 아미노산들의 복합물이다. 이들 아미노산 복합물은 피부의 천연보습인자(NMF)의 주된 구성성분으로 피부 보습에 매우 효과적이며, 수분과의 친화성이 뛰어나서 수분과 결합하여 수화되기 때문에 저습도의 건조한 환경 중에서도 피부가 건조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지구상에는 약 100여가지의 아미노산이 존재하고 인체내에는 20 종류만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중에서 8개는 필수 아미노산이고 12개는 비필수 아미노산으로 분류된다. 이중에서 특히 상기 아미노산 복합물은 세린 10 내지 30 중량%, 알기닌 10 내지 30 중량%, 알라닌 10 내지 30 중량% 및 트레오닌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2-피롤리돈-5-카복실릭애시드는 피부에 다량 존재하는 천연보습인자(NMF)에서 약 12%를 차지하는 성분으로 상기 아미노산 복합물과 함께 피부의 수분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물질이다. 상기 2-피롤리돈-5-카복실릭애시드는 아미노산의 일종인 글루타민산으로부터 만들어지며, 상대습도가 낮은 건조한 상태에서도 글리세린보다 우수한 흡습력을 나타내고, 독성이 없고 무색무취하며 피부에 유연성과 함께 탄력성을 부여하여 준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트레할로스(Trehalos)는 두 개의 글루코스로 이루어진 이당류의 구조를 가지며 수분 결합을 강화시키는 역할과 함께 세포보호 및 부활효과가 뛰어난 물질로서, 부활초(Selaginella lepidophilla)나 버섯, 해초, 곤충, 무척추동물 등에 포함되어 있으며, 생명체가 건조상해, 동결상해 등의 열악한 환경에 처한 경우에도 생명유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중요한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트레할로스는 비환원성이므로 아미노산이나 일반 생물제제와 화학반응을 하지 않으며 반응억제성, 삼투압조절성, 보습성, 결정방지성, 전분노화 방지성 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트레할로스의 세포보호 작용의 메카니즘을 살펴보면 세포표면의 단백질과 수소결합을 함으로써 세포막을 보호하고, 세포표면에서 유리구조와 같은 구조를 형성하여 세포내 물질의 휘산을 방지하며, 자체 구조의 안정화와 인지질막의 구조를 안정화시켜 온도변화에 따른 인지질막의 라멜라 구조의 파괴를 방지한다. 이러한 트레할로스는 효모에서 추출하는 방법, 아미노산발효미생물을 이용하는 발효법 등으로 얻을 수 있으며, 효소적 생산법으로서 말토스에 말토스포스포릴라제와 트레할로 스포스포릴라제를 동시에 작용시켜 글루코스-1-인산을 거쳐 생성하거나 글로코스에 트레할라제를 작용시켜 그 축합(縮合)반응에 의해 생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Mourera fluviatilis) 추출물, 아미노산 복합물, 2-피롤리돈-5-카복실릭애시드 및 트레할로스(Trehalos)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60 내지 80 중량%, 10 내지 20 중량%, 5 내지 15 중량% 및 20 내지 30 중량%의 범위로 첨가하는 것이 더욱 상승된 보습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보습용 조성물은 화장료의 종류 및 사용 목적에 따라 보습용 조성물과 통상 사용하는 성분의 적당량을 사용하여 배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는데, 화장료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1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비로 먼저, 수상과 유상을 각각 75 내지 80 ℃ 정도로 가열, 용해한 후, 유상을 수상에 첨가하여 얻은 혼합물을 호모믹서로 5,000 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분간 유화시킨 다음 냉각시켜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보습향상물질은 수상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처리하였다.
구 분 원료명 함량 (중량%)
수 상 정제수 to 100
트리에탄올 아민 0.15
카르복시비닐폴리머(1 중량% 수용액) 10.0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0.2
유 상 세토스테아릴알코올 0.8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5
모노스테아린산솔비탄 0.3
POE(20)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5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이소세틸미리스테이트 7.0
이소세틸옥티노에이트 5.0
보습향상물 질 조성비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 60 중량% 1.0
아미노산 복합물: 10 중량%
2-피롤리돈-5-카복실릭애시드: 5 중량%
트레할로스: 25 중량%
상기 표 1에서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은 프랑스 세로바이올로지크(Serobiologiques)사에서 구입한 것이고, 아미노산 복합물은 세린 30 중량%, 알기닌 25 중량%, 알라닌 25 중량% 및 트레오닌 20 중량%로 이루어진 것이다.
실시예 2, 3 및 비교예 1 내지 9
보습향상물질로서 하기 표 2에 나타낸 성분으로 함량을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구 분 보습향상물질 함량 (중량%)
실시예 2 실시예 1의 보습향상물질 5.0
실시예 3 실시예 1의 보습향상물질 10.0
비교예 1 히아루론산 10.0
2 젖산나트륨 5.0
3 글리세린 5.0
4 솔비톨 5.0
5 1,3-부틸렌글리콜 5.0
6 프로필렌글리콜 5.0
7 베타인 5.0
8 글리세레스-26 5.0
9 메칠글루세스-20 5.0
화장료의 수분보유능 평가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9의 화장료의 보습력을 평가하기 위해 피부에 정량 도포한 후, 수분보유능을 평가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시험 방법은 22℃, 상대습도 45%의 항온항습실에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9의 화장료를 각각 20명의 피시험자 팔의 안쪽에 일정량(2 mg/㎠)을 도포한 후 잘 문지르고, 0시간의 수분보유능을 기준으로 1 시간과 3 시간 후의 수분 증가율(%)을 측정하여 단기(short term)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 분 0 시간 1 시간 3 시간
실시예 1 0 186 182
2 0 236 238
3 0 307 314
비교예 1 0 178 159
2 0 124 115
3 0 154 164
4 0 148 130
5 0 112 108
6 0 126 116
7 0 145 152
8 0 104 108
9 0 115 117
피부의 수분 함량의 측정은 피부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피부수분 함량 측정기 Skicon 200 (고주파 : 3.5 MHz)을 사용하였다. Skicon 200은 주파수 3.5 MHz로 얕은 두께의 피부(각질세포층에 해당됨)의 수분 함량을 측정하는 기기이다.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습향상물질로서 본 발명에 의한 보습 조성물을 포함한 화장료가 비교예 1의 히아루론산과 같이 통상의 보습용 물질을 사용한 비교예들의 화장료에 비해 도포 1 시간 후 및 3 시간 후에 수분보유 증가율이 훨씬 높고, 따라서 수분보유능이 훨씬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및 비교예 10
다음 표 4와 같은 조성으로 모이스춰크림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상기 실시예 1의 화장료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구 분 원료명 함량 (중량%)
실시예 4 비교예 10
수 상 정제수 to 100 to 100
글리세린 0 5.0
프로필렌글리콜 0 5.0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0.2 0.2
수산화칼륨 0.2 0.2
유 상 세토스테아릴알코올 5.0 5.0
스테아린산 3.0 3.0
콜레스테릴에스테르 0.3 0.3
유동 파라핀 15.0 15.0
옥틸도데칸올 4.0 4.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3.0 3.0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0.1 0.1
실시예 1의 보습향상물질 10.0 0
실시예 5 및 비교예 11
다음 표 5와 같은 조성으로 밀크로션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상기 실시예 1의 화장료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구 분 원료명 함량 (중량%)
실시예 5 비교예 11
수 상 정제수 to 100 to 100
솔비톨 0 5.0
프로필렌글리콜 0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0.2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0.2 0.2
트리에탄올아민 0.2 0.2
유 상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0 2.0
스테아린산 0.8 0.8
밀랍 0.5 0.5
스쿠알란 8.0 8.0
정제호호바유 4.0 4.0
옥틸도데칸올 2.0 2.0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1.0 1.0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0.5 0.5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0.1 0.1
실시예 1의 보습향상물질 7.0 0
모이스쳐 크림과 밀크로션의 수분보유능 평가 시험
실시예 4, 5 및 비교예 10, 11에 따라 제조된 모이스쳐 크림과 밀크로션의 보습력을 평가하기 위해 피부에 정량 도포한 후, 피부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수분보유능 평가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방법은 22℃, 상대습도 45%의 항온항습실에서 실시예 4, 5 및 비교예 10, 11에 따라 제조된 모이스쳐 크림과 밀크로션을 각각 20명의 피시험자 팔의 안쪽에 일정량(2 mg/㎠)을 도포한 후 잘 문지르고, 도포 전, 도포 1 시간 후 및 도포 3 시간 후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단위 : μ/Ω)
구 분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0 비교예 11
도포 전 6 6 6 6
도포 1시간 후 45 41 28 24
도포 3시간 후 41 39 22 20
순 위 1 2 3 4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4, 5에 따라 제조된 모이스춰 크림과 밀크로션이 비교예 10, 11의 모이스춰 크림과 밀크로션에 비해 도포 1 시간 후와 도포 3 시간 후의 피부전도도에서 훨씬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이는 실시예 4, 5의 모이스춰 크림과 밀크로션의 수분보유능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모이스쳐 크림과 밀크로션의 수분증발량 평가 시험
실시예 4, 5 및 비교예 10, 11에 따라 제조된 모이스쳐 크림과 밀크로션의 보습력을 또 다른 방법으로 평가해보기 위해 수분증발량 평가 시험을 하였다. 시험 방법은 22℃, 상대습도 45%의 항온항습실에서 실시예 4, 5 및 비교예 10, 11에 따라 제조된 모이스쳐 크림과 밀크로션을 각각 20명의 피시험자 팔의 안쪽에 일정량(2 mg/㎠)을 도포한 후 잘 문지르고, 2분 간격으로 수분증발량 측정기를 이용하여 10분간 피부의 수분증발량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수분증발량 단위 : % )
구 분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0 비교예 11
10 분 후 수분증발량 28 32 44 49
순 위 1 2 3 4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4, 5에 따라 제조된 모이스춰 크림과 밀크로션이 비교예 10, 11의 모이스춰 크림과 밀크로션에 비해 훨씬 적은 수분증발량을 나타내었고, 이는 실시예 4, 5의 모이스춰 크림과 밀크로션이 피부 수분증발 억제능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건성피부 개선효과 평가 시험
실시예 4, 5 및 비교예 10, 11에 따라 제조된 모이스쳐 크림과 밀크로션의 보습력을 또 다른 방법으로 평가해보기 위해 건성피부 개선효과 평가 시험을 하였다. 시험 방법은 손등부위가 거조한 성인 남녀 24명을 대상으로 1일 2회씩 총 3개월 동안 다음과 같은 시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시료를 사용하기 전에 피시험자의 손등 4 cm × 4 cm의 면적 부분에 대하여 피부에 발생하는 스케일을 건조평가 파라미터로 선정하여 휴대형 현미경 (Handy Scope)으로 손등의 스케일을 측정한 다음, 영상분석기를 이용하여 스케일 면적을 측정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실시예 4, 5 및 비교예 10, 11에 따라 제조된 모이스쳐 크림과 밀크로션을 각각 24명의 피시험자의 손등 부위에 3 개월간 사용하게 한 후에 스케일 면적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에서수치는 전체 면적에 대한 스케일 면적의 %이다.
구 분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0 비교예 11
사용 전 15.2 14.9 15.1 14.8
사용 후 3.2 3.6 5.2 5.4
상기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4, 5에 따라 제조된 모이스춰 크림과 밀크로션을 사용한 경우, 비교예 10, 11의 모이스춰 크림과 밀크로션에 비해 스케일 면적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이는 실시예 4, 5의 모이스춰 크림과 밀크로션이 건성피부 개선효과가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피부 자극성 정도 평가 시험
상기 실시예 4, 5 및 비교예 10, 11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들의 피부 자극성 정도를 평가해보기 위해 건강한 성인 남녀 50 명을 대상으로 폐쇄첩포 시험(Patch Test)을 실시하였다. 즉, 실시예 4, 5 및 비교예 10, 11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시료를 핀챔버에 일정량 (약 0.2g)을 가하고 적당한 크기의 여과지를 이용하여 시료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하여 피시험자의 피부에 24시간 동안 부착시킨 다음 핀챔버를 제거하고 2 시간 후의 피부 상태를 전문가 2인이 판정하는 방법에 의해 자극도 및 자극반응을 표 9에 나타낸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자극도(Score) 자극반응(Reaction) 판정기준
0 - 아무런 증상 없음
1 +- 약간의 홍반 반응만 있는 경우
2 + 명확한 홍반, 부종은 있으나, 수포는 없는 경우
3 ++ 명확한 홍반, 부종, 수포가 있는 경우
4 +++ 대수포가 있는 경우
시 료 판정 결과 (사람수) 피부자극 지수
++ + +- -
실시예 4 0 0 1 24 0.02
실시예 5 0 0 2 23 0.04
비교예 10 0 0 1 24 0.02
비교예 11 0 0 2 23 0.04
상기 표 10에서 피부자극지수는 하기 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피부자극지수 = 자극도 × 반응을 나타낸 피시험자 수 / 전체 피시험자 수
상기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4와 5에 따른 모이스춰 크림과 밀크로션은 비교예 10 내지 11의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유의차가 없는 안정한 피부자극 지수를 보였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는 보습력이 우수하여 피부의 수분 보유능, 피부 증발 억제능 및 건조피부 개선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는 피부자극성이 약하므로 부작용이 거의 없이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4)

  1.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Mourera fluviatilis) 추출물 60 내지 80 중량%;
    아미노산 복합물 10 내지 20 중량%;
    2-피롤리돈-5-카복실릭애시드 5 내지 15 중량%; 및
    트레할로스(Trehalos) 20 내지 3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우레라 플루비아틸리스 추출물은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인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복합물은 아미노산 복합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세린 10 내지 30 중량%, 알기닌 10 내지 30 중량%, 알라닌 10 내지 30 중량% 및 트레오닌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4. 제1항의 피부 보습용 조성물을 0.1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KR1020020051539A 2002-08-29 2002-08-29 피부 보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200400200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539A KR20040020092A (ko) 2002-08-29 2002-08-29 피부 보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539A KR20040020092A (ko) 2002-08-29 2002-08-29 피부 보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092A true KR20040020092A (ko) 2004-03-09

Family

ID=37324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539A KR20040020092A (ko) 2002-08-29 2002-08-29 피부 보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009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254B1 (ko) 2015-08-11 2016-03-04 주식회사 비앤비코리아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99256B1 (ko) 2015-08-11 2016-03-04 주식회사 비앤비코리아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19306A (ko) 2016-02-24 2017-02-21 주식회사 비앤비코리아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19305A (ko) 2016-02-24 2017-02-21 주식회사 비앤비코리아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53175A (ko) * 2018-11-08 2020-05-18 (주)아모레퍼시픽 다중 유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2223A2 (de) * 2000-02-25 2001-08-30 Cognis France, S.A. Kosmetische zubereitungen enthaltend pflanzenextrakte
KR20020010736A (ko) * 1999-07-13 2002-02-04 파르마솔 게엠베하 건강상 해로운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고 천연 피부보호막을 강화시키기 위한 자외선 반사제 또는 흡수제
KR20020063877A (ko) * 1999-10-14 2002-08-05 니신 오일 밀스 가부시키가이샤 피부개선제, 피부노화 방지제, 미백제 및 피부외용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0736A (ko) * 1999-07-13 2002-02-04 파르마솔 게엠베하 건강상 해로운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고 천연 피부보호막을 강화시키기 위한 자외선 반사제 또는 흡수제
KR20020063877A (ko) * 1999-10-14 2002-08-05 니신 오일 밀스 가부시키가이샤 피부개선제, 피부노화 방지제, 미백제 및 피부외용제
WO2001062223A2 (de) * 2000-02-25 2001-08-30 Cognis France, S.A. Kosmetische zubereitungen enthaltend pflanzenextrakt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hytochemistry31(2), 1992, 543-548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254B1 (ko) 2015-08-11 2016-03-04 주식회사 비앤비코리아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99256B1 (ko) 2015-08-11 2016-03-04 주식회사 비앤비코리아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19306A (ko) 2016-02-24 2017-02-21 주식회사 비앤비코리아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19305A (ko) 2016-02-24 2017-02-21 주식회사 비앤비코리아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53175A (ko) * 2018-11-08 2020-05-18 (주)아모레퍼시픽 다중 유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946B1 (ko) 인삼꽃 흑효모 발효를 통한 진세노사이드 Rg3 강화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7355B1 (ko) 비자극성 약산성 각질제거 및 상피세포 영양 공급을 위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KR101574558B1 (ko) 진세노사이드 Rd, Rb2와 죽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94987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45451A (ko) 드래곤블러드수지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5056B1 (ko)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44543A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카카두플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40020092A (ko) 피부 보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101824179B1 (ko) 더위지기 효모 발효물을 포함하는 보습 및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KR101662272B1 (ko) 흑미의 배아와 미강 추출물 및 보리 추출물 혼합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KR101605324B1 (ko) 각질 제거 및 수분량 증가를 통한 건조 및 가려움 완화 효과를 가지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12129B1 (ko) 비타민 씨와 수용성 베타 글루칸을 함유하는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조성물
JP4413387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エラスターゼ活性阻害剤、コラゲナーゼ活性阻害剤及び皮膚化粧料
KR100534185B1 (ko)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함유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KR100558751B1 (ko)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07455B1 (ko) 유근피로부터 추출된 다당류
KR101154772B1 (ko) 대추 추출물 및 호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화장료 조성물
KR100555036B1 (ko) 유백피 점액질을 함유하는 피부건조방지용 보습화장료 및 화장비누 조성물
KR101077693B1 (ko) 자일리톨 및 베타-1,3-글루칸을 함유한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100457689B1 (ko) 빈랑자추출물을함유하는화장료조성물
KR20170001201A (ko) 당근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63239B1 (ko) 톳 추출물 및 괭생이모자반 초음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57422B1 (ko) 때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정 또는 세척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100300197B1 (ko) 발전용화장료조성물
CN111135113B (zh) 保湿、抗氧化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