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5036B1 - 유백피 점액질을 함유하는 피부건조방지용 보습화장료 및 화장비누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백피 점액질을 함유하는 피부건조방지용 보습화장료 및 화장비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5036B1
KR100555036B1 KR1019990008836A KR19990008836A KR100555036B1 KR 100555036 B1 KR100555036 B1 KR 100555036B1 KR 1019990008836 A KR1019990008836 A KR 1019990008836A KR 19990008836 A KR19990008836 A KR 19990008836A KR 100555036 B1 KR100555036 B1 KR 100555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smetic
milky
moisturizing
ulm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0500A (ko
Inventor
김정훈
김상년
박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19990008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5036B1/ko
Publication of KR20000060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0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0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백피를 물로 추출할 때 나오는 점액질을 보습성분으로 하는 피부건조방지용 보습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건조방지용 보습화장품 또는 화장비누의 제조에 있어서 보습제로서 유백피 물추출 점액질의 사용함량은 0.5∼20.0 중량% 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유백피 점액질을 함유하는 피부건조방지용 보습화장료 및 화장비누 조성물 {Cosmetic or soap compositions, each containing Ulmus macrocapa or Ulmus pumila, for the prevention of dry skin}
본 발명은 피부건조방지용 보습화장료 조성물 또는 화장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백피의 물추출 점액질을 함유하는 피부건조방지용 보습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학적으로 볼 때, 피부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보호막(barrier)기능으로 물, 전해질 등 생체성분의 손실을 방지하는 동시에 외부환경의 유해물질이 피부내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피부는 생체내에 비해 훨씬 건조한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있으면서 생체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막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특히 외부환경과 직접 접촉하는 피부 최외각의 각질층은 물리적, 화학적인 유해성분의 침입을 방지하고, 생체내보다 건조한 외부환경으로의 내부수분 손실을 막아주는 동시에, 각질층 자신도 적당한 수분을 보유하여 유연성을 유지하고 있다.
피부수분량은 진피에서는 70% 정도이나 표피로 가면서 감소하여 최외각층인 각질층에서는 약 10∼30% 가 된다. 진피에서 공급된 물은 주로 수동적 확산에 의해 각질층 상부로 확산되어 외부로 손실된다. 이것을 경피수분손실(TEWL: Trans Epidermal Water Loss)라 하며, 이 경피수분손실을 막아주는 것이 각질층의 지질막 성분인 피지성분과 표피지질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각질층의 수분보유능은 생체방어라는 관점에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매끄럽고 유연한 피부표면은 미용상의 관점에서도 대단히 중요하다. 따라서 각질층 내의 여러성분이 이러한 기능을 나타내는데 관여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피부의 이러한 기능에도 불구하고, 피부는 혹독한 외부환경 즉, 바람, 추운날씨, 햇빛 등과 세안, 면도 등과 노화라는 인자가 더해져서 쉽게 수분을 잃게되어 건조하고 거칠은 피부가 되기 쉽다.
화장품을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여 매끄럽고 촉촉한 피부를 유지시켜주는 것이다. 즉, 피부에 화장품을 바르게 되면 피부에 인공막을 만들어 주어 외부의 자극을 막아주고 피부내로 부터의 수분손실을 막아줄 뿐만 아니라 어느정도의 수분을 피부에 공급하게 되어 매끄럽고 촉촉한 피부를 유지하도록 도와준다.
그러나 일반적인 보습작용을 갖는 종래의 화장품으로는 매끄럽고 촉촉하며, 피부에 부담감이 없는 산뜻한 피부관리를 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종래의 보습목적의 화장품에 사용되어온 수용성 다가 알코올류,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나트륨, 요소, 아미노산, 엘라스틴 등과 같은 보습제들은 각기 문제점들을 갖고 있다.
이 문제점들을 살펴보면, 종래 화장품에 보습제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수 용성 다가 알코올류의 경우 OH 기가 3 개 이상인 글리세린, 솔리톨 등은 뛰어난 보습력에 반해 끈적임이 심하여 사용할 때 불쾌감을 느끼게 하며, OH 기가 2 개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등은 다량 사용할 때 피부 부작용이 있게 된다. 또한 천연보습인자(NMF: natural moisturing factor)인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나트륨(PCA-Na), 젖산 나트륨(Na-lactate), 요소 등은 전해성이 강해 화장품 등 제품의 유화안정성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으며, 아미노산, 콜라겐, 엘라스틴 등도 보습능력이 있다고 하나 그 보습능력에 한계가 있었다.
한편 화장비누는 유지 또는 유지를 분해하여 얻어지는 지방산을 수산화 칼륨, 수산화나트륨 등으로 비누화한 것으로 인체의 세정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 화장비누는 수용액에서 강한 알카리성을 나타내므로 자주 사용할 경우 피부의 피지성분을 과다하게 제거하고 각질층을 연화시켜 피부 거칠음의 원인이 된다. 즉, 알카리성 화장비누의 사용은 피부를 건조하게 하고 탄력을 잃게 만들어 피부가 쉽게 거칠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알카리성 화장비누의 사용으로 인한 피부건조 및 거칠어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피부에 수분과 유분을 공급해주는 다양한 첨가제가 사용되어 왔다. 가장 보편적인 첨가제로는 글리세린, 솔비톨 및 천연오일 등이 있다. 이들은 잦은 알카리성 비누 사용으로 인해 거칠어진 피부표면에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피부 표면의 수분증발을 억제하여 피부건조를 완화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보습제는 외부수분을 피부에 흡착시키는 기능이 약하거나 단지 일시적인 보호막의 기능만을 가지고 있어서 물리적 영향으로 인해 쉽게 피부표면에서 탈리되어 장시간의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보습능력이 우수하면서 상기의 문제점들이 없는 보습제를 찾고자 점액질을 함유하는 식물체 수십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유백피를 물로 추출할 때 나오는 점액질이 피부의 수분보유력을 향상시켜 주면서, 경피수분손실을 효과적으로 막아주는 동시에 상기의 문제점들을 막아줄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유백피 약재를 10∼200 메쉬 크기로 분쇄하고; 분쇄된 유백피 분말에 추출용매로 증류수를 무게비로 10 배량 첨가하여 24 시간 냉침 또는 50℃ 이상의 온도에서 3 시간 이상 추출한 후 여과하고;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고; 이 농축물을 소량의 증류수에 재 용해시킨 후 유기용매를 가하여 침전시키고; 이 침전물을 회수하여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유백피 점액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백피 점액질을 0.1∼20.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건조방지용 보습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외에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백피 점액질을 0.5∼20.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건조방지용 화장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유백피는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느릅나무(Ulmus marcrocapa Hance 또는 Ulmus pumila)의 뿌리껍질을 말린 것이다. 느릅나무는 우리나라 중부와 북부의 산기슭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유백피에는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탄닌질 그리고 많은 양의 점액질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백피 추출물은 수렴작용, 항염증작용, 항균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의치료에서는 달여서 위통, 허리통증 때 먹으며 고약을 만들어 곪는 상처에 바르기도 한다. 한약재 유백피는 오래전부터 한방에서 사용해오던 재료로서 체내 섭취에서도 인체에 대한 안정성이 확인되어 있으며 또한 피부 및 점막에 대한 자극도 거의 없는 극히 안전한 식물이다.
보습성분으로 사용된 유백피 점액질을 얻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유백피약재를 10∼200 메쉬 크기로 분쇄하고; 분쇄된 유백피 분말에 추출용매로 증류수를 무게비로 10 배량 첨가하여 24시간 이상 냉침 또는 50℃ 이상의 온도에서 3 시간 이상 추출한 후 여과하고;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농축하고; 이 농축물을 소량의 증류수에 재용해시킨 후 에틸알콜 등 적당한 유기용매를 가하여 침전시키고: 이 침전물을 회수하여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유백피 점액질 분말을 얻었다.
피부건조방지용 보습화장품의 제조에 있어서 보습제로서 유백피 물추출 점액질의 사용함량은 0.1∼2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10.0 중량%가 좋다. 0.1 중량% 이하에서는 수분보유능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20.0 중량% 이상에서는 제품의 사용감이 무겁고 비경제적이다.
피부건조방지용 화장비누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보습제로서 유백피 물추출 점액질의 사용함량은 0.1∼20.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10.0 중량%가 좋다. 0.1 중량% 이하에서는 보습효과를 느끼기 어려우며, 20.0% 중량 이상 사용하면 보습효과는 우수하나 기포력이 저하되고 장기보관시의 안정성이 떨어진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3, 비교예 1∼9
앞서 기술한 방법으로 제조한 유백피 점액질을 다음표 1과 같은 기본처방에 적용하여 실시예 1∼3 및 비교에 1∼9 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수상성분과 유상성분을 각각 가온하여 잘 용해시킨 다음 수상성분에 유상성분 및 중화제를 서서히 투입하면서 격렬하게 교반시킨 후 냉각하였다.
화장료 기본처방
구분 원료명 함량(중량%)
유상성분 세토스테아릴알콜 미네랄오일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2.0 10.0 0.7 0.5
수상성분 정제수 카르복시비닐폴리머 78.0 이상 적량 0.1
보습향상물질 * 표 2와 동일 * 표2와 동일
중화제 트리에탄올아민 0.1
실험예 1. 기본처방에 의한 화장료의 수분보유능 시험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예 1∼3 및 비교예 1∼9 의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정량 도포한 후 피부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피부수분보유능을 평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시험방법은 22℃, 상대습도 45% 의 항온항습실에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9 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20명의 피시험자 하박 안쪽에 일정량(0.03g/16㎠)을 도포한 후 잘문지르고 도포 2 시간 후에 피부의 수분함량을 측정하였다. 측정기기는 피부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피부수분함량 측정기(Skicon 200)을 사용하였다.
보습향상물질에 따른 피부전기전도도
구분 보습향상물질 함량 (중량%) 도포 2 시간 후의 피부전기전도도(μ/Ω)
실시예 1 유백피 점액질 0.8 42.5
실시예 2 유백피 점액질 8.0 47.3
실시예 3 유백피 점액질 18.0 52.5
비교예 1 히아루론산 8.0 10.8
비교예 2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8.0 2.5
비교예 3 젖산나트륨 8.0 7.9
비교예 4 콜라겐 8.0 2.0
비교예 5 키틴리퀴드 8.0 5.0
비교예 6 글리세린 8.0 32.0
비교예 7 솔비톨 8.0 20.5
비교예 8 1,3-부틸렌글리콜 8.0 14.9
비교예 9 프로필렌글리콜 8.0 10.6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3의 화장료가 비교예 1-9의 화장료에 비해 도포 2시간 후의 피부전기 전도도가 훨씬 높다. 따라서 실시예 1-3의 화장료가 비교예 1-9 의 화장료 보다 수분보유능이 훨씬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및 비교예 10. 모이스처 크림의 제조
다음 표 3 과 같은 조성으로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각각 가온하여 잘 용해시킨 다음 유상성분을 수상성분에 서서히 투입하면서 격렬하게 교반시킨 후 냉각하여 모이스처 크림을 제조하였다.
모이스처 크림의 제조
구분 원료명 함량(중량%)
실시예 4 비교예 10
유상성분 세토스테아릴알코올 5.0 5.0
스테아린산 3.0 3.0
콜레스테릴에스테르 5.0 5.0
유동파라핀 15.0 15.0
옥틸도데칸올 4.0 4.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3.0 3.0
프로필파라벤 0.1 0.1
수상성분 정제수 54.5 54.5
유백피 점액질 10.0
글리세린 5.0
프로필렌글리콜 5.0
메틸파라벤 0.2 0.2
수산화칼륨 0.2 0.2
실시예 5 및 비교예 11 밀크로션의 제조
다음 표 4 와 같은 조성으로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각각 가온하여 잘 용해시킨 다음 수상성분에 유상성분과 트리에탄올아민을 차례로 서서히 투입하면서 격렬하게 교반시킨 후 냉각하여 밀크로션을 제조하였다.
밀크로션의 제조
구분 원료명 함량(중량%)
실시예 5 비교예 11
유상성분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0 2.0
스테아린산 0.8 0.8
밀랍 0.5 0.5
스쿠알란 8.0 8.0
정제호호바유 4.0 4.0
옥틸도데칸올 2.0 2.0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 에틸렌소르비탄 1.0 1.0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0.5 0.5
프로필파라벤 0.1 0.1
수상성분 정제수 73.5 73.5
유백피 점액질 7.0
솔비톨 5.0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0.2
메틸파라벤 0.2 0.2
중화제 트리에탄올아민 0.2 0.2
실험예 2. 모이스처 크림과 밀크로션의 수분보유능시험
실시예 4, 5 및 비교예 10, 11 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분보유능 시험을 행하였다.
22℃, 상대습도 45% 의 항온항습실에서 실시예 4, 5 및 비교예 10, 11 에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20 명의 피시험자 하박 안쪽에 일정량(0.03g/16㎠)을 도포한 후 잘 문지르고 나서 도포전, 도포 1시간 후, 도포 2시간 후에 피부의 수분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5 에 나타내었다.
수분보유능 시험결과
구분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0 비교예 11
도포 전 피부전기전도도 6 6 6 6
도포 1시간 후 피부전기전도도 42 39 14 11
도포 2시간 후 피부전기전도도 36 32 10 7
수분보유능 순위 1 2 3 4
(전기전도도 단위 : μ/Ω)
상기 표 5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4, 5 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이 비교예10 및 11의 화장료조성물에 비해 도포 1 시간, 2 시간 후의 피부전기전도도가 훨씬 높게 나타났다.
즉, 비교예 10 및 11 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보다 실시예 4 및 5 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들의 수분보유능이 훨씬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모이스처 크림과 밀크로션의 수분증발량 시험
실시예 4, 5 및 10, 11 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분증발량시험을 행하였다.
22℃, 상대습도 45% 의 항온항습실에서 실시예 4, 5 및 비교예 10, 11 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20명의 피시험자 하박 안쪽에 일정량(0.03 g/16㎠)을 도포한 후 잘 문지르고 나서 2 분 간격으로 10분간 수분증발량기를 이용하여 피부의 수분증발량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 표 6 에 나타내었다.
수분증발량 시험결과
구분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0 비교예 11
10 분 후 수분증발량 30 % 33 % 43 % 45 %
피부 수분증발 억제 순위 1 2 3 4
상기 표 6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4 및 5 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이 비교예 10 및 11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들에 비해 훨씬 적은 수분증발량을 나타내었다.
즉, 비교예 10 및 11 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보다 실시예 4 및 5 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들의 피부수분증발억제능이 훨씬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유백피 점액질을 함유하는 실시예 4, 5 의 화장료 조성물이 유백피 점액질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0, 11 의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피부수분보유능 및 피부수분증발억제능이 훨씬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조성물의 보습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8 및 비교예 12, 13
다음 표 7 과 같은 처방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유백피 점액질을 적용하여 실시예 6∼8 및 비교예 12, 13 의 화장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장비누의 제조는 통상적인 비누제조방법에 따라 혼합, 압출, 성형, 형타를 거쳐 제조하였다.
화장비누의 제조
성분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비교예 12 비교예 13
비누소지(수분 10 중량%) 97.64 93.14 88.14 93.14 90.14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톨루엔 (BHT) 0.01 0.01 0.01 0.01 0.01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EDTA-4Na) 0.05 0.05 0.05 0.05 0.05
향료 1.50 1.50 1.50 1.50 1.50
산화티탄 0.30 0.30 0.30 0.30 0.30
보습제: 유백피 점액질 0.50 5.00 10.00
보습제: 글리세린 5.00 3.00
보습제: 팜핵유지방산 5.00
실험예 4. 화장비누의 작업성, 안정성, 보습력 시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화장비누의 작업성 및 물성을 시험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이 판정하였다.
◎: 아주양호, ○: 양호, △: 보통, ×: 나쁨, ××: 아주나쁨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화장비누를 40℃ 항온조에서 1개 월간 보관한 후 변색 및 변취의 정도를 시험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이 판정하였다.
○: 안정성이 우수, △: 약간의 변색, ×: 변색 및 변취가 심함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화장비누를 증류수로 희석하여 5% 수용액을 만들고 이 수용액 0.1㎖을 취하여 팔 안쪽에 5㎝ × 5㎝ 의 크기로 도포하였다. 그런 다음 스키콘 200(Shicon 200)을 이용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수분손실을 구하였다. 이때 시료를 도포한 직후를 100 으로 하고 도포전 40 으로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수분손실을 구하였다.
이상의 시험결과를 표 8. 에 나타내었다.
화장비누의 작업성, 안정성, 보습력, 시험결과
구분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비교예 12 비교예 13
작업성 × ×
40 ℃ 안정성
보습력 초기 5 분 후 10 분 후 20 분 후 30 분 후 100 82 77 70 63 100 87 81 75 66 100 89 82 78 67 100 81 75 64 56 100 81 76 66 58
상기 표 8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6∼8 에 따라 제조된 화장비누 조성물이 비교예 12, 13에 따라 제조된 화장비누 조성물들에 비해 작업성, 안정성 보습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습화장료 조성물 또는 화장비누조성물은 피부수분 보유능 및 피부수분 증발 억제능이 우수하고, 작업성, 안정성 및 보습력이 높고, 장기 보관 안정성도 우수하다.

Claims (4)

  1. 삭제
  2. 유백피 약재를 10∼200 메쉬 크기로 분쇄하고; 분쇄된 유백피 분말에 추출용매로 증류수를 무게비로 10배량 첨가하여 24시간 냉침 또는 50℃이상의 온도에서 3 시간 이상 추출한 후 여과하고;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고; 이 농축물을 소량의 증류수에 재 용해시킨 후 유기용매를 가하여 침전시키고; 이 침전물을 회수하여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제조된 유백피 점액질을 0.5∼10.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건조 방지용 보습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유백피 약재를 10∼200 메쉬 크기로 분쇄하고; 분쇄된 유백피 분말에 추출용매로 증류수를 무게비로 10배량 첨가하여 24시간 냉침 또는 50℃이상의 온도에서 3시간 이상 추출한 후 여과하고;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고; 이 농축물을 소량의 증류수에 재 용해시킨 후 유기용매를 가하여 침전시키고; 이 침전물을 회수하여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제조된 유백피 점액질을 0.5∼10.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건조 방지용 화장비누 조성물.
KR1019990008836A 1999-03-16 1999-03-16 유백피 점액질을 함유하는 피부건조방지용 보습화장료 및 화장비누 조성물 KR100555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836A KR100555036B1 (ko) 1999-03-16 1999-03-16 유백피 점액질을 함유하는 피부건조방지용 보습화장료 및 화장비누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836A KR100555036B1 (ko) 1999-03-16 1999-03-16 유백피 점액질을 함유하는 피부건조방지용 보습화장료 및 화장비누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500A KR20000060500A (ko) 2000-10-16
KR100555036B1 true KR100555036B1 (ko) 2006-03-03

Family

ID=19576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836A KR100555036B1 (ko) 1999-03-16 1999-03-16 유백피 점액질을 함유하는 피부건조방지용 보습화장료 및 화장비누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50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455B1 (ko) * 2000-03-04 2003-11-28 주식회사 참 존 유근피로부터 추출된 다당류
KR20020019822A (ko) * 2000-09-07 2002-03-13 이수형, 김도완 느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경도물질 제거용 세정제 조성물
KR100383137B1 (ko) * 2000-11-21 2003-05-12 엔프라니 주식회사 쌀보리 및 유백피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화장료조성물
KR100439939B1 (ko) * 2001-10-04 2004-07-12 네비온 주식회사 유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품 조성물
KR100792040B1 (ko) * 2006-11-01 2008-01-04 하인숙 클렌징 비누
KR102026409B1 (ko) * 2017-02-01 2019-09-27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근피 또는 유백피 파우더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치료 및 피부 재생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500A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0941B1 (ko) 알로에베라잎즙 및 할미꽃, 병풀, 쇠비름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7355B1 (ko) 비자극성 약산성 각질제거 및 상피세포 영양 공급을 위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KR102236253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83455A (ko) 말린 꽃잎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2001163794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および皮膚外用剤
KR102343166B1 (ko) 티트리잎, 쑥, 메밀 및 카프릴로일살리실릭애씨드를 함유한 항산화, 항염, 피부진정, 재생, 탄력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55036B1 (ko) 유백피 점액질을 함유하는 피부건조방지용 보습화장료 및 화장비누 조성물
KR102248405B1 (ko) 넉줄고사리 추출물 및 편백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03271B1 (ko) 피부 보습용 또는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62344B1 (ko) 블랙헤드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52095A (ko) 흰목이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8294B1 (ko) 달팽이점액, 인도유향수지 및 알로에베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크림
KR101155807B1 (ko)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CN115192501B (zh) 包含稻、芦苇、玉米须、欧锦葵及芦荟提取物的皮肤保护用化妆品组合物
KR20070008831A (ko)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는 올리브 추출물, 귀리 추출물 및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48406B1 (ko)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13000A (ko) 각질 제거 및 수분량 증가를 통한 건조 및 가려움 완화 효과를 가지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48466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16265B1 (ko)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2162377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87294B1 (ko) 촉규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47299B1 (ko) 보습능이 우수한 실크펩타이드 분획 및 그의 용도
KR101436819B1 (ko) 피부 보습, 진정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1201A (ko) 당근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67308B1 (ko) 티모사포닌, 히아루론산, 콜라겐 및 카렌듈라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