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406B1 -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406B1
KR102248406B1 KR1020200135415A KR20200135415A KR102248406B1 KR 102248406 B1 KR102248406 B1 KR 102248406B1 KR 1020200135415 A KR1020200135415 A KR 1020200135415A KR 20200135415 A KR20200135415 A KR 20200135415A KR 102248406 B1 KR102248406 B1 KR 102248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cosmetic composition
extracts
f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한솔
소희
조혜진
박주완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5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4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41Pteridophyta [fe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8Zanthoxylum, e.g. pricklya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72Hypo-allerge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넉줄고사리(Davallia mariesii) 추출물, 편백잎(Chamaecyparis obtusa Leaf)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Zanthoxylum piperitum Fruit)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에 저자극이면서도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DAVALLIA MARIESII, EXTRACTS OF CHAMAECYPARIS OBTUSA LEAF AND EXTRACTS OF ZANTHOXYLUM PIPERITUM FRUIT FOR MOISTURIZING THE SKIN}
본 발명은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조직으로 이루어지며, 여러 가지의 외부 자극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피부는 수분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표피의 외각에 수분을 함유하는 얇은 각질층을 발달시킨다. 이러한 각질층은 외부 환경과 접촉하는 피부의 최외각층으로, 유해 성분의 침입을 방지하면서도, 피부 내부의 수분이 손실됨을 방지하여 피부의 수분이 적정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피부의 수분이 적정 수준으로 유지되지 못할 경우에는, 피부 탄력과 유연성이 저하되어 피부의 노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도 피부 건조증, 아토피, 건선, 습진 등의 피부 질병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피부의 수분감이 저하될 경우, 메이크업시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에 충분히 밀착되지 못하여, 메이크업의 지속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피부의 수분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피부의 수분은 자외선, 바람, 먼지, 온도 등의 외부 요인과, 노화, 호르몬 불균형, 스트레스 등의 내부 요인에 의해 저하 내지 감소됨에 따라, 최근에는 다양한 천연 재료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외부 요인과 내부 요인을 해결하고, 피부의 보습감을 부여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들이 계속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5723호에서는 매실 추출물을 함유하여 케라티노사이드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이, 천연 재료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은 피부 자극이 적은 반면, 기존의 폴리올, 세라마이드, 오일 등을 포함하는 공지의 보습제 보다는 보습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었다. 즉, 추출물을 이용할 경우에는 현저히 우수한 보습 효과의 구현에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넉줄고사리(Davallia mariesii)는 몸을 따듯하게 해주고, 어혈을 풀어주며, 관절 질환 및 혈액 순환을 개선하는 효과를 보임이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009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근육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효과를 보임이 알려져 있다.
또한, 편백잎(Chamaecyparis obtusa Leaf)은 항균 작용, 살균 작용, 멜라닌 색소의 생성 억제 효과를 보임이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150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에 사용됨이 알려져 있다.
또한, 초피나무(Zanthoxylum piperitum)는 몸을 따듯하게 하며, 피부 안색을 개선시키고, 시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01028호에서는, 초피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즉, 넉줄고사리, 편백잎 및 초피나무는 다양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사용되고 있으나, 피부의 보습감을 개선하는 용도로는 그 활용도가 미미하였다.
이에, 본 출원인은 피부 보습 용도로는 활용도가 낮았던, 넉줄고사리, 편백잎 및 초피나무열매를 포함하는 천연 재료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을 포함하여,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피부에 저자극이면서도 현저히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572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009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150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0102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재료를 이용하여 피부에 저자극이면서도 피부 보습 효과가 현저히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넉줄고사리(Davallia mariesii) 추출물, 편백잎(Chamaecyparis obtusa Leaf)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Zanthoxylum piperitum Fruit)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1 : 0.01 ~ 15 : 0.01 ~ 15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0.0001 ~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 4 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렴화장수, 스킨, 로션, 에센스, 크림, 마사지 크림, 팩,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크림, 파운데이션,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및 클렌징 워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넉줄고사리(Davallia mariesii) 추출물, 편백잎(Chamaecyparis obtusa Leaf)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Zanthoxylum piperitum Fruit)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모두 포함함으로써, 상기된 세 가지의 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두 가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보다, 현저히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특정 비율로 포함함으로써, 상기된 세 가지의 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두 가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또는, 상기된 세 가지의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되 이들을 적정한 혼합 비율로 포함하지 않는 경우 보다, 더욱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넉줄고사리(Davallia mariesii)는 양치식물 고사리목 넉줄고사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등지 등에 분포되어 있다. 상기 넉줄고사리는 산지의 바위나 나무껍질 등에 붙어 자라는데, 뿌리줄기는 길게 옆으로 뻗어 자라며, 지름이 3 ~ 5 mm 정도의 잎이 드문드문 달리고, 비늘조각으로 덮인다. 이때, 비늘조각은 줄 모양의 바소꼴이며, 갈색 또는 잿빛을 띠고, 끝이 뾰족한 형태이다. 상기 넉줄고사리는 몸을 따듯하게 해주고, 어혈을 풀어주며, 관절 질환 및 혈액 순환을 개선하는 효과를 보임이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근육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효과를 가짐이 알려져 있다.
상기 넉줄고사리의 추출 부위는 뿌리, 줄기 및 잎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위 또는 전초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넉줄고사리의 추출 부위는 전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편백잎(Chamaecyparis obtusa Leaf)은 겉씨식물 구과목 측백나무과의 상록교목인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e) 또는 노송나무의 잎을 의미한다. 상기 편백잎은 마주나고 두꺼우며, 길이가 1 ~ 1.5 mm로 비닐같이 작고 뒷면의 기공조선이 Y 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편백잎(Chamaecyparis obtusa Leaf)은 항균 작용, 살균 작용, 멜라닌 색소의 생성 억제 효과를 보임이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초피나무열매(Zanthoxylum piperitum Fruit)는 운향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인 초피나무(Zanthoxylum piperitum)의 열매를 의미하며, 초피나무는 제피, 젠피, 조피, 지피 등으로 다양하게 불린다. 상기 초피나무는 산 중턱 및 산골짜기에서 자라며, 높이는 대략 3 ~ 5 m로 형성된다. 상기 초피나무열매는 2분과로 9월에 붉게 익으며, 검은 종자가 나오고, 기존에는 열매를 약용 또는 향미료로 사용하였다. 특히, 상기 초피나무열매의 껍질은 향신료로 사용되었으며, 그 자체를 제피라고도 부른다. 상기 초피나무(Zanthoxylum piperitum)는 몸을 따듯하게 하며, 피부 안색을 개선시키고, 시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모두 포함할 때, 상기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두 가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보다, 현저히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1 : 0.01 ~ 15 : 0.01 ~ 15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세 종류의 추출물이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도록 포함될 때, 피부 보습 효과는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1 : 0.1 ~ 3 : 0.1 ~ 3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세 종류의 추출물이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도록 포함될 때, 피부 보습 효과는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가장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1 : 2 ~ 2.5 : 2 ~ 2.5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세 종류의 추출물이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도록 포함될 때, 피부 보습 효과는 현저히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 4 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추출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 각각은 에탄올을 추출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 각각은 70%(v/v) 에탄올을 추출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은 피부에 저자극이면서도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추출은 상기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실시되되, 열수 추출, 에탄올 추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초임계 추출 및 초음파 추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공지의 모든 추출법이 실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0.0001 ~ 10 중량%, 구체적으로는 0.1 ~ 8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1 ~ 7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0.0001 ~ 10 중량%로 포함할 때, 상기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거나 10 중량% 초과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피부에 저자극이면서도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피부학적으로 혀용 가능한 부형제 또는 첨가제와 함께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렴화장수, 스킨, 로션, 에센스, 크림, 마사지 크림, 팩,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크림,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및 클렌징 워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모든 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천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과 함께, 각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한 부형제 또는 첨가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형제 또는 첨가제는 계면활성제, 유화제, 유화보조제, 실리콘 폴리머, 안료, 색소, 향료, 방부제, 살균제, 산화안정제, 유기 용매, 증점제, 유연화제, 산화방지제, 자유 라디칼 파괴제, 불투명화제, 안정화제, 에몰리언트, 소포제, 보습제, 비타민, 곤충 기피제, 보존제, 소염제, 충전제, 중합체, 추진제, 염기성화제, 산성화제, 착색제, 농화제, 피부컨디셔닝제, 미백제, 항산화제, 주름 개선제 및 용해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 준비예 ]
준비예 1 : 넉줄고사리 추출물의 제조
넉줄고사리(전초) 50 g에 500 ml의 70 % 에탄올을 넣고,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침지 시킨 후, 추출액을 거름종이로 여과하였다. 이 후, 여과된 여과액을 농축기를 통해 용매를 휘발시킨 뒤, 동결 건조함으로써, 분말 형태의 넉줄고사리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준비예 2 : 편백잎 추출물의 제조
편백잎 50 g에 500 ml의 70% 에탄올을 넣고,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침지 시킨 후, 추출액을 거름종이로 여과하였다. 이 후, 여과된 여과액을 농축기를 통해 용매를 휘발시킨 뒤, 동결 건조함으로써, 분말 형태의 편백잎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준비예 3 :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의 제조
초피나무열매 50 g에 500 ml의 70% 에탄올을 넣고,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침지 시킨 후, 추출액을 거름종이로 여과하였다. 이 후, 여과된 여과액을 농축기를 통해 용매를 휘발시킨 뒤, 동결 건조함으로써, 분말 형태의 초피나무열매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
실시예 1 내지 13
표 1[단위 : 중량%]에 따라, 상기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센스)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0110466419-pat00001
이때, 표 1에서 유효성분 혼합물로는 상기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이 표 2[단위 : 중량비] 및 표 3[단위 : 중량비]에 따르는 비율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20110466419-pat00002
Figure 112020110466419-pat00003
[ 비교예 ]
비교예 1 내지 6
표 4[단위 : 중량비]에 따르도록,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혼합하여 유효성분 혼합물을 준비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112020110466419-pat00004
이때, 표 4에서, '-' 표시는 해당 성분을 포함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1은 넉줄고사리 추출물만을 유효성분 혼합물로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비교예 4은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만을 유효성분 혼합물로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 실험예 ]
실험예 1 : 피부 수분 증가율 평가
피부 상태(수분)가 유사한 20 ~ 40세 여성을 선정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그룹(10명씩)을 나눈 뒤, 각각의 그룹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에센스를 매일 2회씩(저녁) 15일 동안 얼굴 전면에 도포하게 하였다.
이때, 상기 에센스를 도포하기 전에 미리 항온, 항습 조건(24℃, 습도 40%)에서 수분측정기 (corneometer, CM820 courage Khazaka electronic GmbHtk,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건조도를 측정한 뒤, 이를 기본값으로 하고, 15 일이 경과한 후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여, 이의 변화량을 표 5[단위 : %]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110466419-pat00005
표 5를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6을 보면,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각각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이들 중 두가지를 포함하는 경우 보다, 세 가지의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의 경우, 피부 수분 증가율이 현저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6을 보면,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되, 이들을 1 : 0.01 ~ 15 : 0.01 ~ 15 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피부 장벽 회복율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13를 비교하면,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되, 이들을 1 : 0.1 ~ 3 : 0.1 ~ 3 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피부 수분 증가율이 더욱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실시예 5 및 6을 보면,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1 : 2 ~ 2.5 : 2 ~ 2.5 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피부 수분 증가율이 현저히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피부 장벽 개선 평가 -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실험
25℃, 상대습도 45%, 공기의 흐름이 없는 실내에서 건강한 여성 25 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피부 장벽 손상은 계면활성제로서, 독성이 강하여 피부 장벽을 악화시킨다고 알려져있는 소듐라우릴설페이트(SLS, Sodium Lauryl Sulfate) 1% 수용액을 이용하여 유발하였고,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팔의 상박에 도포한 후, TEWAMETER TM210(C+K eletronic GmhH. Germany)을 이용하여, 경피수분손실량(TEWL)을 측정하였다. 즉, TEWL값을 시간 변화(2, 4, 6 및 8일)에 따른 TEWL 값 변화량을 측정하여 피부장벽 회복율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6[단위 : %]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110466419-pat00006
표 6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피부 장벽 회복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6을 보면,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각각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이들 중 두 가지를 포함하는 경우 보다, 세 가지의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의 경우, 피부 장복 회복율이 현저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6을 보면,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되, 이들을 1 : 0.01 ~ 15 : 0.01 ~ 15 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피부 장벽 회복율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13를 비교하면,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되, 이들을 1 : 0.1 ~ 3 : 0.1 ~ 3 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피부 장벽 회복율이 더욱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실시예 5 및 6을 보면,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1 : 2 ~ 2.5 : 2 ~ 2.5 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피부 장벽 회복율이 현저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 피부 안정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르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피부 자극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인체 피부 첩포 시험을 진행하였다. 과거력상 피부자극 과민반응을 보인 적이 없으며, 현재 피부병 내지 피부 알러지 증상이 없는 20 ~ 30 대 여성 20 명을 대상으로 시험하였다.
우선 시험 부위를 70 %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켰다. 준비된 시험물질을 핀 챔버(Finn chamber, 100 X 10,EPITEST)내에 적하시킨 후, 시험 대상자의 등에 밀폐 첩포하였다. 24시간 동안 첩포하고, 첩포를 제거한 후 1 시간 및 24 시간 후 확대경(8MC-150, DAZOR)을 이용하여 시험 부위의 홍반 및 부종 유무를 관찰하였다.
이때, 피부반응은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CDRG: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의 규정에 따라 판정하였으며(표 7 참고),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평균 피부 반응도를 계산한 뒤,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110466419-pat00007
[식 1]
Figure 112020110466419-pat00008
Figure 112020110466419-pat00009
표 8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라,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실험예 1 내지 3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라,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저자극이면서도 피부 보습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 제조예 ]
제형예 1 : 유연화장수의 제조
소듐히알루로네이트는 프로펠러믹서(3000rpm)로 정제수에 분산하여 1% 용액상태로 준비하였다. 소듐히알루로네이트를 제외한 표 9[단위 : 중량%]의 원료 1 내지 8은 프로펠러믹서를 사용하여 수상 용해조에 500rpm으로 균일화시키고, 75 ℃에서 가온하여 완전 용해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이후, 별도의 용해조에 원료 9 내지 11을 완전 용해시킨 후, 상기 수상 용해조에 투입하고 교반 혼합하였다.
여기에 실시예의 유효성분 혼합물을 투입하고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를 위해 표에 개시된 성분 이외에 제조에 필요한 공지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20110466419-pat00010
제형예 2 : 영양화장수의 제조
프로펠러믹서를 이용하여 카보머를 4000 rpm으로 분산하여 2 % 용액상태로 준비하였다. 수상 용해조에 표 10[단위 : 중량%]의 원료 1 내지 6을 투입하여 호모믹서(2000 rpm)로 교반하여 분산한 후, 75 ℃까지 가온하였다. 유상 용해조에 원료 7 내지 14을 투입하여 75 ℃까지 가온 용해하였다. 그 다음, 수상 용해조에 용해된 유상을 투입하여 유화(3000 rpm/5 분)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여기에 유효성분 혼합물을 투입하고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를 위해 표에 개시된 성분 이외에 제조에 필요한 공지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20110466419-pat00011
제형예 3 : 팩의 제조
별도의 용해조에 표 11[단위 : 중량%]의 원료 1 내지 8을 완전 용해시켜 교반 혼합하고, 여기에 실시예의 유효성분 혼합물을 투입한 후,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팩을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를 위해 표에 개시된 성분 이외에 제조에 필요한 공지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20110466419-pat00012
제형예 4 : 클렌징 폼의 제조
표 12[단위 : 중량%]을 구성하는 수상과 오일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여 혼합 검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여, 클렌징 폼을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를 위해 표에 개시된 성분 이외에 제조에 필요한 공지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20110466419-pat00013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넉줄고사리(Davallia mariesii) 추출물, 편백잎(Chamaecyparis obtusa Leaf)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Zanthoxylum piperitum Fruit)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1 : 0.01 ~ 15 : 0.01 ~ 15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0.0001 ~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 4 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추출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렴화장수, 스킨, 로션, 에센스, 크림, 마사지 크림, 팩,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크림, 파운데이션,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및 클렌징 워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135415A 2020-10-19 2020-10-19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48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415A KR102248406B1 (ko) 2020-10-19 2020-10-19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415A KR102248406B1 (ko) 2020-10-19 2020-10-19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406B1 true KR102248406B1 (ko) 2021-05-07

Family

ID=75916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415A KR102248406B1 (ko) 2020-10-19 2020-10-19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4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9724A (ko) 2021-05-26 2022-12-05 (주)퀸덤 식물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723B1 (ko) 2001-11-05 2008-07-1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매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1181507B1 (ko) 2010-11-08 2012-09-11 김명희 편백나무 잎과 대나무 잎을 이용한 천연 염료 조성물 및 그것의 항 아토피 피부염 개선 용도
KR20130001028A (ko) 2011-06-24 2013-01-03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초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0095A (ko) * 2012-12-20 2014-06-30 강은영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45049A (ko) * 2013-10-17 2015-04-28 유영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26142A (ko) * 2016-05-09 2017-11-17 고승희 미생물에 의한 생약 발효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50099B1 (ko) 2018-02-20 2019-11-28 한국식품연구원 넉줄고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723B1 (ko) 2001-11-05 2008-07-1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매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1181507B1 (ko) 2010-11-08 2012-09-11 김명희 편백나무 잎과 대나무 잎을 이용한 천연 염료 조성물 및 그것의 항 아토피 피부염 개선 용도
KR20130001028A (ko) 2011-06-24 2013-01-03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초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0095A (ko) * 2012-12-20 2014-06-30 강은영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45049A (ko) * 2013-10-17 2015-04-28 유영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26142A (ko) * 2016-05-09 2017-11-17 고승희 미생물에 의한 생약 발효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50099B1 (ko) 2018-02-20 2019-11-28 한국식품연구원 넉줄고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9724A (ko) 2021-05-26 2022-12-05 (주)퀸덤 식물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9958B1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700903B1 (ko) 병풀 추출물, 티모사포닌, 히아루론산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11132B1 (ko)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KR102248405B1 (ko) 넉줄고사리 추출물 및 편백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43588B1 (ko)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102189330B1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078888B1 (ko) 조직배양한 에키네시아 부정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48406B1 (ko)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27847B1 (ko)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3274B1 (ko) 연꽃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459024B1 (ko) 버베나 히브리다, 시클라멘 및 세인트폴리아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6922A (ko) 천연발효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의 완화 및 피부보습용 조성물
KR20100092594A (ko) 야생화 함유 나노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08831A (ko)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는 올리브 추출물, 귀리 추출물 및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1408B1 (ko) 복분자딸기 추출물 및 낙지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6834A (ko) 생약 성분을 발효시킨 복합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89620B1 (ko) 물망초 추출물 및 수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06726767A (zh) 一种控油祛痘洗面膏及其制备方法
KR101969684B1 (ko) 천연 미세침 분말과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모공축소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CN111973502A (zh) 一种清透气垫cc霜及其制备方法
KR101436819B1 (ko) 피부 보습, 진정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74233B1 (ko) 피부 보습 및 항자극 효과를 가지는 식물 혼합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91719A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01161A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