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9939B1 - 유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9939B1
KR100439939B1 KR10-2001-0061266A KR20010061266A KR100439939B1 KR 100439939 B1 KR100439939 B1 KR 100439939B1 KR 20010061266 A KR20010061266 A KR 20010061266A KR 100439939 B1 KR100439939 B1 KR 100439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
effect
present
ski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1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4896A (ko
Inventor
최문재
박재준
이동건
황성민
서인범
박의훈
김한성
Original Assignee
네비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비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비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1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9939B1/ko
Publication of KR20020004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9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느릅나무 뿌리껍질인 유근피에서 추출한 유근피 추출물을 화장품으로서의 신규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주름개선 및 세포재생 효과가 있는 활성성분으로서 유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화장료에 상기 유근피를 함유시킴으로서 피부자극이 없으면서 주름개선효과, 콜라겐 합성촉진효과 그리고 보습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품 조성물 {ANTIAGING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elm's root skin, ULMUS DAVIDIANA}
본 발명은 활성성분으로서 유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름개선효과, 콜라겐합성촉진효과 또는 보습효과를 지닌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느릅나무 뿌리의 껍질인 유근피(ULMUS DAVIDIANA)의 피부에 대한 효능에 대한 연구는 많이 알려지지 않았으며 다만 유근피를 물에 담갔을 때 발생하는 끈적끈적한 진액이 피부를 부드럽게 하는 작용이 있다라고 알려져 있다. 동의보감에 있는 유근피의 효능은 성질이 평하고 맛이 달고 독이 없으며 부드러워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하고 장위의 사열을 없애 장염에 효과적이며, 부은 것을 가라앉히고 불면증을 낫게한다고 되어있다. 또한 위궤양, 위염, 위하수 등 각종 위장질환에 잘 듣는다고 하였다. 유근피의 종래의 연구들은 면역억제제(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02475670000) 나 식용 음료 등에 대한 사항이었으며 항종양, 항 염증 조성물, 미백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용 세정제 조성물로서 연구된 바는 있다.
항종양, 항염증 조성물(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00652970000)은 느릅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것으로 항종양 및 항 염증에 관한 것이며, 미백화장료 조성물(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19990045952)에서는 미백효과가 공지된 속수자, 강황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유근피 등이 선택되어 이루워진 미백효능에 관한 것이고, 화장용 세정제 조성물(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01631180000)은 양혈, 수렴 및 항균효과가 있는 세정제에 관한 내용으로 본 발명의 주름개선 효과 및 콜라겐 합성촉진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과는 전혀 다른 것들이다.
예기치 않게도, 본 발명자들은 유근피 추출물을 주름 개선 및/또는 활성화 효과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우수한 효능을 가졌으며, 따라서 화장품 또는 피부용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 개선 및/또는 활성화 효과, 예를들면 주름개선효과, 콜라겐합성촉진효과, 보습효과 등을 지닌 새로운 화장품 소재를 개발하고자 집중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의외로 유근피추출물이 피부 개선 및/또는 활성화 효과 면에서 우수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또한, 유근피추출물이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들은 연구를 거듭하여, 가용화기술을 이용한 유연화장수에서부터 유화기술을 응용한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에 상기 유근피추출물를 첨가하여 주름개선효과, 콜라겐합성촉진효과, 및 보습효과를 갖는 화장품 조성물을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근피추출물의 신규한 용도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는 상기 선행 기술로부터 기대할 수 없었던 신규한 용도이다. 다른 면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활성성분으로서 유근피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면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개선 및/또는 활성화 효과를 지닌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면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름개선효과, 콜라겐합성촉진효과, 보습효과를 지닌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근피추출물의 이러한 용도는 상기 공지된 용도와는 전혀 상이한 것이다.
도 1은 유근피로부터 본 발명에 포함되는 추출물을 추출 정제하는 과정을 예시한 것이다.
도 2는 각 농도별 유근피추출물의 피부세포 증식효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활성성분으로서 유근피추출물를 함유하는 피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피부용 조성물에는 화장용 세정제 이외의 피부에 적용되는 모든 화장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이 포함된다. 다른 면으로, 본 발명은 피부 개선 및/또는 활성화 효과를 지닌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면으로, 본 발명은 주름개선효과, 콜라겐합성촉진효과, 보습효과를 지닌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활성 성분으로서 유근피추출물을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0001~9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cosmetic)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느릅나무 뿌리의 껍질인 유근피를 물로 추출한 후 정제 과정, 예를들면 여과 또는 투석 과정을 거쳐 정제된 유근피추출물를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도 제공한다. 도 1은 유근피로부터 본 발명에 포함되는 추출물의 분리 정제과정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품학 및/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들면 용액, 겔, 또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또는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름개선효과, 콜라겐합성촉진효과, 보습효과를 지닌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주름개선효과, 콜라겐합성촉진효과, 보습효과를 지닌 화장품 조성물에 사용되는 유근피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하기에서 실험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험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본 발명자들은 유근피추출물에 대하여 피부 개선 및/또는 활성화 효과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유근피추출물가 주름개선효과, 콜라겐합성촉진효과, 보습효과를 갖는다는 것은 하기 실험에 의해 나타냈다.
1) 주름개선효과
주름개선효과로서는 피부 세포(skin cell) 증식효과를 각 농도별로 조사하였다.
사람 섬유아세포(human fibroblast)를 2.5% 소 태아 혈청(bovine fetal serum)을 포함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배지에 배양하고, 웰(well) 당 5,000 세포(cell)를 96-웰 마이크로티터 플레이트에 첨가하였다. 유근피추출물을 각 웰에 첨가한 후 37℃℃에서 4일간 보관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0.2% 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리움(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MTT)를 50 μl/웰로 첨가하였다. 각 플레이트를 37℃에서 시간대별로 포르마잔(formazan)을 얻었다. 이 포르마잔(formazan)은 세포밀도나생존율의 인디케이터(indicator)가 된다. DMSO(dimethyl sulfoxide)에서 포르마잔을 용해시킨 후 570 nm 에서의 흡광도를 마이크로플레이터 판독기(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시간대별 유근피추출물의 섬유아세포의 증식효과는 12시간에 0.01~0.1%에서 35%의 증식효과를 나타냈으며 24시간에는 1%농도에서 50%의 증식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0.0001~10%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도 2는 각 농도별 유근피추출물의 피부세포 증식효과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2)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유근피추출물에 넣고 DMEM 배지가 들어있는 24-웰 마이크로티터 플레이트에 24시간 동안 인큐베이팅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0.5ml DMEM 및 L[2,3,4,5-3H]-프롤린 10μCi를 각 웰에 첨가하였다. 24시간 이후 5% 트리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으로 세척하고 각각에 대하여 2개의 시험관으로 분리하였다. 한개의 시험관에는 콜라게나아제 I형을 1 unit/μl 로 첨가하고 37℃에서 90분간 유지시켰다. 다른 시험관은 4℃로 유지시켰다. 그리고 나서 50% 트리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 0.05ml를 각 시험관에 첨가하고 4℃에서 20분간 유지시켰다. 그후, 각 용액을 12,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시켰다. 이렇게 분리한 콜라겐에 대하여 상대적 콜라겐 생합성을 계산하였다.
0.01% 농도로 유근피추출물를 처리한 시료는 미처리 대조군에 비하여 콜라겐 생합성을 40% 증가시켰다.
콜라겐 생합성에 대한 구체적인 실험방법 및 계산방법은 종래의 공지문헌들에 기재되어 있다(Green,M.L. J.Immunol.Methods.70, 257-268(1984); Hockley, K. Fd Chem Toxicol. 24(6/7), 473-475 (1986); Zhang, J. Clinica Chimica Acta, 219, 1-14(1993); Schwartz, E. J Invest Dermatol. 96, 975-978 (1991) 참조). 콜라겐은 피부의 결합조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생체물질로서 피부의 탄력과 관계가 있으며 노화와 더불어 그 양이 감소한다. 따라서 콜라겐의 생합성 양을 증가시키면 피부의 탄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3) 보습효과
유근피추출물의 보습효과는 대표적인 보습제인 히아론산과 비교하였다. 0.5% 유근피추출물와 0.5% 히아론산을 10명의 시험자들의 팔 안쪽에 도포하고 테이프를 붙였다. 피부수화는 처치전, 처치직후 및 처치 2시간 후 컨덕턴스를 측정하여 얻었다.
히아론산의 경우 피부보습율이 처치직후 35%에서 처치 2시간 후에는 5%로 감소한 반면에 유근피추출물의 경우는 피부보습율이 처치직후 30%에서 처치 2 시간 후에는 5%로 감소하여 보습제로서도 사용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상기와 같은 화장품적 효능이 있는 유근피추출물를 가용화제형과 유화제형에 각각 도입하여 아래와 같은 제형을 만드는 것을 예시함으로써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제조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3] 유화 제형
[표 1] 유화제형의 조성
원료명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1. 스테아린 산 0.1 0.1 0.1
2. 스테알리 알콜 0.4 0.4 0.4
3.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1.2 1.2 1.2
4. 밀납 0.5 0.5 0.5
5.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라우린산에스테르 2.5 2.5 2.5
6.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7.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0.05 0.05 0.05
8.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2 2 2
9. 트리글리세라이드 5 5 5
10. 사이클로메티콘 2 2 2
11. 증류수 to 100 to 100 to 100
12. 농글리세린 3 3 3
13.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0.15
14.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0.12 0.12 0.12
15. 색소 0.0001 0.0001 0.0001
16. 향 0.11 0.11 0.11
17. 유근피추출물 0.0001 1 10
제조방법:
1) 1 내지 9 의 원료의 혼합물을 65~70℃로 가열하였다.
2) 10 의 원료를 상기 1)의 혼합물에 투입하였다.
3) 11 내지 13의 원료의 혼합물을 65~70℃℃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4) 65~70℃로 가열하면서 상기 2)의 혼합물을 상기 3)의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rpm 8,000에서 2~3분간 유화시켰다.
5) 14의 원료를 소량의 물에 용해시킨 후 상기 4)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2분간 더 유화시켰다.
6) 15 내지 17 의 원료를 각각 평량한 후 상기 5)의 혼합물에 넣고 30초간 더 유화시켰다.
7) 상기 6)의 혼합물을 유화 후 탈기과정을 거쳐 25~35℃로 냉각시켜, 유화제형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내지 6]가용화 제형
[표 2] 가용화제형의 조성
원료명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2. 농농글리세린 2 2 2
3. 1,3-부틸렌글리콜 3 3 3
4. EDTA-2Na 0.01 0.01 0.01
5. 색소 0.0002 0.0002 0.0002
6. 유근피추출물 0.001 10 1
7. 알코올(95%) 10 10 10
8.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9. 폴리옥시에틸렌하이드로제네이디트 에스테르 0.2 0.2 0.2
10. 향 0.15 0.15 0.15
11. 사이클로메티콘 - - 0.2
제조방법:
1) 2 내지 6의 원료를 상기 1의 정제수에 넣고 아직믹서를 이용하여 용해시켰다.
2) 8 내지 11의 원료를 상기 7의 알코올에 넣고 완전용해시켰다.
3) 상기 2)의 혼합물을 상기 1)의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가용화시켰다.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6의 제형에 대하여 화장품으로서 보존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보존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온도별 변화에 따른 안정성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온도별 보존 안정성
구 분 실시예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5℃ 1주일1개월3개월 ◎◎◎ ◎◎◎ ◎◎◎ ◎◎◎ ◎◎◎ ◎◎◎
5℃ 1주일1개월3개월 ◎◎◎ ◎◎◎ ◎◎◎ ◎◎◎ ◎◎○ ◎◎◎
30℃ 1주일1개월3개월 ◎◎◎ ◎◎◎ ◎◎◎ ◎◎◎ ◎◎◎ ◎◎◎
37℃ 1주일1개월3개월 ◎◎◎ ◎◎◎ ◎◎◎ ◎◎○ ◎◎○ ◎◎○
45℃ 1주일1개월3개월 ◎◎◎ ◎◎○ ◎◎◎ ◎◎○ ◎◎○ ◎◎○
◎ : 아주 양호, ○: 양호, X : 분리
표 3으로부터, 본원 발명에 따른 제형은 보존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유근피추출물의 제조구체 예들을 하기에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의 유근피추출물의 제조방법이 하기만으로 한정되는것은 아니다.
제조구체 예 1
음지에서 건조된 유근피를 90℃에서 30분정도 물을 용매로 하여 찌고 50℃에서 완전 건조후 이를 1회~9회 반복하였다. 완전 건조한후 제분기를 이용하여 분말로 분쇄한 다음, 유근피의 건조무게당 10배~20배 부피의 물을 첨가하여 150~200℃로 2시간 가열 한 후 50~60℃로 12시간을 가열하였으며, 완전냉각 후 부유하는 미세 입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추출액을 1 ㎛ 정도의 마이크로필터를 통과시켜 여과시켰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근피추출물을 함유한 화장품은 주름개선효과, 콜라겐합성촉진효과, 보습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근피추출물을 함유한 화장품은 수용성 화장품 또는 유화 화장품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고, 제형화된 경우에 보존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비록 상기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본 발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a) 유근피를 물을 용매로 하여 80~90℃에서 10분~2시간 찌고, 이를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를 1~9회 반복한 다음, 완전 건조시키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수득된 고형분을 제분기로 분쇄하는 단계; (d) 상기 분쇄된 고형분에 10~20배(분쇄된 고형분 건조무게 기준) 부피의 물을 첨가하여 150~200℃에서 1~3시간 가열한 다음 냉각시키는 단계; 및 (e) 50~60℃에서 6~24시간 가열한 다음, 마이크로필터로 여과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 유근피 추출물을 0.0001~90 중량%(조성물의 총중량 기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세포 성장촉진효과, 콜라겐 합성촉진효과 및 보습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1-0061266A 2001-10-04 2001-10-04 유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품 조성물 KR100439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266A KR100439939B1 (ko) 2001-10-04 2001-10-04 유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266A KR100439939B1 (ko) 2001-10-04 2001-10-04 유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896A KR20020004896A (ko) 2002-01-16
KR100439939B1 true KR100439939B1 (ko) 2004-07-12

Family

ID=19714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266A KR100439939B1 (ko) 2001-10-04 2001-10-04 유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99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616B1 (ko) 2009-10-16 2011-09-0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에피프리에델라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억제용 약학조성물
KR101475454B1 (ko) * 2012-06-12 2014-12-22 네비온 주식회사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세포 성장 촉진 효과, 주름개선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9872A (ko) * 2017-02-01 2018-08-0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근피 또는 유백피 파우더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치료 및 피부 재생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166B1 (ko) * 2002-03-18 2009-04-17 (주)케어젠 느릅나무 추출에서 추출한 당단백 농축획분의 화장품조성료로서의 응용
KR102101418B1 (ko) * 2018-09-20 2020-04-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근피 다당류 및 유청단백질 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중미세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48436B1 (ko) * 2019-04-18 2019-11-25 주식회사 엠진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와 유근피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1002A (ko) * 1994-12-23 1996-07-18 성재갑 느릅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라디칼 소거제 및 이를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00060500A (ko) * 1999-03-16 2000-10-16 성재갑 유백피 점액질을 함유하는 피부건조방지용 보습화장료 및 화장비누 조성물
KR20010103574A (ko) * 2000-03-04 2001-11-23 김광석 유근피로부터 추출된 다당류 및 그를 함유하는 보습화장료 조성물
KR20020096179A (ko) * 2001-06-18 2002-12-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노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1002A (ko) * 1994-12-23 1996-07-18 성재갑 느릅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라디칼 소거제 및 이를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00060500A (ko) * 1999-03-16 2000-10-16 성재갑 유백피 점액질을 함유하는 피부건조방지용 보습화장료 및 화장비누 조성물
KR20010103574A (ko) * 2000-03-04 2001-11-23 김광석 유근피로부터 추출된 다당류 및 그를 함유하는 보습화장료 조성물
KR20020096179A (ko) * 2001-06-18 2002-12-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노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616B1 (ko) 2009-10-16 2011-09-0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에피프리에델라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억제용 약학조성물
KR101475454B1 (ko) * 2012-06-12 2014-12-22 네비온 주식회사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세포 성장 촉진 효과, 주름개선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9872A (ko) * 2017-02-01 2018-08-0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근피 또는 유백피 파우더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치료 및 피부 재생용 조성물
WO2018143692A1 (ko) * 2017-02-01 2018-08-09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근피 또는 유백피 파우더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치료 및 피부 재생용 약학 조성물
KR102026409B1 (ko) * 2017-02-01 2019-09-27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근피 또는 유백피 파우더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치료 및 피부 재생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896A (ko) 200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8530A (en) Emollient compositions
KR100879900B1 (ko) 멍석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2001163794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および皮膚外用剤
KR101020536B1 (ko)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39939B1 (ko) 유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품 조성물
KR100742267B1 (ko) 서장채국화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4136203B2 (ja) 皮膚外用剤組成物
KR102104214B1 (ko) 포타슘 알룸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02684B1 (ko) 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0981343B1 (ko)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94518B1 (ko) 팬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4395B1 (ko) 블랙커민(Nigella sativa)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2476A (ko) 더위지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137327A (ko)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JPH0450288B2 (ko)
KR100532633B1 (ko)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항염증효과, 피부보호효과와피부탄력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2000096050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KR100466862B1 (ko)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00256175A (ja) 化粧料組成物
KR20220001161A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20040106893A (ko) 대두황권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기능성 화장품
JP2003238508A (ja) 新規なセラミド、それを含む組成物及び使用
KR20060007083A (ko) 람부탄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및 람부탄추출방법
KR102202210B1 (ko) 육두구 추출물, 히알루론산 및 세리신을 포함하는 수분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16929A (ko) 박하잎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