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6893A - 대두황권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기능성 화장품 - Google Patents

대두황권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기능성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6893A
KR20040106893A KR1020030037893A KR20030037893A KR20040106893A KR 20040106893 A KR20040106893 A KR 20040106893A KR 1020030037893 A KR1020030037893 A KR 1020030037893A KR 20030037893 A KR20030037893 A KR 20030037893A KR 20040106893 A KR20040106893 A KR 20040106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ybean
extract
skin
rhubarb
cosme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7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8518B1 (ko
Inventor
김홍렬
최문재
황성민
김규식
서인범
박성규
Original Assignee
김홍렬
네비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렬, 네비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홍렬
Priority to KR1020030037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518B1/ko
Publication of KR20040106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6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5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두황권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기능성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흑대두를 발아시켜 제조한 대두황권을 즉시 동결건조한 뒤, 열수 추출, 여과, 감압 농축, 정제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주름 개선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 효과가 뛰어난 대두황권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기능성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대두황권 추출물은 주름개선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은 피부노화를 방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대두황권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기능성 화장품{Extract of Glycine Semen Germinatum and functional cosmetics for the skin-aging protec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대두황권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기능성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피부탄력은 진피층에 존재하는 엘라스틴(elastin)으로 구성된 탄력섬유에 의해 나타나는데, 이러한 탄력섬유는 고무와 같이 매우 낮은 탄성계수를 가지고 있어서, 작은 힘에 의해서도 쉽게 변형되고, 또 그 힘이 제거되었을 때는 쉽게 원형으로 되돌아온다. 또한, 탄력섬유는 엘라스틴이라는 무정형의 기질에 미원섬유(microfibrils)들이 박혀 있는 형태를 띠고 있는데 엘라스틴은 라이신에서 유래한 데스모신(desmosine)과 아이소데스모신(isodesmosine)이라는 탄력섬유에서만 발견되는 아주 톡특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이다. 이러한 데스모신과 아이소데스모신 등은 긴 펩타이드 사슬안에서 가교(cross-link)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가 엘라스틴으로 하여금 고무와 같은 성질을 갖게 한다. 또한, 엘라스틴으로 구성된 탄력섬유는 콜라겐(collagen)이라고 하는 교원섬유와 함께 존재하는데, 엘라스틴과 콜라겐이 충분히 존재하는 상태에서 피부 탄력유지가 가능하다.
피부 탄력저하는 노화와 자외선 등에 의한 피부세포(섬유아세포)의 약화로 엘라스틴의 생성저하 및 파괴에 의해 유발되는데, 자외선 등에 의해 피부내에 엘라스틴 분해효소가 발현되며 이 효소는 피부내의 정상적인 엘라스틴을 분해하여 피부 탄력저하를 가져온다. 또한, 피부 탄력저하는 피부 진피의 70% 이상을 구성하는 콜라겐이라는 단백질의 손상 및 생성저하에 의해서도 발생된다. 콜라겐 역시 자외선 등에 의해 유발되는 콜라게나제(collagenase)라는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된다.
한편, 레구미노사 종자(Leguminosae seed)에서 얻어진 단백질 분획은 탄력증대효과를 나타내며(미국특허 제5,322,839호), 맥아 추출물(malt extract) 등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콜라게나제(collagenase)의 활성을 억제하는데 응용되고 있다. 콜라게나제 또는 엘라스티나제의 억제제로는 카르바민산 펩티드(peptidylcarbamates), 티오카르바민산 펩티드(peptidyl thiocarbamates), 하이드록사메이트(hydroxamates),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s), 설포산염(sulphonate salts) 등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미국특허 제5,614,489호) 등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보고에서는 피부탄력증대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단순히 콜라게나제의 활성을 억제시키거나 또는 엘라스티나제의 활성을 억제한 것으로, 그 효과가 진피층에 한정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다.
대두황권(大豆黃卷, Glycine Semen Germinantum, Glycone max Merrii)은 콩과에 속하는 1년생 본초인 검정콩을 발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콩나물을 말한다. 콩나물은 콩을 발아시켜 만든 식품이지만 오히려 콩을 섭취하는 것보다 훨씬 우리 몸에 좋아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콩나물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콩에는 없는 비타민 C와 비타민 B2, 나이신과 비타민 K가 생성된다는 점이다. 그 외에도 칼륨과 칼슘 등의 미네랄과 식이섬유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북유럽에서는 콩나물이 귀중한 비타민 및 미네랄원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또한, 콩 자체의 소화 흡수율은 낮으나, 대두 콩나물은 아밀라아제(amylase), 인버타아제(invertase) 등의 소화효소를 가지고 있어 소화 흡수율이 높고, 식물성 단백질로서 리신, 트립토판, 메치오닌 등의 필수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다. 저칼로리이면서 부피가 큰 콩나물은 다이어트 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는데, 다른 야채와 함께 요리하면 식이섬유를 많이 섭취하게 되어 장관의 건강증진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알려져 있다.
본초에 의하면 대두황권은 성질이 고르고 맛이 달며 독이 없어서 근육이 당기고 무릎이 아픈 증세를 낫게 하며, 오장과 위 속에 맺혀 쌓인 것을 없애준다 하였다. 일반적으로 대두황권을 약재로 사용할때에는 1.5~2 ㎝정도 발아된 것을 주로 사용한다. 대두황권은 정신적, 육체적 활력을 불어 넣으며, 숙취해소 효과 및 감기로 인한 두통, 복통, 설사, 피부병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대두황권의 효능에 대해 연구하던 중 대두황권 추출물이 주름 개선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고,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기능성 화장품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노화 억제 활성을 갖는 대두황권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대두황권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때의 피부세포 증식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대두황권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때의 콜라겐 합성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부노화 억제 활성을 갖는 대두황권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피부노화 억제 활성을 갖는 대두황권 추출물을 제공한다.
상기 대두황권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1) 콩을 발아시켜 대두황권을 제조하는 단계;
2) 단계 1에서 제조한 대두황권을 동결건조시키는 단계; 및
3) 단계 2에서 동결건조시킨 대두황권을 열수 추출하여 여과한 다음 감압농축하고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1에 있어서, 발아시킬 콩은 흑대두(Semen Glycine), 담두시(Glycine Max (L.), 적소두(PhaseoliSemen) 백편두(Dolichoris Semen) 및 서목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흑대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정선산 흑대두를 25 내지 28℃에서 3일 동안 발아시켜 전체길이가 2 ㎝를 넘지 않은 크기의 대두황권을 제조하였다.
상기 단계 2에 있어서, 동결건조는 단계 1에서 제조한 대두황권을 즉시 동결건조하거나 또는 햇빛에 건조한 후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즉시 동결건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대두황권을 즉시동결건조한 것으로부터 제조된 추출물과, 햇빛에 건조한 후 동결건조한 것으로부터 제조된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세포 증식 효과를 측정한 결과, 대두황권을 즉시 동결건조한 것으로부터 제조된 추출물의 피부세포 증식 효과가 상대적으로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도 1참조). 따라서, 대두황권을 동결건조할 때에는 바로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상기 단계 3에 있어서, 동결건조한 대두황권의 열수추출은 90 내지 110℃에서 1시간 30분 내지 3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0℃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대두 추출물의 제조에 관한 종래 특허를 살펴보면, 지방족 알콜 또는 이들 지방족 알콜과 물과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추출한 이소플라본과 사포닌의 함량이 정의된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2000-7001016호)와 헥산 및 메탄올을 첨가하여 감압농축하고 진공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999-51928호)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대두황권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은 열수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 즉 한약재를 달이는 방식과 마찬가지로 물을 이용하여 생리활성물질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종래의 제조 방법과는 차이가 있다.
상기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본 발명의 대두황권 추출물은 피부세포 증식 효과(주름 개선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효과가 뛰어난 추출물이다.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계를 통해 제조된 대두황권 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피부세포를 배양한 결과, 0.1 내지 100 ppm 농도범위에서 114~253%의 높은 증식효과를 나타내었다(도 1참조). 또한, 본 발명의 대두황권 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섬유아세포를 배양한 후 콜라게나제를 처리하여 본 결과, 1 내지 100 ppm 농도범위에서 미처리군에 비해 콜라겐 생합성을 5~15% 증가시켰다(도 2참조). 또한, 대표적인 보습제인 히아루론산과 본 발명의 대두황권 추출물의 보습효과를 비교한 결과, 히아루론산과 보습효과가 거의 비슷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두황권 추출물은 주름 개선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노화 방지용 기능성 화장품에 포함되는 대두황권 추출물은 제조되는 화장품의 제형에 따라 다르지만, 0.0001 내지 9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물이 90% 정도 함유되는 스킨을 제조할때에는 상기 물의 함량을 모두 대체할 수 있으므로 0.0001 내지 9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이 50% 정도 함유되는 로션이나 크림을 제조할때에는 상기 물의 함량을 모두 대체할 수 있으므로 0.0001 내지 5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까지 대두황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단지 대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탄력 효과를 갖는 화장료에 대한 것이 보고되었는데, 여기에는 대두 추출물 0.01 내지 5.0중량% 및/또는 맥아 추출물 0.01 내지 5.0중량%, 및 소맥 단백질(wheat protein) 0.01 내지 5.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나아가 카페인(Caffeine) 0.001 내지 3.0중량% 및/또는 L-카르니틴(L-Carnitine)을 0.001 내지 5.0중량%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탄력 효과 향상용 화장료에 관해 기재되어 있다(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337113호). 그러나, 대두 추출물 자체가 피부탄력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아니라 다른 생리활성 물질과 혼합사용하였을 때 탄력 증강 효과를 본 것이고 또한, 대두 추출물과 대두황권 추출물은 그 구성성분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본 발명의 대두황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은 기존의 발명과는 다른 발명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대두황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제조되는 화장품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두황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이외에도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적용 또는 전신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화장품의 제형으로는 예를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은 대두황권 추출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조예에서는 대두황권 추출물을 이용하여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의 유화 제형의 화장품(표 1참조), 유연화장수와 같은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표 2참조)을 제조하였다. 유화 제형은 대두황권 추출물을 전체 화장품 중량에 대해 0.0001 내지 10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하였으며, 가용화 제형은 대두황권 추출물을 전체 화장품 중량에 대해 0.1 내지 5 중량 %를 함유하도록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제조된 유화제형 및 가용화제형의 온도별 보존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5℃ 내지 45℃의 범위에서 3개월까지의 범위에서도 보존 안정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표 3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대두황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은 보존 안정성도 있으면서, 주름 개선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피부노화를 방지하기 위한 기능성 화장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대두황권 추출물의 제조
백두구 또는 흑대두(또는 쥐눈이콩)를 발아시켜 대두황권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백두구 또는 정선산 흑대두를 공기가 잘 통하는 곳에서 물속에 담구어 25 내지 28℃에서 3일 동안 발아시켰다. 상기 발아된 콩(대두황권)의 전체 길이가 2 ㎝를 넘지 않는 상태에서 즉시 동결건조하거나 또는 햇빛에 3일내지 7일 동안 건조한 후 동결건조하였다. 상기 건조된 대두황권 20 g을 400 ㎖의 3차 증류수에 넣고, 100℃에서 2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뒤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된 대두황권 추출물을 60℃에서 감압농축하고 최종 농축액이 40 ㎖이 되도록 맞춘 후 이를 여과하여 대두황권 추출물로 이용하였다.
<실시예 2> 대두황권 추출물의 피부세포 증식 효과
본 발명의 대두황권 추출물이 주름개선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피부세포에 대두황권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피부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T-75 플라스크에 인간섬유아세포(HNF, Normal Human Fibroblast)(CCD-986K, KCLB 21947)를 배양한뒤 1 ×PBS로 2-3회 세척하고, 0.025% Trypsin-EDTA를 처리하여 플라스크에 부착된 세포를 떨어뜨렸다. 상기 세포를 수득해 15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Heraeus, Labofuge 400R)한 후, 세포로 이루어진 펠렛(pellet)을 10 ㎖의 DMEM(5% FBS 포함)에 부유시켰다. 헤마사이토미터(Heamacytometer)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한 뒤 2 ×103정도의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200 ㎕씩 분주하였다. 웰 면적의 약 50% 정도로 세포가 자라면 새로운 DMEM(2% FBS 포함) 배지로 교환해 주면서, 본 발명의 대두황권 추출물을 0.1, 1, 10, 100 ppm의 농도로 각 웰에 첨가하여 37℃, 5% CO2에서 세포를 배양하였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하여 배양한지 3일 후에 세포의 재생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분석을 하였다. MTT(Sigma)를 PBS에 2 ㎎/㎖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킨 후 세포 배양배지 부피의 10%(20 ㎕)를 처리하고, 2시간 더 세포를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의 상등액을 버리고 난 뒤, 150 ㎕의 DMSO를 넣어주어 잘 섞어주거나 또는 0.04 N HCl(in acid-isopropanol) 100 ㎕를 넣은 후 섞어주었다. 상기 과정이 끝난 후 ELISA 판독기(μQuant, Bio-Tek instrument INC.)를 이용해 560 nm에서 흡광도를측정하였다(Reference : 650 nm).
그 결과,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배양한 세포의 흡광도 값을 100%로 하였을때(즉, 세포증식이 100%), 발아 후 즉시 동결 건조한 대두황권 추출물의 경우는 0.1~100 ppm 농도에서 114~253%의 섬유아세포 증식효과를 나타냈으며, 햇빛에 말린 후 동결건조한 추출물의 경우는 0.1~100 ppm의 농도에서 116~217%의 증식효과를 나타냈다(도 1). 이는 다른 활성물질이 섬유 아세포를 20 내지 30%로 증식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것에 비하면 전례를 찾기 힘들 정도의 뛰어난 증식효과이다.
<실시예 3> 대두황권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콜라겐은 피부 결합조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생체물질로서 피부의 탄력과 관계가 있으며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그 양이 감소한다. 따라서 콜라겐의 생합성 양을 증가시키면 피부의 탄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대두황권 추출물이 피부탄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콜라겐 합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대두황권 추출물에 넣고 DMEM 배지가 들어있는 24-웰 플레이트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후 DMEM 0.5 ㎖ 및 L[2,3,4,5-3H]-프롤린(부경사) 10 μCi를 각 웰에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후 5% 트리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Sigma-aldrich)으로 세포를 세척하고 각각에 대하여 2개의 시험관으로 분리하였다. 한개의 시험관에는 I형 콜라게나아제(Sigma-aldrich)를 1 unit/㎕로 첨가하고 37℃에서 90분간 유지시켰다. 다른 시험관은 4℃로 유지시켰다. 그리고 나서 50% 트리클로로아세트산 0.05 ㎖을 각 시험관에 첨가하고 4℃에서 20분간 유지시켰다. 그 후, 각 용액을 12,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시켰다. 상기의 방법으로 분리한 콜라겐에 대하여 상대적 콜라겐 생합성 정도를 계산하였다(Green, M.L.,J.Immunol.Methods., 70, 257-268(1984); Hockley, K.,Fd Chem Toxicol.,24(6/7), 473-475(1986); Zhang, J.,Clinica Chimica Acta, 219, 1-14(1993); Schwartz, E.J Invest Dermatol. 96, 975-978(1991)).
그 결과, 발아 후 즉시 동결건조한 대두황권 추출물을 1~100 ppm 농도로 처리한 시료의 경우 미처리 대조군에 비해 콜라겐 생합성 정도가 5~15% 증가되었다(105~115%로 나타남)(도 2).
<실시예 4> 대두황권 추출물의 보습 효과 분석
본 발명의 대두황권 추출물이 보습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서 피부세포 증식효과 및 콜라겐 생합성 능력이 뛰어남을 확인한 발아후 즉시 동결건조한 대두황권 추출물을 이용하여 대표적인 보습제인 히아루론산과 보습효과를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발아후 바로 동결건조한 대두황권 추출물 0.5% 또는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 태평양) 0.5%를 10명의 시험자들의 팔 안쪽에 도포하고 테이프를 붙였다. 시료 처리전, 처리직후 및 처리 2시간후 코네오미터(Corneometer)를 사용해 제조사의 방침에 따라 컨덕턴스(conductance)를 측정함으로써 피부수화(skin hydration)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히아루론산의 경우 처리 직후 피부보습율이 35%였던 것이 처리 2시간 후에는 5%로 감소하였고, 본 발명의 대두황권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는 처리 직후 피부보습율이 32%였던 것이 처리 2시간 후에는 4%로 감소하여 보습제로서 사용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제조예 1> 대두황권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의 제조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두황권 추출물은 피부세포 증식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기능성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대두황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으로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의 유화 제형의 화장품 및 유연화장수 등의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1-1> 유화 제형의 화장품 제조
표 1에 기재된 조성으로 유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1 내지 9의 원료를 혼합한 혼합물을 65∼70℃로 가열하였다.
2) 10의 원료를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투입하였다.
3) 11 내지 13의 원료의 혼합물을 65∼70℃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4) 상기 단계 3)을 거치면서, 상기 2)의 혼합물을 서서히 첨가하여 8,000 rpm에서 2∼3분간 유화시켰다.
5) 14의 원료를 소량의 물에 용해시킨 후 상기 단계 4)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2분간 더 유화시켰다.
6) 15 내지 17의 원료를 각각 평량한 후 상기 단계 5)의 혼합물에 넣고 30초간 더 유화시켰다.
7) 상기 단계 6)의 혼합물을 유화 후 탈기과정을 거쳐 25∼35℃로 냉각시킴으로서 유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유화 제형 1, 2, 3의 조성
조성 유화제형 1 유화제형 2 유화제형 3
1 스테아린 산 0.3 0.3 0.3
2 스테알리 알콜 0.2 0.2 0.2
3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1.2 1.2 1.2
4 밀납 0.4 0.4 0.4
5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라우린산 에스테르 2.2 2.2 2.2
6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7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0.05 0.05 0.05
8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5 5 5
9 트리글리세라이드 2 2 2
10 사이클로메티콘 3 3 3
11 증류수 to 100 to 100 to 100
12 농글리세린 5 5 5
13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0.15
14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0.12 0.12 0.12
15 색소 0.0001 0.0001 0.0001
16 0.10 0.10 0.10
17 대두황권 추출물 0.0001 1 10
<1-2>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 제조
표 2에 기재된 조성으로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2 내지 6의 원료를 1의 원료(정제수)에 넣고 아직믹서를 이용하여 용해시켰다.
2) 8 내지 11의 원료를 7의 원료(알코올)에 넣고 완전용해시켰다.
3) 상기 단계 2)의 혼합물을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가용화시켰다.
가용화 제형 1, 2, 3의 조성
조성 가용화 제형 1 가용화 제형 2 가용화 제형 3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2 농글리세린 3 3 3
3 1,3-부틸렌글리콜 2 2 2
4 EDTA-2Na 0.01 0.01 0.01
5 색소 0.0001 0.0002 0.0002
6 대두황권 추출물 0.1 5 5
7 알코올(95%) 8 8 8
8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9 폴리옥시에틸렌하이드로제네이디트 에스테르 0.3 0.3 0.3
10 0.15 0.15 0.15
11 사이클로메티콘 - - 0.2
<실시예 5> 대두황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보존 안정성 평가
본 발명에서 제조한 유화 제형 1, 2, 3 및 가용화 제형 1, 2, 3의 화장품이온도 및 시간에 따라 보존 안정성이 있는지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보존 안전성은 -5, 5, 30, 37 및 45℃의 항온조에 상기 제형의 시료를 놓고 3개월간 외관의 변화, 즉 상분리, 현탁정도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유화 제형의 화장품 및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은 -5 내지 45℃의 온도 범위에서 3개월까지 보존 안정성이 있었다(표 3).
온도 및 시간별 보존 안정성
온도 보존기간 유화제형1 유화제형2 유화제형3 가용화제형1 가용화제형2 가용화제형3
-5℃ 1주일1개월3개월 ◎◎◎ ◎◎◎ ◎◎◎ ◎◎◎ ◎◎◎ ◎◎◎
5℃ 1주일1개월3개월 ◎◎◎ ◎◎◎ ◎◎◎ ◎◎◎ ◎◎O ◎◎◎
30℃ 1주일1개월3개월 ◎◎◎ ◎◎◎ ◎◎◎ ◎◎◎ ◎◎◎ ◎◎◎
37℃ 1주일1개월3개월 ◎◎◎ ◎◎◎ ◎◎◎ ◎◎◎ ◎◎O ◎◎O
45℃ 1주일1개월3개월 ◎◎◎ ◎◎◎ ◎◎O ◎◎O ◎◎O ◎◎O
상기에서, ◎: 아주 양호, O: 양호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두황권 추출물은 주름 개선 효과,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하므로 피부노화 방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되는 피부노화 방지용 대두황권 추출물.
  2. 1) 콩을 발아시켜 대두황권을 제조하는 단계;
    2) 단계 1에서 제조한 대두황권을 동결건조시키는 단계; 및
    3) 단계 2에서 동결건조시킨 대두황권을 열수 추출하여 여과한 다음 감압농축하고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항의 대두황권 추출물의 제조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단계 1의 콩은 흑대두, 담두시, 적소두, 백편두 및 서목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콩은 흑대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동결건조는 즉시 동결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열수추출은 90 내지 110℃에서 1시간 30분 내지 3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열수추출은 100℃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항의 대두황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기능성 화장품.
  9. 제 8항에 있어서, 대두황권 추출물은 화장품 총중량을 기준으로 0.0001~9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10. 제 8항에 있어서, 피부노화 방지용 기능성 화장품은 유화 제형의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및 가용화 제형의 유연화장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KR1020030037893A 2003-06-12 2003-06-12 대두황권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기능성 화장품 KR100628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893A KR100628518B1 (ko) 2003-06-12 2003-06-12 대두황권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기능성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893A KR100628518B1 (ko) 2003-06-12 2003-06-12 대두황권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기능성 화장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893A true KR20040106893A (ko) 2004-12-18
KR100628518B1 KR100628518B1 (ko) 2006-09-26

Family

ID=37381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893A KR100628518B1 (ko) 2003-06-12 2003-06-12 대두황권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기능성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85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458B1 (ko) * 2006-03-03 2008-08-08 최상숙 적소두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KR101134786B1 (ko) * 2009-10-15 2012-04-13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탄력 및 주름을 개선시키는 항 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08348449A (zh) * 2016-09-13 2018-07-31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含有作为有效成分的发芽半野生大豆提取物的抗老化用皮肤外用剂组合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553B1 (ko) * 2006-04-28 2013-04-08 (주)아모레퍼시픽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3989589B (zh) 2010-03-31 2018-08-21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含有香豆雌酚或包含香豆雌酚的豆提取物的、用于皮肤护理的化妆品组合物
KR102277183B1 (ko) * 2018-11-22 2021-07-14 한국 한의학 연구원 백편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458B1 (ko) * 2006-03-03 2008-08-08 최상숙 적소두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KR101134786B1 (ko) * 2009-10-15 2012-04-13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탄력 및 주름을 개선시키는 항 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08348449A (zh) * 2016-09-13 2018-07-31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含有作为有效成分的发芽半野生大豆提取物的抗老化用皮肤外用剂组合物
CN108348449B (zh) * 2016-09-13 2021-09-10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含有作为有效成分的发芽半野生大豆提取物的抗老化用皮肤外用剂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8518B1 (ko) 2006-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7965B2 (ja) モリンガ種の完全な種子の抽出物並びに化粧品組成物及び/又は皮膚科学的組成物におけるその使用
US9198945B2 (en) Cosmetic compositoin containing a rubus coreanus extract for diminishing skin wrinkles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664025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56524B1 (ko)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동백 추출물 및 이를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437997B1 (ko) 생캐비어 발효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KR100628518B1 (ko) 대두황권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기능성 화장품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6887A (ko) 순무, 순무 무청 또는 순무 캘러스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수렴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19154B1 (ko) 천연물을 이용한 항노화 및 미백 화장료
KR20020035656A (ko) 삼백초추출물로 이루어진 티로시나제 저해제 및 이를함유하는 미백화장료
KR101854444B1 (ko) 아티초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4999A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0564107B1 (ko) 피부노화방지 효능을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102076655B1 (ko) 미세침 분말 및 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76656A (ko) 해송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3631227A (zh) 抗老化剂、抗氧化剂、抗炎剂、及美白剂、以及化妆品
KR20060007083A (ko) 람부탄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및 람부탄추출방법
KR20000038844A (ko) 녹두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KR102569246B1 (ko) 산골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534261B1 (ko)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 및 보리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팽창선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44064B1 (ko) 포도, 올리브잎 및 몰약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91783A (ko) 병아리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28844B1 (ko) 등나무 꽃, 두릅나무 꽃, 동백나무 잎 및 동백나무 꽃 혼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02321B1 (ko) 검정콩, 풋귤 및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증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