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9822A - 느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경도물질 제거용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느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경도물질 제거용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9822A
KR20020019822A KR1020000053173A KR20000053173A KR20020019822A KR 20020019822 A KR20020019822 A KR 20020019822A KR 1020000053173 A KR1020000053173 A KR 1020000053173A KR 20000053173 A KR20000053173 A KR 20000053173A KR 20020019822 A KR20020019822 A KR 20020019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m
detergent composition
extract
weight
composition con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3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일이
이상명
김도완
Original Assignee
이수형, 김도완
(주)제이엔헬스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형, 김도완, (주)제이엔헬스존 filed Critical 이수형, 김도완
Priority to KR1020000053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9822A/ko
Publication of KR20020019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82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느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경도물질 제거용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참느릅나무, 느릅나무 추출물을 비누, 샴푸, 린스 등과 같은 세정제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함유시켜 경도물질 특히, Na 이온을 제거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느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경도물질 제거용 세정제 조성물{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from Elm tree for removal hardness elements}
본 발명은 느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경도물질 제거용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참느릅나무, 느릅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서 경도물질을 제거하는 효과가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참느릅나무, 느릅나무는 느릅나무과(Ulm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수로서 한방에서는 참느릅나무의 수피를 유백피 또는 유근피라하여 대소변 불통, 소종, 임질, 개선, 완선, 두창 등에 사용하여 왔다 (허준, 동의보감, 풍년사, 서울, p 216, 196).
느릅나무 성분연구에 관해서는 당느릅나무 근피에서 (+)-카테친, (+)-카테친-5-0-β-D-아피오퓨라노시드를 분리한 바 있고 (Son.B.W. et al., Arch, pharma. Res. 12, 219 (1989), 그리고 참느릅나무에서 지방산 (fatty acid)을 분리하여 보고한 바 있다 ( Tsuda, Shoyakugaku Zasshi, 45, 270. 1991). 또 느릅나무에서 얻은 추출물을 배합한 화장용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특허(특허출원 1996-007631)도있으나 이는 느릅나무 추출물이 인체에서 양혈, 항균 및 수렴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를 이용한 화장용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였다.
그러나 현재 참느릅나무, 느릅나무 추출물이 가지고 있는 경도물질 제거능을 이용한 비누, 샴푸, 린스 등의 제조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전통적으로 수천년 동안 사용하여 안정성이 입증된 참느릅나무, 느릅나무 수피 추출물이 Na이온을 제거하는 기능이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느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경도물질 제거용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참느릅나무, 느릅나무 뿌리수피를 물과 혼합하여 감압농축함으로서 농축액을 얻은 후 상기 농축액을 물에 일정 비율 희석한 다음 K, Ca, Mg 및 Na 이온과 같은 경도물질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비누제조시에 상기 참느릅나무, 느릅나무 농축액을 첨가하여 비누를 제조함으로서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참느릅나무, 느릅나무 뿌리수피를 건조한 후 물과 10:1로 혼합하여 감압농축한 후 상기 농축액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10:1의 비율로 맞추어 추출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감압농축하여 얻은 추출물을 물에 1중량%, 3중량%, 5중량%, 7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경도물질의 변화를 측정하여 본 발명 참느릅나무, 느릅나무 추출물이 경도물질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는 단계; 참느릅나무, 느릅나무 추출물을 적정농도로 사용하여 비누제조시 첨가함으로서 부드럽고 보습력이 우수한 비누를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참느릅나무, 느릅나무 추출물은 상기 비누를 비롯하여 샴푸 및 린스와 같은 세정제의 제조시에 첨가할 수 있고, 또 경도물질 제거에 의해 피부연화 효과나 보습효과를 얻을 수 있는 화장료 등의 제조시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 참느릅나무, 느릅나무 추출물의 경도물질 제거를 위한 세정제 조성물 제조시 사용량은 2 ∼ 5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참느릅나무, 느릅나무의 추출물 제조
참느릅나무, 느릅나무 뿌리수피를 벗겨 그늘에서 말린 후 10:1비율(물10:수피1)로 물과 혼합하여 추출기에서 4시간동안 진탕한 후 추출하였다.
실시예 2; 참느릅나무, 느릅나무의 추출물의 경도물질 제거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추출한 참느릅나무, 느릅나무 뿌리수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증류수에 1중량%, 3중량%, 5중량%, 7중량% 비율로 첨가하여 K, Ca, Mg, Na 등과 같은 경도물질 제거효과를 측정하였다. 또 상기 추출물을 일반수도물에 10 ∼ 50배 희석한 후 경도물질 제거효과를 측정하였다. 즉, 상기 농도별로 희석한 후 원자흡광도계(Perkin-Elmer회사 AAnlyst 300)을 이용하여 K는 766.9nm, Ca는 423.2nm, Mg는 285.2nm, Na는 589.0nm에서 측정하여 정량하였다.
실험결과, 경도물질 변화는 하기 표 1,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K, Ca, Mg는 증가하나 Na는 줄어듬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시말하면 경도물질이 제거 되었음을 알수 있었다.
참느릅나무, 느릅나무 뿌리수피 추출물의 함유량에 따른 경도물질 변화측정 결과
첨가량 K Ca Mg Na
Sample1 (1중량%) 1.37 1.55 0.37 0.35
Sample2 (3중량%) 5.00 4.82 1.19 0.29
Sample3 (5중량%) 7.95 7.81 2.63 0.64
Sample4 (7중량%) 11.37 9.95 2.72 0.89
[주] 단위: ppm
참느릅나무, 느릅나무 뿌리수피 추출물의 희석량에 따른 경도물질 변화측정 결과
첨가량 K Ca Mg Na
Sample 1 2.25 1.41 2.19 5.00
Sample 10배 3.92 2.33 2.48 4.53
Sample 20배 7.31 6.24 2.63 3.61
Sample 30배 9.12 5.65 2.72 3.25
Sample 50배 13.90 7.25 3.18 2.38
[주] sample 1은 참느릅나무, 느릅나무 추출물이 처리되지 않은 무처리구임
실시예 3; 비누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추출한 참느릅나무, 느릅나무 뿌리수피 추출물중 Na 이온을 감소시키는 3중량% 농도의 추출물을 통상의 비누제조시에 첨가하여 비누화하였다.
이상,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참느릅나무, 느릅나무 추출물을 비누, 샴푸, 린스 등과 같은 세정제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함유시켜 경도물질 특히, Na 이온을 제거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세정제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참느릅나무, 느릅나무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통상의 세정제 조성물에 2 ∼ 5중량%의 양으로 함유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물질 제거용 세정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는 비누, 샴푸 또는 린스 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도물질 제거용 세정제 조성물.
KR1020000053173A 2000-09-07 2000-09-07 느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경도물질 제거용 세정제 조성물 KR200200198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173A KR20020019822A (ko) 2000-09-07 2000-09-07 느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경도물질 제거용 세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173A KR20020019822A (ko) 2000-09-07 2000-09-07 느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경도물질 제거용 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822A true KR20020019822A (ko) 2002-03-13

Family

ID=19687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173A KR20020019822A (ko) 2000-09-07 2000-09-07 느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경도물질 제거용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98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040B1 (ko) * 2006-11-01 2008-01-04 하인숙 클렌징 비누
KR20200069263A (ko) * 2020-01-29 2020-06-16 김복술 꾸지뽕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꾸지뽕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9924A (ko) * 1991-04-24 1992-11-20 박동안 진죽염 영양 미용 비누
KR19980027147A (ko) * 1996-10-15 1998-07-15 김영한 프로폴리스(propolis)가 첨가된 화장비누
KR0163118B1 (ko) * 1996-03-21 1998-12-01 신재후 유백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용 세정제 조성물
KR20000060500A (ko) * 1999-03-16 2000-10-16 성재갑 유백피 점액질을 함유하는 피부건조방지용 보습화장료 및 화장비누 조성물
KR20020015587A (ko) * 2000-08-22 2002-02-28 오세군 항균성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9924A (ko) * 1991-04-24 1992-11-20 박동안 진죽염 영양 미용 비누
KR0163118B1 (ko) * 1996-03-21 1998-12-01 신재후 유백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용 세정제 조성물
KR19980027147A (ko) * 1996-10-15 1998-07-15 김영한 프로폴리스(propolis)가 첨가된 화장비누
KR20000060500A (ko) * 1999-03-16 2000-10-16 성재갑 유백피 점액질을 함유하는 피부건조방지용 보습화장료 및 화장비누 조성물
KR20020015587A (ko) * 2000-08-22 2002-02-28 오세군 항균성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040B1 (ko) * 2006-11-01 2008-01-04 하인숙 클렌징 비누
KR20200069263A (ko) * 2020-01-29 2020-06-16 김복술 꾸지뽕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꾸지뽕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3223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US8057830B2 (en) Cleans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reducing skin irritation
KR101662545B1 (ko) 발모효과 및 탈모방지 효과가 증진된 천연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발세정제
DE10358534A1 (de) Adhäsionshemmung von Mikroorganismen durch nichtionische Tenside
DE60306062T2 (de)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eine kosmetisch-aktive organische Säure und ein Gemüseprodukt
Sadat Tabatabaei et al. Effects of extracts of Salvadora persica on proliferation and viability of human dental pulp stem cells
JP3725557B2 (ja) 抗アクネ活性を有する薬剤および化粧用調製物
WO2005120229A1 (de) Verwendung von stoffen, die terpene und/oder duftstoffalkohole freisetzen, zur hemmung der adhäsion von mikroorganismen
JP2008094739A (ja) 肌のキメ改善剤並びに該キメ改善剤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剤
KR20020019822A (ko) 느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경도물질 제거용 세정제 조성물
KR100564225B1 (ko)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6312611A (ja) 育毛剤及び頭髪化粧料
CN106176346B (zh) 一种防晒组合物、制备方法及防晒化妆品
JP2005089402A (ja) 外用抗掻痒剤
KR100859967B1 (ko) 금강송 추출물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과 치약 제조 방법
KR950007046B1 (ko) 생약함유 화장수 및 그 제조방법
KR101732231B1 (ko) 두피보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09929B1 (ko) 족도리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청정제 및 그 제조방법
JPH0528203B2 (ko)
EP0020274A1 (fr) Nouveau colorant naturel en particulier à usage capillaire et préparations cosmétiques le contenant
KR20070036884A (ko) 헤어 컨디셔닝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34396B1 (ko)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8844B1 (ko) 무릇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
DE19737072A1 (de) Reinigungsmittel mit hohem Reinigungserfolg und vernachlässigbarer allergener Wirkung
KR100509910B1 (ko)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