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4225B1 -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225B1
KR100564225B1 KR1019980061492A KR19980061492A KR100564225B1 KR 100564225 B1 KR100564225 B1 KR 100564225B1 KR 1019980061492 A KR1019980061492 A KR 1019980061492A KR 19980061492 A KR19980061492 A KR 19980061492A KR 100564225 B1 KR100564225 B1 KR 100564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thlete
fat milk
casualty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1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4985A (ko
Inventor
박상기
김상년
김정훈
김민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19980061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225B1/ko
Publication of KR20000044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4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2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5Asparagus, e.g. garden asparagus or asparagus fe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9Sanguisorba (bu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간(射干), 청피(靑皮), 지유(地楡), 사상자(蛇床 子), 오미자(五味子)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 추출물을 0.01~10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한 비누, 크림 조성물 등은 무좀 습진 원인균인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trichophyton mentagro phytes) 및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epidermophyton floccosum)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어 무좀 습진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비누 조성물은 감염부위를 씻음과 동시에 약물을 적용시킬 수 있어서 지속적인 약물 적용의 번거로움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무좀, 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사간(射干), 청피(靑皮), 지유(地楡), 사상자(蛇床 子), 오미자(五味子)로부터 식물 추출물을 얻는 방법과 이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무좀 습진의 주 원인균으로 알려진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trichophyton mentagrophytes) 및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epidermophyton floccosum)의 생육을 저해하여 무좀 습진의 예방 및 치료에 유효한 효과를 나타내는 무좀 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무좀은 가장 흔히 관찰되는 진균 감염 증상의 하나이다. 무좀 습진의 원인균은 피부에 친화력을 갖는 곰팡이(더마토파이트) 중에서 주로 트리코피톤 루브룸, 트리코피톤 메타그로파이트 및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이며, 이들이 피부의 각질에 침투하여 가려움, 발적. 염증 등의 증강을 일으킨다고 한다.
이들 더마토파이트의 감염증이 악화되는 정도는 감염 부위의 환경, 또 다른 기회 감염균의 동시 감염 및 개인적인 면역 능력에 따라 달라진다.
신발, 양말 등에 의한 폐쇄는 감염 부위의 열과 습기를 증가시켜 더마토파이트의 증식을 항진시킨다.
문헌(Clin. Exp. Dermatol. 17, 1992)에 의하면 이러한 무좀 습진은 어린 아이들보다는 어른들에게서 잘 나타나며, 선진국 성인 인구의 10 내지 15 %가 무좀 습진을 갖고 있거나 감염 경험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무좀 습진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무좀 습진의 원인균을 죽이거나 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여기에서 각질 연화제를 함께 사용하여 무좀균이 살고 있는 각질을 탈락시키거나 증상을 호전시키기 위하여 스테로이드 제제를 겸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감염 부위를 잘 씻고 건조시킴으로써 감염 부위의 열과 습기를 낮추어 무좀 습진균의 증식에 불리한 조건을 만드는 것도 무좀 습진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무좀 습진 치료제로서 항진균제 및 살리실산 등이 처방된 외용액제, 연고, 스프레이 등이 이미 개발되어 상용화되었으나, 무좀은 대개의 경우 치료 후에 겉으로 증상이 나타나지 않다가도 재발되어 꾸준히 치료하지 않으면 완치가 어렵다.
그러므로 무좀 습진을 완전하게 치료하기 위해서 증상이 호전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항진균제 등을 사용하여 치료하는 동시에 재감염을 막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무좀 습진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트지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 및 에피더모피톤 프로코섬에 대하여 특이적인 항균 작용을 갖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인체에 안전성이 높은 물질로서 각종 한방 약제 및 식물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 추출물이 무좀 습진균에 대하여 낮은 농도에서도 우수한 항균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여 이들 식물들의 추출 물을 얻는 방법 및 이들 추출물을 함유한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간, 청피, 치유, 사상자, 오미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식물 추출물을 0.01∼10 중량% 포함하여 무좀 습진 원인균인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 및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에 대하여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무좀 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 추출물은
a) 건조된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약제를 분쇄기로 10 내지 200 메쉬 크기의 분말로 분쇄하는 단계;
b) 분쇄된 약제를 용매에 48 시간 이상 냉침하여 추출하는 단계;
c) 추출액을 여과하는 단계; 및
d) 여과된 추출액을 감방 농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또한 상기에서 추출 용매가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을, 글리세롤,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무좀 습진 원인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력을 갖는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 추출물 및 이들 추출물을 함유하는 무좀 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 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무좀 예방 및 치료용 비누는 감염부위를 씻음과 동시에 약물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감염부위에서의 약물의 침투가 용이할 뿐 아니라 무좀 치료시에 가장 문제가 되는 지속적인 약물 적용의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사간(belamcanda chinensis L.)은 붓꽃과 식물인 범부채의 뿌리줄기로서, 잔뿌리를 다듬어 햇볕에 말린 것이다. 알려진 화학성분은 벨람칸딘, 이리딘, 텍토리딘 등이며, 한방 및 민방에서 염증, 편도염 및 구취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청피(citrus sp.)는 귤나무의 선열매 껍질을 말린 것이다. 알려진 화학성분은 레몬산, 리모넨, 헤스페리딘 등이며, 한방에서 방향성건위약, 기침가래약으로 사용되어 왔다.
지유(sanguisorba officinalis L.)는 장미과의 오이풀의 뿌리 또는 뿌리줄기를 봄이나 가을에 캐서 햇볕에 말린 것이다. 알려진 화학성분은 탄닌류, 산귀소르빈, 비타민 C 등이며, 한방 및 민방에서 염증, 구강염의 치료 및 지혈에 사용되어 왔다.
사상자(cuidiummonnier cusson 또는 torilis japonica DC.)는 미나리아과의 별사상자의 열매이다 알려진 화학성분은 α-피넨, 1-캄펜 등의 정유와 쿠마린 등이며, 한방에서 음부질병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baill)는 오미자과의 오미자 나무의 여문 열매를 햇볕에 말린 것이다. 알려진 화학성분은 레몬산, 사과산 등으 유기산과 시산드린, 시산드롤, 고미신 등이며, 한방에서 자양강장, 기관지염 등에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상기의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는 오래전부터 한방에서 사용해온 재료로서 체내섭취에 따른 인체 안전성이 이미 확인된 식물이며, 피부 및 점막에 대한 자극도 거의 없는 안전한 식물들이며,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추출물을 함유한 무좀 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비누 베이스를 기본으로 상기 식물들의 추출물을 포함시킨 조성물이다. 추출물 함량은 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유의성이 있는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며, 10 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함량 증가에 비하여 항균 효과의 증가폭이 낮아서 경제성이 낮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의 베이스에 사간, 청피, 치유, 사상가, 오미자 추출 물을 함유시킨 것이기 때문에 임상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살리실산, 알파하이드록시산, 베타하이드록시산 또는 황 등의 피부 각질제거제 등을 선택하여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 방지제, 보습제 및 물성 개선을 위한 점증제, 무기염류 또는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선택하여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여 제조한 비누, 크림 등의 조성물은 무좀 습진의 원인균에 대하여 살균력 평가 및 무좀 습진 치료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임상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한 이들 조성물은 피부발적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무좀 습진의 치료효과도 우수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서로 다른 제형인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및 고체상 등의 어떠한 성상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통상적인 제조법에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 추출물의 제조
건조시킨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 약재 각 500 g을 생약 분쇄기로 10 내지 200 메쉬의 크기로 분쇄하였다.
분쇄된 각각의 약재에 80 %(v/v) 에탄을 수용액 250 ㎖를 가하여 상온에서 48 시간 냉침시킨 후, 와트만 #2(whatman #2) 여과지와 진공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된 각각의 추출액을 45℃에거 감압 농축하여 100∼105 g의 추출물을 각각 얻었다.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 추출물의 무좀 습진균에 대한 항균력 평가
실험
상기에서 제조된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 추출물 각각을 무좀 습진균에 대한 항균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종이 원반 시험(paper disk test)을 실시하였다.
시험균주인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trichophyton mentagrophytes) 및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epidermophyton floccosum)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1 % 옥수수오일(com oil)을 함유한 감자 포도당액(potato dextrose hroth) 배지에서 5 일 동안 전배양하였다.
이렇게 준비한 균배양액을 고체배지(potato dextrose broth ÷ 1.5 % agar)on)에 도말한 후 건조시켰다.
상기에서 제조한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 추출물 10 % 수용액을 각각 8 mm의 종이 원반에 40 ㎕ 씩 점적한 후 상기 고체 배지 위에 올려 놓고 30℃ 배양기에서 3 일간 배양하였다.
상기 종이 원반 주변에 생성된 균성장 저지 영역을 관찰하고 저지환의 크기를 측정하여 항균력을 평가하였다.
사간, 청피, 치유, 사상자, 오미자 추출물 10 % 수용액의 균걸장 저지환의 크기를 표 l에 기재하였다.
[표 1]
실시예 2~5, 비교예 1~2
비누의 제조
비누 베이스(수분 및 각종 첨가제 포함)와 실시예 l에서 제조된 각각의 식물 추출물을 하기 표 2의 조성비로 혼합기에서 잘 혼합한 후, 비누 제조기에서 압출, 절단, 형타하여 고형 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물 각각을 일반 비누 뿐만 아니라 통상의 비누 제조 방법에 의하여 합성 비누와 복합비누에도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었다.
[표 2]
무좀 습진 원인균에 대한 항균력 평가 실험
상기에서 제조된 비누 조성물들에 대한 무좀 습진의 예방 및 치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무좀 습진 원인균인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 및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에 대한 항균력 시험을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곰팡이용 배지에 상기에서 제조된 비누 조성물 5 % 수용액을 각각 첨가한 후에 각 배지에 활성화된 시험균주를 접종하여 30℃에서 3 일간 배양하면서 각 배지에서의 무좀 습진 원인균의 생장 양상을 비교하여 관찰하였다. 여기에서는 각각의 조성물에 대하여 5 개의 배지로 시험하여 평균값을 취하였다.
무좀 습진 원인균에 대한 항균력은 무좀 습진 원인균의 생장 억제 정도로 평가하였다. 여기에서 상기의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누 조성물의 배지와 같이 무좀 습진 원인균의 생장이 억제되지 않은 경우로서 균이 잘 자라는 경우를 5, 균이 전혀 자라지 못하는 경우를 0 으로 하는 기준으로 균의 생장 정도에 따라서 상대적인 0, 1, 2, 3, 4, 5 의 점수를 주고, 조성물당 다섯 개 배지의 평균점수가 2 이하일때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의 결과는 실시예 l에서 제조된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 추출물들이 각각 동일한 항균 효과를 나타낸 것을 대표적인 평균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 추출물들중 2 종 이상 선택하여 조합한 추출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비누 조성물들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3]
실시예 6~10, 비교예 3
크림의 제조
크림 베이스인 유성성분, 수성성분, 계면활성제 등의 조합물과 실시예 l에서 제조한 각각의 추출물들을 하기 표 4의 조성비로 혼합기에서 잘 유화시키고, 탈기, 여과, 냉각하여 크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에는 첨가제로서 방부체, 킬레이트제, 향료 및 색소가 첨가되었으며, 적은 양의 유성성분이 존재하도록 처방은 수중유형 (oil/water)으로 제조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수중유형(oil/water)의 크림 베이스에 실시예 l에서 제조한 추출물들을 각각 또는 혼합하여 조성물내에 함유시키고, 향료, 색소,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었으며, 물성 개선을 위하여 합성 또는 천연 소재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도 있었다.
[표 4]
무좀 습진 원인균에 대한 항균력 평가 실험
상기에서 제조된 크림 조성물들에 대한 무좀 습진의 예방 및 치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무좀 습진 원인균인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 및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에 대한 항균력 시험을 실시예 2∼5 및 비교예 1, 2 에서와 같이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의 결과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 추출물들이 각각 동일한 항균 효과를 나타낸 것을 대표적인 평균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 추출물들중 2 종 이상 선택하여 조합한 추출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크림 조성물들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5]
본 발명의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 추출물을 0.01∼10 중량% 포함한 조성물은 무좀 습진 원인균인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 및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어 무좀 습진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비누 조성물은 감염부위를 씻음과 동시에 약물을 적용시킬 수 있어서 지속적인 약물 적용의 번거로움도 해소할 수 일다.

Claims (3)

  1. 사간 추출물, 청피 추출물, 지유 추출물, 사상자 추출물, 오미자 추 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추출물이 함유되어 무좀습진 원인균인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trichophyton mentagrophytes)및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epidermophyton floccosum)에 대하여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무좀 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또는 오미자 추출물이 조성물 내에 0.01∼10 중량% 포함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또는 오미자 추출물이
    a) 건조된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약제를 분쇄기로 10 내지 200 메쉬 크기의 분말로 분쇄하는 단계 ;
    b) 분쇄된 약제를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을 및 부탄올로 이루어 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추출 용매에 48 시간 이상 냉침하여 추출하는 단계 ;
    c) 추출액을 여과하는 단계; 및
    d) 여과된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조성물.
KR1019980061492A 1998-12-30 1998-12-30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64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1492A KR100564225B1 (ko) 1998-12-30 1998-12-30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1492A KR100564225B1 (ko) 1998-12-30 1998-12-30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985A KR20000044985A (ko) 2000-07-15
KR100564225B1 true KR100564225B1 (ko) 2006-06-16

Family

ID=19568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1492A KR100564225B1 (ko) 1998-12-30 1998-12-30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2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5358A (ko) 2014-11-07 2016-05-18 이종걸 발 세정용 천연 한방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발 세정용 천연 한방비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055B1 (ko) * 2000-03-20 2006-10-2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사간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17791B1 (ko) * 2000-08-14 2004-02-11 미즈코리아 주식회사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KR20010103094A (ko) * 2001-09-24 2001-11-23 최영범 오미자 엑기스 함유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65672A (ko) * 2002-01-30 2003-08-09 최영진 담배 개선제
KR100619146B1 (ko) * 2005-01-04 2006-09-01 씨제이 주식회사 사상자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포자형 미생물의 포자 살균용조성물
KR100987975B1 (ko) 2008-05-28 2010-10-18 엄용태 무좀개선용 연고
CN102973691A (zh) * 2012-12-24 2013-03-20 中国人民解放军第一〇一医院 复方紫黄乳膏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5358A (ko) 2014-11-07 2016-05-18 이종걸 발 세정용 천연 한방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발 세정용 천연 한방비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985A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745B1 (ko) 여드름균에 유효한 한방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6279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0564225B1 (ko)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30264B1 (ko) 현호색, 캣츠클로, 센티드제라늄, 아그리모니, 인동덩굴, 개박하 및 솔잣나무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생성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33268B1 (ko)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여드름 증상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60106554A (ko) 아토피 피부의 개선 효과를 갖는 애기수영 및/또는 대황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66300B1 (ko) 다기능성 미용비누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다기능성 미용비누의 제조방법
KR101869763B1 (ko) 무좀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346412B1 (ko) 탱자나무 속 식물 및/또는 치자 속 식물의 과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용 조성물
KR101797526B1 (ko) 황칠나무 발효추출물을 함유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87446B1 (ko) 아임계추출조건으로 추출한 추출물 il-s를 포함하는 항균, 보습, 가려움개선, 세라마이드증가, 항염 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
JP2015086168A (ja) リパーゼ阻害剤および皮脂コントロール用皮膚化粧料
KR100645988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바디클렌저 조성물
KR20210020817A (ko) 망고스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
KR101790250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KR100516448B1 (ko) 목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058546A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38536B1 (ko) 7종 천연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92042A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71748B1 (ko) 미성숙 열매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5575A (ko) 히그로필라 메가란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1625598B1 (ko) 포제를 활용하여 가공된 천연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2561258B1 (ko) 커먼자스민, 흰버드나무껍질 및 가지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개선용 조성물
KR20180036024A (ko) 사우로푸스 스파투리포리우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