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6448B1 - 목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목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6448B1
KR100516448B1 KR1019970070603A KR19970070603A KR100516448B1 KR 100516448 B1 KR100516448 B1 KR 100516448B1 KR 1019970070603 A KR1019970070603 A KR 1019970070603A KR 19970070603 A KR19970070603 A KR 19970070603A KR 100516448 B1 KR100516448 B1 KR 100516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hlete
extract
foot
eczema
foot ecze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0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1312A (ko
Inventor
김정훈
김상년
박상기
김민주
김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19970070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6448B1/ko
Publication of KR19990051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1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4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9Vladimi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좀습진의 주 원인균인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Trichophyton mentagrophytes) 및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Epidermophyton floccosum)에 대하여 특이적인 항균 작용을 가지는 목향 추출물을 얻는 방법 및 목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목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목향으로부터 식물 추출물을 얻는 방법 및 그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 더욱 상세하게는 무좀습진의 주 원인균으로 알려진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 및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의 생육을 강력하게 저해하므로써 무좀습진의 예방 및 치료에 유효한 효과를 보이는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무좀습진은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진균 감염증상의 하나이다. 무좀습진의 원인균은 피부에 친화력을 가지는 곰팡이(더마토파이트)중에서 주로 트리코피톤 루브룸,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 및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이며 이들이 각질에 침투하여 가려움, 발적, 염증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 이들 더마토파이트의 감염증이 심해지는 정도는 감염부위의 환경, 다른 기회 감염균의 동시감염 및 개인적인 면역능력에 따라 다르다. 신발, 양말 등에 의한 폐쇄는 감염부위의 열과 습기를 증가시켜 더마토파이트의 증식을 항진시킨다. 이러한 무좀습진은 어린 아이들보다는 어른들에게서 잘 나타나며, 선진국 성인인구의 10 내지 15%가 무좀습진을 가지고 있거나 감염경험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참조: Clin. Exp. Dermatol. 17, 1992).
무좀습진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무좀습진의 원인균을 죽이거나 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방법이 우선 고려될 수 있다. 여기에 각질연화제를 함께 써서 무좀균이 살고있는 각질을 탈락시키거나 증상을 호전시키기 위해 스테로이드 제제를 겸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감염부위를 잘 씻고 검조시킴으로서 감염부위의 열과 습기를 낮추어 무좀습진균의 증식에 불리한 조건을 만들어 주는 것도 무좀습진의 치료에 도움울 줄 수 있다.
무좀습진 치료제로서 항진균제 및 살리실산 등이 처방된 외용액제, 연고, 스프레이 등이 이미 많이 개발 판매되고 있으나, 무좀은 치료후에 겉으로 증상이 나타나지 않다가도 대개의 경우 재발되어 여간 꾸준히 치료하지 않으면 완치가 어렵다.
그러므로 무좀습진을 완전히 치료하기 위해서는 증상이 호전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항진균제 등을 적용하여 치료하는 동시에 재감염을 막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무좀습진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 및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에 대해 특이적인 항균작용을 가지면서 장기간 사용해도 인체 안정성이 높은 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각종 한방 약제 및 식물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계속해 오던 중 목향 추출물이 무좀습진균에 대해 낮은 농도에서 강력한 항균 효과가 있음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무좀습진 원인균에 대해 탁월한 항균력을 갖는 목향 추출물 및 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목향은 학명이 인눌라 헬레니움 엘(Inula helenium L.)인 국화과 식물로서 가을에 뿌리를 캐 줄기와 잔뿌리를 다듬어 버리고 굵은 것을 말려 사용한다. 알려진 화학성분으로는 알란토락톤, 이눌린, 사포닌 등 여러가자가 있다. 한방에서 목향은 건위약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기관지염, 폐결핵 등 여러 가지 호흡기 질병에 사용되어 왔다. 목향은 오래전 부터 한방에서 사용해 온 재료로서 체내섭취에 따른 인체 안정성이 이미 확인되어 있으며, 피부 및 점막에 대한 자극도 전혀 없는 극히 안전한 식물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목향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목향 약재를 10 내지 200 메쉬 크기로 분쇄하고, 분쇄된 목향 분말에 추출 용매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24 시간 이상 냉침한 후 여과하고, 여과한 추출 원액을 농축하여 목향 추출물을 얻었다. 이때 사용한 추출용매로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롤,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에틸 아세테이트, 벤젠, 헥산, 디에틸 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및 아세톤으로 구성된 군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 이상의 용매를 혼합하여 추출에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베이스를 기본으로 함유하며,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목향 추출물을 0.01 내지 1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향 추출물이 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며, 10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 증가에 비해 항균효과의 증가폭이 적어 경제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의 베이스에 목향 추출물을 함유시킨 것이며, 이밖에 임상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살리실산, 알파하이드록시산, 베타하이드록시산 또는 황 등의 피부 각질제거제 등이 첨가될 수 있다. 또한,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및 물성 개선을 위하여 점증제, 무기 염류,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한 목향 추출물을 포함시켜 제조한 비누, 크림 등의 조성물은 무좀습진의 원인균에 대한 살균력 평가 및 무좀습진 치료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임상실험을 한 결과 목향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이 피부발적 등의 부작용은 나타내지 않으면서 무좀습진 치료효과는 우수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서로 다른 제형, 즉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및 고체상 등의 어떠한 성상에도 적용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상기의 방법에 의하여 얻은 목향 추출물을 함유한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비누 및 크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들은 통상적인 제조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분쇄 및 추출
건조시킨 목향 약재 500 g 을 생약 분쇄기로 10 내지 200 메쉬 크기의 분말로 분쇄한 후, 80%(v/v) 에탄올 수용액 250 ㎖ 를 가하여 상온에서 24 내지 48 시간 냉침시킨 후, 왓트만 #2(Whatman #2) 여과지와 진공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액을 50 ℃이하에서 감압농축하여 목향 추출물 105 g 을 얻었다.
실험예 1: 목향 추출물의 무좀습진 원인균에 대한 항균력 평가실험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 및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에 대한 최소억제농도(MIC) 실험
실시예 1 에서 수득한 목향 추출물의 무좀습진균에 대한 항균력을 시험하기 위하여 MIC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시험 균주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전배양시켰다. 목향 추출물 용액을 멸균된 배양액에 일정 농도 간격으로 첨가하여 시료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시료 용액에 미리 전배양시킨 무좀습진 원인균(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 및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의 균액을 1.0% 의 농도로 접종한다. 이것을 30 ℃ 의 배양조에서 3 내지 4 일간 배양한 후, 균의 성장 정도를 관찰하였다. 시험 결과 목향 추출물의 무좀습진 원인균에 대한 MIC 는 약 0.01 % 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내지 6 및 비교예 1: 목향 추출물을 함유한 비누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 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으로 목향 추출물과 비누 베이스를 혼합기에서 잘 혼합한 후, 비누 제조 기계에서 압출, 절단, 형타하여 고형 비누 형태의 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목향 추출물은 일반 비누뿐만 아니라 통상의 비누 제조 방법에 의하여 합성 비누와 복합 비누에도 포함시켜 제조할 수 있다.
[표 1]
Figure pat00001
실험예 2: 비누 조성물의 무좀습진 원인균에 대한 항균력 평가실험
실시예 2 내지 6 및 비교예 1 에서 제조한 비누 조성물에 대한 무좀습진균 예방 및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 및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에 대한 항균력을 실험을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곰팡이용 배지에 실시예 조성물의 5 중량% 용액을 각각 첨가한 후에 각 배지에 활성화된 시험균주를 접종하여 배양하였다. 30 ℃ 에서 3 일동안 배양하면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첨가한 배지에서의 무좀균의 생장양상을 비교하여 관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는 각각 5 개의 배지를 사용하여 평균적인 균의 생장정도를 파악하였다.
무좀균에 대한 항균력은 무좀균의 생장 억제정도로 평가하였다. 무좀균의 생장이 억제되지 않은 경우, 즉 목향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아 균이 잘 자라는 경우를 5, 균이 전혀 자라지 못하는 경우를 0 으로 하여 균의 생장정도에 따라 0, 1, 2, 3, 4, 5 중의 한 점수를 주어 다섯 개 배지의 평균점수가 2 이하일 때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실험의 결과를 표 2 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pat00002
실시예 7 내지 11 및 비교예 2: 목향 추출물 함유 크림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3 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으로 크림 베이스인 유성 성분, 수성 성분, 계면활성제 등의 조합물과 목향 추출물을 혼합기에서 잘 유화시키고, 탈기, 여과, 냉각하여 크림 조성물을 제조하고, 그 이외의 첨가제인 방부제, 킬레이트제, 향료 및 섹소 등을 첨가하여 수중유형(O/W)의 처방으로 제조하였다.
[표 3]
Figure pat00003
또한 크림은 일반적인 수중유형(W/O)의 베이스에 모황련 추출물을 함유시키고 향료, 색소,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물성 개선을 위하여 합성 또는 천연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실험예 3: 크림 조성물의 무좀습진 원인균에 대한 살균력 실험
실시예 7 내지 11 및 비교예 2 에서 제조한 크림 조성물에 대한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예 2 에서 행하였던 실험과 동일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실험 결과는 표 4 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pat00004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향 추출물은 무좀습진 원인균에 대해 탁월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므로 이러한 목향 추출물을 비누, 크림 등의 조성물의 유효 성분으로 사용함으로서 무좀습진의 예방 및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는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비누는 감염부위를 씻음과 동시에 약물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감염부위에서의 약물의 침투가 용이할 뿐 아니라 무좀치료시에 가장 큰 문제가 되는 지속적인 약물적용의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2)

  1. 목향 추출물을 0.01 내지 10중량%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970070603A 1997-12-19 1997-12-19 목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16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603A KR100516448B1 (ko) 1997-12-19 1997-12-19 목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603A KR100516448B1 (ko) 1997-12-19 1997-12-19 목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312A KR19990051312A (ko) 1999-07-05
KR100516448B1 true KR100516448B1 (ko) 2005-12-02

Family

ID=37306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0603A KR100516448B1 (ko) 1997-12-19 1997-12-19 목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64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252B1 (ko) * 2012-10-04 2014-10-0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목향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부탄올 용매 분획물을 이용한 미생물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072A (ko) * 1988-06-24 1990-01-30 한스 호너라겐 오트마르 쉬미디거 약용 식물 (또는) 향료 식물의 증기 중에서 휘발성인 성분 및 친유성 성분을 함유하는 부분 추출물의 제조방법
KR960006907A (ko) * 1994-08-11 1996-03-22 이웅열 은행잎 엑스를 함유한 은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072A (ko) * 1988-06-24 1990-01-30 한스 호너라겐 오트마르 쉬미디거 약용 식물 (또는) 향료 식물의 증기 중에서 휘발성인 성분 및 친유성 성분을 함유하는 부분 추출물의 제조방법
KR960006907A (ko) * 1994-08-11 1996-03-22 이웅열 은행잎 엑스를 함유한 은단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rch Immunol Ther Exp (Warsz). 1960;8:179-89, OLECHNOWICZ-STEPIEN W *
Astroparticle Physics and Novel Gamma-Ray Telescopes Journal of Essential Oil Research SBN: 0-8194-1184-1 ,v 5 ,n 4 ,p 411-417, 1993, Bourrel, C *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1, 이서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312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863B1 (ko)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9453094B (zh) 一种驱蚊止痒组合物及含有该组合物的护肤品
KR101930264B1 (ko) 현호색, 캣츠클로, 센티드제라늄, 아그리모니, 인동덩굴, 개박하 및 솔잣나무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생성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64225B1 (ko)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66300B1 (ko) 다기능성 미용비누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다기능성 미용비누의 제조방법
KR101418366B1 (ko)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7045733A (ja)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KR20170100245A (ko) 편백나무 및 황칠나무 수증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1627B1 (ko) 붉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0516448B1 (ko) 목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00090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07842B1 (ko) 냄새 제거용 항균성 조성물
KR100816265B1 (ko)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JP2015086168A (ja) リパーゼ阻害剤および皮脂コントロール用皮膚化粧料
JP4716497B2 (ja) 皮膚外用剤および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KR20210020817A (ko) 망고스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
KR100817781B1 (ko) 토코페롤을 이용하여 추출한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790250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KR102292487B1 (ko) 코파이바 수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
KR102638536B1 (ko) 7종 천연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71748B1 (ko) 미성숙 열매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40960B1 (ko) 무화과 효소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609801B1 (ko) 소루쟁이와 승마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타민 c에 의한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15812B1 (ko)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KR102561081B1 (ko) 항염증, 항산화, 항균 및 피부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