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2042A -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2042A
KR20200092042A KR1020190009078A KR20190009078A KR20200092042A KR 20200092042 A KR20200092042 A KR 20200092042A KR 1020190009078 A KR1020190009078 A KR 1020190009078A KR 20190009078 A KR20190009078 A KR 20190009078A KR 20200092042 A KR20200092042 A KR 20200092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weight
acne
acne treatment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6983B1 (ko
Inventor
김세기
이정우
도형록
Original Assignee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셀드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셀드로우 filed Critical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9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983B1/ko
Publication of KR20200092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식물복합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항염, 항균 효능을 가지며, 사용감과 안정성이 향상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오미자, 무화과, 겨우살이, 장뇌삼, 산사, 지실, 솔잎을 혼합하여 천연식물복합물을 제조하는 제조단계; 및 용매를 이용하여 상기 천연식물복합물로부터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추출하는 추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Method of manufacturing cosmetic composition for curing acnes and cosmetic composition for curing acnes produc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연식물복합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항염, 항균 효능을 가지며, 사용감과 안정성이 향상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은 피지를 만드는 피지선에서 이상이 생긴 일종의 질병이며, 피지선에서 분비된 피지는 모공을 통해 피부 표면으로 배출되지만 사춘기, 임신, 약물, 스트레스 등의 원인으로 피지가 과잉 생성되고 배출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여드름은 다양한 인자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여러 가지 임상증상을 나타내며, 발생요인에는 네 가지 기전이 중요하게 관여하는데, 여기에는 피지분비 증가, 모낭의 과다각질화(follicular hyper -keratinization), Propionibacterium(P.) acnes의 집락 형성, 염증반응 등이 포함된다.
이 외에도 유전요인과 환경요인 등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기름이 지나치게 많거나 모공을 밀폐시키는 화장품, 마찰이나 기계적 자극, 스트레스, 과도한 발한 등도 여드름을 유발 또는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화장품 업계에서는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제품이 다수 개발되고 있으며, 천연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 아니라, 최근 천연 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가치가 한층 늘어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39532호(2011.06.01 등록)는 연잎, 지부자, 지골피 추출물로 구성되는 천연항균복합체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연잎 열수추출물 40 ∼ 80중량%, 지부자 열수추출물 10 ∼ 50중량% 및 지골피 열수추출물 10 ∼ 50중량%를 혼합한 천연항균 복합체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0001 ~ 20.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34281호(2018.12.26 등록)는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앰플형 액상 화장품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피부에 발생하는 여드름을 진정시키기 위해 마련된 제1조성물 90 중량부; 피부 보습을 위해 마련된 제2조성물 7 중량부; 피부 노화를 예방하기 위해 마련된 제3조성물 0.5 중량부; 천연 방부제로서 제4조성물 3 중량부; 및 피부의 재생을 촉진하여 여드름 흉터를 없앨 수 있도록 마련된 제5조성물 1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조성물은, 녹차수 1 내지 100 중량부; 감국꽃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 고삼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 어성초 추출물 발효 여과물 1 내지 3 중량부; 멜랄레우카 알테르니폴리아 추출물 0.1 내지 1 중량부; 마그놀올 0.01 내지 1 중량부; 토타롤 0.1 내지 1 중량부; 녹차카테킨 0.01 내지 0.5 중량부; 프로폴리스 추출물 0.1 내지 1 중량부; 삼나무잎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및 연잎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조성물은, 위치하젤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 글리세린 0.1 내지 1 중량부;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조성물은, 팔미토일 트리펩타이드-1 0.1 내지 5 중량부; 팔미토일 트리펩타이드-7 0.1 내지 5 중량부; 카르노신 0.1 내지 5 중량부; 및 글루타치온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조성물은, 황금뿌리 추출물 0.1 내지 1 중량부; 및 모란뿌리 추출물 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5조성물은, 산자나무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및 감태 추출물 0.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물질들의 효과가 미미하거나, 효과가 있더라도 피부자극, 염증 등을 유발시켜 피부에 대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39532호 한국등록특허 제10-1934281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오미자, 무화과, 겨우살이, 장뇌삼, 산사, 지실, 솔잎을 혼합한 천연식물복합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항염, 항균 효능을 가지며, 사용감과 안정성이 향상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오미자, 무화과, 겨우살이, 장뇌삼, 산사, 지실, 솔잎을 혼합하여 천연식물복합물을 제조하는 제조단계; 및 용매를 이용하여 상기 천연식물복합물로부터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추출하는 추출단계를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조단계는, 오미자 4 ~ 22중량%, 무화과 8 ~ 11중량%, 겨우살이 8 ~ 11중량%, 장뇌삼 14 ~ 17중량%, 산사 16 ~ 19중량%, 지실 16 ~ 19중량%, 솔잎 16 ~ 19중량%를 혼합하여 천연식물복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추출단계는, 실온에서 상기 용매에 상기 천연식물복합물을 24시간 동안 침지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추출단계 이후에, 상기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여과 및 농축 후 동결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상술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미자, 무화과, 겨우살이, 장뇌삼, 산사, 지실, 솔잎을 혼합한 천연식물복합물을 이용하여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각 천연식물에 함유된 항산화, 항염, 항균 성분의 상승 작용을 통해 여드름 치료 및 예방에 대한 기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자극이 거의 없고 사용감, 보습력, 흡수력, 안정감 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의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의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의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의 항균력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의 세포 생존율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의 Nitric oxide 저해능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의 Pro-inflammatory cytokine 분비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오미자, 무화과, 겨우살이, 장뇌삼, 산사, 지실, 솔잎을 혼합하여 천연식물복합물을 제조한다(S100).
상술한 단계 S100에 있어서, 오미자 4 ~ 22중량%, 무화과 8 ~ 11중량%, 겨우살이 8 ~ 11중량%, 장뇌삼 14 ~ 17중량%, 산사 16 ~ 19중량%, 지실 16 ~ 19중량%, 솔잎 16 ~ 19중량%를 혼합하여 천연식물복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오미자는, 오미자나무의 열매로 거의 둥글고 8∼9월에 홍색으로 익으며 1∼2개의 종자가 들어 있으며, 신맛이 강하고 약용한다. 종류에는 오미자(북오미자)·남오미자·흑오미자 등이 있다. 오미자는 주로 태백산 일대에 많이 자라고 남오미자는 남부 섬지방, 흑오미자는 제주도에서 자란다.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사할린섬·중국 등지에서 생산한다. 정유인 schizandrin과 gomisin A가 주성분이고 그외 지방산인 sterol, 유기산인 citric acid, 비타민 C 등의 성분이 들어 있어 심장을 강하게 하고 혈압을 내리며 면역력을 높여 주어 강장제로 쓴다. 폐 기능을 강하게 하고 진해·거담 작용이 있어서 기침이나 갈증 등에 효과가 있다. 오미자 씨에 든 리그난은 생리활성물질로 40여 종이 있으며, 암 세포 사멸, 암 전이 억제, 항산화, 간 보호, 신장 독성 억제, 항우울 효과 등이 보고되고 있다.
무화과는, 무화과나무의 열매로 대개 둥글거나 원뿔모양으로 녹색, 갈색, 검은색 등 다양하다. 단맛이 강하여 날로 먹거나 말려서 먹거나 가공하여 요리재료로 쓰인다. 알칼리성 식품으로서 민간에서는 약으로도 사용된다. 한국에서는 전남 영암군에서 국내 총생산량의 90% 이상을 생산한다. 열매의 생김새는 둥근 모양, 납작하면서 둥근 모양, 원뿔 모양 등이 있다. 과일의 껍질 색깔도 녹색, 노란빛을 띤 녹색, 노란색, 붉은빛을 띤 녹색, 자줏빛을 띤 갈색, 자줏빛을 띤 검은색 등 다양하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건과(乾果)로 많이 쓰고 한국과 일본에서는 주로 날로 먹는다. 품종은 카프리형(Carpri), 스미루나형(Smyruna), 산페드로형(Sanpedro), 보통형(Common)의 네 계통으로 나뉘며 주로 유럽·아메리카 등지에서 재배한다. 한국에서는 보통형과 산페드로형을 많이 재배하고 주요 성분으로는 당분(포도당과 과당)이 약 10% 들어 있어 단맛이 강하다. 유기산으로는 사과산과 시트르산을 비롯하여 암 치료에 효과가 있는 벤즈알데히드와 단백질 분해효소인 피신이 들어 있다. 그밖에 리파아제, 아밀라아제, 옥시다아제 등의 효소와 섬유질 및 단백질이 풍부하다. 또한, 알칼리성 식품으로서 고대 이집트와 로마·이스라엘에서는 강장제나 암·간장병 등을 치료하는 약으로 썼다. 민간에서는 소화불량·변비·설사·각혈·신경통·피부질환·빈혈·부인병 등에 약으로 쓰고, 주산지에서는 생즙을 치질과 사마귀를 치료하는 데 쓴다. 또한, 무화과에는 폴리페놀과 같은 항산화 성분이 풍부해 항염증, 항당뇨에 도움을 주고 중성 지방을제거, 피부 노화 방지에 도움을 준다.
겨우살이는, 잎과 줄기가 모두 진한 녹색을 띠고 가지가 두 갈래로 계속 갈라지며 반기생성 식물(hemipatasote)로서 국내에서는 참나무, 팽나무, 뽕나무, 벚나무, 자작나무 등에 기생한다. 꽃은 3월에 황색으로 가지 끝에 피고 꽃대는 없으며, 작은 포(苞)는 접시 모양이고 암수딴그루이다. 화피(花被)는 종 모양이고 4갈래이며, 열매는 둥글고 10월에 연노란색으로 익는다. 겨우살이의 성분으로 lectin, amyrin, inositol, viscotoxin, viscine, flavonoid, polysaccharide, tyramine, histamine, choline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cholesterol 저하, 혈압강하 작용, 이뇨,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 요통, 산후, 동상 등의 약리적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겨우살이의 주성분인 lectin은 세포독성 효과 및 면역력증강 효과, 항암활성 등에 대한 효과가 있다.
장뇌삼은, 장뇌 또는 장뇌산삼(長腦山蔘), 장로(長蘆), 산양산삼이라고도 한다. 산삼의 씨를 산에 뿌려 야생 상태로 재배한 것이다. 장뇌삼은 깊은 산속 그늘진 박달나무나 옻나무의 습진 곳에서 자란다고 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야생삼의 종자를 뿌려도 싹이 잘 나오지 않는 희귀종이다. 항암이나 항당뇨작용 심장강화 간기능 및 위장기능강화 스트레스 해소 및 강장효과 빈혈효과 집중력 강화 허약체질 개선에 도움을 준다. 국내 장뇌삼의 항암 효과는 탁월하다. 암에 걸린 쥐에 장내삼과 홍삼 , 인삼을 각각 투여하고 쥐가 살 수 있는 기간보다 추가로 생존할 수 있는 기간을 비율로 따진 이른바 생존을 조사한 결과 장뇌삼은 115% 홍삼 11%였고 인삼은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장뇌삼의 항암효과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에서도 항암치료에서 확인 되었다. 암세포 성장을 억제하고 구토와 근육통 등 항암치료에서 오는 부작용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사는, 장미과 (Rosaceae)의 사과나무속 (Malus) 낙엽교목인 산사나무 Crataegus pinnatifida var. typica, Crataegus pinnatifida var. major, Crataegus cuneata, (산사)의 열매로 산사라는 이름은 열매가 사과맛이 나고 색이 붉어 작은 사과와 같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과실은 구형 또는 배와 같은 형태로 직경은 2.5 cm이고 표면은 심홍색으로 광택이 있고 회백색의 작은 반점이 있다. 바깥면은 황갈색이나 회색을 띤 적갈색이며 많은 가는 주름이 있다. 대개 3~5 cm의 두께로 절단하여 유통되는데 단면은 수축되어 평평치 못하고 심홍색 또는 엷은 갈색이며 5~6개의 종자를 가지고 있는데 그 색은 담홍색이다.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시며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한방에서 꽃사과 열매 말린 것을 건위와 소화불량, 식욕부진, 위산결핍증 또는 위산과다증에 사용하며, 설사와 생리통, 동상, 건위, 요통, 장출혈 등에 약으로 쓴다. 민간에서는 육류를 요리할 때 고기를 부드럽고 연하게 하기 위한 연육제로도 사용하였으며, 과즙은 숙취해소에 사용하였다. 꽃사과로 술을 담가 먹으면 피로회복, 식욕증진, 신경과민, 불면증, 변비 등을 치유하는 효과가 있어 약술로 마시기도 하였다.
지실은, 운향과(Rutaceae)에 속한 상록소교목인 광귤나무 Citrus aurantium L. 탱자나무 Poncirus trifoliata Rafin.의 유과로, 5~6월에 미성숙 과실을 채취하여 가로로 쪼개어 두 쪽이 되게 한 다음 쇄건하거나 저온에서 건조한다. 지실의 성분으로는 리모넨(limonene), 리나놀(linalool), 캄펜(camphene)등과 같은 정유성분, 폰키린(poncirin), 나린진(naringin), 헤스페리딘(hesperidin), 네오헤스페리딘(neohesperidin)등과 같은 프라보노이드 및 엄벨리페론(umbelliferone), 오랍텐(auraptene), 임페라토린(imperatorin)등과 같은 쿠마린류가 보고되어 있다. 폰키린은 항혈소판 작용 및 장내세균 억제작용과 항헬리코박터파이로리 활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고, 나린진은 콜레스테롤 억제효과와 백혈병 세포를 정상세포로 변화시키는 작용, 유방암 세포증식 저해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지실의 물 추출물은 compound 48/80으로 유발한 아나필락시스 모델에서 복강 내 비만세포의 막(membrane)을 안정화시켜 아나필락시스 쇼크로 인한 쥐의 사망을 막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또한, 비타민이 풍부하고. 두드러기. 꽃먼지 알레르기, 피부염증, 아토피, 알레르기 피부 개선, 항염에 효과가 있다.
솔잎은, 상록침엽의 교목인 소나무의 잎이자 향신료로, 초록색에 바늘과 같이 얇고 길쭉한 생김새를 가지고 있으며 그 향은 상쾌하고 쓴맛이 난다. 중국에서는 仙人이 먹는 음식이라고 전해지며 의학서에는 모발을 나게 하고 내장을 편하게 하며 장수하게 하는 잎으로, 솔잎은 송모라고도 한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좋은 약재로 쓰는 것은 적송인데 산지내륙성으로 잎이 가늘고 줄기는 적갈색이며 독이 없다. 솔잎 영양소 중 엽록소는 상처의 치료, 빈혈, 위궤양 등에 이용된다. 또한 글리코기닌의 성분은 혈당강하작용이 있어 당뇨병에 효과적이며 철분도 풍부하게 있어 빈혈에도 좋다. 솔잎에는 노화와 암을 예방하는 베타카로틴을 비롯해 우리 몸에 좋은 영양소인 각종 미네랄과 비타민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다. 특히 솔잎의 사계절 푸른빛의 원인인 테트펜틴(테레빈유)이라는 물질은 불포화 지방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콜레스테롤의 축적을 막고 동맥경화를 방지한다. 또한 말초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을 촉진함으로써 뇌세포 기능을 향상시키고 호르몬 분비를 도와 체내 균형에 도움을 준다.
상술한 단계 S100에 있어서, 천연식물복합물의 혼합 비율의 편차가 큰 경우 각 천연식물의 유효성분에서 유래한 항산화, 항균, 항염 기능 및 여드름 치료 효과가 적절하게 구현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작업 환경 및 최종 산물의 품질을 고려하여 혼합비율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00에서 제조된 천연식물복합물로부터 용매를 이용하여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추출한다(S200).
상술한 단계 S200에 있어서, 실온에서 에탄올 용매에 천연식물복합물을 24시간 동안 침지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에탄올 용매는, 천연식물복합물 중량의 10배인 것이 바람직하며, 에탄올의 농도가 70% 초과이면 적정한 수율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고, 농도가 40% 미만이면 여드름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 성분이 충분하게 추출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에탄올의 농도를 40 ~ 70%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0에 있어서, 천연식물복합물 중량의 10배의 정제수에 천연식물복합물을 침지하여 약 80 ~ 90℃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환류냉각 추출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추출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0에 있어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에탄올, 정제수의 용매 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
상술한 단계를 통해 제조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은, 오미자, 무화과, 겨우살이, 장뇌삼, 산사, 지실, 솔잎을 혼합한 천연식물복합물을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각 천연식물에 함유된 항산화, 항염, 항균 성분의 상승 작용을 통해 여드름 치료 및 예방에 대한 기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자극이 거의 없고 사용감, 보습력, 흡수력, 안정감 등이 우수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한 단계 S200 이후에,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여과 및 농축 후 동결 건조한다(S300).
상술한 단계 S300에 있어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단계 S200에서 추출된 것으로, 20 ~ 30℃의 온도 내에서 감압농축기로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고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단계 S200 이후, 추출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에 만델산(Mandelic Acid), 락토바이오산(Lactobionic Acid), 소듐피씨에이(Sodium PCA), 글루코노락톤(Gluconolactone), 피루브산(Pyruvic Acid),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로즈메리에센셜오일(Rosemary Essntial Oil), 살리실산(Salicylic Acid),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1,2-헥산디올(1,2-Hexanedi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과 정제수(Deionized Water)를 혼합한다(S400).
상술한 단계 S400에 있어서, 만델산(Mandelic Acid) 1 중량%, 락토바이오산(Lactobionic Acid) 5 중량%, 소듐피씨에이(Sodium PCA) 5 중량%, 글루코노락톤(Gluconolactone) 5 중량%, 피루브산(Pyruvic Acid) 4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5 중량%,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6 중량%,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1 중량%, 로즈메리에센셜오일(Rosemary Essntial Oil) 0.2 중량%, 살리실산(Salicylic Acid) 0.2 중량%,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6 중량%, 1,2-헥산디올(1,2-Hexanediol) 1 중량%, 정제수(Deionized Water) 27.1 중량%,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2 중량%로 배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400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을 수상과 유상을 나누어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호모 믹서(Homo Mixer Mark Ⅱ) 등을 이용하여 혼합하고 냉각시키며, 향료와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첨가하여 믹싱한 후 탈포하는 공정을 통해 에센스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3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임상실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먼저, 임상실험은 20대 ~ 50대 사이의 건강한 남녀 20명(여성 16명, 남성 4명)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실험시작 2주 전부터 종료시까지 스테로이드나 항생제 등 다른 제품은 사용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모든 실험 대상자에게는 피부 부위에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일정량(2㎎/cm2)씩 도포하여 7일 동안 사용 후에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과 같이 나타내었다. 하기의 평가는 7점 척도법을 사용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우수한 것이다.
구분 평균 점수
사용감 4.86
보습력 5.11
흡수력 5.02
피부자극 4.25
여드름 치료 효능 및 5.56
향취 2.44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감, 보습력, 흡수력, 피부자극이 양호하며, 여드름 치료에 효과가 있으나, 향취는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단계 S200 이후, 추출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에 글리세린(Glycerin), 1,2-헥산디올(1,2-Hexanediol),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구연산(Citric acid), 젖산나트륨(Sodium lactate(50%)),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피이지-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레몬에센셜오일(Lemone Essential Oi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과 정제수(Deionized Water)를 혼합한다(S500).
이를 통해 제조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은 반투명 액상 제형으로서, 강력한 각질 용해 및 제거 기능을 갖는 Pyruvic acid, AHAs, BHAs, PHAs 등의 산성성분을 중화하기 위한 알칼리성 제품으로 상기 제3 실시 예에 따른 에센스 제형의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고 5분후에 얼굴 전체를 닦아내듯이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S500에 있어서, 글리세린(Glycerin) 5 중량%, 1,2-헥산디올(1,2-Hexanediol) 2 중량%,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5 중량%, 구연산(Citric acid) 0.15 중량%, 젖산나트륨(Sodium lactate(50%)) 15 중량%,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10 중량%, 피이지-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1 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1 중량%, 레몬에센셜오일(Lemone Essential Oil) 0.3 중량%, 정제수(Deionized Water) 63.95 중량%,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2 중량%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4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임상실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먼저, 임상실험은 20대 ~ 50대 사이의 건강한 남녀 20명(여성 16명, 남성 4명)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실험시작 2주 전부터 종료시까지 스테로이드나 항생제 등 다른 제품은 사용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모든 실험 대상자에게는 피부 부위에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세안 후 일정량(2㎎/cm2)씩 도포하여 7일 동안 사용 후에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와 같이 나타내었다. 하기의 평가는 7점 척도법을 사용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우수한 것이다.
구분 평균 점수
사용감 5.53
끈적임 5.73
세정력 5.53
피부자극 5.27
여드름 치료 효능 4.73
향취 5.67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상기 제4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감, 끈적임, 세정력, 피부자극, 여드름 치료 효능, 향취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단계 S200 이후, 추출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에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1,2-헥산디올(1,2-Hexanediol), 카보머(Carbomer),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수산화칼륨(Potassium hydroxide (85%)), 알란토인(Allantoin), 락토바이오산(Lactobionic Acid), 글루코노락톤(Gluconolactone), 스테비텐후레쉬(Steviten fresh),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살리실산(Salicylic Acid), 만델산(Mandelic acid), 티트리오일(Tea tree oil),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리포좀(Liposom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과 정제수(Deionized Water)를 혼합한다(S600).
이를 통해 제조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제형으로서, 민감해진 피부를 진정시키며 저농도의 AHAs, BHAs, PHAs와 의약적 성분을 처방하고 피부에 안전한 천연식물성분 복합추출물을 고농도 처방하여 피부에 도포 후 지속적인 여드름 케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0에 있어서,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3 중량%, 1,2-헥산디올(1,2-Hexanediol) 4 중량%, 카보머(Carbomer) 1 중량%,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2 중량%, 수산화칼륨(Potassium hydroxide (85%)) 5 중량%, 알란토인(Allantoin) 0.2 중량%, 락토바이오산(Lactobionic Acid) 0.1 중량%, 글루코노락톤(Gluconolactone) 0.1 중량%, 스테비텐후레쉬(Steviten fresh) 0.05 중량%,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0.02 중량%,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1 중량%, 살리실산(Salicylic Acid) 0.1 중량%, 만델산(Mandelic acid) 0.1 중량%, 티트리오일(Tea tree oil) 0.2 중량%,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10 중량%, 리포좀(Liposome) 5 중량%, 정제수(Deionized Water) 70.81 중량%,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2 중량%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5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임상실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먼저, 임상실험은 20대 ~ 50대 사이의 건강한 남녀 20명(여성 16명, 남성 4명)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실험시작 2주 전부터 종료시까지 스테로이드나 항생제 등 다른 제품은 사용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모든 실험 대상자에게는 피부 부위에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세안 후 일정량(2㎎/cm2)씩 도포하여 7일 동안 사용 후에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과 같이 나타내었다. 하기의 평가는 7점 척도법을 사용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우수한 것이다.
구분 평균 점수
사용감 6.01
보습력 5.88
끈적임 5.25
흡수력 5.75
피부자극 5.81
여드름 치료 효능 5.50
향취 5.19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상기 제5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감, 보습력, 끈적임, 흡수력, 피부자극, 여드름 치료 효능, 향취가 전반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1.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 측정
1-1.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상기 제1 실시 예에 의해 제조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실험하였다.
이를 실험하기 위해 천연식물성분의 배합 비율이 하기 [표 4]와 같이 SP-1, SP-2, SP-3, SP-4로 구성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구분 SP-1 SP-2 SP-3 SP-4
오미자 14 10.5 10.5 10.5
무화과 11 10.5 10.5 10.5
겨우살이 11 10.5 10.5 10.5
장뇌삼 16 16 16 16
산사 16 17.5 16 16
지실 16 17.5 19 17.5
솔잎 16 17.5 17.5 19
총량(중량%) 100 100 100 100
DPPH 전자공여능 (EDA; electron donating ability)은 각 시료용액 2 mL에 0.2 mM의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1 mL 넣고 교반한 후 30분간 방치한 다음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 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항산화 효과에 널리 사용되는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는 분자 중에 있는 여분의 전자를 공유함으로서 안정한 자유라디칼의 성질을 가지고 있고, DPPH 용액이 다른 물질과 혼합되면 환원이 많이 될수록 보라색을 잃게 되는 형상을 나타낸다. 517 nm의 흡광도에서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능력을 통하여 남아있는 DPPH의 비율로 항산화의 기능을 측정할 수 있다. herbal compound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능력을 측정한 결과 도 6과 같이 확인되었다. 농도 의존적으로 radical 소거능이 증가하였으며 herbal compound 1,000㎍/ml농도에서 SP-1 : 53.8%, SP-2 : 69.9%, SP-3 : 57.1%, SP-4 : 50.4% 로 SP-2에서 DPPH radical 소거능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 하였다. 이 결과는 Vit-C가 단일 성분임을 감안했을 때 SP-2가 우수한 항산화능이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1-2.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
상기 제1 실시 예에 의해 제조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DPPH radical의 소거활성과 같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ABTS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실험하였다.
7 mM ABTS buffer와 2.45 mM potassium persulfate buffer(K2S2O8) 제조 후 ABTS : K2S2O8= 2 : 1의 비로 섞은 후 12~16시간 차광하여 반응시켰다. Stock buffer를 734 nm에서 측정한 O.D 값이 0.70±0.02가 되도록 희석하고 buffer 100 μL에 농도별로 희석한 추출물 시료 100 μ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6분간 반응시켜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첨가구와 무 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소거능은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와 potassium persulfate와의 반응으로 ABTS+ radical이 생성되면 특유의 색인 청록색을 띄게 되는데, 시료를 첨가함에 따라 연한녹색으로 decolorization 되는 것을 측정하는 방법이며, hydrogen-donating antioxidant와 chain breaking antioxidant 모두를 측정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도 7과 같이 확인되었다. 농도 의존적으로 ABTS+ radical 소거능이 증가하였으며 herbal compound 1000㎍/ml농도에서 SP-1 : 94.3%, SP-2 : 99.1%, SP-3 : 93.9%, SP-4 : 90.8% 로 SP-2에서 ABTS+ radical 소거능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 하였다. SP-2의 경우 양성대조군인 vit-C가 1000㎍/ml 농도에서 94.3%의 ABTS+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낸 것보다 보다 더 우수하며 vit-C가 단일 성분임을 감안했을 때 SP-2가 아주 우수한 ABTS+ radical 소거능이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1-3.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측정
상기 제1 실시 예에 의해 제조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실험하였다.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은 nitrobule tetrazolium (NBT) 환원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각 시료용액 0.1 mL와 0.1 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7.5) 0.4 mL에 Xanthine (0.4 mM)과 NBT (0.24 mM)을 녹인 기질액 1 mL을 첨가하고 xanthine oxidase (0.2 U/mL) 1 mL를 가하여 37℃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생성된 superoxide anion radical의 양을 5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BT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측정은 xanthine oxidase가 xanthine을 기질로 하여 uric acid를 생성하는 과정에 생성되는 superoxide anion radical을 시료와 반응시켜 nitro blue tetrazolium로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Xanthine oxidase에 의해 생성되는 radical의 생성저해 효과는 도 8과 같이 확인되었다. 농도 의존적으로 NBT radical 소거능이 증가하였으며 herbal compound 1,000㎍/ml농도에서 SP-1 : 11.0%, SP-2 : 54.9%, SP-3 : 35.4%, SP-4 : 19.6%으로 SP-2에서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SP-2의 경우 100㎍/ml 저농도에서 35.2%의 radical 소거능을 보였으며, 이 결과는 동일농도 양성대조군인 vit-C 55.4%의 NBT radical 소거능 보다는 낮은 radical 소거능 이지만, vit-C가 단일 성분임을 감안했을 때 HC-2가 우수한 NBT radical 소거능이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실험예 2.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의 항균 효과 측정
2-1. 항균력 측정
Paper disk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평판 배지에 배양된 각 균주를 1 백금이 취해서 액체 배지 10 mL에서 18~24시간 배양하여 활성화 시킨 후 다시 액체 배지 10 mL에 균액을 0.1 mL 접종하여 3 ~6시간 본 배양한 후 평판배지 1개당 균수가 약 1×107 cells이 되게 접종하여 멸균 면봉으로 균일하게 도말하였다. 멸균된 filter paper disc를 고체 평판배지에 올려놓은 다음 0.05mL/disc가 되도록 시료를 농도별로 흡수시켜 37℃ 18~24시간 배양하여 disk 주위의 clear zone(mm)의 직경을 측정한다.
피부상재균중 피부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 세균으로는 Pseudomonas aeruginosa(Pa), Escherichia coli (E.C) 및 Staphylococcus aureus (Sa) 등이 보고되어 있으며 특히 피부 여드름 유발 원인세균으로는 Propionibacterium acnes (P.acne)가 알려져 있다. 천연물 유래의 피부여드름 예방, 완화 및 치료제 개발과 피부상재균 중 피부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 세균의 항균효과를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생육 저해환(Clear zone)을 확인한 결과, SP-1은 도 9, SP-2는 도 10, SP-3은 도 11, SP-4는 도 12와 같이 나타났으며, SP-1, SP-2, SP-3, SP-4 모두 Pa, Ec균에서 clear zone을 확인하였으나 Sa, Ca, An 균에서는 clear zone를 확인할 수 없었다. Pa균에서는 SP-1이 Ec균에서는 SP-2에서 가장 우수한 항균능을 확인하였다. P.acne 균에 대한 항균능을 측정한 결과 SP-1과 SP-2에서 항균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으나 SP-3와 SP-4에서는 항균능을 확인할 수 없었다.
실험예 3.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의 항염 효과 측정
3-1. 세포 생존율 측정
상기 제1 실시 예에 의해 제조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여 항염 효과를 실험하였다.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SP-1, SP-2, SP-3, SP-4)의 대식세포(Raw 264.7) 생존율은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탈수소 효소에 의해 자줏빛 formazan 생성물로 변하는 MTT환원을 MTT assay에 의해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P-1, SP-2, SP-3, SP-4 모두 0.1~1000μg/mL의 농도까지 80.2% 이상의 생존률을 확인하였다. SP-1, SP-2, SP-3, SP-4 중에서는 SP-1이 1000 μg/mL 농도에서는 101.95의 높은 세포생존율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3-2. Nitric oxide 저해능 측정
상기 제1 실시 예에 의해 제조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Nitric oxide 저해능을 측정하여 항염 효과를 실험하였다.
NO(Nitric Oxide)는 활성산소 중 하나이며, 염증상태에서 혈관 투과성, 부종 등의 염증반응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염증매개체의 생합성을 촉진하여 염증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NO(Nitric Oxide)의 기질인 L-알기닌은 L-시트룰린과 일산화질소로 변하는데, 이는 빠르게 안정된 이산화질소, 아질산염, 질산염으로 변한다. Griess 시약은 아질산염과 화학 반응하여 보라색의 아조염을 형성하고 이것은 일산화질소의 농도와 일치한다. 따라서 NO(Nitric Oxide) 생성능 확인은 세포 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의 형태로 측정하였다. LPS로 유도된 Raw 264.7 Cells에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SP-1, SP-2, SP-3, SP-4)을 0.1, 1, 10, 100, 1000 μg/mL 농도로 처리하여 상등액속에 있는 NO(Nitric Oxide)의 양을 측정한 결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P-2와 SP-4 시료 100 μg/mL에서 44.5%, 39.79%의 NO(Nitric Oxide)생성 저해능을 확인 하였으며, 1000 μg/mL 농도에서 각 56.42%, 46.94% 의 NO(Nitric Oxide) 저해활성과 같이 농도 의존적이며 유의적으로 NO(Nitric Oxide) 생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3-3. Pro-inflammatory cytokine 분비량 측정
상기 제1 실시 예에 의해 제조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Pro-inflammatory cytokine 분비량을 측정하여 항염 효과를 실험하였다.
대식세포 매개 PGE2는 NO(Nitric Oxide)와 마찬가지로 손상된 부위나 조직에서 통증과 발열의 전달에 주로 관여하는 중요한 염증 매개물질로 염증반응시 COX-2에 의해 생성되며 소량의 경우는 생체대사에 필수적이지만 COX-2의 과발현에 의한 과량의 PGE2는 강력한 염증 매개물질로 혈관을 확장시키고 혈관투과성을 증가시켜 염증부위로 백혈구의 화학주성을 증가시킨다.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SP-1, SP-2, SP-3, SP-4)에서 PGE2의 생성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P-2 시료 1000 μg/mL에서 48.82%의 높은 PGE2 생성 저해능을 확인 하였으며, SP-1과 SP-4에서도 각 27.55%, 26.94%의 PGE2 생성 저해능을 확인하였다. NO(Nitric Oxide) 생성 저해능에서 SP-1, SP-2, SP-3, SP-4 시료중 SP-2가 PGE2 생성억제능과 같이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S100 : 제조단계
S200 : 추출단계
S300 : 건조단계
S400 : 제1 혼합단계
S500 : 제2 혼합단계
S600 : 제3 혼합단계

Claims (5)

  1. 오미자, 무화과, 겨우살이, 장뇌삼, 산사, 지실, 솔잎을 혼합하여 천연식물복합물을 제조하는 제조단계; 및
    용매를 이용하여 상기 천연식물복합물로부터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추출하는 추출단계를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단계는,
    오미자 4 ~ 22중량%, 무화과 8 ~ 11중량%, 겨우살이 8 ~ 11중량%, 장뇌삼 14 ~ 17중량%, 산사 16 ~ 19중량%, 지실 16 ~ 19중량%, 솔잎 16 ~ 19중량%를 혼합하여 천연식물복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는,
    실온에서 상기 용매에 상기 천연식물복합물을 24시간 동안 침지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 이후에,
    상기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여과 및 농축 후 동결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09078A 2019-01-24 2019-01-24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76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078A KR102176983B1 (ko) 2019-01-24 2019-01-24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078A KR102176983B1 (ko) 2019-01-24 2019-01-24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042A true KR20200092042A (ko) 2020-08-03
KR102176983B1 KR102176983B1 (ko) 2020-11-10

Family

ID=72042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078A KR102176983B1 (ko) 2019-01-24 2019-01-24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9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095B1 (ko) * 2020-11-06 2021-05-17 주식회사 허브테라피 여드름 피부 개선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 기능성 화장품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034A (ko) * 2001-06-21 2002-05-04 이충우 산삼과 장뇌산삼을 이용한 피부화장료
KR101039532B1 (ko) 2008-05-09 2011-06-09 (주)더페이스샵 연잎, 지부자, 지골피 추출물로 구성되는 천연항균복합체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2991A (ko) * 2009-07-30 2012-05-24 라보라토이레즈 익스펜사이언스 오미자 펩티드 추출물을 포함한 여드름 치료용 화장 조성물
KR20130088333A (ko) * 2012-01-31 2013-08-08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 저해용 조성물
KR20130121600A (ko) * 2012-04-27 2013-11-0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탱자나무 속 식물의 과실 및/또는 치자 속 식물의 과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50078948A (ko) * 2013-12-31 2015-07-08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피부 염증 개선 또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73452B1 (ko) * 2017-03-20 2017-08-31 주식회사 더마랩 증숙, 건조 과정을 이용한 솔잎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4281B1 (ko) 2017-05-10 2019-01-02 주식회사 디엠씨케이컴퍼니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앰플형 액상 화장품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034A (ko) * 2001-06-21 2002-05-04 이충우 산삼과 장뇌산삼을 이용한 피부화장료
KR101039532B1 (ko) 2008-05-09 2011-06-09 (주)더페이스샵 연잎, 지부자, 지골피 추출물로 구성되는 천연항균복합체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2991A (ko) * 2009-07-30 2012-05-24 라보라토이레즈 익스펜사이언스 오미자 펩티드 추출물을 포함한 여드름 치료용 화장 조성물
KR20130088333A (ko) * 2012-01-31 2013-08-08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 저해용 조성물
KR20130121600A (ko) * 2012-04-27 2013-11-0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탱자나무 속 식물의 과실 및/또는 치자 속 식물의 과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50078948A (ko) * 2013-12-31 2015-07-08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피부 염증 개선 또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73452B1 (ko) * 2017-03-20 2017-08-31 주식회사 더마랩 증숙, 건조 과정을 이용한 솔잎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4281B1 (ko) 2017-05-10 2019-01-02 주식회사 디엠씨케이컴퍼니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앰플형 액상 화장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Tech Research, 2015, Vol.8, No.3, pp.356-359(2015.12.31.)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095B1 (ko) * 2020-11-06 2021-05-17 주식회사 허브테라피 여드름 피부 개선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 기능성 화장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983B1 (ko) 202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857B1 (ko)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2276213B1 (ko)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87113A (ko) 꽃을 함유하는 화장품
KR20170046528A (ko)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75135B1 (ko)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한방 복합 약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74660B1 (ko) 천연식물 발효액 및 천연식물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27545A (ko) 천연 모발 염모제 조성물
KR102176983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64225B1 (ko)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091240A (ko) 뽕잎피나무, 소태나무, 신갈나무, 및 이질풀의 추출물을 함유하여 항산화 및 미백 복합기능성을 갖는 조성물
KR102612017B1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7444A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1797526B1 (ko) 황칠나무 발효추출물을 함유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0571B1 (ko) 살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살구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피부미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2013126980A (ja) 韓薬材混合エキスを含有する抗酸化用又は美白用の化粧料組成物
KR102561258B1 (ko) 커먼자스민, 흰버드나무껍질 및 가지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개선용 조성물
KR102659269B1 (ko) 미백 활성 및 항염 활성을 나타내는 번행초 추출물
KR102406982B1 (ko)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백두산떡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190062021A (ko) 포도 종초 및 허브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651339B1 (ko) 유해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써 피지선 증식 억제를 통해 여드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식품 조성물
KR102256711B1 (ko) 토르말린과 복합 천연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KR102114647B1 (ko) 흑호두나무, 회화나무 및 소나무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항염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3368B1 (ko) 피부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