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6528A -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6528A
KR20170046528A KR1020150146981A KR20150146981A KR20170046528A KR 20170046528 A KR20170046528 A KR 20170046528A KR 1020150146981 A KR1020150146981 A KR 1020150146981A KR 20150146981 A KR20150146981 A KR 20150146981A KR 20170046528 A KR20170046528 A KR 20170046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rba
hair loss
artemisiae
purified water
herbal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1972B1 (ko
Inventor
김유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아이바이오신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아이바이오신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아이바이오신약
Priority to KR1020150146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972B1/ko
Publication of KR20170046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7Chrysanthemum, e.g. dai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9Vladimi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은 1.3-부틸렌글리콜이 1 ~ 5 % 함유된 정제수,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의 질량비가 50 : 5 : 5 : 5 : 5 : 1 : 1 : 0.25가 되도록 혼합한 뒤, 추출 및 농축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Description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MIXED COMPOSITION TO PREVENT HAIR LOSS AND PROMOTE GROWING HAIR PROVIDING NATURAL ORIENTAL MATERIAL INCLUDING ARTEMISIAE APIACEAE HERBA, CHRYSANTHEMI ZAWADSKII HERBA, ARTEMISIAE ARGYI HERBA, ARTEMISIAE CAPILLARIS HERBA, SOPHORAE FRUCTUS, CIRSII HERBA, AND AUCKLANDIAE RADIX EXTRACTS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양모 또는 모발의 굵기 증가 치료용 복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호르몬에 의한 영향이나, 혈액순환 불량, 영양부족, 약물 부작용, 또는 비듬균이나 세균에 의한 두피손상이나 유전적 요인들에 의해 탈모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최근에는 자극적인 화학 세정제 성분들이나 과도한 스트레스도 두피 및 모발을 손상시킬 수 있는 주요 원인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비듬이나 두피 가려움증도 탈모 증세를 가중시키는 주요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탈모증은 남성형 탈모증(male pattern alopecia)과 여성형 탈모증(female pattern hair loss)으로 구분될 수 있고, 그 외에도 원형 탈모증(alopecia areata)이나 기타 원인에 의한 탈모증으로 구분해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하고 복잡한 탈모원인에 대하여 혈액 순환을 촉진하거나 남성 호르몬을 억제하는 성분 등을 이용하여 탈모를 해결하려고 하고 있으나, 아직 뚜렷한 효과를 지닌 방법은 제시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고, 일종의 부작용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근본적인 탈모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고 다양한 인체 안정성이 확보된 대응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00922호 한국등록특허 제10-0449215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효과적인 생체 안정적인 모발 촉진 복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은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정제수에 혼합하여 추출 및 농축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은 정제수, 상기 청호, 상기 구절초, 상기 애엽, 상기 인진호, 상기 괴각, 상기 대계, 및 상기 목향의 질량비가 100 : 5 ~ 30 : 5 ~ 30 : 5 ~ 30 : 5 ~ 30 : 1~5 : 1~5 : 0.5 ~ 2이 되도록 혼합한 뒤, 추출 및 농축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은 상기 정제수, 상기 청호, 상기 구절초, 상기 애엽, 상기 인진호, 상기 괴각, 상기 대계, 및 상기 목향의 질량비가 50 : 5 : 5 : 5 : 5 : 1 : 1 : 0.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제수는 1.3-부틸렌글리콜이 1 ~ 5 % 함유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의 제조방법 은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주요성분으로 포함하는 복합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청호, 상기 구절초, 상기 애엽, 상기 인진호, 상기 괴각, 상기 대계, 및 상기 목향을 정제수로 세척하여 건조하는 준비 단계; 1.3-부틸렌글리콜이 1 ~ 5 % 함유된 정제수, 상기 청호, 상기 구절초, 상기 애엽, 상기 인진호, 상기 괴각, 상기 대계, 및 상기 목향의 질량비가 100 : 5 ~ 30 : 5 ~ 30 : 5 ~ 30 : 5 ~ 30 : 1~5 : 1~5 : 0.5 ~ 2가 되도록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단계;및 상기 혼합물을 일정 온도 및 일정 시간에 의해 추출하여 농축시키는 농축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의 제조방법 은 정제수, 상기 청호, 상기 구절초, 상기 애엽, 상기 인진호, 상기 괴각, 상기 대계, 및 상기 목향의 질량비가 50 : 5 : 5 : 5 : 5 : 1 : 1 : 0.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농축단계는 상기 혼합물의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의 전체 중량을 70% ~ 80% 정도로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비듬을 방지하고 두피의 가려움증을 억제함으로써 두피 기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탈모 억제 및 발포 촉진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한약재를 이용한 생약성분으로 인해 두피를 자극하지 않고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인 플로우차트.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에 의한 한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은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청호는 개똥쑥(Artemisia annua Linne) 또는 개사철쑥(Artemisia apiacea Hance)(국화과 Compositae)의 지상부로서, 항암치료제로 사용되고 비타민C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면역력을 증가시키고 피부 진균 억제와 열을 내리고, 혈압 강하작용을 한다.
구절초는 원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와, 가구절초 (Chrysanthemum indicum)의 종이 포함되며 가을에 피는 대표적인 자생화로 5월 단오에는 줄기가 5 마디가 되고, 9월 9일(음력)이 되면 9 마디가 된다 하여 구절초(九節草)라 불린다. 또한 구절초는 줄기끝에 한 송이 꽃이 피는데 흰 꽃이 신선보다 더 돋보인다 하여 선모초(仙母草)라 불린다. 바닷가를 제외한 전국에 자생하며 특히 높고 깊은 산에서 군락을 형성하여 자란다. 구절초는 종(種)으로는 단일종(單一種)이지만 품종은 몇 가지가 있다. 산구절초는 높이 10~60 ㎝, 꽃 직경 3~6㎝이며, 바위 구절초는 중북부지방의 깊은 산에서 자라는 한국 특산 식물로 높이 20 ㎝, 꽃 직경 2~4㎝이다. 상기 구절초 추출물은 구절초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 즉, 잎, 꽃, 열매, 줄기, 뿌리, 가지 및 껍질 등을 추출하여 얻을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줄기과 잎을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일 수 있다.
애엽은 국화과의 황해쑥(Artemisia argyi), 쑥(A. pronceps. var. orientlis) 또는 산쑥(A. montana)의 잎 및 어린줄기를 말린 약재를 말하며, 애구초, 구초, 첨애, 애, 빙대, 의초, 황초, 애호 등으로 불리운다. 애엽은 기혈과 경맥을 따뜻하게 하므로 자궁과 하복부가 허약하고 차서 생기는 자궁 출혈, 임신 중 출혈, 토혈, 코피, 각혈에 지혈 반응을 나타낸다. 또한, 하초가 허약하고 차며 복부에 냉감과 동통이 있는 증상 및 생리불순, 생리통, 대하 등에 사용하며, 습진, 피부가려움증에도 효과가 있다. 약리작용으로 지혈작용, 억균작용, 기관지 평활근 이완작용, 진해거담작용, 수면작용, 자궁흥분유도작용, 과민성 쇼크 보호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기에 바람직한 부위는 잎과 줄기이다.
인진호는 국화과의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의 지상부를 말린 약재를 말하며, 급성간염으로 발연, 전신황색, 소변이 붉고 적은 증상 등에 사용한다. 또한 만성간염, 간경변증, 간암, 담낭염, 담낭결석에도 사용한다. 습진, 옴, 버짐, 풍진 등의 피부질환과 돌림병으로 열이 몹시 나고 발광하는 증상에도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담즙 분비 촉진 작용, 간기능 보호작용, 간세포 재생작용, 지질 분해작용, 관상 동맥 확장작용, 혈압 강하작용, 해열, 이뇨 작용, 항미생물 작용, 실험성복수암 세포 억제 효과 등이 보고되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위는 지상부이다.
괴각은 회화나무 Sophora japonica Linne (콩과 Leguminosae)의 잘 익은 열매로써, 열기를 식히고 화기를 제거하는 효능을 가진다.
대계는 엉겅퀴 Cirsium japonicum DC. var. ussuriense (Regel) Kitamura 또는 기타 동속근연식물 (국화과 Compositae)의 전초로서, 잎의 생즙은 관절염에 잘 듣는다고 하여 즐겨 먹으며, 또 생즙에 밀가루를 반죽하여 척추가리에스의 환부에 붙여도 효과가 있다 하여 잎을 삶은 물로 줄기나 치질의 세척제로 이용하면 효과가 있다. 엉겅퀴의 뿌리는 잘게 썰어서 볕에 말렸다가 다려 약용하는데 건위, 강장, 소염, 해독, 이뇨제 등으로 쓰이며 신경통에도 효능이 있고, 또 잎을 말렸다가 토혈, 출혈 등의 지혈제로도 효과가 있다.
목향은 Saussurea lappa Clarke의 학명을 가지는 국화과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당목향, 천목향, 월서목향 및 토목향의 뿌리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강한 향기가 있고 휘발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여 기를 잘 통하게 해 소화기의 만성 염증과 장통의 증상에 사용된다. 위통이 심하고 장위의 기운이 체한 것을 치료하는 중요한 약으로서 가슴과 배가 부풀고 아픈 것, 구토, 설사, 아랫배에서 대퇴부쪽으로 당기는 증상 등을 다스린다. 소화불량이나 위확장, 배가 더부룩하고 토하려고 해도 토하지 않을 때 신곡과 함께 쓰면 좋다. 목향에는 항균 작용이 있어서 이질 치료에도 중요하게 사용되는 약재이다.
<복합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 의한 복합조성물의 추출방법을 아래와 같이 예시한다.
(1)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정제수로 깨끗이 세척한 후, 상온에서 일정시간 건조하여 준비하는 준비 단계와,
(2) 1.3-부틸렌글리콜이 1 ~ 5 % 함유된 정제수 혼합 용매 100kg에 청호 5 ~ 30kg, 구절초 5 ~ 30kg, 애엽 5 ~ 30kg, 인진호 5 ~ 30kg을 넣어서 혼합물을 만들고, 여기에 괴각 1~5kg, 대계 1~5kg, 목향 0.5 ~2kg을 첨가함으로써, 1.3-부틸렌글리콜이 1 ~ 5 % 함유된 정제수,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의 질량비가 100 : 5 ~ 30 : 5 ~ 30 : 5 ~ 30 : 5 ~ 30 : 1~5 : 1~5 : 0.5 ~ 2가 되도록 하는 혼합하되, 바람직하게는 50 : 5 : 5 : 5 : 5 : 1 : 1 : 0.25이 되도록 혼합하는 혼합 단계와,
(3) 혼합 단계에 의해 혼합된 혼합물을 일정한 온도 및 시간에 의해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 90kg을 다시 70kg이 되도록 농축함으로써 전체중량을 70% 내지 80% 정도 농축하는 농축단계에 의해 추출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복합조성물에는 상기 성분들외에 부가적인 기능 부여를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듬 방지제, 모근 강화제, 모발 보수제, 두피 보호제, 청량제, 보습제, 유연제 등의 보조 성분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조 성분들은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한 비율로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외용액제, 크림제, 연고제, 페이스트, 에어로솔제, 겔제, 왁스제, 마스카라 등의 두피 및 눈썹에 적용시킬 수 있는 국소 도포형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샴푸, 린스, 앰플 및 트리트먼트 등의 두피 및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조성물에 대한 살균실험 및 항진균력 실험결과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 실험예 1 - 살균력 실험>
실험예 1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조성물에 의한 살균 효과를 실험하기 위한 것으로서, Escherichia coli(대장균), Staphylococcus aureus(황색포도상구균), Salmonella typhimurium(살모넬라균), Pseudomonas aeruginosa(녹농균)을 Brain Heart Broth(DIFCO)에 배양 시킨 후, 배양된 세균을 희석하여 초기 세균수가 105 ~106 CFU/mL이 되도록 조정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험용액(복합혼합물) 20mL에 시험균액을 첨가하고 혼합한 후 상온에서 1시간동안 방치하였을 때 세균수를 측정하여 초기 세균수에 대한 살균감소율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생리식염수를 대조로 하여 세균수를 측정한 것을 초기 세균수로 표시하였다.
단, 이때 모든 실험의 최초 희석 단계에서는 D/E Neutralizing Broth (DIFCO)를 이용하여 중화시키는 과정을 거쳐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배지에서 세균이 증식한 경우, 배지상의 균수에 희석 배스를 곱하여 산출하였으며, 배지에서 세균이 증식하지 않은 경우는 중화단계에서 이루어진 희석배수를 곱하여 산출하였으며, 배지에서 세균이 증식하지 않은 경우는 중화단계에서 이루어진 희석배수를 곱하여 『10미만 (<10)』으로 표시하였다. 생균수 계산은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라 측정하였고 살균감소율은 [수학식 2]에 따라 결정하였다.
[수학식 1]
생균수 계산 : N= C × D(N : 생균수, C : 집락수 (2매의 집락 수 평균치), D : 희석배수 (희석액의 희석배수))
[수학식 2]
살균감소율(%) 계산 : R(%) = [(A-B)/A] × 100(R: 살균감소율, A: 초기 세균수, B: 일정시간 후 세균수)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한 살균실험 결과는 아래의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살균시험결과 (단위 : C.F.U/mL)
시료 희석배수 시험 균주 초기 1시간 처리 후
(살균력)


복합혼합물
Escherichia coli 7.5×106 < 10 (99.9999%이상)
Staphylococcus aureus 4.9×106 < 10 (99.9999%이상)
Salmonella typhimurium 4.7×106 < 10 (99.9999%이상)
Pseudomonas aeruginosa 5.8×106 < 10 (99.9999%이상)


토닉
Escherichia coli 7.5×106 < 10 (99.9999%이상)
Staphylococcus aureus 4.9×106 < 10 (99.9999%이상)
Salmonella typhimurium 4.7×106 < 10 (99.9999%이상)
Pseudomonas aeruginosa 5.8×106 < 10 (99.9999%이상)


샴푸
Escherichia coli 7.5×106 < 10 (99.9999%이상)
Staphylococcus aureus 4.9×106 < 10 (99.9999%이상)
Salmonella typhimurium 4.7×106 < 10 (99.9999%이상)
Pseudomonas aeruginosa 5.8×106 < 10 (99.9999%이상)


트리트먼트
Escherichia coli 7.5×106 < 10 (99.9999%이상)
Staphylococcus aureus 4.9×106 < 10 (99.9999%이상)
Salmonella typhimurium 4.7×106 < 10 (99.9999%이상)
Pseudomonas aeruginosa 5.8×106 < 10 (99.9999%이상)
*( ) : 살균감소율(%) = (A-B)/A × 100
여기에서, A : 초기 세균수
B : 일정시간 후 세균수
(1) Escherichia coli에 대한 살균시험
Escherichia coli에 대한 살균시험 결과, 복합혼합물은 초기 접종균수 [7.5×106 CFU/mL]에서 1시간 처리후 [<10 (10미만) CFU/mL]로 감소하였다.
(2)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살균시험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살균시험 결과 복합혼합물은 초기 접종균수 [4.9×106 CFU/mL]에서 1시간 처리 후 [<10 (10미만) CFU/mL]로 감소하였다.
(3)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한 살균시험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한 살균시험 결과, 복합혼합물은 초기 접종균수 [4.7×106 CFU/mL]에서 1시간 처리후 [<10 (10미만) CFU/mL]로 감소하였다.
(4)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살균시험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살균시험 결과 복합혼합물은 초기 접종균수 [5.8×106 CFU/mL]에서 1시간 처리 후 [<10 (10미만) CFU/mL]로 감소하였다.
< 실험예 2 - 항진균력 실험(Halo test)>
실험예 2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조성물에 의한 항진균력 효과를 실험하기 위한 것으로서, pityrosporum ovale(비듬균)균을 Fluid Thioglycollate Medium(DIFCO) 배지에 증균 배양시켜 시험에 사용하였다.
준비된 Brewer's Anaerobic Agar (DIFCO) 평판배지 위에 pityrosporum ovale 균액을 멸균된 면봉으로 고르게 접종하고, 멸균된 disc (Φ 8.0)에 시료 원액 20 ㎕를 처리한 뒤 disc를 배지 중앙에 놓은 후, 35±1에서 Anaerobic Jar (DIFCO)를 이용하여 혐기적 조건에서 48시간동안 배양한 후 형성된 저지대 (Inhibition Zone)의 지름을 측정하였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한 결과는 아래의 수학식 3에 의해 판독했다.
[수학식 3]
성장저지대 : W =
Figure pat00001
(여기에서 , W : 저지대의 폭(mm), T : 시료와 저지대의 전체지름(mm), D : 시료의 지름 (mm))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한 항진균실험 결과는 아래의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다.
항진균시험 결과 (단위 : mm)
시료 희석배수 시험 균주 전체지름(T) 시료 및 Disc의 지름(D) 저지대의 폭(W)
복합혼합물 pityrosporum ovale 16 8 4
토닉 pityrosporum ovale 14 8 3
샴푸 pityrosporum ovale 14 8 3
트리트먼트 pityrosporum ovale 13 8 2.5
※ 성장저지대 : W =
Figure pat00002
여기에서 , W : 저지대의 폭(mm)
T : 시료와 저지대의 전체지름(mm)
D : 시료의 지름 (mm)
(1) pityrosporum ovale에 대한 항진균실험결과
저지대(Inhibition Zone)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시료 복합혼합물은 pityrosporum ovale에 대하여 저지대를 측정한 결과 4mm, 시료 샴푸는 pityrosporum ovale에 대하여 저지대를 측정한 결과 3mm, 시료 토닉은 pityrosporum ovale에 대하여 저지대를 측정한 결과 3mm, 시료 트리트먼트는 pityrosporum ovale에 대하여 저지대를 측정한 결과 2.5mm의 항진균력을 보였다.
상기 실험예 1 또는 실험예 2에서 사용된 시약 taphylococcus aureus 는 ATTC사에서, Brain Heart Infusion Broth, Brain Heart Infusion Agar, Trypic Soy Agar, D/E Neutralizing Broth, Fluid Thioglycollate Medium, Brewer's Anaerobic Agar, Gaspak EZ Anaerobe Container System (DIFCO, USA)에서 구입하였다.
< 실험예 3 - 모낭세포의 활성도 실험>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복합 혼합물, 토닉, 샴푸, 트리트먼트와 동일한 방법으로 아래의 표 3과 같이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단위 : 중량%)
시료 희석배수 복합조성물 에탄올 1.3- 부틸렌글리콜 정제수
실시예 1 50(복합혼합물) 10 10 잔량
실시예 2 50(토닉) 10 10 잔량
실시예 3 50(샴푸) 10 10 잔량
실시예 4 50(트리트먼트) 10 10 잔량
비교예 - 10 10 잔량
모낭세포의 세포주는 인간 모유두세포를 이용하여 DMEM 배지에 넣어 배양약으로 사용했고, 일정온도 조건 하에서 배양기에서 배양 후 MTT 분석법을 수행했다.
MTT 분석법에서는 디쉬에 배양한 인간 모유두세포를 일정기간 동안 배양하여 배양한 세포가 있는 96 웰에 100ul씩 첨가하여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한 시료의 최종 농도가 표 4와 같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료를 처리한 96 웰을 일정기간 동안 다시 배양한 후, MTT 용액을 각 웰에 첨가하여 세포의 생장 정도를 판단하였다. 표 4에는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복합혼합물이 첨가된 실시예에서 모유도의 세포 증식능이 월등히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단위 : %)
시료 내역 복합조성물 종류 처리농도(%) 모유두 세포 증식능 ( % )
실시예 1 복합혼합물 0.01 117
실시예 2 토닉 0.01 115
실시예 3 샴푸 0.01 115
실시예 4 트리트먼트 0.01 116
비교예 무첨가 0.01 110
< 실험예 4 - 비듬감소율 간이효력 실험>
탈모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비듬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비교적 비듬이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간이효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로 구성된 약제로 세발을 하고 1개월간 누적된 비듬을 채집하여 비듬의 중량을 비교평가하였다.
[수학식 4]
비듬감소율(%) = [(시험 전 비듬의 중량(mg) - 시험 개시 1개월 후 비듬의 중량(mg))/시험 전 비듬의 중량(mg)] * 100
사용에 따른 모발의 변화 비듬감소율( % ) 모발 굵기변화량 (mm) 모발 밀도(hairs/cm2) 두피가려움증 효과
실시예 1 53.2 0.018 194 ++++
실시예 2 48.8 0.012 186 ++++
실시예 3 49.3 0.015 188 +++
실시예 4 46.9 0.015 192 ++++
비교예 1.3 - 0.002 123 +
(두피가려움증 효과 : ++++ : 매우 현저한 개선, +++ : 현저한 개선, ++ : 어느 정도 개선, + : 개선효과 없음)
< 실험예 5 - 탈모방지효과 간이효력 실험>
탈모환자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탈모가 진행되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3개월 동안 탈모 효과에 대해 간이효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탈모 방지 효과에 대한 판단은 4가지 단계로 평가하여 기록하였다.
사용에 따른 모발의 변화 1개월 경과 2개월 경과 3개월 경과
실시예 1 ++ +++ ++++
실시예 2 + ++ ++++
실시예 3 + +++ ++++
실시예 4 + ++ +++
비교예 + + +
(탈모방지 효과 : ++++ : 매우 현저한 개선, +++ : 현저한 개선, ++ : 어느 정도 개선, + : 개선효과 없음)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정제수에 혼합하여 추출 및 농축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 상기 청호, 상기 구절초, 상기 애엽, 상기 인진호, 상기 괴각, 상기 대계, 및 상기 목향의 질량비가 100 : 5 ~ 30 : 5 ~ 30 : 5 ~ 30 : 5 ~ 30 : 1~5 : 1~5 : 0.5 ~ 2이 되도록 혼합한 뒤, 추출 및 농축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 상기 청호, 상기 구절초, 상기 애엽, 상기 인진호, 상기 괴각, 상기 대계, 및 상기 목향의 질량비가 50 : 5 : 5 : 5 : 5 : 1 : 1 : 0.25인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는
    1.3-부틸렌글리콜이 1 ~ 5 % 함유된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
  5.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주요성분으로 포함하는 복합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청호, 상기 구절초, 상기 애엽, 상기 인진호, 상기 괴각, 상기 대계, 및 상기 목향을 정제수로 세척하여 건조하는 준비 단계;
    1.3-부틸렌글리콜이 1 ~ 5 % 함유된 정제수, 상기 청호, 상기 구절초, 상기 애엽, 상기 인진호, 상기 괴각, 상기 대계, 및 상기 목향의 질량비가 100 : 5 ~ 30 : 5 ~ 30 : 5 ~ 30 : 5 ~ 30 : 1~5 : 1~5 : 0.5 ~ 2가 되도록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단계;및
    상기 혼합물을 일정 온도 및 일정 시간에 의해 추출하여 농축시키는 농축단계를 포함하는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 상기 청호, 상기 구절초, 상기 애엽, 상기 인진호, 상기 괴각, 상기 대계, 및 상기 목향의 질량비가 50 : 5 : 5 : 5 : 5 : 1 : 1 : 0.25인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단계는
    상기 혼합물의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의 전체 중량을 70% ~ 80% 정도로 농축하는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50146981A 2015-10-21 2015-10-21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51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981A KR101851972B1 (ko) 2015-10-21 2015-10-21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981A KR101851972B1 (ko) 2015-10-21 2015-10-21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528A true KR20170046528A (ko) 2017-05-02
KR101851972B1 KR101851972B1 (ko) 2018-06-11

Family

ID=58742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981A KR101851972B1 (ko) 2015-10-21 2015-10-21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97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12054A (zh) * 2017-07-25 2017-12-01 广州暨南生物医药研究开发基地有限公司 一种可生发的洗发香波及其制备方法
WO2023055060A1 (ko) 2021-10-01 2023-04-06 (주)케어젠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
WO2023055056A1 (ko) 2021-10-01 2023-04-06 (주)케어젠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
WO2023055055A1 (ko) 2021-10-01 2023-04-06 (주)케어젠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
WO2023055051A1 (ko) 2021-10-01 2023-04-06 (주)케어젠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
WO2023055054A1 (ko) 2021-10-01 2023-04-06 (주)케어젠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
WO2023055053A1 (ko) 2021-10-01 2023-04-06 (주)케어젠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259B1 (ko) 2021-03-17 2023-11-15 이상록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바이러스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737A (ja) * 1997-02-10 1998-08-18 Taisho Pharmaceut Co Ltd 育毛剤
KR100449215B1 (ko) 1999-04-23 2004-09-18 다케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5-피리딜-1,3-아졸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KR20070079156A (ko) * 2006-02-01 2007-08-06 조점화 두발 건강유지 및 모발 생장촉진 원료추출물
KR20090115609A (ko) * 2008-05-02 2009-11-05 (주)아모레퍼시픽 포제를 활용한 약용식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00071840A (ko) * 2008-12-19 2010-06-29 애경산업(주)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00922A (ko) 2014-07-23 2014-08-18 이찬란 애완동물용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737A (ja) * 1997-02-10 1998-08-18 Taisho Pharmaceut Co Ltd 育毛剤
KR100449215B1 (ko) 1999-04-23 2004-09-18 다케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5-피리딜-1,3-아졸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KR20070079156A (ko) * 2006-02-01 2007-08-06 조점화 두발 건강유지 및 모발 생장촉진 원료추출물
KR20090115609A (ko) * 2008-05-02 2009-11-05 (주)아모레퍼시픽 포제를 활용한 약용식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00071840A (ko) * 2008-12-19 2010-06-29 애경산업(주)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00922A (ko) 2014-07-23 2014-08-18 이찬란 애완동물용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12054A (zh) * 2017-07-25 2017-12-01 广州暨南生物医药研究开发基地有限公司 一种可生发的洗发香波及其制备方法
WO2023055060A1 (ko) 2021-10-01 2023-04-06 (주)케어젠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
WO2023055056A1 (ko) 2021-10-01 2023-04-06 (주)케어젠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
WO2023055055A1 (ko) 2021-10-01 2023-04-06 (주)케어젠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
WO2023055051A1 (ko) 2021-10-01 2023-04-06 (주)케어젠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
WO2023055054A1 (ko) 2021-10-01 2023-04-06 (주)케어젠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
WO2023055053A1 (ko) 2021-10-01 2023-04-06 (주)케어젠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
KR20230047693A (ko) 2021-10-01 2023-04-10 (주)케어젠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
KR20230047690A (ko) 2021-10-01 2023-04-10 (주)케어젠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
KR20230047689A (ko) 2021-10-01 2023-04-10 (주)케어젠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
KR20230047691A (ko) 2021-10-01 2023-04-10 (주)케어젠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
KR20230047688A (ko) 2021-10-01 2023-04-10 (주)케어젠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
KR20230047692A (ko) 2021-10-01 2023-04-10 (주)케어젠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1972B1 (ko) 201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972B1 (ko)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43197B1 (ko) 발효 홍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촉진용 두피 케어 샴푸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샴푸 조성물
KR20160016059A (ko) 두피 도포용 천연 발모조성물
CN101229109B (zh) 一种适于7-12个月婴儿皮肤特点的护肤品及其制备工艺
KR101744103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45036A (ko)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52311A (ko) 한방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28564B1 (ko) 생숙조화(生熟調和) 발효식초로 산도를 조절한 지초비누의 제조방법
KR20110112263A (ko) 약용식물에서 추출한 성분을 이용한 발모제 피부 투여제 제조방법
KR20200139970A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샴푸 및 그 제조방법
CN104543576A (zh) 防治仔猪腹泻的复合植物提取物饲料添加剂及其制法应用
KR20190010814A (ko) 발모제 조성물
CN103877281A (zh) 一种用于治疗鸡大肠杆菌病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7811902B (zh) 一种防脱发育发剂及其制备方法
KR101598083B1 (ko) 천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CN108078827B (zh) 一种止脱生发洗发水及其制备方法
CN105646070A (zh) 袖珍菇培养基专用添加剂
CN107213077A (zh) 一种中草药酵素洗发水的制备方法
CN107823114A (zh) 一种含有黄精干细胞提取物的祛痘护肤品
KR102176983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77359B1 (ko) 선옥균을 이용한 두피 및 머리카락관리용 조성물
CN112294708A (zh) 一种弱酸性洗发护发活性洗剂
KR20210133347A (ko) 환 형태의 비염 및 기관지염 치료제
KR101799368B1 (ko) 트리트먼트 기능을 갖는 세정제 조성물
KR20200142768A (ko)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