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1840A -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1840A
KR20100071840A KR1020080130690A KR20080130690A KR20100071840A KR 20100071840 A KR20100071840 A KR 20100071840A KR 1020080130690 A KR1020080130690 A KR 1020080130690A KR 20080130690 A KR20080130690 A KR 20080130690A KR 20100071840 A KR20100071840 A KR 20100071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growth
composition
hair
promoting
polyoxy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식
지경엽
이정환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080130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1840A/ko
Publication of KR20100071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18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모 및 육모 촉진효과가 우수한 구절초 추출물을 함유하고 구절초 추출물의 극소수성으로 인한 제형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가용화제 및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절초 추출물, 가용화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나노에멀젼화하는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구절초 추출물이 조성물내에 균일하게 분포되고 상분리가 일어나지 않아 제형이 안정하고 두피에 도포시 흡수율도 높아 발모 및 육모 촉진 효과가 상승될 뿐더러 알콜올등을 용매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사용감이 좋은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구절초 추출물, 발모, 육모, 나노에멀젼

Description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 nanoemulsion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restoration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조성물내에서 구절초 추출물이 균일하게 분산 및 혼합되도록 나노에멀젼화하여 제형이 안정하고 발모 및 육모 효과가 증대되면서도 부작용이 없는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나노에멀젼화시키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성장기(Anagen), 퇴화기(Catagen), 휴지기(Telogen)의 주기를 돌며 발모와 탈모를 반복하며 유지되고 있다. 상세하게는, 모발의 주기는 모발을 성장시키는 성장기(Anagen), 성장을 종료하고 모구부가 축소하는 시기인 퇴화기(Catagen), 모유두가 활동을 멈추고 모발을 두피에 머무르게 하는 시기인 휴지기(Talogen), 모유두가 활동을 시작하거나 또는 새로운 모발을 발생시켜 오래된 모 발을 탈모시키는 시기인 발생기로 나눌 수 있다. 모발의 성장기는 남성 3~5년, 여성이 4∼6년 정도이고 그 후 퇴화기 30~45일 정도, 휴지기가 3~4개월 정도를 지나 자연적으로 탈모가 된다. 그리고 휴지기의 마지막이 되면 새로운 모발이 생성되는 발생기가 시작된다.
성장기(Anagen Stage; 2~7년)는 모발이 성장하는 기간이다. 모낭(hair follicle)의 형성은 β-catenin의 작용에 의해 placode가 형성되면(Laura C. 2003), 형성된 placode로부터 hair follicle이 완성되고 hair follicle내부의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에 의해 모발이 생성된다. 이렇게 모발이 자라는 시기를 Anagen이라 한다. 처음 생성된 모발은 Anagen시기를 거쳐 Catagen으로 들어가며 이는 Telogen을 거쳐 탈모되며 다시 Anagen으로 들어가는 cycle을 돈다. 탈모는 정상적인 현상이나 정상적인 사람이 성장기(Anagen)상태의 모발이 많은 데 비해 탈모증인 사람은 휴지기(Telogen)상태의 모발이 많아 눈으로 보이는 탈모현상이 나타내게 된다. Anagen단계는 다시 2단계로 나누어진다. 모발이 모구로 부터 모포로 나가려는 모발 생성 단계와 딱딱한 케라틴이 모낭 안에서 만들어지는 단계이다. 퇴행기까지 자가성장을 계속한다. 성장기의 수명은 2~7년이며 전체 모발(10~15만개)의 89~90%를 차지하고 성장기 단계에서 두발은 한 달에 1~1.5cm정도 자란다. 음식물, 호르몬, 비타민의 영향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퇴화기(Catagen Stage; 2~3주)는 성장기가 끝나고, 모발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대사과정이 느려지는 시기로 천천히 성장한다. 이 단계에서는 케라틴을 만들어 내지는 않는다. 퇴화기의 수명은 2~3주이며 전체 모발의 1% 를 차지한다. 모구부가 수축하여 모유두로 나눠지며 모낭에 둘러싸여 위쪽으로 올라간다. 이때 세포분열은 정지하고 있다.
휴지기(Talogen Stage; 3개월)는 모유두가 위축되고 모낭은 차츰 쪼그라들며, 모근은 위쪽으로 밀려 올라가 빠진다. 모발이 없어지는 시기로서 다음 성장기 단계가 시작될 때까지의 수명은 3~4개월. 전체 모발의 4~14% 해당되며 이 시기의 모발은 강한 브러싱에 의해서도 쉽게 탈모된다.
탈모(Alopecia)는 크게 androgenetic alopecia(남성형 탈모증), female pattern hair loss(여성형 탈모증), alopecia areata (원형탈모증), 기타원인에 의한 탈모증으로 분류된다.
남성형 탈모증은 남성의 성징을 나타나게 하며 사춘기에 근육의 발달, 남성 기관의 발달 등에 작용하는 호르몬인 Testosterone이라는 남성호르몬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 Testosterone이 5a-reductase라는 효소에 의해 더 강력한 호르몬인 Dihydrotestosterone(DHT)으로 바뀌게 되면, 이 호르몬이 hair follicle에 존재하는 dermal papilla cell에 작용하여 hair follicle을 anagen phase에서 talogen phase로 유도하여 탈모가 일어나게 한다.
여성형 탈모증은 주로 폐경기 이후 estrogen의 양의 감소에 의해 발생한다. 여성의 탈모증은 남성형 탈모증의 모양과는 좀 다르게 머리 앞부분은 빠지지 않고 중간 부분의 머리만이 주로 탈모된다. 여성의 탈모증은 5a-reductase와의 연관관계가 남성보다 적게 작용한다. 따라서 5a-reductase를 억제시키는 약물은 폐경기 이후의 탈모증 여성에게는 별로 효과가 없다.
원형 탈모증은 자가면역질환이나 정신적 스트레스, 유전적 소인에 의해 발생한다. 원형 또는 난원형의 탈모가 일어나며, 두부 백선이나 발모벽이 생기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원형 탈모증은 남성형 탈모증과는 근본적으로 원인이 다르며, 치료법 또한 달라서 부신피질 호르몬제를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Minoxidil을 환부에 바른다.
이처럼 다양하고 복잡한 탈모 원인에 대하여, 현재까지 알려진 탈모 방지 제품에는 유효성분으로 혈액 순환 촉진, 남성 호르몬 작용 억제, 모근 기능 강화 등을 목적으로 하는 성분 등이 시중에 제품으로 판매되고 있으나, 효과 면에서 뚜렷한 효과를 지닌 것은 아직까지 없는 상태이고 부작용의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처음에는 혈액 순환 촉진을 위한 용도로 개발되어 사용되어지다가 이를 사용하는 환자들 사이에서 부작용으로 발모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이후, 발모용 원료로 미국식품의약품안전청(FDA)에서 승인 받아 발모 치료제로 사용되어진 미국특허 제 3,382,247 의 미녹시딜(6-Amino-1,2-dihydro-1-hydroxy-2-imino-4-phenoxypyrimidine)은 현재에도 발모용 치료제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미국특허 제 5,215,894호에서 언급된 머크사의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는 처음에는 남성의 전립선 치료제로 사용되어지던 성분이었으나, 인체 내 투여량을 조절하여 남성형 탈모증 치료제로 탄생하게 되었다. 이는 현재 경구투여용 제제로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성기능 장애 등의 부작용이 보고된 일도 있을 뿐 아니라, 탈모에 대해서도 꾸준한 복용이 이루어져야만 효과가 있으며, 이들의 5a-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작용만으로는 그 효과를 충분히 기대하기도 어렵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구절초 추출물을 함유하고 상기 구절초 추출물의 제제내에서의 분산 및 용해도를 증가시켜 혼합을 용이하게 하여, 제형의 안정성 및 두피에서의 흡수율을 상승시키는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발모 및 육모 촉진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천연 추출물을 사용하여 부작용이 적은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구절초 추출물, 계면활성제 및 가용화제를 포함하는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구절초 추출물은 비극성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보다 낮은 극성의 유기용매 추출 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구절초 추출물은 1 차 추출용매로 추출한 1 차 추출 분획물을 2 차 추 출용매로 추출한 2차 추출 분획물일 수 있고,
상기 1 차 추출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n-부탄올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롤,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의 다가 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n-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의 탄화수소계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며,
상기 2 차 추출용매는 석유에테르, 메틸아세테이트, 벤젠, 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디메틸에테르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구절초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미바셋, 글리세린, 트리에틸시트레이트, 트리아세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카프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및 미그리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는 총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70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 글리세리드,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화 (수소화) 피마자유, 폴리알킬렌 폴리올 트랜스에스테르화 생성물, 히드록시에틸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알콜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알킬술폰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알킬설페이트, 알킬포스페이트, 테트라알킬암모늄염, 트리알킬벤질암모늄염 및 알킬베타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화 (수소화) 피마자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총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은 비타민 A, B 군 및 그 유도체, 비타민 C, D, E, H 군 및 그 유도체, 살리실산, 징크피리치온, 피리미딘옥사이드 유도체인 미녹시딜, 4-피롤리딘 2,6-디아미노피리미딘 1-옥사이드 및 소팔미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약리학적 활성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구절초 추출물을 가용화제에 용해시키는 용해 단계;
상기 구절초 추출물이 용해된 상기 가용화제에 계면활성제와 유기용매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물을 떨어뜨리면서 에멀젼화하는 에멀젼화 단계를 포함하는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전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나노에멀젼 조성물은 구절초 추출물이 조성물내에서 균일하게 혼합되어 분포되어 있으므로 상기 조성물을 제품으로 제조시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며 두피에서의 흡수율도 상승된다. 따라서, 나노에멀젼 형태가 아닌 조성물보다 발모 및 육모 촉진 효과가 더욱 증가한다.
또한, 종래에는 구절초 추출물이 에탄올등에 용해되지 않아 에탄올 용매의 사용이 어려웠으나 에탄올이 포함된 용매에 구절초 추출물이 용해될 수 있게 함으로써 휘발성이 우수하여 사용감이 좋으며 인체에도 무해한 에탄올을 구절초 추출물 을 함유하는 모발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천연 추출물을 사용하므로 과량으로 사용하거나 장기적으로 모발에 사용하더라도 두피에 자극이 적으며, 부작용이 적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은 구절초 추출물을 함유한다.
상기 구절초 추출물은 모발의 휴지기에서 성장기로 이행되는 주기를 단축시킴으로써 모발이 빠른 속도로 새로 자라나게 하여 발모가 촉진된다. 또한, 천연 추출물로서 모발에 과량 및 장기간 사용한다하더라도 부작용이 적다.
상기 구절초(九節草,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는 가을에 피는 대표적인 자생화로 5 월 단오에는 줄기가 5 마디가 되고, 9 월 9 일(음력)이 되면 9 마디가 된다 하여 구절초(九節草)라 불린다. 또한 구절초는 줄기끝에 한 송이 꽃이 피는데 흰 꽃이 신선보다 더 돋보인다 하여 선모초(仙母草)라 불린다. 바닷가를 제외한 전국에 자생하며 특히 높고 깊은 산에서 군락을 형성하여 자란다. 구절초는 종(種)으로는 단일종(單一種)이지만 품종은 몇 가지가 있다. 산구절초는 높이 10∼60 ㎝, 꽃 직경 3∼6 ㎝ 이며, 바위 구절초는 중북부지방의 깊은 산에서 자라는 한국 특산 식물로 높이 20 ㎝, 꽃 직경 2∼4 ㎝이다. 포천 구절초는 한탄강 지역에 자생하며 꽃색이 분홍색이 돈다. 우리 자생식물 중 원예가치가 높은 꽃 중 하나인 구절초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땅 속의 뿌리가 옆으로 길게 뻗어가면서 번식하며 번식력도 대단히 강하다.
상기 구절초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 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 및 추출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것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유기용매는 물, 알코올,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한 용매 추출법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극성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이하의 극성을 갖는 유기용매 추출 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구절초 추출물은 1 차 추출용매로 추출한 1 차 추출 분획물을 2 차 추출용매로 추출한 2차 추출 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1 차 추출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n-부탄올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롤,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의 다가 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n-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의 탄화수소계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 의 에탄올등의 저급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2 차 추출용매는 석유에테르, 메틸아세테이트, 벤젠, 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디메틸에테르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 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2 차 추출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 이하의 극성을 갖는 유기 용매가 바람직하다. 천연물을 추출할 때 자주 사용되는 용매는 극성의 세기에 따라 석유에테르<헥산<벤젠<클로로포름<메틸렌클로라이드<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아세톤<부탄올<이소프로파놀<에탄올<메탄올<물 등으로 구분되며, 이 중 에틸아세테이트 이하 극성의 유기용매가 바람직하다.
상기 구절초 추출물은 1차 추출단계인 저급알콜의 추출단계를 생략하고 2차 추출단계인 에틸아세테이트 이하의 극성의 세기를 갖는 유기용매 또는 비극성유기용매로만 추출하여 얻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추출물의 성분을 포함하는 모든 추출물도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절초 추출물은 총 조성물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0.0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발모 및 육모 촉진 효과가 미미하며,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구절초 추출물의 조성물내에서의 용해가 어려워 두피에서의 흡수률이 떨어질 수 있으며, 구절초 특유의 향으로 인해 조성물 전체의 향이 나빠 사용감이 좋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은 가용화제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은 두피에 도포후 용매 성분은 휘발되어야 사용감이 우수하므로 휘발성이 우수한 에탄올등의 저급 알코올을 용매로 사 용한다. 상기 구절초 추출물은 소수성의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에탄올에 용해가 되지 않아 제형화가 어렵고 두피에 도포시에도 두피에 잘 흡수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구절초 추출물을 용해시킬 수 있는 가용화제를 사용하여 구절초 추출물의 조성물내에서의 용해도를 상승시킨다.
상기 가용화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미바셋, 글리세린, 트리에틸시트레이트, 트리아세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카프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및 미그리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는 총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7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구절초 추출물을 용해시키지 못해 에탄올등과 상분리가 일어나며, 70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가용화제의 함량이 많아 모발에 조성물을 도포후 젖은 느낌이 지속되어 사용감이 좋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상기 구절초 추출물은 가용화제에 용해되나 가용화제로 구절초 추출물을 녹 인 후 에탄올을 첨가하면 가용화제와 에탄올이 혼합되지 않고 상분리가 일어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에탄올과 가용화제가 혼합되도록 유화 및 가용화하는 역할을 하며 결과적으로 구절초 추출물은 에탄올내에 균일하게 혼합되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에 용매로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두피에 도포시 흡수율이 상승되게 된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 글리세리드,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화 수소화 피마자유, 폴리알킬렌 폴리올 트랜스에스테르화 생성물, 히드록시에틸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알콜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알킬술폰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알킬설페이트, 알킬포스페이트, 테트라알킬암모늄염, 트리알킬벤질암모늄염 및 알킬베타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화 수소화 피마자유 및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화 피마자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총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가용화제 및 에탄올등의 알코올을 혼합하지 못하여 조성물의 상분리가 유발될 수 있으며, 40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두피에 자극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은 약리학적 활성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리학적 활성물질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됨으로써 구절초 추출물의 발모 및 육모 촉진 효과를 더욱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약리학적 활성물질은 비타민 A, B 군 및 그 유도체, 비타민 C,D,E,H 군 및 그 유도체, 살리실산, 징크피리치온, 피리미딘옥사이드 유도체인 미녹시딜(2,4-diamino-6 piperidino-pyrimidine-3-oxide), 4-피롤리딘 2,6-디아미노피리미딘 1-옥사이드(4-pyrrolidine 2,6-diaminopyrimidine 1-oxide) 및 소팔미토(sawpalmett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약리학적 활성물질은 총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발모 및 육모 촉진 작용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미미하며,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첨가량에 비해 효과의 상승도가 작아 경제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의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은 항균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균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두피에 적용시 미생물등을 억제하거나 제거하여 두피내 염증을 없애고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여 발모 및 육모촉진에 도움을 준다.
상기 항균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물질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날, 4급 암모늄염 또는 비구아니드계 살균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4급 암모늄염 항균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염화세틸피리디늄, 염화벤조알코늄, 염화벤조에토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 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 암모늄, 염화디데실디메틸 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 암모늄, 염화세틸트리메틸 암모늄,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및 염화라우릴피리디늄등이 있다. 상기 비구아니드계 살균제로는 염산클로르헥시딘, 초산클로르헥시딘, 글루콘산클로르헥시딘, 염산알렉시딘, 초산알렉시딘 및 글루콘산알렉시딘 등의 양이온성 살균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살균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항균제는 총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0.0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두피내 미생물의 살균효과가 미미하며,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두피에 자극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은 항산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산화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산화를 방지하여 조성물 자체의 색이나 냄새등이 변질되지 않도록 하며 제형의 안정성을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항산화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성분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부틸레이티드 히드록시톨루엔(BHT:Butylated hydroxy toluene), 부틸레이티드 히드록시아니솔(BHA:Butylated hydroxy anisole), 프로필 갈레이트(Propyl gallate) 및 에틸 프로토카테츄에이트(Ethyl protocatechu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항산화제는 총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조성물의 산화를 방지하여 장기간 사용시에도 조성물의 변성을 방지하는 효과가 미미하며, 5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두피에 자극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은 이 밖에 착향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은 에탄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탄올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용매 역할을 하며, 사용시 휘발되어 사용감을 좋게한다. 상기 에탄올의 함량은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은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제수는 총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에멀젼 조성물은 두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헤어토닉, 헤어로션 및 샴푸의 제형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나노에멀젼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시럽, 에어로졸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외용제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용해 단계; 혼합 단계; 및 에멀젼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조 방법은 비극성인 구절초 추출물을 가용화제에 용해시키고 계면활성제 및 유기용매와 혼합시켜 결과적으로 구절초 추출물이 에탄올 내에 균일하게 혼합되어 존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나노사이즈의 에멀젼 형태로 제조하여 구절초 추출물의 용해도 및 두피에서의 흡수율을 증가시켜 발모 및 육모 촉진 효과를 상승시킨다.
상기 용해 단계는 구절초 추출물을 가용화제에 용해시키는 단계이다.
구절초 추출물은 에탄올등의 용매에 녹지 않아 발모 조성물로 제조하기가 어려운 바, 이를 가용화제에 용해시킨다. sonication등을 하여 용해를 더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용해 후 homogenizer로 입자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혼합 단계는 구절초 추출물이 녹아있는 가용화제에 유기용매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유기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등의 저급 알코올이 될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와 유기용매의 상용성이 좋지 않아 상분리등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유기용매와 계면활성제를 함께 혼합하여 제형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혼합후에 상기 혼합물을 homogenizer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에멀젼화 단계는 상기 혼합물에 물을 떨어뜨리면서 에멀젼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에멀젼화 단계에서 물이 연속상이 되며, 나노사이즈의 에멀젼이 형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나노에멀젼 조성물 제조방법의 상기 용해 단계와 혼합 단계 는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그 순서를 변경하여도 무방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이는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이로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5>
1. 구절초 추출물의 제조
구절초의 줄기와 잎을 세절하여 불순물을 걸러낸 후, 에탄올과 정제수를 약 4 내지 10 배가량 가하여 5일간 실온에서 냉침하였다. 추출된 원액을 와트만 #3 여과지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물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45℃ 에서 추출 용매를 완전히 증발시켜 건조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추출물을 다시 물에 분산 용해시켜서 헥산을 이용하여 구절초 추출 분획물을 얻었다.
2.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 과 같은 조성으로 발모 및 육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에멀젼 조성물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Sonicator(Brans® 5510R-DTH, Bransonic, Mexico)를 이용하여 구절초 추출물의 가용화제에의 용해를 용이하게 한 다음, Homogenizer(Wisemix® HG-15D, DAEHAN SCIENTIFIC, Korea)를 이용하여 약 20분간 균일하게 한다. 균일화후에, 계면활성제와 유기용매를 혼합하고, Homogenizer로 다시 혼합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의 혼합물에 물을 떨어뜨리면서, 에멀젼을 형성시키는 과정을 거친다.
구 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구절초 추출물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디에틸렌글리콜
알킬에테르1)
15.0 20.0 - 15.0 15.0 - - - - -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2)
- - 20.0 - - - - - - -
프로필렌글리콜 15.0 15.0 15.0 15.0 15.0 - 5.0 - 5.0 10.0
올레일 알코올 - - - - - 30.0 25.0 - - 10.0
스테아릴 알콜 - - - - - - 30.0 25.0 10.0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화 수소화 피마자유 3) 10.0 5.0 - 5.0 5.0 5.0 - 5.0 - 2.5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화 피마자유4) 2.0 2.0 7.0 2.0 2.0 - 5.0 - 5.0 -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5)
- - - - 6.0 - - - - -
폴리소르베이트 80 1.0 1.0 1.0 6.0 - - - - - -
에탄올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BHT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살리실산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토코페롤아세테이트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니코틴산아미드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비오틴 0.06 0.06 0.06 0.06 0.06 0.06 0.06 0.06 0.06 0.06
디-판테놀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징크피리치온 2.1 2.1 2.1 2.1 2.1 2.1 2.1 2.1 2.1 2.1
항균제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착향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상품명: Transcutol, Gattefosse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2)상품명: Brij, BASF
3)상품명: Cremophor RH 40, BASF (폴리옥실 40 하이드로게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4)상품명: Cremophor EL, BASF (폴리옥실 35 캐스터 오일)
5)상품명: Span 80, ICI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실험예 1> 입자분포도의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에멀젼조성물을 에멀젼의 입자를 측정할 수 있는 ELS(Electrophoretic Light Scattering, ELS-8000, Photal Otsuka electronics.Co.Ltd. Japan)기기를 이용하여 입자의 분포도를 측정하였다.
ELS는 동적광산법을 사용하여 5μm 내지 3nm 의 콜로이드 입자의 크기를 측정하며, 전기영동 광산란법을 이용하여 입자가 가지는 Zeta potential을 측정할 수 있는 기기이다.
측정결과는 하기 표 2 와 같다.
구 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평균 입자크기(nm) 22.1 24.9 203.7 100.8 95.2 1978.6 1928.5 4060.0 2981.4 2375.1
상기 표 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 의 조성물의 입자의 크기는 22.1 내지 203.7nm 로 나노크기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5 의 조성물은 입자의 크기가 마이크로 정도로 측정되었다.
<실험예 2> 입자의 형태 관찰
상기 실험예 1 의 입자가 나노크기의 에멀젼을 형성한 것인지 구절초 추출물등이 용해되지 않고 입자로 인식되어 측정된 것인지 분명하지 않아 나노에멀젼을 형성했는지 알아보기 위해 편광현미경으로 입자의 형태를 관찰해 보았다. 배율은 40×1,000 이다. 그 결과는 도 1 내지 3 에 나타내었다. 도 1 은 실시예 1, 도 2 는 실시예 3 의 조성물, 도 3 은 비교예 4 의 조성물의 입자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3 에 의하면 실시예의 조성물의 입자형태를 관찰한 도 1 및 2 의 경우 나노에멀젼 입자가 관찰되었고 실시예 1 의 도 1 이 가장 에멀젼 형성이 우수하였다. 반면에 비교예 4 조성물의 입자형태인 도 3 은 에멀젼 입자가 관찰되지 않았고 추출물이 적당히 용해되어 있거나 혹은 용해되지 않고 부유물로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비교예 1 내지 4 는 본 발명의 가용화제가 사용되지 않았거나 적당한 함량으로 포함되지 않아 구절초 추출물이 용해도가 우수하지 못하여 에멀젼이 형성되지 못한 것으로 보이고, 비교예 5 의 경우는 가용화제에 의해 구절초 추출물이 녹았을지라도 계면활성제가 적당한 함량범위로 포함되지 못하여 에탄올과 가용화제의 상분리가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실험예 3> 실험예 2: 마우스 C57BL/6를 이용한 in vivo 발모력 시험
발모 및 육모 효과 연구에 주로 이용되는 실험법으로는 실험동물을 이용한 in vivo 평가와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의 조직 배양을 이용한 in vitro 평가 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현재에도 여러가지 생화학적, 분자생물학적 실험 기법 등을 이용한 발모 및 육모 관련 실험 방법과 평가 방법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에멀젼 조성물을 사용하여 마우스 C57BL/6를 이용한 In vivo 발모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C57BL/6 마우스는 출생 후 6주령부터 털이 퇴화기로 되며, 7주령부터 휴지기으로 되었다가 12주령이 되면, 다시 성장기으로 돌아가는 특징적인 주기를 갖는 마우스이다. 이러한 이유로 발모시험의 용도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in vivo 동물모델이다.
D.O.B.(day of birth) 3일 이내의 몸무게가 비슷한 개체들로 선별하여 6주령된 마우스 C57BL/6 암컷을 구매하였다. 25℃, 습도 50% 사육조건에서 1주일간의 적응기를 갖고, 7주령이 되는 주에 실험을 실시하였다. 마우스를 에테르가 들어있는 데시케이터에 넣고 1분간 마취시킨 후, 마우스의 등부분을 제모기를 이용하여 털을 제거하였다. 1일 후 등부위에 상처가 없는 마우스를 대상으로 시료를 도포를 하였다. 시료의 도포는 1일 1회 100ul씩 도포하였으며, 2일 간격으로 사진촬영을 하여 도포 부위의 색깔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각 시료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음성대조군은 70% 에탄올만을 단독으로 도포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발모제로 널리 사용되는 의약품인 미녹시딜 3%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었다.
도 4 및 도 5 에 의하면, 실시예 1 내지 5의 조성물이 비교예 1 내지 5 의 조성물에 비해 우수한 발모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실시예 1 내지 2 의 조성물이 가장 높은 발모 활성을 나타내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은 구절초 추출물의 비극성으로 인해 알코올을 용매로 사용한 조성물내에서의 제형의 어려움을 극복하여 구절초 추출물이 조성물내에 잘 혼합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두피에 도포시 흡수율이 증가하고 발모 및 육모 촉진효과도 상승된다.
도 1 은 실시예 1 의 조성물의 입자 형태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2 는 실시예 3 의 조성물의 입자 형태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3 은 비교예 4 의 조성물의 입자 형태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4 는 마우스 C57BL/6 을 이용한 실시예 1 내지 5 의 조성물의 in vivo 발모력 시험결과이다.
도 5 는 마우스 C57BL/6 을 이용한 비교예 1 내지 5 의 조성물의 in vivo 발모력 시험결과이다.

Claims (10)

  1. 구절초 추출물, 계면활성제 및 가용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절초 추출물이 비극성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보다 낮은 극성의 유기용매 추출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절초 추출물이 1 차 추출용매로 추출한 1 차 추출 분획물을 2 차 추출용매로 추출한 2차 추출 분획물이고,
    상기 1 차 추출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n-부탄올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롤,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의 다가 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n-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의 탄화수소계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며,
    상기 2 차 추출용매는 석유에테르, 메틸아세테이트, 벤젠, 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디메틸에테르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 멀젼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절초 추출물이 전체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화제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미바셋, 글리세린, 트리에틸시트레이트, 트리아세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카프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및 미그리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화제가 총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7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 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 글리세리드,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화 (수소화) 피마자유, 폴리알킬렌 폴리올 트랜스에스테르화 생성물, 히드록시에틸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알콜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알킬술폰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알킬설페이트, 알킬포스페이트, 테트라알킬암모늄염, 트리알킬벤질암모늄염 및 알킬베타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가 총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비타민 A, B 군 및 그 유도체, 비타민 C, D, E, H 군 및 그 유도체, 살리실산, 징크 피리치온, 피리미딘옥사이드 유도체인 미녹시딜, 4-피롤리딘 2,6-디아미노피리미딘 1-옥사이드 및 소팔미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약리학적 활성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
  10. 구절초 추출물을 가용화제에 용해시키는 용해 단계;
    상기 구절초 추출물이 용해된 상기 가용화제에 계면활성제와 유기용매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물을 떨어뜨리면서 에멀젼화하는 에멀젼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080130690A 2008-12-19 2008-12-19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718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690A KR20100071840A (ko) 2008-12-19 2008-12-19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690A KR20100071840A (ko) 2008-12-19 2008-12-19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840A true KR20100071840A (ko) 2010-06-29

Family

ID=42369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690A KR20100071840A (ko) 2008-12-19 2008-12-19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184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6528A (ko) * 2015-10-21 2017-05-02 주식회사 제이아이바이오신약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65575A (ko) * 2016-12-08 2018-06-18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오이풀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용화 조성물 또는 이의 제조방법
WO2021085986A3 (ko) * 2019-10-29 2021-06-24 주식회사 디네이쳐 추출 공정이 단순화된 천연물질의 선택적 추출 방법
WO2021229578A1 (en) * 2020-05-13 2021-11-18 Follicle Pharma Ltd Compositions for delivery of bioactive agents into hair follicles
CN115089594A (zh) * 2022-06-20 2022-09-23 苏州大学 一种纳米乳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6528A (ko) * 2015-10-21 2017-05-02 주식회사 제이아이바이오신약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65575A (ko) * 2016-12-08 2018-06-18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오이풀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용화 조성물 또는 이의 제조방법
WO2021085986A3 (ko) * 2019-10-29 2021-06-24 주식회사 디네이쳐 추출 공정이 단순화된 천연물질의 선택적 추출 방법
WO2021229578A1 (en) * 2020-05-13 2021-11-18 Follicle Pharma Ltd Compositions for delivery of bioactive agents into hair follicles
CN115089594A (zh) * 2022-06-20 2022-09-23 苏州大学 一种纳米乳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9704B1 (ko) 발모 및 육모 조성물
US8715714B2 (en) Uses of rare earth elements for hair improvement
EP1971321B9 (en) Hair growth stimulant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6822101B (zh) 一种褪黑素纳米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839588B1 (ko)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WO2005112877A1 (ja) 頭皮頭髪用組成物
KR20120039384A (ko)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발모 및 육모 조성물
US11311529B2 (en) Topical formulations of 5-α-reductase inhibitors and uses thereof
EP2066289A1 (en) Uses of rare earth elements for hair improvement
KR101595530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한 경피 흡수 촉진용 리포좀 조성물
KR20100071840A (ko)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EP3091961A1 (en) Exfoliative hair retention-promoting formulation
US6194468B1 (en) Hair growth stimulants
KR102327820B1 (ko) 두타스테라이드의 국소 조성물
KR20130092256A (ko)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0702327B1 (ko) 자극완화 효과를 갖는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US8383166B2 (en) Stable hydrophobic topical herbal formulationn
KR101476004B1 (ko) 양파껍질과 비파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72466B1 (ko) 순간 증모 및 탈모 치료 효능이 있는 약학 조성물 및 헤어 메이크업 조성물
KR20100060754A (ko) 경피 흡수를 통한 모발 성장 촉진용 외용제 조성물
JP2003137742A (ja) アサガオカラクサ属植物のエキス及びその他の生薬エキスからなる育毛料
KR101348006B1 (ko) 모발 성장 촉진용 외용제 조성물
JP3481652B2 (ja) 皮膚外用剤
CN117598920A (zh) 一种防脱生发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H08231352A (ja) 養毛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