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작약 뿌리에서 추출한 작약 추출물; 측백나무의 종자에서 추출한 백자인 추출물; 하수오 뿌리에서 추출한 하수오 추출물; 및 녹차 잎, 줄기 또는 꽃에서 추출한 녹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작약 추출물, 백자인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을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한 것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작약은 모란과 Paeoniaceae에 속한 Paeonia Lactiflora 품종으로서, 그 재배역사가 모란보다 오래되었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씻은 뒤 말린 것 또는 끓는 물에 담갔다 꺼낸 뒤 말린 것을 작약 또는 백작약이라고 하고, 특히 작약의 뿌리를 적작약이라 하며, 작약 뿌리의 껍질을 벗긴 것은 백작약이라고 한다. 작약의 효능과 효과에 대해서는 오래전부터 연구되어 왔으며, 특히 작약의 뿌리는 진통, 복통, 토혈, 빈혈, 타박상 등의 약재로 쓰였다. 또한, 화장품 원료로서 피부 미백과 항산화 등 다양한 효능과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두피와 모발에서는 모발을 외부의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고, 두피에 보습을 제공해 주며, 모발 성장을 유도하고 가려움과 비듬을 억제하는 효능과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효능과 효과가 매우 미약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작약 추출물은 작약뿌리를 초임계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로서, 다음의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모란과(Paeoniaceae)에 속한 작약 (Paeonia Lactiflora)의 뿌리를 CO2 초임계 추출용매와 조용매인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을 이용해 추출한 다음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15% 수용액에 희석을 하여 작약 추출물을 얻는다.
백자인(Thujae semen)은 측백나무(Thuja orientalis(occidentalis)) 측백나무과 Curpressaceae의 종자로써 난원형에서 긴 타원형 또는 긴 원주형이고 길이는 3∼5mm, 지름은 2∼3mm이다. 바깥 면은 엷은 황색 내지 황백색이고, 오래된 것은 점차 변하여 황갈색이 되며 많은 유지(fatty oil)가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자의 바깥 면은 흔히 얇은 막질의 내종피로 싸여있고, 끝은 대개 뾰족하며 원삼능형으로 진한 갈색의 점이 있으며 아래쪽은 둔한 원형으로 색이 엷다. 백자인의 횡단면을 현미경으로 살펴보면 백색 내지 황백색이고 배유가 많으며 풍부한 지방질이 함유되어 있다(대한약전외 한약 규격집). 백자인은 양심안신(養心安身), 윤장통편(潤腸通便)의 효능이 있으며(동양학개론), 동의보감의 모발편 삼성고(三聖膏) 처방에는 부자, 만형자 및 백자인으로 구성되어 있어 콧수염이나 머리털이 빠 진 것을 다시 나오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백자인은 육모 활성을 높게 하는 5α-리덕타아제(5α-reductase) 저해활성도 있어 탈모증상에 유용한 물질로써 사용될 수 있다(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 (2003) 31, 91-98).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백자인 추출물은 측백나무의 종자에서 추출한 추출물로서, 다음의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백자인을 2배 용량의 95% 에탄올로 추출하여 여과, 농축한 후 5배 용량의 물과 5배 용량의 에틸아세테이트를 넣어 진탕하여 층을 분리한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의 수분을 황산마그네슘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여과, 농축하여 백자인 추출물을 얻는다.
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는 마디풀과(Polygonaceae)에 속하는 덩굴성 다년초로서 뿌리에 함유된 성분으로는 옥시메틸안트라키논 유도체들인 크리소파놀파놀(Chrysophanol), 에모딘(Emodin), 레시틴(lecithin) 등이 있다. 일부 고서의 기록에서 적자와 백자가 있다고 하여 적하수오 및 백하수오라고 부르며, 정확한 명칭은 하수오와 백수오이지만 민간에서는 이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하수오는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두피와 모발의 노화방지제로서 효과적이며 항산화 작용과 수렴 작용 등을 통한 피부와 두피 노화 예방에 효과를 보인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하수오 추출물은 하수오 뿌리로부터 얻은 추출물로서, 다음의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하수오 뿌리를 50% 에탄올에 가온 추출하여 여과 후, 활성탄을 처리하여 추출물의 색상과 냄새를 제거하고 필터페이퍼(filter paper)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하수오 추출물을 얻는다.
녹차(Green tea / Thea sinensis Linnaeus)는 차나무과(Theaceae)에 속하는 상록 교목 또는 관목이다. 녹차는 물 다음으로 널리 소비되는 음료로 그 효능 효과에 대해서는 오래 전부터 연구되어 왔다. 그 잎으로부터 녹차, 홍차, 우롱차 등이 생산된다. 상기 녹차는 차잎, 줄기 또는 꽃을 증기시킴으로써 산화 관련 효소들을 불활성 시키고, 폴리페놀 성분을 안정하게 유지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녹차에서 발견되는 폴리페놀 성분은 플라보놀과 카테킨 성분으로 알려져 있으며, 항산화, 항암, 항염증, 항균 등의 다양한 효능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화장품 원료로서도 많이 이용이 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녹차 추출물은 녹차 잎, 줄기 또는 꽃으로부터 얻은 추출물로서 다음의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녹차를 30% 에탄올에 25℃에서 4일 동안 담가 둔 후, 필터페이퍼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녹차 추출물을 얻는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발 및 두피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상기 작약 추출물, 백자인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을 함유하여 두피의 가려움, 따가움 등의 자극 감소 및 두피 염증 완화 등과 같이 두피 자극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두피 자극은 염색 및 퍼머 등의 화학적 시술시 나타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모발의 생장을 촉진하고 탈모를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작약 추출물, 백자인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의 각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01∼10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효능·효과가 미 약하고, 1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 안정화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모발 및 두피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제형화 하는데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나, 헤어토닉, 모발 영양화장수,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트리트먼트, 헤어린스, 헤어샴푸, 헤어로션 등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종류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합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작약 추출물, 백자인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을 나노리포좀 내부에 함유시켜 안정화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상기 추출물은 성분이 안정화되어 제형화시 침전형성, 변색, 변취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용해도 및 경피흡수율을 높일 수 있어 상기 추출물로부터 기대되는 효능을 최대로 발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나노리포좀은 통상적인 리포좀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평균 입자 지름이 10-500nm인 리포좀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나노리포좀의 평균 입자 지름은 50-300nm이다. 나노리포좀의 평균 입자 지름이 300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적 효과 중 피부침투의 개선 및 제형 안정성의 개선이 매우 미약하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추출물을 안정화하는데 사용되는 나노리포좀은 폴리올, 유성성분, 계면활성제, 인지질, 지방산 및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에 이용되는 폴리올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메틸프로판디올, 이소프로필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솔비톨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그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10~8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70 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이용되는 유성(oil) 성분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오일이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헥사데칸 및 파라핀 오일과 같은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에스테르계의 합성오일, 디메치콘 및 사이크로메치콘계와 같은 실리콘 오일, 해바라기유, 옥수수유, 대두유, 아보카도유, 참깨유 및 어유와 같은 동식물성 오일, 에톡시레이티드 알킬에테르계오일, 프로폭시레이티드 알킬에테르계오일, 피토스핑고신, 스핑고신 및 스핑가닌과 같은 스핑고노이드 지질, 세레브로사이드 콜레스테롤, 시토스테롤 콜레스테릴설페이트, 시토스테릴설페이트, C10-40 지방알콜 및 이의 혼합물이다. 그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1.0~30.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3.0~20.0 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이용되는 계면활성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는 알킬아실글루타메이트, 알킬포스페이트, 알킬락틸레이트, 디알킬포스페이트 및 트리알킬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는 알콕시레이티드 알킬에테르, 알콕시레이티드 알킬에스테르,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폴리글리세릴에스테르 및 슈가에스테르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속하는 폴리솔베이트류이다. 그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1~1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0.5~5.0 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이용되는 또 다른 성분인 인지질은 양쪽친화성 지질이 이용되며, 천연 인지질 (예를 들어, 난황 레시틴 또는 대두 레시틴, 스핑고마이엘린) 및 합성 인지질 (예를 들어,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또는 수첨 레시틴)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레시틴이다. 특히, 대두 또는 난황에서 추출한 천연 유래의 불포화 레시틴 또는 포화 레시틴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천연 유래의 레시틴은 포스파티딜콜린의 양이 23~95%, 그리고 포스파디딜에탄올아민의 양이 20% 이하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있어서, 레시틴의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5~20.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2.0~8.0 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 제조에 이용되는 지방산은 고급 지방산으로서, 바람직하게는 C12-22 알킬 체인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으로서, 예컨대, 라우린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올레산 및 리놀레산을 포함한다. 그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05~3.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0.1~1.0 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이용되는 물은 일반적으로 탈이온화된 증류 수이며, 그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5.0~40 중량%이다.
나노리포좀의 제조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고압 호모게나이저에 적용하여 제조된다. 고압 호모게나이저에 의한 나노리포좀의 제조는 소망하는 입자 크기에 따라 다양한 조건(예: 압력, 횟수 등)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00~1200 bar의 압력 하에서 1~5회 고압 호모게나아저를 통과하도록 하여 나노리포좀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작약 추출물, 백자인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을 나노리포좀 충 중량 기준으로 0.1~2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1.0~10.0 중량%으로 함유하여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한 것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작약 추출물, 백자인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을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한 것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두피의 가려움, 따가움 등의 자극 감소 및 두피 염증 완화 등과 같이 두피 자극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두피 자극은 염색 및 퍼머 등의 화학적 시술시 나타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모발의 생장을 촉진하고 탈모를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작약 추출물의 제조
작약뿌리 100g을 초임계 추출조에 넣고 이산화탄소 및 부틸렌글리콜 100g을 넣어 40℃, 300기압에서 초임계 추출한 다음, 압력을 낮추어 이산화탄소를 제거하여 작약 추출물을 얻었다. 여기에 부틸렌글리콜 45g 및 물 225g을 넣어 섞어 초임계 작약 추출물 300g을 얻었다.
[제조예 2] 백자인 추출물의 제조
백자인 1.5kg을 추출기에 넣고 95% 에탄올 3kg을 첨가하였다. 리플럭스(reflux) 온도에서 6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였다. 상온 냉각 후 필터 페이퍼(filter paper)로 감압 여과하였다.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에탄올을 제거하고, 농축액 양의 5배씩의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농축액에 첨가하였다. 그리고 나서 교반 후 층분리를 시켜 물층은 폐기하고 에틸아세테이트층을 농축 감압하여 약 120g의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3] 하수오 추출물의 제조
초순수 정제수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등을 제거한 후 250메쉬를 이용하여 초순수 정제수로 이물질 제거를 하였다. 50℃에서 24시간동안 하수오 뿌리를 건조시킨 후, 건조된 하수오 뿌리 50kg을 50% 에탄올(EtOH) 250kg에 혼합하여 60℃에서 3시간 내지 5시간 가온하여 추출하였다. 250 메쉬와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0.5㎛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였다. 활성탄을 처리하여 추출물의 색상 및 냄새를 제거하였다. 3차에 걸쳐 3㎛, 1㎛, 0.5㎛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후, 부틸렌글리콜 용매를 첨가하여 하수오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4] 녹차 추출물의 제조
초순수 정제수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등을 제거한 후 250메쉬를 이용하여 초순수 정제수로 이물질 제거를 하였다. 30% 에탄올에 담가 25℃에서 4일 동안 두어 추출하였다. 250 메쉬와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0.5㎛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였다. 3차에 걸쳐 3㎛, 1㎛, 0.5㎛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후, 부틸렌글리콜 용매를 첨가하여 녹차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1~3 및 실시예 1~4]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비교예 1~3 및 실시예 1~4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비교예 4 |
실시예 1 |
실시예 2 |
작약 추출물 |
1.0 |
- |
- |
- |
1.0 |
1.0 |
백자인 추출물 |
- |
0.5 |
- |
- |
0.5 |
- |
하수오 추출물 |
- |
- |
1.0 |
- |
- |
1.0 |
녹차 추출물 |
- |
- |
- |
0.5 |
- |
- |
에탄올 |
50 |
50 |
50 |
50 |
50 |
50 |
정제수 |
잔액 (to 100) |
잔액 (to 100) |
잔액 (to 100) |
잔액 (to 100) |
잔액 (to 100) |
잔액 (to 100) |
성분 (중량%)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실시예 6 |
실시예 7 |
작약 추출물 |
- |
1.0 |
- |
- |
1.0 |
백자인 추출물 |
0.5 |
0.5 |
- |
0.5 |
- |
하수오 추출물 |
1.0 |
1.0 |
1.0 |
- |
- |
녹차 추출물 |
- |
- |
0.5 |
0.5 |
0.5 |
에탄올 |
50 |
50 |
50 |
50 |
50 |
정제수 |
잔액 (to 100) |
잔액 (to 100) |
잔액 (to 100) |
잔액 (to 100) |
잔액 (to 100) |
[시험예 1] 자극완화 효능시험
염모제의 자극에 의한 자극완화 트리트먼트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쥐(mouse)를 이용한 MEST법을 응용하였으며,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6주령의 BALB/c mouse를 구입하여 10일간의 검역 및 적응 기간을 갖고 시험계를 구성하였다. 시험군은 하기와 같이 구성하였다.
쥐의 복부 부위에 털을 제거하고, 2.5% 파라페닐렌디아민(Paraphenylenediamine;PPD)을 3~5일간 적용하였다. 1주일간 휴지기를 두고 난 후 염모제를 쥐의 귀에 도포하고 30분 후에 닦아내었다. 다시 1주일의 휴지기를 가진 다음, 상기 실시예 1~7 및 비교예 1~4의 조성물을 1시간 간격으로 2회 적용하였다. 다시 염모제를 도포하고 24시간 후에 상기 실시예 1~7 및 비교예 1~4의 조성물을 2회 적용하였다. 24시간 후 귀의 무게를 측정하고, H&E 염색법에 의해 병리 조직한 귀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상기 염모제의 처방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측정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
성분 |
함량(중량 %) |
1제 성분 |
정제수 |
To 100 |
소듐설파이트 |
0.5 |
아스보킥애씨드 |
0.5 |
폴리옥시에틸렌우릴에텔 |
4.0 |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텔 |
4.0 |
세토스테아릴알코올 |
8.0 |
p-페닐렌디아민 |
0.5 |
레조시놀 |
0.5 |
모노에탄올아민 |
적량 |
암모니아 |
적량 |
2제 성분 |
정제수 |
0.1 |
과산화수소(30%) |
17.0 |
인산 |
0.1 |
처리군 |
귀 무게(mg) |
귀 두께(㎛) |
비교예 1 |
14.90 ± 0.240 |
453.16 ± 11.698 |
비교예 2 |
15.11 ± 0.411 |
461.65 ± 19.723 |
비교예 3 |
16.04 ± 0.999 |
470.25 ± 24.850 |
비교예 4 |
15.54 ± 0.873 |
466.32 ± 15.782 |
실시예 1 |
8.74 ± 1.106 |
250.14 ± 26.981 |
실시예 2 |
9.81 ± 0.904 |
262.14 ± 23.441 |
실시예 3 |
9.74 ± 0.479 |
256.56 ± 20.112 |
실시예 4 |
8.52 ± 0.370 |
248.77 ± 24.685 |
실시예 5 |
9.68 ± 0.556 |
257.43 ± 23.843 |
실시예 6 |
9.35 ± 0.829 |
253.36 ± 26.265 |
실시예 7 |
9.51 ± 0.423 |
250.89 ± 22.154 |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7의 조성물로 전처리한 경우 귀 무게와 귀 두께가 유의성 있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모발 및 두피상태 개선용 조성물이 염모제에 의한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예 2] 생체내(in vivo) 가려움 억제 시험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가려움 억제 효과를 테스트하였다. 상기 실시예 1~7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피부 적용을 쉽게 하기 위해서 무모생쥐를 사용하였다. 무모생쥐는 모두 7주령의 수컷을 이용하였고, 음성대조군과 비교를 위하여 모든 군은 각각 8마리의 무모생쥐를 사용하였다.
외용제의 처리는 상기 실시예 1~7 및 비교예 1~4의 조성물을 150㎕씩 취하여 무모생쥐의 등 부위에 넓게 펴 바르는 방식으로 처리하였다. 오전과 오후로 나누어 1일 2회 1일간 처리하였고, 2일째 오전 가려움 유발 물질 주사 30분 전에 마지막으로 처리하였다.
가려움 시험은 가려움 유발 물질을 주사하기 30분 전에 관찰용 투명 우리에 무모생쥐를 넣어 30분간 적응하는 시간을 주었다. 적응 시간이 끝나면 생리식염수에 1㎎/㎖ 농도로 가려움 유발 물질인 컴파운드 48/80(compound 48/80)을 녹인 다음, 적응이 끝난 시험용 무모생쥐의 등 부위 피부에 피내주사(intradermal injection)를 하였다. 주사가 끝나면 곧바로 다시 관찰용 우리에 무모생쥐를 넣은 후 30분간 비디오 촬영하여, 뒷다리로 가려움 유발 물질을 주사한 부위를 긁는 횟수를 측정하여 숫자로 표시하였다. 앞발로 긁거나 입으로 물어뜯는 행동은 제외하고 오직 뒷발로 주사부위를 긁는 행동만을 가려움 행동의 지표로 간주하여 측정하였고 측정결과를 하기 도 1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처리군 |
가려움 유발물질 |
30분간 긁은 평균 횟수 |
음성 대조군 |
생리식염수 |
15.2 ± 35.2 |
비교예 1 |
C48/80 |
140.5 ± 23.8 |
비교예 2 |
C48/80 |
145.0 ± 20.9 |
비교예 3 |
C48/80 |
143.2 ± 22.4 |
비교예 4 |
C48/80 |
144.6 ± 25.8 |
실시예 1 |
C48/80 |
123.2 ± 26.9 |
실시예 2 |
C48/80 |
118.4 ± 33.4 |
실시예 3 |
C48/80 |
119.6 ± 27.8 |
실시예 4 |
C48/80 |
98.7 ± 24.6 |
실시예 5 |
C48/80 |
120.8 ± 24.9 |
실시예 6 |
C48/80 |
121.3 ± 26.5 |
실시예 7 |
C48/80 |
119.2 ± 23.7 |
도 1 및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7의 조성물로 전처리한 처리군은 가려움을 억제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작약 추출물, 백자인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을 모두 함유한 실시예 4의 효과가 실시예 1~3 및 실시예 5~7에 비하여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탈모 방지 효과 시험
초기 탈모 현상이 있는 피검자 30명을 대상으로 탈모 방지 효과에 관한 실험을 12주 동안 진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7 및 비교예 1~4의 조성물을 1일 1회씩 12주 동안 사용한 후, 12주가 경과한 다음 머리를 감을 때 다시 탈락모를 수집하여 개수를 세어 그 결과를 하기 도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7의 조성물로 처리할 경우 탈락모의 개수가 유의차 있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모발 생장 효과 시험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모발 생장 효과를 테스트하였다.
생후 7주된 마우스(C57BL/6)의 등 부위 털을 제거하고, 등 부위 피부가 깨끗한 것을 골라 물질군마다 7마리씩을 선정하여 매일 상기 실시예 1~7 및 비교예 1~4의 조성물을 각각의 마우스 그룹 개체 당 150㎕씩 21일간 도포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는 작약 추출물을 0.5중량%가 되도록 하여 물/에탄올/1,3-부틸렌글리콜(5/3/2)로 구성된 용매에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23일 후에 마우스 모발 생장 정도의 사진을 찍고(도 3), 새롭게 자라 올라온 털의 무게를 측정하여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처리군 |
모발무게(mg) |
음성대조군 |
25 ± 18 |
비교예 1 |
59 ± 12 |
비교예 2 |
62 ± 10 |
비교예 3 |
54 ± 7 |
비교예 4 |
60 ± 13 |
실시예 1 |
80 ± 8 |
실시예 2 |
73 ± 12 |
실시예 3 |
75 ± 11 |
실시예 4 |
93 ± 14 |
실시예 5 |
78 ± 12 |
실시예 6 |
76 ± 15 |
실시예 7 |
79 ± 13 |
표 5및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효성분인 작약 추출물, 백자인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한 경우 일반 용액(물/에탄올/1,3-부틸렌글리콜)을 바른 군보다 높은 모발무게 평균값을 나타내었고, 특히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1~4의 경우보다 작약 추출물, 백자인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및 녹차추출물을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한 실시예 1~7의 경우 휴지기 모발주기의 마우스에 작용하여 성장기 모발주기로의 이행을 촉진하여 더 뛰어난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상기한 시험예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여러 제형예를 조성하여 제시한다. 그러나, 이들 제형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형이 이들 제형예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제형예 1] 헤어 토닉
성분 |
중량비(%) |
에탄올 |
50 |
멘톨 |
0.02 |
글리세린 |
3 |
살리실산 |
0.05 |
작약 추출물 |
1.0 |
백자인 추출물 |
0.5 |
하수오 추출물 |
1.0 |
녹차 추출물 |
0.5 |
향료 및 색소 |
적당량 |
정제수 |
잔액 (to 100) |
[제형예 2] 헤어 로션
성분 |
중량비(%) |
세토스테아릴알코올 |
2.0 |
EDTA 2Na |
0.2 |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
0.5 |
미네랄오일 |
5.0 |
작약 추출물 |
1.0 |
백자인 추출물 |
0.5 |
하수오 추출물 |
1.0 |
녹차 추출물 |
0.5 |
방부제 |
적당량 |
향료 및 색소 |
적당량 |
정제수 |
잔액 (to 100) |
[제형예 3] 모발 영양화장수
성분 |
중량비(%) |
밀납 |
4.0 |
폴리솔베이트 60 |
1.5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
0.7 |
미네랄 오일 |
10.0 |
글리세린 |
3.0 |
부틸렌글리콜 |
3.0 |
프로필렌글리콜 |
3.0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1 |
트리에탄올아민 |
0.2 |
작약 추출물 |
1.0 |
백자인 추출물 |
0.5 |
하수오 추출물 |
1.0 |
녹차 추출물 |
0.5 |
방부제 |
적당량 |
향료 및 색소 |
적당량 |
정제수 |
잔액 (to 100) |
[제형예 4] 헤어샴푸
성분 |
중량% |
정제수 |
잔액 (To 100) |
작약 추출물 |
1.0 |
백자인 추출물 |
0.5 |
하수오 추출물 |
1.0 |
녹차 추출물 |
0.5 |
소디윰라우릴설파이트 |
36.0 |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
8.0 |
팔미티딘말레이트 |
2.0 |
글라이콜스테아레이트 |
1.5 |
폴리쿼터니윰 10 |
0.5 |
사이트릭애씨드 |
0.1 |
글리세린 |
2.0 |
방부제, 색소 및 향료 |
적량 |
[제형예 5] 헤어린스 및 트리트먼트
성분 |
중량% |
정제수 |
잔액 (To 100) |
작약 추출물 |
1.0 |
백자인 추출물 |
0.5 |
하수오 추출물 |
1.0 |
녹차 추출물 |
0.5 |
프로필렌글라이콜 |
2.0 |
세틸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
1.0 |
세틸알코올 |
3.0 |
스테아릴알코올 |
3.0 |
미네랄오일 |
0.5 |
사이트릭애씨드 |
0.2 |
폴리디메칠실록산 |
1.0 |
방부제, 색소 및 향료 |
적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