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4284B1 - 하수오, 마카, 겨우살이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토닉조성물 - Google Patents

하수오, 마카, 겨우살이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토닉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4284B1
KR100984284B1 KR1020080024472A KR20080024472A KR100984284B1 KR 100984284 B1 KR100984284 B1 KR 100984284B1 KR 1020080024472 A KR1020080024472 A KR 1020080024472A KR 20080024472 A KR20080024472 A KR 20080024472A KR 100984284 B1 KR100984284 B1 KR 100984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mistletoe
maca
sewage
mixed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2195A (ko
Inventor
채희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띠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띠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띠인터내셔널
Publication of KR20090092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오, 마카, 겨우살이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토닉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마카(maca), 겨우살이(mistletoe) 및 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토닉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친환경적인 소재를 이용하여, 두피에 무리를 주지않으면서 두피를 건강하게 유지시키고, 발모촉진 효과가 뛰어남과 동시에 부수적으로 희어진 머리를 다시 검게 하고, 탈모와 백발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수오, 마카, 헤어토닉, 두피

Description

하수오, 마카, 겨우살이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토닉 조성물{A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containing maca and mistletoe and Polygonum multiflorum}
본 발명은 하수오, 마카, 겨우살이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토닉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카(maca), 겨우살이(mistletoe) 및 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토닉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수오, 마카, 겨우살이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토닉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용을 중시하는 현대사회에서는 개성표현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많은 사람들이 염모제, 퍼머제 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민감성 두피의 경우는 이러한 염색, 퍼머 등의 화학적 시술로 인해 두피의 가려움이나 따가움과 같은 자극현상과 염증이 유발되기도 한다.
이러한 자극현상과 염증은 환경적 탈모로 이어지고 있고, 이로 인해 심각한 정신적 고통을 겪고 있는 남성 또는 여성들의 탈모를 방지하고 모발 생장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다양한 염모제, 퍼머제 등의 사용으로 인한 두피 자극 및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능과 더불어 탈모를 방지하고 모발 생장을 촉진하는 효능이 있는 조성물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종래에는 모세혈관을 확장하는 혈행촉진제, 국소자극에 의한 혈액순환 촉진, 모포기능 부활제, 항남 성호르몬제, 항지루제, 각질용해제, 살균소염제 그리고 모포의 영양공급과 효소활성의 부활을 위해 아미노산류 및 비타민류등 복수의 성분을 조합한 조성물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성물은 육모 효과가 우수하지 못하고 안정성에 대한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헤어토닉을 포함한 헤어 제품에 적용하기 쉬운 자연 추출물을 개발하여 두피를 건강하게 하고, 모발의 성장을 도와주며, 세월이 지남에 따라 검은머리가 흰 머리로 되는데 이를 다시 검은 머리가 되도록 하는 하수오, 마카, 겨우살이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토닉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마카(maca), 겨우살이(mistletoe) 및 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혼합추출물은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 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 ~ 15℃ 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 번 여과지로 여과하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 농축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용매는 증류수,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핵산, 프로판올, 함수 부틸렌글리콜, 함수 프로필렌글리콜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혼합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 5 %(w/v)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헤어토닉 조성물은 헤어 샴푸, 헤어 린스, 헤어 트리트먼트, 헤 어 앰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사용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하수오, 마카, 겨우살이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토닉 조성물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소재를 이용하여, 두피에 무리를 주지않으면서 두피를 건강하게 유지시키고, 발모촉진 효과가 뛰어남과 동시에 부수적으로 희어진 머리를 다시 검게 하고, 탈모와 백발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두피와 모발에 좋은 성분을 찾기 위하여 근본적 물질을 찾고자 자연의 여러 가지 천연물들 중에서 유효한 물질을 검색하였다.
상기 검색결과, 50 여종의 천연물 중 가장 효과가 우수한 마카(MACA), 겨우살이, 하수오를 선정하여 혼합추출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선정된 마카, 겨우살이, 하수오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마카(MACA)는 남미의 인삼, 안데스 약용 식물의 여왕으로 일컬어진다.
상기 마카는 고원지대에서 자생하는 식물들 가운데 가장 추위에 강하며 혹독한 기후를 이기며 산다. 잎은 부채꼴 모양으로 지면 가까이로 내려오는 형상을 하며 자가 수정을 통해 꽃을 피우고 씨앗을 맺는다.
상기 마카의 뿌리는 감자와 같이 구근식물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보통 연한베이지색, 연노란색, 또는 보라색을 띤다.
상기 마카의 알려진 효능으로 남성 성기능 향상, 여성 성호르몬 조절, 면역 체계 유지, 빈혈, 만성 피로증후군, 무기력증, 폐경기증후군, 생리통을 치료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마카의 주요성분으로 베타-시토스테롤, 사포닌, 스티그마스테롤, 타닌, 알카로이드, 베타-엑디손, 탄수화물, 아미노산, 칼슘, 철, 마그네슘, 인, 비타민 B1, B2, B12, C, E, 아연 등이 함유되어 있다.
한편, 겨우살이(mistletoe)는 겨우살이속(―屬Viscum)·포라덴드론속(Phoradendron)·아르큐토비움속(Arceuthobium) 식물들을 가리킨다.
상기 겨우살이는 기생생활을 하나 엽록소가 있어 초록색을 띤다.
그리고 상기 겨우살이는 빽빽하게 달리는 두꺼운 가지는 쇠스랑처럼 갈라지며, 가죽질로 된 잎은 길이가 5㎝ 정도이고 난형 또는 창 모양이 짝을 이루어 가지에 서로 마주 보며 달린다. 꽃은 수상(穗狀)꽃차례로 촘촘하게 피고 양성화(兩性花) 또는 단성화(單性花)이며 방사상칭이다.
그리고 하수오(Pleuropterus multiflorus)는 마디풀과(―科 Polygon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로 중국에서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랫동안 재배되고 있는 덩굴성 약용식물이다.
상기 하수오의 키는 3~4m에 이르며 뿌리는 옆으로 길게 뻗어 종종 덩이뿌리를 형성한다. 심장형의 잎은 길이가 약 3~6㎝, 너비가 2.5~4.5㎝ 정도로 어긋나며, 잎자루와 턱잎[托葉]이 있지만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꽃은 8~9월에 원추(圓錐)꽃차례를 이루며 핀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은 5장이다. 열매는 길이가 2.5㎜ 정도로 세모진 난형이고 윤기가 난다. 한국에는 지리산에 나도하수오(P. cilinervis)가 있는데 잎이 크고 열매가 날개 없이 세모진 난형으로 꽃덮이[花被]에 싸여 있어 하수오와 다르다. 덩이뿌리는 강장제·강정제·통경제·양혈제·진해제로 쓰고 감기, 토혈, 신경쇠약, 관절염 치료에 쓰인다.
본 발명의 마카, 겨우살이, 하수오의 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적으로 마카, 겨우살이, 하수오를 완전 건조한 후 일정 건조 중량비에 대하여 추출용매로서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핵산, 부틸렌글리콜 ,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한가지 이상의 용매를 10 ∼ 20 배 부피량을 가한다.
추출방법으로는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50 ∼ 95℃, 4 ∼ 20 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5 ∼ 37℃ 에서 1 ∼ 15 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상기 마카, 겨우살이, 하수오의 혼합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증발되어 나오는 용매를 회수하면서 완전히 감압 농축한 후 그 건조중량으로서  0.01 ∼ 10%, 바람직하게는 0.1 ∼ 5%의 양으로 헤어토너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나, 본 발명의 내용이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완전 건조시킨 마카, 겨우살이, 하수오의 혼합 원료 1kg 을 물 10kg 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 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 ~ 15℃ 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 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식물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 농축하여 60g (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2
완전 건조시킨 마카, 겨우살이, 하수오의 혼합 원료 1kg 을 함수 에탄올 10kg 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 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 ~ 15℃ 에서 7 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 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 농축하여 60g (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3.
완전 건조시킨 마카, 겨우살이, 하수오의 혼합 원료 1kg 을 메탄올 10kg 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 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 ~ 15℃ 에서 7 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 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 농축하여 61g (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4.
완전 건조시킨 마카, 겨우살이, 하수오의 혼합 원료 1kg 을 부탄올 10kg 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 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 ~ 15℃ 에서 7 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 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 농축하여 54g (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5.
완전 건조시킨 마카, 겨우살이, 하수오의 혼합 원료 1kg 을 에틸아세테이트 10kg 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 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 ~ 15℃ 에서 7 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 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 농축하여 58g (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6.
완전 건조시킨 마카, 겨우살이, 하수오의 혼합 원료 1kg 을 핵산 10kg 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 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 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 ~ 15℃ 에서 7 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 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 농축하여 59g (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7.
완전 건조시킨 마카, 겨우살이, 하수오의 혼합 원료 1kg 을 함수 부틸렌글리콜 10kg 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 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 ~ 15℃ 에서 7 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 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 농축하여 60g (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8.
완전 건조시킨 마카, 겨우살이, 하수오의 혼합 원료 1kg 을 함수 프로필렌글리콜 10kg 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 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 ~ 15℃ 에서 7 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 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식물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 농축하여 59g (건조중량)을 얻었다.
5알파 - 리덕타아제 활성 억제력 평가시험
남성호르몬 중의 하나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은 5 알파-리덕타아제(5 α-reductase)라는 효소에 의해 활성형 남성호르몬인 디하이드로테스트스테론 (dihydrotestosterone)으로 전환되고, 이렇게 활성화된 호르몬이 일정한 수용체와 결합하여 탈모를 일으키는 단백질을 유도하게 되어 탈모를 진행시키게 된다.
추출물(10 ppm ) 억제율(%)
마카 78.3
겨우살이 55.7
하수오 65.6
마카 +하수 62.7
실시예 8 98.4
마카 + 겨우살이 70.1
겨우살이 + 하수오 68.5
실시예 7 82.1
성 분 명 처방 예 1 처방 예 2
l- 멘톨 0.10 0.10
살리실산 0.20 0.20
초산토코페롤 0.03 0.03
메카, 겨우살이, 하수오 혼합추출물( 실시예 8) - 20.00
벤조페논 -4 0.03 0.03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n=60) 1.0 1.0
향료 0.03 0.03
에탄올 20.0 20.0
정제수 잔량 잔량
[표 2]는 처방예를 설명하고 있다.
상기 처방예에 따라 제조한 처방예 2의 헤어토닉 조성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즉, 평소 탈모가 진행되거나 머리가 흰 남성과 여성을 혼합하여 10명으로 하여금 아침 저녁으로 샴푸를 한 모발에 본 발명에 따른 헤어토닉 조성물을 바르고 손가락 끝으로 두피를 맛사지를 10분 정도 하게 하였다.
[표 3]은 상기 처방예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고 있다.
번 호 성 별 나 이 1개월 2개월 3개월 6개월
1 남/여 45 ± ± + ++
2 38 - - ± +
3 39 ± + + +
4 46 ± + + ++
5 43 ± + ++ ++
6 50 ± + + ++
7 48 - - ± +
8 47 - ± + ++
9 39 - - - ±
10 43 ± ± + ++
++ : 우수한 효과가 있다, + : 효과가 있다, ± : 조금 효과가 있다, - : 효과가 없다.
한편,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헤어토닉을 사람의 머리에 시술하여 모발성장과정을 관찰한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표 3] 및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이 발모촉진 및 탈모와 백발에 뛰어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헤어토닉을 사람의 머리에 시술하여 모발성장과정을 관찰한 사진.

Claims (5)

  1. 마카(maca), 겨우살이(mistletoe) 및 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혼합추출물은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 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 ~ 15℃ 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 번 여과지로 여과하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 농축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오, 마카, 겨우살이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토닉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증류수,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핵산, 프로판올, 함수 부틸렌글리콜, 함수 프로필렌글리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오, 마카, 겨우살이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토닉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 %(w/v)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오, 마카, 겨우살이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토닉 조성물.
  5. 제 1항,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토닉 조성물은 헤어 샴푸, 헤어 린스,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앰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오, 마카, 겨우살이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토닉 조성물.
KR1020080024472A 2008-02-26 2008-03-17 하수오, 마카, 겨우살이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토닉조성물 KR1009842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061 2008-02-26
KR20080017061 2008-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195A KR20090092195A (ko) 2009-08-31
KR100984284B1 true KR100984284B1 (ko) 2010-09-30

Family

ID=41209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472A KR100984284B1 (ko) 2008-02-26 2008-03-17 하수오, 마카, 겨우살이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토닉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42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858B1 (ko) * 2020-02-28 2021-06-04 (주)나우코스 하수오, 마카, 겨우살이 복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샴푸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9319A (ja) * 1985-10-25 1987-05-08 Nonogawa Shoji:Kk 養毛剤
JP2001354526A (ja) * 2000-06-13 2001-12-25 Nobuhiko Nakazawa 毛髪発生又は育毛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9319A (ja) * 1985-10-25 1987-05-08 Nonogawa Shoji:Kk 養毛剤
JP2001354526A (ja) * 2000-06-13 2001-12-25 Nobuhiko Nakazawa 毛髪発生又は育毛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 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15(2), 80~103 (2002.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195A (ko) 2009-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4059B1 (ko) 한방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39588B1 (ko)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5137457B2 (ja) 幹細胞増殖因子発現上昇抑制剤
KR101412500B1 (ko) 대나무 통 한방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32873B1 (ko)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0032A (ko)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5249A (ko) 징크피리치온 및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및 두피 상태개선용 조성물
KR20090056296A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모근 강화 및 두피 상태 개선용조성물
KR101984166B1 (ko) 담죽엽, 율초 및 구맥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84284B1 (ko) 하수오, 마카, 겨우살이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토닉조성물
KR100529014B1 (ko)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를 억제하는 모공수축 화장료조성물
KR101757457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92414B1 (ko) 무화과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37293B1 (ko) 포제 처리된 감국 또는 진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JP2011001328A (ja) 塩基性線維芽細胞増殖因子mRNA発現上昇抑制剤
KR101558185B1 (ko) 대나무수액을 함유한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581285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48512B1 (ko) 사포닌 추출물을 천연계면활성제로 사용하는 모발 및 두피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4878B1 (ko) 능소화 꽃, 매화 꽃, 붉가시나무의 가지 또는 잎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피부진정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0708B1 (ko) 탈모 예방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2289943B1 (ko)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73421B1 (ko) 탈모방지, 발모촉진 또는 육모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0215535A (ja) メラニン産生抑制剤
JP2023164112A (ja) 過酸化水素ダメージ抑制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