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9014B1 -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를 억제하는 모공수축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를 억제하는 모공수축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9014B1
KR100529014B1 KR10-2003-0034474A KR20030034474A KR100529014B1 KR 100529014 B1 KR100529014 B1 KR 100529014B1 KR 20030034474 A KR20030034474 A KR 20030034474A KR 100529014 B1 KR100529014 B1 KR 100529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age
rosemary
pore
lave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4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7963A (ko
Inventor
구본열
김동진
채희남
조민구
이종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버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버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버코스
Priority to KR10-2003-0034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9014B1/ko
Publication of KR20030047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0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8Preparations for oil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허브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를 억제하는 모공수축 화장료 조성물은 세이지, 로즈마리, 카모마일 및 라벤더로부터 얻은 혼합추출물을 건조 중량기준으로 0.01∼10 중량%; 및 화장료 90∼99.99 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화장료는 화장수(스킨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팩, 유화형 파운데이션 및 영양에센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Description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를 억제하는 모공수축 화장료 조성물{Pore-Minimizing Cosmetic Composition for Controlling Sebum Containing Herb Extract}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를 억제하는 모공수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세이지, 로즈마리, 카모마일 및 라벤더의 혼합 추출물을 화장료에 첨가시켜 우수한 피지 억제 기능과 모공수축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맑고 깨끗한 피부는 남녀노소를 불문한 누구나의 염원이지만 실상 이런 피부를 갖고 있는 사람은 그리 흔하지 않다. 사람마다 각기 여러 가지 피부고민을 가지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넓은 모공은 얼굴이 지저분해 보이고 화장이 쉽게 지워질 뿐만 아니라, 한번 넓어지면 좀처럼 작아지기 힘들기 때문에 피부 최대의 적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따라 모공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모공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은 여성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화장품이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모공이 넓어지는 이유는 피부노화가 시작되면서 모공벽을 지지하고 있던 콜라겐 섬유와 탄력섬유가 변성, 점차 감소함에 따라 피부탄력이 없어지고 쳐져서 모공이 늘어나 보이거나, 또는 과다한 피지 분지가 주원인이다.
정상적으로 우리 피부에는 피지선이라는 기름샘이 있으며, 여기에서 피지를 만들어 모공을 통하여 배출시킨다. 이 피지는 피부 및 모발 표면에 지방막을 형성하여 외부의 균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는 항균작용을 비롯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거나 피부를 촉촉하게 하는 등 여러 기능을 하는데, 피지선에서 피지분비가 많아지거나 모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장애가 생기게 되면 모공은 확대되게 된다.
피지량을 결정하는 인자들로는 식사, 호르몬, 연령, 성별, 피부의 부위별 차이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호르몬이 가장 크게 작용한다. 호르몬의 피지선에 대한 지배는 복잡하지만 피지선은 하수체, 부신피질, 성선 등에서 생성되는 성호르몬을 포함한 다양한 호르몬에 의해 지배된다.
그 중에서도 특히 남성호르몬(안드로겐)은 피지선의 발달과 피지의 합성, 피지선의 크기, 피지합성을 증가시킨다. 또 피지선은 남성호르몬의 수용체가 핵내에 국소적으로 있고 전립선과 마찬가지로 안드로겐의 표적조직이다. 남성호르몬은 남성의 고환, 여성에게는 부신과 난소에서 유래한다.
남성의 피지량은 10대에 현저하게 상승하고 20∼30대에는 정점에 달해 그 이후에는 서서히 감소하는데 약 80세까지 뚜렷한 저하는 보이지 않는다. 여성은 일찍이 부신성 안드로겐이 증가하기 때문에 남성보다 빨리 피지분비가 증가하고 남성과 같은 경과를 거치지만 남성보다 빨라 50세 정도에 저하한다. 남성호르몬에는 강력한 활성을 가진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과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DHT)), 또 비교적 활성이 약한 부신성 디히드로에비언드로스테론설파이트(DHEA-S)가 있는데, 혈중의 주요 안드로겐은 테스토스테론이다. 테스토스테론은 그 형태 그대로 피지선내의 남성호르몬 수용체와 결합하는 경우와, 5α-reductase에 의한 DHT로 환원한 후 수용체와 결합하여 호르몬작용을 발휘하는 2가지 경우가 있고, DHT와 결합하면 호르몬작용은 강해진다고 한다.
상기와 같이 특히 여성에게 있어서도 부신성 안드로겐이 중요하며, 디히드로에비언드로스테론(DHEA)이나 DHEA-S가, 사춘기 이전뿐만 아니라, 혈중 테스토스테론 등이 높은 수치를 보이는 성성숙기에도 피지분비와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부신유래의 안드로겐이 피지분비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
피지가 과다하게 분비될 경우, 모공 속에 정체된 피지덩어리가 노폐물과 함께 쌓이게 되고, 이런 피지 덩어리들은 세균에 감염되어 염증성 여드름을 유발하거나 뾰루지, 염증, 모공확장 등의 피부질환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피지조절이 피부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모공과 관련한 피부 트러블을 개선 방법으로 국내 공개특허 제97-70601호에서는 수렴제를 이용하여 모공을 수축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수렴제를 이용하여 피부에 일시적인 탄력과 당김을 주는 것으로 모공의 크기증가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평05-294836호에서는 올리고사카라이드를 복용함으로써 피지선에서의 피지 분비량을 감소시켜 피지분비를 억제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피지선에서의 피지 분비량을 감소시키는 것만으로는 모공의 크기 감소에 의한 피부 거칠음을 해소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천연 원료인 세이지, 로즈마리, 카모마일 및 라벤더의 혼합 추출물을 화장료에 첨가시킴으로써, 피지 억제 기능과 모공수축 기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항산화작용과 항염작용이 있으며, 독성이 없고 자연 친화적인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지 억제 기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공수축 기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항산화 작용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항염 작용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천연 추출물을 사용함으로써 독성이 없고 자연 친화적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해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세이지, 로즈마리, 카모마일 및 라벤더로부터 얻은 혼합추출물을 건조 중량기준으로 0.01∼10 중량% 및 화장료 90∼99.99 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화장료는 화장수(스킨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 팩, 유화형 파운데이션 및 영양에센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세이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세이지(sage, 학명: Salvia officinalis)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로 원산지는 남부 유럽이고, 유럽, 미국 등에 분포한다. 높이는 30∼90cm, 화관길이는 1.5∼2cm이며 약용 샐비아라고도 한다. 세이지는 카먼 세이지(Common Sage), 가든 세이지(Garden Sage)라고도 하며, 흔히 샐비아(Salvia)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봄 또는 가을에 파종하고 8월에 잎을 따서 그늘에 말린 것을 샐비아잎(folia salvia)이라 하며 약 2%의 정유(精油)가 함유되어 있다. 주성분은 정유, 탄닌, 고미질, 플라빈 등으로 향기가 있어 소스·카레·돼지고기 요리 등의 향미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세이지는 항균·항염 등 살균 소독작용이 있어 염증의 소염제로도 이용되거나, 중풍이나 심한 운동 뒤의 피로도 씻어주는 작용을 한다. 약용으로는 세이지 잎을 삶아서 인후염 및 위장염에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세이지의 추출물을 화장료에 첨가시킴으로써 과다 분피된 피지에 의해 생성되는 염증을 완화시킨다.
로즈마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로즈마리(rosemarie, 학명: Rosmarinus officinalis)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상록관목이며, 원산지는 남유럽의 지중해 연안이다. 미질향(迷迭香)이라고도 불린다. 로즈마리는 약초로 재배하고 전체에 강한 향기가 있다. 보통 햇빛이 잘 들고 물이 잘 빠지는 땅에서 잘 자란다. 한국에는 1990년대 초에 도입되었는데, 한국의 남해안 지방은 원산지와 기후가 비슷하기 때문에 실내가 아니더라도 겨울을 날 수 있다. 로즈마리는 특징적인 솔향과 달콤하며 약간 쓴 향기가 나며 솔잎과도 비슷한 상큼하면서 강한 향기가 난다. 또한 로즈마리의 올레오진은 항산화 성분 함량이 높아 산화방지 등에 이용되며, 향기가 오래 지속되고, 머리를 맑게 해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민간요법으로 흥분제, 혈액 순환제, 강장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로즈마리 잎에는 약 2.5%의 정유가 함유되어 있는데 주성분은 시네올(cineole) 27∼30%, 보르네올(borneole) 16∼20%, 캄포르(camphor) 10%, 보르닐 아세테이트(bornyl acetate) 2∼7% 등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로즈마리 추출물을 화장료에 첨가시킴으로써 화장료 조성물의 항산화작용을 향상시킨다.
카모마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카모마일(chamomile, 학명: Matricaria recutita)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두해살이풀로 원산지는 유럽이다. 번대 국화라고도 한다. 줄기는 밑 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높이가 30∼60 cm이며 능금 향기가 나고 모가 난 줄이 있다.
주성분은 정유, 청색소(Azulene), 고미질, 플라빈, 쿠마린 등이 있다.
한방에서는 두상화를 모국(母菊)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감기ㆍ기관지천식ㆍ과민성위장염ㆍ풍습으로 인한 전신통에 효과가 있다. 유럽에서는 민간에서 신경통ㆍ치통ㆍ월경곤란에 내복하고, 구강염ㆍ결막염ㆍ화농증에 외용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카모마일 추출물을 화장료에 첨가시킴으로써 습진, 여드름, 피부 거칠음증을 개선시키며, 또한 항염작용을 증대시킨다.
라벤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라벤더(lavender, 학명: Lavandula augustifolia Mill)는 상록 관목으로 자라는 다년초로써 20여종의 변종이 있는 라벤더중 가장 대표적인 품종으로 1.2m 정도로 자라며 가드라란 잎, 얕은 자색의긴 꽃대가 특징이다. 줄기, 꽃, 잎의 식물 전체가 모두 강하고 시원스런 방향을 가지고 있다. 6월 중순에서 8월 초순까지 약 50일 동안 보라색, 자색, 분홍색, 백색등의 꽃이 핀다. 방향유 성분이 잎과 꽃의 표면을 덮고 있어 빛나는 것처럼 모이기 때문에 관상용 허브로 인기가 높다.
주성분으로는 휘발성 오일 0.5∼1.5%, 탄닌 5∼10%, 쿠마린, 플라보노이드, 트리터페노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예로부터 항우울제, 신경 안정제, 살균제, 피부치료제 등으로 널리 쓰였다.
상기 라벤더 추출물에는 탄닌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이러한 탄닌은 세균과 곰팡이 균이 침입했을 때 피부에 유용한 작용을 한다. 그 이유는 탄닌이 미생물로부터 기질을 빼앗고 피부는 더 많은 저항력이 생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염증과 습진 그리고 가려움증과 관련이 있는 피부병은 진정되고 빠르게 소멸시키는 작용을 한다. 탄닌은 또한 과도한 땀의 분비를 억제시키는 기능을 함으로 피부의 과다 생성된 피지에 의한 번들거림과 모공확대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세이지, 로즈마리, 카모마일 및 라벤더 추출 혼합물이 첨가됨으로써, 피지를 억제하고, 피부 염증을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피부의 모공을 축소시켜, 탄력있는 피부로 재생시킨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에 있어서, 세이지, 로즈마리, 카모마일 및 라벤더의 조성은 세이지 0.1∼99.7 중량%, 로즈마리 0.1∼99.7 중량%, 카모마일 0.1∼99.7 중량% 및 라벤더 0.1∼99.7 중량%이다.
상기 혼합 추출물의 제조 방법은 제1차로 세이지, 로즈마리, 카모마일, 라벤더를 완전 건조한 후, 건조 중량비에 대하여 추출용매로서 물, 에탄올, 메탄올,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5∼20 배 부피량을 가하고,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50∼95 ℃, 3∼20 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5∼37 ℃에서 1∼15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한 세이지, 로즈마리, 카모마일, 라벤더의 혼합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증발되어 나오는 용매를 회수하면서 완전히 감압 농축한 후, 건조중량으로 0.01∼10%, 바람직하게는 0.01∼5%로 화장료에 첨가한다.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이 적용될 수 있는 화장료에는 화장수(스킨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팩, 영양에센스 및 유화형 파운데이션 등이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7: 상온 추출
세이지 250 g, 로즈마리 250 g, 카모마일 250 g 및 라벤더 250 g을 표1에 기재된 용매 5 kg에 넣고 추출기로 상온에서 5 일간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0.45 ㎛의 필터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용 매 수득량 [kg]
실시예 1 30% 함수에탄올 4.0
2 정 제 수 4.3
3 95% 에탄올 4.1
4 부틸렌글리콜 3.8
5 30% 함수프로필렌글리콜 4.0
6 30% 함수부틸렌글리콜 4.0
7 30% 함수글리세린 4.0
실시예 8-14: 고온 추출
세이지 250 g, 로즈마리 250 g, 카모마일 250 g 및 라벤더 250 g을 표 2에 기재된 용매 5 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80 ℃, 3시간 가열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0.45 ㎛ 의 필터 여과하여 추출액 3.5 kg을 얻었다.
용 매 수득량 [kg]
실시예 8 30% 함수에탄올 3.5
9 정 제 수 3.8
10 95% 에탄올 3.6
11 부틸렌글리콜 3.5
12 30% 함수프로필렌글리콜 3.9
13 30% 함수부틸렌글리콜 3.9
14 30% 함수글리세린 3.9
모공수축효과 실험(Ⅰ)
상기에서 실시예 1-14에서 제조된 추출 혼합물에 대하여, 피부를 대신할 단백질로 헤모글로빈을 사용하여 모공수축효과를 테스트하였다.
0.9% 살린 포스페이트 버퍼(saline phosphate buffer, 0.1 mM, pH 7.4)로 헤모글로빈 용액(0.05 g/50 mL)을 제조하여 헤모글로빈 용액 2 mL에 시료를 2 mL 가한 후, 30 초 가량 진탕 혼합한 다음 3,5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그 상등액 1 mL에 정제수 2 mL을 가하여 407 nm에서 UV-Visible spectrum으로 측정하였다. 대조표준군으로 시료대신 시료 용매를 2mL 가하였다. 블랭크(blank)는 헤모글로빈 용액 대신 0.9% 살린 포스페이트 버퍼2 mL을 넣었다. 반응액중에 함유시킨 혼합추출액의 최종농도가 1% 및 6%인 경우에서 헤모글로빈의 침전량을 측정하여 수축효과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헤모글로빈의 침전(%)가 높을 수룩 모공수축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이다.
이중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혼합추출물에 대하여 각각의 농도에 따른 수축효과를 별도로 측정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농도(%) 헤모글로빈의 침전(%)
0 0.22
1 17.23
2 39.75
3 60.15
4 75.56
6 98.07
모공수축효과 실험(Ⅱ)
피부를 대신할 단백질로서 알부민을 사용하여 모공수축 기능에 관해 시험하였다. 0.3 % 알부민을 0.05 M 구연산 버퍼(pH 4.5)에 용해한 후, 0.3 % 알부민 2 mL에 각각의 농도 시료 1 mL을 가하였다. 5분 동안 교반후, 650 nm에서 UV-Visible spectrum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표준군으로 시료대신 시료 용매를 1 mL 가하였다. 블랭크는 헤모글로빈 용액대신 0.05 M 구연산 버퍼 2 mL을 넣었다. 측정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흡광도의 값이 높을 수록 모공수축 기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혼합추출물에 대하여 각각의 농도에 따른 흡광도를 별도로 측정하여 표 6에 나타내었다.
농도(%) 흡광도(A.U.)
0 (대조표준) 0.007607
1 0.5754
3 0.8834
5 1.2168
7 1.6826
10 2.0726
피지 억제효과 실험
20세∼55세의 여성층으로서 지성피부의 소유자 20명에게 이마 왼쪽부분에는 세이지, 로즈마리, 카모마일 및 라벤더 혼합 추출물을, 이마 오른쪽부분에는 비교 대조표준군을 아침, 저녁으로 1일 2회 도포하여 사용하게 한 후 1주, 2주, 3주 및 4주 후에 피부 유분 측정기(Sebum meter SM 810)를 이용하여 피부의 피지분비량을 측정하였다. 실험은 20 ℃, 상대습도 20%에서 이루어졌다. 지성피부인 경우 측정값이 220 ㎍/cm2 이상이고 정상 피부인 경우 100∼220 ㎍/cm2이다. 실험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기간(일) 시 료 0일(초기) 7일 14일 21일 28일
혼합 추출물 239 229 221 210 190
Control 239 233 231 229 222
(단위 ; ㎍/cm2)
항산화 효과 실험
유리병에 농도별 혼합 추출물을 20 ㎕ 넣고, 리놀레산 용액(0.5ml의 리놀레산에 tween 60(40% W/V) 0.25 ml 먼저 섞은 후, 정제수 50 ml 가해 약 5분 동안 유화시키고, 1 N KOH 25 ㎕를 사용하여 중화시킨다음, 0.05 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 7.0) 110 ml를 넣어 재분산시켰다. 최종 부피는 160 ml 정도이다.)을 10 ml 넣은 후, 진탕배양기(shaking incubator)에서 180 rpm, 37 ℃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다음에 0.0375 M FeSO4·7H2O를 20 ㎕ 첨가하여 과산화화(peroxidation)시켰다. 첨가 후 진탕배양기에서 180 rpm, 37 ℃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리놀레산 용액 400 ㎕를 E-tube에 넣고 4 ℃에서 10 분간 냉침 후, TBA 시약(TBA 43 mg을 DW 10 ml에 용해하고, 거기에 6 M 인산 용액 2 ml를 가하였다. 사용직전에 혼합하였다)을 200 ㎕ 첨가하여 혼합하고, 15 분 동안 끓는 물에서 발색시켰다. 얼음물에 냉각시키고, n-BuOH 560 ㎕를 넣어 혼합하였다. 20분 동안 3000 rpm에서 원심 분리하고, BuOH(상등액)부분을 UV-Spectrum 53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이중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혼합추출물에 대하여 각각의 농도에 따른 항산화 효과를 별도로 측정하여 표 9에 나타내었다.
농도(%) 항산화 효과(%)
2 13.71
4 33.50
6 48.33
8 68.19
10 81.36
항염 효과 실험
1 mM 리놀레산 1 mL에 세이지, 로즈마리, 카모마일, 라벤더 혼합 추출물 0.05 mL, 0.1 M의 인산나트륨 버퍼에 용해시킨 11,060 units/ mL lipoxygenase 0.95 mL를 넣은 후 잘 혼합하고, 25 ℃의 수욕조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20 %(w/v) 트리클로로아세트산 0.5 mL를 넣어 반응을 종결시키고, 0.6 %(w/v) TBA를 1 mL 넣은 후 끓는 물에서 15 분간 발색시켰다. 그 후 얼음물에 2분간 냉침시키고, n-BuOH 2 mL를 넣고 진탕혼합한 후, 3,500 rpm,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층(n-BuOH층)을 취하여 UV-Visible spectrum 535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항염 효과(%) 를 평가하였다. 대조포준은 혼합 추출물 대신 용매를 사용하였다. 블랭크는 lipoxygenase대신 0.1 M 인산나트륨 버퍼를 사용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혼합추출물에 대하여 각각의 농도에 따른 항염 효과를 별도로 측정하여 표 11에 나타내었다.
농도(%) 항염 효과(%)
0.5 34.96
1.0 51.27
1.5 66.73
2.0 81.77
3.0 88.94
제조예
(1) 유연 화장수(스킨)의 제조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혼합추출물을 이용하여 유연 화장수(스킨)을 제조하였다. 첨가된 각 성분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원 료 중 량 부
세이지, 로즈마리, 카모마일 및 라벤더 혼합 추출물 5.0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2.0
프로필렌 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미량
색소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2) 영양화장수(로션)의 제조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혼합추출물을 이용하여 영양화장수(로션)을 제조하였다. 첨가된 각 성분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원 료 중 량 부
세이지, 로즈마리, 카모마일 및 라벤더 혼합 추출물 10.0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5.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6.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
색소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3) 영양크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혼합추출물을 이용하여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첨가된 각 성분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원 료 중 량 부
세이지, 로즈마리, 카모마일 및 라벤더 혼합 추출물 10.0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
색소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4) 맛사지 크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혼합추출물을 이용하여 맛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첨가된 각 성분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원 료 중 량 부
세이지, 로즈마리, 카모마일 및 라벤더 혼합 추출물 10.0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
색소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5) 팩의 제조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혼합추출물을 이용하여 팩을 제조하였다. 첨가된 각 성분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원 료 중 량 부
세이지, 로즈마리, 카모마일 및 라벤더 혼합 추출물 5.0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0.2
알란토인 0.1
에탄올 5.0
노닐페닐에테르 0.3
방부제 미량
색소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6) 유화형 화운데이션의 제조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혼합추출물을 이용하여 유화형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다. 첨가된 각 성분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원 료 중 량 부
세이지, 로즈마리, 카모마일 및 라벤더 혼합 추출물 5.0
밀납 2.0
사이크로메치콘 2.0
유동파라핀 5.0
스쿠알란 5.0
스테아린산 2.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4.0
프로필렌글리콜 3.0
부틸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1.0
알루미늄마그네슘실리케이트 0.5
안료 12
방부제 미량
색소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본 발명은 피지 억제 기능과 모공수축 기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항산화작용과 항염작용이 있으며, 천연 원료를 사용하여 독성이 없고 자연 친화적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4)

  1. 세이지, 로즈마리, 카모마일 및 라벤더 혼합추출물을 건조 중량기준으로 0.01∼10 중량%; 및
    화장료 90∼99.99 중량%;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를 억제하는 모공수축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세이지, 로즈마리, 카모마일 및 라벤더를 완전 건조한 후, 추출용매로서 물, 에탄올, 메탄올,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상의 용매를 5∼20 배 부피로 가한 후,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50∼95 ℃, 3∼20 시간 가열,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를 억제하는 모공수축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세이지, 로즈마리, 카모마일 및 라벤더를 완전 건조한 후, 추출용매로서 물, 에탄올, 메탄올,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상의 용매를 5∼20 배 부피로 가한 후, 5∼37 ℃에서 1∼15일간 침적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를 억제하는 모공수축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화장수(스킨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팩, 유화형 파운데이션 및 영양에센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를 억제하는 모공수축 화장료 조성물.
KR10-2003-0034474A 2003-05-29 2003-05-29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를 억제하는 모공수축 화장료조성물 KR100529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474A KR100529014B1 (ko) 2003-05-29 2003-05-29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를 억제하는 모공수축 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474A KR100529014B1 (ko) 2003-05-29 2003-05-29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를 억제하는 모공수축 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963A KR20030047963A (ko) 2003-06-18
KR100529014B1 true KR100529014B1 (ko) 2005-11-16

Family

ID=29579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4474A KR100529014B1 (ko) 2003-05-29 2003-05-29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를 억제하는 모공수축 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90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058A (ko) 2018-09-05 2020-03-16 (주)페미존 콜라겐 및 엘라스틴 생성을 촉진하는 허브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230172226A (ko) 2022-06-15 2023-12-22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라벤더잎세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부 자극에 의한 피부 장벽개선 및 피부 진정(붉은기)에 효과적인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010B1 (ko) * 2006-10-13 2008-04-07 (주)바이오에프디엔씨 라벤더,베르가못,후리지아,페퍼민트,카모마일 및 로즈마리를 함유하는 피부 및 두피 보호용 항산화 허브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GB2443388A (en) * 2006-10-30 2008-05-07 Reckitt & Colmann Prod Ltd Acne treatment
CN113797126A (zh) 2020-06-16 2021-12-17 玫琳凯有限公司 化妆品组合物
KR102309300B1 (ko) 2020-09-18 2021-10-07 주식회사 아쉬세븐 피부 주름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380585B1 (ko) * 2020-11-02 2022-03-30 (주)올바름디앤비 천연허브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진정, 항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058A (ko) 2018-09-05 2020-03-16 (주)페미존 콜라겐 및 엘라스틴 생성을 촉진하는 허브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230172226A (ko) 2022-06-15 2023-12-22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라벤더잎세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부 자극에 의한 피부 장벽개선 및 피부 진정(붉은기)에 효과적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963A (ko)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2411B2 (ja) 発毛促進剤及びその製造方法
AU20062469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improving hair and scalp health
KR102592814B1 (ko) 혼합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향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0229B1 (ko) 티트리 잎 미세침 분말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2873B1 (ko)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53186B1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조성물
US20110223263A1 (en) Antioxidant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processed peony, polygonati rhizoma or lily
KR100529014B1 (ko)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를 억제하는 모공수축 화장료조성물
KR101829891B1 (ko)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3212749A (ja) AGEs生成抑制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102350749B1 (ko)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 항노화 활성,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8949A (ko) 매실나무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과 용도
KR102271886B1 (ko)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496150B1 (ko) 황칠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2501B1 (ko) 항비듬용 두피 조성물
KR20110089793A (ko)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3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537293B1 (ko) 포제 처리된 감국 또는 진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41691B1 (ko) 피부 개선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용 한방진액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KR102503191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581285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7496241A (zh) 一种含有文冠果生物活性成分的面膜的制备方法
KR102142460B1 (ko) 타라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51642B1 (ko) 살리실산, 오레가노추출물, 오이풀추출물 및 월계수잎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