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150B1 - 황칠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황칠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150B1
KR102496150B1 KR1020220124313A KR20220124313A KR102496150B1 KR 102496150 B1 KR102496150 B1 KR 102496150B1 KR 1020220124313 A KR1020220124313 A KR 1020220124313A KR 20220124313 A KR20220124313 A KR 20220124313A KR 102496150 B1 KR102496150 B1 KR 102496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parts
skin
hwangch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4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6150B9 (ko
Inventor
강충희
Original Assignee
강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충희 filed Critical 강충희
Priority to KR1020220124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1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150B1/ko
Publication of KR10249615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150B9/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감태 추출물 100중량부; 때죽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당근 추출물 100중량부; 편백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순비기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익모초 추출물 100중량부; 및 울금 추출물 100중량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특정적으로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특정적으로 황칠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윤광효과, 보습효과, 주름완화 효과, 피부 연화, 피부각질 제거, 항균, 항염, 및/또는 항산화작용 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황칠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Skin-Brightening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HWANGCHIL Extract and ECKLONIA CAVA Extract and Preparation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황칠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재료인 황칠나무, 감태 등으로부터 추출물을 제조한 후 이를 화장품 조성물로 사용하는 황칠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학의 진보와 사회, 경제, 문화의 발달로 인간의 평균 수명을 100세 혹은 그 이상까지 기대할 수 있는 시대에서, 성별과 나이를 불문하고 어떻게 하면 더 젊고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을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트렌드를 반영하듯 식생활, 미용,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항노화(Anti-aging)에 대한 이슈들이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것도 시대적 현상이다.
한편, 피부는 그 자체로서 외부 자극 인자로부터 신체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미적 및 감정적으로도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이러한 피부는 교환 기관으로서, 시각적 및 촉각적 양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피부는 다양한 세포 유형을 포함하며, 표피의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닌 세포는 어두운 멜라닌 색소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멜라닌은 멜라노솜으로 불리는 작은 소낭을 통해 인근의 케라틴 세포로 보내지고, 이로 인해 피부의 태닝(tanning)을 유발한다.
또한, 피부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외부 자극인자, 예를 들어 자외 복사선, 오염 등의 대상이 되어, 외관이 변하기 쉽다.
특히, 태양 복사선, 구체적으로 자외 복사선은 멜라닌 합성을 야기하여, 피부의 "암화(darkening)" 또는 착색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양에서는 수십 년 동안, 선탠을 한 피부 색조 및/또는 태닝된 피부의 "멋진(radiant)" 외관에 대해 남성 및 여성 모두 양호한 건강 상태 및/또는 매력으로 인식했다.
따라서 특정 가게에서 UV 태닝용 베드로 연중 지속적으로 태닝하는 경우가 있고, 이로 인해 피부노화 및/또는 피부에서의 증가된 색소 침착으로 인한 피부 반점의 형성을 유발하기 용이한바, 이는 불규칙한 색소 침착을 유발하여 태양 노출 중 또는 이후에 반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피부의 불규칙적인 색소 침착이 이루어져 매력적이지 않은 외모를 형성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피부의 색소 침착 과잉의 경우에는 광 감작 및/또는 상처를 치유하는 경우 나타날 수 있으며, 이 또한 매력적이지 않은 외관을 제공하게 된다.
더욱이, 임신한 여성의 호르몬 변화, 특히 여성 성 호르몬 수준의 증가로 인해 멜라닌 세포에 의한 멜라닌 합성이 매우 증가하는바, 이러한 경우, 임신 색소 침착 과잉 또는 기미가 성 호르몬의 높은 생산으로 인한 멜라닌 세포의 과다 활성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임신 기간에 피부가 태양에 노출되면, 피부의 색소 침착 과잉, 예를 들면 "임신 마스크(mask of pregnancy)"로 불리는 반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색소 반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출산 및 여성 성 호르몬이 정상 수준으로 돌아온 후에도 잔존하거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줄어들 수는 있지만 태양/자외선에 노출될 때 마다 자연스럽게 재출현하고, 이로 인하여 얼굴 피부에 불규칙적인 색소 침착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색소 반점은 노인성 흑색점 또는 검버섯 등과 같이 노인을 대상으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색소 침착의 불규칙성은 피부 표면에서 멜라닌의 국소화된 농도로 인해 발생한다.
따라서 그 발생 원인과 상관없이, 피부 침착의 결함, 즉 호르몬 변화, 자외선 및/또는 태양에의 노출 과다, 또는 피부 노화로 인한 멜라닌 생산의 증가를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 또는 생성물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해 지고 있다.
한편, 아시아 지역, 특히 중국, 일본 및 한국에서는 피부의 외관을 사회 경제적 척도로 간주하기도 한다. 실제로, 이 지역에서는 선탠한 피부가 상대적으로 열등한 사회적 직업, 예를 들어 건설현장 또는 야외에서 일하는 사람, 농부 등으로 인식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생활 방식이 태양 노출의 양을 결정하고 사회 경제적 수준을 반영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몇 세기 동안 아시아 지역에서는, 백색 피부가,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게이샤(geisha)의 경우, 아름다움 및/또는 부유한 사회적 등급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결국, 주름 및 잔주름, 색소 반점 등은 아시아인의 피부에 대해서는 피부 노화의 주요 임상적 징후 중 하나인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멜라닌 생산을 감소시키거나 이것의 분해를 촉진함으로써 피부 윤광을 가능하게 만드는 조성물 또는 생성물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6-0120355호에는 메도스위트 추출물, 하나 이상의 뽕나무 잎 추출물, 및 살리실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또는 피부과학적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20355(공개일자 2016.10.17)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천연식물, 예를 들면 황칠, 감태, 때죽나무, 당근, 편백나무, 순비기나무, 익모초 및 울금 등으로부터 각각 추출된 추출물 혼합하여 화장품 조성물을 구성함으로써, 피부윤광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감태 추출물 100중량부;
때죽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당근 추출물 100중량부;
편백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순비기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익모초 추출물 100중량부; 및
울금 추출물 100중량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황칠, 감태, 때죽나무, 당근, 편백나무, 순비기나무, 익모초, 및 울금을 각각 건조하는 재료 건조단계;
상기 재료 건조단계가 종료된 각각의 재료를 분쇄하는 재료 분쇄단계;
상기 재료 분쇄단계가 종료된 후 각 재료를 추출용매로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재료 추출물 중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감태 추출물 100중량부, 때죽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당근 추출물 100중량부, 편백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순비기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익모초 추출물 100중량부, 및 울금 추출물 100중량부를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특정적으로 황칠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윤광효과, 보습효과, 주름완화 효과, 피부 연화, 피부각질 제거, 항균, 항염, 및/또는 항산화작용 등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 가지 관점에서, 본 발명은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감태 추출물 100중량부; 때죽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당근 추출물 100중량부; 편백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순비기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익모초 추출물 100중량부; 및 울금 추출물 100중량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황칠, 감태, 때죽나무, 당근, 편백나무, 순비기나무, 익모초, 및 울금을 각각 건조하는 재료 건조단계; 상기 재료 건조단계가 종료된 각각의 재료를 분쇄하는 재료 분쇄단계; 상기 재료 분쇄단계가 종료된 후 각 재료를 추출용매로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재료 추출물 중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감태 추출물 100중량부, 때죽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당근 추출물 100중량부, 편백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순비기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익모초 추출물 100중량부, 및 울금 추출물 100중량부를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특정적으로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보다 특정적으로 황칠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화장품 조성물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며, 다른 화장품 조성물, 특정적으로 기존의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 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린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섀도 등의 화장품 조성물과 혼합한 화장품 조성물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1 내지 7중량%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특정적으로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보다 특정적으로 황칠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은 황칠 추출물, 감태 추출물, 때죽나무 추출물, 당근 추출물, 편백나무 추출물, 순비기나무 추출물, 익모초 추출물, 및 울금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황칠 추출물은 황칠나무의 잎, 줄기, 뿌리, 꽃, 열매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는 우리나라의 남부 해안 지역과 제주도 등에서 자생하는 쌍떡잎식물이며 두릅나무과의 상록교목으로, 뿌리와 잎의 줄기는 거풍습, 황멸맥, 풍습비통, 편두통, 월경불순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왔다
또한, 상기 황칠나무에는 sesquiterpene에 속하는 β-selinene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capnellane-8-one가 다음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황칠나무로부터 추출된 황칠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암 활성 등의 생리활성은 일부 제한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건강기능성 보조식품 및 식품첨가제 등 식품에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황칠 추출물은 황칠나무, 황칠나무 잎 등의 천연재료를 추출하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으로 추출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한 추출방법은 그 일례로서, 황칠나무, 황칠나무 잎 등을 건조시킨 후 분쇄한 뒤 추출용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중량%, 추천하기로는 약 50중량% 에탄올 추출용매에 침적,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6시간 동안, 추천하기로는 약 24시간 동안 침적한 뒤 고형물(찌꺼기)과 여액을 분리하는 여과분리단계;
상기 여과분리단계가 종료된 후 그 여액을 일정 온도, 예를 들면 20 내지 30℃의 온도범위에서 일정 시간, 예를 들면 22 내지 26시간 동안 정치하여 층분리하는 층분리단계; 및
상기 층분리단계가 종료된 후 상층액을 분리하여 감압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추출용매를 증발시켜 황칠 추출물을 추출하는 증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특정적으로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보다 특정적으로 황칠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을 구성하는 황칠 추출물 외 나머지 성분들의 함량은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태 추출물은 감태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감태(Ecklonia cava Kjellman)는 깊은 수심에서 자라는 해조류로 제주도 연안의 조하대에 해중림을 형성하고, 그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와 보습효과가 뛰어나고 항염, 미맥, 피부 진정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감태는 알긴산의 원조, 한약재, 화장품의 재료로 쓰이고 요오드추출의 주원료가 되며, 씨놀과 미톨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 씨놀은 해조류에서만 생성되는 독특한 화학적 골격을 갖는 성분들을 추출해 고도정제 표준화한 성분으로써, 항산화, 항염증, 혈류촉진, 노화방지 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각종 위험 인자들에 대한 뛰어난 제어 능력과 조직을 보호한다.
또한, 미톨은 피부세포재생 및 염증개선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씨놀 성분을 특수 설계된 프로세스를 거쳐 피부용 제품에 최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고도로 정제된 물질로써, 해외에서도 다수의 화장품에 적용되고 있는 원료로 부작용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미톨은 기미, 색소침착, 피부노화방지 등의 효과를 보여주면서 화이트닝, 주름개선 등과 같은 기능성화장품에 주로 사용되는 것은 물론 맑은 피부를 유지시켜주며, 아토피나 여드름과 같은 트러블성 피부에도 큰 효과를 발휘하고 있어 화장품 원료로 각광 받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태 추출물은 감태를 추출하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으로 추출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한 추출방법은 그 일례로서, 감태를 건조시킨 후 분쇄한 뒤 추출용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중량%, 추천하기로는 약 50중량% 에탄올 추출용매에 침적,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6시간 동안, 추천하기로는 약 24시간 동안 침적한 뒤 고형물(찌꺼기)과 여액을 분리하는 여과분리단계;
상기 여과분리단계가 종료된 후 그 여액을 일정 온도, 예를 들면 20 내지 30℃의 온도범위에서 일정 시간, 예를 들면 22 내지 26시간 동안 정치하여 층분리하는 층분리단계; 및
상기 층분리단계가 종료된 후 상층액을 분리하여 감압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추출용매를 증발시켜 감태 추출물을 추출하는 증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감태 추출물의 사용량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지만, 추천하기로는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때죽나무 추출물은 때죽나무로 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때죽나무의 학명은 Styrax japonica 이며 속명인 Styrax는 '편안한 향기'라는 뜻으로 학명에서 보듯이 향기가 좋은 나무이다.
전 세계적으로 11속 150종이 분포돼 있으며 우리나라 국가 표준식물목록에는 8종이 등록돼 있다.
우리나라 때죽나무는 중부 이남의 저지대에 분포하며 4 내지 10m 정도 자라는 낙엽성 나무로 산지 계곡과 수변부에 분포하는 특성이 있다.
상기 때죽나무의 원산지는 한국, 중국, 일본, 필리핀이고,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으로 나무껍질은 어두운 갈색으로 매끈하며 꽃은 하얀색으로 새로운 가지 끝부분에 백색으로 아래를 향해 피는데 제주에서는 4말부터 6월까지도 볼 수 있다.
상기 때죽나무 열매는 삭과상 핵과로 달걀 모양의 원형으로 도토리처럼 깍지에 한 개씩 달리며, 9월에 갈색으로 익고, 열매껍질이 불규칙하게 갈라져 담갈색의 종피에 싸인 큰 씨가 나와 떨어진다.
또한, 때죽나무는 예로부터 쓰임새가 많았던 나무로 나무가 단단하고 재질이 치밀해 탄력성도 있으며 세공이 쉬워서 목재로는 장기쪽, 얼레빗, 목기류, 지팡이 등으로, 가지는 회초리로 이용했다.
또한 열매에 함유돼 있는 에고사포닌(Egosaponin)과 기름 성분은 기름때를 없애주기 때문에 세제 대용품과 동백기름을 대신한 여자들의 머릿기름이나 등잔불을 밝히는 원료로 각각 사용됐다.
이때, 상기 에고사포닌(Egosaponin) 성분은 물고기의 아가미 호흡을 일시적으로 마비시키는 특징이 있어서 고기잡이에 이용하기도 했다.
또한, 민간에서는 꽃을 매마등(買麻藤)이라 해 골절이나 뱀에 물렸을 때와 인후통이나 치통에 이용했으며 잎과 열매는 풍습(風濕, 바람과 습기를 원인으로 생긴 병증으로 뼈마디가 쑤시는 증상)에 썼다고 한다.
우리나라 때죽나무는 추위와 공해에 강하고 이식력이 우수해 생태하천 조성의 기본 수종과 조경수로도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최근에는 도시 숲속의 수목들이 산성우와 대기오염으로 인해 피해를 입는데 반해 유독 때죽나무의 어린나무는 별탈없이 성장을 하고 있어 대기오염의 지표 수목으로도 주목받고 있다고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때죽나무 추출물은 때죽나무를 추출하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으로 추출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한 추출방법은 그 일례로서, 때죽나무를 건조시킨 후 분쇄한 뒤 추출용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중량%, 추천하기로는 약 50중량% 에탄올 추출용매에 침적,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6시간 동안, 추천하기로는 약 24시간 동안 침적한 뒤 고형물(찌꺼기)과 여액을 분리하는 여과분리단계;
상기 여과분리단계가 종료된 후 그 여액을 일정 온도, 예를 들면 20 내지 30℃의 온도범위에서 일정 시간, 예를 들면 22 내지 26시간 동안 정치하여 층분리하는 층분리단계; 및
상기 층분리단계가 종료된 후 상층액을 분리하여 감압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추출용매를 증발시켜 추출물을 추출하는 증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때죽나무 추출물의 사용량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지만, 추천하기로는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당근 추출물은 당근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당근은 다량의 베타카로틴을 포함하고 있는바, 상기 베타카로틴은 약간의 냄새와 맛을 가지고 있는 적색의 결정 물질로서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비타민 A의 전구체이다.
또한, 상기 베타카로틴은 비타민 A의 활성은 물론이고 동물의 번식 향상에 효과가 있고, 암세포 파괴와 종양괴사 인자의 산출 발암 물질의 생성억제에도 유효한 성분이며, 난치병을 고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
또한, 상기 베타카로틴은 비타민 A와는 달리 과잉양에도 부작용이 전혀 없으며, 피부의 표피층과 진피층에 분포되어 생체기능 조절을 하며 피부에 발생 산소를 소거할 수 있는 능력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당근 추출물은 당근, 당근 잎 등의 천연재료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한 추출방법은 그 일례로서, 당근 및/또는 당근 잎 등을 건조시킨 후 분쇄한 뒤 추출용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중량%, 추천하기로는 약 50중량% 에탄올 추출용매에 침적,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6시간 동안, 추천하기로는 약 24시간 동안 침적한 뒤 고형물(찌꺼기)과 여액을 분리하는 여과분리단계;
상기 여과분리단계가 종료된 후 그 여액을 일정 온도, 예를 들면 20 내지 30℃의 온도범위에서 일정 시간, 예를 들면 22 내지 26시간 동안 정치하여 층분리하는 층분리단계; 및
상기 층분리단계가 종료된 후 상층액을 분리하여 감압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추출용매를 증발시켜 추출물을 추출하는 증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당근 추출물의 사용량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지만, 추천하기로는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 추출물은 겉씨식물 구과목 측백나무과의 상록교목인 편백나무로부터 추출된 추출물로서, 피톤치드라는 천연 항균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살균 작용이 뛰어나고, 내수성이 강해 물에 닿으면 고유의 향이 진하게 퍼져 잡냄새도 없애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 추출물은 편백나무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한 추출방법은 그 일례로서, 편백나무를 건조시킨 후 분쇄한 뒤 추출용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중량%, 추천하기로는 약 50중량% 에탄올 추출용매에 침적,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6시간 동안, 추천하기로는 약 24시간 동안 침적한 뒤 고형물(찌꺼기)과 여액을 분리하는 여과분리단계;
상기 여과분리단계가 종료된 후 그 여액을 일정 온도, 예를 들면 20 내지 30℃의 온도범위에서 일정 시간, 예를 들면 22 내지 26시간 동안 정치하여 층분리하는 층분리단계; 및
상기 층분리단계가 종료된 후 상층액을 분리하여 감압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추출용매를 증발시켜 추출물을 추출하는 증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 추출물의 사용량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지만, 추천하기로는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순비기나무 추출물은 순비기나무, 및/또는 그 열매로부터 추출된 추출물로서, 유칼리프톨 및 테르피넨-4-올 등을 다량 포함하고 있어, 살균력이 높고, 인체에 무해하므로 다른 화합물이나 천연 그대로의 향을 이용하여 아로마 테라피(aroma-therapy)에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살균제나 방부제 또는 화장품 원료 등으로 사용 가능하다.
상기 순비기나무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바닷가 모래땅에서 나는 상록 관목으로써, 생육환경은 바닷가의 모래땅이나 잔돌이 많으며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자라고, 잎은 마주나며 길이가 2 내지 5㎝, 폭이 1.5 내지 3㎝로 달걀 모양이며 두텁고, 표면에는 잔털이 많이 있으며 회색빛이 돌고 뒷면은 은백색이다.
또한, 순비기나무의 줄기는 비스듬히 지면을 향해 자라고 전체에 회백색의 잔털이 있다. 그리고 그 꽃은 벽자색으로 가지 끝에 달리고 길이 4 내지 7㎝의 꽃줄기에 많은 꽃들이 달린다. 또한, 꽃받침 잎은 술잔 모양이고 암술머리는 연한 자주색으로 2개로 갈라지며, 그 열매는 9 내지 10월경에 흑자색으로 달리며 지름은 약 0.6㎝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순비기나무 추출물은 순비기나무 및/또는 순비기나무 열매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한 추출방법은 그 일례로서, 순비기나무 및/또는 순비기나무 열매를 건조시킨 후 분쇄한 뒤 추출용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중량%, 추천하기로는 약 50중량% 에탄올 추출용매에 침적,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6시간 동안, 추천하기로는 약 24시간 동안 침적한 뒤 고형물(찌꺼기)과 여액을 분리하는 여과분리단계;
상기 여과분리단계가 종료된 후 그 여액을 일정 온도, 예를 들면 20 내지 30℃의 온도범위에서 일정 시간, 예를 들면 22 내지 26시간 동안 정치하여 층분리하는 층분리단계; 및
상기 층분리단계가 종료된 후 상층액을 분리하여 감압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추출용매를 증발시켜 추출물을 추출하는 증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순비기나무 추출물의 사용량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지만, 추천하기로는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익모초 추출물은 익모초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이다.
여기서, 상기 익모초(Leonurus japonicus H.)는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2년생 초본으로써, 주성분으로는 전초에 알칼로이드(alkaloid)로서 레오누린(leonurine), 레오누리딘(leonuridine), 스타치노스(stachynose), 스타치드린(stachydrine), 플라보노이드(flavonoid)로서 루틴(rutin) 외에 프로토카테촐(protocatechol), 벤조인산(benzoic acid)을 비롯해 비타민 A와 지방유 등의 성분이 함유된 것으로 밝혀져 있다.
또한, 상기 익모초는 본초강목에서도 익모초즙은 혈액을 활성화시킬 뿐만 아니라 체내 유독한 피를 제거해주며, 아울러 경맥(硬脈)즉, 혈압이 높아서 긴장정도가 센 맥박을 조절하고 해독작용을 함으로 산후어혈이 계속 나올 때, 어혈로 인해 어지럽고 고열이 나며 통증이 심할 때, 자궁출혈과, 혈뇨, 혈변, 치질, 대/소변 불통(不通)등을 치료하는데 이용한다고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익모초 추출물은 익모초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한 추출방법은 그 일례로서, 익모초를 건조시킨 후 분쇄한 뒤 추출용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중량%, 추천하기로는 약 50중량% 에탄올 추출용매에 침적,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6시간 동안, 추천하기로는 약 24시간 동안 침적한 뒤 고형물(찌꺼기)과 여액을 분리하는 여과분리단계;
상기 여과분리단계가 종료된 후 그 여액을 일정 온도, 예를 들면 20 내지 30℃의 온도범위에서 일정 시간, 예를 들면 22 내지 26시간 동안 정치하여 층분리하는 층분리단계; 및
상기 층분리단계가 종료된 후 상층액을 분리하여 감압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추출용매를 증발시켜 추출물을 추출하는 증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상기 익모초 추출방법의 다른 일례로서, 유기용매가 아닌 증류수를 이용하여 익모초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는바, 이러한 경우, 그 추출방법은 익모초와 증류수를 1 : 5 내지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약 100 ℃, 100 내지 140 rpm의 조건으로 1 내지 5 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고, 수득한 추출물을 원심분리기에서 2,000 내지 4,000rpm으로 10 내지 30 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여액을 0.1 내지 0.3 mPA의 조건에서 5 내지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익모초 추출물의 사용량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지만, 추천하기로는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울금 추출물은 생강과의 다년생 식물로서, 소화에 좋고, 신진대사를 활발히 해주며, 치매예방, 간기능회복에 좋고, 항암효과가 있는 울금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울금 추출물은 울금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한 추출방법은 그 일례로서, 울금을 건조시킨 후 분쇄한 뒤 추출용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중량%, 추천하기로는 약 50중량% 에탄올 추출용매에 침적,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6시간 동안, 추천하기로는 약 24시간 동안 침적한 뒤 고형물(찌꺼기)과 여액을 분리하는 여과분리단계;
상기 여과분리단계가 종료된 후 그 여액을 일정 온도, 예를 들면 20 내지 30℃의 온도범위에서 일정 시간, 예를 들면 22 내지 26시간 동안 정치하여 층분리하는 층분리단계; 및
상기 층분리단계가 종료된 후 상층액을 분리하여 감압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추출용매를 증발시켜 추출물을 추출하는 증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울금 추출물의 사용량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지만, 추천하기로는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0중량부인 것이 좋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재료 추출물, 예를 들면 황칠 추출물, 감태 추출물, 때죽나무 추출물, 당근 추출물, 편백나무 추출물, 순비기나무 추출물, 익모초 추출물, 울금 추출물 및/또는 후술하는 천연재료 추출물 등은 전술한 추출방법 외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추출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일례로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용매와 추출 원료를 특정 조건 하에서 접촉시킴으로써 추출 원료에 함유된 유효성분으로 원료에 함유된 성분을 분리해 낼 수 있다면, 추출 방법이나 유효성분의 종류에 무관하게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물이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원료로부터 용매에 용해되는 성분을 추출한 것, 원료의 특정 성분, 예컨대 오일과 같은 특정 성분만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출물은 건조 후 분말화하거나, 열수 추출법, 에탄올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다양한 추출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석유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트리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1,3-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 또는 에탄올로 추출되는 것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80 내지 90℃에서 4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화장품 조성물, 특정적으로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보다 특정적으로 황칠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은 하기의 특정 양태의 부가물을 1종 또는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특정적으로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보다 특정적으로 황칠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은 항암, 항콜레스테롤, 혈액응고 저해, 혈압조절 등의 혈류 개선 및 지질대사 개선을 위하여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의 미역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역은 다시마목 미역과에 속하는 갈조류로서 우리나라 전 연안에 분포하며 연해주, 중국, 일본 등 극동지방 특산의 해조류로서,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인, 황 등의 무기질, 식이섬유소, 리놀산 및 비타민 등 생리활성 물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특히, 상기 미역은 우수한 보습력과 항산화능 및 항염증능으로 다양한 화장품 소재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특정적으로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은 항산화 작용, 해독 작용, 항염증 활성 등의 여러 생리적 활성을 부가하기 위하여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의 어성초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의 야생 약초로써 약모밀 혹은 삼백초라고도 불리며, 원산지는 한국, 중국, 일본 등이다. 어성초는 잎에서 특유의 비린내가 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다양한 생리활성물질들을 함유하고 있어 이뇨, 진통, 지혈 등의 약리작용이 있는 생약재로 오래전부터 이용되어 왔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은 비타민 C와 플라보노이드가 등을 부가하기 위하여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의 황금하귤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황금하귤은 운향과에 속하는 늘푸른나무로 제주에 분포한다. 당도가 높은 편이며, 과육은 부드럽고 즙이 많다. 높이는 3m까지 자라며 입사귀는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없이 밋밋하다. 하귤에는 비타민 C와 플라보노이드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특정적으로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은 강한 항산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의 녹나무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녹나무는 목련목 녹나무과에 속하는 상록활엽교목으로 베트남, 대만, 일본 등에 분포하고 제주도에 자생한다. 키는 20 m 정도이고 어린 가지는 황록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광택이 나며 3개의 잎맥이 나란히 나 있고, 어린잎은 약간 붉은색이 돈다. 목재, 가지, 잎, 뿌리를 수증기에 증류하여 만드는 장뇌(樟腦)는 강장제나 흥분제로 사용하는데, 주사약으로 만들어 호흡중추, 혈관, 신경, 중추, 심장 등의 자극제로 쓴다. 방충제, 방부제, 향료의 재료로도 이용하며 목재는 건축재나 가구재로 쓴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노화에 따른 피부 기능성 향상을 위하여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의 녹차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녹차는 탄닌 성분에 의한 해독작용과 살균작용, 폴라보노이드 성분에 의한 악취성분에 대하여 강한 소취효과를 제고하여 항균효과 등이 있으며, 노화에 따른 피부 기능성 향상을 제공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유해 물질로부터 피부 저항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의 브로콜리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Broccoli))는 십자화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항산화 작용을 갖는 베타-카로틴, 루틴, 아스코르빈산, 셀레늄, 케르세틴, 글루타티온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칼슘, 비타민C, 엽산 등의 영양 성분을 함유한다. 브로콜리는 피부 속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키고 피부 노화를 방지하며, 유해 물질로부터 피부 저항력을 향상시키는데 관여하며, 피부에 긴장감을 부여하고 모공 수렴 작용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를 부드럽고 유연하게 하고 컨디셔닝을 부여하여 건강한 피부로 개선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의 알로에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 보습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50중량부의 글리세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항암, 혈압강하, 항균, 및 항염증 등의 여러 생리적작용을 부가하기 위하여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의 연교 발효추출 원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교 발효추출 원액은 연교 100중량부 기준으로, 올리고당 5 내지 50중량부, 설탕 5 내지 50중량부 및 발효미생물 5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하여 35 내지 45℃의 온도범위에서 50 내지 70일 동안 발효하고 숙성시켜 연교 발효액을 제조한 뒤 이를 열수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노와 방지를 위하여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의 솔잎 발효추출 원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솔잎 발효추출 원액은 솔잎 100중량부 기준으로, 올리고당 5 내지 50중량부, 설탕 5 내지 50중량부 및 발효미생물 5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하여 35 내지 45℃의 온도범위에서 50 내지 70일 동안 발효하고 숙성시켜 솔잎 발효액을 제조한 뒤 이를 열수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것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솔잎은 소나무의 잎과 새순으로, 아스코르빈산, 비타민 A,B,K,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안 등을 함유하고 있어, 고혈압, 중풍, 당뇨, 노화방지, 빈혈, 숙취해소 등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의 혈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의 당귀 발효추출 원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당귀 발효추출 원액은 당귀 100중량부 기준으로, 올리고당 5 내지 50중량부, 설탕 5 내지 50중량부 및 발효미생물 5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하여 35 내지 45℃의 온도범위에서 50 내지 70일 동안 발효하고 숙성시켜 당귀 발효액을 제조한 뒤 이를 열수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의 고삼 발효추출 원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삼 발효추출 원액은 고삼 100중량부 기준으로, 올리고당 5 내지 50중량부, 설탕 5 내지 50중량부 및 발효미생물 5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하여 35 내지 45℃의 온도범위에서 50 내지 70일 동안 발효하고 숙성시켜 고삼 발효액을 제조한 뒤 이를 열수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삼(Sophora angustifolia SIEB. et Zucc)은 다년생 초본으로 다 자라면 높이 1m에 달하는 콩과의 다년생초본이다. 잎 모양이 회화나무(괴화)와 비슷하여 지괴, 수괴, 야괴라는 별명이 있다. 가을에 뿌리를 캐어 씻어 말리며, 맛이 쓰지만 인삼과 같은 효과가 있다하여 고삼이라 한다. 고삼의 성분으로는 식물전체에 알칼로이드가 있다. 뿌리의 총 알칼로이드는 1.1%이며, 알칼로이드의 성분은 마트린(소포카르피딘), 옥시마트린, 소포라놀, 아나기린, 메틸시티진, 바브티플린, 소포카르핀, 알로마트린 등이 있다. 이 밖에 약 13%의 당분이 있으며, 뿌리에서 플라보놀화합물인 이소안히드로이카리딘, 노르안히드로이카리딘 등이 분리되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의 윈터그린 발효추출 원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터그린 발효추출 원액은 윈터그린 100중량부 기준으로, 올리고당 5 내지 50중량부, 설탕 5 내지 50중량부 및 발효미생물 5 내지 15중량부를 혼합하여 35 내지 45℃의 온도범위에서 50 내지 70일 동안 발효하고 숙성시켜 위터그린 발효액을 제조한 뒤 이를 열수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윈터그린(잎)은 통상 감각 특성(향 및 맛)이 따뜻하고, 달콤하여, 그 추출물은 향수, 식품, 음료수, 캔디, 츄잉 껌 등에 사용되었으며, 달인 즙은 인후염을 진정시키기 위해 가글제로 쓰였으며, 피부 염증을 다스리기 위해서도 쓰였다.
한편, 전술한 발효추출 원액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발효미생물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발효미생물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Bacillus), 마이크로코쿠스 콘글로메라터스(Micrococcus conglomeratus), 마이크로코쿠스 에피메테우스(Micrococcus epimetheus), 마이크로코쿠스섭플라베센스(Micrococcus subflavescens), 마이크로코쿠스 베리아너스(Micrococcus varianus), 락틱산 균(Lactic acid bacteria), 부트릭산 균(Butyric acid bacteria), 류코노스톡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스트렙토코커스 패칼리스(Streptococcus faecalis), 리조푸스 트리티시(Rhizopus tritici), 리조푸스 타마리(Rhizopus tamari), 리조푸스 치넨시스(Rhizopus chinensis), 리조푸스 아리주스(Rhizopus arrhizus), 리조푸스 오리제(Rhizopus oryzae), 리조푸스 델레마(Rhizopus delemar), 리조푸스 페카(Rhizopus peka), 리조푸스 노도서스(Rhizopus nodosus), 모나스쿠스 푸루푸레우스(Monascus purpureus), 페네시륨 그라우컴(Penicillium glaucum), 뮤코 뮤세도(Mucor mucedo), 뮤코 플룸베우스(Mucor plumbeus),무코라세모수스(Mucorracemosus), 뮤코 자바니쿠스(Mucor javanicus)의 곰팡이균(Fungi)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보습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50중량부의 프로필렌글라이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은 지방족 알코올로서, 조성물의 용해를 도와주며, 화장품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수분 운반체이며, 글리세린 보다 피부 흡수력이 높고 끈적거림이 적다.
특히, 상기 프로필렌글라이콜은 조성물이 높은 온도에서 녹아내리거나 추위에 얼지 않도록 보호해주며, 다른 활성 성분들이 피부 속까지 침투하도록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의 향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향료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향료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추천하기로는 허브 오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로즈마리, 오레가노, 베르가못, 야로우, 바질, 민트, 세이지 또는 레몬밤, 제스민, 보리지, 아니카, 스파티움, 클라리세이지, 페퍼민트 등의 허브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항진균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의 플루코나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유해산소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의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조성물의 유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의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Sorbitan Sesquioleat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 컨디셔닝을 위하여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의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주름개선 등을 위하여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의 뱀독 펩타이드(dipeptide diaminobutyroyl)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에 안착된 먼지, 미세 광물질 등을 흡착하여 제거하고 화장품의 사용감 및 미백기능을 향상을 위하여 일라이트 용출액을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라이트는 SiO2, MgO, H2O가 많은 수백운모 등과 같은 계열의 광물로서, 굳기 1~2, 비중 2.6~2.9로 알루미늄이 풍부한 이질 또는 응회암질 퇴적암 중에 산출되고, 열수성 광상모암의 변질광물로서 산출되며, 중금속 흡착, 탈취,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효과가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바, 이러한 일라이트를 직접 사용하는 것 보다는 유효성분을 추출한 일라이트 용출액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바, 일라이트 용출액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일라이트 용출액의 제조방법은 분쇄단계, 용출단계 및 응축단계로 이루어진다.
분쇄단계에서는 일라이트 광물을 분쇄하여, 용출단계에서 일라이트의 유효성분 추출이 더욱 잘 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를 위하여 분쇄된 일라이트의 크기는 0.1-0.5mm가 적당하다. 일라이트의 크기가 0.1mm 미만이면 분쇄비용 부담이 커지는 문제가 있고, 0.5mm 초과하면 용매와 접촉하는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적어져서 용출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일라이트의 분쇄는 통상적인 광물의 분쇄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용출단계는 일라이트 광물의 유효성분을 용출하는 단계로서, 다음과 같다.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일라이트와 정제수를 가열로에 넣고 열을 가하여 분쇄된 일라이트 광물로부터 유효성분을 용출해 낸다.
여기서, 용출시 가열로 온도는 185 내지 40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185℃는 일라이트와 정제수가 혼합된 혼합물이 끓기 시작하는 온도로서 185℃ 미만에서는 추출되는 미네랄의 추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으며, 400℃를 초과하면 일라이트가 변성되는 문제가 있어 좋지 않다.
응축단계는 용출단계에서 증기상태로 용출된 일라이트 용출액을 포집하고 상온으로 냉각하여 응축시키는 것으로 진행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작업시간의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30분 내지 2시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 탄력도 및 항산화 향상 및 피부미용 개선 및 피부 노화 예방 등을 위하여 검정콩 추출물을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정콩은 안토시아닌 색소, 단백질, 불포화 지방산 등이 풍부하여, 피부 탄력도 및 항산화 향상 및 피부미용 개선, 피부 노화 예방 등에 좋은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검정콩은 기존의 열수 추출 등으로만 추출하면 안토시아닌 등의 유효 성분들이 제대로 추출되지 않는바, 본원 발명은 다음의 공정을 통하여 검정콩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검정콩을 100 내지 130℃의 온도 및 2 내지 4kgf/cm2의 압력에서 2 내지 5분 동안 증숙하는 증숙공정; 상기 증숙된 검정콩을 200 내지 400℃의 온도에서 40 내지 150초 동안 로스팅하는 로스팅공정; 상기 로스팅된 검정콩을 5 내지 20중량배의 물로 20 내지 30℃에서 60 내지 100분 동안 냉추출하는 냉추출공정; 상기 냉추출이 완료된 후, 검정콩 고형분에 20 내지 30 중량배의 물로 80 내지 95℃의 온도로 5 내지 20분 동안 열수추출하는 열수추출공정; 및, 상기 냉추출이 완료된 냉추출물과 열수추출이 완료된 열수추출물을 혼합하는 검정콩 추출물 생성공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100 내지 130℃의 온도 및 2 내지 4kgf/cm2의 압력에서 2 내지 5분 동안의 증숙공정을 통하여 검정콩 자체에 포함된 불포화 지방이 방출되어 검정콩의 표면을 코팅시키고, 로스팅 시 검정콩 내 함유된 안토시아닌의 열화 및 변색을 방지할 수 있는바, 압력이 2kgf/cm2보다 미만이면 검정콩 자체에 포함된 불포화 지방이 제대로 방출되지 않을 수 있고, 4kgf/cm2보다 초과하면 불포화지방이 과량으로 방출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시간이 2분 보다 미만이면 호화가 덜 되어 텍스처가 단단한 문제가 있고, 5분 보다 초과하면 텍스처가 너무 물러져 흐물거리고, 쉰내와 내용물 용출의 문제가 있으며, 로스팅 공정은 상기 온도 및 시간의 범위에서 생취, 변색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냉추출은 20 내지 30℃의 차가운 물로 로스팅된 검정콩을 천천히 흘려서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상기의 온도 및 시간 범위에서 검정콩의 고형분을 얻을 수 있는 최적의 조건으로, 기존의 열수추출에서 얻을 수 없는 신선함을 유지하면서 유효 성분들을 추출하는 잇점이 있으며, 열수추출공정은 상기의 온도 및 시간 범위에서 검정콩 고형분으로부터 보다 많은 안토시아닌을 추출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 미용 및 항염증 향상을 위하여 백복령 추출물을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복령은 빛깔이 흰, 담지균류 구멍장이버섯과의 버섯으로, 땀을 적당히 조절해 주어 피부 미용에 좋고 피부염 억제 작용 등이 있는 것인데, 상기 백복령은 베타-파치만(β-pachyman)을 포함하고, 다수의 단백질, 포도당 등이 함유되어 있어, 혈당강화 및 접촉성 피부염 억제 작용 등에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바, 그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백복령을 물로 깨끗이 세척한다, 그 다음, 백복령을 중탕기에 넣어 80℃의 온도범위에서 18시간 동안 중탕가열한다. 그 다음, 침출액을 추출기에 넣어 150℃의 온도범위 및 4kgf/cm2의 압력하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여 제조한다.
여기서, 백복령을 물로 세척하는 것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함이며, 백복령을 중탕 및 추출시켜 백목령 추출액을 제조하는 것은 백복령의 유효성분들을 농축하여 추출하기 위함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자외선을 흡수하여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파라아미노 벤조산을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 보습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히알루론산을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히알루론산은 생체 구성물질로서, 피부 보습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에 활력을 주어 피부탄력을 높여주며 피부주름 개선을 위하여 아데노신을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아데노신은 피부 섬유아세포의 DNA합성을 촉진하고 단백질 합성을 증가시키며, 세포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핵산의 합성을 증가시키고 단백질 대사를 활발히 하여 죽거나 기능저하가 일어나는 피부세포의 항장성 유지에 도움을 주고, 세포기능을 향상시키며, 세포크기를 팽창시켜 진피 세포의 파괴와 노화로 인해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피지분비를 감소시키고, 피부의 피지선에서 생성되는 오일의 균형을 유지시켜 자극 받은 피부를 진정 시키고 피부 결을 부드럽게 하며 과다색소침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나이아신아마이드를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는 니아신(niacin)에 아마이드기가 붙어있는 구조로 수용성 비타민 B3를 구성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나이아신아마이드는 표피의 최하단층인 기저층 멜라노사이트에서 생성된 멜라닌 색소가 각질생성세포(케라티노사이트)로 전이되는 것을 막아 멜라닌 색소 침착을 억제하는 원료로 알려져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의 수분결합력을 증대시켜 각질층을 유연하게 하고, 피부의 멜라닌 합성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락틱애씨드를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락틱애씨드(lactic acid)는 우유의 발효과정에서 추출한 젖산으로 카복시기·하이드록시기·메틸기·수소의 네원자단이 결합한 비대칭 탄소원자를 가지는 유기화합물이며, 주류 발효 초기의 부패 방지되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 특정적으로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보다 특정적으로 황칠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은 화장품 조성물 자체로 화장품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제형, 예를 들면 연고류, 피부접착용 겔류, 크림류, 팩류, 화장수류, 에센스류, 스프레이류, 마스크류, 파운데이션류, 메이크업베이스류, 세정제류, 수(W)형, 유(O)형, 실리콘(S)형, 수중유(O/W)형, 유중수(W/O)형, 실리콘중수(W/S)형, 수중실리콘(S/W)형, 고체상, 액상 등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되어 화장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은 전술한 화장품 중 특정적으로 딥 헤어샴푸, 딥 실키 트리트먼트, 에센스 모이스처 풋 크림 등으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특정적으로 황칠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특정적으로 황칠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은 황칠, 감태, 때죽나무, 당근, 편백나무, 순비기나무, 익모초, 및 울금을 각각 건조하는 재료 건조단계;
상기 재료 건조단계가 종료된 각각의 재료를 분쇄하는 재료 분쇄단계;
상기 재료 분쇄단계가 종료된 후 각 재료를 추출용매로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재료 추출물 중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감태 추출물 100중량부, 때죽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당근 추출물 100중량부, 편백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순비기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익모초 추출물 100중량부, 및 울금 추출물 100중량부를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추출단계는 재료 분쇄단계가 종료된 재료, 예를 들면 천연재료를 추출용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중량%, 추천하기로는 약 50중량% 에탄올 추출용매에 침적,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6시간 동안, 추천하기로는 약 24시간 동안 침적한 뒤 고형물(찌꺼기)과 여액을 분리하는 여과분리단계;
상기 여과분리단계가 종료된 후 그 여액을 일정 온도, 예를 들면 20 내지 30℃의 온도범위에서 일정 시간, 예를 들면 22 내지 26시간 동안 정치하여 층분리하는 층분리단계; 및
상기 층분리단계가 종료된 후 상층액을 분리하여 감압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추출용매를 증발시켜 추출물을 추출하는 증발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단계는 그 후단으로 정제수 100중량부 기준으로, 혼합단계에서 혼합된 화장품 조성물 3 내지 5중량부, 및 식물성 오일 5 내지 40중량부를 혼합하는 화장품 조성물 혼합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제수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정제수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황칠 추출물 100g, 감태 추출물 100g, 때죽나무 추출물 100g, 당근 추출물 100g, 편백나무 추출물 100g, 순비기나무 추출물 100g, 익모초 추출물 100g, 및 울금 추출물 100g을 혼합하여 화장품 조성물, 특정적으로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황칠 추출물, 감태 추출물, 때죽나무 추출물, 당근 추출물, 편백나무 추출물, 순비기나무 추출물, 익모초 추출물, 및 울금 추출물은 황칠, 감태, 때죽나무, 당근, 편백나무, 순비기나무, 익모초 및 울금 등의 천연재료 각각을 건조한 후 분쇄 뒤 약 50중량% 에탄올 추출용매에 약 24시간 동안 침적한 뒤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약 25℃에서 약 24시간 정치하여 충분리 한 뒤 상층액을 감압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증발시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미역 추출물 25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어성초 추출물 20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황금하귤 추출물 23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녹나무 추출물 20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녹차 추출물 20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브로콜리 추출물 25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알로에 추출물 20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글리세린 30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연교 발효추출 원액 20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솔잎 발효추출 원액 25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당귀 발효추출 원액 20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고삼 발효추출 원액 20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윈터그린 발효추출 원액 23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프로필렌글라이콜 30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로즈마리 오일 20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플루코나졸 23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토코페릴아세테이트 25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20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카퍼트리펩타이드-1 20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뱀독 펩타이드 25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일라이트를 직경이 0.2mm가 되도록 분쇄하고, 분쇄된 일라이트 200g과 정제수 400g을 가열로에 넣은 다음, 2기압, 250℃에서 20분 동안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킨 후, 발생된 증기를 1시간 동안 포집하고 상온으로 냉각하여 응축시켜 제조한 일라이트 용출액 5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검정콩 100g을 115℃의 온도 및 3kgf/cm2의 압력에서 4분 동안 증숙한 후 30℃의 온도까지 냉각시킨 다음, 증숙된 검정콩을 250℃의 온도에서 90초 동안 로스팅 한 후, 로스팅된 검정콩을 7중량배의 물과 혼합하여 순환식 추출기에 넣고 25℃의 온도에서 90분 동안 냉추출한 다음, 냉추출이 종료된 검정콩 고형분에 26중량배의 물과 혼합하여 90℃의 온도에서 15분동안 열수추출한 후, 냉추출된 추출물과 열수추출된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검정콩 추출물 4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백복령을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백복령을 중탕기에 넣어 80℃의 온도범위에서 18시간 동안 중탕가열한 다음, 침출액을 추출기에 넣어 150℃의 온도범위 및 4kgf/cm2의 압력하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여 제조한 백복령 추출물 5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파라아미노 벤조산 2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히알루론산 3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아데노신 2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나이아신아마이드 1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락틱애씨드 1g을 더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29의 부가물들을 모두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험 1]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품 조성물의 피부에 대한 탄력성, 피부윤광, 세포막 보호 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로 나타냈다.
여기서, 피부에 대한 탄력성은 20세∼55세의 여성층으로서 정상, 지성, 건성, 복합성 피부의 소유자 20명에게 왼쪽 눈 가장자리에 오른쪽 눈 가장자리에 하루에 두 번 도포 하도록 하였다. 각각 처리하고 난 14일 후 피부 표면의 피부 탄력성을 쿠토미터(Cutometer) SEM 474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쿠토미터(Cutometer) SEM 474에 의한 피부 탄력도 측정은 주름의 깊이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값이 적을수록 탄력성이 좋은 것으로 평가되며, 탄력도 값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한 값을 %로 나타내었다. 피검자 20명의 평균값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대조군은 시료를 처리하기 전의 측정값을 나타낸다.
여기서, 피부윤광은 시료 도포 전/후의 외관을 관찰하여 20명에 대한 평균치로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세포막 보호는 박(Park)의 방법(Park, S. N, 대한화장품학회지, 23(1), pp75-132, 1997)에 따라 세포막 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적혈구(백혈구 제거된 상태)는 뉴질랜드산 알비노(Albino) 토끼로부터 채혈하여 사용하였으며, 적혈구 현탁액은 700nm에서 O.D가 0.6이었고, 적혈구 수는 1.5 × 107 세포/㎖ 이었다. 추출물 50㎕을 적혈구 현탁액에 첨가하고, 암소에서 30분간 전-배양(pre-incubation)시킨 다음, 광증감제(rose-bengal)를 가하여 광조사하였다. 15분간 광조사한 후, 후-배양(post-incubation)에 의한 적혈구의 파괴정도를 15분 간격으로 700nm에서 투광도(% transmittance)로부터 구하였다. 추출물의 광용혈에 미치는 효과는 후-배양 시간과 용혈 정도를 나타내는 τ50으로 나타냈으며, τ50값은 적혈구 세포가 50% 용혈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분)으로 하였다. 대조군으로는 1,3-부틸렌글리콜을 사용하였다.
피부 탄력도(주름깊이 감소) 효과(%) 피부윤광 세포막 보호작용(τ50 : 분)
15(일) 30(일)
실시예 1 6.7 7.8 좋음 282
실시예 2 6.7 7.6 좋음 245
실시예 3 6.9 8.3 좋음 234
실시예 4 6.6 8.2 좋음 236
실시예 5 6.4 7.7 좋음 234
실시예 6 6.5 7.9 좋음 235
실시예 7 6.7 8.1 좋음 225
실시예 8 6.7 7.5 좋음 256
실시예 9 6.5 7.8 좋음 225
실시예 10 6.5 7.9 좋음 245
실시예 11 6.8 8.0 좋음 235
실시예 12 6.7 8.2 좋음 234
실시예 13 6.8 7.9 좋음 238
실시예 14 6.8 7.7 좋음 237
실시예 15 6.7 8.2 좋음 225
실시예 16 6.6 7.9 좋음 246
실시예 17 6.8 8.0 좋음 233
실시예 18 6.9 8.1 좋음 234
실시예 19 6.6 7.9 좋음 237
실시예 20 6.8 8.1 좋음 236
실시예 21 6.6 8.0 좋음 235
실시예 22 6.4 7.8 좋음 237
실시예 23 6.6 7.8 좋음 237
실시예 24 6.6 7.8 좋음 238
실시예 25 6.7 8.1 좋음 229
실시예 26 6.8 7.8 좋음 238
실시예 27 6.7 7.9 좋음 237
실시예 28 6.6 8.1 좋음 241
실시예 29 6.6 8.1 좋음 233
실시예 30 6.7 8.0 좋음 234
비교 3.7 4.3 보통 25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황칠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 탄력도 효과, 피부윤광 및 세포막 보호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황칠, 감태, 때죽나무, 당근, 편백나무, 순비기나무, 익모초, 및 울금을 각각 건조하는 재료 건조단계;
    상기 재료 건조단계가 종료된 각각의 재료를 분쇄하는 재료 분쇄단계;
    상기 재료 분쇄단계가 종료된 후 각 재료를 추출용매로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재료 추출물 중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감태 추출물 100중량부, 때죽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당근 추출물 100중량부, 편백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순비기나무 추출물 100중량부, 익모초 추출물 100중량부, 및 울금 추출물 100중량부를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혼합단계는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일라이트를 직경이 0.2mm가 되도록 분쇄하고, 분쇄된 일라이트 200g과 정제수 400g을 가열로에 넣은 다음, 2기압, 250℃에서 20분 동안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킨 후, 발생된 증기를 1시간 동안 포집하고 상온으로 냉각하여 응축시켜 제조한 일라이트 용출액을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상기 혼합단계는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검정콩 100g을 115℃의 온도 및 3kgf/cm2의 압력에서 4분 동안 증숙한 후 30℃의 온도까지 냉각시킨 다음, 증숙된 검정콩을 250℃의 온도에서 90초 동안 로스팅 한 후, 로스팅된 검정콩을 7중량배의 물과 혼합하여 순환식 추출기에 넣고 25℃의 온도에서 90분 동안 냉추출한 다음, 냉추출이 종료된 검정콩 고형분에 26중량배의 물과 혼합하여 90℃의 온도에서 15분동안 열수추출한 후, 냉추출된 추출물과 열수추출된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검정콩 추출물을 4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상기 혼합단계는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백복령을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백복령을 중탕기에 넣어 80℃의 온도범위에서 18시간 동안 중탕가열한 다음, 침출액을 추출기에 넣어 150℃의 온도범위 및 4kgf/cm2의 압력하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여 제조한 백복령 추출물을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상기 혼합단계는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플루코나졸을 23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상기 혼합단계는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카퍼트리펩타이드-1을 20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상기 혼합단계는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파라아미노 벤조산을 2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상기 혼합단계는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히알루론산을 3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상기 혼합단계는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락틱애씨드를 1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상기 혼합단계는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연교 발효추출 원액을 20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상기 혼합단계는 황칠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윈터그린 발효추출 원액을 23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220124313A 2022-09-29 2022-09-29 황칠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6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313A KR102496150B1 (ko) 2022-09-29 2022-09-29 황칠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313A KR102496150B1 (ko) 2022-09-29 2022-09-29 황칠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6150B1 true KR102496150B1 (ko) 2023-02-06
KR102496150B9 KR102496150B9 (ko) 2023-04-12

Family

ID=85224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313A KR102496150B1 (ko) 2022-09-29 2022-09-29 황칠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1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093B1 (ko) * 2023-07-19 2023-11-08 김현배 편백나무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355A (ko) 2014-03-06 2016-10-17 라보라뚜아르 엠앤엘 에스.에이.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355A (ko) 2014-03-06 2016-10-17 라보라뚜아르 엠앤엘 에스.에이.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강력한 자외선 차단제 선스프레이(2018.06.17.) 1부.* *
네이버 블로그, 퍼펙트스킨 메가너틱 커버 파운데이션(2021.04.26.)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093B1 (ko) * 2023-07-19 2023-11-08 김현배 편백나무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6150B9 (ko) 202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892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 및 갯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5997827A (zh) 复方山茶油保湿液及其制备方法
KR102113645B1 (ko) 미세침 분말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75135B1 (ko)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한방 복합 약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0032A (ko)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96150B1 (ko) 황칠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6938B1 (ko) 천연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50749B1 (ko)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 항노화 활성,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819060B1 (ko) 황련해독탕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9891B1 (ko)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6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04366B1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80714A (ko) 피부 미용을 위한 영양 팩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00745A (ko) 고체발효를 이용한 생변환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품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07444A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CN104771349A (zh) 一种含有植物提取物的护肤品及其制备方法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3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00092922A (ko) 나노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30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998685B1 (ko) 벼룩이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0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941691B1 (ko) 피부 개선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용 한방진액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