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8949A - 매실나무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과 용도 - Google Patents

매실나무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과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8949A
KR20110068949A KR1020107027197A KR20107027197A KR20110068949A KR 20110068949 A KR20110068949 A KR 20110068949A KR 1020107027197 A KR1020107027197 A KR 1020107027197A KR 20107027197 A KR20107027197 A KR 20107027197A KR 20110068949 A KR20110068949 A KR 20110068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m
extract
plum tree
extraction
dietm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잉 장
베이이 루
지헤 리우
시아오킨 우
용후아 장
지아이 시
후이후이 판
리후아 시
Original Assignee
항저우 유-메이트 사이언스 앤 테크닉 씨오., 엘티디
얀타이 뉴 에라 헬스 인더스트리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항저우 유-메이트 사이언스 앤 테크닉 씨오., 엘티디, 얀타이 뉴 에라 헬스 인더스트리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항저우 유-메이트 사이언스 앤 테크닉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10068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9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6Prunus, e.g.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1/00Aliphatic unsaturated hydrocarbons
    • C07C11/21Alkatrienes; Alkatetraenes; Other alkapoly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04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 C07D311/22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 C07D311/26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r 3
    • C07D311/28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r 3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nly
    • C07D311/30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r 3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nly not hydrogenated in the hetero ring, e.g. flav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4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using solvents, e.g. supercritical solvents or ionic liqu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Obesity (AREA)
  • Biochemistry (AREA)
  • Onc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Toxic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실나무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매실나무 추출물에는 0.5-50 wt%의 스쿠알렌이 함유된다. 상기 매실나무 추출물은 주로 매실나무의 과일 부위을 제외한 지용성 유효 부분과/또는 수용성 유효 부분으로부터 추출된 것이다. 상기 매실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주로 초임계 CO2 유체 또는 무극성 유기용매의 추출을 통하여 지용성 유효 부분을 얻은 다음 다시 알코올 수용액에 의하여 추출 잔류물을 추출하여 수용성 유효 부분을 얻는다. 본 발명은 상기 매실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약학적 조성물 및 그 용도를 공개하였다.

Description

매실나무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과 용도{A PLUM TREE EXTRACT, A METHOD FOR PREPARING THE PLUM TREE EXTRACT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실나무의 과일 부위을 제외한 부분(꽃, 가지, 잎)으로부터 추출한 유효 부분들 및 그 제조방법과 용도에 관한 것이다.
매실은 장미과(Rosaceae)의 앵두나무속에 속하는 식물로서 학명은 Prunus mume Sieb. Et Zucc다. 원예 재배의 측면에서 매실나무에는 화매(花梅, 관상용) 나무와 과매(果梅, 과일 재배용) 나무가 포함되며, 과매(果梅) 나무에는 백매실 나무, 청매실 나무와 홍매실 나무가 포함된다.
WO 00/39249(PCT/JP99/07285)는 약효과를 가지고 있는 매실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공개하였는 바, "5배 체적량의 메틸 알코올을 사용하여 매실나무의 줄기와 잎 부위, 매실 씨앗과 매화로부터 추출물을 제조하며, 상기 추출물은 항산화, 위 점막 손상 억제, 알도스 환원 효소 억제, 혈당수치 상승 억제, 혈소판 응집 촉진, 알코올 흡수 억제, 항염증 등 역할을 수행”하는 특징을 설명하였다.
공개한 기술적 방안에 따르면, 공개된 매실 추출물은 알코올 추출법 또는 증류법으로 추출되었고, 매실나무의 잎과 줄기 부분의 메탄올 추출물에는 오환계 트리테르펜 화합물이 포함되었으며, 매화꽃의 메탄올 추출물에는 케르세틴 글리코시드 등 플라본류 물질이 함유되었지만, 추출 공법에 대한 체계적인 탐색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매실나무 추출물의 유효 가능 성분에 대한 수량화 데이터도 존재하지 않으므로, 유효 부분들의 확정 및 제제에 대한 표준화도 구현되지 못하고 있다.
상술한 메탄올 미정제 추출물은 분리 정제 단계를 거치지 않았으므로, 잡질의 함량이 높고 유효 성분의 함량이 낮으며, 색상이 짙고 제품의 흡습성이 아주 강해 보관하기 어려우며, 적응 처리성이 취약하다. 이와 동시에 사용하는 매실나무의 품종이 명확하지 않으므로 추출물을 의약 분야에 사용할 경우 식물 출처를 확정할 수 없어 약품의 유효성, 안전성과 안정성 이 3개 기본 요구를 보증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분야는 매실나무의 과일 부분을 제외한 대량의 폐기물로부터 한의학 현대화 공법, 수단을 이용하여 유효 부분들을 분리 추출하고 표준화 제제를 개발하며 매실나무 자원을 충분히 활용함으로써 환경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기술적 방안을 연구 개발하는 것이 시급히 해결하여야 할 기술적 과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매실나무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 매실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상기 매실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상기 매실나무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측면은 매실나무 추출물을 제공하며, 상기 매실나무 추출물에는 0.5-50 wt%의 스쿠알렌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함량은 추출물의 총 중량에 의거하여 계산된 것이다.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매실나무의 꽃, 가지와/또는 잎의 지용성 유효 부분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추출물에는 매실나무의 꽃, 가지와/또는 잎의 수용성 유효 부분이 함유되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지용성 유효 부분은 초임계 CO2 유체 추출물 또는 무극성과 저극성 유기용매의 추출물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지용성 유효 부분은 긴 사슬 알케인, 폴리엔, VE, 식물성 스테롤과 트리테르펜류 화합물도 함유한다.
상기 수용성 유효 부분은 알코올-물 추출물로서, 플라보노이드 글리코시드, 트리테르펜 사포닌과 유기산을 함유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수용성 유효 부분에는 0.5-10 wt%의 유기산이 함유되며, 상기 함량은 수용성 유효 부분의 총 중량에 의거하여 계산된 것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매실나무 추출물에는 아래 열 가지 화합물 중에서 최소 한 가지가 함유된다.
Figure pct00001
Ⅰ 스쿠알렌(Squalene)
Figure pct00002
Ⅱ 프리델린(Friedelin)
Figure pct00003
Ⅲ 피톨(Phytol)
Figure pct00004
Ⅳ 시토스테롤(sitosterol)
Ⅴ 구연산(Citric acid)
Ⅵ 주석산(Tartaric acid)
Ⅶ 사과산(Malic acid)
Figure pct00005
Ⅷ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Ⅸ 호박산(Succinic acid)
Figure pct00006
Ⅹ케르세틴(Quercetin) 및 그 파생물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매실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매실나무로서, 청매실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번째 측면은 (ⅰ) 초임계 CO2 유체 또는 무극성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매실나무 원료를 추출하고, 상기 원료에는 꽃, 가지와/또는 잎이 포함되며, 분리된 지용성 유효 부분이 매실나무 추출물이고, 그 중 상기 매실나무 추출물에는 0.5-50 wt%의 스쿠알렌이 함유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매실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매실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매실나무며, 청매가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무극성/저극성 유기용매는 헥산, 석유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이서, 아세톤, 6호 용매 또는 그 혼합물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방법은 (ⅱ) 알코올-물 용매로부터 단계 (ⅰ)에서 추출한 매실나무 원료로부터 수용성 유효 부분을 얻으며, 상기 수용성 유효 부분은 플라보노이드 글리코시드,트리테르펜 사포닌과 유기산을 함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알코올-물 용매는 0-50 v/v%의 에탄올 용액 또는 메탄올 용매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추출방법은 열역류 추출법, 극초단파 보조 추출법, 초음파 보조 추출법 또는 그 조합 추출법을 사용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진일보적으로 수용성 유효 부분을 정제하는 단계(ⅱ’)도 포함한다. 상기 정제 공법은 막 분리법, 크로마토 그래피 칼럼 또는 그 조합 정제공법으로부터 선택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추출 방법은 초임계 CO2 유체 추출로서, 그 조건은 아래와 같다. 즉, 추출 압력은 5-50MPa이고 추출 온도는 20-90℃이며, 분리 온도는 20-80℃이고 분리 압력은 2-10MPa이다. 순환시켜 동태적인 상태하에서 0.5-7시간 추출한다. 상기 무극성 유기용매의 추출은 함침법 또는 여과법을 사용한다. 함침 추출 온도와 함침 추출 시간은 각각 10-70℃, 0.2-48시간이며, 원료 및 함침액 배합 비율(W/V)은 1:3-30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알코올-물 용액의 추출 온도와 추출 시간은 각각 60-100℃, 0.1-5시간이며, 원료 및 함침액 배합 비율(W/V)은 1:3-30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측면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에는 매실나무 추출물이 함유되며, 상기 매실나무 추출물에는 0.5-50 wt%의 스쿠알렌이 함유된다. 상기 함량은 추출물의 총 중량에 의거하여 계산되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매실나무의 꽃, 가지와/또는 잎의 지용성 유효 부분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매실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매실나무며, 청매실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매실나무 과일 추출물, 소나무 꽃가루, 플라보노이드 또는 그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별도의 성분을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보건품 조성물, 식품 배합 원료 조성물, 식이 보충제 조성물, 천연 약품 원료 조성물 또는 화장품 기능성 성분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아래 제형으로부터 선택한다.
(ⅰ) 캡슐제, 연질 캡슐제, 분말, 정제, 과립, 경구용 액제, 스프레이, 크림, 유제, 액제 또는 겔제.
(ⅱ) 음료수 또는 술류
본 발명의 네 번째 측면은 상기 매실나무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매실나무 추출물은 프리라디칼 제거, 항산화, 항균, 민감성 체질 개선, 위장기능 개선, 혈액 산화 예방 및 치료, 혈액순환 촉진, 피로 회복, 스트레스 해소, 면역기능 증강, 지질대사 조정, 비만관리, 혈압 하강, 심뇌혈관 보호, 암 예방, 모발 성장 촉진 또는 탈모 방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보건품 조성물, 식품 배합원료 조성물, 식이 보충제 조성물, 천연 약품 원료 조성물 또는 화장품 기능성 성분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아래 제형으로부터 선택한다.
(ⅰ) 캡슐제, 연질 캡슐제, 분말, 정제, 과립, 경구용액제, 스프레이, 크림, 유제, 액제 또는 겔제.
(ⅱ) 음료수 또는 술류
상술한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은 매실나무의 과일 부분을 제외한 부분으로부터 유효 부분들을 추출한다.
도 1은 매화꽃 지용성 유효 부분(초임계 CO2 유체 추출물)을 도시한 GC-MS 분광 사진이다.
도 2는 매실나무 가지 지용성 유효 부분(초임계 CO2 유체 추출물)을 도시한 GC-MS 분광 사진이다.
도 3은 매실나무 잎 지용성 유효 부분(초임계 CO2 유체 추출물)을 도시한 GC-MS 분광 사진이다.
도 4는 매화꽃 수용성 유효 부분을 도시한 적외선 분광 사진이다. 브롬화 칼륨 정제약으로 처리한 후의 적외선 분광 사진으로부터 상기 추출물이 3404, 2929, 1606, 1516, 1403, 1270, 1078, 868, 818, 780과 612 ㎝-1 부근에 특징적인 흡수대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매실나무 가지 수용성 유효 부분을 도시한 적외선 분광 사진이다. 브롬화 칼륨 정제약으로 처리한 후의 적외선 분광 사진으로부터 상기 추출물이 3406, 2926, 1609, 1519, 1447, 1394, 1284, 1070과 611 ㎝-1 부근에 특징적인 흡수대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매실나무 잎 수용성 유효 부분을 도시한 적외선 분광 사진이다. 브롬화 칼륨 정제약으로 처리한 후의 적외선 분광 사진으로부터 상기 추출물이 3386, 2932, 1596, 1516, 1404, 1314, 1074, 776, 721, 611과 527 ㎝-1 부근에 특징적인 흡수대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매화꽃 수용성 유효 부분을 도시한 자외선 분광 사진이다. 추출물을 분광 계측법 메탄올에 용해한 후 190-700nm의 파장 범위 내에서 스캔한 결과 327nm 파장하에서 강렬 흡수 현상이 나타나고 290nm 파장하에서 차요적인 강렬 흡수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매실나무 가지 수용성 유효 부분을 도시한 자외선 분광 사진이다. 추출물을 분광 계측법 메탄올에 용해한 후 190-700nm의 파장 범위 내에서 스캔한 결과 280nm 파장하에서 강렬 흡수 현상이 나타나고 320nm 파장하에서 차요적인 강렬 흡수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9는 매실나무 잎 수용성 유효 부분을 도시한 자외선 분광사진이다. 추출물을 분광계측법 메탄올에 용해한 후 190-700nm의 파장 범위 내에서 스캔한 결과 322nm 파장하에서 강렬 흡수 현상이 나타나고 285nm 파장하에서 차요적인 강렬 흡수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인은 광범위하고 심도있는 연구를 거쳐 의외적으로 매실나무 추출물, 특히, 매실나무의 과일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비교적 풍부한 스쿠알렌을 함유하고 있으며 상기 스쿠알렌은 초임계 CO2 추출 또는 무극성 유기용매 추출로 취득한 지용성 유효 부분에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고 매실나무의 과일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알코올-물 용액으로 추출하여 수용성 유효 부분을 취득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인이 발견한 상기 유효 부분은 광범위한 생물적 용도를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매실나무(Prunus mume Sieb. Et Zucc)는 장미과(Rosaceae)의 앵두나무속에 속하는 식물이다. 본 발명이 사용할 수 있는 매실나무에는 백매실 나무, 청매실 나무와 홍매실 나무가 포함되며 그 가운데서 소산 대청매나무 중의 "대엽청"(Prunus mume 'Da Ye Qing'), "세엽청"(Prunus mume 'Xi Ye Qing'), "홍풍"(Prunus mume 'Hong Feng')과 "홍정"(Prunus mume 'Hong Ding') 등 청매실 나무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매실나무 추출물은 매실나무의 전부로부터 추출할 수 있으며 그 중 과일 부분을 제외한 부분으로부터 추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과일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는 매실나무의 꽃, 가지, 몽둥이, 뿌리 또는 잎이 포함되며 그 가운데서 매실나무의 꽃, 가지 또는 잎이 바람직하다.
매실나무 추출물
본 발명이 제공하는 매실나무 추출물에는 추출물에 의거하여 함량이 계산된 0.550%의 스쿠알렌이 함유된다(분자식Ⅰ).
Figure pct00007
Ⅰ 스쿠알렌(Squalene)
본 발명이 제공하는 매실나무 추출물에는 매실나무의 과일 부분을 제외한 유효 부분들, 즉, 지용성 유효 부분과 수용성 유효 부분의 추출물 또는 그 혼합물이 포함된다. 상기 지용성 유효 부분에는 긴 사슬 알케인, 폴리엔, VE, 식물성 스테롤과 트리테르펜류 화합물이 포함되며, 건조 기준에 의거하여 계산된(매화꽃, 매실나무 가지 또는/와 매실나무 잎) 지용성 유효 부분의 함량은 1-15%이다. 상기 수용성 유효 부분에는 플라보노이드 글리코시드,트리테르펜 사포닌과 유기산이 포함되며 건조 기준에 의거하여 계산된(매화꽃, 매실나무 가지 또는/와 매실나무 잎) 수용성 유효 부분의 함량은 1-20%이다. 플라보노이드 글리코시드가 수용성 유효 부분에서 차지하는 함량은 루틴에 의거하여 계산할 경우 5-70%이다.
본 발명은 제공하는 매실나무 추출물의 형태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분말, 겔제 또는 액제(페이스트 포함)가 모두 가능하다.
스쿠알렌은 주로 심해 상어의 간장으로부터 추출, 정제된 성분으로서 탄소 원소와 수소 원소(C30H50)의 유상 액체를 함유한다. 통상적인 동물성 유지는 저온하에서 덩어리로 응고되지만 스쿠알렌은 아주 낮은 온도에서도 응고되지 않는다. 많은 실험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증명되다시피, 심해 상어의 간장은 스쿠알렌을 함유하고 있지만 기타 물고리류의 간유에는 스쿠알렌 성분을 거의 함유하지 않는다.
심해 상어는 500미터 내지 1000미터의 해저에서 생존한다. 심해 상어가 생존하는 해저에는 태양 빛을 볼 수 없고 수온이 약 2℃ 내외이며 수압은 입방피트당 0.1 메트릭톤이다. 태양 빛을 볼 수 없으므로 식물과 부유 식물이 생존하기 어렵고 식물이 없어 광합 작용을 진행할 수 없으므로 산소가 아주 희박하다. 심해 상어가 이와 같이 열악한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는 완강한 생명력은 그의 거대한 간장에 스쿠알렌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스쿠알렌은 세포에게 대량의 산소를 공급하여 세포의 활력을 회복시키고 신체의 자연적 치유력을 증강시킬 수 있다.
스쿠알렌의 주요 기능은 아래와 같다.
(1) 혈액순환 촉진: 심장병, 고혈압, 저혈압 및 뇌졸증 등과 같이 혈액순환 불량으로 초래된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도울 수 있다.
(2) 신체 기능세포 활성화: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장염, 간염, 간경화, 폐렴 등과 같이 기능 세포 산소 부족으로 초래된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도울 수 있으며, 체질을 전면적으로 증강시키고 프리라디칼을 제거하며, 면역력을 증강시키고 질환 저항(항암 포함)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소염살균: 감기, 피부병, 귀/코/인두/후두 염증 등과 같이 세균으로 초래된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도울 수 있다. 외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칼에 맞은 상처, 화상 등을 치료할 수 있다. 외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캡슐을 바늘로 찔러 부순 다음 직접 바른다.
스쿠알렌을 얻자면 많은 심해 상어를 사냥해야 하므로 취득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해양생태도 파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최초로 장미과 앵두나무속 매실나무의 과일 부분을 제외한 부분으로부터 풍부한 스쿠알렌을 취득하여 식물원성 스쿠알렌의 신형 공급원을 제공하였다. 매실나무는 중국의 전통적인 재배 식물로서 유구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이미 대량적으로 재배되고 있다. 지금까지 매실나무의 과일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효과적으로 개발이용되지 못하고 있어 절대 대부분이 폐기되고 있으므로 자원을 심각하게 낭비할 뿐만 아니라 환경에 대해 불리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발명이 매실나무의 과일 부분을 제외한 부분으로부터 인출하여 취득되었으며, 우수한 생물적 효능을 지니고 있는 스쿠알렌은 상술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매실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이 제공하는 매실나무 추출물은 매실나무의 전부 부분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으며 그 가운데서 과일 부분을 제외한 부분으로부터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과일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는 매실나무의 꽃, 가지, 몽둥이, 뿌리 또는 잎이 포함된다. 매화꽃은 주로 과일이 맺히지 않은 꽃송이로부터 채집되며, 인공 채집한 후 햇볕에 말리거나 볶아 말리거나 불에 쬐어 말려 준비해 둔다. 매실나무 가지는 봄철에 쳐버린 영양 성분이 가득한 가지, 가을철에 자른 회초리일 수 있으며 매실나무를 채벌한 후의 몽둥이일 수도 있다. 상기 매실나무 가지는 햇볕에 말려 절단한 후 파쇄하여 사용한다. 매실나무 잎은 통상적으로 여름철과 가을철에 수집하며 햇볕에 말린 후 사용한다. 매실나무의 몽둥이와 뿌리는 채벌한 후의 매실나무로부터 얻는다.
본 발명이 사용하는 매실나무 원료는 전처리를 실시할 수 있으며 전처리를 실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10-20 메쉬의 파쇄 조각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 함량은 10%이하다.
본 발명이 사용하는, 스쿠알렌의 함량이 0.5-50%인 매실나무 추출물은 초임계 CO2 유체 또는 무극성 유기용매 추출을 통하여 취득할 수 있다. 초임계 CO2 유체 또는 무극성 유기용매 추출을 통하여 취득하면 매실나무 추출물 중의 기타 지용성 유효 성분도 취득할 수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초임계 추출의 추출 압력과 추출 온도는 각각 5-50MPa, 20-90℃이고 분리 온도와 분리 압력은 각각 20-80℃, 2-10MPa이다. 순환시켜 동태적인 상태하에서 0.5-7시간 추출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추출 압력과 추출 온도는 각각 15-35MPa, 40-70℃이고 분리 온도와 분리 압력은 각각 40-60℃, 4-8MPa이다. 순환시켜 동태적인 상태하에서 1-5시간 추출한다. 초임계 CO2 유체 추출 과정은 공지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 기술분야에 공지된 무극성 또는 저극성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헥산, 석유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이서, 아세톤, 6호 용매 또는 그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기술분야의 상규적인 기술적 수단으로 용매 추출을 실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함침법 또는 여과법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 온도, 추출 시간, 원료 및 함침액 배합 비율(W/V)은 각각 10-70℃, 0.2-48시간, 1:3-3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 20-50℃, 0.5-36시간, 1:5-20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매실나무 추출물 중의 수용성 유효 부분은 알코올-물 수용액을 통하여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매실나무 원료는 초임계 CO2 추출 또는 유기용매 함침 추출을 거친 후 원료로부터 용매를 제거하고 알코올-물 용액으로 추출한다. 상기 알코올-물 용액은 체적비례가 0-50%인 알코올 용액으로서, 에탄올, 메탄올 등과 같이 본 발명 기술분야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알코올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은 열역류 추출법, 극초단파 보조 추출법, 초음파 보조 추출법 또는 그 조합 추출법을 사용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극초단파 보조 추출 공법의 매개변수는 극초단파 복사 공율이 100-6000W이고 복사 시간이 2분-5시간이며 원료 및 함침액 배합 비율은 W/V:1:3-30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극초단파 복사 공율이 200-4000W고 복사시간이 5분-2시간이며 원료 및 함침액 배합 비율(W/V)은 1:5-20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초음파 보조 추출 공법은 원료 및 함침액 배합 비율은 1:3-30이고 초음파 공율은 50-800W이며 초음파 작용 시간은 0.2-5시간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초음파 보조 추출 공법은 원료 및 함침액 배합비율이 1:5-20이고 초음파 공율이 100-500W며 초음파 작용 시간은 0.5-3시간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알코올-물 수용액 추출로 취득한 수용액 유효 부분은 기타 고효율 분리 기술적 수단을 보조하여 진일보한 정제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 기술분야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기술적 수단에 의거하여 진일보한 분리 정제를 실시할 수 있으며, 그 가운데서 바람직하게, 막 분리법, 크로마토 그래피 칼럼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막 분리법은 말이식 한외여과막 시스템을 사용하며, 실시 압력와 실시 온도는 각각 0.3-3Mpa, 10-70℃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말이식 한외여과막 시스템은 실시 압력과 실시 온도가 각각 0.6-1Mpa, 20-50℃이다.
상기 매화꽃, 매실나무 가지와/또는 매실나무 잎의 지용성 유효 부분을 수용성 유효 부분과 합병하면 균질 혼합함으로써 매화꽃, 매실나무 가지와/또는 매실나무 잎의 유효 부분들을 취득할 수 있다.
조성물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은 매실나무 추출물 성분을 주요 성분 또는 유효 성분으로 사용한다. 상기 매실나무 추출물에는 매실나무의 과일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지용성 유효 부분, 매실나무의 과일 부분을 제외한 수용성 유효 부분, 매실나무의 과일 부분을 제외한 알코올 추출물, 매실나무의 과일 부분을 제외한 물 추출물, 매실나무 과일부분 추출물 또는 그 혼합물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 매실나무의 과일 부분을 제외한 지용성 유효 부분, 수용성 유효 부분과 매실나무 과일 추출물을 함유하며, 더욱 바람직하게, 매실나무의 과일 부분을 제외한 지용성 유효 부분과 수용성 유효 부분을 함유한다.
조성물 중 상기 매실나무 추출물은 아래 열 가지 화합물 중의 최소 한 가지를 함유한다.
Figure pct00008
Ⅰ 스쿠알렌(Squalene)
Figure pct00009
Ⅱ 프리델린(Friedelin)
Figure pct00010
Ⅲ 피톨(Phytol)
Figure pct00011
Ⅳ 시토스테롤(sitosterol)
Ⅴ 구연산(Citric acid)
Ⅵ 주석산(Tartaric acid)
Ⅶ 사과산(Malic acid)
Ⅷ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Ⅸ 호박산(Succinic acid)
Figure pct00013
Ⅹ케르세틴(Quercetin) 및 그 파생물
본 발명 기술분야 당업자라면 소나무 꽃가루, 플라보노이드 또는 그 혼합물과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인체에 필수적이거나 또는 인체에 유익한 기타 성분도 함유한다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각종 조성물은 본 발명 기술분야에 공지된 기술적 수단에 의거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활성 성분을 “약학적으로 허용”하거나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하는 성분과 혼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하거나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하는 성분은 인류와/또는 동물에 투여하여도 지나친 불량반응과 부작용(예를 들면, 독성, 자극과 변형 반응)이 발생하지 않는, 즉, 합리적인 효익 및 위험 비례가 존재하는 물질을 말한다.
“약학적으로 허용하는 벡터”는 치료제의 투약에 사용되는 벡터를 말하며, 각종 부형제와 희석제를 포함한다. 이 용어는 그 자체가 필요한 활성 성분은 아니지만 사용한 후 지나친 독성이 존재하지 않는 약물 벡터를 말한다. 적절한 벡터는 본 발명 기술분야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것이어야 한다.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Mack Pub.Co., N.J.1991)로부터 약학적으로 허용하는 부형제에 관한 논의를 충분히 찾아 볼 수 있다. 조성물 중의 약학적으로 허용하는 벡터는 물, 생리 식염수, 글리세린, 에탄올 등 액체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벡터에는 충전제, 붕해제, 윤활제, 활택제, 발포제, 침윤제 또는 유화제, 착향료, pH완화물질 등 보조성 물질이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방식에서, 상기 식품학적으로 허용하는 벡터 또는 부형제는 충전제, 붕해제, 윤활제, 활택제, 발포제, 착향료, 피복재료, 식이제품 또는 희석완화제/제어제로부터 선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의 제형을 특히 한정하지 않으며, 포유동물이 복용할 수 있는 제형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형은 캡슐제, 연질 캡슐제, 분말, 정제, 과립, 경구용 액제, 스프레이, 크림, 유제, 액제 또는 겔제 등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보건품 조성물, 식품 배합재료 조성물, 식이보충제 조성물, 천연 약물 원료 조성물 또는 화장품 기능성분 조성물을 포함하며, 보건 음료수, 술류 등일 수도 있다. 매실나무 추출물을 함유하거나 또는 기본상 매실나무 추출물로 조성되었다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매실나무 추출물의 용도
본 발명이 제공하는 매실나무 추출물은 프리라디칼 제거, 항산화, 항균, 민감성 체질 개선, 위장기능 개선, 혈액 산화 예방 및 치료, 혈액순환 촉진, 피로 회복, 스트레스 해소, 면역기능 증강, 지질대사 조정, 비만관리, 혈압 하강, 심뇌혈관 보호, 암 예방, 모발 성장 촉진 또는 탈모 방지 등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한 피험자에게 유효량의 상기 매실나무 추출물을 투여함으로써 상기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투여할 때 사용하는 매실나무 추출물의 유효량은 사용하는 방식과 치료하려는 질병의 심각 정도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인 상황은 피험자의 개체 상황에 의거하여 결정하며, 이와 같은 결정권은 숙련된 의사 또는 영양사들의 판단 범위 내에 속한다.
상기 내용에서 사용하는 용어 “유효량”은 인류와/또는 동물에 대해 기능 또는 활성을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류와/또는 동물이 접수할 수 있는 양을 말한다.
본 발명의 주요 장점은 아래와 같다.
1. 매실나무로부터, 특히 매실나무의 과일 부분을 제외한 부분으로부터 비교적 많은 양의 스쿠알렌을 추출한다.
2. 효과적인 추출 공법으로 매실나무의 과일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유효 부분들과 관련 제제의 표준화를 확정할 수 있다.
3. 약품이 유효성, 안전성 및 안정성 3개 기본 요구에 도달하도록 보증할 수 있다.
4. 기존에 폐기되었던 매실나무의 과일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충분히 활용하여 자원 낭비를 줄이고 환경보호에 이롭다.
5. 매실나무 자원의 이용도를 높이고 매실나무의 경제 효용을 향상시키며 농민의 수입증가에 이롭다.
아래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와 결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 기술분야 당업자라면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할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것이다. 아래 실시예에서 구체 조건을 명시하지 않은 실험방법은 통상적으로 상규적 조건 또는 제조업자가 제안한 조건에 의거한다. 별도로 설명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기타 경우의 모든 비례와 중량부는 중량에 의거하여 계산한다.
별도로 정의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이 사용하는 모든 전공과 과학용어는 본 발명 기술분야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의미와 동등하다. 또한 기재된 내용과 유사 또는 균등한 모든 방법과 재료는 모두 본 방법의 방법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설명한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방법과 재료는 시범 역할만 수행할 뿐이다.
측정방법
1. GC-MS 분석 방법
측 정기기: 6890-5973형 기체 크로마토 그래피 및 질량 분석기 연동 사용 시스템(미국 Agilent회사로부터 구매)
색층 분석 조건: HP5-MS 크로마토 그래픽 컬럼은 5% phenyl methyl siloxane, 30m × 250㎛ × 0.25㎛다. 견본 주입량은 1uL고 견본 주입구 온도는 270℃이다. 단계별로 승온함으로써 컬럼은 3분간 80℃를 유지한 후 분당 10℃의 속도로 80℃로부터 270℃로 상승한다. 헬륨가스의 유속은 1.0 mL/min이다.
질량 분석 조건: EI 이온화 소스 사용하며 소스 온도는 230℃이다. 전자 에너지는 70eV이고 증배관 전압은 1376eV이다. 질량 분석기 인터페이스 온도는 280℃이고 스캔 범위는 50.0-600.0m/z다.
2. 플라본 총량의 측정방법(질산 알루미늄아질산 나트륨 비색법, 루틴에 의거하여 계산함)
본 방법은 왕광아(王光亞) 편집장의 저작《보건식품 효과 성분 검사 측정 방법》(중국경공업출판사, 2002, pp2931)을 참조할 수 있다.
정밀 저울로 일정량의 견본 또는 표준품(루틴)을 달아 30%의 에탄올 용액으로 용해시켜 일정한 용량을 이루도록 한 후 적절한 농도까지 희석시켜 총 체적을 기록한다. 일정한 용량의 시료 용액에 5%의 아질산 나트륨 용액 0.3mL를 첨가하여 흔든 후 5분간 놓아둔다. 그 다음, 10%의 질산 알루미늄 용액 0.3mL를 첨가하여 흔든 후 6분간 놓아둔다. 1.0mol/L 수산화 나트륨 용액 2mL를 첨가하고 30% 에탄올로 일정한 용량까지 이루도록 하여 눈금까지 도달하도록 하며 테스트 용액을 담지 않은 관은 비워 둔다. 흔든 후 1㎝의 색상 대비 컵으로 510nm 파장하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흡수도를 종방향 좌표로 삼고 농도를 횡방향 좌표로 삼아 표준 곡선을 제작함으로써 플라본이 견본에서 점하는 총 함량을 계산한다.
플라본 총 함량(%)=(m1×V2)/(m×V1×106)×100
공식 중: m1 - 표준 곡선에 의거하여 계산한 테스트 용액 중 플라본 함량(ug)
m - 테스트 제품 견본 수량(g)
V1 - 테스트 용액으로부터 분할한 체적(mL)
V2 - 테스트 용액의 총 체적(mL)
3. 트리테르펜 총량의 측정방법
정밀 저울로 일정량의 견본 또는 표준품(진세노사이드 Re)을 달아 디클로로메탄으로 용해한 후 일정한 용량을 이루도록 한 후 각각 10mL 밀폐 시험관 안에 넣어 용매를 완전히 휘발시킨다. 5% 바닐린 빙초산 용액 0.2mL와 과염소산 0.8mL를 첨가하여 (60±1)℃ 수조에서 15분간 가열한 후 즉시 꺼내 다시 냉수로 냉각시킨다. 그 다음, 5mL 빙초산을 첨가하여 균질상태로 될 때까지 흔들어 준다. 분광 광도법에 의거하여 560nm 파장하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흡광도를 종방향 좌표로 삼고 농도를 횡방향 좌표로 삼아 표준 곡선을 제작한 후 플라본이 견본에서 점하는 총 함량을 계산한다.
트리테르펜 사포닌의 함량(%)=(m1×V2)/(m×V1×106)×100
공식 중: m1 - 표준 곡선에 의거하여 계산한 테스트 용액 중 트리테르펜 사포닌 함량(ug)
m - 테스트 제품 견본 수량(g)
V1 - 테스트 용액으로부터 분할한 체적(mL)
V2 - 테스트 용액의 총 체적(mL)
4. 산성 총량의 적정 방법
적절한 양의 견본에 이산화탄소가 함유되지 않은 소량의 증류수를 첨가한 후 상기 견본을 용량이 250mL인 병에 넣고 용해시킨다. 그 다음, 75-80℃의 수조에서 0.5시간 가열하고 냉각시켜 일정한 용량을 이루도록 한 후 건조한 여과지로 여과하여 초기 용액은 버리고 여과액을 수집한다. 제조한 여과액 50mL를 정확하게 흡취한 후 페놀프탈레인 지시제 2-3방울을 떨어뜨리며 0.1mol/L 표준 알칼리성 용액을 옅은 붉은 색이 30초간 퇴색되지 않을 때까지 떨어뜨리고 용량을 기록하는 동시에 블랭크 테스트를 실시한다. 아래 공식에 의거하여 견본에 포함된 산성의 함량을 계산한다.
총 산도(%)=C×(V1-V2)×K×V3×100/(m×V4)
공식중: C -표준 수산화 나트륨 용액의 농도(mol/L)
V1 - 적정이 소모한 표준 알칼리성 용액의 체적(mL)
V2- 블랭크가 소모한 표준 알칼리성 용개의 체적(mL)
V3 - 견본 희석액의 총 체적(mL)
V4 - 적정 시 흡취한 견본 용액의 체적(mL)
M - 견본의 품질 또는 체적(g 또는 mL)
K=0.064
5. 유기산의 HPLC 측정방법
기기 조건: Waters 2695 고효율 액체 크로마토 그래피, Waters 2996 다이오드 어레이 검사기 및 C18 크로마트 그래픽 칼럼.
색층 분석 조건: 이동상은 3% 메탄올과 0.01mol/L KH2PO4 수용액(pH 수치=2.85)이고 유속은 1mL/min이며, 칼럼 온도는 30℃이고 측정 파장은 210nm이며 견본 주입량은 20uL이다.
전처리 방법: 청매실 나무의 꽃, 가지, 잎 추출물 분말을 각각 2g씩 준비하여 50 mL 초순수 물에 용해시킨 후 여과하여 견본을 준비한다. 그 다음 견본에 함유되어 있는 주석산, 사과산, 유산, 초산, 구연산, 호박산, 아스코르브산, 말레산, 옥살산, 푸마르산 및 클로로겐산의 함량을 측정한다.
실시예 1
매화꽃 추출물
소산 대청매 대엽청(Prunus mume 'Da Ye Qing')의 꽃을 사용한다. 수집, 건조단계를 거쳐 10메쉬 내외의 미정제 분말로 분쇄한 후 그 중의 1.5㎏을 CO2 초임계 추출 가마에 넣고 추출한다.
추출 조건: 추출 압력과 추출 온도는 각각 35MPa, 60℃이고 분리 온도와 분리 압력은 각각 40℃, 4MPa다. 순환시켜 동태적인 상태하에서 2시간 추출함으로써 분리 가마로부터 매화꽃 지용성 추출물 72g을 얻는다[DietmateTM(항주우미특과기유한회사 상표)-F01].
표 1과 도 1이 설명하다시피, GC-MS 분석 결과, 그는 주로 긴 사슬 알케인, 폴리엔, VE, 식물성 스테롤과 트리테르펜류 화합물을 함유하였으며, 그 중, 특징성 화합물 스쿠알렌(트리아콘타헥사엔)이 지용성 유효 부분에서 점하는 함량은 질량 분율이 1.04%다.
추출 가마로부터 추출 잔류물을 꺼낸다. 추출 잔류물은 30%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열역류 추출법으로 추출한다.
추출 조건: 80℃ 온도 환경하에서 열역류 추출법으로 2시간 추출하며 원료 및 함침액 배합 비율(W/V)을 1:10으로 설정함으로써 매화꽃 수용성 추출물 114g(DietmateTM-F02)을 얻는다.
표 2가 설명하다시피, 분석 결과, 그가 함유하고 있는 플라본 총량, 트리테르펜 사프닌 총량, 산성 총량은 각각 18.84%, 7.08%, 5.64%이다.
적외선 분광법으로 분석한 결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출물은 3404, 2929, 1606, 1516, 1403, 1270, 1078, 868, 818, 780, 612㎝-1 부근에 특징적인 흡수대가 존재한다. 자외선 분광법으로 분석한 결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327nm 파장하에서 강렬 흡수 현상이 나타나고 290nm 파장하에서 차요적인 강렬 흡수 현상이 나타난다.
F01과 F02를 합병하여 매화꽃의 유효 부분들을 얻는다(DietmateTM-F0).
실시예 2
매실나무 가지 추출물
소산 대청매 대엽청(Prunus mume 'Da Ye Qing')의 가지를 사용한다. 수집, 건조단계를 거쳐 10메쉬의 미정제 분말로 분쇄한 후 그 중의 1.5㎏을 CO2 초임계 추출 가마에 넣고 추출한다.
추출 조건: 추출 압력과 추출 온도는 각각 30MPa, 55℃이고 분리 온도와 분리 압력은 각각 45℃, 4MPa이다. 순환시켜 동태적인 상태하에서 2시간 추출함으로써 매실나무 가지 지용성 추출물 64.5g을 얻는다[DietmateTM-B01].
표 1과 도 2가 설명하다시피, GC-MS 분석 결과, 그는 주로 긴 사슬 알케인, 폴리엔, VE, 식물성 스테롤과 트리테르펜류 화합물을 함유하였으며, 그 중, 특징성 화합물 스쿠알렌(트리아콘타헥사엔)이 지용성 유효 부분에서 점하는 함량은 질량 분율이 4.87%다.
추출 가마로부터 추출 잔류물을 꺼낸다. 추출 잔류물은 30%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열역류 추출법으로 추출한다.
추출 조건: 80℃ 온도 환경하에서 2시간 추출하며 원료 및 함침액 배합 비율을 1:15로 설정함으로써 매실나무 가지 수용성 추출물 24g(DietmateTM-B02)을 얻는다.
표 2가 설명하다시피, 분석 결과, 그가 함유하고 있는 플라본 총량, 트리테르펜 사프닌 총량, 산성 총량은 각각 40.59%, 19.07%, 3.70%이다.
적외선 분광법으로 분석한 결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출물은 3406, 2926, 1609, 1519, 1447, 1394, 1284, 1070과 611㎝-1 부근에 특징적인 흡수대가 존재한다. 자외선 분광법으로 분석한 결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80nm 파장하에서 강렬 흡수 현상이 나타나고, 320nm 파장하에서 차요적인 강렬 흡수 현상이 나타난다.
B01과 B02를 합병하여 매실나무 가지의 유효 부분들을 얻는다(DietmateTM-B0).
실시예 3
매실나무 잎 추출물
소산 대청매 홍정(Prunus mume 'Hong Ding') 품종의 잎을 사용한다. 수집, 건조 단계를 거쳐 10메쉬의 미정제 분말로 분쇄한 후 그 중의 1.5㎏을 CO2 초임계 추출 가마에 넣고 추출한다.
추출 조건: 추출 압력과 추출 온도는 각각 35MPa, 55℃고 분리 온도와 분리 압력은 각각 40℃, 6MPa이다. 순환시켜 동태적인 상태하에서 2시간 추출함으로써 매실나무 잎 지용성 추출물 97.5g을 얻는다[DietmateTM-L01].
표 1과 도 3이 설명하다시피, GC-MS 분석 결과, 그는 주로 긴 사슬 알케인, 폴리엔, VE, 식물성 스테롤과 트리테르펜류 화합물을 함유하였으며, 그 중, 특징성 화합물 스쿠알렌(트리아콘타헥사엔)이 지용성 유효 부분에서 점하는 함량은 질량 분율이 44.15%다.
추출 가마로부터 추출 잔류물을 꺼낸다. 추출 잔류물은 30%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열역류 추출법으로 추출한다.
추출 조건: 70℃ 온도 환경하에서 3시간 추출하며 원료 및 함침액 배합 비율을 1:12로 설정함으로써 매실나무 잎 수용성 추출물 168g(DietmateTM-L02)을 얻는다.
표 2가 설명하다시피, 분석 결과, 그가 함유하고 있는 플라본 총량, 트리테르펜 사프닌 총량, 산성 총량은 각각 30.46%, 4.93%, 5.96%다.
적외선 분광법으로 분석한 결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출물은 3386, 2932, 1596, 1516, 1404, 1314, 1074, 776, 721, 611, 527㎝-1 부근에 특징적인 흡수대가 존재한다. 자외선 분광법으로 분석한 결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322nm 파장하에서 강렬 흡수 현상이 나타나고, 285nm 파장하에서 차요적인 강렬 흡수 현상이 나타난다.
L01과 L02를 합병하여 매실나무 가지의 유효 부분들을 얻는다(DietmateTM-L0).
청매실의 과일 부분을 제외한 지용성 유효 부분(초임계 CO2 추출물) GC-MS 분석 결과
보류시간
(분)
합성하려는 화합물 합성하려는 화합물의 상대적 함량(%)
영문 명칭 한글 명칭 DietmateTM-B01 DietmateTM-L01 DietmateTM-F01
14.00 3-Allyl-6-met 3-알릴-6-a 1.14
24.10 benzyl 벤질 0.13 3.71
26.85 Nonadecane 노나데칸 0.22 0.14 1.49
28.17 n-Hexadecanoic 헥사데칸산 1.21 0.92
30.86 Heneicosane 헤네이코산 1.55 0.24 12.49
31.16 Phytol 피톨 0.49 6.3 0.89
34.53 Octadecane 옥타데칸 2.44 0.46 8.8
37.91 Eicosane 에이코산 3.82 1.37 5.41
38.78 Bis(2-ethylhe) 디옥틸 에스테르 0.51 0.99 0.52
39.44 Cyclotetracosane 고리형 테트라코세인 1.75 0.83 1.23
41.07 Docosane 도코세인 10.29 2.83
42.47 Cyclooctacosa 고리형 옥탄 2.3 0.87
43.04 Squalene 트리아콘타헥사엔(스쿠알렌) 4.87 44.15 1.04
43.99 Nonacosane 노나코세인 9.85 3.62 6.26
45.31 1-Nonadecene 1-노나데켄 1.53
45.95 1,19-Eicosane diene 1,19-에이코산 다이엔 2.02 0.62
46.73 Octacosane 옥타코세인 5.58 3.04 2.31
47.56 Vitamin E 비타민E 2.58 10.37 1.07
49.99 Hexacosane 헥사코세인 1.16
50.91 Stigmasterol 스티그마스테롤 7.64
51.09 γ.-sitosterol γ.-시토스테롤 0.11 3.14 2.41
51.71 β.-Amyrin β.-아미린 2.03 1.14
52.19 D:CFriedoole 4.05 2.95
52.7 α-Amyrin α-아미린 2.28
53.89 Stigmast-4-ene 스티그마스트-4-ene 1.21 0.37
56.09 Friedelin 프리델린 6.24 1.57 2.01
청매실 나무의 과일부분을 제외한 수용성 유효 부분(30%에탄올 추출물) 성분 분석(%)
원료 부분 플라보노이드 글리코시드 총량
(루틴 기준 계산)
트리테르펜 사포닌 총량
(진세노사이드 기준 계산)
유기산 총량
(구연산 기준계산)
매화꽃
(DietmateTM-F02)
18.84 7.08 5.96
매화나무 가지
(DietmateTM-B02)
40.59 19.07 3.79
매화나무 잎
(DietmateTM-L02)
30.46 4.93 5.65
(주석: 3개 제품 코드는 DietmateTM-F02, DietmateTM-B02, DietmateTM-L02임)
청매실 나무의 과일 부분을 제외한 수용성 유효 부분 중 유기산의 HPLC 측정결과
옥살산 주석산 사과산 아스코르브산 유산 초산 구연산 말레산 호박산 클로로겐산
DietmateTM-F02 0.025 0.086 0.010 3.18
DietmateTM-B02 0.068 2.148 0.563 0.028 2.698 0.010 0.380 0.57
DietmateTM-L02 1.803 0.235 0.653 0.063 0.762 0.738 1.260 0.463 0.43
실시예 4
매화꽃 추출물
소산 대청매 홍풍(Prunus mume 'Hong Feng') 품종의 꽃을 사용한다. 수집, 건조 단계를 거쳐 10 메쉬의 미정제 분말로 분쇄한 후 그 중의 1.5㎏을 추출 탱크에 넣고 헥산을 첨가하여 함침 추출한다.
함침 추출 조건: 25℃ 온도 환경하에서 4시간 추출하며, 원료 및 함침액 배합 비율(W/V)은 1:10이다. 추출액을 취득한 후 헥산을 회수하여 매화꽃 지용성 추출물(DietmateTM-F11) 85g을 얻는다.
매화꽃 찌꺼기는 용매를 완전히 휘발시킨 후 순수 물을 첨가하고 극초단파 보조 추출법으로 추출한다.
추출 공법: 극초단파의 복사 공율과 복사 시간은 각각 2000W, 30분이며 원료 및 함침액 배합 비율은 1:12이다. 농축, 건조 단계를 거쳐 추출액으로부터 매화꽃 수용성 추출물(DietmateTM-F12) 102g을 얻는다.
F11과 F12를 합병하여 DietmateTM-F1을 얻는다.
실시예 5
매실나무 가지 추출물
소산 대청매 대엽청(Prunus mume 'Da Ye Qing') 품종의 가지를 사용한다. 수집, 건조 단계를 거쳐 10 메쉬의 미정제 분말로 분쇄한 후 그 중의 1.5㎏을 추출 탱크에 넣고 석유 에테르를 첨가하여 함침 추출한다.
함침 추출 조건: 20℃ 온도 환경하에서 3시간 추출하며, 원료 및 함침액 배합 비율은 1:15이다. 추출액을 취득한 후 석유 에테르를 회수하여 매실나무 가지 지용성 추출물(DietmateTM-B11) 65g을 얻는다.
매실나무 가지 찌꺼기는 용매를 완전히 휘발시킨 후 50% 에탄올을 사용하여 열역류 추출법으로 추출한다.
추출 공법: 원료 및 함침액 배합 비율은 1:13이다. 80℃ 온도 환경하에서 2시간 추출한다. 막 분리, 농축, 극초단파 진공 건조 단계를 거쳐 추출액으로부터 매실나무 가지 수용성 추출물(DietmateTM-B12) 20.7g을 얻는다.
B11과 B12를 합병하여 DietmateTM-B1을 얻는다.
실시예 6
매실나무 잎 추출물
소산 대청매 세엽청(Prunus mume 'Xi Ye Qing') 품종의 잎을 사용한다. 수집, 건조 단계를 거쳐 10 메쉬의 미정제 분말로 분쇄한 후 그 중의 1.5㎏을 추출 탱크에 넣고 에테르를 첨가하여 함침 추출한다.
함침 추출 조건: 20℃ 온도 환경하에서 1.5시간 추출하며, 원료 및 함침액 배합 비율은 1:16이다. 추출액을 취득한 후 에테르를 회수하여 매실나무 가지 지용성 추출물(DietmateTM-L11) 102.6g을 얻는다.
매실나무 잎 찌꺼기는 용매를 완전히 휘발시킨 후 순수 물을 사용하여 초음파 보조 추출법으로 추출한다.
추출 공법: 원료 및 함침액 배합 비율은 1:10이다. 초음파 공율은 500W이고 초음파 작용 시간은 1시간이다. 여과, 거대 세공 수지 흡착 분해, 농축, 분무 건조단계를 거쳐 추출액으로부터 매실나무 잎 수용성 추출물(DietmateTM-L12) 178.4g을 얻는다.
L11과 L12를 합병하여 DietmateTM-L1를 얻는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 2 및 3이 제조한 DietmateTM-F02, B02와 L02의 프리라디칼 제거(DPPH, OH와 O2) 활성을 측정한다.
측정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DPPH 프리라디칼에 대한 제거 역할
정밀 저울로 20㎎ DPPH를 달아 무수 에탄올로 250mL 용량 병속에서 일정한 용량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농도가 2×10-4mol/L의 DPPH 용액을 얻는다. DPPH 용액이 517nm 파장하에서 나타나는 특징적 흡수대를 이용하여 721 자외선 가시 광선 분광 광도계로 시제(매실나무 추출물 시리즈) 및 그 대비품(대나무 잎 항산화 물질)을 첨가한 후 A517의 하강 수치를 측정함으로써 그가 DPPH 프리라디칼에 대한 제거 능력의 강도를 표시한다. 반응 총 체적은 3mL며, 표 4에 명시된 내용에 따라 견본을 첨가하고 균질 상태로 혼합하여 30분 반응시킨 후 517nm 파장하에서의 흡광 수치 변화를 측정한다. 아래 공식에 따라 항산화 물질이 DPPH에 대한 억제율을 계산한다.
억제율(%)=1-[DPPHㆍ]t/[DPPHㆍ]t=0×100
공식중: [DPPHㆍ]t=0 - 제로 타임 시스템 중 DPPH의 최초 농도
[DPPHㆍ]t - t 타임 시스템 중 DPPH의 최초 농도
측정 결과는 표 4에 명시된 바와 같이, 청매실 나무가지 추출물이 DPPH에 대한 제거 능력은 대나무 잎 항산화 물질보다 강렬하며, 그의 IC50(제어률이 50%일 경우의 시제 농도)는 19.18㎍/mL이다.
(2) 히드록실 라디칼에 대한 제거 역할
Vc-Cu2 +-H2O2 -자이모산 시스템으로 OH를 생산하고 각각 상이한 농도의 견본0#과 1#로 억제하며 화학 발광법으로 측정함으로써 매 6초의 발광 강도 적분(CP6S)을 기록한다. 블랭크는 0.05mol/L pH 7.8의 PBS 대체 견본을 사용한다. 시제가 발광 강도에 대한 억제율에 의거하여 그의 OH 제거 능력을 표시한다. 억제율(I)의 계산방법은 아래와 같다.
억제율(%)=(CP6S 블랭크-CP6S 견본)×100/CP6S 블랭크
억제율이 50%일 경우의 시제 농도가 반억제 농도로서 IC50을 기록한다. 그 수치가 작을수록 그의 항산화 성능도 강하다는 것을 설명한다. 시제 농도와 억제율 간의 1급 반응 선형 회귀 방정식에 의거하여 IC50을 구하고 시제와 대비품의 OH 제거 능력 강도를 대비한다.
측정 결과는 표 4를 참조한다.
(3) 과산화 음이온 라디칼에 대한 제거 역할
피로갈롤-Luminol 발광 시스템으로 O2 -를 생산하고 각각 상이한 농도의 견본0#과 1#로 억제하며 화학 발광법으로 측정함으로써 매 36초의 발광 강도 적분(CP36S)을 기록한다. 블랭크는 0.05mol/L pH7.8의 PBS 대체 견본을 사용한다. 시제가 발광 강도에 대한 억제율에 의거하여 그의 O2 - 제거 능력을 표시한다. 억제율(I)의 계산 방법은 OH 제거 능력에 대한 측정과 같다. 시제 농도와 억제율 간의 1급 반응 선형 회귀 방정식에 의거하여 IC50을 구하고 시제와 대비품의 O2 - 제거 능력 강도를 대비한다.
측정 결과는 표 4를 참조한다.
(4) 총 항산화 능력의 측정
인체에는 많은 항산화 물질이 존재하지만 Fe3 +를 Fe2 +로 환원시킬 수 있다. 후자는 페난트롤린 물질과 함께 안정된 착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비색을 통하여 그의 항산화 능력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남경건성생물공정연구소가 출시한 혈청(혈장) 중 총 항산화 능력 테스트 시제함을 이용하여 청매실나무 가지 추출물이 혈청 중에서의 총 항산화 능력을 측정한다.
결과는 표 5를 참조한다.
매실나무 추출물이 라디칼에 대한 제거 역할(IC50, ㎍/mL)
그룹별 DPPHㆍ ㆍOH O2 -
대나무잎 항산화 물질(AOB) 193.72
청매실나무 매화꽃 추출물
(DietmateTM-F02)
162.86 4.74 35.28
청매실나무 가지 추출물
(DietmateTM-B02)
89.41 2.52 7.32
청매실나무 잎 추출물
(DietmateTM-L02)
243.79 9.74 129.20
매실나무 추출물의 총 항산화 능력 측정[A520(측정)-A520(블랭크)]
견본 농도
(㎍/mL)
매실나무 가지 추출물
DietmateTM-B02
매실나무 잎 추출물
DietmateTM-L02
매화꽃 추출물
DietmateTM-F02
블랭크 0.138 0.138 0.138
25 0.396* 0.381* 0.432*
50 0.685* 0.376* 0.712*
100 1.047* 1.048* 1.067*
150 1.134* 1.368* 1.281*
블랭크와 대조한 결과, *p<0.05.
결과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DietmateTM-F02, DietmateTM-B02과 DietmateTM-L02는 비교적 우수한 DPPH/OH/O2 - 제거 능력을 구비하고 있다. 블랭크와 대조할 경우 DietmateTM-F02, DietmateTM-B02과 DietmateTM-L02는 모두 혈청의 총 항산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p<0.05).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1, 2와 3이 제조한 DietmateTM-F02과 DietmateTM-L02의 인간 유리 모낭 성장 촉진 역할을 측정한다.
측정 방법은 아래와 같다.
현미분리법으로 인간의 유리 모낭을 분리한 후 유리 모낭을 한 홀에 1-2개 접종하는 기준으로 48홀 플레이트에 접종한다. 매개 그룹은 8개 다중 홀로 구성되었다. M199 배지로 배양하고 견본과 배지는 1:19 비율로 혼합 배지로 제작하여 배양하며 하루건너 한 번씩 배양액을 교체한다. 유리 모낭을 접종한 첫 번째 날부터 하루건너 한 번씩 접안 렌즈로 측정하고 마이크로 미터로 유리 모낭의 전체 길이와 모간의 전체 길이를 측량한다. 모두 5번 측정하며 아홉 번째 날과 첫 번째 날의 모낭 및 모간 길이차(mm)를 계산한다.
결과는 표 6을 참조한다.
매실나무 추출물이 인간 유리 모낭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χ±SD, n=8)
시제 그룹별
(최종 농도, ㎍/mL)
모발 성장 길이
(mm)
모간 성장 길이
(mm)
블랭크 대조 -- 0.345±0.113 0.336±0.130
DietmateTM-F02 5.45 0.567±0.148** 0.575±0.218*
54.5 0.495±0.180* 0.421±0.184*
545 0.322±0.174 0.350±0.155
DietmateTM-L02 5 0.071±0.040 0.000±0.035
50 0.486±0.128* 0.433±0.139*
500 0.272±0.175 0.222±0.137
블랭크와 대조한 결과, *p<0.05, **p<0.01.
결과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DietmateTM-F02의 저투여량 그룹(5.45㎍/mL)은 유리 모낭의 성장에 대해 뚜렷한 촉진 역할을 하며, DietmateTM-L02 중간 투여량 그룹(50㎍/mL)은 유리 모낭의 성장에 대해 비교적 뚜렷한 촉진 역할을 한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1, 2와 3이 제조한 DietmateTM-F02, DietmateTM-B02과 DietmateTM-L02의 자외선 복사 방지 역할을 연구한다.
연구 방법은 아래와 같다.
DietmateTM-F02, DietmateTM-B02과 DietmateTM-L02를 준비하고 에탄올을 첨가하여 상이한 농도에 도달하도록 일정한 용량을 이루도록 한 후 각각 100-400nm 파장 범위 내에서 자외선으로 스캔한다.
결과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DietmateTM-F02(1㎎/mL)는 290-370nm 파장 범위 내의 자외선에 대한 흡수 능력이 아주 강하고, DietmateTM-B02(1㎎/mL)는 290-355nm 파장 범위 내의 자외선에 대한 흡수 능력이 아주 강하며, DietmateTM-L02(1㎎/mL)는 290-350nm 파장 범위 내의 자외선에 대한 흡수능력이 아주 강하다.
실시예 10
상기 실시예 1, 2와 3이 제조한 DietmateTM-F02, DietmateTM-B02과 DietmateTM-L02의 미백 역할을 측정한다.
측정 방법은 아래와 같다.
색소 세포내의 멜라닌소체가 흑색소로 합성될 때의 주요 효소는 티로시나아제다. 견본이 티로시나아제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그의 미백 효과를 평가한다. 1mL 시액에 티로시나아제 용액 0.5mL와 인산염 완충액 0.9mL를 첨가하고 25℃ 온도 환경하에 10분간 습도를 유지한 후 다시 25℃의 보습 환경하에 시제 1mL를 상기 반응 혼합액에 첨가한다. 5분간 반응시킨 후 475nm 파장하에서 흡광도 D1을 측정한다. 또 다른 실험은 활성을 잃은 효소를 사용하여 동등한 반응을 일으키고 475nm 파장하에서 흡광도 D2를 측정하는 동시에 시액을 첨가하지 않은 상황에서 흡광도 D3을 측정함으로써 시제가 티로시나아제에 대한 억제율을 계산한다.
억제율(%)=(D3-D1)×100/(D3-D2)
활성 억제는 통상적으로 IC50으로 표시하며, 반억제 농도를 말한다.
결과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DietmateTM-F02, DietmateTM-B02과 DietmateTM-L02는 모두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뚜렷하게 억제하며 그의 반억제 농도는 각각 6.59, 2.37과 4.41㎎/mL이다.
실시예 11
아래 배합 비례(표 7)에 의거하여 실시예 3이 제조한 매실나무 잎 초임계 추출물(DietmateTM-L01, 스쿠알렌 함량 44.15%)을 연질 캡슐제로 제조한다.
연질 캡슐 배합 방법
구성 중량(%)
DietmateTM-L01 90
젤라틴 적절량
글리세린 적절량
탈이온수 잔류량
본 발명인은 10명의 피험자에게 상기 연질 캡슐을 하루에 2알씩 복용시켰다. 그 결과, 상기 연질 캡슐은 뚜렷한 면역력 향상, 체질 증강, 산소 부족 상태 개선, 대뇌 및 온몸 피로 해소, 정력 보강, 콜레스테롤 하강, 심뇌혈관 질환 예방 및 치료, 세포 대사 가속화, 궤양 치유 촉진, 피부보호 및 미용 등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2가 제조한 DietmateTM-B0과 파쇄 소나무 꽃가루를 주요 원료로 사용하여 아래 배합 방법에 따라 정제를 제조한다. 정제 한알의 중량은 2g이다. 배합 방법은 표 8을 참조한다.
정제 배합 방법(평면형 스탬핑과 아치형 스탬핑)
(평면형 스탬핑)주요 보조 원료 용량(g) (아치형 스탬핑)주요 보조 원료 용량(g)
DietmateTM-B0 500 DietmateTM-B0 500
소나무 꽃가루 500 소나무 꽃가루(파쇄) 500
마니톨 600 젤라틴화 전분 200
소르비톨 600 미세 결정 섬유소 200
사과산 60 사과산 50
5%폴리비닐피롤리돈
50% 물/알코올 용액
적절량 5%폴리비닐피롤리돈
50% 물/알코올 용액
적절량
아스파르테임 15 저치환도 하이드록시 프로필 섬유소 5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
카르복시 메틸 스타치 나트륨 50
1000정 제조 1000정 제조
본 발명인은 20명 피험자에게 매일 2정 복용시켰다. 그 결과, 제조한 정제는 인체 면역력을 뚜렷하게 증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실시예 13
실시예 3이 제조한 DietmateTM-L0과 플라보노이드를 원료로 삼고(1:1) 그 어떤 기타 성분도 첨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0호 캡슐을 제조한다. 캡슐 한알의 순 중량은 300㎎이다.
본 발명인은 6명 피험자에게 매일 6알 복용시켰다. 그 결과, 상기 캡슐은 인체 면역력을 뚜렷하게 증강시킬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실시예 14
실시예 2가 제조한 DietmateTM-B02를 원료로 삼고 매화 에센스, 설탕, 천연 시클라멘산 나트륨, 구연산 등 보조 재료를 다시 첨가하여 음료수를 제조한다. 그 중량 배합 비례는 아래와 같다. 즉, 1000g 식용수를 DietmateTM-B02 2-6g, 매화 에센스 1-3g, 식용 설탕 20-40g, 천연 시클라멘산 나트륨 1-3g과 구연산 1-2g을 배합한다. 배합 제조 과정에는 원료 배합, 여과, 균질 살균, 밀봉 포장 및 품질 검사가 포함된다. 본 발명인은 12명 피험자에게 매일 500mL 복용시켰다. 그 결과, 상기 제품은 남녀노소에게 모두 이로운 건강 음료수로서 알칼리성 식품에 속하며 혈액 산성화 방지, 인체 면역력 증강, 아건강 상태 개선 및 지력 향상 등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실시예 15
실시예 1이 제조한 DietmateTM-F02(100g)를 원료로 삼고 알코올 농도가 18%인 황주 1000L를 직접 첨가하여 충분히 용해, 균질 혼합한 후 병에 담아 포장함으로써 노화방지 등 보건역할을 할 수 있는 매화꽃 양생술을 제조한다.
실시예 16
실시예 1이 제조한 DietmateTM-F01(100g)을 사용하고 상규적 공법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향수를 제조한다. 상기 향수는 우아한 매화꽃 향기를 풍기고 항균, 소염 역할을 할 수 있다.
향수 배합 방법
성분 중량(%)
DietmateTM-F01 0.2-1.5
관중 추출물 0.5-4.5
쌍화 추출물 0.2-2.5
황기 추출물 3-2.5
판람근 추출물 0.3-3.5
건강 추출물 2-2.5
박하 0.1-1.5
에탄올 65-95
향료 3-10
탈이온수 잔류량
실시예 17
실시예 1이 제조한 DietmateTM-F02를 사용하고《화장품》(서연평, 두미미, 2003 버전, 과학기술문헌출판사)에 명시된 발모제 상규적 공법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를 제조한다. 10명 피험자(연령은 45-67세)에게 하루건너 한 번씩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로 머리를 씻게 하였다. 연속 2개월간 매번마다 5mL씩 시범 사용한 결과, 상기 발모제는 탈모 방지, 모발 성장 촉진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발모제 배합 방법
성분 중량(%)
DietmateTM-F02 0.1
파라핀 1.2
카르나우바 왁스 1.2
레티노산 0.005
아세틸화 코모넛 아민 2.4
다분자 증점제(Carbopol 941) 1.2
방부제 적절량
향료 적절량
항산화제 적절량
탈이온수 잔류량
실시예 18
실시예 2가 제조한 DietmateTM-B02를 사용하고 《화장품 원리, 배합 방법, 생산 공법》(왕배의, 2003년 버전, 화학공업출판사)에 명시된 선크림 상규적 공법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크림을 제조한다. 10명 피험자(여성)에게 시범 사용하도록 하였다. 연속 1개월간 매일 외출하기 전에 손등에 바른 결과 상기 선크림은 뚜렷한 자외선 차단, 피부 미백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선 크림 배합 방법
성분 중량(%)
DietmateTM-B02 2.5
옥틸 팔미테이트 5.0
글리세롤 모노 스테아레이트 4.0
옥타데카놀 2.0-4.0
디메틸 실리콘 오일 2.0-4.0
양모유 3.0-5.0
밀랍 10
폴리옥시에틸렌 무수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3.0-5.0
비타민E 아세테이트 0.1-0.2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0.2-0.3
향료 0.5-1.0
탈이온수 잔류량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질적인 기술 내용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질적인 기술 내용은 본 출원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광의적으로 확정되었으므로 임의의 타인이 완성한 기술 실체 또는 방법이 본 출원 특허청구범위의 정의와 완전히 다를 경우 또는 실시한 동등 변경은 모두 본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0.5-50 wt%의 스쿠알렌이 함유되어 있으며 상기 함량은 추출물의 총 중량에 의거하여 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실나무 추출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매실나무의 꽃, 가지와/또는 잎의 지용성 유효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실나무 추출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실나무는 장미과의 매실나무이며, 상기 매실나무는 청매실 나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실나무 추출물.
    Figure pct00014

    Ⅰ 스쿠알렌(Squalene)
    Figure pct00015

    Ⅱ 프리델린(Friedelin)
    Figure pct00016

    Ⅲ 피톨(Phytol)
    Figure pct00017

    Ⅳ 시토스테롤(sitosterol)
    Ⅴ 구연산(Citric acid)
    Ⅵ 주석산(Tartaric acid)
    Ⅶ 사과산(Malic acid)
    Figure pct00018

    Ⅷ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Ⅸ 호박산(Succinic acid)
    Figure pct00019

    Ⅹ케르세틴(Quercetin) 및 그 파생물
  4. (ⅰ) 초임계 CO2 유체 또는 무극성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매실나무 원료를 추출하고 상기 원료에는 꽃, 가지와/또는 잎이 포함되며, 분리된 지용성 유효 부분이 매실나무 추출물이고 그 중 상기 매실나무 추출물에는 0.5-50 wt%의 스쿠알렌이 함유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매실나무 추출물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ⅱ) 알코올-물 용매로부터 단계 (ⅰ)에서 추출한 매실나무 원료로부터 수용성 유효 부분을 얻으며, 상기 수용성 유효 부분은 플라보노이드 글리코시드,트리테르펜 사포닌과 유기산을 함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방법은 초임계 CO2 유체 추출로서, 그 조건은 추출 압력, 추출 온도, 분리 온도와 분리 압력이 각각 5-50MPa, 20-90℃, 20-80℃, 2-10MPa이고 순환시켜 동태적인 상태하에서 0.5-7시간 추출하며, 상기 무극성 유기용매의 추출은 함침법 또는 여과법을 사용하고 함침 추출 온도와 함침 추출 시간이 각각 10-70℃, 0.2-48시간이며, 원료 및 함침액 배합 비율은 1:3-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물 용액의 추출 온도와 추출 시간은 각각 60-100℃, 0.1-5시간이며 원료 및 함침액 배합 비율은 1:3-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매실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매실나무 과일 추출물, 소나무 꽃가루, 플라보노이드 또는 그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별도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프리라디칼 제거, 항산화, 항균, 민감성 체질 개선, 위장기능 개선, 혈액 산화 예방 및 치료, 혈액순환 촉진, 피로 회복, 스트레스 해소, 면역기능 증강, 지질대사 조정, 비만관리, 혈압 하강, 심뇌혈관 보호, 암 예방, 모발 성장 촉진 또는 탈모 방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매실나무 추출물 용도.
KR1020107027197A 2008-05-05 2008-05-05 매실나무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과 용도 KR201100689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08/070876 WO2009135352A1 (zh) 2008-05-05 2008-05-05 梅树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949A true KR20110068949A (ko) 2011-06-22

Family

ID=41264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197A KR20110068949A (ko) 2008-05-05 2008-05-05 매실나무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과 용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546040B2 (ko)
KR (1) KR20110068949A (ko)
WO (1) WO20091353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3231B2 (ja) * 2010-05-27 2012-08-29 秀貴 長友 梅酒の製造方法
JP5836666B2 (ja) * 2011-06-28 2015-12-24 日華化学株式会社 Mitf−m産生促進剤、及び該mitf−m産生促進剤を含有する毛髪用化粧料組成物並びに皮膚用化粧料組成物
US9314495B2 (en) * 2011-07-22 2016-04-19 Kiran Tewari Process for pygeum extraction
JP2013144654A (ja) * 2012-01-13 2013-07-25 Koshiro Co Ltd ウメの花部抽出物を含むコラーゲン収縮力低下抑制用組成物
CN102641355B (zh) * 2012-05-22 2014-01-15 楚雄医药高等专科学校 一种治疗高血脂症的酒制组方、保健酒及制备方法与应用
JP7054085B2 (ja) * 2016-06-30 2022-04-13 Shiodaライフサイエンス株式会社 バラ科サクラ属に属する植物の葉の抽出液を含有する抗腫瘍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7570A (ja) * 1995-09-05 1997-03-11 Sanki Shoji Kk 抗酸化剤および活性酸素消去剤
JP2000239297A (ja) * 1998-12-25 2000-09-05 Azuma Noen:Kk 薬効を有する梅抽出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CN101176760A (zh) * 2006-11-07 2008-05-14 杭州尤美特科技有限公司 梅树提取物的用途
CN101190281B (zh) * 2006-11-27 2012-01-11 杭州尤美特科技有限公司 梅树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1190280B (zh) * 2006-11-27 2012-05-23 杭州尤美特科技有限公司 梅树非果部分提取物的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46040B2 (ja) 2014-07-09
JP2011519872A (ja) 2011-07-14
WO2009135352A1 (zh) 200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4516B1 (ko) 황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717847A (ja) 皮膚外用剤
JP5137457B2 (ja) 幹細胞増殖因子発現上昇抑制剤
KR101936294B1 (ko) 애기수영 또는 산수국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110068949A (ko) 매실나무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과 용도
CN105267268B (zh) 人参叶提取物制造方法及包含其为有效成分的化妆品组合物
JP2003212749A (ja) AGEs生成抑制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100984163B1 (ko) 차요테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44024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434219B1 (ko) 가지로부터 초임계유체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갖는 물질의 고효율 추출방법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59742B1 (ko) 천연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7014202A (ja) 化粧料
KR20200134929A (ko)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477053B1 (ko) 자감초, 향부자 및 강황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29014B1 (ko)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를 억제하는 모공수축 화장료조성물
KR101656710B1 (ko) 활성물질이 증진된 인삼 꽃 복합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9067A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3671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81285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49447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5946698B2 (ja) 美白剤及び皮膚化粧料
KR102533237B1 (ko) 한방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두피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6234B1 (ko) 데스모디움 스컥스(Desmodium sequax Wall) 유래의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보이는 용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KR20120032690A (ko) 면역 효과에 의한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328

Effective date: 2014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