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285B1 -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285B1
KR101581285B1 KR1020150099389A KR20150099389A KR101581285B1 KR 101581285 B1 KR101581285 B1 KR 101581285B1 KR 1020150099389 A KR1020150099389 A KR 1020150099389A KR 20150099389 A KR20150099389 A KR 20150099389A KR 101581285 B1 KR101581285 B1 KR 101581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cosmetic composition
sk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섭
김미진
정택규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Priority to KR1020150099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2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적용시 안전하고,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연교,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및 백작약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엘라스타아제(elastase) 활성 억제 효능, 콜라겐 합성 촉진 또는 콜라게나아제 합성 저해 효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Skin anti-wrinkl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mixed medicinal herb extract}
본 발명은 피부 적용시 안전하고,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노화란 나이가 들면서 신체의 구조와 기능이 점진적으로 저하되고 질병과 사망에 대한 감수성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쇠약해지는 과정이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생명체 내외의 요인으로부터 초래되는 스트레스를 견뎌낼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하게 되고, 따라서 세포내의 항상성을 잃게 된다.
피부는 다양한 외부자극과 접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다른 기관들에 비해 주름이 발생하기 쉽다. 그 중에서도 얼굴 피부는 태양광선, 건조 외기 및 공해 물질 등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어 그렇지 않은 피부보다 주름 등의 노화현상이 조기에 발생한다.
피부조직의 노화에 따른 가장 특징적인 변화는 피부기질(matrix)의 변화로서, 진피층에 있는 섬유아세포가 노화되어 섬유질과 기질의 생성능력이 감소하게 된다. 기질의 양이 전반적으로 감소하여 피부의 두께가 얇아지며 피부의 탄력을 저하시켜 주름이 형성된다. 즉,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피부는 탄력성의 저하, 혈액순환의 장애, 피부 장벽의 약화 등이 심해지게 된다.
이와 함께,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세포 손상의 주원인인 자유라디칼(free radical)과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 생성된다. 이들은 DNA의 손상을 유발하고, 세포막 구조를 공격하여 노화반점을 발생시키며, 피부를 촉촉하고 부드러우며 유연하게 탄력을 유지시키는 교원질과 섬유질을 공격하여 주름생성을 가속화할 수도 있다.
이러한 외부환경 또는 내부기작에 의하여 발생하는 피부 주름을 줄이기 위하여 많은 화장품이 연구되고 있다. 최근 화장품 개발에 있어 천연물을 이용하여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고, 화학적 합성에 의한 화장품이 피부에 미치는 독성 작용을 최소화하면서 부작용을 줄이고, 피부의 각종 증상을 치료하는 효과까지 갖춘 순수 한방 처방을 이용한 한방 화장품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연교(連翹, Forsythia Fruit)는 물푸레나무과(Oleaceae)에 속하는 개나리(Forsythia virdissima L.)의 열매이다. 개나리는 낙엽관목으로 높이는 2~3m이고 가지가 가늘고 길며, 퍼져 있거나 혹은 아래로 드리워져 있고 속이 비어 있다. 꽃은 잎보다 먼저 피는데 1~4 송이가 잎에 착생한다. 열매는 좁은 계란형이고 끝에는 짧은 부리가 있으며 완전히 익었을 때는 2조각으로 갈라진다. 산야의 황무지에서 자라며, 열매가 익었을 때 또는 완전히 익었을 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쓴다. 한방에서 소염, 배농 피부질환제로서 사용되며 한국과 중국 등지에서 자생하고 있다.
승마(升麻, Cimicifugae Rhizoma)는 숲 속에서 자라는 미나리아재비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예로부터 약용으로 사용되어 열이 나거나 부종을 내리고 두드러기에도 사용되었다.
갈근(葛根, Puerariae Radix)은 콩과 식물의 다년생 초본인 칡(野葛, Pueraria lobata Ohwi)의 뿌리를 건조시킨 것으로 한국, 중국, 일본 각 지역의 산에 자생한다. 한의학에서는 칡의 여러 부위를 각각 분류하여, 칡 뿌리를 건조한 것을 갈근, 꽃은 갈화, 열매는 갈곡 또는 갈실, 잎은 갈엽, 덩굴은 갈만이라 부르며 질병의 증상 및 치료방법에 따라 각각 다르게 사용하여 왔다. 한방에서 갈근은 기육을 풀어 주는 작용을 하므로 감기 몸살이나 발진성 질환, 항강통(項强痛) 등에 해표 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며, 비장과 위장의 기를 상승하게 도와주어 진액을 만들어 갈증을 해소하게 하고 지사 시키는 작용을 한다.
길경(桔梗, Platycodi Radix)은 초롱꽃과(Campanulace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A. DC.)의 뿌리를 건조한 것이다. 현재 한국에 자생 또는 재배하고 있는 종류로 백색 꽃이 피는 백도라지 (Platycodon grandiflorum for. albiflorum H.), 꽃이 겹꽃인 겹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for. duplex M.), 이 중 백색 꽃인 흰겹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for. leucanthum H.) 등이 있다. 한방에서 도라지의 주요 효능은 기침, 가래 등에 효과가 있다. 또 폐(細)의 장해와 밀접한 인후통, 실음(失音), 배뇨곤란(排尿困難), 설사, 후중(後重) 등의 증상에도 좋다.
감초(甘草, Glycyrrhizae Radix)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이며, 유럽감초(Glycyrrhizae glabra L.), 만주감초(Glycyrrhizae uralensis F.) 또는 기타 동속식물의 뿌리와 주출경(走出莖)을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감초의 약리작용으로 부신피질 호르몬 작용, 항염 활성증 및 항알레르기 작용, 소화계통에 대한 작용, 해독 작용, 지질대사에 대한 작용, 실험성 황달에 대한 영향, 진해 작용, 진통 및 항경련 작용, 비뇨 및 생식기 계통에 대한 작용, 항종양 작용, 기타 체중증가 작용, 근력 증강 작용, 혈압 상승 작용, 용혈 작용, 억균 작용, 항균 작용, 해열 작용, 조충에 대한 구충 작용 등이 밝혀졌다.
백작약(白芍藥, Paeonia Radix)은 모란과(Paeoniaceae)의 다년생초인 작약(Paeonia albiflora P. 및 Paeonia lactiflora P.) 및 산작약(Paeonia obovata M.)의 뿌리이다. 백작약은 희고, 보혈제, 진정제, 부인과·외과(外科)의 약재로 쓰이며, 35속 1,500종이 있고 전 세계에 걸쳐 분포하지만 주로 북반구의 온대와 아한대인 한국, 일본, 중국, 사할린섬 등지에 분포한다.
당귀(Angelica Gigas)는 미나리과에 속하며, 오장육부를 건강하게 하고 몸을 따스하게 하는 성질이 있어, 당귀의 몸통은 피를 조절하며 당귀의 윗부분은 보혈을 하는 효능이 있다.
상기 연교를 함유한 연교,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및 백작약으로 구성된 혼합 생약재는 기성한의서인 경악전서(景岳全書)에 수록된 처방단으로 연교승마탕(連翹升麻湯)이라 칭하며, 연교,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백작약, 당귀로 구성된 혼합 생약재는 상기 연교승마탕에 당귀를 첨가한 것으로 가미연교승마탕(加味連翹升麻湯)이라 칭한다. 상기 처방단들은 피부염 또는 구내염 등 염증에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이들의 피부 주름개선과 관련된 효능을 알아보려는 시도는 행하여 진 바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5450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연교,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및 백작약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부작용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피부 주름개선에 유용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교,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및 백작약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교,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및 백작약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교,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및 백작약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하는 화장학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교,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및 백작약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상기 혼합 생약재 추출물에는 당귀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 생약재 추출물에서 생약재인 연교,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백작약 및 당귀는 구체적으로 부위를 특정하지 않으면 식물 전체(잎, 줄기, 뿌리, 열매, 꽃 등을 모두 포함)를 사용하는 것으로 본다.
본 발명에서 용어, "생약재"는 연교,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백작약 및 당귀 등의 식물 중에서 1 이상의 식물을 지칭하며, 혼합 생약재는 상기 식물 중 2 이상의 식물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 혼합 생약재인 연교 : 승마 : 갈근 : 길경 : 감초 : 백작약의 중량비가 5 - 1 : 3 - 1 : 3 - 1 : 3 - 1 : 3 - 1 : 1,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1 : 2 - 1 : 2 - 1 : 2 - 1 : 2 - 1 : 1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 혼합 생약재는 전체 혼합 생약재 중량 대비 연교 20 내지 25 중량%, 승마 15 내지 18 중량%, 갈근 15 내지 18 중량%, 길경 15 내지 18 중량%, 감초 15 내지 18 중량% 및 백작약 10 내지 13 중량%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연교 23.2 중량%, 승마 16.3 중량%, 갈근 16.3 중량%, 길경 16.3 중량%, 감초 16.3 중량% 및 백작약 11.6 중량%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 혼합 생약재인 연교 : 승마 : 갈근 : 길경 : 감초 : 백작약 : 당귀의 중량비가 5 - 1 : 1 : 4 - 1 : 4 - 1 : 1 : 2 - 1 : 4 - 1,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1 : 1 : 2.5 - 1 : 2.5 - 1 : 1 : 2 - 1 : 2.5 - 1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 혼합 생약재는 전체 혼합 생약재 중량 대비 연교 20 내지 25 중량%, 승마 6 내지 10 중량%, 갈근 15 내지 18 중량%, 길경 15 내지 18 중량%, 감초 6 내지 10 중량%, 백작약 10 내지 13 중량% 및 당귀 15 내지 18 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연교 23.3 중량%, 승마 8.1 중량%, 갈근 16.3 중량%, 길경 16.3 중량%, 감초 8.1 중량%, 백작약 11.6 중량% 및 당귀 16.3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하기 S1); S1) 및 S2); S1), S2) 및 S3); 또는 S1), S2), S3) 및 S4)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S1)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메틸렌클로라이드, n-헥산, 염산, 초산, 포름산, 구연산, 디에틸에테르 및 사이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 용매를 첨가하여 용매 추출하는 단계;
S2) 상기 S1) 단계의 추출물에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분획하는 단계;
S3) 상기 S2) 단계의 분획물에 효소를 첨가하여 효소 추출하는 단계; 및
S4) 상기 S3) 단계의 효소 추출물에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분획하는 단계.
본 발명에서 상기 S1); S1) 및 S2); S1), S2) 및 S3); 또는 S1), S2), S3) 및 S4)는 두 단계 이상의 단계를 거치는 경우 S1)에서 S4) 순으로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S1)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메틸렌클로라이드, n-헥산, 염산, 초산, 포름산, 구연산, 디에틸에테르 및 사이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 용매를 첨가하여 용매 추출하는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생약재에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메틸렌클로라이드, n-헥산, 염산, 초산, 포름산, 구연산, 디에틸에테르 및 사이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 용매를 첨가하여 추출한 용매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을 첨가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은 10 내지 90%(v/v) 알코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v/v) 알코올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v/v) 알코올일 수 있다.
'S2) 상기 S1) 단계의 추출물에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분획하는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상기 추출물에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분획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디메틸포름아미드(DMF), 테트로하이드로퓨란(THF), 아세토니트릴,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클로로메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일 수 있다.
'S3) 상기 S2) 단계의 분획물에 효소를 첨가하여 효소 추출하는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상기 분획물에 효소를 첨가하여 효소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효소는 글리코시드 가수분해효소(glycoside hydrolase)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시다아제, 만노시다아제, 갈락토시다아제, 프락토시다아제 또는 키실로시다아제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시다아제일 수 있다.
상기 효소 추출은 40 내지 80℃에서 20 내지 40 시간 반응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70℃에서 25 내지 35 시간 반응시킬 수 있다. 상기 반응 이후 30 내지 50℃에서 감압농축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5℃에서 감압농축할 수 있다.
'S4) 상기 S3) 단계의 효소 추출물에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분획하는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상기 효소 추출물에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분획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디메틸포름아미드(DMF), 테트로하이드로퓨란(THF), 아세토니트릴,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클로로메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전체 조성물 총 중량의 0.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생약재 추출물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뚜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포함량의 증가에 비해 효과의 증가가 미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피부 주름"이란, 피부가 쇠하여 생긴 잔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피부 주름 개선"이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피부에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완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당화(glycation)"란 신체 내부의 화학반응으로, 단백질이 가지는 프리 아미노기(free amino group)와 글루코즈(glucose)와 같은 당과의 결합이 가져오는 비효소적 반응이다. 세포의 에너지를 제공하는 글루코즈는 콜라겐과 같은 단백질과 반응을 할 수 있고, 이는 AGEs(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을 생성하는 결과를 갖는다. 이것들은 단백질 섬유(protein fibers)의 교차결합, 탄력의 손실, 노화과정과 연관된 진피 내의 변화 등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엘라스타아제(elastase)"란 엘라스틴(elastin)을 분해하는 효소이다. 엘라스틴은 콜라겐과 마찬가지로 피부의 탄력성을 좌우하는 주요 섬유조직으로서 그 양은 약 2% 정도로 콜라겐과 비교하여 적은 양이지만 표피를 지탱하는 연결망 조직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피부 탄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8~19세까지는 섬유아세포에 의하여 계속 생성되지만 그 이후부터는 생성이 중단되고 이미 생성된 엘라스틴만으로 피부 탄력을 담당해야 하므로 엘라스틴이 한번 약화되면 그 탄력성을 회복하기가 매우 어렵다. 즉, 엘라스틴 섬유의 결핍과 응집, 엘라스타아제의 활성도의 현격한 증가는 피부 주름생성의 주요 요인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콜라겐(collagen)"이란 결합 조직의 주성분이며 뼈와 피부에 주로 분포하는 성분으로, 특히 피부의 구조와 형태를 유지하고 단단한 강도와 탄력을 제공하는 경단백질이다. 피부가 노화되거나 자외선, 열 등에 노출이 되면 콜라겐 합성능력이 떨어지고 콜라겐 양이 급속히 감소할 수 있다. 콜라겐 양이 줄어들게 되면, 근육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주름이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엘라스타아제(elastase) 활성 억제 효능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당화 억제 효능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 촉진 또는 콜라게나아제 합성 저해 효능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화장수,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에센스, 오일, 크림,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파우더, 팩, 파우더,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스틱 또는 외용연고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이 있으며,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피부 주름개선 기능을 갖는 물질을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교,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및 백작약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 주름개선용 약학 조성물은 통상적인 약학적 담체 및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약학 조성물은 통상적인 약학 조성물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교,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및 백작약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 주름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실시하는 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교,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및 백작약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하는 화장학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연교,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및 백작약을 포함하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엘라스타아제(elastase) 활성 억제 효능, 콜라겐 합성 촉진 또는 콜라게나아제 합성 저해 효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실험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재료 준비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이용된 생약재는 (주)지유본초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각 시약은 1급 제품을 이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6 제조
<비교예 1 내지 6>
생약재 구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교 50 g을 추출기에 넣고, 추출용매로서 75%(v/v) 에탄올 수용액 1L를 가하여, 4시간씩 2회 반복 환류 냉각 추출하였다. 얻어진 추출여액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고 회전식 증발 건조기로 감압 농축하여 75%(v/v) 에탄올추출물을 얻었다(비교예 1).
비교예 1의 에탄올추출물에 다시 증류수 및 10%(v/v)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용해한 후, 디클로로메탄과 에틸아세테이트로 각각 분획농축하여 디클로로메탄 추출물(비교예 2)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비교예 3)을 얻었다.
비교예 1의 에탄올추출물에 다시 증류수 및 10%(v/v)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용해시켰다. 여기에 당분해 효소인 펙티넥스(Pectinex, Novozymes, 덴마크)를 가하여 50~60℃에서 30시간 동안 반응시킨 뒤 여과하고 40℃에서 감압농축하여 효소처리 추출물을 얻었다(비교예 4).
비교예 4의 효소처리 추출물에 다시 증류수 및 10%(v/v)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용해한 후, 디클로로메탄과 에틸아세테이트로 각각 분획농축하여 효소처리 디클로로메탄 추출물(비교예 5)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비교예 6)을 얻었다.
<실시예 1 내지 6>
생약재 원료로서 하기 표 1에 표기된 바와 같이 혼합하여 얻은 혼합 생약재 50 g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1 내지 6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1 내지 6을 얻었다.
<실시예 7 내지 12>
생약재 원료로서 하기 표 1에 표기된 바와 같이 혼합하여 얻은 혼합 생약재 50 g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1 내지 6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7 내지 12을 얻었다.
생약재 약재 구성(g)
비교예 1 내지 6 실시예 1 내지 6 실시예 7 내지 12
연교 50 11.64 11.64
승마 - 8.14 4.07
갈근 - 8.14 8.14
길경 - 8.14 8.14
감초 - 8.14 4.07
작약 - 5.8 5.8
당귀 - - 8.14
합계 50 50 50
상기 실시예 1 내지 12에 따른 생약재 추출물의 수득량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수득량 (g/생약재 50 g)
비교예 1 12.35
비교예 2 1.45
비교예 3 1.26
비교예 4 11.58
비교예 5 0.75
비교예 6 0.67
실시예 1 12.64
실시예 2 1.18
실시예 3 1.47
실시예 4 12.28
실시예 5 0.66
실시예 6 1.00
실시예 7 16.72
실시예 8 1.15
실시예 9 1.60
실시예 10 15.46
실시예 11 0.56
실시예 12 1.05
<실험예 1>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 효과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12에서 제조한 각 추출물의 피부주름 억제 및 개선 효과 검정하고자 엘라스타아제 저해능시험(Elastase Inhibition Activity Test)을 실시하였다.
엘라스틴(Elastin)을 분해하는 효소인 엘라스타아제의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엘라스타아제 기질인 N-succinyl-(Ala)3-ρ-nitroaniline을 이용하여 ρ-nitro-aniline이 분해되면서 생기는 색의 변화를 405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엘라스타아제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완충액은 pH 8.0, 0.267 M Trizma-HCl (Sigma), 기질액은 8.8 mM N-succinyl-(Ala)3-ρ-nitroaniline (Sigma), 효소액은 돼지췌장 엘라스타아제를 10 μg/mL (Sigma)의 농도로 사용하였다. 완충액 60 μL, 기질액 20 μL와 상기 추출 실시예 1 내지 12로부터 얻은 각각의 시료를 농도별로 정제수에 녹여 100 μL로 한 시료액을 섞은 후, 효소액 20 μL을 넣어 25℃ 항온수조에서 15분간 반응시켜 ρ-nitro-aniline의 생성량을 microplate reader (Synergy, BioTek, USA)로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한편, 상기 엘라스타아제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대조군은 시료용액 대신 정제수를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효소액 대신 정제수를 넣어 각각에 대한 색 보정값을 얻은 경우를 설정하였다.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엘라스타아제 저해율을 수치로 계산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으며, 실험은 각각 3회씩 수행하여 평균값 ±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하기 표 3에 표기된 수치는 시료 1 mg/mL에 대한 저해율로 나타내었다.
[수학식 1]
Figure 112015067721328-pat00001
구분 저해율(%)
비교예 1 9.74 ± 0.41
비교예 2 12.82 ± 0.52
비교예 3 11.47 ± 0.34
비교예 4 15.15 ± 1.55
비교예 5 20.12 ± 1.54
비교예 6 21.02 ± 1.63
실시예 1 34.03 ± 2.64
실시예 2 29.11 ± 1.07
실시예 3 26.45 ± 1.36
실시예 4 23.37 ± 0.55
실시예 5 22.23 ± 1.92
실시예 6 24.64 ± 1.89
실시예 7 32.74 ± 0.61
실시예 8 24.42 ± 1.45
실시예 9 34.97 ± 0.96
실시예 10 30.69 ± 0.57
실시예 11 28.73 ± 1.46
실시예 12 25.91 ± 0.59
상기 표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반적으로 실시예 1 내지 12가 비교예 1 내지 6에 비해 양호한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2>
항당화 효과
당화 반응이 진행되면 산화, 축합 등의 일련의 복합적인 과정을 거쳐 여러 화합물이 혼재되어 있는 최종당화산물(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GEs)이 만들어진다. 최종당화산물 중 일부는 형광을 띄게 되어 당화 반응의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척도로 이용되고 있다. 그 중 excitation 370nm/emission 440nm에서 나타내는 형광도는 일반적으로 당화 반응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알려져 있다.
상기 원리를 이용하여 Vinson과 Howard (J. Nutr . Biochem ., 7, 659, 1996)의 방법을 일부 변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0.4 mL 글루코스(225 mg/mL), 50 mM 포스페이트 버퍼(pH 7.4)에 용해된 소혈청알부민(BSA, 10 mg/mL) 0.2 mL와 0.1 mL 시료를 혼합하여 60℃에서 24시간 동안 당화 반응을 시켰다. 반응 후 microplate reader (Synergy, BioTek, USA)를 이용하여 형광도를 측정하였다(Ex: 360 nm, Em: 460 nm). 한편, 상기 최종당화산물의 생성 저해율을 측정하기 위한 대조군은 시료용액 대신 정제수를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글루코스 대신 정제수를 넣어 각각에 대한 색 보정값을 얻은 경우를 설정하였다.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최종당화산물 생성 저해율을 수치로 계산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으며, 실험은 각각 3회씩 수행하여 평균값 ±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하기 표 4에서 IC50은 최종당화산물 생성 저해율 50%를 달성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료의 농도로서 다른 성분물질과 상대적으로 비교할 때 사용되는 수치로서 값이 작을수록 소거율이 높음을 나타낸다.
[수학식 2]
Figure 112015067721328-pat00002
구분 IC50 (μg/mL)
비교예 1 256.01 ± 5.29
실시예 1 102.01 ± 3.81
상기 표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하여 우수한 항당화 효과를 나타낸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12에서 제조한 각 추출물의 피부주름 억제 및 개선 효과 검정하고자 콜라겐 합성능을 섬유아세포의 배양에 의해 측정하였다.
정상 사람 섬유아세포를 24-웰 마이크로플레이트(24-well microplate)에 1×105 세포/웰의 밀도로 접종시키고 37℃,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12 시료물질을 농도별로 시럼이 함유되지 않은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HyClone Lab., USA)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콜라겐 합성량은 콜라겐 측정 키트(Procollagen Type I C peptide EIA kit, Takara, Japan)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procollagen) 타입 I C-펩타이드(Type I C-peptide, PICP)의 양을 측정하였다. 측정값은 하기 수학식 3에 의해 콜라겐 합성 효과로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이때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 배양액의 흡광도를 대조군 100%로 하였으며, 실험은 각각 3회씩 수행하여 평균값 ±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수학식 3]
Figure 112015067721328-pat00003
콜라겐 합성 효과(%)
구분 각 시료 농도(μg/mL)
5 10 20
비교예 1 94.12 ± 0.62 96.87 ± 3.04 106.57 ± 1.50
비교예 3 106.10 ± 10.35 106.74 ± 8.81 -
실시예 1 91.93 ± 23.40 106.41 ± 26.75 122.17 ± 18.75
실시예 3 123.85 ± 9.35 119.16 ± 21.76 -
실시예 7 171.79 ± 31.35 154.96 ± 16.40 147.32 ± 14.05
실시예 9 123.85 ± 6.08 98.16 ± 16.09 -
상기 표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시예들은 대부분 상기 실험 농도에서 비교예와 비교해 볼 때, 월등한 콜라겐 합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4>
콜라게나아제(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 합성 저해 효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12에서 제조한 각 추출물의 UV-A 조사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콜라게나아제(MMP-1)의 발현 저해 효과를 실험예 3에서 사용한 ELISA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정상 사람 섬유아세포를 24-웰 마이크로플레이트(24-well microplate)에 1×105 세포/웰의 밀도로 접종시키고 37℃,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자외선 챔버(ELC-500, Lightning Enterprises, USA)를 이용하여 배양한 섬유아세포에 UV-A 1.2 J/cm2를 조사한 후 상기 실시예 1 내지 12 시료물질을 농도별로 시럼이 함유되지 않은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HyClone Lab., USA) 배지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콜라게나아제 생성 저해 효과는 콜라게나아제 측정 키트(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Human, Biotrak, ELISA System, GE Healthcare, UK)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값은 하기 수학식 4에 의해 콜라게나아제 합성 효과로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이때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 배양액의 흡광도를 대조군 100%로 하였으며, 실험은 각각 3회씩 수행하여 평균값 ±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수학식 4]
Figure 112015067721328-pat00004
콜라게나아제 합성 효과(%)
구분 각 시료 농도(μg/mL)
5 10 20
비교예 1 90.43 ± 7.77 96.27 ± 1.23 95.58 ± 0.27
비교예 3 101.29 ± 1.29 88.96 ± 9.58 -
실시예 1 107.49 ± 11.61 67.44 ± 17.34 42.70 ± 12.64
실시예 3 79.04 ± 11.58 43.92 ± 12.50 -
실시예 7 57.68 ± 15.10 55.05 ± 6.87 27.30 ± 4.90
실시예 9 18.26 ± 10.93 45.85 ± 12.49 -
상기 표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복합 생약재 추출물인 실시예들은 상기 실험 농도에서 비교예와 비교해 볼 때, 월등한 콜라게나아제 합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혼합 생약재추출물인 실시예는 우수한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 효과, 콜라겐 합성 효과 및 콜라게나아제 합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제형예 1(화장수) 및 비교제형예 1
상기 실시예 1, 7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 물질을 함유한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수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7과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성분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한편, 하기 표 7의 각 성분 번호로 구별된 성분 중에서, 먼저 성분 1(정제수)에 성분 2와 3을 교반 분산시킨 후, 성분 4 내지 6을 가하고, 성분 8 내지 10을 성분 7에 용해시킨 물질과 성분 11을 차례로 가하여 혼합하는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제형예로서는 성분 11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 구성이나 그 제조방법은 동일하게 진행하여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
성 분 제형예 1 비교제형예1
1 정제수 잔량 잔량
2 카보머 0.1 0.1
3 하이드록시에칠셀루로오스 0.1 0.1
4 부틸렌글라이콜 2.0 2.0
5 글리세린 1.0 1.0
6 피이지-1500 0.5 0.5
7 에탄올 8.0 8.0
8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0.2 0.2
9 트리에탄올아민 0.1 0.1
10 방부제 미량 미량
11 실시예 1, 7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 물질 2.0 -
제형예 2(로션) 및 비교제형예 2
상기 실시예 1, 7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 물질을 함유한 피부 주름개선용 로션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8와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성분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한편, 하기 표 8의 각 성분 번호로 구별된 성분 중에서, 먼저 성분 1 내지 7을 70℃의 온도에서 가열 용해시킨 다음, 성분 8 내지 11을 성분 12에 용해 분산시켜 70℃로 가열한 것에 유화한다. 이후, 상기 유화한 것을 성분 13으로 중화하고, 56℃의 온도로 냉각한 후, 성분 14를 가하여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
성 분 제형예 2 비교제형예 2
1 세테아릴알코올 1.0 1.0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1.0 1.0
3 폴리소르베이트 60 1.0 1.0
4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3 0.3
5 세틸옥타노에이트 6.0 6.0
6 스쿠알란 4.0 4.0
7 아프리코드커넬오일 4.0 4.0
8 글리세린 5.0 5.0
9 카보머 0.1 0.1
10 산탄검 0.03 0.03
11 방부제 및 향 미량 미량
12 정제수 잔량 잔량
13 아르기닌 0.1 0.1
14 실시예 1, 7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 물질 5.0 -
제형예 3(크림) 및 비교제형예 3
상기 실시예 1, 7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 물질을 함유한 피부 주름개선용 크림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9과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성분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한편, 하기 표 9의 각 성분 번호로 구별된 성분 중에서, 먼저 성분 1 내지 7을 70℃의 온도에서 가열 용해시킨 다음, 성분 9 내지 12를 성분 13에 용해 분산시켜 70℃로 가열한 것에 유화한다. 이후, 상기 유화한 것을 56℃의 온도로 냉각한 후, 성분 14를 가하여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
성 분 제형예 3 비교제형예 3
1 세테아릴알코올 1.0 1.0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1.0 1.0
3 폴리소르베이트 60 1.0 1.0
4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3 0.3
5 세틸옥타노에이트 6.0 6.0
6 스쿠알란 8.0 8.0
7 아프리코드커넬오일 4.0 4.0
8 디메치콘 2.0 2.0
9 글리세린 5.0 5.0
10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4 0.4
11 산탄검 0.03 0.03
12 방부제 및 향 미량 미량
13 정제수 잔량 잔량
14 실시예 1, 7에 따른 화장료의 유효성분 물질 10.0 -
<실험예 5>
피부 주름개선 효과 및 피부자극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주름개선 및 피부자극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제형예 3과 비교제형예 3에서 제조된 피부 주름개선용 크림을 이용하여 관능시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제형예 3과 비교제형예 3의 크림을 피부에 각각 도포했을 때 피부의 주름개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각각 20세 이상의 여성 20명에게 안면 왼쪽 부분에는 제형예 3의 크림(시험군)을, 안면 오른쪽 부분에는 비교제형예 3의 크림(대조군)을 1일 2회 12주간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하였다.
관능시험은 피부의 주름개선 효과 항목에 대하여는 제형예 3의 크림을 기준으로 비교제형예 3의 크림이 나타내는 효과를 상대 평가하였고, 피부자극에 대한 관능평가는 피부의 가려움, 따가움 및 홍반 등의 현상을 평가하게 하였다. 평가는 매우 우수(5점), 우수(4점), 보통(3점), 나쁨(2점), 매우 나쁨(1점)의 오점법 기준에 의거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0에서 피부자극은 피부자극이 없는 정도를 나타낸다.
번호 피부자극 주름개선효과
제형예 3 비교제형예 3 실시예 1 실시예 7
실시예 1 실시예 7
1 4 4 4 4 5
2 5 5 4 5 5
3 4 5 4 5 5
4 5 3 5 4 4
5 4 4 4 5 4
6 5 5 5 5 4
7 4 4 4 4 4
8 5 4 4 5 4
9 4 5 4 4 5
10 5 4 4 5 5
11 4 5 4 4 4
12 5 5 5 5 5
13 5 3 5 5 4
14 5 4 5 5 5
15 4 5 4 4 4
16 5 4 5 5 5
17 5 5 4 5 4
18 5 5 5 5 4
19 4 5 4 4 5
20 4 4 4 4 5
평균 4.55 4.40 4.35 4.60 4.50
상기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형예 3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피부자극 평가점수는 각각 4.55점, 4.40점으로 매우 양호하게 평가되어, 비교제형예 3과 마찬가지로 피부자극 정도가 낮아 피부 안전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제형예 3 대비 제형예 3의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이 가진 상대적 주름개선 효과는 평가점수가 4.60점, 4.50점으로 개선 정도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3)

  1. 연교, 승마, 갈근, 길경, 감초 및 백작약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엘라스타아제(elastase) 활성 억제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당귀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하기 S1); S1) 및 S2); S1), S2) 및 S3); 또는 S1), S2), S3) 및 S4) 단계에 의해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S1)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메틸렌클로라이드, n-헥산, 염산, 초산, 포름산, 구연산, 디에틸에테르 및 사이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 용매를 첨가하여 용매 추출하는 단계;
    S2) 상기 S1) 단계의 추출물에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분획하는 단계;
    S3) 상기 S2) 단계의 분획물에 효소를 첨가하여 효소 추출하는 단계; 및
    S4) 상기 S3) 단계의 효소 추출물에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분획하는 단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디메틸포름아미드(DMF), 테트로하이드로퓨란(THF), 아세토니트릴,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디클로로메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글리코시드 가수분해효소(glycoside hydrolas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전체 조성물 총 중량의 0.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화 억제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 촉진 또는 콜라게나아제 합성 저해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연교 추출물 20 내지 25 중량%, 승마 추출물 15 내지 18 중량%, 갈근 추출물 15 내지 18 중량%, 길경 추출물 15 내지 18 중량%, 감초 추출물 15 내지 18 중량% 및 백작약 추출물 10 내지 13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연교 추출물 20 내지 25 중량%, 승마 추출물 6 내지 10 중량%, 갈근 추출물 15 내지 18 중량%, 길경 추출물 15 내지 18 중량%, 감초 추출물 6 내지 10 중량%, 백작약 추출물 10 내지 13 중량% 및 당귀 추출물 15 내지 18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화장수,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에센스, 오일, 크림,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파우더, 팩, 파우더,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스틱 또는 외용연고로 제형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099389A 2015-07-13 2015-07-13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81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389A KR101581285B1 (ko) 2015-07-13 2015-07-13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389A KR101581285B1 (ko) 2015-07-13 2015-07-13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1285B1 true KR101581285B1 (ko) 2015-12-31

Family

ID=55129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389A KR101581285B1 (ko) 2015-07-13 2015-07-13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2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205A (ko) 2017-12-26 2019-07-04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갈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450B1 (ko) 2006-06-30 2008-04-28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00380A (ko) * 2008-06-24 2010-01-06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항염 활성을 갖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100060709A (ko) * 2008-11-28 2010-06-07 (주)아모레퍼시픽 당귀 추출물로부터 데커신을 효율적으로 추출, 정제 및 가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데커신을 함유하는피부 외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450B1 (ko) 2006-06-30 2008-04-28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00380A (ko) * 2008-06-24 2010-01-06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항염 활성을 갖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100060709A (ko) * 2008-11-28 2010-06-07 (주)아모레퍼시픽 당귀 추출물로부터 데커신을 효율적으로 추출, 정제 및 가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데커신을 함유하는피부 외용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205A (ko) 2017-12-26 2019-07-04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갈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6646A (ko) 피부 생기 부여 및 활력 증대를 위한 식물세포 컴플렉스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71829B1 (ko) 유해 환경에서 유래되는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효능을 갖는 식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TW201206494A (en) Use of Tiliacora triandra in cosmetics and compositions thereof
KR102253095B1 (ko) 여드름 피부 개선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 기능성 화장품
KR101651321B1 (ko) 알로에 베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장벽 기능 강화용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443588B1 (ko)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102004322B1 (ko) 자귀나무껍질, 숙근안개초, 시계꽃, 권백 및 딜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42541B1 (ko) 효소처리를 이용한 혼합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방법
KR101990387B1 (ko) 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8949A (ko) 매실나무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과 용도
KR101489935B1 (ko)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KR101370990B1 (ko) 따나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 조성물
KR101056756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5029A (ko) 상엽, 상지, 상백피, 상심자 및 상목이 혼합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0776B1 (ko) 명월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81344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81285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1652A (ko) 밀몽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49447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10302B1 (ko) 풍란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장벽 기능 강화용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8158960A (zh) 具有缓解色素沉着作用的护唇口红
KR20180138245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14344B1 (ko) 쌀겨와 감초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8685B1 (ko) 벼룩이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