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776B1 - 명월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명월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776B1
KR101670776B1 KR1020150044313A KR20150044313A KR101670776B1 KR 101670776 B1 KR101670776 B1 KR 101670776B1 KR 1020150044313 A KR1020150044313 A KR 1020150044313A KR 20150044313 A KR20150044313 A KR 20150044313A KR 101670776 B1 KR101670776 B1 KR 101670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cosmetic composition
present
skin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6506A (ko
Inventor
최경혜
권혁철
최정은
이강태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150044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776B1/ko
Publication of KR20160116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7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명월초(Gynura procumben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명월초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이 자외선, 적외선 등 외부 환경에 의해 상승하는 피부의 열을 조절해 줌으로써 열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 노화 및 트러블 현상을 억제해주는 특징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명월초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온도가 효과적으로 조절되어 열에 의한 피부노화 및 트러블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명월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temperature control Comprising the extract of Gynura procumbens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자외선, 적외선 등 외부 환경에 의해 상승하는 피부 온도를 조절해 줌으로써 열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 노화 및 피부트러블 현상을 억제해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명월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서 체내의 기관을 온도 및 습도 변화와 자외선, 공해물질 등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며, 체온조절 등의 생체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피부도 인체의 다른 장기와 마찬가지로 사람이 나이가 듦에 따라 점차 노화가 진행되어 피부 탄력손실, 각질화, 주름 생성, 기미 및 주근깨의 증가 등의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화장품들은 이러한 유해인자에 의해 발생하는 반응성이 높은 활성 산소, 자유 라디칼 및 과산화물 등에 의해 유발되는 다양한 피부의 트러블을 개선함은 물론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가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피부노화는 크게 내인성노화와 광노화로 나눌 수 있다. 내인성노화는 세월이 흘러감에 따라 피할 수 없는 노화현상을 말하며, 광노화는 태양광, 추위, 바람 등과 같은 환경적 요소에 의해 오랫동안 노출된 얼굴, 손등, 목 뒤 등의 피부에서 관찰되는 노화현상을 말한다. 광노화 현상은 내인성 노화에 비해 거친주름, 색소침착, 피부탄력 손실, 피부암 등과 같은 깊은 연관이 있지만, 자외선의 노출을 피하면 이를 예방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온실가스 배출량과 오존량 증가 등으로 인한 기온변화 현상에 의해 피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이른바 피부 온난화상태가 되면, 콜라겐이 줄어들면서 진피층이 손상되고 그 결과 피부가 칙착하게 변하고 피부 탄력이 저하되면서 주름이 생성된다. 피부 온도가 상승하면 자연방어기재로써, 피부세포내 열수용체가 증가하고, 발생된 열이 혈액성분을 제외한 피부내 진액을 마르게 한다. 이는 피부로의 영양전달을 어렵게 하고 피부 건조를 가속화하여 노화를 촉진시킨다. 그러므로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외적, 내적 요인들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종래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 열을 조절하는 특성을 가진 조성물로서, 한국특허등록 제10-784238호에는 분사된 내용물이 젤을 형성하여 냉각가스의 기화속도를 늦추어 줌으로써 피부를 냉각하는 피부 쿨링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고, 한국특허공개 제10-2010-84165호에는 일과성 전신 열감, 고열, 매우 따뜻한 환경에의 노출, 물리적 운동 등을 경험할 때 상 변화를 일으키게 하여 피부의 냉각 또는 차가운 느낌을 유발하는 피부 도포용 냉각 조성물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명월초 추출물을 사용하여 피부 온도를 조절하는 기술은 알려진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자외선, 적외선 등에 의해 피부 온도가 상승하여 트러블이 생기는 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러한 현상을 조절해줄 수 있는 천연 소재로 명월초 추출물이 적합함을 알고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조하여 사람의 피부에 도포시 실제로 피부의 온도를 내려주어 열에 의한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명월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명월초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20.0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렌징, 오일, 분말파운데이션, 유탁액파운데이션, 왁스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명월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명월초 추출물은 자외선, 적외선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피부 온도를 조절하는 특징을 가져, 열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명월초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피부의 온도를 내려주어 열에 의한 피부 노화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중 유효 성분으로 사용되는 명월초(Gynura procumbens) 추출물은 자외선, 적외선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피부의 온도 상승을 제한하여 열에 의한 피부 노화 현상을 억제해주는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월초(Gynura procumbens)는 삼붕냐와(Sambung Nyawa)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인도네시아어로 Sambung은 영속성, Nyawa는 생명을 나타내므로, 즉 삼붕냐와는 생명을 이어주는 잎 (영어명 : Life Sustainable Plant)이라는 뜻을 가진 약용식물로서 중국에서는 전통 약초로 사용하고 있다. '中藥대사전', '자무', '태국약초학' 등 중국, 동남아 전통의학에 따르면 기침, 기관지염, 폐결핵, 혈액순환, 타박상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동남아시아 및 인도네시아에서 민간요법 및 식용으로 이용한다. 또한 고혈압, 당뇨, 콜레스테롤, 신장 질호나의 예방 및 증상 개선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 상기 명월초는 추위에 약한 약초로 대한민국 제주도 남쪽인 서귀포에서 자생하는 다년생 약초이며 생명력이 강하고 해풍과 많은 햇빛을 필요로 하는 약용식물로만 알려졌으나 문헌에서는 명월초 생잎을 하루에 3번 3잎을 씹어서 한달간 꾸준히 먹으면 당수치가 현저하게 떨어지고 혈압도 정상으로 돌아오는 약초이기도 하다.
명월초 즉, 삼붕냐와의 서식지는 파푸아뉴기니를 포함한 동남아시아 일대이며, 고도 1,000 내지 1,200m에서 잘 자란다. 숭붕냐와는 줄기가 하나이며, 이 줄기를 기준으로 잎이 퍼진 형태로 자라나고, 잎은 색깔이 초록색이며, 모양은 달걀 모양이고, 크기는 길이 6cm, 폭 3.5cm 정도이다. 잎의 상단부는 뾰족하고 하단부는 타원형이다. 잎 가장자리는 평평하거나 1.5cm 단위로 파도 꼴이다. 잎의 양 표면부는 부드럽고 선이 선명하다.
본 발명의 명월초 추출물은 명월초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예: 잎, 뿌리, 줄기 등)으로부터 얻은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잎으로부터 얻은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월초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예컨대,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트, 1,3-부틸렌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70%(v/v) 에탄올 수용액 또는 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것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하여 얻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월초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명월초 추출물은 자외선, 적외선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피부온도의 상승을 제한시켜 주어 열에 의한 피부 노화나 트러블 현상을 억제시켜 주는 효과가 우수하다(실험예 1 및 실험예 2 참고).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유효 성분으로서의 명월초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 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10 중량%이다. 만일,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그 효과가 나타나기 어렵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피부 개선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고 피부 자극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으며, 제형상의 안전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경제적이지도 못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 방법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모든 화장 방법을 일컫는다. 즉,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방법이 본 발명의 화장 방법에 속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월초 추출물은 자외선, 적외선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피부의 온도 상승을 제한하여 열에 의한 피부 노화 현상을 억제해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명월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화장방법을 수행하면 자외선, 적외선 등의 외부 환경에 의해 상승하는 피부의 열을 조절해 줌으로써 열에 의한 피부 노화를 방지시켜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 명월초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명월초(잎 부분) 1kg을 에틸 알코올과 물 7:3(v/v)으로 혼합된 수용액에 5일 동안 침전시키고, 300메쉬에 여과한 다음, 진공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80℃에서 농축시켰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명월초 추출물을 다시 제품에 적용하기 용이하게 1,3-부틸렌 글리콜에 용해시켜 명월초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1 : 명월초 추출물의 열에 의한 피부 세포 보호 효과
인체 정상 피브로 블라스트(Human Normal Fibroblast) 세포를 24-웰 플라이트(well plate)에 1 x 05 cell/well이 되도록 접종한 후에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을 버리고 적외선 조사기를 이용하여 세포에 열 자극을 준 후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그 후 각 웰에 명월초 추출물을 각각 0.5, 1.0%(v/v)를 처치한 후 3일 동안 배양한 하고 각 웰에서의 세포 생존율을 MTT assay를 통해 확인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명월초 추출물의 적외선에 의한 피부 세포 보호 효과
실험농도 흡광도 (570 nm)
적외선
조사전
적외선
조사후
3일
배양후
대조군 1.717 - 1.831
대조군 + 적외선 조사 - 0.889 0.909
명월초 추출물 0.5% + 적외선 조사 - 0.851 1.457
명월초 추출물 1.0% + 적외선 조사 - 0.874 1.543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외선을 조사할 경우 세포가 사멸하여 세포 생존율이 급격히 감소하지만, 적외선 조사와 함께 명월초 추출물을 추가로 처리함으로써 세포 생존율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크림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한 명월초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 제형을 다음 표 2의 실시예1과 같이 제조하였다. 이때 비교예 1로서 명월초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것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1 비교예 1
함량(단위:중량%) 함량(단위:중량%)
명월초 추출물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세테아릴 알코올
스테아린산
밀납
폴리소르베이트60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경화식물유
스쿠알란
광물유
트리옥타노인
디메치콘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글리세린
베타인
트리에탄올아민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5.0
2.0
2.2
1.5
1.0
1.5
0.6
1.0
3.0
5.0
5.0
1.0
0.1
5.0
3.0
1.0
4.0
미량
잔량
-
2.0
2.2
1.5
1.0
1.5
0.6
1.0
3.0
5.0
5.0
1.0
0.1
5.0
3.0
1.0
4.0
미량
잔량
합계 100 100
실험예 2 : 피부 온도 조절 효과
본 발명의 명월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피부 온도 조절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20~40대의 건강한 피험자 22명에 대하여 항온 항습실에서 약 20분 정도 진정을 시킨 후 적외선 체열 진단기(IRIS-XP / MEDICORE, korea)를 이용하여 안면 열화상 및 안면 온도를 측정하였다. 이후 10분간 근적외선 조사 후 안면 열화상 및 안면 온도를 측정하여 피부 온도 변화를 확인하였다. 즉각적으로 안면 오른쪽에는 명월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크림을, 다른 한쪽에는 명월초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의 크림을 도포하고 안면 열화상 및 안면 온도를 측정, 피부 온도 변화의 정도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피부 온도 변화 (℃)
시료 비교예 1 실시예 1
사용 전 30.11±1.15 30.24±1.07
적외선 조사후 34.15±0.89 34.08±0.77
사용 후 33.38±0.84 32.37±0.71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명월초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인 실시예 1의 경우 명월초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해 피부 온도 감소 효과가 우수하였다.
본 발명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화장료 조성물의 처방을 예를 들어 제시하기로 한다.
처방예 1 : 화장수
명월초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 표 4 와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명월초 추출물
글리세린
1,3-부틸렌글라이콜
피이지1500
알란토인
DL-판테놀
EDTA-2Na
벤조페논-9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에탄올
폴리소르베이트20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5.0
6.0
3.0
1.0
0.1
0.3
0.02
0.04
5.0
10.0
0.2
미량
잔량
합계 100
처방예 2 : 로션
명월초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로션의 처방예는 다음 표 5와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명월초 추출물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트리에탄올아민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마카다미너트오일
폴리소르베이트 60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3.0
6.0
4.0
1.2
3.0
5.0
3.0
2.0
1.5
1.0
1.0
미량
잔량
합계 100
처방예 3 : 마사지크림
명월초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마사지크림의 처방예는 다음 표 6와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명월초 추출물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세테아릴 알코올
스테아린산
폴리소르베이트60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스쿠알란
광물유
디메치콘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글리세린
트리에탄올아민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1.0
1.5
1.5
1.0
1.5
0.6
5.0
5.0
35.0
0.5
0.12
6.0
0.7
미량
잔량
합계 100
처방예 4 : 에센스
명월초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에센스의 처방예는 다음 표 7과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명월초 추출물
글리세린
베타인
PEG 1500
알란토인
DL-판테놀
DETA-2Na
벤조페논-9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트리에탄올아민
옥틸도데칸올
옥틸도데세스-16
에탄올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1.5
10.0
5.0
2.0
0.1
0.3
0.02
0.04
0.1
8.0
0.2
0.18
0.3
0.4
6.0
미량
잔량
합계 100
처방예 5 : 팩
명월초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팩의 처방예는 다음 표 8과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명월초 추출물
폴리비닐알코올
셀룰로오스 검
글리세린
PEG 1500
사이크로데스트린
DL-판테놀
알란토인
글리시리진산모노암모늄
니코틴아마이드
에탄올
PEG 40 경화피마자유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1.0
15.0
0.15
3.0
2.0
0.15
0.4
0.1
0.3
0.5
6.0
0.3
미량
잔량
합계 100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명월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명월초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0 중량%인,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044313A 2015-03-30 2015-03-30 명월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70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313A KR101670776B1 (ko) 2015-03-30 2015-03-30 명월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313A KR101670776B1 (ko) 2015-03-30 2015-03-30 명월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506A KR20160116506A (ko) 2016-10-10
KR101670776B1 true KR101670776B1 (ko) 2016-10-31

Family

ID=57145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313A KR101670776B1 (ko) 2015-03-30 2015-03-30 명월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7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326B1 (ko) 2018-12-05 2020-06-04 박성진 명월초 화장료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371B1 (ko) * 2020-04-09 2021-09-07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명월초 캘러스 유래 pdr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76935B1 (ko) * 2020-04-20 2020-11-10 곽종복 주름개선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326B1 (ko) 2018-12-05 2020-06-04 박성진 명월초 화장료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506A (ko)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9811B2 (ja) 皮膚外用剤
KR100771829B1 (ko) 유해 환경에서 유래되는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효능을 갖는 식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303295B1 (ko) 겨우살이 발효추출물, 모근 발효추출물 및 콩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증식 촉진 또는 손상된 피부 회복 촉진용 발효 화장료 조성물
CN106821948B (zh) 将利用银耳菌丝体的松萝发酵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化妆品组合物
KR102354412B1 (ko) 혼합 꽃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62965B1 (ko) 생리활성 성분 Rb1, Rb2, Rc 및 Rd의 함량이 증가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6880561B (zh) 用于调节皮肤温度的含有紫竹提取物的化妆品组合物
KR20170103172A (ko) 병풀추출물, 세라마이드 및 자작나무수액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 및 피부 장벽 개선 효과의 화장료 조성물
KR101670776B1 (ko) 명월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49690B1 (ko) 배초향을 함유하는 피지관리 및 모공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184427B1 (ko) 곰보배추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23200A (ko)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50292B1 (ko) 천삼, 녹각영지, 백호은침으로 구성된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70990B1 (ko) 따나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 조성물
KR101697235B1 (ko)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적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15634A (ko)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가지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0981344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4999A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9793A (ko)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9067A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118946A (ko) 미백 효능을 갖는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감초 추출물의 복합체
KR101987420B1 (ko) 야생얌뿌리, 참깨, 눈연꽃 및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7710B1 (ko) 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1201A (ko) 미백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