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5634A -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가지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가지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5634A
KR20160015634A KR1020140098142A KR20140098142A KR20160015634A KR 20160015634 A KR20160015634 A KR 20160015634A KR 1020140098142 A KR1020140098142 A KR 1020140098142A KR 20140098142 A KR20140098142 A KR 20140098142A KR 20160015634 A KR20160015634 A KR 20160015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composition
lotion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0132B1 (ko
Inventor
박귀교
우지은
박병준
김진준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8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132B1/ko
Publication of KR20160015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8Plantaginaceae (Plantain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Abstract

본 발명은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가지는 피부 진정 화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갖는 유효성분으로서 야생화에서 선별된 식물추출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더위지기(Artemisia gmelini Weber ex Stechim) 추출물 또는 냉초(Veronicastrum sibiricum (L.) Pennell)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 진정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전후, 실제 피부온도의 하강과 피부에 지속적인 냉감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열로 인한 손상된 피부의 완화 및 진정효과를 구현하고 나아가 열에 의한 피부 노화 방지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가지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SKIN ALLEVIATING COMPOSITION HAVING CONTINUOUS COOLING EFFECT}
본 발명은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가지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생화에서 선별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냉감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전후, 실제 피부온도의 하강과 피부에 지속적인 냉감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열로 인한 손상된 피부의 완화 및 진정효과를 구현하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노화는 크게 내인성 노화와 광 노화로 나뉘는데, 내인성 노화는 세월이 흘러감에 따라 피할 수 없는 노화현상을 말하며, 광 노화는 태양광, 추위, 바람, 환경 오염물 등과 같은 환경적 요소에 오랫동안 노출된 얼굴, 손등, 목뒤 등의 피부에서 관찰되는 노화현상을 말한다.
그러나, 광 노화 현상은 내인성 노화에 비해 거친 주름, 색소침착, 피부탄력 손실, 피부암과 깊은 연관이 있지만, 한편으로는 자외선의 노출을 피하면 광 노화는 예방될 수 있다.
최근에는 태양에너지의 60%를 구성하고 있는 적외선이 피부온도를 증가시켜 피부노화를 촉진시키는 환경인자들 중 하나임이 밝혀지면서, 자외선뿐 아니라 적외선으로 인한 열 노화도 피부 노화에 상당한 위협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산화탄소 온실가스 배출량과 오존량 증가 등으로 인한 기온변화 현상에 의해 피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이른바 피부 온난화 상태가 되면, 콜라겐이 줄어들면서 진피층이 손상되고 그 결과 피부가 칙칙하게 변하고 피부탄력이 저하되면서 주름이 생성된다.
피부 온도가 상승하면 자연방어기재로서, 피부세포 내 열 수용체가 증가하고, 발생된 열이 혈액성분을 제외한 피부 내 진액을 마르게 한다. 이는 피부로의 영양전달을 어렵게 하고 피부 건조를 가속화함으로써, 노화를 촉진시킨다.
또한, 자외선은 진피의 윗부분까지만 투과하지만, 적외선(heat) 중 근적외선(Infrared A, 파장범위 760∼1440nm)의 65%는 피부의 피하조직층까지 깊숙이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반복적으로 열에너지에 노출된 경우 피부온도가 상승되고 피부에 깊은 주름살이 생성되므로, 노화현상이 진행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65023호에서는 이소프레골을 냉감제로서 사용하고, 이러한 냉감제를 화장품, 의약품 등에 적용하고, 일본 특허공보 제(소)61-48813호에서는 냉감제로서 3-(1-멘톡시)프로판-1,2-디올을 특정한 글리세린에테르와 병용하여 하계용 화장재료로서 보고하고 있으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소)63-208505호 및 제(소)63-264522호에서는 3-(1-멘톡시)프로판-1,2-디올을 친수성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과 병용하여 소염진통제용 에어졸로서 사용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6-107527호에서는 멘톨, 캄포르 등의 공지된 냉감제와 특정의 온감제를 조합하여 우수한 컨디셔닝성과 우수한 청량감을 제공한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이상의 냉감제에 관한 공지기술은 냉감효과를 높이거나 냉감효과의 지속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2종류 이상의 냉감 물질을 조합하거나 냉감 물질과 다른 물질을 조합하는 것에 의한 냉감효과 향상에 대한 연구, 냉감제와 제품중의 각종 물질과의 조합 적성 및 각종 제품에 냉감제를 배합할 때의 냉감효과의 향상 또는 사용감의 개선 등의 연구로 진행되어 왔다.
또 한편으로는, 대표적인 냉감제로 공지된 멘톨, 솔비톨, 박하유 등은 소량 함유하여 피부에 청량감을 부여하나, 실제 피부의 온도를 낮추는 것은 아니기에, 냉감의 지속성을 위하여, 다량 사용할 경우 피부에 심한 자극을 유발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96641호에는 냉감 물질로서 1-멘톨이 배합된 냉감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1-멘톨이 가지는 냉감을 손상하지 않고 냉감효과를 지속시키는 한편, 1-멘톨이 갖는 자극적인 박하 냄새를 부드럽게 하고 마일드하게 하기 위한 냉감 조성물이 보고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제1150445호에는 박하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이 도포된 냉감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지속적인 냉감 효과 제공과 냉감제의 피부자극 문제를 해소하고자 노력한 결과, 인체적용시 안정성이 검증된 야생화에서 선별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냉감 조성물을 제공하고, 피부에 도포한 전후에 피부온도의 하강과 지속적인 냉감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가지는 유효성분으로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진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야생화에서 선별된 식물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된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가지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가지는 유효성분으로서 야생화에서 선별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 진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조성물이 피부 도포 후, 피부 온도 최대 2.8℃ 미만의 하강 효과가 구현된,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가지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식물추출물은 더위지기(Artemisia gmelini Weber ex Stechim) 추출물 또는 냉초(Veronicastrum sibiricum (L.) Pennell) 추출물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그 혼합형태이다.
본 발명의 야생화에서 선별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 진정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식물추출물이 인체적용시 안정성이 검증된 것으로서, 그 함량은 건조함량 기준으로 0.005 내지 50 중량%가 함유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진정용 조성물에 있어서, 식물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용매 중에서 선택된 추출용매로 추출된다.
이상의 야생화에서 선별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 진정용 조성물의 냉감 기능이 유지됨으로써, 그를 이용한 용도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야생화에서 선별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 진정용 조성물이 스킨, 스킨로션, 스킨소프트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영양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모이스쳐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파우더, 파운데이션, 비비크림,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새도우 및 핸드크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적용된 화장료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야생화에서 선별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 진정용 조성물은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클린져, 바디로션 및 샴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적용된 세정용품에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야생화에서 선별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 진정용 조성물은 마스크 팩 또는 패치형 스킨케어 제품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가지는 유효성분으로서 야생화에서 선별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 진정용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인체적용시 안정성이 검증된 식물군을 사용하여 이를 함유한 조성물의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진정용 조성물이 지속성 냉감 효과가 우수함으로써, 열로 인한 손상된 피부의 완화 및 진정효과를 구현하고 나아가 열에 의한 피부 노화 방지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형태의 더위지기 에탄올 추출물의 도포 시간별 피부 온도 냉감 측정결과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형태의 냉초 에탄올 추출물의 도포 시간별 피부 온도 냉감 측정결과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 및 제2실시형태의 추출물을 피부에 도포한 후, 도포 전후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 측정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가지는 유효성분으로서 야생화에서 선별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 진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조성물이 피부 도포 후, 피부 온도 최대 2.8℃ 미만의 하강 효과가 구현된,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가지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한 식물추출물로서, 더위지기(Artemisia gmelini Weber ex Stechim) 추출물 또는 냉초(Veronicastrum sibiricum (L.) Pennell) 추출물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그들간의 혼합형태도 적용가능하며, 상기 냉감효과를 구현하는 야생화에서 선별된 식물추출물이라면, 상기 예시된 식물추출물의 적용과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더위지기(Artemisia gmelini Weber ex Stechim.)는 부덕쑥 또는 애기바위쑥이라고 불리며,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의 목본식물이다. 이러한 더위지기의 줄기와 잎사귀는 한인진이라고 해서 고려시대부터 약용으로 이용되었음이 향약구급방에 기록되어 있다.
더위지기에 대한 기능연구는 다양하게 보고되어 있는데, 그 성분으로는 정유, 방향족 옥시카본산(oxycarbonic acid), 에스큐레틴 7-메틸에테르(Esculetin 7-methylether) 및 배당체인 스코폴린(Scopolin)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생리활성물질로서 에스큐레틴 6-메틸에테르(scopolutin) 등이 알려져 있다.
이에, 더위지기 수용성 추출분획은 면역 흉선세포와 간세포 사멸을 억제하고, 쑥의 휘발성 물질은 항돌연변이 효과, 알레르기와 염증을 억제하는 기능, 사염화탄소로 유도된 간 손상 보호 및 면역세포의 생육을 증진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또한, 더위지기 알코올추출물은 자유기 소거능이 있어 항산화 효과가 우수함이 보고되어 있다[대한민국특허 제487608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3-22476호 및 한국식품과학회지 제44권 제1호, 2012.2, 89-93].
그러나, 더위지기 추출물을 피부표면에 냉감 효과를 부여하는 조성물에 대한 보고는 아직까지 없다.
한편, 냉초(Veronicastrum sibiricum (L.) Pennell)는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어린 순은 나물로 먹으며 생약으로는 뿌리를 말린 것을 이용하며, 주로 대하증, 각기, 류머티즘, 관절염, 건위, 거담, 편두통, 수종, 이뇨, 통경, 중풍, 변비에 유용한 재료로서 사용되어 왔다.
또한 감기에 해열작용이 있으며 속병의 통증과 부인과, 순환계 질환을 다스리는데 이용되어 왔다. 뿌리에는 사포닌, 전초에는 쿠마린, 아스코르빈산, 알칼로이드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식품원료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식품공전에도 등록되어(2002년 8월 2일) 법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그러나, 냉초추출물이 피부표면에 냉감 효과를 제공한다는 보고 및 그에 대한 응용에 대한 아직까지 없다.
즉, 본 발명의 야생화에서 선별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 진정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식물추출물은 인체적용시 안정성이 검증된 재료로서, 그 함량은 건조함량 기준으로 0.005 내지 50 중량%가 함유될 수 있다. 이때, 야생화에서 선별된 식물추출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더위지기 추출물 또는 냉초 추출물의 함량에서 냉감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최소 범위로 0.005중량%이며, 그 미만이면, 냉감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안정성이 검증된 재료로 인한 함량을 최대 50중량%를 함유할 수 있으나, 그를 초과하면, 함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야생화에서 선별된 식물추출물, 더욱 바람직한 일례로서 더위지기 추출물 또는 냉초 추출물은 각각 더위지기 또는 냉초를 다양한 추출 용매, 예를 들면,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 용매,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1,3-부틸렌글리콜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이용하여 더위지기 추출물 또는 냉초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근거하여 부연하면, 더위지기 추출물 또는 냉초 추출물은 물, 메탄올 및 에탄올을 이용하여 각각의 건조함량으로 추출물을 수득하고, 이후 상기 건조된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또는 1,3-부틸렌글리콜에 대한 용해도가 높아, 시료로서 사용될 추출용매를 선택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진정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더위지기 추출물 또는 냉초 추출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여,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일반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형태의 더위지기 에탄올 추출물의 도포 시간별 피부 온도 냉감 측정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더위지기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대조구 대비, 측정시간 전 범위에 대하여 확연한 피부 온도 저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더위지기 에탄올 추출물을 피부에 도포직후에서 1분 이내의 온도가 도포 전보다 1.7 내지 2.78℃로 하강되며 7분 동안 냉감 효과를 유지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형태의 냉초 에탄올 추출물의 도포 시간별 피부 온도 냉감 측정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냉초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대조구 대비, 피부 온도 저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 및 제2실시형태의 추출물을 피부에 도포한 후, 도포 전후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 측정결과로서, 도포후의 피부온도 하강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이상의 야생화에서 선별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냉감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전후, 실제 피부온도의 하강과 피부에 지속적인 냉감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열로 인한 손상된 피부의 완화 및 진정효과에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야생화에서 선별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 진정용 조성물을 이용한 용도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야생화에서 선별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 진정용 조성물이 스킨, 스킨로션, 스킨소프트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영양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모이스쳐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파우더, 파운데이션, 비비크림,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새도우 및 핸드크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적용된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다.
이상의 피부 진정용 조성물이 피부 도포 후, 피부 온도가 하강되는 냉감 효과가 우수하고, 실시예에서 측정시간인 10분 동안 지속성이 유지되며, 특히, 도포 직후부터 7분까지 냉감 효과가 유지됨으로써, 열로 인한 손상된 피부의 완화 및 진정효과를 구현하고 나아가 열에 의한 피부 노화 방지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야생화에서 선별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 진정용 조성물은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클린져, 바디로션 및 샴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적용된 세정용품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세정용품의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식물추출물인 더위지기 추출물 또는 냉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피부 진정용 조성물은 피부 도포 후, 피부 온도가 하강되고, 특히 도포 직후부터 1분까지 냉감 효과가 우수하므로, 세정시간 동안 충분한 냉감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야생화에서 선별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 진정용 조성물은 마스크 팩 또는 패치형 스킨케어 제품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스크 팩 또는 패치형 스킨케어 제품군은 마스크 팩, 마스크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얼굴부위를 제외한 열에 의한 피부완화 및 진정효과가 필요한 신체부위에 부착할 수 있는 패치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식물추출물인 더위지기 추출물 또는 냉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피부 진정용 조성물은 피부 도포 후, 피부 온도가 최대 2.8 미만으로 하강되는 냉감 효과를 제공하고, 도포 직후부터 10분까지 냉감 효과가 유지됨으로써, 마스크 팩, 마스크 시트로 착용시간 동안 열로 인한 손상된 피부의 완화 및 진정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 열로 인한 손상된 피부의 완화 및 진정효과가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 다양한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클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 글라이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라이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시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링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 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1> 더위지기 열수추출물 제조
더위지기를 취하여 총 중량 대비 5배의 정제수를 각각 넣고 105℃에서 5시간 가온 추출하였다. 추출공정이 종료되면 거름종이(Whatman paper No. 1)로 여과하고,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를 이용하여 여과액에서 물을 제거하여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열수추출물로부터 얻어진 더위지기 건조 중량 20.59g를 수득하였다.
< 실시예 2> 더위지기 메탄올 추출물 제조
더위지기를 취하여 추출용매로서, 총 중량에 대해 3배의 80% 메탄올을 첨가하고, 25℃에서 72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는 공정을 3회 진행한 후 추출액을 거름종이로 여과한 다음, 회전 진공 증발기를 이용하여 여과액에서 메탄올 용매를 최대한 증발시켜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80%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얻어진 더위지기 건조 중량 28.01g를 수득하였다.
< 실시예 3> 더위지기 에탄올 추출물 제조
더위지기를 취하여 추출용매로서, 총 중량에 대해 3배의 70% 에탄올을 첨가하고, 25℃에서 72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는 공정을 3회 진행한 후 추출액을 거름종이로 여과한 다음, 회전 진공 증발기를 이용하여 여과액에서 에탄올 용매를 최대한 증발시켜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70%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얻어진 더위지기 건조 중량 27.74g을 수득하였다.
< 실시예 4> 더위지기 함유 30% 부틸렌글리콜 추출물 제조
더위지기를 취하여 추출용매로서, 총 중량에 대해 50배의 30% 부틸렌글리콜을 첨가하고, 25℃에서 72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는 공정을 1회 진행한 후 추출액을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더위지기의 30% 부틸렌글리콜 추출물 3.947kg(고형분 약 4.0중량%)을 얻었다.
< 실시예 5> 냉초 열수추출물 제조
냉초를 취하여 총 중량에 대해 5배의 정제수를 각각 넣고 105℃에서 5시간 가온 추출하였다. 추출공정이 종료되면 거름종이(Whatman paper No. 1)로 여과하고,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를 이용하여 여과액에서 물을 제거하여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열수추출물로부터 얻어진 냉초 건조 중량 17.42g를 수득하였다.
< 실시예 6> 냉초 메탄올 추출물 제조
냉초를 취하여 추출용매로서, 총 중량에 대해 3배의 80% 메탄올을 첨가하고, 25℃에서 72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는 공정을 3회 진행한 후 추출액을 거름종이로 여과한 다음, 회전 진공 증발기를 이용하여 여과액에서 메탄올 용매를 최대한 증발시켜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80%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얻어진 냉초 건조 중량 28.30g를 수득하였다.
< 실시예 7> 냉초 에탄올 추출물 제조
냉초를 취하여 추출용매로서, 총 중량에 대해 3배의 70% 에탄올을 첨가하고, 25℃에서 72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는 공정을 3회 진행한 후 추출액을 거름종이로 여과한 다음, 회전 진공 증발기를 이용하여 여과액에서 에탄올 용매를 최대한 증발시켜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70%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얻어진 냉조 건조 중량 25.13g을 수득하였다.
< 실시예 8> 냉초 부틸렌글리콜 추출물 제조
냉초를 취하여 추출용매로서, 총 중량에 대해 50배의 30% 부틸렌글리콜을 첨가하고, 25℃에서 72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는 공정을 1회 진행한 후 추출액을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냉초의 30% 부틸렌글리콜 추출물 3.881kg(고형분 약 3.9 중량%)을 얻었다.
< 실험예 1> 피부 온도 냉감 효과
20∼50세 연령의 성인 남녀 5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더위지기 에탄올 추출물과 실시예 7 에서 제조된 냉초 에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일시적인 피부 온도 저하 효과를 열화상 카메라(Thermal Imager Ti9, FLUKE, USA)를 이용하여 피부 온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3의 제조된 더위지기 에탄올 추출물, 실시예 7의 제조된 냉초 에탄올 추출물을 시험구로 사용하였다.
피부온도 냉감 측정방법은 왼쪽 전완부에는 실시예 3의 더위지기 에탄올 추출물을 도포하고, 오른쪽 전완부에는 실시예 7의 더위지기 에탄올 추출물을 도포하였고, 측정 시간은 하기 표 1표 2에 제시된 바와 같은 시간간격으로 온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값은 총 5명의 평균값을 통하여 계산하였으며, 온도 변화 값이 낮을수록 피부 온도 저하 효과가 높음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상기 표 1과 표 2의 결과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대조구 보다 더위지기 추출물과 냉초 추출물의 경우, 피부 온도 저하 효과가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추출물에 따른 피부 온도 저하 효과에 대한 열화상 카메라 측정결과로서, 실시예 3의 더위지기 에탄올 추출물과 실시예 7의 냉초 에탄올 추출물 각각을 도포 전후로 측정한 결과, 짙은 붉은색의 높은 피부온도가 도포 후에는 붉은색이 다소 옅어진 결과를 확인하였다.
< 처방예 1> 유연화장수의 제조
소듐히알루로네이트는 프로펠러믹서(3000rpm)로 정제수에 분산하여 1% 용액상태로 준비하였다. 소듐히알루로네이트를 제외한 원료 1 내지 8은 프로펠러믹서를 사용하여 수상 용해조에 500rpm으로 균일화시키고 75℃에서 가온하여 완전 용해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이후, 별도의 용해조에 원료 9 내지 11을 완전 용해시킨 후, 상기 수상 용해조에 투입하고 교반 혼합하였다. 여기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더위지기 열수추출물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참고로, 상기 더위지기 열수추출물 대신에, 실시예 5의 냉초 열수추출물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제형화 할 수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것이다.
Figure pat00003
처방예 2: 영양화장수의 제조
프로펠러믹서를 이용하여 카보머를 4000rpm으로 분산하여 2% 용액상태로 준비하였다. 수상 용해조에 원료 1 내지 6을 투입하여 호모믹서(2000rpm)로 교반하여 분산 후, 75℃까지 가온하였다. 유상 용해조에 원료 7 내지 14를 투입하여 75℃까지 가온 용해하였다. 그 다음 수상 용해조에 용해된 유상을 투입하여 유화(3000rpm/5분)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여기에, 실시예 5에서 제조된 냉초 열수추출물을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참고로, 상기 냉초 열수추출물 대신에, 실시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제형화할 수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것이다.
Figure pat00004
처방예 3 : 에센스의 제조
소듐히알루로네이트,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는 각각 정제수에 프로펠러믹서(2000rpm)로 분산하여 1% 용액 상태로 준비하였다. 또 카보머는 정제수에 프로펠러믹서(4000rpm)로 분산하여 2% 용액 상태로 준비하였다. 한편, 수상 용해조에 원료 1 내지 12를 투입하여 호모믹서(2000rpm)로 교반하여 분산 후, 75℃까지 가온하였고, 가온된 수상을 다시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별도의 용해조에 원료 13 내지 15를 완전 용해시킨 후, 상기 수상 용해조에 투입하여 교반 혼합하였다. 여기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더위지기 열수추출물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참고로, 상기 더위지기 열수추출물 대신에, 실시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제형화 할 수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것이다.
Figure pat00005
처방예 4 : 영양크림의 제조
수상용해조에 원료 1 내지 8을 투입하여 호모믹서(2000 rpm)로 교반하여 분산 후, 75℃까지 가온하였다. 별도의 유상 용해조에 원료 9 내지 16을 투입하여 80℃까지 가온 용해하였다. 수상 용해조에 용해된 유상을 투입하여 유화(3000 rpm/10분)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여기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더위지기 열수추출물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참고로, 상기 더위지기 열수추출물 대신에, 실시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제형화 할 수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것이다.
Figure pat00006
처방예 5 : 팩의 제조
별도의 용해조에 원료 1 내지 8을 완전 용해시켜 교반 혼합하고, 여기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더위지기 열수추출물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팩을 제조하였다. 참고로, 상기 더위지기 열수추출물 대신에, 실시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제형화할 수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것이다.
Figure pat00007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갖는 유효성분으로서 야생화에서 선별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 진정용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의 피부 진정용 조성물은 인체적용시 안정성이 검증된 식물군에서 선택되므로, 이를 함유한 조성물의 안정성이 확보되고, 바람직한 식물추출물로서 실시된 더위지기 추출물 또는 냉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 진정용 조성물이 지속성 냉감 효과가 우수함으로써, 열로 인한 손상된 피부의 완화 및 진정효과를 구현하고 나아가 열에 의한 피부 노화 방지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7)

  1. 야생화에서 선별된 식물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된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이 피부 도포된 후, 피부 온도 최대 2.8℃ 미만의 하강 효과가 구현된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가지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추출물이 더위지기(Artemisia gmelini Weber ex Stechim) 추출물 또는 냉초(Veronicastrum sibiricum (L.) Pennell) 추출물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그 혼합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추출물이 건조함량 기준으로 0.005 내지 50 중량%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추출물이 물, 메탄올, 에탄올,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용매 중에서 선택된 추출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되어, 스킨, 스킨로션, 스킨소프트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영양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모이스쳐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파우더, 파운데이션, 비비크림,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및 아이새도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되어, 샴푸,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클린져, 바디로션 및 핸드크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되어, 마스크 팩 또는 패치형 스킨케어 제품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KR1020140098142A 2014-07-31 2014-07-31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가지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KR101700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142A KR101700132B1 (ko) 2014-07-31 2014-07-31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가지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142A KR101700132B1 (ko) 2014-07-31 2014-07-31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가지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634A true KR20160015634A (ko) 2016-02-15
KR101700132B1 KR101700132B1 (ko) 2017-01-31

Family

ID=55356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142A KR101700132B1 (ko) 2014-07-31 2014-07-31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가지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1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227B1 (ko) 2017-04-27 2018-06-22 (주)네이처포 발열피부 냉각용 천연 살균 조성물
KR20190046681A (ko) * 2017-10-26 2019-05-07 주식회사 보타메디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냉각용 조성물 및 제품
KR20190047866A (ko) 2017-10-30 2019-05-09 (주)네이처포 피부 개선용 쿨링 크림
JP2022532003A (ja) * 2019-05-08 2022-07-13 ケーティー アンド ジー コーポレイション クガイソウ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炎症、アレルギー及び喘息の予防用または治療用の組成物、及びその用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3506B2 (en) * 2004-06-09 2009-06-30 Shenzhen Qianrenren Sci. & Tech. Development Co. Herbal compositio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rheumatic and inflammatory disease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20090087223A (ko) * 2008-02-12 2009-08-1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타나까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02528A (ko) * 2008-06-30 2010-01-0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안페논이 함유된 더위지기 추출분획조성물
JP2012153617A (ja) * 2011-01-24 2012-08-16 Kao Corp 冷感増強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3506B2 (en) * 2004-06-09 2009-06-30 Shenzhen Qianrenren Sci. & Tech. Development Co. Herbal compositio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rheumatic and inflammatory disease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20090087223A (ko) * 2008-02-12 2009-08-1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타나까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02528A (ko) * 2008-06-30 2010-01-0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안페논이 함유된 더위지기 추출분획조성물
JP2012153617A (ja) * 2011-01-24 2012-08-16 Kao Corp 冷感増強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227B1 (ko) 2017-04-27 2018-06-22 (주)네이처포 발열피부 냉각용 천연 살균 조성물
KR20190046681A (ko) * 2017-10-26 2019-05-07 주식회사 보타메디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냉각용 조성물 및 제품
KR20190047866A (ko) 2017-10-30 2019-05-09 (주)네이처포 피부 개선용 쿨링 크림
JP2022532003A (ja) * 2019-05-08 2022-07-13 ケーティー アンド ジー コーポレイション クガイソウ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炎症、アレルギー及び喘息の予防用または治療用の組成物、及びその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0132B1 (ko) 201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9958B1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N103735468B (zh) 一种含有驱蚊组合物微胶囊的化妆品
KR101700132B1 (ko)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가지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KR101687353B1 (ko) 오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17590A (ko) 발효 식물성 오일 및 발효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87406B1 (ko) 브로멜라인, 부처브룸, 포도씨, 아르니카 및 레몬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89330B1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6622015B2 (ja) 皮膚外用剤又は化粧料
CN104434643A (zh) 一种山茶润肤油及其制备方法
KR101732904B1 (ko) 하수오추출물, 슈도알테로모나스발효 추출물, 효모용해추출물, 마치현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냉감 및 진정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
JP2000239146A (ja) 化粧料
KR101697235B1 (ko)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적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4623B1 (ko) 식물 유래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60116506A (ko) 명월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1663B1 (ko) 발효 구인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사용한 보습력 및 흡수력이 뛰어나며 피부 재생을 도모하는 발효 구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화장품 및 혈관계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는 발효 구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성식품
KR20130002079A (ko) 오미자 추출물과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방법
KR102459024B1 (ko) 버베나 히브리다, 시클라멘 및 세인트폴리아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7420B1 (ko) 야생얌뿌리, 참깨, 눈연꽃 및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61321B1 (ko) 진두발을 함유하는 샴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09801B1 (ko) 소루쟁이와 승마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타민 c에 의한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9956B1 (ko)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피부 혈행 개선용 조성물
KR20150052907A (ko) 도화, 괴화, 대황, 정향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8349A (ko) 발효 구인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사용한 보습력 및 흡수력이 뛰어나며 피부 재생을 도모하는 발효 구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화장품 및 혈관계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는 발효 구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2289620B1 (ko) 물망초 추출물 및 수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60883A (ko) 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