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7590A - 발효 식물성 오일 및 발효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효 식물성 오일 및 발효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7590A
KR20210017590A KR1020190097094A KR20190097094A KR20210017590A KR 20210017590 A KR20210017590 A KR 20210017590A KR 1020190097094 A KR1020190097094 A KR 1020190097094A KR 20190097094 A KR20190097094 A KR 20190097094A KR 20210017590 A KR20210017590 A KR 20210017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d
oil
extract
fermented vegetable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예령
이찬영
조동근
권육영
이현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콜더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콜더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콜더마
Priority to KR1020190097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7590A/ko
Publication of KR20210017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발효된 식물성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 및 (b) 발효된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발효된 식물성 오일 및 상기 발효된 식물성 추출물은 동일한 식물로부터 유래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효된 식물성 오일 및 발효된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제는 천연물의 발효 처리에 의해 식물성 오일 및 식물성 추출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함량이나 조성이 개선된다. 또한, 오일 및 추출물을 각각 유상 및 수상에 포함시킴에 따라 제제의 안정성과 경피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식물성 오일 및 식물성 추출물을 동일한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선택함에 따라, 원료 비용을 절감하며 향미나 사용감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효 식물성 오일 및 발효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vegetable oil and fermented vegetable extrac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유래의 식물성 오일 및 식물성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천연물을 원료로 하는 화장품은 기능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어 각광받고 있다. 천연물이란 자연계에서 얻어지는 식물, 동물, 광물, 및 미생물과 이들의 대사 산물을 일컫는데, 그 중에서도 식물은 적절히 가공되어 식물성 추출물이나 식물성 오일의 형태로 화장품에 첨가될 수 있다.
화장품의 피부 보습 및 유연화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서 지방산 등이 포함된 유상이 필수적인데, 실리콘 오일이나 탄화수소계 오일을 포함하는 합성 오일보다는 천연 유래의 식물성 오일의 사용이 더욱 지향되고 있다(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77622호). 다만, 식물성 오일의 사용에 따라 여러 가지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이 있다. 대표적인 문제점으로는 느린 흡수력, 무겁고 끈적이는 사용감이 있다. 또한, 식물성 오일만을 화장품의 유상으로 사용하는 경우, 피부 보습이나 피부 투과층의 형성에 적합한 수준으로 필수지방산이나 유리지방산을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식물성 추출물이나 식물성 오일에는 항노화, 피부 미백, 또는 콜라젠 형성 등의 피부 개선 기능을 나타내는 다양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다만, 식물성 추출물이나 식물성 오일을 원료로 하는 화장료가 제제화되면 장기간 보관시에 안정성이 유지되어야 하며, 피부에 적용시 경피 전달이 확보되어 실제로 피부개선 기능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 어렵다. 현재까지 천연물 추출물의 피부 기능성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나(등록특허공보 제10-0886201호), 이들의 적합한 피부 침투성과 유화 안정도를 확보하도록 제제화하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식물 유래의 화장료 제제로서, 발효된 식물성 오일 및 발효된 식물성 추출물이 각각 유상 및 수상에 포함되는 제제를 고안하였다. 천연식물의 발효 처리에 의해 식물성 오일 및 식물성 추출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함량이나 조성이 개선된다. 또한, 오일 및 추출물을 각각 유상 및 수상에 포함시킴에 따라 제제의 안정성과 경피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식물성 오일 및 식물성 추출물을 동일한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선택함에 따라, 원료 비용을 절감하며 향미나 사용감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a) 발효된 식물성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 및 (b) 발효된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발효된 식물성 오일 및 상기 발효된 식물성 추출물은 동일한 식물로부터 유래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발효된 식물성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을 제공하는 단계; 발효된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상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유상 및 수상을 가용화제 또는 유화제의 처리 하에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발효된 식물성 오일 및 상기 발효된 식물성 추출물은 동일한 식물로부터 유래된 것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양태로서, 본 발명은 (a) 발효된 식물성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 및 (b) 발효된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과 유상의 혼합 제형으로 존재한다. 상기 유상은 오일과 오일에 용해될 수 있는 화장료 성분이 혼합된 상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상기 오일은 발효된 식물성 오일이다. 수상은 물과 물에 용해성이 있는 성분이 혼합된 상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상기 수상에는 발효된 식물성 추출물이 포함된다.
상기 식물성 오일 및 상기 식물성 추출물은 동일한 식물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여러 식물을 원료로 하지 않음에 따라 원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식물성 오일을 유상에 식물성 추출물을 수상에 포함시킴으로써, 해당 식물이 갖는 친유성 유효성분과 친수성 유효성분을 적절히 하나의 제제에 포함시킬 수 있어, 제제의 안정성과 경피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는 발효 식물성 추출물 및 발효 식물성 오일을 구성으로 포함함으로써 천연식물의 향을 자연스럽게 방출할 수 있어, 향미나 사용감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식물은 화장품 원료에 사용될 수 있는 식물이면 제한되지 않고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화장품 원료성분이 등재된 식물이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갈조, 감자전분, 감초, 고삼, 고추틴크, 구아검, 굴, 그레이프씨드, 그레이프프룻, 녹차, 닭벼슬나무, 당근, 당약, 동백유, 들국화, 딸기, 로즈마리, 로커스트빈검, 마카데미아넛, 마트리카리아, 면실유, 미네랄오일, 밀납, 밀전분, 밍크, 변성식용전분, 비피두스, 사플로워, 상백피, 세이지, 수세미, 실크, 쌀전분, 쑥, 아몬드, 아보카도, 아이비, 아카시아, 알로에, 에그, 옥수수, 올리브, 우유, 울금, 월견, 의이인, 인삼, 작약, 장미, 창포, 천궁, 치자, 카라야검, 카렌듀라, 코코넛, 콘키오린, 콩기름, 티트리, 파슬리, 파마자, 하이페리쿰, 헨나, 호스테일, 호호바, 황토, 효모 등이 있을 수 있다. 본원에서 제한되지 않는 실시예에 따르면, 본원 화장료 조성물은 알로에 또는 티트리 유래의 발효 식물성 오일 및 발효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알로에는 오늘날 세계적인 약용 식물로 이용되고 있는 다즙(多汁)의 다년생 초본(草本)으로 외형상 선인장과 비슷하나 실제로는 백합과(lily family), 알로에속(aloe genus)에 속하며, 백합과의 약 10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 아프리카 온난 건조한 기후지역이 원산지인 알로에는 고대 이집트인들이 피부의 상처, 화상 및 염증 치료에 사용한 것으로 근대에 이르러 1930년대 초에는 병원에서 가벼운 피부질환 치료와 방사선 피부염에 자주 사용되었다. 의학이 발달되지 않던 그리스 시대부터 상처 치유로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았으며 피부 미용 재료로 고대부터 오랜 기간 사용되었다. 알로에의 종류는 약 500여종으로 추측되고 있으나, 그 중에서 알로에 베라(aloe vera)는 "의약의 식물", "기적의 식물" 등으로 불리면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왔다. 알로에 베라의 학명은 알로에 발바덴시스 밀러(Aloe barbadensis miller)로서 80가지 이상의 유효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 알로에 베라의 "aloe" 는 아랍어로 맛이 쓴 물질, "vera"는 라틴어로 진실을 뜻한다. 알로에 베라는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는 식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특히 피부 보습효과가 우수하여 연약한 아기 피부에 수분 보호막을 만들어 준다. 또한, 상처 치유 및 세포 재생에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티트리는 Leptospermum, Melaleuca, Kunzea 속에 해당하며, 세계적으로 Leptospermum 속(genus)에 약 86 종, Melaleuca 속에 약 230여종의 식물이 알려져 있다. 원산지는 오스트레일리아로 뉴사우스웨일스주에서 자생한다. 높이 약 6m까지 늪지대에서 자라며 생명력이 강해서 줄기를 잘라내도 잘 자란다. 공기를 상쾌하게 정화하는 역할을 하는 허브의 한 종류이다.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티트리 나무의 잎으로 베인 상처에 생긴 감염증을 치료해왔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피부 창상의 치료제로서 열대지방의 군인에게 지급되기도 하였다.
본원에서 식물성 오일은 통상의 방법을 통해 직접 식물성 오일의 원료로부터 수득할 수 있으며,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물성 오일의 원료를 선별한 후, 세척 및 건조하고, 고온에서 로스팅, 착유, 여과, 집유 및 충진의 과정을 통해 식물성 오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발효에 적합하도록 산가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며, 산가가 2.0을 초과하는 경우 발효 효율이 저하된다.
상기 발효된 식물성 오일은 상기 식물성 오일을 미생물을 통해 발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생물은 슈도지마 속(Pseudozyma sp.)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SY16(KCTC 8950P)인 것일 수 있다. 발효된 식물성 오일은, 상기 미생물이 1차 배양된 배지에 상기 식물성 오일을 첨가한 후 2차 배양을 하여 얻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1차 배양은 배양액에 상기 미생물을 배양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배양액은 식물성 오일이 아직 함유되지 않은 것으로서, 식물성 오일의 발효가 잘 일어나도록 다양한 종류의 배양물질들이 배합될 수 있다. 상기 배양액은 글루코스, 이스트 추출물, 말트 추출물, 펩톤, soya bean meal, (NH4)2SO4, KH2PO4, MgSO4, CaCl2, NaCl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차 배양은 1차 배양액 100 중량부 대비 50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의 식물성 오일이 첨가되는 것일 수 있다. 식물성 오일이 많으면 충분히 발효되지 않을 수 있고, 적으면 원하는 조성을 갖도록 발효되지 않을 수 있다. 2차 배양은 72 내지 120 시간 진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에 의해 발효됨으로써, 발효되기 전보다 필수지방산 함량이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발효 후의 필수 지방산의 함량은 발효 전 대비 30 배 내지 160배 증가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필수지방산은 대표적으로 리놀레산일 수 있으며, 이는 표피 지질 이중막에 중요한 구성성분으로, 피부 보습, 피부 항상성 유지, 및 피부 각질층 보호에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미생물에 의해 발효됨으로써, 발효 전보다 유리 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발효 후의 유리지방산 함량을 발효 전 대비 30 내지 160 배 증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리지방산은 지방산이 글리세라이드로서 결합형태를 취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화장료 조성물 내 유리지방산의 함량이 높아지면 끈적임이 감소하여 사용감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번들거리는 사용감 개선에 효과적이다.
본원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유상에서 상기 발효된 식물성 오일은 총 조성물 중량 대비 0.1 내지 5 중량%, 구체적으로 0.5 내지 3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0.8 내지 1.2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발효된 식물성 오일이 적게 함유되어도 유상의 기능을 가지며, 피부 보습 및 피부 항상성 유지에 충분한 함량의 필수지방산 및 유리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된 식물성 오일에는 필수지방산 및 유리지방산 이외에 기름에 용해되는 활성성분이 존재하며, 유상에서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서 식물성 추출물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직접 식물성 추출물의 원료로부터 수득할 수 있으며,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물성 추출물의 원료를 선별한 후, 세척 및 건조하고, 수용성 용매 또는 스팀 증류 등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과정을 통해 식물성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식물성 오일을 추출하고 남은 원료를 이용하여 상기의 과정을 통해 식물성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원료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상기 발효된 식물성 추출물은 상기 식물성 추출물을 미생물을 통해 발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생물은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Lactobacillus casei인 것일 수 있다. 발효된 식물성 추출물은, 상기 미생물이 1차 배양된 배지에 상기 식물성 추출물을 첨가한 후 2차 배양을 하여 얻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1차 배양은 배양액에 상기 미생물을 배양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배양액은 식물성 추출물이 아직 함유되지 않은 것으로서, 식물성 추출물의 발효가 잘 일어나도록 다양한 종류의 배양물질들이 배합될 수 있다. 상기 배양액은 글루코스, 이스트 추출물, 말트 추출물, 펩톤, soya bean meal, (NH4)2SO4, KH2PO4, MgSO4, CaCl2, NaCl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차 배양은 1차 배양액 100 중량부 대비 50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의 식물성 추출물이 첨가되는 것일 수 있다. 식물성 추출물의 함량이 이보다 많으면 충분히 발효되지 않을 수 있고, 적으면 원하는 조성을 갖도록 발효되지 않을 수 있다. 2차 배양은 72 내지 120 시간 진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에 의해 발효됨으로써, 식물 추출물의 기능성 물질의 함량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정제수의 함량을 줄이며 고함량의 함습성분, 알로에베라잎추출물 및 락토바실러스발효물의 조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본원 화장료 조성물의 수상에서 상기 발효된 식물성 추출물은 총 조성물 중량 대비 1 내지 20 중량%, 구체적으로 3 내지 15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8 내지 12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추출물은 주로 수용성을 나타내는 활성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수상에서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수상에 포함되는 용매로는 증류수 이외에도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폴리올류, 또는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된 식물성 추출물 이외에도 수용성 활성성분들이 수상에 포함될 수 있다.
본원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과 유상이 잘 섞일 수 있도록, 유화제 또는 가용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 또는 가용화제는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로는 예를 들면 이눌린라우릴카바메이트,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솔베이트 20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로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음이온성 아미노산계열의 유화제, 슈가에스테르, 콜레스테롤 및 소듐라우릴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이상일 수 있다. 또한, 세테아릴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 소르비탄올리베이트(Sobitan olivate - 올리브유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화장료 성분들이 첨가될 수 있다. 일 예로 계면활성제, pH 조절제, 향료, 보존제, 점증제, 금속이온 봉쇄제, 보습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등의 각종 첨가물 이외에, 비타민류, 식물 추출물, 피부 수렴제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제형 및 첨가성분이 상기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화장품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천연원료로부터 유래된 첨가물, 보조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고급 지방산 비누, 알킬 황산 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염, 알킬 에테르 인산 에스테르염, N-아실아미노산염, 아실 N-메틸타우린염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염화 알킬트리메틸 암모늄, 염화 디알킬디메틸 암모늄 등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알킬 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알킬 아미도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2-알킬-N-카복시-N-하이드록시이미다졸리늄 베타인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형, 다가 알콜 에스테르형,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블럭 공중합체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특별하게 제한됨 없이 고분자 계면활성제나 천연 계면활성제에 속하는 계면활성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트로메타민(tromethamine),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소듐 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 소듐 하이드록시(sodium hydroxide), 소듐 시트레이트(Sodium citrate), 소듐 카보네이트(sodium carbonate), 소듐 보레이트(sodium borate), 세바식산(sebacic acid),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potassium hydroxide), 인산(phosphoric acid), 말릭산(malic acid), 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magnesium hydroxide), 마그네슘 카보네이트(magnesium carbonate), 락토바이오산(lactobion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ic acid), 감마 리놀렌산(gamma linolen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디타놀아민(diethanolamine), 구연산(citric acid), 보레이트 (borate), 벤조익애씨드(benzoic acid), 아젤라익산(azelaic acid),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아미노메칠프로판올(aminomethyl propanol), 및 아세트산 (acet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향료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꽃, 잎, 가지, 과피 등으로부터 분리한 식물성 향료; 머스크, 시빗 등의 동물성 향료; 모노테르펜 등의 탄화수소류; 지방족 알코올, 방향족 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테르펜알데히드, 방향족 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류; 지환식 케톤 등의 케톤류; 테르펜계 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류; 락톤류; 페놀류; 옥시드류; 질소 함유 화합물류; 아세탈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특별하게 제한됨 없이 상기 예시된 것 이외의 천연향료나 합성향료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존제 또는 방부제로는 1,2-헥산다이올, 살리실산, 및 소르빈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로는 예를 들면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Hydroxymethylcellulose), 셀룰로오스(Cellulose) 잔탄검(Xanthan gum),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 코폴리머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 VP Copolymer), 카르복시비닐 폴리머(Carboxyvinylpolymer),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아르긴산 나트륨(Sodium Alginate), 아르긴산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Alginate), 한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Sodium Polyacrylate), 숙시노글루칸(Succinoglucan), 덱스트란(Dextran), 만난(mannan), 펙틴(Pectin), 젤란검(Gellan Gum), 카라기난(Carrageenan),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벤토나이트(Bentonite), 규산 알루미늄(Aluminum Silicate, 규산 마그네슘(Magnesium Silicate), 라포나이트(Laponite), 헥토라이트(hectorite), 무수 규산(Silicic acid Anhydride)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금속이온 봉쇄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디아민 사초산 이나트륨, 에데트산, 에데트산나트륨염 등의 에데트산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로서는 예를 들면, 히알루론산, 베타인, 트레하, 부틸렌글라이콜,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글리세린, 메틸글루세스-20,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외에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류, 식물 추출물, 피부 수렴제, 등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원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수상, 상기 유상, 및 기타 추가 성분을 혼합하고 정제수로 잔량을 채워 제조된다. 정제수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80% 이하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70% 이하로, 보다 구체적으로 60%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본원에서 제한되지 않는 실시예에 따르면 정제수의 함량이 60% 미만으로 포함된 제제의 경우 오히려 수분 함량이 높게 유지될 수 있었으며, 이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발효 추출물 및 발효 오일에 포함된 나노 사이즈의 기능성 물질 또는 함습 성분이 보다 충분한 함량으로 포함되어, 피부 침투율 및 보습 지속력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유중수형 제형이나 수중유형 제형일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장료 조성물 배합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세럼, 로션, 젤, 크림, 젤 크림, 슬리핑 마스크, 스킨 트리트먼트, 및 클렌징 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제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발효된 식물성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을 제공하는 단계; 발효된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상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유상 및 수상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발효된 식물성 오일 및 상기 발효된 식물성 추출물은 동일한 식물로부터 유래된 것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수상에 가용화제 또는 유화제의 존재 하에 상기 유상을 투입하면서 교반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유상에 상기 가용화제 또는 상기 유화제의 존재 하에 상기 수상을 투입하면서 교반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상에 상기 가용화제 또는 상기 유화제의 부재하에 상기 유상을 투입하면서 교반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분산제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발효된 식물성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을 제공하는 단계는, (i) 미생물과 배양배지를 포함하는 배양액을 준비하는 1차 배양 단계; (ii) 식물성 오일을 1차 배양액에 첨가한 후 배양하는 2차 배양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된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상을 제공하는 단계는, (i) 미생물과 배양배지를 포함하는 배양액을 준비하는 1차 배양 단계; (ii) 식물성 추출물을 1차 배양액에 첨가한 후 배양하는 2차 배양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발효된 식물성 오일 및 발효된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제는 천연물의 발효 처리에 의해 식물성 오일 및 식물성 추출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함량이나 조성이 개선된다. 또한, 오일 및 추출물을 각각 유상 및 수상에 포함시킴에 따라 제제의 안정성과 경피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식물성 오일 및 식물성 추출물을 동일한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선택함에 따라, 원료 비용을 절감하며 향미나 사용감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발효되지 않은 알로에 오일과 발효 알로에 오일의 지방산 조성 및 유리 지방산 조성을 각각 나타낸 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발효되지 않은 티트리 오일과 발효 티트리 오일의 지방산 조성 및 유리 지방산 조성을 각각 나타낸 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제제예 5 도포 전 및 도포 12시간 경과 후의 수분 함량 및 오일함량을 각각 나타낸 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발효 알로에 제제를 각각 50℃, 4℃조건, 사이클링 조건, 및 상온에 보관한 후의 외관을 나타낸 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발효 티트리 제제를 각각 50℃, 4℃ 조건, 사이클링 조건, 및 상온에 보관한 후의 외관을 나타낸 도이다.
도 6a 내지 도 6g는 제제예 1 내지 7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를 각각 나타낸 도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10 내지 14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를 각각 나타낸 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1: 발효된 식물성 오일의 제조
(1) 발효된 알로에 오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배양액 1L에 슈도지마속 (Pseudozyma sp.) SY16[KCTC 8950P]를 접종하여 25℃300rpm, 호기조건 하에서 48시간 1차 배양하였다.
글루코스 10 g/L
올리브오일 100 g/L
yeast extract 3 g/L
malt extract 3 g/L
peptone 3 g/L
soya bean meal 3 g/L
(NH4)2SO4 2 g/L,
KH2PO4 1 g/L
MgSO4 0.5 g/L
CaCl2 0.1 g/L
NaCl 0.1 g/L
증류수 874.3g/L
미리 준비한 알로에 오일 100L를 상기 1차 배양액에 첨가하고 25℃500rpm, 호기조건 하에서96시간 2차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취하여 오일부분만 회수하여, 발효 알로에 오일로 사용하였다. 발효오일의 회수는 발효 종료 후 원심분리를 한 후, 탈수 및 여과하여 얻어진다. 발효되지 않은 알로에 오일과 발효 알로에 오일의 지방산 조성 및 유리 지방산 조성을 각각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었다.
(2) 발효된 티트리 오일의 제조
상기 발효된 알로에 오일의 제조 방법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표 1의 배양액 1L에 슈도지마속 (Pseudozyma sp.) SY16[KCTC 8950P]를 접종하여 25℃300rpm, 호기조건 하에서 48시간 1차 배양하였다.
미리 준비한 티트리 오일 100L를 상기 1차 배양액에 첨가하고 25℃500rpm, 호기조건 하에서 96시간 2차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취하여 오일부분만 회수하여, 발효 티트리 오일로 사용하였다. 발효되지 않은 티트리 오일과 발효 티트리 오일의 지방산 조성 및 유리 지방산 조성을 각각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2: 발효된 식물성 추출물의 제조
(1) 발효된 알로에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알로에 원물을 증류수와 배합 후 멸균하고, Lactobacillus casei 균주를 접종하여 2~3일, 30도에서 발효하여 원심분리 및 filtration하여 발효수를 제조 하였다.
글루코스 10 g/L
올리브오일 100 g/L
yeast extract 3 g/L
malt extract 3 g/L
peptone 3 g/L
soya bean meal 3 g/L
(NH4)2SO4 2 g/L,
KH2PO4 1 g/L
MgSO4 0.5 g/L
CaCl2 0.1 g/L
NaCl 0.1 g/L
증류수 874.3g/L
(2) 발효된 티트리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티트리 원물을 증류수와 배합 후 멸균하고, Lactobacillus casei 균주를 접종하여 2~3일, 30도에서 발효하여 원심분리 및 여과하여 발효수를 제조 하였다.
제제예
제조예 1 및 2에서 수득한 발효된 식물성 오일 및 발효된 식물성 추출물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화장료 제제를 제조하였다.
(1) 제제예 1 - 발효 알로에 스킨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알로에 외용 스킨을 제제화하였다.
중분류 소분류 함량(%)
수상 용해부 정제수 85.6 
트레하 0.5
발효알로에추출물 10.0
부틸렌글라이콜 2.0
소듐히알루로네이트 0.02
메틸글루세스-20 1.0
가용화부 이눌린라우릴카바메이트 0.4
유상 용해부 발효알로에오일 0.1
방부제 1,2-헥산다이올 0.2
카프릴릴글라이콜 0.2
(2) 제제예 2 -발효 알로에 세럼
하기 표 4의 조성으로 알로에 외용 세럼을 제제화하였다.
중분류 소분류 함량(%)
  정제수 81.7
수상 용해부 발효알로에추출물 10.0
트레하 0.5
베타인 1.0
글리세린 4.0
가용화부 이눌린라우릴카바메이트 0.3
유상 용해부 발효알로에오일 0.1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2.0
방부제 1,2-헥산다이올 0.2
카프릴릴글라이콜 0.2
(3) 제제예 3 - 발효 알로에 젤
하기 표 5의 조성으로 알로에 외용 젤을 제제화하였다.
중분류 소분류 함량(%)
  정제수 85.9
수상 용해부 발효알로에추출물 10.0
하이드록시에틸우레아 0.40
글리세린 2.0
가용화부 이눌린라우릴카바메이트 0.5
유상 용해부 발효알로에오일 0.1
방부제 1,2-헥산다이올 0.2
카프릴릴글라이콜 0.2
점증부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4
중화부 트로메타민 0.3
(4) 제제예 4 - 발효 알로에 로션
하기 표 6의 조성으로 알로에 외용 로션을 제제화하였다.
중분류 소분류 함량(%)
  정제수 81.9
수상 용해부 발효알로에추출물 10.0
글리세린 4.0
가용화부 이눌린라우릴카바메이트 0.3
유상 용해부 발효알로에오일 0.1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1.0
시어버터 0.5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1.3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방부제 1,2-헥산다이올 0.2
카프릴릴글라이콜 0.2
(5) 제제예 5 - 발효 알로에 크림
하기 표 7의 조성으로 알로에 외용 크림을 제제화하였다.
중분류 소분류 함량(%)
  정제수 61.3
수상 용해부 발효알로에추출물 10.0
소듐히알루로네이트 0.02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5.0
글리세린 13.0
유화제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1.8
유상 용해부 발효알로에오일 1.0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2.0
시어버터 2.5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3.0
방부제 1,2-헥산다이올 0.2
카프릴릴글라이콜 0.2
(6) 제제예 6 - 발효 알로에 젤 크림
하기 표 8의 조성으로 알로에 외용 젤 크림을 제제화하였다.
중분류 소분류 함량(%)
  정제수 66.0
수상 용해부 발효알로에추출물 10.0
부틸렌글라이콜 3.00
글리세린 20.0
유화제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2
유상 용해부 발효알로에오일 0.1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0.3
방부제 1,2-헥산다이올 0.2
카프릴릴글라이콜 0.2
(7) 제제예 7 - 발효 알로에 슬리핑 마스크
하기 표 9의 조성으로 알로에 외용 슬리핑 마스크를 제제화하였다.
중분류 소분류 함량(%)
  정제수 64.3
수상 용해부 발효알로에추출물 10.0
하이드록시에틸우레아 3.00
글리세린 20.0
유화제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2
유상 용해부 발효알로에오일 0.1
헵틸운데실레네이트 2.0
방부제 1,2-헥산다이올 0.2
카프릴릴글라이콜 0.2
(8) 제제예 8 - 발효 티트리 트리트먼트
하기 표 10의 조성으로 티트리 외용 트리트먼트를 제제화하였다.
중분류 소분류 함량(%)
  정제수 85.0
수상 용해부 발효티트리추출물 10.0
베타인살리실레이트 0.1
부틸렌글라이콜 3.0
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1
가용화부 이눌린라우릴카바메이트 0.3
유상 용해부 발효티트리오일 0.1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1.0
방부제 1,2-헥산다이올 0.2
카프릴릴글라이콜 0.2
(9) 제제예 9 - 발효 알로에 클렌징 폼
하기 표 11의 조성으로 알로에 외용 클렌징 폼을 제제화하였다.
중분류 소분류 함량(%)
  정제수 52.5
수상 용해부 발효알로에추출물 10.0
글리세린 20.0
중화제부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2.0
유상 용해부 발효알로에오일 0.1
팔미틱애씨드 10.0
스테아릭애씨드 5.0
방부제 1,2-헥산다이올 0.2
카프릴릴글라이콜 0.2
(10) 제제예 10 - 발효 티트리 스킨
상기 제제예 1 에서 발효 알로에 추출물 및 발효 알로에 오일 대신 발효 티트리 추출물 및 발효 티트리 오일을 첨가한 것을 제제예 10으로 제제화하였다.
(11) 제제예 11 - 발효 티트리 트리트먼트(데이)
하기 표 12의 조성으로 발효 티트리 트리트먼트(데이)를 제조하였다.
중분류 소분류 함량(%)
  정제수 85.0
수상 용해부 발효티트리추출물 10.0
베타인살리실레이트 0.1
부틸렌글라이콜 3.0
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1
가용화부 이눌린라우릴카바메이트 0.3
유상 용해부 발효티트리오일 0.1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1.0
방부제 1,2-헥산다이올 0.2
카프릴릴글라이콜 0.2
(12) 제제예 12 - 발효 티트리 트리트먼트(나이트)
하기 표 13의 조성으로 발효 티트리 트리트먼트(나이트)를 제조하였다.
중분류 소분류 함량(%)
  정제수 62.3
수상 용해부 발효티트리추출물 10.0
글리세린 13.0
하이드록시에틸우레아 3.0
글리세릴폴리메타크릴레이트 0.5
유화제부 폴리글리세릴-4올리에이트 0.3
유상 용해부 시어버터 2.0
세테아릴알코올 2.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2.0
프로필렌글라이콜다이카프릴레이트/다이카프레이트 2.0
발효티트리오일 0.5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2.0
방부제 1,2-헥산다이올 0.2
카프릴릴글라이콜 0.2
(13) 제제예 13 및 14 - 발효 티트리 클렌징 폼 및 발효 티트리 로션
상기 제제예 9 및 제제예 4 에서 발효 알로에 추출물 및 발효 알로에 오일 대신 발효 티트리 추출물 및 발효 티트리 오일을 첨가한 것을 각각 제제예 13 및 제제예 14로 제제화하였다.
실험예 1: 보습력 평가
보습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피검자를 모집하여 각 화장료 제제의 보습력을 평가하였다. 발효 알로에 제제예 1 내지 7을 얼굴 부위별로 도포하여 도포 전과 도포 12시간 경과 후에 유수분 측정기기(MODE SK-8 skin analyzer)를 이용하여 피부 수분 및 유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측정기기를 통해 얻은 수치를 이용하여 단기 보습 지속효과를 관찰하였으며, 해당 결과를 표 14에 기재하였다. 예시적으로 도 3a및 도 3b를 통해 제제예 5 도포 전 및 도포 12시간 경과 후의 수분 함량 및 오일함량을 나타내었다.
도포 전 12시간 경과 후
  수분함량(%) 오일함량(%) 수분함량(%) 오일함량(%)
제제예 1 - 발효 알로에 스킨 44.7 20.1 44.2 21.9
제제예 2 - 발효 알로에 세럼 40.8 18.3 44.4 19.9
제제예 3 - 발효 알로에 젤 33.3 14.9 37.3 16.7
제제예 4 - 발효 알로에 로션 43.5 19.5 48.2 21.6
제제예 5 - 발효 알로에 크림 36.6 16.4 53.2 23.9
제제예 6 - 발효 알로에 젤크림 30.4 13.6 48.9 22.0
제제예 7 - 발효 알로에 슬리핑마스크 32.4 15.3 51.2 23.2
상기 표 14에 기재한 바와 같이, 도포 전의 피검자 피부의 수분 함량의 평균치는 37.4%이었으며, 각 제제예의 도포하고 12시간 경과 후의 평균 수분 함량은 46.8%로 나타났다. 각 제제예를 피부에 도포할 경우 수분 증발 방지에 의해 지속적인 보습효과가 나타나 약 9.4%의 보습 효능이 지속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정제수의 함량이 60% 미만으로 포함된 제제예5 내지 제제예 7을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오히려 수분 함량이 오히려 높게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당 제제예에는 나노사이즈 원료 및 고함량의 함습성분이 적용되어 피부 침투율 및 보습 지속력이 오래 유지된다.
실험예 2: 안정성 평가
상기 제제예들의 보관 시 층 분리 및 변색 유무를 측정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제제예들을 상온, 4℃ 50℃, 4℃ ~ 40℃ (1일 2회)의cycling조건의 항온조에 보관하여 3개월 경과 후 층 분리 및 변색 유무를 확인하였다. 도 4a 내지 도 4d에는 발효 알로에 제제를 각각 50℃, 4℃, 4 내지 40℃의 사이클링 조건(1일 2회), 및 상온에 보관한 후의 외관을 나타내었으며, 왼쪽부터 제제예 1, 2, 3, 4, 5, 6, 및 7을 배치하였다. 도 5a 내지 도 5d에는 발효 티트리 제제를 각각 50℃, 4℃, 4℃ ~ 40℃ (1일 2회)의 cycling 조건, 및 상온에 보관한 후의 외관을 나타내었으며, 왼쪽부터 제제예 10, 11(스킨 트리트먼트-데이), 12 (스킨 트리트먼트-나이트), 13, 및 14를 배치하였다. 발효 알로에 제제와 발효 티트리 제제의 보관 안정성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15 및 16에 기재하였다.
 발효 알로에 제제 4°C cycle 50°C 상온
제제예 1- 발효 알로에 스킨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제제예 2- 발효 알로에 세럼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제제예 3- 발효 알로에 젤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제제예 4- 발효 알로에 로션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제제예 5- 발효 알로에 크림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제제예 6- 발효 알로에 젤크림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제제예 7- 발효 알로에 슬리핑마스크 안정 안정 안정 안정
 발효 티트리 제제 4°C cycle 50°C 상온
제제예 10- 발효 티트리 스킨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제제예 11 - 발효 티트리 트리트먼트(데이)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제제예 12 - 발효 티트리 트리트먼트(나이트)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제제예 13 - 발효 티트리 클렌징 폼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제제예 14 - 발효 티트리 로션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실험예 4: 안전성 및 관능평가
실제로 인체에 적용하였을 때 안전성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한국, 중국, 및 프랑스 3국에서 피험자를 각 10명씩 선정하여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피험자에게는 7일간 매일 해당 제제예를 사용하게 하였다.
사용한 결과 어느 피검자에게도 피부자극이 나타나지 않았다. 효능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는, 발림성, 퍼짐성, 보습력, 영양감, 지속성, 자극, 향, 및 만족도를 선정하였고, 매우 우수한 경우 10점, 매우 나쁜 경우 0점으로 하여 평가하였다
발효 알로에 제제인 제제예 1 내지 7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를 도 6a 내지 도 6g로 나타내었으며, 발효 티트리 제제인 제제예 10 내지 14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를 도 7a 내지 도 7e로 나타내었다.
상기 도 6 및 7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발효 알로에 제제 및 발효 티트리 제제는 발림성, 퍼짐성, 보습력, 영양감, 지속성, 자극, 향, 및 만족도 측면에서 모두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a) 발효된 식물성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 및 (b) 발효된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발효된 식물성 오일 및 상기 발효된 식물성 추출물은 동일한 식물로부터 유래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된 식물성 오일 및 상기 발효된 식물성 추출물의 유래 식물은 알로에 또는 티트리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된 식물성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된 식물성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2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된 식물성 오일은 슈도지마 속 미생물에 의해 발효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된 식물성 추출물은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미생물에 의해 발효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추출물은 물, C1-6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용매로 추출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c) 가용화제 또는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세럼, 로션, 젤, 크림, 젤 크림, 슬리핑 마스크, 스킨 트리트먼트, 및 클렌징 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제제로 제제화 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0. 발효된 식물성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을 제공하는 단계;
    발효된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상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유상 및 수상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발효된 식물성 오일 및 상기 발효된 식물성 추출물은 동일한 식물로부터 유래된 것인, 제조방법.
KR1020190097094A 2019-08-09 2019-08-09 발효 식물성 오일 및 발효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17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094A KR20210017590A (ko) 2019-08-09 2019-08-09 발효 식물성 오일 및 발효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094A KR20210017590A (ko) 2019-08-09 2019-08-09 발효 식물성 오일 및 발효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590A true KR20210017590A (ko) 2021-02-17

Family

ID=74732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094A KR20210017590A (ko) 2019-08-09 2019-08-09 발효 식물성 오일 및 발효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759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466B1 (ko) * 2022-04-19 2022-10-07 주식회사 라비오 작약 첨가 안티폴루션 발효 식물성 오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59871B1 (ko) * 2022-04-19 2022-10-27 주식회사 라비오 울금 첨가 안티폴루션 발효 식물성 오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74601B1 (ko) * 2022-11-04 2023-09-08 엘앤피코스메틱(주) 티트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652401B1 (ko) * 2023-09-25 2024-03-29 주식회사 아이씨바이오 화이트티트리 추출물의 이중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466B1 (ko) * 2022-04-19 2022-10-07 주식회사 라비오 작약 첨가 안티폴루션 발효 식물성 오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59871B1 (ko) * 2022-04-19 2022-10-27 주식회사 라비오 울금 첨가 안티폴루션 발효 식물성 오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74601B1 (ko) * 2022-11-04 2023-09-08 엘앤피코스메틱(주) 티트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652401B1 (ko) * 2023-09-25 2024-03-29 주식회사 아이씨바이오 화이트티트리 추출물의 이중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742B1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20210017590A (ko) 발효 식물성 오일 및 발효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3966924B2 (ja) 植物抽出物含有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
JP3415198B2 (ja) 皮膚外用剤
KR101756812B1 (ko) 발효추출물과 산소수를 포함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5354B1 (ko) 여드름 병변 예방 및 개선효과가 있는 한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200057677A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1780863B1 (ko)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H09301821A (ja) リパーゼ活性促進剤
KR20130030032A (ko)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97285B1 (ko) 천연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18366B1 (ko)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66747B1 (ko) 녹용의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367703B1 (ko) 화장료 및 피부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1950331B1 (ko) 곰솔, 개똥쑥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감소 및 여드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190101550A (ko) 오크라, 퀴노아, 석류, 들깨, 편백 추출 혼합물과 프로폴리스 및 합성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조성물
KR20190050387A (ko) 죽염을 이용한 천연바디워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605517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1945402B1 (ko) 산자나무 오일을 함유하는 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0908B1 (ko) 영여자 숙성액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영여자 숙성액
KR101743001B1 (ko) 키토산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1295B1 (ko) 화피 및 녹용의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