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321B1 - 진두발을 함유하는 샴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진두발을 함유하는 샴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321B1
KR101261321B1 KR1020100121724A KR20100121724A KR101261321B1 KR 101261321 B1 KR101261321 B1 KR 101261321B1 KR 1020100121724 A KR1020100121724 A KR 1020100121724A KR 20100121724 A KR20100121724 A KR 20100121724A KR 101261321 B1 KR101261321 B1 KR 101261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hampoo
green tea
iris
eth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1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0295A (ko
Inventor
김미량
Original Assignee
김미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량 filed Critical 김미량
Priority to KR1020100121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321B1/ko
Publication of KR20120060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4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2Acoraceae (Calamus family), e.g. sweetflag or Acorus cala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두발을 함유하는 샴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두발 추출물이 샴푸의 제형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나아가 천연물인 진두발 추출물 뿐만 아니라 감태, 창포와 녹차 추출물, 조릿대추출물, 어성초추출물 등을 이용하여 보습효과 및 비듬 및 탈모예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 천연샴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두발을 함유하는 샴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Shampo Compositions comprising Chondrus ocellatus and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진두발을 함유하는 샴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두발 추출물이 샴푸의 제형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나아가 천연물인 진두발 추출물 뿐만 아니라 감태, 창포와 녹차 추출물, 조릿대추출물, 어성초추출물 등을 이용하여 보습효과 및 비듬 및 탈모예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 천연샴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두피는 신진대사에 의한 땀과 피지에 의해 더럽혀진다. 또한, 현대 산업화 사회에서는 각종 공해로 인한 먼지와 외부 자극에 의해서 더욱 두발이 불결하게 느껴지고 외양도 좋지 못하다. 따라서 두발이 더렵혀지면 부득이 정기적으로 자주 샴푸해야 하며, 특히 예전과는 달리 생활수준이 향상된 현대사회에서는 거의 매일 같이 샴푸를 하는 습관이 생기게 되었다.
샴푸는 두피 및 두발의 오염을 제거하고 두발을 청결하고 아름답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세정을 위한 목적 이외에 빗질의 용이성, 부드러움, 매끄러움, 윤기 부여 및 모발 표면의 마찰 저하, 정전기 방지, 모발 보호 등의 부가적인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샴푸조성물에 대하여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이들중 모발의 정전기 방지 및 젖은 상태의 모발을 부드럽게하여 마찰에 의한 큐티클의 손상을 억제하기 위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종래 모발의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양이온폴리머를 사용하였고, 젖은 상태의 모발을 부드럽게하여 헹굴 때 또는 젖은 모발을 빗질할 때에 모발큐티클층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주로 양이온폴리머를 사용하였다. 즉, 샴푸를 할 때의 젖은모발은 일반적으로 pH가 등전점 3.67보다 높으므로 항상 음의 전하를 띄고 있기 때문에, 양의 전하를 띄는 양이온 폴리머를 사용하므로서 상이한 이온성에 의해 모발에 양이온 폴리머가 흡착되어 모발이 보호되도록 한 것으로, 특히, 양이온 폴리머는 특유의 전하밀도를 가지고 있고, 전하밀도가 클수록 흡착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전하밀도가 높은 양이온 폴리머를 사용하여 모발을 보호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현재 샴푸들중에서 세정성이 뛰어나고 샴푸 후 청량감을 준다는 이유로 음이온 계면활성제 베이스를 함유하는 샴퓨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 베이스에서 양이온폴리머는 사용에 제약을 받는다. 왜냐하면, 1.5meq/g 정도의 상대적 으로 낮은 전하밀도를 갖는 양이온폴리머는 과량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베이스에서 재가용화되어 투명하게 되지만, 5.2meq/g 이상의 상대적으로 높은 전하밀도를 갖는 양이온폴리머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와의 상호작용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복합체를 형성하여 제형을 분리시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양이온폴리머 사이의 강한 이온결합에 의한 복합체가 형성되어 제형이 분리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액정형성능이 있는 비이온계면활성제를 부가하여 복합체에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침투하여 강한 이온결합을 약화시키고 구형 액정형태로 변형시키므로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양이온 폴리머가 안정하게 분산된 샴푸조성물을 제공하는 연구도 이루어지나, 이도 계면활성제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피부에 있는 피지 및 보습인자들이 과도하게 씻겨 나가고 있어 탈모나 비듬이 생기는 문제점은 여전히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샴푸의 제형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천연물의 추출물을 연구한 결과 진두발추출물이 제형을 분리시키지 않고 안정화시킴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물인 진두발 추출물 뿐만 아니라 감태, 창포와 녹차 추출물, 조릿대추출물, 어성초추출물 등을 이용하여 보습효과 및 비듬 및 탈모예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 천연샴푸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샴푸 조성물은 진두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상기 샴푸조성물은, 감태 추출물, 창포 추출물, 녹차 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샴푸조성물은, 조릿대추출물 또는 어성초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두발 추출물은 전체 샴푸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30중량 %, 감태 추출물은 0.1~7중량 %,, 창포 추출물은 0.1~7중량 %, 녹차 추출물은 0.1~7중량 %, 조릿대추출물은 은 0.1~7중량 %, 어성초 추출물은 0.1~7중량 %로 함유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샴푸 조성물은 진두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형안정용 샴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샴푸조성물제조방법은 진두발, 감태, 창포 및 녹차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형성하는 추출단계와; 비누페이스트 형성단계와;
상기 추출물과 비누페이스트를 함유하여 샴푸를 형성하는 샴푸형성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단계는 에탄올에 의하여 추출을 한 진두발에탄올추출물, 감태에탄올추출물, 녹차에탄올추출물, 창포에탄올추출물을 각각 형성한 후에, 상기 진두발에탄올추출물, 감태에탄올추출물, 녹차에탄올추출물, 창포에탄올추출물을 정제수에 의하여 추출을 하여 진두발열수추출물, 감태열수추출물, 녹차열수추출물, 창포열수추출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누페이스트형성단계는 코코넛유, 올리브유, 동백유, 카놀라유, 피마자유 및 콩유를 혼합한 오일을 형성하고, 상기 감태열수추출물, 녹차열수추출물 및 창포열수추출물에 가성가리를 녹인 후에 상기 오일과 혼합 교반하여 젤리화를 형성한 후에 1~3개월간 숙성시켜 비누페이스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샴푸형성단계는 상기 숙성된 비누페이스트의 pH를 pH6~7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진두발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샴푸의 제형을 분리시키지 않고 안정화시키는 효과를 도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물인 진두발 추출물 뿐만 아니라 감태, 창포와 녹차 추출물, 조릿대추출물, 어성초추출물 등을 이용하여 보습효과 및 비듬 및 탈모예방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비교예 1의 5일 후에 제형의 분리상태의 정도를 나타내는 사진.
도 2는 실시예 1의 5일 후에 제형의 분리상태의 정도를 나타내는 사진.
도 3은 실시예 1의 30일 후에 제형의 분리상태의 정도를 나타내는 사진.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진두발을 함유하는 샴푸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진두발(Chondrus ocellatus)은 홍조식물 돌가사리과의 바닷말로서, 홍자색을 띠며 형태는 개체마다 차이가 많다. 크기도 15~50cm로 개체마다 차이가 크다. 가느다란 쐐기형의 짧은 줄기와 줄기 위로 여러 번 분지하는 가지가 있어 전체적으로 위로 올라갈수록 넓어지는 부채꼴 모양은 하고 있고, 파도가 심한 조간대 중부나 하부에서 번성하며, 한국의 전 연안 및 일본에 분포한다.
상기 진두발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조성물은 하기의 실험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샴푸의 제형을 안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정력을 높여준다.
한편, 본 발명에서 지칭되는 '추출물'은 일반적인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열수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특히 '열수추출물'은 증류수를 이용하여 열수추출방식에 의하여 추출된 것을 지칭하고, '에탄올추출물'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것을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진두발 추출물 뿐만 아니라 감태, 창포 또는 녹차 추출물 등을 추가로 함유하여 제형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모발 보호 및 비듬 및 탈모예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 샴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감태는 (Ecklonia cava)는 갈조식물의 다시마과에 속하는 다년생 해조류이다. 동해안 남부, 남해안 및 제주도에 분포하며, 봄에 가장 성숙한다. 줄기는 굵은 원기둥을 하고 있으며, 상부는 납작한 엽상부이다. 봄에 줄기와 엽상대 사이의 생장대에서 엽상부가 새로이 생기면서 3-4년간 생장한다. 색은 갈색인데 건조하면 흑색으로 되고 질은 혁질이다. 건조된 감태는 알긴산 원료나 구근 작물용 비료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창포는 천남성과(天南星科, A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수창포(Acorus calamus L.)와 석창포(石菖蒲:Soland.)의 2종류가 있으며, 한자로는 백창(白菖), 취창(臭菖), 수창포(水菖蒲)라 한다. 보통 수창포로 알려진 창포는 습지에서 잘 자라 연못, 호수의 물가에 군생하며 중국의 호북, 호남, 사천성, 우리나라의 제주도, 황해도, 평북, 함남, 경북, 대구 등지에도 자생한다. 한수창포의 근경을 채집해서 건조한 것은 창포 근이며 방향성 건위재, 보온재, 노쇄방지의 목적으로 사용하며 근엽은 욕탕에 넣어 향료로 사용하여 몸을 따뜻하게 하는데 사용한다. 지하 뿌리를 분말로 만들어 증기에 바르면 농즙을 빨아내는데 유효하고 단오절에 창포 탕에 목욕하면 사기를 없앤다 하여 민간에서 이용하고 있으며, 동의보감에는 창포 뿌리 즙액을 찹쌀과 섞어 술을 빚어 상복하면 장수한다는 기록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녹차(Green-tea, Camellia teaceac)는 커피, 코코아 및 홍차와 함께 카페인(caffeine)을 함유한 비알콜성 기호음료로서 예로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 음용하여 온 기호음료 중의 하나이다. 녹차는 비타민과 무기질의 영양소를 공급하는 기능, 맛과 향 등의 기호를 충족시키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체 건조녹차 잎 100 mg 중에 카로틴(carotene)이 13 mg, 비타민 E가 65.4 mg, 그리고 식이섬유가 10.6 mg 등이 함유되어 있고, Ca, Fe 및 K 등 무기질도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들 녹차 중 떫은맛의 주성분은 폴리페놀(polyphenol) 성분인 카테킨(catechin)인데, 카테킨은 그 유도체에 따라 에피카테킨(Epicatechin),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와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카테킨(Catethin)은 함량이 건조 녹차의 8~20% 정도에 달하며, 수용성으로 물과 함께 끓이면 수중으로 용출된다. 녹차의 쓴맛은 주로 각성작용, 이뇨작용, 피로회복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카페인에 의한 것이며, 특유의 독특한 맛을 내는 성분은 티아닌(theanine) 성분으로서 이중 글루탐산(glutamic acid)의 에틸아마이드(ethylamide)가 약 절반을 차지하고 이외에 20여 종류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다. 한편, 녹차에는 여러가지 생리활성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특히 카테킨류는 혈중의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킴으로서 혈전의 생성억제 및 동맥경화를 예방하고, 과산화지질의 생성을 억제하고 지방산화를 방지하는 기능성이 있음이 밝혀져 천연 항산화제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또한, 녹차는 노화방지와 더불어 암의 증식을 억제하고 발암억제 기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독소를 무력화하는 항독소 작용이 있어 식중독을 방지하는 효과도 알려져 있다. 특히, 녹차에 함유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가 주효능 물질임이 밝혀졌고, 비타민 E보다 25배, 비타민 C보다 100배 이상의 항산화 활성이 강하여 수산식품의 지질산화 방지나 보존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중금속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음이 입증된 바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진두발, 감태, 창포 또는 녹차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 할 수 있다.
상기 진두발, 감태, 창포 또는 녹차를 각각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그늘 또는 햇빛에서 건조한 후에 적당한 크기로 분쇄한다.
먼저, 분쇄한 진두발, 감태, 창포 또는 녹차를 10배양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알코올을 이용하여 20~40일간 침출한 후 여과하여 진두발에탄올추출물, 감태에탄올추출물, 창포에탄올추출물, 녹차에탄올추출물을 각각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에탄올 추출에 의하여 물에 녹지 않는 지질 등의 생리활성 물질이 높게 추출되게 된다.
나아가, 에탄올에 의하여 추출된 진두발에탄올추출물, 감태에탄올추출물, 창포에탄올추출물, 녹차에탄올추출물을 10배의 양의 정제수에 넣고 70 ~ 100℃ 바람직하게는 90℃ 에서 2~5시간동안 교반한 후 여과하여 진두발열수추출물, 감태열수추출물, 창포열수추출물, 녹차열수추출물을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정제수에 의한 열수 추출에 의하여 물에 잘 녹는 다당류 등의 물질이 높게 추출되게 된다.
상기 진두발추출물은 전체 샴푸 조성물에 대하여 0.1~30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두발추출물이 0.1중량 %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제형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형의 안정성의 효과가 미미하며, 30중량%를 초과하여 투입할 경우에는 초과투입에 따른 상승효과가 적어 경제적이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감태, 창포 및 녹차 추출물은 전체 샴푸 조성물에 대하여 각각 0.1~7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적합하다. 감태, 창포 및 녹차 추출물이 0.1 중량 % 미만으로 포함 할 경우에는 샴푸 조성물의 피부 보습 효과가 미미하며 7.0 중량 %를 초과하여 투입할 경우에는 초과투입에 따른 상승 효과가 적어 경제적이지 못하며, 제품 안정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진두발 추출물은 샴푸 조성물 뿐만 아니라, 에센스, 스킨 등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제형이 분리되지 않을 수 있도록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 이외에 조릿대추출물과 어성초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조릿대추출물과 어성초추출물은 상기 추출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고, 시중에서 시판되는 추출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조릿대추출물과 어성초추출물은 전체 샴푸 조성물에 대하여 각각 0.1~7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적합하다.
한편, 본 발명은 천연샴푸를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비누페이스트를 숙성시켜 제조하는데, 먼저, 오일 바람직하게는 코코넛유, 올리브유, 동백유, 카놀라유, 피마자유, 콩유를 전체 샴푸 조성물에 대하여 각각 0.1~8%로 혼합하여 형성시키고, 상기 감태열수추출물, 녹차열수추출물, 창포열수추출물을 전체 샴푸 조성물에 대하여 각각 0.1~3%로 혼합한 열수추출물혼합물에 가성가리를 전체 샴푸 조성물에 대하여 2~6%로 녹이고 상기 오일을 가성가리가 녹은 열수추출혼합물에 첨가하여 70~80℃로 온도를 맞추고 젤리화가 될 때까지 핸드블랜더 등으로 교반시킨다. 젤리화가 되면 밀봉을 한 후 1~3개월간 숙성하여 비누페이스트를 제조한다.
나아가, 상기 숙성된 비누페이스트에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현미식초 등의 식초를 넣고 pH를 pH6~7에 맞춘 후에 진두발추출물, 감태추출물, 녹차추출물, 창포추출물, 어성초추출물, 조릿대추출물,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에 의하여 추출된 진두발에탄올추출물, 감태에탄올추출물, 녹차에탄올추출물, 창포에탄올추출물, 어성초에탄올추출물, 조릿대에탄올추출물 등을 함유하여 샴푸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진두발추출물 이외에 샴푸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데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라벤더 에센셜 오일, 티트리에센셜오일, 로즈마리에센셜오일, 페퍼민트, 멘톨등을 함유 하는 것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샴푸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 비누,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 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와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하기, 실시예와 실험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진두발추출물의 제조
진두발을 담수에 2차레 세척하여 염분과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햇빛에 말려 건조한 후 잘게 분쇄한 후에 분쇄된 진두발의 10배의 70%알콜에 30일간 침출한 후 여과하여 진두발에탄올추출물을 제조한다. 침출여과가 끝난 진두발에탄올추출물을 10배 양의 정제수에 넣고 9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열을 가한 후 여과하여 진두발열수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제조예 1에 의하여 제조된 진두발 추출물을 함유하고 계면활성제를 넣지 않은 샴푸를 하기의 표 1의 조성으로 제조하여 실시예 1을 제조하였고, 진두발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샴푸를 비교예 1로 하여 제형이 분리되는 지를 파악하였다.
실시예1(중량 %) 비교예1(중량 %)
진두발열수추출물 25 0
글리세린 8 8
디메티콘 3.5 3.5
글라이콜디스테아레이트 1.5 1.5
소디움이디티에이 0.05 0.05
메칠파라벤 0.1 0.1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도 1 및 도 2는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5일 후에 제형의 분리상태의 정도를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비교예 1은 제형이 완전히 분리된 것에 비해 진두발열수추출물이 함유된 실시예 1은 제형이 분리되지 않고 안정하게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3은 실시예 1의 30일 후에 제형의 분리상태의 정도를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실시예 1은 30일이 지나도 제형이 분리되지 않고 안정하게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2]-감태에탄올추출물 및 감태열수추출물의 제조
감태를 담수에 2차레 세척하여 염분과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햇빛에 말려 건조한 후 잘게 분쇄한 후에 분쇄된 감태의 10배의 70%알콜에 30일간 침출한 후 여과하여 감태에탄올추출물을 제조한다. 침출여과가 끝난 감태에탄올추출물을 10배 양의 정제수에 넣고 9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열을 가한 후 여과하여 감태열수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창포에탄올추출물 및 창포열수추출물의 제조
잘 건조된 창포분말을 10배양의 70%알콜에 약 30일간 침출한 후 여과하여 창포에탄올추출물을 제조한다. 침출이 끝난 창포에탄올추출물의 중량의 10배의 양의 정제수에 넣고 9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열을 가한 후 여과하여 창포열수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녹차에탄올추출물 및 녹차열수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녹차잎을 구입하여 잘게 분쇄하고 녹차의 10배양의 70%알콜에 약 30일간 침출한 후 여과하여 녹차에탄올추출물을 추출한다. 침출이 끝난 녹차에탄올추출물의 중량의 10배의 양의 정제수에 넣고 9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열을 가한후 여과하여 녹차열수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비누페이스트 제조
-천연샴푸를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비누페이스트를 제조한다.
1. 오일을 표 2에 따라 계량한다.
구성 사용량(g) 샴푸함유비율(%)
코코넛(g) 250 3.8
올리브 225 3.4
동백유 150 2.3
카놀라유 125 1.9
피마자 250 3.8
콩유 500 7.6
2. 제조예 2,3,4에서 제조된 감태, 녹차, 창포의 열수추출물을 표 3에 따라 계량한다.
구성 사용량(g) 샴푸함유비율(%)
감태(열수추출물) 151.0 2.31
녹차(열수추출물) 100.0 1.53
창포(열수추출물) 100.0 1.53
3. 가성가리를 354g 계량하고 2의 열수추출물에 부어 녹인다.
4. 오일과 가성가리 녹인 물의 온도를 70℃~80℃ 사이에 맞추어 오일에 가성가리를 붓는다.
5. 4를 핫플레이트 위에 놓고 70~80℃로 온도를 맞추고 젤리화 될 때까지 핸드블랜더로 저어준다.
6. 젤리화가 되면 핫플레이트에서 내려놓은 후 설탕을 녹인 물을 넣고 잘 섞이게 저어준다.
7. 밀봉을 한 후 3개월간 숙성하여 비누페이스트를 제조한다.
8. 숙성된 비누페이스트에 시중에서 나오는 현미식초를 넣고 pH를 pH6~7에 맞추어 비누페이스트를 준비한다.
[제조예 6]-천연샴푸제조
상기 제조예 1~5에서 제조된 추출물과 비누페이스트를 포함하여 하기 표 4의 조성비로 실시예 2, 3의 천연샴푸를 제조하였고, 시판중인 통상적인 헤어샴푸를 비교예 2로 하였다.
구성 실시예 2(중량%) 실시예 3(중량%)
진두발열수추출물 15 15
비누페이스트 37 37
감태에탄올추출물 0.8 0.8
녹차에탄올추출물 1.5 1.5
창포에탄올추출물 1.5 1.5
조릿대추출물 0 1.0
어성초추출물 0 1.0
라벤더에센셜오일 0.46 0.46
레몬에센셜오일 0.23 0.23
페퍼민튼에센셜오일 0.08 0.08
멘톨 0.08 0.08
정제수 To 100 To 100
[실험예 2]
본 발명에 따른 샴푸 조성물에 대한 피부 자극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상기 실시예 2 및 3, 그리고 비교예 2에 대한 피부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피부테스트를 위해 10대에서 30대까지 각 연령대별로 5명씩 총 15명의 여성을 상대로 위팔 부위에 소량의 시료를 첩포한 후 1시간 후에 피부 반응을 1차 육안 검사하고, 24시간 후에 다시 2차 육안 검사하여 그 결과를 하기의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피부자극정도
실시예2 1차:○, 2차: ○
실시예3 1차:○, 2차: ○
비교예2 1차:△, 2차: △
(○: 피부 면화 없음, △:경미한 홍반이 나타나, x:뚜렷한 홍반이 나타남)
상기의 표 5의 결과를 살펴보면, 비교예 2의 통상적인 샴푸 조성물의 경우 경미한 홍반이 나타나 피부에 자극적인 데 반해 실시예 2, 3인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은 피부에 자극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상기 실시 예 2, 3 및 비교 예 2에 대한 보습효과, 비듬방지, 탈모방지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하였다. 이를 위해 남, 여 성인 30명을 선발하였다. 연령대는 25~55세였으며, 남자 12명 여자 18명이었다. 피검자들을 10명씩 3그룹으로 나누어, 제 1그룹에는 실시예 2의 샴푸 조성물을, 제 2그룹에는 실시예 3의 샴푸 조성물을, 제 3그룹에는 비교 예 2의 샴푸를 이용하여 매일 한번씩 통상적인 방법으로 머리를 감도록 하여 두 달 후 피부의 보습효과, 비듬방지 탈모방지 정도에 대해서 5점척도법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보습효과 비듬방지 탈모방지
실시예 2 4.2 4.0 4.0
실시예 3 4.1 4.2 4.5
비교예 2 3.3 2.8 2.6
(1:매우나쁘다, 2:나쁘다, 3:보통이다, 4:좋다, 5:매우좋다)
상기 표 6의 결과를 살펴보면, 통상적인 샴푸 조성물인 비교예2와 비교해 볼 때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은 보습효과 비듬 방지, 탈모 방지에 상당히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실시 예 3이 실시 예 2에 비하여 비듬방지 및 탈모방지의 효과가 더욱 우수함이 나타났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천연물을 이용한 샴푸 조성물은 탈모방지에 효과가 있음과 동시에 보습효과, 비듬방지의 효과가 큼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진두발 추출물과,
    감태추출물, 창포 추출물, 녹차 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함유하며,
    조릿대 추출물 또는 어성초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며,
    상기 진두발 추출물은 전체 샴푸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30중량 %, 상기 감태 추출물은 0.1~7중량 %, 상기 창포 추출물은 0.1~7중량 %, 상기 녹차 추출물은 0.1~7중량 %, 상기 조릿대추출물은 0.1~7중량 %, 상기 어성초 추출물은 0.1~7중량 %로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
  5. 삭제
  6. 진두발, 감태, 창포 및 녹차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형성하는 추출단계와;
    비누페이스트를 형성하는 비누페이스트형성단계와;
    상기 추출물과 비누페이스트를 함유하여 샴푸를 형성하는 샴푸형성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단계는 에탄올에 의하여 추출을 한 진두발에탄올추출물, 감태에탄올추출물, 녹차에탄올추출물, 창포에탄올추출물을 각각 형성한 후에,
    상기 진두발에탄올추출물, 감태에탄올추출물, 녹차에탄올추출물, 창포에탄올추출물을 정제수에 의하여 각각 추출을 하여 진두발열수추출물, 감태열수추출물, 녹차열수추출물, 창포열수추출물을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페이스트형성단계는 코코넛유, 올리브유, 동백유, 카놀라유, 피마자유 및 콩유를 혼합한 오일을 형성하고,
    상기 감태열수추출물, 녹차열수추출물 및 창포열수추출물에 가성가리를 녹인 후에 상기 오일과 혼합 교반하여 젤리화를 형성한 후에 1~3개월간 숙성시켜 비누페이스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샴푸형성단계는 상기 숙성된 비누페이스트의 pH를 pH6~7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00121724A 2010-12-02 2010-12-02 진두발을 함유하는 샴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61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724A KR101261321B1 (ko) 2010-12-02 2010-12-02 진두발을 함유하는 샴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724A KR101261321B1 (ko) 2010-12-02 2010-12-02 진두발을 함유하는 샴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295A KR20120060295A (ko) 2012-06-12
KR101261321B1 true KR101261321B1 (ko) 2013-05-06

Family

ID=4661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1724A KR101261321B1 (ko) 2010-12-02 2010-12-02 진두발을 함유하는 샴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3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149A (ko) 2014-08-21 2016-03-03 허형남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양모효능이 있는 조성물
CN110507555A (zh) * 2019-09-18 2019-11-29 贵州沐木皙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无水氨基酸姜茶洗发液及其加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1861A (ja) 2001-09-06 2003-03-19 Shiseido Co Ltd 養毛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1861A (ja) 2001-09-06 2003-03-19 Shiseido Co Ltd 養毛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149A (ko) 2014-08-21 2016-03-03 허형남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양모효능이 있는 조성물
CN110507555A (zh) * 2019-09-18 2019-11-29 贵州沐木皙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无水氨基酸姜茶洗发液及其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295A (ko) 201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15198B2 (ja) 皮膚外用剤
KR101284656B1 (ko) 화장료 조성물
CN105505635B (zh) 一种含有荷花活性成分的洁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CN102641232B (zh) 一种具有嫩白滋养功效的大花红景天身体乳
KR101312965B1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KR101574556B1 (ko) 둥근마, 신선초, 오크라 및 토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102023651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헤어샴푸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1700132B1 (ko)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가지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KR2017013746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261321B1 (ko) 진두발을 함유하는 샴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80714A (ko) 피부 미용을 위한 영양 팩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0410B1 (ko) 마사지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86676A (ko) 히비스커스를 포함하는 피부 미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236348B1 (ko) 팩조성물
KR101138157B1 (ko) 천연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1423552B1 (ko) 건조트러블 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65909A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0908B1 (ko) 영여자 숙성액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영여자 숙성액
KR102503191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95141B1 (ko) 피부 개선용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TW201936169A (zh) 預防或改善皺紋的化妝料組合物、功能性食品組合物、藥物組合物及醫藥外品組合物
KR20150051751A (ko) 탈모 방지 및 두피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140115228A (ko) 생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81959B1 (ko)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