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3149A -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양모효능이 있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양모효능이 있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3149A
KR20160023149A KR1020140109037A KR20140109037A KR20160023149A KR 20160023149 A KR20160023149 A KR 20160023149A KR 1020140109037 A KR1020140109037 A KR 1020140109037A KR 20140109037 A KR20140109037 A KR 20140109037A KR 20160023149 A KR20160023149 A KR 20160023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hai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6008B1 (ko
Inventor
허형남
Original Assignee
허형남
(주)코리아신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형남, (주)코리아신약 filed Critical 허형남
Priority to KR1020140109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008B1/ko
Publication of KR20160023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성초, 자소엽, 녹차 및 한련초를 포함하는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사람 모유두 세포의 성장, 분열 촉진 효과와 동물에 대한 양모 효과가 우수하여 탈모방지 또는 양모용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화장료로서 용이하게 사용가능하다.

Description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양모효능이 있는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herbal mixture for preventing alopecia or hair growth effect}
본 발명은 어성초, 자소엽, 녹차 및 한련초를 포함하는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양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모발은 약 10만 내지 15만개 정도이며,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주기를 가지며 성장기(anagen), 퇴행기(catagen), 휴지기(telogen)를 거쳐 성장, 탈락하게 된다. 이러한 주기는 36년에 걸쳐 반복되는데 그 결과 일일 평균 50 내지 100개의 모발이 정상적으로 탈락하는 양상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탈모증(alopecia 또는 hair loss)이라 함은 이러한 주기 중에서 성장기의 모발 비율이 짧아지고 퇴행기 또는 휴지기의 모발이 많아져 비정상적으로 모발이 탈락하는 숫자가 많아지는 것을 의미하는데, 특히, 탈모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남성형 탈모의 경우에는 모발 밀도의 감소는 없지만 모발의 굵기가 극단적으로 감소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탈모증의 치료나 예방에 있어서 현재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제제는 미녹시딜(Minoxidil) 함유 제제로서, 현재까지 미국 FDA의 승인을 받은 두 가지 발모제 성분 중의 하나이다. 미녹시딜은 고혈압 치료제이었지만 사용상의 부작용으로 발모 현상이 나타나면서 현재에는 발모제로 더 유명한 약물이 되었다. 미녹시딜의 발모 작용기전에 대해서는 정확히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혈관 확장 효과를 통한 혈류량 증가로 모근에 영양을 공급하여 모발 성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이러한 혈류량 증가 모델은 미녹시딜이 모근을 구성하는 주요세포인 모유두(dermal papilla)에서 혈관 확장에 관련된 성장 인자인 혈관내피성장 인자(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의 발현을 증가시킨다는 최근의 보고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증명되었다(Br. J. of Dermatol., 1998, 138, 407~411). 또한, 미녹시딜의 발모효과 기전에 있어 혈관 확장 효과 이외에도 체외 배양 중인 모근의 모유두 세포 활성화(Skin Pharmacol., 1996, 9, 3~8) 및 모낭 조직배양에서 모낭의 성장을 촉진한다는 연구 보고(J. Invest. Dermatol., 1989, 92, 315~320) 등은 미녹시딜이 모근에 직접적인 성장 인자로 작용함을 시사하고 있다.
이밖에 최근에 발매가 시작된 머크(Merck)사의 프로페시아(Propecia) 주성분인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는 남성호르몬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이 더 강력한 형태의 남성호르몬인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DHT: dihydrotestosterone)으로 전환되는 것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1997년 12월 남성형 탈모증의 치료제로 1㎎ 타블렛이 FDA로부터 사용 승인을 받아 현재 시판 중으로, 임상결과 유의할 만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나 일부 남성 기능 억제 부작용도 보고되고 있다(J. Am. Acad. Dermatol., 1998, 39, 578~589). 그러나 이 약물 또한 미녹시딜과 같이 임상효과가 그다지 탁월하지 못하고 부작용에 대한 우려 때문에 좀 더 우수한 발모제 탐색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각각의 효과에 편향적인 유효 성분들의 경우에는 동물 실험이나 제한적인 임상 실험에서 발모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보고하고 있지만 복잡한 모발 성장 메커니즘을 충족시켜주지 못하고 사람 개개인의 고유한 탈모 특성 등이 고려되지 못하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대다수의 사용자들이 눈에 띄는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해외 경쟁제품과 효과 및 개념적으로 경쟁력을 보유한 발모 증진 신소개 개발 및 원천기술의 상용화가 필요하다.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약모밀이라고도 하며, 응달진 숲 속에서 자란다.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벋고 가늘며 흰색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20~50cm이며, 몇 개의 세로줄이 있고, 냄새가 난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가 3~8cm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턱잎이 잎자루 밑 부분에 붙어 있다. 꽃은 5~6월에 피고 줄기 끝에서 나온 짧은 꽃줄기 끝에 수상꽃차례를 이루며 많은 수가 달린다. 총포는 4개로 갈라지고 꽃차례 밑에 십자 모양으로 달려 꽃잎처럼 보이며, 갈라진 조각은 길이 1.5~2cm의 타원 모양 또는 긴 타원 모양이며 흰색이다. 꽃차례의 길이는 1~3cm이고, 꽃은 꽃잎과 꽃받침이 없고 3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암술대는 3개이고, 씨방은 상위(上位)이고 3실이다. 열매는 삭과이고, 종자는 연한 갈색이다. 꽃이 피기 전의 식물체를 이뇨제와 구충제로 사용하고, 잎을 짓찧어 종기와 독충에 물렸을 때 바른다. 민간에서는 부스럼, 화농, 치질에 사용하고, 한방에서는 식물체를 임질, 장염, 요로감염증, 폐렴, 기관지염, 고혈압, 방광염, 축농증, 치루, 탈홍, 악창, 염증완화 등에 사용한다. 잎이 메밀의 잎과 비슷하고 약용식물이므로 약모밀이라고 부른다. 한국(울릉도, 안면도, 거제도), 일본, 중국, 히말라야, 자바에 분포한다. 중국의 '본초강목', '영남 체역록'. '중국약식물도감' 등에 어성초가 해독작용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피를 맑게 하고 피부를 개선시키는 효과나 재생효과가 뛰어나다고도 알려져 있다.
자소엽은 차조기(Perilla frutescens var. acuta[=Perilla sikokiana])의 잎을 건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비타민 A, 비타민 C, 칼슘, 인, 철 등의 미네랄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해독, 심신안정, 발한, 해열, 이뇨, 건위, 거담 효과가 있다. 이 외에도 입맛을 돋우고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땀을 잘 나게 하며 염증, 기침 등의 억제 효과가 있다. 빈혈이 줄어들고 혈중 콜레스테롤의 저하 효과, 혈관 염증의 억제 효과, 심혈관 질환의 예방 효과 등이 있고 소화기의 기능을 좋게 하며, 두통이나 무좀에도 치료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녹차는 차나무(Camellia sinensis)의 잎을 이용하여 말린 것으로서, 차나무의 잎을 채취한 후 즉시 가열하여 산화효소를 파괴시켜 녹색을 그대로 유지하는 동시에, 수분을 증발시켜 잎을 흐늘흐늘하게 말기 좋은 상태로 말리는데, 예전에는 사람이 가마솥에서 직접 잎을 손으로 비벼 말렸다. 건조된 녹차 잎은 가열을 계속하여 대부분의 수분을 제거하여 어느 정도 바삭바삭하게 만들어 차의 음용 또는 한약재의 원료로서 사용한다. 녹차의 카테킨 성분은 위암, 간암, 유방암, 식도암 등의 다양한 암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녹차에 포함된 다당체는 인슐린 합성을 촉진시켜 혈당의 상승을 억제한다. 또한 중금속 제거 효과나 혈중 콜레스테롤의 상승 억제, 비만 예방, 피부의 진정 작용 등이 있어 피부노화의 억제에 효과적임이 알려져 있다.
한련초(Eclipta prostrata)는 논둑이나 습지에서 자란다. 밑부분이 비스듬히 자라다가 곧게 서며 부드럽지만 전체에 센 털이 있어 거칠다. 높이 10∼60cm로 잎겨드랑이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3∼10cm, 나비 5∼25mm의 바소꼴로서 양면에 굳센 털이 있으며 잔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피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두화(頭花)가 1개씩 달린다. 두화는 지름 1cm 정도이고 설상화는 흰색이다. 총포조각은 5∼6개이며 긴 타원형으로 녹색이고 끝이 둔하다. 열매는 수과로서 검은색으로 익는데 설상화의 것은 세모지만 관상화의 것은 네모이다. 풀 전체를 약재로 한다. 민간에서 지혈제로 사용하며, 특히 혈분 치료에 쓰고 있다. 아시아와 세계의 따뜻한 곳에 분포한다. 한련초는 남성의 정기를 보호하는 기능이 있어 조루나 발기부전 등의 남성질환 치료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신장기능의 향상, 요통 억제, 여성의 자궁염, 생리불순, 냉증 등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탈모방지 또는 양모효과가 있는 생약 조성물에 관한 연구를 하던 중, 본 발명의 어성초, 자소엽, 녹차 및 한련초를 포함하는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이 탈모 억제 효과 또는 양모(발모)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261321호 (진두발을 함유하는 샴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2013.04.30. 등록) 한국등록특허 1322926호 (한련초 추출물, 이의 분획물, 터트티에닐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2013.10.22. 등록) 한국공개특허 2011-0112019호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2011.10.12. 공개) 한국공개특허 2011-0104196호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2011.09.22. 공개)
Lachgar, S. et al., Minoxidil upregulates the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human hair dermal papilla cells. Br. J. of Dermatol., 1998, 138, 407~411. Kurata. S. et al., Effects of hypertrichotic agents on follicular and nonfollicular cells in vitro. Skin Pharmacol., 1996, 9, 3~8. Buhl, A.E. et al., Minoxidil stimulates mouse vibrissae follicles in organ culture. J. Invest. Dermatol., 1989, 92, 315~320. Kaufman K.D. et al., Finasteride in the treatment of men with androgenetic alopecia. Finasteride Male Pattern Hair Loss Study Group. J. Am. Acad. Dermatol., 1998, 39, 578~589. E. Kaiser et al. Color test for detection of free terminal amino groups in the solid-phase synthesis of peptides., Anal. Biochem., 1970, 34(2), 595~598.
본 발명의 목적은 어성초, 자소엽, 녹차 및 한련초를 포함하는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양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어성초 100 중량부, 자소엽 20~80 중량부, 녹차 20~80 중량부 및 한련초 100~3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양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은, 어성초 100 중량부, 자소엽 20~80 중량부, 녹차 20~80 중량부 및 한련초 100~3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생약 혼합물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어성초 100 중량부, 자소엽 20~80 중량부, 녹차 20~80 중량부 및 한련초 100~3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양모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어성초 100 중량부, 자소엽 20~80 중량부, 녹차 20~80 중량부 및 한련초 100~3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양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는 헤어토닉, 헤어크림,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스프레이, 헤어에어졸, 포마드, 분말, 젤, 솔젤, 에멀젼, 오일, 왁스 및 에어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모발용 화장료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은,
(1공정) 어성초 100 중량부, 자소엽 20~80 중량부, 녹차 20~80 중량부 및 한련초 100~3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생약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공정) 상기 1공정의 생약 혼합물에, 상기 생약 혼합물 전체 중량 1~10배의 추출용매를 혼합하여 70~100℃에서 0.5~10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및,
(3공정) 상기 2공정의 추출물의 건더기를 제거하고 여액을 수거하는 단계;를 통해 얻을 수 있다.
상기 1공정의 생약 혼합물은 어성초 100 중량부 기준으로 자소엽 20~80, 녹차 20~80 및 한련초 100~300 중량부를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생약 혼합물은 어성초 100 중량부 기준으로 자소엽 20~80, 녹차 20~80 및 한련초 100~300 중량부를 혼합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혼합범위를 벗어나서 추출한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은 탈모방지 또는 양모효과가 좋지 않다.
상기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물과의 혼합용매를 이용할 경우에는 상기 추출물을 감압농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을 경우에는 건더기를 제거한 여액을 바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감압농축한 농축액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에서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추출조건은 생약 혼합물에 상기 생약 혼합물 전체 중량 1~10배의 추출용매를 혼합하여 바람직하게는 50~130℃, 더 바람직하게는 70~100℃, 가장 바람직하게는 80~90℃에서 추출할 수 있다. 추출시간은 바람직하게는 0.1~10시간 동안, 더 바람직하게는 0.5~10시간 동안, 가장 바람직하게는 1~5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은 상법에 따라, 유기용매(알코올, 에테르, 아세톤 등)에 의한 추출, 헥산과 물의 분배, 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방법 등, 식물체 성분의 분리 추출에 이용되는 공지의 방법을 단독 또는 적합하게 조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분획 또는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엘에이취-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LH-20 column chromatography), 이온교환수지 크로마토그래피(ion exchange resin chromatography),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 thin layer chromatography), 실리카겔 진공 액체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vacuum liquid chromatography)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녹차는 차로 마실 수 있는 가공된 녹차 잎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생녹차잎을 채취하여 그늘에서 건조한 것을 바로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의 적용 대상이 되는 모발로는, 두발(頭髮), 눈썹(眉毛, 미모), 속눈썹(睫毛, 첩모), 음모(陰毛), 겨드랑이털, 가슴털, 코털, 다리털 등의 각종 체모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인 어성초, 자소엽, 녹차 및 한련초를 포함하는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의 투여량(건조중량 기준)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0㎎/kg, 바람직하게는 0.1~1000㎎/kg,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kg이며, 상기 투여량을 하루에 한번 또는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건조중량 기준)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01~5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01~4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30 중량%가 함유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정제수,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과 같이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및 비경구 투여가 좋으며, 비경구 투여시 도포에 의한 국소 투여 방식으로 적용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어성초, 자소엽, 녹차 및 한련초를 포함하는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 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술한 유효성분 이외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에 의한 탈모 방지 또는 양모 작용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도에서 종래부터 사용되어 오던 양모제(발모제) 또는 탈모방지제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담체로서, 정제수, 일가 알코올류(에탄올 또는 프로필 알코올), 다가알코올류(글리세롤, 1,3-부티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고급지방산류(팔미틸산 또는 리놀렌산), 유지류(소맥 배아유, 동백기름, 호호바유, 올리브유, 스쿠알렌, 해바라기유, 마카데미아땅콩유, 아보가드유, 또는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보습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계면활성제로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 알킬벤젠설폰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황산 에스테르염, 알킬황산 에스테르염, 올레핀설폰산염, 알킬인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인산염, 디알킬설포석신산염, 지방산염 등을 들 수 있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 에스테르, 다가 알콜지방산 부분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다가 알콜지방산 부분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3급 지방족 아민염, 알킬트리메틸암모늄할라이드, 디알킬디메틸암모늄할라이드 등을 들 수 있고,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아미드베타인형, 이미다졸리늄베타인형, 설포베타인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부제로서는, 벤조산, 데하이드로아세트산,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부틸 등), 페녹시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방지제로서는, 아스코르브산, BHA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외에도, 자외선 흡수제, 소염제 및 청량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그 유효성분과 배합할 수 있는 임의의 제형으로서 탈모방지 또는 발모용 화장품의 형태로는 헤어토닉, 헤어크림,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스프레이, 헤어에어졸, 포마드, 분말, 젤 등과 같이 용액, 솔젤, 에멀젼, 오일, 왁스, 에어졸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어성초, 자소엽, 녹차 및 한련초를 포함하는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건조물 기준)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01~5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01~4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30 중량%가 함유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매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정해지지 않은 기간 동안에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연령, 피부상태 또는 피부타입, 펩타이드의 농도에 따라 사용량, 사용횟수 및 기간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어성초, 자소엽, 녹차 및 한련초를 포함하는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양모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식품류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방지 또는 양모용 조성물, 약학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은 건조물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으며, 추출액으로 제조된 상태로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추출액 상태인 것을 바로 이용할 경우, 파우치 형태에 멸균 포장되어 복용하거나 탈모부위에 도포하기 용이한 형태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어성초, 자소엽, 녹차 및 한련초를 포함하는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사람 모유두 세포의 성장, 분열 촉진 효과와 동물에 대한 양모 효과가 우수하여 탈모방지 또는 양모용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화장료로서 용이하게 사용가능하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261321호에는 녹차가 일부 구성성분으로 포함된 샴푸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1322926호에는 한련초 추출물의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가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2011-0112019호에는 녹차, 어성초, 한련초가 포함된 발효물이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모발 화장료에 포함될 수 있음이 나타나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2011-0104196호에는 한련초가 일부 구성성분으로 포함된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원발명과 같이 어성초, 자소엽, 녹차 및 한련초가 모두 포함된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이 탈모를 억제하고 양모 효과가 있음은 상기 선행문헌에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도 1은 본 발명의 어성초, 자소엽, 녹차 및 한련초를 포함하는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어성초, 자소엽, 녹차 및 한련초를 포함하는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생약 혼합물을 물 2kg과 혼합하여 90℃에서 4시간 동안 한약 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하였고, 건더기를 제거하여 각각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얻었다. 이 때 생약 혼합물의 총 중량은 400g으로 통일하였다. 상기 추출물 제조용 생약들은 건조된 것을 사용하였다.
조건 어성초(g) 자소엽(g) 녹차(g) 한련초(g) 총계(g)
실시예 1-1 100 50 50 200 400
실시예 1-2 130 70 70 130 400
실시예 1-3 100 20 20 260 400
실시예 1-4 100 80 80 140 400
실시예 1-5 100 20 20 260 400
< 비교예 1. 비교대상 추출물의 제조>
하기 표 2의 생약 혼합물을 물 2kg과 혼합하여 90℃에서 4시간 동안 한약 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하였고, 건더기를 제거하여 각각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얻었다. 이 때 생약 혼합물의 총 중량은 400g으로 통일하였다.
조건 어성초(g) 자소엽(g) 녹차(g) 한련초(g) 총계(g)
비교예 1-1 400 0 0 0 400
비교예 1-2 0 400 0 0 400
비교예 1-3 0 0 400 0 400
비교예 1-4 0 0 0 400 400
비교예 1-5 200 200 0 0 400
비교예 1-6 200 0 200 0 400
비교예 1-7 200 0 0 200 400
비교예 1-8 0 200 200 0 400
비교예 1-9 130 130 140 0 400
비교예 1-10 130 130 0 140 400
비교예 1-11 130 0 130 140 400
비교예 1-12 100 10 10 280 400
비교예 1-13 100 170 80 50 400
비교예 1-14 10 50 200 140 400
<실험예 1. 사람 모유두 세포의 성장 및 분열 촉진 효과>
사람의 모유두 세포(Human Follicle dermal papilla cell:HFDPC)는 성형 수술의 부산물로 생긴 사람 두피로부터 분리 및 배양된 모유두 세포를 사용한다. 사람 모유두 세포는 10% FBS(Gibco BRL)가 포함된 DMEM(Cambrex)을 배지로 하여, 37℃, 5% CO2의 조건에서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본 발명의 추출물들을 처리하기 위해, 사람 모유두 세포를 세포 배양용 96 웰 플레이트에 3,000개의 세포수로 일정하게 분주하여 0.1% FBS가 함유된 DMEM 배지에서 5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으로 인큐베이터에서 배양되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추출물을 동결건조한 후, 세포배양 배지에 최종 농도가 1㎍/㎖이 되도록 처리한 후 3~5일 동안 37℃, 5% CO2 조건으로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이 후 PBS 및 냉장보관된 5% TCA로 세포들을 세척한 후 0.1N NaOH, 1% SDS(sodium dodecyl sulfate) 용액으로 세포를 파쇄하고, liquid scintillation counter(Beckman)를 이용하여 세포 파쇄 용액에 포함된 방사능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상기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추출물 처리 조건 대조군 대비 추출물 처리군의
사람모유두세포 증가율 (%)
실시예 1-1 190
실시예 1-2 185
실시예 1-3 194
실시예 1-4 213
실시예 1-5 210
비교예 1-1 121
비교예 1-2 135
비교예 1-3 129
비교예 1-4 110
비교예 1-5 121
비교예 1-6 142
비교예 1-7 135
비교예 1-8 128
비교예 1-9 119
비교예 1-10 110
비교예 1-11 125
비교예 1-12 120
비교예 1-13 138
비교예 1-14 148
대조군 100
상기 표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추출물들이 대조군(무처리군)과 비교예 1보다 사람모유두 세포의 증식율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어, 발모 또는 탈모방지 효과가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발모효과 시험>
C57BL/6 쥐의 경우 모발의 성장기와 쇠퇴기가 생후 6-7주 후에 비교적 동일하게 발생되므로 발모 실험에 효과적인 모델이다. 이 동물모델에 실시예 1-1 및 1-2와 비교예 1-1, 비교예 1-5 및 비교예 1-9의 추출물을 선택적으로 처리하여 발모효과를 확인하였다.
생후 6주령 된 암컷 C57BL/6 쥐를, 1주일간 사육 환경에 적응시킨 후(12시간 낮/12시간 밤, 온도 24 , 습도 40~50% , 먹이와 물은 자유 섭취), 7주령이 되었을 때 제모기를 이용하여 쥐 등 부위를 고르게 제모하였다. 실시예 1-1 및 1-2와 비교예 1-1, 비교예 1-5 및 비교예 1-9의 추출물을 동결건조한 후, 100㎍/㎖ 희석액으로 제조하여, 매일 2회 쥐 표피에 도포하였고, 양성대조군에는 1%(w/v) 미녹시딜 희석액, 음성대조군에는 물만 도포하였다. 이 후 30일간 관찰한 후 발모 양상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상기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추출물 처리 조건 미녹시딜 희석액 대비
추출물 처리군의 발모량 (%)
실시예 1-1 95
실시예 1-2 93
비교예 1-1 35
비교예 1-5 41
비교예 1-9 45
비교예 1-11 42
양성대조군 : 1%(w/v 미녹시딜 희석액) 100
음성대조군 29
표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 처리시, 모든 개체(n=5)에서 우수한 발모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의 복용에 따른 탈모방지 및 양모효과 확인>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각 추출물 별로 2013년 9월부터 피부과를 방문 중인 30~50대의 남성형 탈모가 진행되고 있는 환자들에게 각 그룹별로 5명씩 상기 추출물을 40일간, 매일 하루 3번 110㎖씩 식전 30분에 복용하게 하고 동일한 시간에 5~10㎖씩 탈모가 진행되는 부위에 도포하게 하였으며, 40일간의 복용 및 도포 후, 하기 표 5에 5점 타점법(5점 : 아주우수함, 4점 : 우수함, 3점 : 보통, 2점 : 나쁨, 1점 : 아주나쁨)으로 탈모방지 및 양모효과를 나타내게 하였다.
조건 탈모방지 및 양모효과
실시예 1-1 3.9
실시예 1-2 4.1
실시예 1-3 4.0
실시예 1-4 4.2
실시예 1-5 4.1
비교예 1-1 2.4
비교예 1-2 2.3
비교예 1-3 2.8
비교예 1-4 2.6
비교예 1-5 2.9
비교예 1-6 2.8
비교예 1-7 2.7
비교예 1-8 3.0
비교예 1-9 3.1
비교예 1-10 3.1
비교예 1-11 2.9
비교예 1-12 2.8
비교예 1-13 3.0
비교예 1-14 3.0
5점 : 아주우수함, 4점 : 우수함, 3점 : 보통, 2점 : 나쁨, 1점 : 아주나쁨
표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은 탈모방지 및 양모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다.
<실험예 3. 독성실험>
실험예 3-1. 급성독성
본 발명의 실시예 1-1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동결건조물)을 단기간에 과량을 섭취하였을 때 급성적(24시간 이내)으로 동물체내에 미치는 독성을 조사하고, 치사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인 마우스인 ICR 마우스 계통 20마리를 대조군과 실험군에 각각 10마리씩 배정하였다. 대조군에는 PEG-400/tween-80/EtOH(8/1/1, v/v/v) 만을 투여하고, 실험군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상기 PEG-400/tween-80/EtOH(8/1/1, v/v/v)에 녹여 각각 경구투여하였다. 투여 24시간 후에 각각의 치사율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과 2g/㎏/day 농도의 본 발명의 실시예 1-1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마우스가 모두 생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2. 실험군 및 대조군의 장기 및 조직 독성 실험
장기 독성 실험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동결건조물)을 각 농도로 8주 동안 C57BL/6J 마우스(각 군당 10마리)에 투여하여 실험하였다. 동물의 각 장기(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1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과 PEG-400/tween-80/EtOH(8/1/1, v/v/v)만을 투여한 대조군의 동물들로부터 8주 후 혈액을 채취하여 GPT(glutamate-pyruvate transferase) 및 BUN(blood urea nitrogen)의 혈액 내 농도를 Select E(Vital Scientific NV, Netherland)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간독성과 관계있는 것으로 알려진 GPT와 신장독성과 관계있는 것으로 알려진 BUN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각 동물로부터 간과 신장을 절취하여 통상적인 조직절편 제작과정을 거쳐 광학현미경으로 조직학적 관찰을 시행하였으며 모든 조직에서 특이한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제형예 1: 피부외용 연고의 제조>
하기 표 6과 같은 조성으로 피부외용 연고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조제하였다.
성분명 첨가량 (중량%)
실시예 1-1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동결건조물) 1.0
S-니트로소글루타치온 0.04
히알루론산 3.0
레시틴 3.0
디에틸세바케이트 8.0
경납 5.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6.0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적량
바셀린 up to 100
<제형예 2. 샴푸의 제조>
하기 표 7과 같은 조성으로 샴푸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명 첨가량 (중량%)
실시예 1-1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동결건조물) 0.01
S-니트로소글루타치온 0.04
히알루론산 1.5
레시틴 3.0
30% 라우릴황산나트륨 20.0
30%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20.0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2.00
프로필렌글리콜 2.00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3.0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0
폴리쿼터늄-10 0.50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0.20
구연산 적량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 제형예 3. 헤어토닉의 제조>
하기 표 8과 같은 조성으로 헤어토닉을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분명 첨가량 (중량%)
실시예 1-1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동결건조물) 0.1
S-니트로소글루타치온 0.04
히알루론산 1.5
레시틴 3.0
에탄올 50.00
L-멘톨 0.10
D-판테놀 0.20
글리세린 3.00
살리실산 0.10
토포케릴 아세테이트 0.10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0.50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제예 2 : 식품 제조>
2-1. 조리용 양념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1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동결건조물)을 조리용 양념에 1 중량%로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2-2.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1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동결건조물)을 밀가루에 0.1 중량%로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2-3.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1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동결건조물)을 스프 및 육즙에 0.1 중량%로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2-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1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동결건조물)을 우유에 0.1 중량%로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2-5. 야채주스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1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동결건조물) 0.5g을 토마토주스 또는 당근주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주스를 제조하였다.
2-6. 과일주스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1의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동결건조물) 0.1g을 사과주스 또는 포도주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4)

  1. 어성초 100 중량부, 자소엽 20~80 중량부, 녹차 20~80 중량부 및 한련초 100~3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또는 양모용 조성물.
  2. 어성초 100 중량부, 자소엽 20~80 중량부, 녹차 20~80 중량부 및 한련초 100~3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또는 양모용 건강기능식품.
  3. 어성초 100 중량부, 자소엽 20~80 중량부, 녹차 20~80 중량부 및 한련초 100~3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양모용 화장료 조성물.
  4. (1공정) 어성초 100 중량부, 자소엽 20~80 중량부, 녹차 20~80 중량부 및 한련초 100~3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생약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공정) 상기 1공정의 생약 혼합물에, 상기 생약 혼합물 전체 중량 1~10배의 추출용매를 혼합하여 70~100℃에서 0.5~10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및,
    (3공정) 상기 2공정의 추출물의 건더기를 제거하고 여액을 수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 제조방법.




KR1020140109037A 2014-08-21 2014-08-21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양모효능이 있는 조성물 KR101686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037A KR101686008B1 (ko) 2014-08-21 2014-08-21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양모효능이 있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037A KR101686008B1 (ko) 2014-08-21 2014-08-21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양모효능이 있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149A true KR20160023149A (ko) 2016-03-03
KR101686008B1 KR101686008B1 (ko) 2016-12-13

Family

ID=55535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037A KR101686008B1 (ko) 2014-08-21 2014-08-21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양모효능이 있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0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4640A1 (ko) * 2016-10-21 2018-04-26 주식회사 한국전통의학연구소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6882A (ko) * 2016-11-21 2018-05-30 (주)원일바이오 탈모방지를 위한 헤어토닉 조성물
KR20220129715A (ko) * 2021-03-16 2022-09-2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로렐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약학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857B1 (ko) * 2020-11-23 2023-03-31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삿갓사초 추출물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KR102422289B1 (ko) 2021-07-07 2022-07-19 김지은 자소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 베이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3430A (ko) * 2008-05-28 2009-12-02 조미정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음료 조성물
US20110104196A1 (en) 2003-10-23 2011-05-05 Karp Nelson M Immunogenic composition and method of developing a vaccine based on fusion protein
US20110112019A1 (en) 2009-07-24 2011-05-12 Shiseido Company, Ltd. Method for promoting hair growth or hair regeneration by maintaining or increasing expression of cell-adhesion factor
KR101261321B1 (ko) 2010-12-02 2013-05-06 김미량 진두발을 함유하는 샴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22926B1 (ko) 2010-11-16 2013-10-2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련초 추출물, 이의 분획물, 터트티에닐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04196A1 (en) 2003-10-23 2011-05-05 Karp Nelson M Immunogenic composition and method of developing a vaccine based on fusion protein
KR20090123430A (ko) * 2008-05-28 2009-12-02 조미정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음료 조성물
US20110112019A1 (en) 2009-07-24 2011-05-12 Shiseido Company, Ltd. Method for promoting hair growth or hair regeneration by maintaining or increasing expression of cell-adhesion factor
KR101322926B1 (ko) 2010-11-16 2013-10-2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련초 추출물, 이의 분획물, 터트티에닐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261321B1 (ko) 2010-12-02 2013-05-06 김미량 진두발을 함유하는 샴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uhl, A.E. et al., Minoxidil stimulates mouse vibrissae follicles in organ culture. J. Invest. Dermatol., 1989, 92, 315~320.
E. Kaiser et al. Color test for detection of free terminal amino groups in the solid-phase synthesis of peptides., Anal. Biochem., 1970, 34(2), 595~598.
Kaufman K.D. et al., Finasteride in the treatment of men with androgenetic alopecia. Finasteride Male Pattern Hair Loss Study Group. J. Am. Acad. Dermatol., 1998, 39, 578~589.
Kurata. S. et al., Effects of hypertrichotic agents on follicular and nonfollicular cells in vitro. Skin Pharmacol., 1996, 9, 3~8.
Lachgar, S. et al., Minoxidil upregulates the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human hair dermal papilla cells. Br. J. of Dermatol., 1998, 138, 407~411.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4640A1 (ko) * 2016-10-21 2018-04-26 주식회사 한국전통의학연구소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6882A (ko) * 2016-11-21 2018-05-30 (주)원일바이오 탈모방지를 위한 헤어토닉 조성물
KR20220129715A (ko) * 2021-03-16 2022-09-2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로렐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6008B1 (ko) 201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1686008B1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양모효능이 있는 조성물
KR102348042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780934B1 (ko)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160535B1 (ko) 오이, 가지 및 달팽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H0717845A (ja) 皮膚外用剤
JP6490342B2 (ja) 不知火菊抽出物を含む抗皮膚老化剤
KR102323101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과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6709783B2 (ja) アルパインワームウッド抽出物を含む脱毛防止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KR102179610B1 (ko) 월견자 및 의이인 정유 혼합물을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00013571A (ko) 탈모방지 또는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KR20210058772A (ko) 탈모 치료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154219B1 (ko) 복령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US20240115642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milk thistle flowe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KR102603262B1 (ko) 필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411214B1 (ko) 모발 굵기 증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557372B1 (ko)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740970B1 (ko) 편백나무 피톤치드를 첨가한 복합 생약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외용 조성물
KR2010012312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3624A (ko) 하수오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외용 조성물
KR20100110407A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57775B1 (ko) 참외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58730A (ko)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384238B1 (ko) 오미자, 산수유, 및 익모초 정유 혼합물을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40115228A (ko) 생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