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7223A - 타나까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타나까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7223A
KR20090087223A KR1020080012542A KR20080012542A KR20090087223A KR 20090087223 A KR20090087223 A KR 20090087223A KR 1020080012542 A KR1020080012542 A KR 1020080012542A KR 20080012542 A KR20080012542 A KR 20080012542A KR 20090087223 A KR20090087223 A KR 20090087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tanaka
extract
skin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경
김지현
이정노
이강태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80012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7223A/ko
Publication of KR20090087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22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4Susp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나까 나무 추출 및 파우더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나까 나무 추출물 및 파우더가 가지는 피지 분비 억제 기능, 피부를 시원하게 하는 냉감 효과, 모공을 조여 주는 효과를 이용하여 피부의 모공 수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타나까 나무 파우더, 모공 수축, 피지 분비 감소, 냉감 효과

Description

타나까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ore-Minimizing Containing Limonia Acidissima Extract}
본 발명은 타나까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나까 나무 추출물이 갖는 피지 분비 억제 기능, 피부를 시원하게 하는 냉감효과, 모공을 조여주는 효과를 이용하여 피부의 모공 수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사람의 피부를 청결하게 하거나 아름답고 매력적으로 표현하는 미적 기능 및 외부의 유해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방어기능을 그 목적으로 한다. 피부의 이러한 역할은 다양한 유해환경 (자외선, 조사량 증가, 대기오염, 스트레스, 불규칙한 식생활 등)으로 인해 쇠퇴하게 되는데 화장품들은 이러한 유해인자에 의해 발생하는 반응성이 높은 활성 산소, 자유라디칼 및 과산화물 등에 의해 유발되는 다양한 피부의 트러블을 개선함은 물론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가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화장품의 피부 보호에 의한 건강한 피부를 유지해 주는 기능 중의 하나로 모공의 수렴작용을 들 수 있다. 모공이란 피지선에서 분비되는 유분이 피부 표면으로 흘러나오는 작은 구멍으로, 털이 자라나는 입구를 말하며, 사람의 피부에는 cm2당 100개 정도의 모공이 존재하여 얼굴에 약 2만개의 모공이 존재한다.
일반적인 모공의 지름은 약 0.02 ~ 0.05mm로 매우 작아 보통 눈에 잘 띄지 않으나, 나이, 계절, 여성의 생리주기, 임신, 스트레스 등에 의해 피지 분비가 과다해지면 눈에 띌 만큼 커져 버려 보기 흉해진다. 모공이 넓은 피부는 아름다워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얼굴이 번들거리고 화장이 쉽게 붕괴되어 피부가 지저분하게 보인다. 또한 모공이 열려 있으면 모낭 내로 세균이 침입하기 쉬어져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기 쉽게 된다. 이에 따라 많은 이들이 모공 수축(축소)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되어 화장품을 통한 모공의 관리가 중요하게 되었다.
모공이 확장되는 원인에는 피지의 과다 분비, 자외선 조사에 의한 진피층의 탄력 저하, 건조한 피부에 의한 각질 박리의 저하로 모낭누두부의 각질층이 두꺼워지는 것에 기인한다. 우선 피지 과다 분비의 경우, 피지 분비가 많아지게 되면 많아진 피지를 배출하기 위해 모공이 커지게 되며, 피지가 모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장애가 생기게 되면 모공은 점점 더 커지게 된다. 사춘기이후 남성 호르몬의 과다 생성으로 인해 피지 분비가 늘어나며 피지가 나오는 길인 모공은 넓어지게 되며, 피지가 과도하게 분비되면 모공이 피지 분비량을 따라가지 못해 막히고 이로 인해 여드름의 원인이 된다.
자외선과도 깊은 관계가 있다. 자외선은 피지 분비 촉진 작용을 하므로 여름철에는 금방 세안을 하여도 곧 얼굴이 번들거리고 자외선에 의해 분비된 지질 성분이 과산화되어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게 된다. 그러나, 자외선 양이 덜한 겨울에는 지성 피부라도 번들거리는 것이 덜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지성 또는 여드름 피부인 사람들은 피지의 분비가 많으므로 점차 모공이 늘어나게 된다.
일반적으로 20대 후반부터 모공이 커지게 되는데, 이는 피부가 나이 들면서 각질형성세포와 섬유아세포의 활성이 감소하게 되고, 콜라겐 합성능력 및 엘라스틴 합성능력의 감소, 수분보유능력이 감소하면서 피부의 탄력이 감소하여 모공이 커지게 된다. 피부의 탄력이 떨어지면서 모공 벽을 지지하던 콜라겐과 탄력섬유가 점차 감소하고, 모공을 조여 주는 힘이 떨어지기 때문에 모공이 늘어나게 된다.
모공이 넓어지면 그 속으로 세균들이 침입하기 쉬우므로 여드름, 뾰루지와 같은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기 쉽다. 또한 화장이 잘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칙칙하고 지저분하게 보인다. 미세한 먼지나 화장 찌꺼기 등 노폐물이 끼어 큰 모공이 더욱 두드러져 보이므로 깨끗한 피부를 가지지 못하고 얼굴이 지저분해 보이는 결과를 낫는다.
모공과 관련된 피부 트러블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수렴제로서 홍경천 추출물을 이용하여 모공을 수축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7-0070601호), 올리고사카라이드를 복용함으로써 피지선에서의 피지 분비량을 감소시켜 피지분비를 억제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일본 특허공개 평 05-294836호). 또한, 허브 추출물을 화장료에 적용시켜 피지분비를 억제하여 모공수축의 효과를 얻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3-0034474호).
그러나, 단편적인 원인만을 해결하여서는 모공 크기의 증가를 억제할 수 없으며 그 효과 또한 미미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확대된 모공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부 고민을 개선하기 위해 타나까 파우더를 얻어 모공을 수축, 축소하는 방법을 연구한 결과, 타나까 나무 추출물 및 파우더가 모공을 조여 주는 효과, 피지 분비 억제효과, 피부를 시원하게 하는 냉감 효과를 통해 모공을 수축시켜주는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타나까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타나까 나무 추출물 및 파우더를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타나까 나무 추출물의 경우는 0.0001 내지.10.0 중량% , 타나까 나무 파우더의 경우는 0.001 내지 50.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피부 냉감 효과 또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팩,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나까 나무 추출물은 타나까 나무의 줄기, 뿌리, 또는 잎 껍질을 에틸 알코올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침전 및 여과시켜 농축시킨 것이 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은 타나까 나무 추출물 및 파우더를 함유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타나까 나무 추출물은 피부 냉감 효과 및 피지 분비 억제 효과를 통하여 모공 수축의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어, 모공 확장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다양한 피부 트러블들을 개선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타나까 나무 파우더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유효성분으로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타나까 추출물의 양은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0001~ 10%중량이며, 타나까 나무 파우더의 양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50.0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타나까(Limonia Acidissima)는 미얀마, 태국, 치앙마이, 히말라야 산맥, 인도 지역 등에서 자란다. 미얀마에서는 슈웨보, 버꼬꾸, 샨 지역에 자라고 있다. 타나까 나무는 강우량이 20~40인치 사이에서 잘 자라며, 건조하고 바위가 많은 토질에서 모래와 라테라이트(홍토)가 섞여서 자라기 때문에 타나까는 딱딱하면서도 얇은 껍질을 만든다. 타나까 나무 줄기가 지름이 5cm자라는데 3~10년 정도 걸리며, 타나까 나무가 여러 가지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려면 적어도 10년 이상 걸린다.
이 타나까 나무를 미얀마인들은 약 2000년 전부터 사용해 왔다. 미얀마의 고대 운문, 시 등의 고대 유적에서 이를 증명하고 있다. 모든 미얀마인들은 미얀마 전통 화장품으로서 약으로서 타나까를 사용하고 있다. 타나까는 미얀마의 민간요법의 부분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미얀마 내과 의사들은 타나까는 부패한 피를 제거해준다고 한다. 또한, 타나까는 천연두, 홍역, 중독, 간질, 말라리아, 열병, 염증을 치료할 수 있다고 한다. 타나까의 잎, 열매, 뿌리는 의약성분을 가지고 있으며, 열매는 강장제 역할을 하며, 천연두를 치료하고, 해독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타나까 추출물의 양은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0001 ~ 10.0 중량%이며, 타나까 나무 파우더의 양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 50.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타나까 추출물은 0.5~ 5.0 중량%이며, 타나까 나무 파우더는 1.0 ~ 30.0 중량%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타나까 나무 추출물은 하기의 다양한 추출 용매로부터 얻어진다: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1,3-부틸렌글리콜 및 (h) 부틸 아세테이트. 한편,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타나까 나무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타나까 나무 추출물은 당업계의 주지의 방법을 이용해 정제될 수 있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 에 의한 분리 등도 본 발명의 빈랑자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제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헤드 스페이스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및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도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타나까 나무 추출물 및 파우더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공 수축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과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타나까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타나까 나무 추출물이 모공을 조여 주는 효과는 물론, 피지 분비를 억제(실험예 1 참고)하고, 피부를 시원하게 하는 냉감 효과(실험예 2 참고)를 나타내었다. 또한, 타나까 나무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은 모공을 수축(실험예 3 참고)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어, 모공 확장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다양한 피부 트러블 들을 개선할 수 있었다.
이하, 제조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1 : 타나까 나무 추출물 및 파우더
곱게 자른 타나까의 줄기 뿌리 및 잎 껍질 1kg을 에틸 알코올과 물이 7:3(v/v)으로 혼합된 수용액에 5일 동안 침전 시키고, 300메쉬에 여과한 다음, 진공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80℃에서 농축시켰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타나까 추출물을 다시 제품에 적용하기 용이하게 1,3-부틸렌 글리콜에 용해시켜 타나카 나무 추출물을 얻었다.
타나까 나무 파우더는 타나까 나무의 껍질부분을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이를 곱게 분쇄하여 그 파우더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1: 피지 분비 억제 효과
20~30대의 지성 피부를 가진 여성 80명을 대상으로 각 20명씩 4그룹으로 나누어 타나까 나무 추출물(실시예 1) 및 파우더(실시예 2)가 함유된 실시예 1,2와 함유되지 않은 비교예 1,2의 제형을 1주에 3회씩 얼굴에 도포하게 한 후, 한달간 1주 간격으로 피부 유분 측정기(Sebumeter SM 815,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해 얼굴의 피지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2 및 비교 예 1, 2의 제형은 하기 제형예 1 및 4에 각각 표시된 바와 같다. 실험은 22℃ 및 상대습도 45%의 항온, 항습 조건에서 이루어졌다. 지성피부의 경우 측정값이 220ug/cm2이상 이고, 정상 피부인 경우 100~ 220ug/cm2이다. 상기 실험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으며, 결과의 값은 각 군의 평균값이다.
도포 전 도포 1주 후 도포 2주 후 도포 3주 후 도포 4주 후
실시예1 245 221 209 192 186
비교예1 235 228 217 219 213
실시예2 247 213 188 177 163
비교예2 238 223 231 224 211
상기 표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타나까 나무 추출물 및 파우더를 함유하는 예(실시예 1, 2)가 함유하지 않은 예(비교예 1, 2)보다 피지 분비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피부 온도 냉감 효과
상기 실시예 1, 2와 비교예 1, 2에서 제조된 제형을 20~30대의 건강한 피험자 40명에 대하여 20명에게는 왼쪽에는 실시예 1의 화장수 제형을 사용하고, 오른쪽에는 비교예 1의 화장수 제형을, 다른 20명에게는 왼쪽에는 실시예2의 팩 제형을 사용하고, 오른쪽에는 비교예 2의 팩 제형을 동일한 양으로 사용하게 한 후, 15분 후 물로 세안 한 후의 피부 온도 냉감 효과를 온도계(Thermometer,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사용 전 사용 후
실시예1 33.4 31.2
비교예1 33.3 32.5
실시예2 33.1 30.5
비교예2 33.2 32.7
상기 표2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타나까 나무 추출물 및 파우더를 각각 함유하는 예(실시예1, 2)가 함유하지 않은 예(비교예1, 2)보다 피부 온도 냉감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제형예 1( 실시예 1 & 비교예 1): 유연 화장수
타나까 나무 추출물 함유한 화장료 중 유연 화장수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실시예 1 비교예 1
함량(중량%) 함량(중량%)
타나까 나무 추출물 5.0 -
글리세린 6.0 6.0
1,3-부틸렌글리콜 3.0 3.0
PEG 1500 1.0 1.0
알란토인 0.1 0.1
DL-판테놀 0.3 0.3
EDTA-2Na 0.02 0.02
벤조페논-9 0.04 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5.0 5.0
에탄올 10.0 10.0
옥틱도데세스-16 0.2 0.2
폴리솔베이트 20 0.2 0.2
방부제, 향, 색소 미량 미량
증류수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제형예 2: 영양 크림
타나까 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 크림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 (중량%)
타나까 나무 추출물 3.0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세테아릴 알코올 2.2
스테아린산 1.5
밀납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6
경화식물유 1.0
스쿠알란 3.0
광물유 5.0
트리옥타노인 5.0
디메치콘 1.0
글리세린 5.0
베타인 3.0
트리에탄올아민 1.0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4.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3: 에센스
타나까 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에센스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타나까 나무 추출물 3.0
글리세린 10.0
베타인 5.0
PEG 1500 2.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8.0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18
옥틸도덴칸올 0.3
옥틸도데세스-16 0.4
에탄올 6.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4( 실시예 2 & 비교예 2) : 팩
타나까 나무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료 중 팩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실시예 2 비교예 2
함량(중량%) 함량(중량%)
타나까 나무 파우더 20 -
폴리비닐 알코올 15.0 15.0
셀룰로오스 검 0.15 0.15
글리세린 3.0 3.0
PEG 1500 2.0 2.0
사이클로덱스트린 0.15 0.15
DL-판테놀 0.4 0.4
알란토인 0.1 0.1
글리시리진산 모노암모늄 0.3 0.3
니코틴아미드 0.5 0.5
에탄올 6.0 6.0
PEG 40 경화피마자유 0.3 0.3
방부제, 향, 색소 미량 미량
증류수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실험예 3 모공 수축 효과
상기 실시예 1, 2와 비교예 1, 2에서 제조된 제형을 20~30대 중에서 모공이 넓은 피험자 40명을 선정하여 2그룹으로 나누어 타나까 나무 추출물 및 타나까 나무 파우더가 각각 함유된 상기의 제형예 1(실시예 1 및 비교예 1) 및 제형예 4(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제형을 각각 1주 3회 4주간 사용하도록 한 후 모공 수의 감소를 DM-3 Facial Stag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기기의 측정은 제품 사용 전, 제품 사용 2주 경과 후, 그리고 제품 사용 4주 경과 후에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하기의 표 7에 기재하였으며, 결과의 값은 각 군의 평균값이다.
모공 수 사용 전 사용 2주후 사용 4주후
실시예 1 336 294 257
비교예 1 332 310 302
실시예 2 341 289 235
비교예 2 338 314 289
상기 표 7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타나까 나무 추출물 및 파우더를 함유하는 예(실시예 1, 2)가 함유하지 않은 예(비교예 1, 2)보다 모공 수축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3)

  1. 타나까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0001~ 10.0중량% 포함하며, 타나까 나무 파우더를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 50.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피부 냉감 효과 또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팩,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피부 냉감 또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나까 나무 추출물은 타나까 나무의 줄기, 뿌리, 또는 잎 껍질을 에틸 알코올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침전 및 여과시켜 농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피부 냉감 또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012542A 2008-02-12 2008-02-12 타나까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872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542A KR20090087223A (ko) 2008-02-12 2008-02-12 타나까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542A KR20090087223A (ko) 2008-02-12 2008-02-12 타나까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223A true KR20090087223A (ko) 2009-08-17

Family

ID=41206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542A KR20090087223A (ko) 2008-02-12 2008-02-12 타나까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722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7910A1 (ko) * 2013-03-26 2014-10-02 (주)아모레퍼시픽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60015634A (ko) * 2014-07-31 2016-02-15 한국콜마주식회사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가지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CN110812291A (zh) * 2018-08-07 2020-02-21 大江生医股份有限公司 特纳卡树皮萃取物用于预防皮肤老化的用途
KR20210065590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다솔 타나까나무와 소나무잎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7910A1 (ko) * 2013-03-26 2014-10-02 (주)아모레퍼시픽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60015634A (ko) * 2014-07-31 2016-02-15 한국콜마주식회사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가지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CN110812291A (zh) * 2018-08-07 2020-02-21 大江生医股份有限公司 特纳卡树皮萃取物用于预防皮肤老化的用途
KR20210065590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다솔 타나까나무와 소나무잎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0941B1 (ko) 알로에베라잎즙 및 할미꽃, 병풀, 쇠비름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JP3053368B2 (ja) 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12904A (ko)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JP2010241762A (ja) 化粧料
KR20190023200A (ko)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87223A (ko) 타나까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96563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7338842B2 (ja) しわ改善用組成物およびしわ改善用皮膚化粧料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2459024B1 (ko) 버베나 히브리다, 시클라멘 및 세인트폴리아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33833B1 (ko) 진세노사이드 알이를 함유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
KR102229259B1 (ko) 플럼코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3908245B2 (ja) 養毛剤
KR101436819B1 (ko) 피부 보습, 진정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88226A (ko) 아마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20003171A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5380B1 (ko) 타이거넛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3877914B2 (ja) 皮膚化粧料
KR20100122967A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17560B1 (ko) 보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유연성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154501B1 (ko) 천산설연을 포함하는 각질 박리 촉진 효능을 갖는 조성물
KR101533018B1 (ko) 상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52896A (ko)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유 및 홍화(Carthamus Tinctorius) 종자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JP2001131047A (ja) アズキエキス含有化粧料組成物
KR101077160B1 (ko) 모공 축소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