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2904A -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2904A
KR20120012904A KR1020100075016A KR20100075016A KR20120012904A KR 20120012904 A KR20120012904 A KR 20120012904A KR 1020100075016 A KR1020100075016 A KR 1020100075016A KR 20100075016 A KR20100075016 A KR 20100075016A KR 20120012904 A KR20120012904 A KR 20120012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keratin
weight
cosmetic composition
pept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기
박현철
최예훈
Original Assignee
(주)아토즈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토즈바이오 filed Critical (주)아토즈바이오
Priority to KR1020100075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2904A/ko
Publication of KR20120012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9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21/00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라틴 펩타이드 또는 콜라겐 펩타이드 또는 젤라틴; 호프 추출물; 갈근 추출물; 및 검은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증진 효과가 우수하므로,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s for improving breast augmentation or skin elasticity}
본 발명은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노화가 진행되기 전에는 피부 세포의 생리활성이 활발하여 진피(dermis)에 있는 섬유아세포(fibroblast)에서 피부의 탄력 및 주름 형성 억제에 중요한 콜라겐(collagen)의 합성과 신진대사가 왕성하다. 또한, 피부수분 유지에 필수적인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을 포함한 당단백질류인 GAGs(Glucosaminoglycans) 합성도 활발하여 피부에 탄력성, 부드러움, 유연성 및 보습성을 부여한다. 나아가, 표피(epidermis)에서는 기저세포(basal layer cell)의 증식이 활발하고, 피부세포간의 결합을 강화시키는 라미닌, 인테그린, 데스모좀과 같은 결합단백질(adhesion protein)의 생성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져 피부 세포조직을 강화시켜 건강한 피부를 유지해 준다.
피부노화는 노화에 미치는 요인에 따라 내인성 노화(intrinsic aging)와 외인성 노화(extrinsic aging)로 구분할 수 있는데, 내인성 노화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의 구조와 생리기능이 환경변화와는 무관하게 감퇴하는 것이고, 외인성 노화는 태양광선 등의 외부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다. 특히, 빛에 의한 노화를 광노화(photoaging)라고 하며 자외선은 피부 노화의 생리학적 및 형태학적 변화의 주된 원인이 된다. 내인성 피부노화가 진행되면 피부는 건조해지며 잔주름이 늘어나고, 시간이 지나면서 주름은 더욱 깊어진다. 그리고, 표피, 진피 등의 구조 및 기능적인 변화로 인해 피부가 탄력성을 잃고 처져 보이게 된다. 진피의 두께는 감소하는데 반해 콜라겐(교원질)의 총량은 성인이 된 후 1년에 1%씩 소실되며, 또한 남아있는 콜라겐 섬유는 점차 두꺼워지면서 가교(cross-linking)가 증가하게 되어 용해도, 팽창력 등이 감소한다. 아울러 탄력섬유도 두꺼워지게 되며, 가교도 증가하게 된다. 그 외 진피 내에서는 섬유아세포의 증식 활성이 떨어지고 콜라겐의 합성, 분해능 역시 감소한다. 이와 같이 콜라겐은 피부노화와 관련된 주요 피부조직 성분이며, 지방을 제외한 피부 전체 건조 중량의 77%, 진피섬유 성분의 90%를 차지하고 있는 단백질로서 피부의 강도, 탄력성,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부여한다.
이러한 피부 노화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필연적으로 발생하지만, 여러 가지 환경 요인에 의해 피부 노화의 발생 요인이 증가하고, 생활 수준 향상으로 삶의 질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지금에 들어서는 피부 노화에 대한 대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25500호에서는 경구용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로 피부의 주름을 개선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콜라겐 펩티드에 엘라스틴 단백질, 히알루론산 및 비타민 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경구 제제로 피부주름 개선 효과를 향상시킨 것이다. 그러나 경구용 제제로 콜라겐 펩타이드를 섭취할 경우에는 피부 개선의 효과가 낮을 뿐만 아니라 과다섭취 시 인체에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38797호에서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황련, 황금, 황백, 연교, 금은화 및 치자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 개선 효과를 향상시킨 것이다. 그러나 펩타이드와 생약 추출물을 함께 사용하는 것에 비해 피부 개선의 효과가 미비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94548호에서는 지방분해 효과가 우수한 성분을 함유하여 특정부위 지방 축적에 의한 처짐 및 탄력저하와 같은 현상의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지방분해 효과가 우수한 에스큐린(Esculin), 엘-카르니틴(L-carnitine), 카페인(Caffeine) 및 루스코제닌(Ruscogenine) 등 지방 분해 활성 성분들을 리포좀 기술에 의해 안정화시킴으로써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지방축적으로 인한 피부처짐 및 탄력저하와 같은 현상을 개선하는 효과를 향상시킨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화장료는 지방축적으로 인한 피부처짐 현상 개선의 효과만 있으므로, 본 발명의 효과와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66941호에서는 고무마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선발달 촉진제에 관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구마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상, 젤상, 액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 유선발달 촉진제에 관한 것으로, 가슴확대 및 탄력증대에 관한 효과를 향상시킨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유선발달 촉진제는 에스트로겐의 분비를 촉진시켜 상기와 같은 효과를 기대하는 제제로 과다하게 도포 시 부작용이 있고, 고구마순 추출물 단일 유효성분으로 효과가 미약한 문제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피부 개선의 효과가 우수해야 하고, 인체에 부작용이 없는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탄력의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연구하던 중 케라틴 펩타이드 또는 콜라겐 펩타이드 또는 젤라틴; 호프 추출물; 갈근 추출물; 및 검은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의 개선 효과가 우수하여 기능성 화장품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라틴 펩타이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라틴 펩타이드 0.1~5 중량%; 호프 추출물 0.1~5 중량%; 갈근 추출물 0.1~5 중량%; 및 검은콩 추출물 0.1~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라틴 분해활성을 갖는 세균 및 곰팡이를 함유하는 배양 배지에 첨가물을 가하여 pH를 조절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배지에 케라틴을 첨가하고 진탕배양하여 배양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배양액을 침전 및 여과의 과정을 거쳐 배양여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배양여액을 아세톤 침전법을 이용하여 케라틴 펩타이드를 얻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케라틴 펩타이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케라틴 용액에 디티오트레이톨(DTT) 및 산 또는 알칼리 첨가물을 첨가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의 혼합용액을 아세톤 침전법을 이용하여 케라틴펩타이드를 얻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화학적 분해를 이용한 케라틴 펩타이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케라틴 펩타이드; 호프 추출물; 갈근 추출물; 및 검은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의 향상에 상승작용의 효과를 나타내므로,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제품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가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가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실러스 속(Bacillus sp. KC201)에 의해 생성된 케라틴 펩타이드를 HPLC로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실러스 속(Bacillus sp. KC201)에 의해 생성된 케라틴 펩타이드의 생성여부와 크기를 SDS page를 실시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유효 성분으로 이용되는 호프는 그 학명이 휴멀러스 루풀러스 (Humulus Lupulus)로서 유럽과 중앙아시아 그리고 북미와 오스트리아의 어느 곳에서나 야생하는 덩굴줄기 식물이다. 암꽃과 수꽃은 각각 다른 개체에서 개화하며, 새순의 끝에서 다수의 수꽃이 개화하고, 암꽃은 소엽과 유사한 4개의 포엽 사이에서 개화한다. 통상적인 의미로서의 용어 '호프'는 채 성숙되지 않은 암꽃 이삭을 따서 말린 것을 말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 '호프 추출물'은 호프의 다양한 기관(예: 잎, 꽃, 줄기 및 과실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미성숙의 암꽃 이삭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갈근은 그 학명이 푸에라리아 라딕스(Pueraria Radix)로서 전세계에 약 10종 이상이 분포하며 국내에는 1종이 자라는 덩굴성 관목이다. 우리나라 전국 각처의 산야지에 흔히 자생하며 길이가 10m 안팎이고, 한방에서는 발한(發汗), 해열(解熱), 진경(鎭痙), 해기(解肌), 수진(遂疹), 지갈(止渴), 지사(止瀉)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 '갈근 추출물'은 갈근의 다양한 기관(예: 꽃, 잎 및 뿌리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검은콩은 그 학명이 글리신 맥스 메르(Glycine max (L.) Merr .)로서 원산지는 만주를 중심으로한 중국일원이며, 분포지역은 열대-온대 북부이다. 한방에서는 해독, 활혈, 풍비, 이뇨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화장료로는 항상화 효과 및 피부재생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 '검은콩 추출물'은 검은콩의 다양한 기관(예: 자엽, 종피, 배아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케라틴 펩타이드 또는 콜라겐 펩타이드 또는 젤라틴; 호프 추출물; 갈근 추출물; 및 검은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 또는 콜라겐 펩타이드 또는 젤라틴은 피부의 보습력을 향상시키고 ECM(Extra celluar matrix) 내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주름을 억제하고, 피부에 탄력을 증진시켜 피부 노화를 방지하고, 유방확대의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 또는 콜라겐 펩타이드 또는 젤라틴의 함량은 1~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개선의 효과를 충분히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고,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케라틴 펩타이드 또는 콜라겐 펩타이드 또는 젤라틴의 증가에 따른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개선 효과 향상이 일어나지 않아 케라틴 펩타이드 또는 콜라겐 펩타이드 또는 젤라틴이 낭비되어 경제성 결여의 문제가 있다.
이 중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케라틴 펩타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호프 추출물은 수렴효과 향상 및 자극완화의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호프 추출물의 함량은 0.5~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 바, 0.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수렴효과 및 자극완화의 효과를 충분히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고,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호프 추출물의 증가에 따른 피부 개선 효과 향상이 일어나지 않아 호프 추출물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갈근 추출물은 수렴효과 향상의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갈근 추출물의 함량은 0.5~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 바, 0.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수렴효과를 충분히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고,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갈근 추출물의 증가에 따른 피부개선 효과 향상이 일어나지 않아 갈근 추출물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검은콩 추출물은 항산화효과 및 미백효과 향상의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검은콩 추출물의 함량은 0.5~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 바, 0.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항산화효과 및 미백효과를 충분히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고,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검은콩 추출물의 증가에 따른 피부개선 효과 향상이 일어나지 않아 검은콩 추출물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귀 추출물, 자초 추출물, 참깨 추출물, 백지 추출물, 행인 추출물, 생강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 등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케라틴 펩타이드 또는 콜라겐 펩타이드 또는 젤라틴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호프 추출물, 갈근 추출물 및 검은콩 추출물을 함께 사용할 때 상승작용으로 인하여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증진 효과가 매우 크므로,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에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으로는 로션, 스킨, 겔, 크림, 패치 또는 분무제 등이 있으나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을 제조함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5~40 중량%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가장 우수하다는 관점에 있어서, 본 발명은 케라틴 펩타이드; 호프 추출물; 갈근 추출물; 및 검은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제법 1: 미생물을 이용한 방법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의 제조방법은 케라틴 분해활성을 갖는 세균 및 곰팡이를 함유하는 배양 배지에 첨가물을 가하여 pH를 조절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배지에 케라틴을 첨가하고 진탕배양하여 배약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배양액을 침전 및 여과의 과정을 거쳐 배양여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배양여액을 아세톤 침전법을 이용하여 케라틴 펩타이드를 얻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단계별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라틴 펩타이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케라틴 분해활성을 갖는 세균 및 곰팡이를 배양 배지에서 배양시키고 첨가물을 가하여 pH를 조절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에서의 세균은 바실러스 속(Bacillus sp. KC201) 또는 마이오썰무스 속(Meiothermus sp.)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곰팡이는 크리소스포리움 케라티노필룸(Chrysosporium keratinophilum), C. 트로피쿰(C. tropicum), 말브란치아 플라바(Malbranchea flava) 또는 푸사리움 속(Fusarium sp.)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단계에서의 첨가물은 효모엑기스, 수크로오즈 및 탄산칼슘으로 상기 배지의 pH를 7.0~9.0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pH를 8.0으로 조절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효모엑기스의 함량은 0.001~5 중량%이고, 수크로오즈의 함량은 0.001~5 중량%이며, 탄산칼슘의 함량은 0.001~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케라틴 펩타이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얻어진 배양 배지에 케라틴을 첨가하고 진탕배양을 하여 배양액을 얻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케라틴의 함량은 5~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0~20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케라틴 펩타이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상기 단계 2에서 얻어진 배양액을 침전시키고 여과하여 배양여액을 얻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는 5,000 rpm으로 원심분리를 실시하여 균체를 침전시켜 회수하고, 한외여과법으로 배지성분을 제거함으로써 배양여액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라틴 펩타이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4는 상기 단계 3에서 얻어진 배양여액을 아세톤침전법으로 케라틴 펩타이드를 얻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배양여액에 아세톤을 충분히 첨가한 후 영하 30 ℃ 냉동고에서 12~18시간 동안 침전시켜 케라틴 펩타이드를 얻을 수 있다.
제법 2: 화학적 분해를 이용한 방법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의 제조방법은 케라틴 용액에 디티오트레이톨(DTT) 및 산 또는 알칼리 첨가물을 첨가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의 혼합용액을 아세톤 침전법을 이용하여 케라틴펩타이드를 얻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단계별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라틴 펩타이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케라틴 용액에 첨가물을 가하여 혼합용액을 얻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는 케라틴 용액 100 용량부에 대하여, 0.5M의 디티오트레이톨 1~10 용량부, 6M의 산 또는 알칼리 첨가물 60~120 용량부를 첨가하여 70~140 ℃로 가열하면서 2~3 시간 동안 반응시켜 혼합용액을 얻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에서의 산 첨가물은 염산, 황산 또는 포름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알칼리 첨가물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또는 규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라틴 펩타이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얻어진 혼합용액을 아세톤침전법으로 케라틴 펩타이드를 얻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혼합용액에 아세톤을 충분히 첨가한 후 영하 30 ℃의 냉동고에서 10~12시간 동안 침전시켜 케라틴 펩타이드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케라틴 펩타이드의 제조
< 실시예 1-1> 미생물을 이용한 케라틴 펩타이드의 제조
케라티나아제를 분비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케라틴 펩타이드를 제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바실러스 속(Bacillus sp. KC201) 균주 배양 배지에 효모엑기스 0.5 중량%, 수크로오즈 0.5 중량% 및 탄산칼슘 1 중량%를 첨가하여 pH를 8.0으로 조절하고, 케라틴을 배지 중량의 15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여 30 ℃에서 5일간 150 rpm으로 진탕배양을 하였다. 5일간 배양한 후의 배양액을 5,000 rpm으로 원심분리를 실시하여 균체를 침전시켜 회수하고, 한외여과법으로 배지성분을 제거하여 얻은 배양여액을 아세톤 침전법을 실시하여 케라틴 펩타이드를 침전시켜 얻었다.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케라틴 펩타이드의 생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HPLC 분석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고, 생성된 케라틴 펩타이드의 크기를 확인하기 위하여 SDS page 분석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을 통해 10~130 kDa 크기의 케라틴 펩타이드가 제조됨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1-2> 화학적 분해를 이용한 케라틴 펩타이드의 제조
화학적 분해를 이용하여 케라틴 펩타이드를 제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케라틴 용액 100 ml에 0.5 M 디티오트레이톨(dithiothreitol, DTT) 5 ml 및 염산 100 ml를 첨가하여 100 ℃로 2시간 동안 가열하며 반응시켜 반응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반응 용액으로부터 케라틴 펩타이드를 분리하기 위하여 아세톤 침전법을 실시하여 케라틴 펩타이드를 침전시켜 얻었다.
< 제조예 1> 식물 추출물의 제조
열수 추출법 및 에탄올 추출법을 이용하여 식물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먼저, 호프, 갈근, 검은콩, 당귀, 자초, 참깨, 백지, 행인, 생강 및 레몬을 각각 10 g씩 칭량하여 음건 후 세절하고, 각각의 식물 중량 10배의 정제수와 함께 속실렛 추출기(soxhlet extractor)에 넣고 100 ℃에서 환류 추출하여 상기 열거한 식물들의 열수 추출물들을 얻었다. 상기 열수 추출물들을 각각의 식물 중량 5배의 에탄올과 함께 속실렛 추출기(soxhlet extractor)에 넣고 80 ℃에서 2차 환류 추출을 실시하여 에탄올 추출물들을 얻은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감압 여과한 여과액을 진공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추출물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유방 부착용 겔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첨가물 그룹에서 선택되는 성분들을 혼합하여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향상의 기능이 있는 유방 부착용 겔을 제조하였다.
첨가물
그룹
성분
1
천연 펩타이드: 케라틴 펩타이드, 콜라겐 펩타이드, 젤라틴
2
식물 추출물: 호프, 갈근, 검은콩, 당귀, 자초, 참깨, 백지, 행인, 생강, 레몬
3 글리세롤, 헥사데카놀, 옥타데카놀, D-판테놀(D-panthenol)
4 프로판디올, 아이오도카브(IPBC),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디소듐(EDTA)
5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메틸 글루코사이드-20 에테르,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6 백유, 폴리디메틸실록산, 소듐 히알루론산염, 스쿠알렌, 칼륨 세틸 인산염, 붉은 몰약 알코올(Red Myrrh alcohol)
7 회향, 박하, 로즈마리
8 탈이온수
9
잔탄검(Xanthan Gum), 한천 추출물, 다시마 추출물
상기 표 1의 첨가물 그룹 1에서 케라틴 펩타이드 5 중량%;
첨가물 그룹 2에서 호프 추출물 2 중량%, 갈근 추출물 2 중량%, 검은콩 추출물 2 중량%, 레몬 추출물 1 중량% 및 당귀 추출물 1 중량%;
첨가물 그룹 3에서 글리세롤 3 중량% 및 헥사데카놀 3 중량%;
첨가물 그룹 4에서 프로판디올 3 중량% 및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디소듐 2 중량%;
첨가물 그룹 5에서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2 중량% 및 카프릴릭 글리세라이드 2 중량%;
첨가물 그룹 6에서 백유 2 중량%, 폴리디메틸실록산 2 중량% 및 소듐 히알루론산염 2 중량%;
첨가물 그룹 7에서 회향 1 중량%; 및
첨가물 그룹 8에서 탈이온수 잔량 각 성분을 70 ℃로 가온하여 용해시키고, 1,000 rpm으로 5분간 교반하여 크림, 로션 또는 스킨과 같은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첨가물 그룹 9에서 한천 추출물 1 중량%, 다시마 추출물 1 중량% 및 잔탄검 3 중량%를 상기 첨가물 그룹 1 내지 그룹 8을 혼합하여 제조한 화장료와 함께 70 ℃로 가온하여 용해시키고, 1,000 rpm으로 5분간 교반하여 혼합물을 성형틀에 주입 후 실온의 무균실에서 냉각하여 유방 부착용 겔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유방 부착용 겔의 도면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A는 지름이 91 mm인 유방 부착용 겔이고, B는 지름이 110 mm인 유방 부착용 겔이다.
< 실험예 1> 유방 확대 및 피부탄력 향상 효과의 평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유방 부착용 겔의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화장료를 피실험자의 유방에 부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25 ℃ 및 상대습도 45%의 항온 항습실에서 1시간이 지난 후에 3명의 피시험자의 겨드랑이 5cm 밑 가슴둘레를 측정한 후에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유방 부착용 겔을 피실험자의 양쪽 유방에 부착하고, 특정 시간 간격마다 가슴둘레를 측정한 결과를 표 2 ,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가슴둘레(cm)
측정 시간(h) 피실험자1 (26세) 피실험자2 (28세) 피실험자3 (32세)
0 79.4 78.0 80.0
12 79.4 78.0 80.5
24 80.0 78.5 81.0
48 80.5 78.7 81.5
72 81.0 79.0 81.5
96 82.0 79.4 82.0
120 82.5 81.2 82.0
148 82.4 81.2 82.0
168 82.2 81.3 82.0
240 81.7 81.3 82.0
360 81.0 81.0 82.0
480 80.0 80.1 81.0
552 79.6 78.3 80.0
도 2 및 도 3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유방 부착용 겔을 피시험자의 유방에 부착한 후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의 증가를 보여주는 사진 및 그래프이다.
표 2,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유방 부착용 겔을 유방에 부착하였을 경우 가슴둘레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이 증가하여 처진 유방이 업(up)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을 향상시키므로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케라틴 펩타이드 또는 콜라겐 펩타이드 또는 젤라틴 1~10 중량%; 호프 추출물 0.5~10 중량%; 갈근 추출물 0.5~10 중량%; 및 검은콩 추출물 0.5~10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2. 케라틴 펩타이드 1~10 중량%; 호프 추출물 0.5~10 중량%; 갈근 추출물 0.5~10 중량%; 및 검은콩 추출물 0.5~10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당귀 추출물, 자초 추출물, 참깨 추출물, 백지 추출물, 행인 추출물, 생강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의 상기 화장료는 로션, 스킨, 겔, 크림, 패치 또는 분무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케라틴 분해활성을 갖는 세균 및 곰팡이를 함유하는 배양 배지에 첨가물을 가하여 pH를 조절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배지에 케라틴을 첨가하고 진탕배양하여 배약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배양액을 침전 및 여과의 과정을 거쳐 배양여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배양여액을 아세톤 침전법을 이용하여 케라틴 펩타이드를 얻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의 케라틴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세균은 바실러스 속(Bacillus sp. KC201) 및 마이오썰무스 속(Meiothermus sp.)이고, 상기 곰팡이는 크리소스포리움 케라티노필룸(Chrysosporium keratinophilum), C. 트로피쿰(C. tropicum), 말브란치아 플라바(Malbranchea flava) 및 푸사리움 속(Fusarium s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케라틴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첨가물은 효모엑기스 0.001~5 중량%, 수크로오즈 0.001~5 중량% 및 탄산칼슘 0.001~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케라틴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8. 케라틴 용액에 디티오트레이톨(DTT) 및 산 또는 알칼리 첨가물을 첨가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의 혼합용액을 아세톤 침전법을 이용하여 케라틴펩타이드를 얻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의 케라틴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혼합용액의 함량은 케라틴 용액 100 용량부(v/v)에 대하여, 디티오트레이톨 1~10 용량부, 산 또는 알칼리 첨가물 60~120 용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적 분해를 이용한 케라틴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산 첨가물은 염산, 황산 또는 포름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적 분해를 이용한 케라틴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알칼리 첨가물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또는 규산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적 분해를 이용한 케라틴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KR1020100075016A 2010-08-03 2010-08-03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201200129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016A KR20120012904A (ko) 2010-08-03 2010-08-03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016A KR20120012904A (ko) 2010-08-03 2010-08-03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904A true KR20120012904A (ko) 2012-02-13

Family

ID=45836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016A KR20120012904A (ko) 2010-08-03 2010-08-03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2904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297A (ko) 2014-07-21 2016-02-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노화 또는 피부주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11299A (ko) 2014-07-21 2016-02-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WO2017074009A1 (ko) * 2015-10-30 2017-05-04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8974A (ko) 2017-03-24 2018-10-05 (주)셀아이콘랩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주름 예방용 펜타펩타이드와 펜타펩타이드 다이머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8685743A (zh) * 2018-08-16 2018-10-23 余荣华 一种丰胸产品的配方
CN109316431A (zh) * 2017-07-31 2019-02-12 株式会社忻秀韩国 用于丰胸和改善皮肤弹性的组合物
KR101988829B1 (ko) 2018-10-22 2019-06-14 주식회사 비바코리아 여성 가슴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CN110585103A (zh) * 2019-10-30 2019-12-20 广州留今科学研究有限公司 一种丰胸植物组合物、丰胸乳霜及制备方法
CN110613653A (zh) * 2019-10-30 2019-12-27 广州留今科学研究有限公司 一种丰胸精油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10026863A (ko) 2019-09-02 2021-03-10 엠와이주식회사 여성 유방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53267A (ko) 2021-04-05 2021-05-11 엠와이주식회사 여성 유방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297A (ko) 2014-07-21 2016-02-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노화 또는 피부주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11299A (ko) 2014-07-21 2016-02-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WO2017074009A1 (ko) * 2015-10-30 2017-05-04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8974A (ko) 2017-03-24 2018-10-05 (주)셀아이콘랩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주름 예방용 펜타펩타이드와 펜타펩타이드 다이머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316431A (zh) * 2017-07-31 2019-02-12 株式会社忻秀韩国 用于丰胸和改善皮肤弹性的组合物
CN108685743A (zh) * 2018-08-16 2018-10-23 余荣华 一种丰胸产品的配方
KR101988829B1 (ko) 2018-10-22 2019-06-14 주식회사 비바코리아 여성 가슴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6863A (ko) 2019-09-02 2021-03-10 엠와이주식회사 여성 유방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CN110585103A (zh) * 2019-10-30 2019-12-20 广州留今科学研究有限公司 一种丰胸植物组合物、丰胸乳霜及制备方法
CN110613653A (zh) * 2019-10-30 2019-12-27 广州留今科学研究有限公司 一种丰胸精油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10053267A (ko) 2021-04-05 2021-05-11 엠와이주식회사 여성 유방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2904A (ko)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1502687B1 (ko)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08805A (ko)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00646B1 (ko) 록샘파이어의 캘러스 배양물인 줄기세포 스템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3743B1 (ko) 음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40688B1 (ko) 산자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7320357B (zh) 一种含多糖的化妆品
KR102168532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0168A (ko) 브라질리언 왁싱 후 케어팩과 그 제조방법
KR101854446B1 (ko) 상동나무 추출물과 미세침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6563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4605B1 (ko) 새우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68534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75074B1 (ko) 퍼머넌트 웨이브 조성물
KR20160092165A (ko)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제조방법
KR102428648B1 (ko) 돌외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30860B1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87223A (ko) 타나까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98449B1 (ko) 포포나무 추출물 및 록샘파이어의 캘러스 배양물인 줄기세포 스템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3171A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8016A (ko) 피부 각질 제거, 가려움증 개선, 및 두피 비듬 개선 효과가 우수한 연어 비늘의 효소 가수 분해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48657B1 (ko) 톱지네고사리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63029B1 (ko) 우뭇가사리, 미역, 밀싹 및 베르가못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노화 예방 효과를 갖는 있는 화장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