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8805A -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8805A
KR20130108805A KR1020120030559A KR20120030559A KR20130108805A KR 20130108805 A KR20130108805 A KR 20130108805A KR 1020120030559 A KR1020120030559 A KR 1020120030559A KR 20120030559 A KR20120030559 A KR 20120030559A KR 20130108805 A KR20130108805 A KR 20130108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whitening
silkworm
moisturizing
golden silkw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은종
홍은숙
송승진
김기선
이성준
Original Assignee
(주)더페이스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페이스샵 filed Critical (주)더페이스샵
Priority to KR1020120030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8805A/ko
Publication of KR20130108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80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7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insects, e.g. shella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Zo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금 누에의 애벌레, 번데기, 누에고치 및 실크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의 분말, 추출물 또는 가수분해물을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미백,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은 주름개선, 미백 및 보습 효과가 탁월하며, 다른 화장품 소재와의 결합력도 탁월해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취, 마스크 시트, 분무제 및 세정제 등의 제형화가 용이하다. 또한 인체의 피부단백질과 비슷한 천연 물질로서 피부 부작용 없어 화장료 조성물로서 활용가치가 뛰어나다.

Description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golden silkworm(bombyx moril) derived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황금 누에의 애벌레, 번데기, 누에고치 및 실크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의 분말, 추출물 또는 가수분해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미백,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동의보감을 비롯한 동양 의약서에는 애벌레, 번데기, 누에고치, 누에똥, 뽕잎, 실크 등 누에 및 이와 관련된 여러 가지 부산물들이 소갈증, 고혈압 및 불면증에 효과가 있다고 기록하고 있으며[참고문헌 1], 실크단백질이 체중감소 및 체지방 감소, 항산화 활성, 뇌기능 활성, 당뇨, 혈압 및 항종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참고문헌 2].
누에 및 부산물들은 산 또는 알칼리 가수분해, 중화, 분말화 과정을 거쳐 실크 분말로 제조되어 로션, 핸드크림, 영양크림, 입욕제, 마사지 크림 등의 화장품재료 그리고 음료수, 국수, 과자, 식품첨가제, 질병치료제 등의 식품분야에 이용되며, 그리고 수술용 봉합사, 인공피부, 연질 콘택트렌즈 등의 의료용 재료 또는 분해성 포장재료 등으로 응용하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참고문헌 3].
현재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누에는 흰색 누에고치를 생산하는 흰색 누에로서, 누에 및 부산물들의 이용 가치 및 다양한 효능이 알려지면서, 컬러 누에, 형질전환 누에 등 누에의 품종 개발이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흰색 누에를 제외한 다른 품종 개발된 컬러 누에들의 산업적 이용이 미미하고, 피부 미용에 대한 연구가 없는 상황이다.
[1] Korean J. Seric. Sci. 41(1):9-13 (1999)
[2] Korean J. Seric. Sci. 41(3):141-146 (1999)
[3] Korean J. Monthly Seric. 16:16(1991)
따라서 본 발명은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의 효능을 밝히고, 이를 이용하여 피부 개선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피부와 관련하여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의 효능에 대해 연구를 거듭했다. 그 결과 탁월한 보습 효과뿐만 아니라 미백 효과, 주름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황금 누에의 애벌레, 번데기, 누에고치 및 실크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의 분말, 추출물 또는 가수분해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미백,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황금 누에 유래 물질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매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등의 극성용매와 에테르, 클로로포름, 벤젠, 헥산, 디클로로메탄 등의 비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이소프로판올, 1,3-부틸렌글리콜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의 추출물은 상기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1차 추출물을 극성이 다른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다시 분획한 분획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의 추출물을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로 추출한 후, 에테르, 벤젠, 헥산 등의 극성이 다른 용매로 다시 분획한 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분획 시 용매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며, 용매의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하여, 각 용매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황금 누에 유래 물질에서 가수분해를 통한 유효성분은 산 가수분해 및 효소 가수분해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산 가수분해를 통한 가수분해물은 염산, 인산 또는 황산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물을 사용하여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을 분해시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의 가수 분해물은 상기 산 첨가 후 얻어진 황금 누에 유래 물질 분해물에 알칼리를 사용하여 중화시키는 단계 및 한외 여과기 등의 탈염과정을 포함하여 얻어진 가수분해물 일 수 있다.
상기 중화 시 사용된 알칼리는 가성소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효소 가수분해를 통한 가수분해물은 펩신, 트립신, 뉴트라제 또는 알칼라제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을 분해시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의 효소 가수분해물은 완충액을 함께 사용하여, pH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얻어진 가수분해물 일 수 있다.
상기 pH 조정 시 사용한 완충액은, 펩신은 염산(pH 2), 뉴트라제는 인산칼륨(pH 7), 트립신과 알칼라제는 인산칼륨(pH 8)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 또는 상기 분획과정을 수행하여 수득한 분획물, 산 가수분해물, 효소 가수분해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농축은 감압 농축기, 일 예로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는 일 예로 동결건조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황금 누에에서 얻어지는 누에의 애벌레, 번데기, 누에고치, 실크는 원물 그대로 혹은 분쇄하여 파우더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예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취, 분무제, 마스크 시트 및 세정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과 같은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과 같은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과 같은 메이크업 제거제, 클렌징 폼, 비누, 바디 워시 등과 같은 세정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황금 누에 유래 물질에 추가로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또는 향료 등의 보조제 및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황금 누에 유래 물질 유효성분이 총 중량에 대해서 0.01 내지 20.0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0.01 중량 미만으로 상기 추출물을 포함할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개선 효과가 미미하며, 20.00 중량%를 초과하여 투입할 경우에는 초과투입에 따른 상승 효과가 적어 경제적이지 못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추출물들을 0.1 내지 10.0 중량%,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0.5-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좋으나, 상기 함량 범위는 콜라겐 합성 촉진 활성, 피부 안전성, 제형화 시의 용이성 등의 요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은 주름개선, 미백 및 보습 효과가 탁월하며, 다른 화장품 소재와의 결합력도 탁월해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취, 마스크 시트, 분무제 및 세정제 등의 제형화가 용이하다. 또한 인체의 피부단백질과 비슷한 천연 물질로서 피부 부작용 없어 화장료 조성물로서 활용가치가 뛰어나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실시예 1: 황금 누에 유래 물질 제조
황금 누에 누에고치 분쇄물과 건조한 3령 애벌레 분말, 건조 번데기 분말이 1:1:1로 혼합된 혼합물 0.1 kg에 추출 용매로서 1,3-부틸렌글리콜을 10배 부피량 가하였다. 이를 90℃에서 30분 가량 중탕을 이용한 추출을 3회 수행하였다. 이어, 여과한 후 상온에서 식힌 다음 4℃에서 1일간 보관한 다음 여과 농축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의 효과
본 발명의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 효과, 피부 개선 효과에 대한 임상 시험을 실시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1) 피부주름 개선 효과
본 발명의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주름 개선 효과를 건강한 30세에서 45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먼저 두 그룹으로 나누고, A 그룹에는 실시예를, B 그룹에는 비교예의 제형을 안면부에 하루 2회씩 (아침 및 저녁) 3개월간 도포하였다. 3개월 후 주름의 개선 정도를 피험자의 설문 및 주름의 영상 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피험자의 설문은 사용전과 비교하여 개선 없음, 약간의 개선, 중등도의 개선, 상당한 개선의 4단계로 판단하였으며 결과는 표2에 나타내었다.
주름의 영상분석에 의한 평가는 실험이 시작되기 전 눈 밑의 레플리카를 채취하고 실험이 종료된 직후의 레플리카를 눈 밑의 동일 부위에서 채취하여 영상분석을 통해 주름의 2차원적 분석으로 주름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영상분석에 의한 주름 밀도의 측정 결과는 사용 전의 주름 밀도에 대한 감소율로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 개선없음 약간의 개선 중등도의 개선 상당한 개선
실시예 1 3 4 2
비교예 5 5 0 0
시료 주름 밀도 감소율 (%)
실시예 21
비교예 4
표 3의 결과에서와 같이,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을 함유한 실시예의 피부주름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2) 피부탄력효과
본 발명의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탄력 증진효과를 측정하였다. 온도 24-26℃, 습도 75%의 조건에서 20세 이상의 건강한 여성 20명(평균연령 36세)을 두 그룹으로 나누고, A 그룹에는 실시예를, B 그룹에는 비교예의 제형을 눈가를 중심으로 하루 2회씩 (아침 및 저녁) 12주간 도포한 후, 피부탄력 측정기(Cutometer MPA580, Conrage + Khazaka사, 독일연방국)를 이용하여 피부탄력을 측정하였다. 시험결과는 cutometer MPA580의 R2(R2(12주)-R2(0주)) 값으로 기재하였는데, R2 값은 피부탄력도 (Gross elasticity)의 성질을 나타내며, 결과는 하기 표 4에 기재되어 있다.
실험 제형 피부탄력효과
실시예 0.064
비교예 0.013
표 4의 결과에서와 같이,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을 함유한 실시예의 피부탄력 효과는 비교예에 비해 약 5배 증가함으로써 탄력 증진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피부색 개선 효과
본 발명의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색 개선 효과를 건강한 30세에서 45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먼저 두 그룹으로 나누고, A 그룹에는 실시예를, B 그룹에는 비교예의 제형을 안면부에 하루 2회씩 (아침 및 저녁) 2개월간 도포하였다. 실험이 시작되기 전, 안면 부위에서 Chromameter(CR-300, Minolta)를 이용하여 피부의 밝기(L value)를 측정하고, 실험이 종료된 직후 안면의 동일 부위에서 Chromameter를 이용하여 피부의 밝기(L value)를 측정하였다. Chromameter에 의한 피부 밝기의 증가율은 크림의 사용전 L value에 대한 사용후 피부 L value를 평균한 값이며, 상기 측정 결과를 하기 표 5에 정리하였다.
실험 제형 피부 밝기(L value) 증가율(%)
실시예 2.1
비교예 0.5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는 개선효과가 거의 없는 반면 포함한 실시예를 사용한 경우, 피부색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4) 보습력 개선 임상효과
본 발명의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력 개선 임상효과를 건강한 30세에서 45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피부 수분량이 65이하인 건성피부 가진 사람을 선별하였다. 먼저 두 그룹으로 나누고, A 그룹에는 실시예를, B 그룹에는 비교예의 제형을 안면부에 하루 2회씩 (아침 및 저녁) 4주간 도포하였다. 실험이 시작되기 전, 측정하고자 하는 2부위를 정하고 피부의 수분량을 각각 3회에 걸쳐 측정한 후 4주간 도포(2회/일) 한 후, 피부 수분함량 측정장치인 코네오미터(Corneometer Courage &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여 각질층 바로 아래의 표피층의 수분을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결과를 표 6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D0 D28 D0 D28
평균 43 55 42 49
증가량(%) 27.9 11.4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듯이,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을 포함한 실시예를 사용한 경우,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를 사용한 경우 보다 적용 28일 후 수분도가 2배 이상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효과는 피검자 80%에서 관찰되었다.

Claims (6)

  1. 황금 누에의 애벌레, 번데기, 누에고치 및 실크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의 분말, 추출물 또는 가수분해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미백,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한 것인 주름 개선, 미백,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물은 상기 선택된 황금 누에에 염산, 인산 및 황산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물을 사용하여 처리된 산 가수분해물인 주름 개선, 미백,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물은 상기 선택된 황금 누에에 펩신, 트립신, 뉴트라제, 알칼라제의 효소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처리된 효소 가수분해물인 주름 개선, 미백,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취, 분무제, 마스크 시트 및 세정제로 제형화 되는 것인 주름 개선, 미백,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20.0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된 주름 개선, 미백,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030559A 2012-03-26 2012-03-26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088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559A KR20130108805A (ko) 2012-03-26 2012-03-26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559A KR20130108805A (ko) 2012-03-26 2012-03-26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805A true KR20130108805A (ko) 2013-10-07

Family

ID=49631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559A KR20130108805A (ko) 2012-03-26 2012-03-26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8805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77975A (zh) * 2014-09-28 2015-01-14 江苏科技大学 脱脂蚕蛹渣用于产油微生物培养的预处理方法及其产物和应用
KR20150075766A (ko) * 2013-12-26 2015-07-06 (주)에이씨티 황금누에고치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서브마이크론 에멀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JP2015131797A (ja) * 2013-12-13 2015-07-23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バーシカン産生促進剤、及びゴールデンシルク抽出物の製造方法
KR20160057532A (ko) * 2014-11-13 2016-05-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누에 유래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JP2016208863A (ja) * 2015-04-30 2016-12-15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線維芽細胞の伸長促進方法
JP2016210695A (ja) * 2015-04-30 2016-12-15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皮膚外用剤
KR20170003400A (ko) 2015-06-29 2017-01-09 한국화학연구원 주름개선 유효물질이 봉입된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0468500A (zh) * 2018-05-09 2019-11-19 株式会社Lg生活健康 包含由金丝生产的蚕丝纱的面膜用片材以及使用其的化妆用面膜
KR20200016813A (ko) * 2018-08-07 2020-02-17 경상남도 곤충의 효소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00043854A (ko) * 2018-10-18 2020-04-28 권무길 누에 번데기 기름을 함유한 피부 탄력,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036652A (ko) 2019-09-26 2021-04-05 한국화학연구원 지용성 노화방지 성분을 로딩한 리포솜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282427A1 (ko) * 2021-07-09 2023-01-12 주식회사 두드림 누에고치 유래 세리신과 알로에베라잎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31797A (ja) * 2013-12-13 2015-07-23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バーシカン産生促進剤、及びゴールデンシルク抽出物の製造方法
KR20150075766A (ko) * 2013-12-26 2015-07-06 (주)에이씨티 황금누에고치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서브마이크론 에멀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CN104277975A (zh) * 2014-09-28 2015-01-14 江苏科技大学 脱脂蚕蛹渣用于产油微生物培养的预处理方法及其产物和应用
KR20160057532A (ko) * 2014-11-13 2016-05-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누에 유래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JP2016208863A (ja) * 2015-04-30 2016-12-15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線維芽細胞の伸長促進方法
JP2016210695A (ja) * 2015-04-30 2016-12-15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皮膚外用剤
KR20170003400A (ko) 2015-06-29 2017-01-09 한국화학연구원 주름개선 유효물질이 봉입된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0468500A (zh) * 2018-05-09 2019-11-19 株式会社Lg生活健康 包含由金丝生产的蚕丝纱的面膜用片材以及使用其的化妆用面膜
KR20190128968A (ko) * 2018-05-09 2019-11-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골든실크로부터 생산된 실크원사를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 마스크팩
KR20200016813A (ko) * 2018-08-07 2020-02-17 경상남도 곤충의 효소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00043854A (ko) * 2018-10-18 2020-04-28 권무길 누에 번데기 기름을 함유한 피부 탄력,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036652A (ko) 2019-09-26 2021-04-05 한국화학연구원 지용성 노화방지 성분을 로딩한 리포솜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282427A1 (ko) * 2021-07-09 2023-01-12 주식회사 두드림 누에고치 유래 세리신과 알로에베라잎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8805A (ko)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S2285859T3 (es) Utilizacion cosmetica o dermofarmaceutica de peptidos para la cicatrizacion, la hidratacion y la mejora del aspecto cutaneo durante el envejecimiento natural o acelerado (heliodermia, contaminacion).
KR20090056397A (ko) 복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KR102227355B1 (ko) 비자극성 약산성 각질제거 및 상피세포 영양 공급을 위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12904A (ko)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06952B1 (ko) 주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31387A (ko) 피부관리용 화장품 조성물
KR20100061881A (ko)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37879B1 (ko) 녹용에서 추출한 콜라겐을 함유하는 기능성 강화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60352B1 (ko) 청호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FR2813018A1 (fr) Compositions cosmetiques renfermant au moins un compose stimulant la neosynthese des laminines, et/ou de l'integrine alpha-2 beta-1 et/ou du collagene iv de la jonction dermo- epidermique
KR102303644B1 (ko)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혼합 추출액을 함유한 얼굴 화장용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14794A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14395B1 (ko) 블랙커민(Nigella sativa)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60801A (ko) 식물 복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2281606B1 (ko) 펩타이드 복합체를 함유하는 주름 및 피부탄력 개선, 타이로시네이즈 억제 등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426415B1 (ko) 튼살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09767B1 (ko) 파파인과 노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5079A (ko) 야생 참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20230111926A (ko) 천연 미세침을 이용한 식물성 콜라겐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5291365B2 (ja) ケラチン状態改善剤
KR20130115566A (ko) 두족류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CN115996702A (zh) 用于增强皮肤的屏障功能的水飞蓟油
KR101969684B1 (ko) 천연 미세침 분말과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모공축소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KR102072297B1 (ko) 식물성 단백질 유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