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2165A -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2165A
KR20160092165A KR1020150012453A KR20150012453A KR20160092165A KR 20160092165 A KR20160092165 A KR 20160092165A KR 1020150012453 A KR1020150012453 A KR 1020150012453A KR 20150012453 A KR20150012453 A KR 20150012453A KR 20160092165 A KR20160092165 A KR 20160092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hase
parts
composition
prep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바이오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바이오위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바이오위드
Priority to KR1020150012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2165A/ko
Publication of KR20160092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1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8Micro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의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제조방법은: 수상(A상)을 80℃까지 가열하는 단계; 점증제(B상)를 상기 수상에 첨가하여 분산시켜 제1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유상(C상)을 80℃까지 가열한 후에 유화하여 상기 제1조성물과 혼합하여 제2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조성물을 45℃까지 냉각 후 D상을 첨가하여 제3조성물을 제조하여 2차 유화시키는 단계; 상기 제3조성물을 계속하여 30℃까지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제3조성물에 정제수,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바이오사카라이드 GUM-1(BIOSACCHARIDE GUM-1), 및 연잎 추출물(NN-L extracts)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제조방법 {METHOD OF MANUFACTURING COSMETIC CONTAINING EXTRACTS OF NELUMBO NUCIFERA}
본 발명은 연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잎의 추출물이 함유된 피부친화성 항노화성 화장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 노화는 태양광선에 노출되지 않는 부위에서 나타나는 연대학적 노화 (chronologic aging)와 태양광선의 노출부에서 일어나는 퇴행성 변화가 연대학적 노화와 복합되어 일어나는 광인성 노화 (actinic ageing)로 구분된다. 연대학적 노화에서는 특징적인 임상 피부소견으로 미세한 주름, 진피의 위축, 피하지방층의 감소 등이 관찰된다. 광노화 과정에서는 거칠고 깊은 주름 (coatse wrinkling and furrowing)이 나타나고 비정상적인 탄력질양물질 (elastotic material)이 축적되어 피부가 가죽같이 두터워지며 느슨해진다.
피부를 구성하는 세포에서는 피부 노화에 의해 세포활성이 떨어지고, 신호전달체계가 불완전해지면서 피부조직을 분해하는 효소인 MMPs (matrix metalloproteinases)의 생합성이 증가하고, 콜라겐의 생합성이 감소하여 주름
살이 생기고 탄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콜라겐은 피부에 강도와 장력을 부여하며 이로 인해 외부의 자극이나 힘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진피층의 90%를 차지하고 있어 콜라겐의 감소는 피부와 노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피부 세포를 증식시키거나, 피부를 구성하는 기질물질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를 두껍게 할 수 있는 물질, 피부를 구성하는 기질 물질인 콜라겐을 분해하는 MMPs의 생합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 등이 주름, 탄력 상실, 피부 흑화 등의 피부 증상을 완화 시키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이러한 물질 중의 하나로 연(蓮, Nelumbo nucifera)이 주목받고 있다. 연은 뿌리, 줄기, 잎, 열매 등 다양한 부위가 식품 또는 한약재로서 오랫동안 사용되어서 그 안전성이 상당히 입증된 식물이다. 연은 전국 재배면적이 약 550ha로서 많
은 양이 생산되고 있으며 주요산지로는 경남 함안, 칠서, 한림, 하빈과 대구 반야월, 전남 곡성군 등이 알려져 있다.
연은 고대부터 식용 또는 약용으로 이용되어 왔다.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치료제로 이용되어 왔는데, 최근 연잎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 효과 등이 입증되었고, 연잎에서 콜레스테롤 조절효과 고지혈증 억제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연잎은 항균작용과 혈압강하 작용을 하며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미용에 도움을 준다고 한다. 연근은 피부를 곱게하며, 여드름이나 주근깨를 없애는 등 미용적인 효과가 있고, 한방과 민방에서는 상처 부위를 수렴시켜 지혈하는데 도움이 된다고도 알려졌다.
연의 항노화효과는 다양한 중의학문헌에 소개되고 있으며, 본초강목에서는 연은 기력을 왕성하게 하고 모든 질병을 물리치며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수명을 연장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약성본초에는 연은 오장육부의 기운부족, 특히 심, 비, 신의 기운부족과 속이 상한 것을 낫게 하며 12경맥의 기혈을 크게 보하고, 쌀과 연육으로 죽을 쑤어 먹으면 몸이 가볍고 든든하여지며 또 머리칼을 검게하고 장수하게한다고 쓰여 있다. 연꽃은 주로 관상용으로 애용되고 있으나 용도는 크게 연구되지 않았으며, 특히 잎은 알칼로이드와 탄닌을 함유하고 있어 수렴 및 지혈제로 사용되거나 민간에서는 야뇨증을 치료하는데에 이용되고 있기도 하다. 땅속 줄기는 연근이라 하며 아스파라진이 들어 있어 식용하며 자양 강장약으로 쓰인다. 열매는 연방, 씨를 연자육이라고 하며 부인병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종래 연꽃은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으나, 종래 기술에서는 연을 꽃, 줄기, 뿌리 등의 부위로 분리하지 않고 통째로 추출하여 추출효과가 떨어지고, 연 이외의 다른 물질을 첨가하는 방법으로 효과를 보충하여 제조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연의 성분을 추출하여 화장품에 적용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1-0115047호의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수출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주요 성분이 연의 추출물에만 집중되어 있어 피부 주름 효과 이외에 다른 기능인 보습, 알러지 방지, 피부노화 등의 효과는 찾아 볼 수 없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1-011504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잎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품 제조방법은 피부 보습력과 피부 알러지 및 피부 노화를 억제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잎 추출물이 함유된 에멀션 화장품 제조방법은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에멀션 화장품의 제조방법은: 수상(A상)을 80℃까지 가열하는 단계; 점증제(B상)를 상기 수상에 첨가하여 분산시켜 제1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유상(C상)을 80℃까지 가열한 후에 유화하여 상기 제1조성물과 혼합하여 제2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조성물을 45℃까지 냉각 후 D상을 첨가하여 제3조성물을 제조하여 2차 유화시키는 단계; 상기 제3조성물을 계속하여 30℃까지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제3조성물에 정제수,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바이오사카라이드 GUM-1(BIOSACCHARIDE GUM-1), 및 연잎 추출물(NN-L extracts)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상(A상)은 정제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농축 글리세린 7.00 중량부, 소듐 엔-스테아로일-엘-글루타메이트(SODIUM N-STEAROYAL-L-GLUTAMATE) 0.30중량부, 메틸 파라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METHYL PARAHYDROXYBENZONATE) 0.1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상(B상)은 정제수 15.0 중량부 및 카보폴 941 (CARBOPOL 941) 0.1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C상은 정제수 0.5 중량부 및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SODIUM HYDROXIDE) 0.04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D상은 밀랍 2.00 중량부, 벤질 알코올 에프이(BENZYL ALCOHOL FE) 1.0 중량부, 친유성의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 LIPOPHILIC) 1.80 중량부, 데카글리세릴 미리스테이트(DECAGLYCERYL MYRISTATE) 2.00 중량부, 2-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2-OCTYLDODECYL MYRISTATE) 2.80 중량부, 스쿠알란(SQUALANE) 6.00 중량부, 메틸 폴리실록산(METHYL POLYSILOXANE) 2.00 중량부, 비사보롤(BISABOLOL) 0.10 중량부, 및 비타민-E 아세테이트(VITAMIN-E ACETATE) 0.1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또한 기타 성분은 정제수 0.10 중량부,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0.005 중량부, 바이오사카라이드 GUM-1(BIOSACCHARIDE GUM-1) 0.30 중량부, 및 연잎 추출물(NN-L extracts) 0.30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상기 연잎 추출물은 70% 에탄올을 상기 연잎 추출물의 10배 중량에 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침지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3회 반복하여 추출하고, 얻어진 여액은 여과 (Whatman NO. 5) 및 감압 농축(Rotary vaccum evaporatory)하여 동결건조 후 4℃ 냉장실에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잎 추출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킨 화장품의 제조방법은: 수상(A상)을 균일 분산시키는 단계; B상 STYRENE/PVP COPOLYMER은 5% 희석시킨 다음 상기 수상(A상)에 첨가하여 균일 분산시켜 제1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C상을 잘 분산시킨 후에 상기 제1조성물에 첨가 균일 분산시켜 제2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D상을 상기 제2조성물에 첨가하여 균일분산시켜 제3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3조성물에 E상을 첨가한 후에 균일 분산시켜 제4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4조성물에 연잎 추출물을 첨가시킨 후에 완전 용해를 확인하고 균일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상(A상)은 탈이온화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RRHIZATE) 0.10 중량부,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1.50 중량부, 글리세린(GLYCERINE) 0.10 중량부, 디소듐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DISODIUM ETHYLENEDIAMINETETRA ACETATE) 0.02 중량부, 베타인 5.00 중량부, 아루부틴(ARBUTIN) 2.0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B상은 스틸렌/피브이피 중합체(STYRENE/PVP COPOLYMER) 0.05 중량부 및 탈이온화수 5.0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C 상은 카보머(CARBOMER) 0.16중량부 및 탈이온화수 10.0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D 상은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140중량부 및 탈이온화수 1.0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E상은 메틸 파라벤(METHYL PARABEN) 0.20 중량부,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02중량부, 페녹시에탄올(PHENOXY ETHANOL) 0.30중량부, PEG-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0.50중량부, 및 방향제(FRAGRANCE) 0.1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또한 기타 성분은 에틸 아스코르브산(ETHYL ASCORBIC ACID) 0.20 중량부 및 연잎 추출물 0.1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연잎 추출물은 70% 에탄올을 상기 연잎 추출물의 10배 중량에 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침지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3회 반복하여 추출하고, 얻어진 여액은 여과 (Whatman NO. 5) 및 감압 농축(Rotary vaccum evaporatory)하여 동결건조 후 4℃ 냉장실에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잎 추출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 화장품의 제조방법은: 수상(A상)을 80℃까지 가열하는 단계; 점증제(B상)를 상기 수상에 첨가하여 분산시켜 제1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유상(C상)을 80℃까지 가열한 후에 유화하여 상기 제1조성물과 혼합하여 제2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조성물을 45℃까지 냉각 후 D상을 첨가하여 제3조성물을 제조하여 2차 유화시키는 단계; 상기 제3조성물을 계속하여 30℃까지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제3조성물에 방향제, KMO-6, 및 연잎 추출물(NN-L extracts)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상(A상)은 정제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농축 글리세린 6.00 중량부, 알란토인(ALLANTOIN) 0.10중량부, 디-판테놀(D-PANTHENOL) 0.5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상(B상)은 시어버터(SHEA BUTTER) 20.0중량부, 비타민-E 아세테이트(VITAMIN-E ACETATE) 0.50 중량부, 아를라셀 165V(ARLACEL 165V) 2.50중량부, EMULIRE 61 WL 2659 1.50중량부, 큐티나 GMS(CUTINA GMS) 1.50중량부, LANETTE O 3.00중량부, 해바라기 기름(SUNFLOWER OIL) 0.20중량부, 포도씨 기름(GRAPE SEED OIL) 0.20중량부, CAMELLA SASANQUA OIL 0.20중량부, 및 KF-96-6CS 5.0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C상은 KELTROL F(1%) 2.00중량부 및 SEPIGEL 305(10%) 5.0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D상은 방향제 0.4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또한 기타 성분은 KMO-6 0.30중량부, 및 연잎 추출물(NN-L extracts) 0.2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연잎 추출물은 70% 에탄올을 상기 연잎 추출물의 10배 중량에 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침지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3회 반복하여 추출하고, 얻어진 여액은 여과 (Whatman NO. 5) 및 감압 농축(Rotary vaccum evaporatory)하여 동결건조 후 4℃ 냉장실에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잎 추출물을 함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잎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품 제조방법은 보습 기능을 수행하는 수상성분과 유화 기능을 갖는 유상성분 및 피부 주름개선, 피부 알러지 치료, 피부 노화예방 및 피부 재생기능을 갖는 유효성분을 혼합하여 피부의 미백효과와 보습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연잎에 함유된 폴리페놀 성분을 이용하여 항산화, 항균, 콜라겐 생합성 및 미백 기능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연으로부터 본 발명의 시료를 채취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연의 각 부위별 추출수율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연의 각 부위별 총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연의 각 부위별 전자공여능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연의 각 부위별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연의 각 부위별 elastase 저해활성능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연의 각 부위별 collagenase 저해활성능을 나타낸 도면; 및
도 8은 연의 각 부위별 tyrosenase 저해활성능을 나타낸 도면.
우선, 연의 각 부위를 수확시기별로 구입하여 건조한 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70% 에탄올을 시료 중량의 10배를 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침지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3회 반복 추출 하였고, 얻어진 여액은 여과 (Whatman NO. 5) 및 감압 농축(Rotary vaccum evaporatory)하여 동결건조 후 4℃ 냉장실에 보관하면서 본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여, 연 추출물의 피부생리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도 2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8에서, NN-F은 에탄올 70%로 추출된 연꽃을, NN-L은 에탄올 70%로 추출된 연잎을, NN-S은 에탄올 70%로 추출된 연줄기를, NN-R은 에탄올 70%로 추출된 연뿌리를, NN-SP는 에탄올 70%로 추출된 연자방을 각각 의미한다.
1. 연 추출물의 피부생리활성 확인
(1) 수율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공정에 의해 준비된 시료를 사용하여 연의 부위별 수율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꽃(NN-F): 12.4%
잎(NN-L): 16.0%
줄기(NN-S): 11.2%
뿌리(NN-R): 9.6%
연자방(NN-SP): 13.5%
(2) 연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결과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공정에 의해 준비된 시료를 사용하여 연의 부위별 총 폴리페놀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꽃(NN-F): 182.7(mg/g)
잎(NN-L): 213.5(mg/g)
줄기(NN-S): 49.6(mg/g)
뿌리(NN-R): 225(mg/g)
연자방(NN-SP): 359.9(mg/g)
(3) 연 추출물의 항산화능 측정결과
(가) 전자공여능
도 4을 참조하여, 상술한 공정에 의해 준비된 시료를 사용하여 연의 부위별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추출물의 DPPH 전자공여능 1,000㎍/ml당
꽃(NN-F): 92.0%
잎(NN-L): 93.1%
줄기(NN-S): 90.6%
뿌리(NN-R): 92.1%
연자방(NN-SP): 94.3%
(나)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측정결과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공정에 의해 준비된 시료를 사용하여 연의 부위별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추출물의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1,000㎍/ml당
꽃(NN-F): 73.6%
잎(NN-L): 74.5%
줄기(NN-S): 72.7%
뿌리(NN-R): 73.6%
연자방(NN-SP): 82.3%
(4) 연 추출물의 항주름 효과 측정결과
(가) Elastase 저해활성 측정결과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공정에 의해 준비된 시료를 사용하여 연의 부위별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추출물의 Elastase 저해활성 1,000㎍/ml당
꽃(NN-F): 4.5%
잎(NN-L): 29.1%
줄기(NN-S): 17.9%
뿌리(NN-R): 22.7%
연자방(NN-SP): 32.45%
(나) Collagenase 저해활성 측정결과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공정에 의해 준비된 시료를 사용하여 연의 부위별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추출물의 Collagenase 저해활성 1,000㎍/ml당
꽃(NN-F): 8.6%
잎(NN-L): 55.3%
줄기(NN-S): 34.1%
뿌리(NN-R): 43.1%
연자방(NN-SP): 59.14%
(5) 연 추출물의 미백 효과 측정결과
(가) Mushroom 유래의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결과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공정에 의해 준비된 시료를 사용하여 연의 부위별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활성 1,000㎍/ml당
꽃(NN-F): 34.7%
잎(NN-L): 0%
줄기(NN-S): 0%
뿌리(NN-R): 24.3%
연자방(NN-SP): 29.1%
이상의 연 부위별 연 추출물의 피부생리활성 기능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연(잎) 추출물 유효성분을 포함한 화장품의 제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에멀션 화장품의 제조방법은:
(1) 수상(A상)을 80℃까지 가열하는 단계;
(2) 점증제(B상)를 수상에 첨가하여 분산시켜 제1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유상(C상)을 80℃까지 가열한 후에 유화하여 제1조성물과 혼합하여 제2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4) 제2조성물을 45℃까지 냉각 후 D상을 첨가하여 제3조성물을 제조하여 2차 유화시키는 단계;
(5) 제3조성물을 계속하여 30℃까지 냉각하는 단계; 및
(6) 제3조성물에 정제수,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바이오사카라이드 GUM-1(BIOSACCHARIDE GUM-1), 및 연잎 추출물(NN-L extracts)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수상성분은 피부 보습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유상 성분은 수상 성분과 유효 성분이 잘 섞이게 하는 유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상(A상)은 정제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농축 글리세린 7.00 중량부, 소듐 엔-스테아로일-엘-글루타메이트(SODIUM N-STEAROYAL-L-GLUTAMATE) 0.30중량부, 메틸 파라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METHYL PARAHYDROXYBENZONATE) 0.1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상(B상)은 정제수 15.0 중량부 및 카보폴 941 (CARBOPOL 941) 0.1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C상은 정제수 0.5 중량부 및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SODIUM HYDROXIDE) 0.04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D상은 밀랍 2.00 중량부, 벤질 알코올 에프이(BENZYL ALCOHOL FE) 1.0 중량부, 친유성의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 LIPOPHILIC) 1.80 중량부, 데카글리세릴 미리스테이트(DECAGLYCERYL MYRISTATE) 2.00 중량부, 2-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2-OCTYLDODECYL MYRISTATE) 2.80 중량부, 스쿠알란(SQUALANE) 6.00 중량부, 메틸 폴리실록산(METHYL POLYSILOXANE) 2.00 중량부, 비사보롤(BISABOLOL) 0.10 중량부, 및 비타민-E 아세테이트(VITAMIN-E ACETATE) 0.1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기타 성분은 정제수 0.10 중량부,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0.005 중량부, 바이오사카라이드 GUM-1(BIOSACCHARIDE GUM-1) 0.30 중량부, 및 연잎 추출물(NN-L extracts) 0.3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이하는 본 발명의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에멀션 화장품의 제조방법의 실험예를 표로 나타내었다.
실험예 1
표 1은 본 발명의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에멀션 화장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실험예를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낸 성분으로 이루어진 에멀션 화장품은 높은 보습력을 가지고, 사용감이 풍부하게 개선되었고, 향취 및 분리현상이 개선되었다.
Figure pat00001
실험예 2 및 3
표 2 및 3은 본 발명의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에멀션 화장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실험예 2 및 3을 나타낸다. 상기 실험예 2 및 3은 실험예 1에 비해 보습력이 떨어지고 사용감이 낮았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다음에, 본 발명의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킨 화장품의 제조방법은:
(1) 수상(A상)을 균일 분산시키는 단계;
(2) B상 STYRENE/PVP COPOLYMER은 5% 희석시킨 다음 수상(A상)에 첨가하여 균일 분산시켜 제1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3) C상을 잘 분산시킨 후에 제1조성물에 첨가 균일 분산시켜 제2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4) D상을 제2조성물에 첨가하여 균일분산시켜 제3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5) 제3조성물에 E상을 첨가한 후에 균일 분산시켜 제4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6) 제4조성물에 연잎 추출물을 첨가시킨 후에 완전 용해를 확인하고 균일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상(A상)은 탈이온화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RRHIZATE) 0.10 중량부,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1.50 중량부, 글리세린(GLYCERINE) 0.10 중량부, 디소듐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DISODIUM ETHYLENEDIAMINETETRA ACETATE) 0.02 중량부, 베타인 5.00 중량부, 아루부틴(ARBUTIN) 2.0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B 상은 스틸렌/피브이피 중합체(STYRENE/PVP COPOLYMER) 0.05 중량부 및 탈이온화수 5.0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C 상은 카보머(CARBOMER) 0.16중량부 및 탈이온화수 10.0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D 상은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140중량부 및 탈이온화수 1.0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E상은 메틸 파라벤(METHYL PARABEN) 0.20 중량부,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02중량부, 페녹시에탄올(PHENOXY ETHANOL) 0.30중량부, PEG-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0.50중량부, 및 방향제(FRAGRANCE) 0.1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기타 성분은 에틸 아스코르브산(ETHYL ASCORBIC ACID) 0.20 중량부 및 연잎 추출물 0.1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이하는 본 발명의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에멀션 화장품의 제조방법의 실험예를 표로 나타내었다.
실험예 1
표 4는 본 발명의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킨 화장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실험예를 나타낸다.
표 4에 나타낸 성분으로 이루어진 스킨 화장품은 사용감이 개선되었고 높은 점성을 갖는다.
Figure pat00004
실험예 2 및 3
표 5 및 6은 본 발명의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킨 화장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실험예 2 및 3을 나타낸다. 상기 실험예 2 및 3은 실험예 1에 비해 외상의 유백색 색상이 너무 진하고 사용감이 가벼웠고, 연잎 추출물의 첨가 시에 색상이 약간 노랗게 나타났다.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 화장품의 제조방법은:
(1) 수상(A상)을 80℃까지 가열하는 단계;
(2) 점증제(B상)를 수상에 첨가하여 분산시켜 제1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유상(C상)을 80℃까지 가열한 후에 유화하여 제1조성물과 혼합하여 제2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4) 제2조성물을 45℃까지 냉각 후 D상을 첨가하여 제3조성물을 제조하여 2차 유화시키는 단계;
(5) 제3조성물을 계속하여 30℃까지 냉각하는 단계; 및
(6) 제3조성물에 방향제, KMO-6, 및 연잎 추출물(NN-L extracts)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상(A상)은 정제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농축 글리세린 6.00 중량부, 알란토인(ALLANTOIN) 0.10중량부, 디-판테놀(D-PANTHENOL) 0.5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상(B상)은 시어버터(SHEA BUTTER) 20.0중량부, 비타민-E 아세테이트(VITAMIN-E ACETATE) 0.50 중량부, 아를라셀 165V(ARLACEL 165V) 2.50중량부, EMULIRE 61 WL 2659 1.50중량부, 큐티나 GMS(CUTINA GMS) 1.50중량부, LANETTE O 3.00중량부, 해바라기 기름(SUNFLOWER OIL) 0.20중량부, 포도씨 기름(GRAPE SEED OIL) 0.20중량부, CAMELLA SASANQUA OIL 0.20중량부, 및 KF-96-6CS 5.0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C상은 KELTROL F(1%) 2.00중량부 및 SEPIGEL 305(10%) 5.0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D상은 방향제 0.4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기타 성분은 KMO-6 0.30중량부, 및 연잎 추출물(NN-L extracts) 0.20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이하는 본 발명의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 화장품의 제조방법의 실험예를 표로 나타내었다.
실험예 1
표 1은 본 발명의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 화장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실험예를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낸 성분으로 이루어진 크림 화장품은 높은 보습력을 가지고, 사용감이 풍부하게 개선되었고, 향취 및 분리현상이 개선되었다.
Figure pat00007
실험예 2 및 3
표 8 및 9는 본 발명의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 화장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실험예 2 및 3을 나타낸다. 상기 실험예 2 및 3은 실험예 1에 비해 실험예 1에 비해 보습력이 떨어지고 사용감이 낮았다.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Claims (3)

  1.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에멀션 화장품의 제조방법은:
    수상(A상)을 80℃까지 가열하는 단계;
    점증제(B상)를 상기 수상에 첨가하여 분산시켜 제1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유상(C상)을 80℃까지 가열한 후에 유화하여 상기 제1조성물과 혼합하여 제2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조성물을 45℃까지 냉각 후 D상을 첨가하여 제3조성물을 제조하여 2차 유화시키는 단계;
    상기 제3조성물을 계속하여 30℃까지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제3조성물에 정제수,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바이오사카라이드 GUM-1(BIOSACCHARIDE GUM-1), 및 연잎 추출물(NN-L extracts)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상(A상)은 정제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농축 글리세린 7.00 중량부, 소듐 엔-스테아로일-엘-글루타메이트(SODIUM N-STEAROYAL-L-GLUTAMATE) 0.30중량부, 메틸 파라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METHYL PARAHYDROXYBENZONATE) 0.1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상(B상)은 정제수 15.0 중량부 및 카보폴 941 (CARBOPOL 941) 0.1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C상은 정제수 0.5 중량부 및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SODIUM HYDROXIDE) 0.04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D상은 밀랍 2.00 중량부, 벤질 알코올 에프이(BENZYL ALCOHOL FE) 1.0 중량부, 친유성의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 LIPOPHILIC) 1.80 중량부, 데카글리세릴 미리스테이트(DECAGLYCERYL MYRISTATE) 2.00 중량부, 2-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2-OCTYLDODECYL MYRISTATE) 2.80 중량부, 스쿠알란(SQUALANE) 6.00 중량부, 메틸 폴리실록산(METHYL POLYSILOXANE) 2.00 중량부, 비사보롤(BISABOLOL) 0.10 중량부, 및 비타민-E 아세테이트(VITAMIN-E ACETATE) 0.1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또한
    기타 성분은 정제수 0.10 중량부,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0.005 중량부, 바이오사카라이드 GUM-1(BIOSACCHARIDE GUM-1) 0.30 중량부, 및 연잎 추출물(NN-L extracts) 0.3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에멀션 화장품의 제조방법.
  2.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킨 화장품의 제조방법은:
    수상(A상)을 균일 분산시키는 단계;
    B상 STYRENE/PVP COPOLYMER은 5% 희석시킨 다음 상기 수상(A상)에 첨가하여 균일 분산시켜 제1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C상을 잘 분산시킨 후에 상기 제1조성물에 첨가 균일 분산시켜 제2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D상을 상기 제2조성물에 첨가하여 균일분산시켜 제3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3조성물에 E상을 첨가한 후에 균일 분산시켜 제4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4조성물에 연잎 추출물을 첨가시킨 후에 완전 용해를 확인하고 균일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상(A상)은 탈이온화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RRHIZATE) 0.10 중량부,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1.50 중량부, 글리세린(GLYCERINE) 0.10 중량부, 디소듐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DISODIUM ETHYLENEDIAMINETETRA ACETATE) 0.02 중량부, 베타인 5.00 중량부, 아루부틴(ARBUTIN) 2.0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B상은 스틸렌/피브이피 중합체(STYRENE/PVP COPOLYMER) 0.05 중량부 및 탈이온화수 5.0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C 상은 카보머(CARBOMER) 0.16중량부 및 탈이온화수 10.0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D 상은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140중량부 및 탈이온화수 1.0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E상은 메틸 파라벤(METHYL PARABEN) 0.20 중량부,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02중량부, 페녹시에탄올(PHENOXY ETHANOL) 0.30중량부, PEG-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0.50중량부, 및 방향제(FRAGRANCE) 0.1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또한
    기타 성분은 에틸 아스코르브산(ETHYL ASCORBIC ACID) 0.20 중량부 및 연잎 추출물 0.1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연잎 추출물은 70% 에탄올을 상기 연잎 추출물의 10배 중량에 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침지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3회 반복하여 추출하고, 얻어진 여액은 여과 (Whatman NO. 5) 및 감압 농축(Rotary vaccum evaporatory)하여 동결건조 후 4℃ 냉장실에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킨 화장품의 제조방법.
  3.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 화장품의 제조방법은:
    수상(A상)을 80℃까지 가열하는 단계;
    점증제(B상)를 상기 수상에 첨가하여 분산시켜 제1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유상(C상)을 80℃까지 가열한 후에 유화하여 상기 제1조성물과 혼합하여 제2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조성물을 45℃까지 냉각 후 D상을 첨가하여 제3조성물을 제조하여 2차 유화시키는 단계;
    상기 제3조성물을 계속하여 30℃까지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제3조성물에 방향제, KMO-6, 및 연잎 추출물(NN-L extracts)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상(A상)은 정제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농축 글리세린 6.00 중량부, 알란토인(ALLANTOIN) 0.10중량부, 디-판테놀(D-PANTHENOL) 0.5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상(B상)은 시어버터(SHEA BUTTER) 20.0중량부, 비타민-E 아세테이트(VITAMIN-E ACETATE) 0.50 중량부, 아를라셀 165V(ARLACEL 165V) 2.50중량부, EMULIRE 61 WL 2659 1.50중량부, 큐티나 GMS(CUTINA GMS) 1.50중량부, LANETTE O 3.00중량부, 해바라기 기름(SUNFLOWER OIL) 0.20중량부, 포도씨 기름(GRAPE SEED OIL) 0.20중량부, CAMELLA SASANQUA OIL 0.20중량부, 및 KF-96-6CS 5.0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C상은 KELTROL F(1%) 2.00중량부 및 SEPIGEL 305(10%) 5.0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D상은 방향제 0.4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또한
    기타 성분은 KMO-6 0.30중량부, 및 연잎 추출물(NN-L extracts) 0.2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연잎 추출물은 70% 에탄올을 상기 연잎 추출물의 10배 중량에 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침지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3회 반복하여 추출하고, 얻어진 여액은 여과 (Whatman NO. 5) 및 감압 농축(Rotary vaccum evaporatory)하여 동결건조 후 4℃ 냉장실에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 화장품의 제조방법.
KR1020150012453A 2015-01-27 2015-01-27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제조방법 KR201600921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453A KR20160092165A (ko) 2015-01-27 2015-01-27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453A KR20160092165A (ko) 2015-01-27 2015-01-27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165A true KR20160092165A (ko) 2016-08-04

Family

ID=56709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453A KR20160092165A (ko) 2015-01-27 2015-01-27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216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29109A (zh) * 2017-12-05 2018-04-20 文丁 一种美白保湿抗皱修复的微乳剂及其制备方法
KR20200038064A (ko) * 2018-10-02 2020-04-10 주식회사 삼정트레이딩 후박나무 껍질 추출물을 이용한 복합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210012536A (ko) * 2019-07-25 2021-02-03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5047A (ko) 2010-04-14 2011-10-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5047A (ko) 2010-04-14 2011-10-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29109A (zh) * 2017-12-05 2018-04-20 文丁 一种美白保湿抗皱修复的微乳剂及其制备方法
CN107929109B (zh) * 2017-12-05 2021-02-05 文一丁 一种美白保湿抗皱修复的微乳剂及其制备方法
KR20200038064A (ko) * 2018-10-02 2020-04-10 주식회사 삼정트레이딩 후박나무 껍질 추출물을 이용한 복합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210012536A (ko) * 2019-07-25 2021-02-03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39688A (ko) 미백 활성을 갖는 당유자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19571B1 (ko) 목련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20536B1 (ko)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3746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60092165A (ko)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제조방법
KR20150078741A (ko) 둥근마, 신선초, 오크라 및 토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101582971B1 (ko) 딱총나무 및 으아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0098A (ko) 다량의 폴리페놀 성분을 함유하는 연자방 추출물을 이용한 항노화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10301B1 (ko) 쉬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4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00104999A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2198589B1 (ko) 바위돌꽃, 바위손, 맨드라미 및 쑥 혼합추출물과 피톨(phytol)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744947B1 (ko) 천궁 추출물 및 프로테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136753A (ko) 박태기나무 또는 붉은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0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20047441A (ko) 새싹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용 조성물
KR201701374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058546A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3191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02286B1 (ko) 피부 자극이 없고,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KR20140071716A (ko) 으름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18201A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